KR20060056054A -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6054A
KR20060056054A KR1020040095313A KR20040095313A KR20060056054A KR 20060056054 A KR20060056054 A KR 20060056054A KR 1020040095313 A KR1020040095313 A KR 1020040095313A KR 20040095313 A KR20040095313 A KR 20040095313A KR 20060056054 A KR20060056054 A KR 20060056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able
fastening pin
fastening
sh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5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6054A/ko
Publication of KR20060056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floor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3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being transmitted by a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는,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레버에 형성된 체결핀에 변속 케이블의 아이 엔드가 끼워지고, 상기 변속 케이블의 아이 엔드를 관통한 체결핀에 반경방향으로 제1스토퍼가 걸쳐지며,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체결 핀에 걸쳐짐과 동시에 상기 제1스토퍼와 일체로 구비된 제2스토퍼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핀에 축 방향으로 끼워지기 때문에 상기 제1,2스토퍼를 체결 핀에 체결할 때 원주방향으로 조립 방향으로 제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2스토퍼를 상기 체결 핀에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상기 변속 케이블을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다.
수동변속기, 변속조작기구, 시프트 레버, 체결 핀, 변속 케이블, 아이 엔드, 클립

Description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Shift-cable Mount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의 체결작업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중 원터치 클립의 측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의 체결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시프트 레버 52 : 체결 핀
60 : 변속 케이블 62 : 아이 엔드
70 : 제1스토퍼 74 : 가이드 슬롯
80 : 제2스토퍼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 측 시프트레버와 변속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동변속기 측 시프트레버와 변속 케이블을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조작기구는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로서, 변속레버와 변속기의 일측에 부착되는 선택레버 사이는 셀렉트 케이블로 연결되어 변속단을 선택하고, 변속레버와 변속기의 일측에 부착되는 조절레버 사이는 시프트 케이블로 연결되어 선택된 변속단의 변속을 행한다.
즉, 변속단을 선택하는 방향으로 변속레버를 조작하면 그 조작력은 셀렉트 케이블을 통해 선택레버로 전달되어 변속단을 선택하고, 변속을 행하는 방향으로 변속레버를 조작하면 그 조작력은 시프트 케이블을 통해 조절레버로 전달되어 변속 을 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구조는, 수동변속기 측 시프트 레버(2)에 체결 핀(4)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 핀(4)에 셀렉트 케이블 또는 시프트 케이블(6)의 아이 엔드(5)가 끼워진 후 평와셔(8)가 끼워지며, 상기 셀렉트 케이블 또는 시프트 케이블(6)의 아이엔드(5)를 관통한 체결 핀(4)에 형성된 홀(4a)에 분할 핀(10)의 일부가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구조는,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변속기 측 시프트 레버(2)의 주위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상기 체결 핀(4)에 셀렉트 또는 시프트 케이블(6)의 아이 엔드(5) 및 평와셔(8)가 끼워진 후 상기 체결 핀(4)의 홀(4a)을 찾기 곤란하여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상기 체결 핀(4)의 홀(4a)이 원주방향으로 일 지점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원주방향으로 상기 분할 핀(10)을 상기 체결 핀(4)의 홀(4a)에 조립하는 방향이 제한되어 작업성이 결여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아래에서 상측을 향해 상기 셀렉트 케이블 또는 시프트 케이블(6)의 아이 엔드(5) 및 평와셔(8)를 상기 체결 핀(4)에 끼우게 된다면, 상기 분할 핀(10)을 체결 핀(4)의 홀(4a)에 끼우는 동안 상기 셀렉트 케이블 또는 시프트 케이블(6)의 아이 엔드(5), 평와셔(8)를 잡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결여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변속 케이블을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레버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는, 수동변속기 측에서 돌출되어 변속 케이블이 끼워지는 체결 핀과; 상기 변속 케이블이 체결 핀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체결 핀에 반경방향으로 끼워지는 제1스토퍼와; 상기 제1스토퍼가 체결 핀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제1스토퍼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핀에 축 방향으로 끼워지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 4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는, 수동변속기 측 시프트 레버(50)에서 돌출되어 변속 케이블(60)의 아이 엔드(62)(Eye-end)가 축 방향으로 끼워지는 체결 핀(52)과, 상기 체결 핀(52)에 변속 케이블(60)의 아이 엔드(62)가 끼워지면 상기 체결 핀(52)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변속 케이블(60)의 아이 엔드(62)가 체결 핀(52)에서 빠지지 않게 하는 원터치 클립(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 핀(52)은, 축 방향 길이(52L)가 상기 변속 케이블(60)의 아이 엔드(62)의 축 방향 두께(62t)보다 크다. 또한, 상기 체결 핀(52)은 상기 변속 케이블(60)의 아이 엔드(62)가 끼워지면, 상기 변속 케이블(60)의 아이 엔드(62)를 관통한 부위(52a) 중 상기 변속 케이블(60)의 아이 엔드(62) 바로 옆에 위치된 곳에 링형 홈(52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 핀(52)은 끝단면에 상기 체결 핀(52)과 동축이고 직경이 상기 체결 핀(52)의 직경보다 작은 봉 형상의 아일랜드(52c)가 구비된다.
상기 원터치 클립(C)은, 상기 변속 케이블(60)이 체결 핀(52)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체결 핀(52)에 반경방향으로 끼워지는 제1스토퍼(70)와, 상기 제1스토퍼(70)가 체결 핀(52)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제1스토퍼(7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핀(52)에 축 방향으로 끼워지는 제2스토퍼(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스토퍼(70)는, 상기 변속 케이블(60)의 아이 엔드(62)의 홀(62a)에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변속 케이블(60)의 아이 엔드(62)의 홀(62a)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변속 케이블(60)의 아이 엔드(62)에 밀착될 수 있는 패널부(72)와, 상기 제1스토퍼(70)가 상기 체결 핀(52)의 링형 홈(52b)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패널부(72)의 일측 가장자리에서부터 내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개구된 가이드 슬롯(7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스토퍼(70)의 패널부(72)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스토퍼(70)의 패널부(72)에는, 휘어지지 않고 상기 변속 케이블(60)의 아이 엔드(62)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변속 케이블(60)의 아이 엔드(62)와 반대방향으로 제1스토퍼 보강 리브(7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 보강 리브(76)는 상기 제1스토퍼(70)의 가장자리가 가장 휘어지기 쉬우므로 상기 제1스토퍼(7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상기 체결 핀(52)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반경방향으로 상기 체결 핀(52)과 대응되는 부위를 제외하고 나머지 부위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스토퍼 보강 리브(76)는, 상기 제1스토퍼(70)의 패널부(72)가 원판 형상이므로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스토퍼(70)의 패널부(72)의 가장자리를 따라 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70)의 가이드 슬롯(74)은, 상기 제1스토퍼(70)가 상기 체결 핀(52)에 걸쳐지면 상기 제1스토퍼(70)의 패널부(72)와 체결 핀(52)이 동축이 될 수 있도록 반경방향 길이(74L)가 상기 제1스토퍼(70)의 패널부(72)의 반경과 상기 체결 핀(52)의 링형 홈 측 부위의 반경을 합한 값과 같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70)의 가이드 슬롯(74)은, 상기 제1스토퍼(70)가 상기 체결 핀(52)의 링형 홈(52b)(52b)에 견실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폭(74W)이 상기 체결 핀(52)의 링형 홈(52b)(52b) 측 부위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스토퍼(80)는, 상기 제1스토퍼(70)에 수직하게 연결된 수직판체부(82)와, 상기 제1스토퍼(70)와 평행하도록 상기 수직판체부(82)와 연결되고 상기 체결 핀(52)의 아일랜드(52c)가 축 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로크 홀(84a)이 형성된 수평판체부(8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직판체부(82)는, 상기 제1스토퍼(70)의 패널부(72)의 가장자리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직판체부(82)는, 상기 제1스토퍼(70)의 패널부(72)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제1스토퍼(70)의 가이드 슬롯(74)의 개구부(74a)와 반경방향으로 대향되고, 상기 제1스토퍼 보강 리브(76)와 간섭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직판체부(82)는, 상기 원터치 클립(C)이 상기 체결 핀(52)에 체결될 때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평판체부(84)가 상기 체결 핀(52)에 견실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제1스토퍼(70)의 패널부(72)로부터 돌출된 길이(82L)가 상기 체결 핀(52)의 링형 홈(52b)에서 끝단까지의 거리(52L')보다 짧아야 할 것이다.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평판체부(84)는,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직판체부(82)를 중심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직판체부(82)와 연결되는 연결부위(84b)가 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직판체부(8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평판체부(84)는,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직판체부(82)를 중심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직판체부(82)와 연결된 제1부위(84c)와, 상기 제1부위(84c)로부터 상기 제1스토퍼(70)를 향해 꺾어져서 상기 로크 홀(84a)이 형성된 제2부위(84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평판체부(84)는, 상기 체결 핀(52)이 상기 제1스토퍼(70)의 가이드 슬롯(74)에 끼워질 때 상기 제1스토퍼(70)와 제2스토퍼(80)의 수평판체부(84)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직판체부(82)와 반대쪽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스토퍼(70)의 패널부(72)로부터 점차 멀어지도록 꺾인 꺾임부(84e)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평판체부(84)는, 상기 원터치 클립(C)이 상기 체결 핀(52)과 체결되는 동안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직판체부(82)를 중심으로 상기 제1스토퍼(7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는데, 상기 제2스토퍼(80)의 로크 홀(84a)에 상기 체결 핀(52)의 아일랜드(52c)가 끼워지면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제2스토퍼 보강 리브(8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 보강 리브(86)는, 상기 제1스토퍼(70)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스토퍼(80)의 로크 홀(84a)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스토퍼(80)의 로크 홀(84a)은 상기 체결 핀(52)의 아일랜드(52c)와 직경이 동일하고, 상기 체결 핀(52)의 아일랜드(52c)가 상기 체결 핀(52)과 동축이므로 상기 원터치 클립(C)이 상기 체결 핀(52)에 체결되면, 상기 체결 핀(52)과 동축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핀(52)에 변속 케이블(60)의 아이 엔드(62)를 끼운 다음, 상기 원터치 클립(C)이 상기 제1스토퍼(70)의 가이드 슬롯(74)을 통해 상기 체결 핀(52)의 링형 홈(52b)에 걸쳐지게 한 상태에서 상기 원터치 클립(C)을 반경방향으로 상기 체결 핀(52)을 향해 민다.
이 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핀(52)이 상기 제1스토퍼(70)의 가이드 슬롯(74)을 통해 상기 제1스토퍼(70)의 내부를 향해 진입되는 동안 상기 체결 핀(52)의 아일랜드(52c)에 의해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평판체부(84)가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직판체부(82)를 중심으로 상기 변속 케이블(60)의 아이 엔드(6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핀(52)이 상기 제1스토퍼(70)의 가이드 슬롯(74) 끝까지 진입되면,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평판체부(8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핀(52)의 아일랜드(52c)가 제2스토퍼(80)의 로크 홀(84a)에 축 방향으로 끼워진다.
그러면, 상기 체결 핀(52)에 상기 변속 케이블(60)의 아이 엔드(62)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체결 핀(52)의 링형 홈(52b)에 제1스토퍼(70)가 걸쳐짐으로써 상기 변속 케이블(60)의 아이 엔드(62)가 상기 체결 핀(52)으로부터 빠지지 못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체결 핀(52)의 아일랜드(52c)가 상기 제2스토퍼(80)의 로크 홀(84a)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1스토퍼(70)가 상기 체결 핀(52)으로부터 빠지지 못하게 되어, 상기 변속 케이블(60)이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원터치 클립(C)은 상기 체결 핀(5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스토퍼(80)의 수평판체부(84)를 상기 변속 케이블(60)의 아이 엔드(6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서 상기 체결 핀(52)의 아일랜드(52c)가 상기 제2스토퍼(80)의 로크 홀(84a)로부터 빠지게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스토퍼(70)를 상기 체결 핀(52)으로부터 잡아 빼면 상기 원터치 클립(C)이 상기 체결핀(52)에서 분리되어 상기 변속 케이블(60)이 탈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는,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레버에 형성된 체결핀에 변속 케이블의 아이 엔드가 끼워지고, 상기 변속 케이블의 아이 엔드를 관통한 체결핀에 반경방향으로 제1스토퍼가 걸쳐지며,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체결 핀에 걸쳐짐과 동시에 상기 제1스토퍼와 일체로 구비된 제2스토퍼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핀에 축 방향으로 끼워지기 때문에 상기 제1,2스토퍼를 체결 핀에 체결할 때 원주방향으로 조립 방향으로 제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2스토퍼를 상기 체결 핀에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상기 변속 케이블을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어서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변속레버의 변속 조작력을 전달하는 변속 케이블을 수동변속기와 연결시키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동변속기 측에 구비되어 상기 변속 케이블이 끼워지는 체결 핀과; 상기 변속 케이블을 관통한 체결 핀의 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끼워지는 제1스토퍼와; 상기 제1스토퍼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핀에 축 방향으로 끼워지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체결 핀이 끼워지는 변속 케이블의 홀보다 넓게 형성된 패널부와; 상기 체결 핀에 형성된 링형 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패널부에 반경방향으로 개구된 가이드 슬롯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에는 상기 변속 케이블과 반대방향으로 제1스토퍼 보강 리브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 보강 리브는 상기 제1스토퍼의 가장자리 중 반경방향으로 상기 체결 핀과 대응되는 부위를 제외하고 나머지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에 수직하게 연결된 수직판체부와; 상기 제1스토퍼와 평행하도록 상기 수직판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체결 핀이 끼워지는 로크 홀이 형성된 수평판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의 수평판체부는, 상기 제2스토퍼의 수직판체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위가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의 수평판체부는, 상기 제2스토퍼의 수직판체부와 연결된 제1부위와, 상기 제1부위로부터 상기 제1스토퍼를 향해 꺾어져서 상기 로크 홀이 형성된 제2부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의 수평판체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스토퍼의 패널부로부터 점차 멀어지도록 꺾인 스커트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의 수평판체부에는 상기 제1스토퍼를 향해 제2스토퍼 보강 리브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의 로크 홀은 상기 체결 핀과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의 로크 홀은, 상기 체결 핀의 끝단에 상기 체결 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아일랜드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KR1020040095313A 2004-11-19 2004-11-19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KR20060056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313A KR20060056054A (ko) 2004-11-19 2004-11-19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313A KR20060056054A (ko) 2004-11-19 2004-11-19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054A true KR20060056054A (ko) 2006-05-24

Family

ID=3715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313A KR20060056054A (ko) 2004-11-19 2004-11-19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605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199B1 (ko) * 2006-08-09 2008-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 아이-엔드 고정용 와셔 어셈블리
KR100836142B1 (ko) * 2007-07-12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
KR100836364B1 (ko) * 2007-06-20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조립장치
KR101360704B1 (ko) * 2008-06-02 2014-0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변속케이블의 아이 앤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199B1 (ko) * 2006-08-09 2008-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 아이-엔드 고정용 와셔 어셈블리
KR100836364B1 (ko) * 2007-06-20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조립장치
KR100836142B1 (ko) * 2007-07-12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
KR101360704B1 (ko) * 2008-06-02 2014-0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변속케이블의 아이 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37684A1 (en) Button structure of shift knob
US6196080B1 (en) Shift lever unit for dual-mode automatic transmission
JP4777911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US20140137697A1 (en) Shift knob installation structure
KR20060056054A (ko)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JP2006219003A (ja) ノブの組付構造
JP4832317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US20080184837A1 (en) Shift leve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6006623A (en) Shift lever assembly
US10920821B2 (en) Terminal securing device
KR100461823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US20210041020A1 (en) Shift lever apparatus for vehicle
JP2003166521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結合装置
JP4095754B2 (ja) 部品取付構造
US20190219096A1 (en) Ball joint device
JP2008309203A (ja) アジャスト装置およびアジャスト装置付き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EP3324420A1 (en) Switching device
KR100460723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레버 작동장치
KR100559723B1 (ko) 시프트 락 케이블 하우징 조립체
US6282973B1 (en) Selector for a vehicle transmission as well as switch module therefor
KR100427662B1 (ko) 변속 케이블의 소켓 어셈블리
KR100288275B1 (ko) 수동변속차량용 변속레버와 시프트로드간 결합구조물
KR101794849B1 (ko)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
JPH1053040A (ja) コラムatシフトレバー
JP4020422B2 (ja) 車両用曲がりシフトレ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