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142B1 - 자동차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142B1
KR100836142B1 KR1020070069986A KR20070069986A KR100836142B1 KR 100836142 B1 KR100836142 B1 KR 100836142B1 KR 1020070069986 A KR1020070069986 A KR 1020070069986A KR 20070069986 A KR20070069986 A KR 20070069986A KR 100836142 B1 KR100836142 B1 KR 100836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eye end
vehicle
eye
end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9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floor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3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being transmitted by a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변속 차량에 있어 변속손잡이의 조작 시에 변속감을 개선하면서도 절도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실내에 취부되는 변속손잡이의 조작력을 변속기의 변속레버로 전달하게 되는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이엔드는, 아이엔드축(110)의 일측에 변속레버와 결합되는 결합부(120)에 충전된 탄성부재(121)에는 연결핀이 삽입되도록 체결공(122)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122)의 양옆으로 나란하게 슬릿(123)이 형성되되, 이 슬릿(123)의 횡단면 면적은 그 깊이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거친감과 조작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유격의 축소와 절도감을 동시에 만족시켜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수동 변속기, 아이엔드, 탄성부재, 탄성계수, 비선형, 슬릿.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Eye-end structure of a shift cabl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동 변속 차량에 있어 변속손잡이의 조작 시에 변속감을 개선하면서도 절도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시프트 케이블은 수동 변속 차량에서 운전자의 변속손잡이 조작 시의 변속운동을 변속기로 전달하여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링크기구이다.
시프트 케이블의 변속기의 변속레버와 연결되는 부분을 아이엔드(eye-end)라고 하며, 현재 슬릿이 있는 타입과 슬릿이 없는 타입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릿 타입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종래의 아이엔드(10)는 원형셀의 형상의 하우징(11) 내에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12)가 충전되고, 이 탄성부재(12)의 중앙에는 변속레버와 연결핀으로 체결되 기 위한 체결공(13)이 형성된다. 이 체결공(13)의 양옆으로는 나란하게 슬릿(14)이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슬릿 타입의 아이엔드는 작동 시에 인장 압축이 되는 스프링 효과 때문에 변속손잡이의 조작 중에 거친감을 제거하고 조작력을 저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슬릿 타입의 아이엔드는 변속 말기 인기어(in-gear) 유격을 증가시키고 절도감을 저해하는 단면이 있다.
반면에, 슬릿이 없는 타입의 아이엔드는 변속손잡이의 조작 시에 유격이 적어 변속 위치가 명확하고 절도감이 좋으나, 조작력이 커지고 변속 시에 거친감이 그대로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단점이 있다.
도 2(a)(b)는 도 1의 A-A 선의 단면도로써, 도 2(a)는 변속 조작이 없는 경우의 탄성부재의 단면 형상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 2(b)와 같이 변속 조작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한쪽 슬릿(14a)이 압축되어 슬릿 내에 탄성부재가 맞닿을 때까지 변형량이 일정하다.
따라서, 운전자의 조작력에 따라서 탄성부재의 탄성 변형 특성은 조작력과 변형량이 선형적인 특성을 보여주게 되며, 이는 조작력의 크기가 큰 경우에 탄성부재의 변형량이 동시에 커지게 되어 절도감이 저감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수동 변속 차량에 있어 변속손잡이의 조작력에 대해 비선형적으로 변형이 발생하여 변속감을 개선하면서도 절도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차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는, 자동차의 실내에 취부되는 변속손잡이의 조작력을 변속기의 변속레버로 전달하게 되는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이엔드는, 아이엔드축의 일측에 변속레버와 결합되는 결합부에 충전된 탄성부재에는 연결핀이 삽입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의 양옆으로 나란하게 슬릿이 형성되되, 이 슬릿의 횡단면 면적은 그 깊이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는, 수동변속 차량의 변속레버에 조립되는 아이엔드의 탄성부재가 비선형적인 특성을 가지므로, 거친감과 조작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유격의 축소와 절도감을 동시에 만족시켜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고하면, 아이엔드(100)는 아이엔드축(110)의 일측에 변속기의 변속레버와 결합되는 결합부(120)에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121)가 충전되며, 이 탄성부재(121)의 중앙에는 연결핀이 삽입되도록 체결공(122)이 형성된다.
체결공(122)의 양옆으로는 나란하게 두 개의 슬릿(123)이 형성된다.
특히, 종래의 슬릿은 종단면이 사각 형상을 가지며 횡단면 면적은 일정한 반면에, 본 발명에 있어 슬릿(123)은 횡단면 면적이 그 깊이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도 3의 B-B 선의 단면도로써, 본 발명에 있어 슬릿(123)은 종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슬릿(123)의 윗부분(D)과 아랫부분(C)의 공간의 크기가 다르다. 체결공(122)의 양옆에 위치하게 되는 두 개의 슬릿(123)은 대칭되게 형성한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슬릿(123)이 형성된 탄성부재(121)는 비선형적인 특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아이엔드의 작동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릿 타입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조작력이 작용 시에 탄성부재의 변형된 형상을 보여주고 있다.
도 5(a)를 참고하면, 조작력이 작용하는 초기에는 슬릿(123a)이 압축되게 되며, 이때 아랫부분(C)이 좁아지면서 슬릿 내부면이 먼저 맞닿게 된다.
다음으로 도 5(b)를 참고하면, 조작력이 계속 증가하는 경우에는 슬릿(123a)의 아랫부분(C)이 맞닿은 후에는 슬릿(123a)의 윗부분(D)이 압축되면서 압축력이 증가하게 되어 변형량 증가는 둔화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릿 타입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아이엔드는 탄성부재에 형성된 슬릿의 형상이 비선형적인 특성을 가지므로 조작력이 일정 크기 이상 증가하더라도 변형량의 증가는 둔화된다.
따라서, 탄성부재의 초기 변형 시에는 변속기의 거친감과 조작력이 감소하게 되며, 조작력의 증가에 대해 변형량이 증가는 제한되므로 유격량 축소 및 절도감의 향상을 기대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릿 타입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b)는 도 1의 A-A 선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릿 타입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B-B 선의 단면도,
도 5(a)(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릿 타입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릿 타입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아이엔드 110 : 아이엔드축
120 : 결합부 121 : 탄성부재
122 : 체결공 123 : 슬릿

Claims (2)

  1. 자동차의 실내에 취부되는 변속손잡이의 조작력을 변속기의 변속레버로 전달하게 되는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이엔드는,
    아이엔드축의 일측에 변속레버와 결합되는 결합부에 충전된 탄성부재에는 연결핀이 삽입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의 양옆으로 나란하게 슬릿이 형성되되, 이 슬릿의 횡단면 면적은 그 깊이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종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
KR1020070069986A 2007-07-12 2007-07-12 자동차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 KR100836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986A KR100836142B1 (ko) 2007-07-12 2007-07-12 자동차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986A KR100836142B1 (ko) 2007-07-12 2007-07-12 자동차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142B1 true KR100836142B1 (ko) 2008-06-09

Family

ID=39770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986A KR100836142B1 (ko) 2007-07-12 2007-07-12 자동차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1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1378U (ko) * 1996-02-27 1997-09-08 자동차의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아이엔드구조
KR20050032219A (ko) * 2003-10-01 200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 케이블 어셈블리의 케이블 연결구조
KR20060056054A (ko) * 2004-11-19 2006-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1378U (ko) * 1996-02-27 1997-09-08 자동차의 체인지 컨트롤 케이블의 아이엔드구조
KR20050032219A (ko) * 2003-10-01 200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 케이블 어셈블리의 케이블 연결구조
KR20060056054A (ko) * 2004-11-19 2006-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5621B2 (ja) 部品の取付構造
KR100836142B1 (ko) 자동차의 시프트 케이블의 아이엔드 구조
WO2014038286A1 (ja) シフトノブ組み付け構造
DE102007018731A1 (de) Schalt- und Wählvorrichtung
US6101890A (en) Gear shifting apparatus
KR20050098518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950031617A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0526874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US20100199794A1 (en) Shifting force transmitting device and gear shift apparatus using same
CN210423677U (zh) 操纵机构、变速箱和车辆
KR100369025B1 (ko) 자동차의 변속기용 케이블 조립체
KR20070052415A (ko)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고정구조
KR101360704B1 (ko) 변속케이블의 아이 앤드
KR20080111635A (ko) 진동흡수 포크
KR10043998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KR100680588B1 (ko) 수동 변속기의 제어 시스템 가이드 구조
KR20050064179A (ko) 변속 케이블 연결 구조
KR100323426B1 (ko) 차량용 변속조작기구
KR20070045596A (ko) 변속조작기구의 댐핑장치
KR100986369B1 (ko) 변속케이블의 아이 앤드
KR19990053306A (ko) 체인지레버와 실렉트로드의 결합구조
KR200161572Y1 (ko) 자동차의 수동 변속기용 크랭크 레버 조립체
KR100395063B1 (ko) 차량의 수동변속기
KR100323432B1 (ko) 차량용 시프트 포크 어셈블리
KR100534854B1 (ko) 진동저감을 위한 변속 케이블 고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