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849B1 -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849B1
KR101794849B1 KR1020160045121A KR20160045121A KR101794849B1 KR 101794849 B1 KR101794849 B1 KR 101794849B1 KR 1020160045121 A KR1020160045121 A KR 1020160045121A KR 20160045121 A KR20160045121 A KR 20160045121A KR 101794849 B1 KR101794849 B1 KR 101794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astening
hole
mounting hole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7294A (ko
Inventor
양희수
박준영
김두언
김규정
이창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5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849B1/ko
Publication of KR20170117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3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being transmitted by a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을 체결핀에 결속시키는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일측에서 케이블과 결속되며 양면이 개구되도록 장착홀이 타공되고, 상기 장착홀을 가로질러 개통되도록 진입홀이 형성된 케이스;와 개구된 모양을 가지며 개구된 부분이 장착홀에 위치하도록 진입홀에 끼워져 장착되되 장착됐을 때 장착홀의 일부를 가릴 수 있도록 가림부가 형성된 락커; 및 바디의 끝단에 바디의 직경보다 확대된 확장부가 형성되며 장착홀로 진입하는 체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락커는 탄성력에 의해 일측으로 가압됐을 때 가림부가 장착홀의 일부를 가리도록 스프링과 결합되며, 확장부가 가림부를 가압하며 장착홀로 진입한 후 가림부를 통과하면 확장부의 이탈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촉각 및 청각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체결이 이뤄졌을 때 락커의 돌출여부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조립자는 오체결여부를 더욱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Joining structure of eye-end for cable}
본 발명은 일단은 트랜스미션의 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운전석의 시프트레버와 결합된 인게이징레버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상기 인게이징레버에 형성된 체결핀에 결속시키기 위한 케이블용 아이엔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오조립 여부를 신속히 인지할 수 있으며 종래의 구조보다 더 강건한 체결력을 갖는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운전석의 시프트레버(6)와 트랜스미션의 레버(미도시)는 케이블(1)을 통해 연결되어 운전자가 시프트레버(6)를 조작하면 케이블(1)을 통해 전달된 조작력이 트랜스미션의 레버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연결방식이 존재하나, 그 중에서도 시프트레버(6)의 조작에 따라 회동하는 인게이징레버(5)에 체결핀(4)을 형성하고, 케이블(1)의 끝단에는 아이엔드(2)를 연결하여 체결핀(4)과 결속시키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엔드(2)는 양면을 관통하도록 장착홀(3)이 타공되며 일측에는 케이블(1)의 끝단이 연결된다. 상기 장착홀(3)에는 인게이징레버(5)에 형성된 체결핀(4)이 진입하여 끼워져 케이블(1)의 체결이 이뤄진다.
이에 따라, 시프트레버(6)의 조작은 인게이징레버(5)를 회전시키며, 회전하는 인게이징레버(5)는 케이블(1)을 당김으로써 트랜스미션의 레버를 조작하는 힘으로 전달된다.
이때, 체결핀(4)은 (직경의 단차가 형성되도록) 끝단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스냅핏돌기(4a)가 형성되어 체결핀(4)이 장착홀(3)에 끼워질 때 작업자는 촉감으로 체결상태를 감지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작업자가 오체결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여 케이블(1)이 미체결되거나 체결 후 반복적인 조작에 의해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체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체결상태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고 보다 강건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블을 체결핀에 결속시키는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일측에서 케이블과 결속되며 양면이 개구되도록 장착홀이 타공되고, 상기 장착홀을 가로질러 개통되도록 진입홀이 형성된 케이스;와 개구된 모양을 가지며 개구된 부분이 장착홀에 위치하도록 진입홀에 끼워져 장착되되 장착됐을 때 장착홀의 일부를 가릴 수 있도록 가림부가 형성된 락커; 및 바디의 끝단에 바디의 직경보다 확대된 확장부가 형성되며 장착홀로 진입하는 체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락커는 탄성력에 의해 일측으로 가압됐을 때 가림부가 장착홀의 일부를 가리도록 스프링과 결합되며, 확장부가 가림부를 가압하며 장착홀로 진입한 후 가림부를 통과하면 확장부의 이탈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홀에는 가림부의 진입위치를 가이드하도록 관통홀이 타공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된 부시가 결합된다. 상기 부시는, 체결핀이 진입하는 면에서 장착홀에 끼워지며 관통홀이 타공된 제1부시; 및 상기 제1부시의 반대쪽 면에서 장착홀에 끼워지며 관통홀이 타공된 제2부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시와 제2부시는 그 사이에서 락커가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제1부시와 제2부시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확장부가 진입할 때 탄성변형이 증대되도록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변형유도홈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진입홀의 내주면 양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락커는 양측변에 걸림부가 돌출형성되되, 폭이 축소되도록 탄성변형된 상태로 진입홀로 삽입된 후에 탄성복원되면 상기 걸림홈에 걸림부가 끼워지고 상기 걸림홈의 길이만큼 활주가능하다.
상기 락커는 걸림부가 걸림홈에 끼워졌을 때 일부분이 진입홀의 외측으로 돌출되되 양측변 각각에 걸림부가 하나씩 형성되고, 폭이 축소되도록 탄성변형될 때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걸림부들 사이에 호형(弧形)의 만곡부가 형성된다.
상기 확장부는 원뿔모양으로 형성된 쐐기부와 상기 쐐기부와 바디 사이에서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원통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림부는 쐐기부에 맞닿는 부분은 호형의 파임홈이 형성되고, 쐐기부의 경사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파임홈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원통부의 직경은 쐐기부의 최대직경 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쐐기부가 제2부시를 통과하면 원통부가 제2부시의 관통홀에 밀착되어 쐐기부의 후퇴가 단속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촉각 및 청각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체결이 이뤄졌을 때 락커의 돌출여부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조립자는 오체결여부를 더욱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체결핀의 확장부가 두 지점에서(바디와 원통부 사이 및 쐐기부와 원통부 사이) 구속이 이뤄지므로 보다 강건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락커를 들어오려 필요 시 체결핀을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다.
도 1 은 종래 방식에 따라 아이엔드가 체결핀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이엔드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3 은 도 2 의 아이엔드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 는 도 2 에서 A-A 부분의 단면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도 2 에서 B-B 부분의 단면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핀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7 과 도 8 및 도 9 는 체결핀이 진입하여 아이엔드에 끼워지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써, 윗쪽 그림은 측방향에서 아이엔드 내부가 나타나도록 투시하여 도시한 모습이고, 아랫쪽 그림은 체결핀이 진입하는 방향의 반대쪽에서 아이엔드 내부가 나타나도록 투시하여 도시한 모습이 나타난 도면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일단은 트랜스미션의 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인게이징레버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상기 인게이징레버에 형성된 체결핀에 결속시키기 위한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아이엔드는 케이스(10)에 락커(20)와 부시들(40: 40a, 40b)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체결핀(30)은 인게이징레버(미도시)에서 도 6 에 도시된 모양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체결핀(30)에 결속되는 원판형 부분과 케이블(1)이 끼워지는 원통형 부분이 합쳐진 모양을 갖되, 원통형 부분에서 케이블(1)이 결속되고 원판형 부분에서는 양면이 개구되도록 장착홀(11)이 타공된 모양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11)을 가로질러 관통하여 개통되도록 케이스(10)에는 진입홀(12)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락커(20)는 진입홀(12)에 끼워져 케이스(10)에 결합되되, 중앙에는 홀(21)이 형성되어 개구된 모양을 가지며, 일측에는 스프링(5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원통모양의 돌출된 부분(24)이 형성된다. 상기 락커(20)는 진입홀(12)에 끼워져 장착됐을 때, 장착홀(11)의 일부를 가릴 수 있도록 가림부(22)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락커(20)는 스프링(50)에 의해 진입홀(12)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되,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변에는 걸림부(23)가 돌출형성되어, 진입홀(12)의 내주면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13)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락커(20)는 폭이 축소되도록 탄성변형된 상태로 진입홀(12)로 삽입된 후에 탄성복원되면 상기 걸림홈(13)에 걸림부(23)가 끼워지고 상기 걸림홈(13)의 길이만큼 활주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락커(20)는 폭이 축소되도록 탄성변형될 때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걸림부들(23) 사이에 호형(弧形)의 만곡부(24)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장착홀(11)에는 가림부(22)의 진입위치를 가이드하도록 관통홀(41)이 타공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된 부시(40: 40a, 40b)가 락커(20) 진입 이전에 먼저 케이스(10)에 결합된다.
상기 부시(40)는 체결핀(30)이 진입하는 면에서 장착홀(11)에 끼워지며 관통홀(41)이 타공된 제1부시(40a) 및 상기 제1부시(40a)의 반대쪽 면에서 장착홀(11)에 끼워지며 관통홀(41)이 타공된 제2부시(40b) 두 개가 장착되며, 상기 제1부시(40a)와 제2부시(40b)는 그 사이에서 락커(20)가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관통홀(41)의 내경은 체결핀(30)의 최대직경 보다 더 작게 형성되되, 체결핀(30)이 진입할 때, 탄성변형이 증대되도록 상기 제1부시(40a)와 제2부시(40b)는 관통홀(41)의 둘레를 따라 변형유도홈(42)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인게이징레버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조된 후 결합되는 체결핀(30)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31)의 끝단에 바디(31)의 직경보다 확대된 확장부(32)가 형성된 모양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32)는 원뿔모양으로 형성된 쐐기부(32a) 및 상기 쐐기부(32a)와 바디(31) 사이에서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원통부(32b)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원통부(32b)의 직경은 쐐기부(32a)의 최대직경 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쐐기부(32a)가 제2부시(40b)를 통과하면 원통부(32b)가 제2부시(40b)의 관통홀(41)에 밀착되어 쐐기부(32a)의 후퇴는 단속된다(도 9 참조).
아울러, 체결핀(30)의 진입측이 쐐기형 모양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락커(20)는 쐐기부(32a)에 맞닿는 부분에서 호형의 파임홈(22a, 도 4 참조)이 형성되고, 쐐기부(32a)의 경사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파임홈(22a)에는 경사면(도 8 참조)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락커(20)는 탄성력에 의해 일측으로 가압됐을 때 가림부(22)가 장착홀(11)의 일부를 가리도록 케이스(10)에 장착되어, 상기 체결핀(30)의 확장부(32)가 가림부(22)를 가압하며 장착홀(11)로 진입한 후 가림부(22)를 통과하면 확장부(32)의 이탈(후퇴)이 단속된다.
즉, 도 7 내지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30)은 쐐기부(32a)의 뾰족한 끝단부터 제1부시(40a)를 통과한다. 쐐기부(32a)의 진입에 따라 제1부시(40a)의 탄성변형은 이뤄지고, 상기 쐐기부(32a)는 락커(20)의 가림부(22)에 맞닿게 된다. 이때, 상기 가림부(22)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파임홈(22a)이 형성되어 쐐기부(32a)의 진입함에 따라 락커(20)는 스프링(5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아랫쪽으로 하강하게 된다.
쐐기부(32a)와 원통부(32b)가 가림부(22)를 통과하게 되면,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락커(20)는 상승하게되고, 가림부(22)는 바디(31)에 지지된 상태로 원통부(32b)의 후퇴는 방지된다.
이때, 도 9 와 같이 체결핀(30)의 진입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쐐기부(32a)는 제2부시(40b)의 외부로 돌출된다. 쐐기부(32a)가 통과할 때 관통홀(41)의 직경이 확장되도록 탄성변형되었다가 쐐기부(32a)의 통과후 원래의 직경으로 복원된 제2부시(40b)는 원통부(32b)에 끼워진 상태가 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원통부(32b)와 쐐기부(32a) 사이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 쐐기부(32a)의 후퇴는 방지된다. 즉,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바디(31)와 원통부(32b)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 부분과 원통부(32b)와 쐐기부(32a)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 부분 두 곳에서 후퇴가 단속되어 보다 강건한 체결력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촉각 및 청각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체결이 이뤄졌을 때 락커(20)의 돌출량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조립자는 오체결여부를 더욱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체결핀(30)의 확장부가 두 지점에서 구속이 이뤄지므로 보다 강건한 체결력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케이스
11 : 장착홀
12 : 진입홀
20 : 락커
22 : 가림부
30 : 체결핀
32 : 확장부 (32a: 쐐기부, 32b: 원통부)
40 : 부시 (40a: 제1부시, 40b: 제2부시)
50 : 스프링

Claims (11)

  1. 개구된 모양을 가지며 개구된 부분이 장착홀에 위치하도록 진입홀에 끼워져 장착되되 장착됐을 때 장착홀의 일부를 가릴 수 있도록 가림부가 형성된 락커; 및
    바디의 끝단에 바디의 직경보다 확대된 확장부가 형성되며 장착홀로 진입하는 체결핀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핀을 케이블에 결속시키는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일측에서 상기 케이블과 결속되며 양면이 개구되도록 장착홀이 타공되고, 상기 장착홀을 가로질러 개통되도록 진입홀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장착홀에는 가림부의 진입위치를 가이드하도록 관통홀이 타공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된 부시가 결합되며,
    상기 부시는 체결핀이 진입하는 면에서 장착홀에 끼워지며 관통홀이 타공된 제1부시; 및
    상기 제1부시의 반대쪽 면에서 장착홀에 끼워지며 관통홀이 타공된 제2부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시와 제2부시는 그 사이에서 락커가 위치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시와 제2부시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확장부가 진입할 때 탄성변형이 증대되도록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변형유도홈이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홀의 내주면 양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락커는 양측변에 걸림부가 돌출형성되되, 폭이 축소되도록 탄성변형된 상태로 진입홀로 삽입된 후에 탄성복원되면 상기 걸림홈에 걸림부가 끼워지고 상기 걸림홈의 길이만큼 활주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는 걸림부가 걸림홈에 끼워졌을 때 일부분이 진입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는 양측변 각각에 걸림부가 하나씩 형성되고, 폭이 축소되도록 탄성변형될 때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걸림부들 사이에 호형(弧形)의 만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원뿔모양으로 형성된 쐐기부와 상기 쐐기부와 바디 사이에서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원통부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는 쐐기부에 맞닿는 부분은 호형의 파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쐐기부의 경사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파임홈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직경은 쐐기부의 최대직경 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부가 제2부시를 통과하면 원통부가 제2부시의 관통홀에 밀착되어 쐐기부의 후퇴가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
KR1020160045121A 2016-04-12 2016-04-12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 KR101794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121A KR101794849B1 (ko) 2016-04-12 2016-04-12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121A KR101794849B1 (ko) 2016-04-12 2016-04-12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294A KR20170117294A (ko) 2017-10-23
KR101794849B1 true KR101794849B1 (ko) 2017-11-08

Family

ID=6029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121A KR101794849B1 (ko) 2016-04-12 2016-04-12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8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9203A (ja) 2007-06-12 2008-12-25 Hi-Lex Corporation アジャスト装置およびアジャスト装置付き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JP4798975B2 (ja) 2004-08-20 2011-10-19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ケーブル用アジャスト装置およびアジャスト装置付き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8975B2 (ja) 2004-08-20 2011-10-19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ケーブル用アジャスト装置およびアジャスト装置付き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JP2008309203A (ja) 2007-06-12 2008-12-25 Hi-Lex Corporation アジャスト装置およびアジャスト装置付き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294A (ko) 201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4264A (en) Electric plug assembly
JP2727454B2 (ja) 板の結合クリップ
EP1375931B1 (en) Two-piece clip
JP4061396B2 (ja) ヒンジ装置
EP0753275A1 (en) Improved fastening unit for quick fastening of iron fittings, and iron fittings with such fastening unit
US20180363335A1 (en) Door 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door from opening during side collision
KR20160047370A (ko) 클립
KR101794849B1 (ko)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
US9089986B2 (en) Draw stud connector
JP2006219003A (ja) ノブの組付構造
US20080184837A1 (en) Shift leve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CN111684172B (zh) 阻尼器
WO2014088043A1 (ja) ホールプラグ
JP3215771U (ja) バックル
US2879495A (en) Spring separable connector
US20200237052A1 (en) Fastening device installing method and installing hole forming mechanism
KR20200019446A (ko) 부쉬 고정장치
CN109642440B (zh) 把手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966157B1 (ko) 차량용 커버링 셀프의 결합 구조
KR100456535B1 (ko) 케이블 어셈블리 조립구조
CN112204213B (zh) 挂锁式锁定设备及这种设备的组装方法
KR20060056054A (ko)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장치
US20050250361A1 (en) Secure cap of a plug
KR101987877B1 (ko) 파스너 브라켓
CN112639305B (zh) 卡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