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446A - 부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부쉬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19446A KR20200019446A KR1020180094984A KR20180094984A KR20200019446A KR 20200019446 A KR20200019446 A KR 20200019446A KR 1020180094984 A KR1020180094984 A KR 1020180094984A KR 20180094984 A KR20180094984 A KR 20180094984A KR 20200019446 A KR20200019446 A KR 202000194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h
- hole
- bracket
- guide rib
- bush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7—Details concerning mounting a rel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쉬(20)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면에 안내리브(12)가 돌출된 관통홀(11)이 형성된 브라켓(10)과, 상기 관통홀(11)에 삽입되는 부쉬(20)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리브(12)에는 상기 관통홀(11)의 둘레방향으로 걸림부(1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쉬(20)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슬릿(21)이 형성되어 탄성이 부여되고 상기 절개슬릿(21)의 일부에는 걸림부(13)와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홈(22)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켓(10)의 관통홀(11)의 내면에 안내리브(12)가 돌출되어 부쉬(20)의 절개슬릿(21)과 결합되므로 부쉬(20)가 관통홀(11) 내부에서 임의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결합이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라켓(10)의 관통홀(11)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부(13)와 부쉬(20)에 형성된 걸림홈(22)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하여 부쉬(20)의 결합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도 부쉬(20)가 브라켓(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부쉬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쉬가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부쉬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ower Relay Assembly : PRA)는 전기 수송 장치(Electric Vehicle : EV)에 사용되는 대용량 고전압 배터리와 모터 구동 장치 사이에 위치하며 그 연결을 담당하는 장치로 릴레이(Relay), 대용량 저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PRA를 자동차에 고정시키는 브라켓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구멍에 나사, 볼트 등의 체결장치가 삽입되어 자동차에 고정된다. 상기 구멍에는 나사, 볼트 등의 체결장치가 삽입되기 전에 부쉬가 먼저 삽입되어 체결장치가 삽입되는 구멍의 직경을 줄이고, 브라켓의 구멍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부쉬는 브라켓의 구멍의 직경보다 조금 큰 직경을 가지도록 설계되며, 브라켓의 구멍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이런 결합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부쉬의 직경이 브라켓의 구멍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부쉬가 구멍에 삽입될 때 큰 힘이 필요해서 작업자가 조립하기 쉽지 않아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마찰에 의한 결합이기 때문에 브라켓에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구멍에 삽입된 부쉬가 회전하여 체결장치가 함께 풀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체결장치가 삽입되면서 브라켓의 구멍에 삽입된 부쉬에 부쉬와 구멍의 내면 사이의 마찰력 이상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부쉬가 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브라켓의 구멍에 부쉬를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브라켓에 지속적인 진동이 가해져도 부쉬와 브라켓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어 부쉬가 회전하여 체결장치가 브라켓으로부터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쉬와 브라켓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어 브라켓에 부쉬의 결합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도 부쉬가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면에 안내리브가 돌출된 관통홀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부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리브에는 상기 관통홀의 둘레방향으로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쉬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슬릿의 폭의 크기가 변경되도록 탄성변형될 수 있고 상기 절개슬릿의 일부에는 걸림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슬릿의 폭의 크기는 상기 안내리브의 폭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부쉬는 상기 절개슬릿의 폭이 줄어들게 오므려진 상태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안내리브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대칭되게 돌출된다.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안내리브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경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안내리브가 연장된 방향과 평행하게 경사지는 동시에 상기 안내리브와 가까운 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의 관통홀의 가장자리에는 입구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부쉬의 양측 선단에는 상기 입구경사면과 대응되게 안내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쉬 고정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부쉬에 절개슬릿이 있어서 오므려진 상태로 삽입이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조립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좋아진다.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의 관통홀의 내면에 안내리브가 돌출되어 부쉬의 절개슬릿과 결합되므로 부쉬가 관통홀 내부에서 임의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결합이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의 관통홀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부와 부쉬에 형성된 걸림홈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하여 부쉬의 결합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도 부쉬가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브라켓과 부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브라켓의 관통홀을 보인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부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부쉬와 브라켓의 홀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정렬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부쉬가 변형되면서 브라켓에 삽입되는 모습을 보인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브라켓과 부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브라켓의 관통홀을 보인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부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부쉬와 브라켓의 홀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정렬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부쉬가 변형되면서 브라켓에 삽입되는 모습을 보인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부쉬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실시례의 브라켓(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브라켓(10)은 일반적으로 차량용 박스나 패널에 고정이 필요한 부품에 형성된다. 도 1은 부품의 형상을 제외하고 브라켓(10)의 형상만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브라켓(10)에는 볼트, 나사와 같은 체결장치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1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1)을 상기 브라켓(1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1)에는 상기 체결장치가 삽입되기 전에 아래에서 설명될 부쉬(20)가 먼저 삽입되어 상기 관통홀(11)의 내면에 고정된다.
상기 관통홀(11)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입구경사면(11')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입구경사면(11')은 상기 관통홀(11)이 형성되면서 생기는 예리한 절단면이 챔퍼지게 형성된 것으로, 날카로운 절단면이 제거되어 안전성을 확보하고, 부쉬(20)가 입구경사면(11')에 접촉하면 상기 관통홀(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입구경사면(11')은 상기 관통홀(11)의 출구 가장자리에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11)에는 부쉬(20)가 상기 관통홀(11)이 형성된 길이방향이면 방향성 없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1)의 내면에는 안내리브(12)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리브(12)는 상기 관통홀(11)이 형성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안내리브(12)는 부쉬(20)가 삽입될 때 상기 관통홀(11)의 내부로 가이드역할을 하는 동시에, 부쉬(20)가 상기 관통홀(11)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안내리브(12)가 상기 관통홀(11)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으나, 상기 관통홀(11)의 내면에 일부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안내리브(12)에는 상기 관통홀(11)의 둘레방향으로 걸림부(1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3)는 상기 안내리브(1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리브(12)가 연장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걸림부(13)는 상기 안내리브(12)에 대해서 대칭으로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3)는 상기 관통홀(11)에 고정된 부쉬(20)가 상기 관통홀(11)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걸림부(13)가 상기 안내리브(12)에 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걸림부(13)의 형상 및 개수를 달리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3)에는 상기 안내리브(12)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경사부(13')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3')는 부쉬(20)가 상기 관통홀(11) 내부로 삽입될 때, 부쉬(20)가 상기 걸림부(13)에 걸려서 더이상 삽입되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부쉬(20)가 방향성 없이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경사부(13')도 상기 걸림부(13)의 양측에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리브(12)의 횡단면도와 같은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경사부(13')는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형상이다. 즉, 상기 경사부(13')는 상기 안내리브(12)가 연장된 방향과 평행하게 경사지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안내리브(12)와 가까운 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도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은 부쉬(20)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인데,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 실시례의 부쉬(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부쉬(20)는 체결홀(20')을 가지는 중공의 원통형상이다. 상기 부쉬(2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쉬(20)는 상기 관통홀(11)의 직경보다 조금 큰 직경을 가지지만, 상기 부쉬(20)에는 상기 부쉬(2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슬릿(21)이 형성된다. 상기 부쉬(20)는 상기 절개슬릿(21)에 의해 어느정도의 탄성이 부여된다. 즉, 상기 부쉬(20)는 상기 절개슬릿(21)의 폭(W2)이 작아지거나 커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부쉬(20)를 오므려 상기 절개슬릿(21)의 폭을 좁히면 상기 부쉬(20)의 직경은 상기 관통홀(11)의 직경보다 작아진다. 상기 부쉬(20)가 오므려진 형상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절개슬릿(21)의 폭(W2)의 크기는 상기 안내리브(12)의 폭(W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슬릿(21)과 상기 안내리브(12)가 결합되면 상기 부쉬(20)는 상기 관통홀(11)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부쉬(20)에는 상기 걸림부(1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걸림홈(2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22)은 상기 절개슬릿(21)과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절개슬릿(21)에 대해서 대칭으로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22)이 상기 걸림부(13)에 걸려 상기 부쉬(20)가 상기 부쉬(20)의 길이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부쉬(20)의 양 선단에는 안내경사면(23)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23)은 상기 부쉬(20)가 상기 브라켓(10)의 입구경사면(11')에 접촉하면 상기 관통홀(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경사면(23)은 상기 부쉬(20)의 양 선단에 형성되므로 상기 브라켓(10)의 관통홀(11)에 방향성 없이 삽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브라켓(10)의 관통홀(11)에 상기 부쉬(20)가 삽입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브라켓(10)과 부쉬(20)가 상기 브라켓(10)의 관통홀(11)의 중심과 상기 부쉬(20)의 체결홀(20')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부쉬(20)가 상기 브라켓(10) 내로 삽입된다. 상기 부쉬(20)는 상기 브라켓(10)의 상부 또는 하부 방향성 없이 삽입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관통홀(11)과 체결홀(20')의 중심이 서로 완전히 일치하도록 배치되지 않고 조금 어긋나 있더라도, 상기 브라켓(10)의 입구경사면(11')과 상기 부쉬(20)의 안내경사면(23)이 서로 접촉하면 상기 부쉬(20)는 상기 관통홀(11) 내로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쉬(20)는 상기 절개슬릿(21)의 폭(W2)을 좁히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직경을 줄인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11)의 내부로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부쉬(20)가 상기 관통홀(11)의 입구에 다다르면, 상기 절개슬릿(21)이 상기 안내리브(12)에 결합되어 상기 부쉬(20)가 상기 관통홀(11)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부쉬(20)가 상기 관통홀(11)의 내부로 소정거리 이동하면, 상기 부쉬(20)의 안내경사면(23)이 상기 걸림부(13)와 접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걸림부(13)에는 상기 안내리브(12)가 연장된 방향과 평행하게 경사부(1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안내경사면(23)과 상기 경사부(13')가 접촉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부쉬(20)는 직경이 상기 관통홀(11)의 직경보다 작아지도록 오므려진 상태로 상기 경사부(13')를 따라서 상기 관통홀(11)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부쉬(20)의 변형된 상태는 상기 걸림홈(22)이 상기 걸림부(13)에 걸쳐질 때까지 유지된다. 이때, 상기 경사부(13')는 횡단면의 형상이 상기 안내리브(12)와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이므로, 상기 부쉬(20)는 상기 체결홀(20')의 내측으로 변형되는 동시에 상기 절개슬릿(21)이 벌어지는 방향으로도 함께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부쉬(20)가 상기 체결홀(20')의 내측으로 과도하게 변형되어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걸림부(13)에 상기 걸림홈(22)이 걸쳐졌을 때 원래대로 탄성복원될 수 있다.
상기 부쉬(20)의 걸림홈(22)이 상기 브라켓(10)의 걸림부(13)에 걸쳐지면 상기 부쉬(20)의 탄성변형이 해제되면서 상기 브라켓(10)과 상기 부쉬(20)의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 부쉬(20)는 상기 안내리브(12)와 절개슬릿(21)이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11)의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걸림부(13)와 걸림홈(22)이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11)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브라켓
11 : 관통홀
11' : 입구경사면 12 : 안내리브
13 : 걸림부 13' : 경사부
20 : 부쉬 20' : 체결홀
21 : 절개슬릿 22 : 걸림홈
23 : 안내경사면 W1 : 안내리브의 폭
W2 : 절개슬릿의 폭
11' : 입구경사면 12 : 안내리브
13 : 걸림부 13' : 경사부
20 : 부쉬 20' : 체결홀
21 : 절개슬릿 22 : 걸림홈
23 : 안내경사면 W1 : 안내리브의 폭
W2 : 절개슬릿의 폭
Claims (6)
- 내면에 안내리브가 돌출된 관통홀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부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리브에는 상기 관통홀의 둘레방향으로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쉬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슬릿의 폭의 크기가 변경되도록 탄성변형될 수 있고 상기 절개슬릿의 일부에는 걸림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부쉬 고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슬릿의 폭의 크기는 상기 안내리브의 폭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부쉬는 상기 절개슬릿의 폭이 줄어들게 오므려진 상태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부쉬 고정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안내리브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대칭되게 돌출되는 부쉬 고정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안내리브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경사부가 형성되는 부쉬 고정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안내리브가 연장된 방향과 평행하게 경사지는 동시에 상기 안내리브와 가까운 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는 부쉬 고정장치.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관통홀의 가장자리에는 입구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부쉬의 양측 선단에는 상기 입구경사면과 대응되게 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부쉬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984A KR20200019446A (ko) | 2018-08-14 | 2018-08-14 | 부쉬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984A KR20200019446A (ko) | 2018-08-14 | 2018-08-14 | 부쉬 고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9446A true KR20200019446A (ko) | 2020-02-24 |
Family
ID=6963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4984A KR20200019446A (ko) | 2018-08-14 | 2018-08-14 | 부쉬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1944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9262A (ko) * | 2020-11-02 | 2022-05-10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릴레이 설치 구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9268A (ko) | 2010-10-15 | 2012-04-25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장착 장치 |
-
2018
- 2018-08-14 KR KR1020180094984A patent/KR20200019446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9268A (ko) | 2010-10-15 | 2012-04-25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장착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9262A (ko) * | 2020-11-02 | 2022-05-10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릴레이 설치 구조 |
KR20230047342A (ko) * | 2020-11-02 | 2023-04-07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릴레이 설치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36454B2 (en) | Fastener | |
US4124264A (en) | Electric plug assembly | |
CA1211171A (en) | Electrical conductor bushing with anti-rotating means | |
US20120000686A1 (en) | Electric junction box | |
DE102017209584B4 (de) | Anbringungs-Struktur für einen Elektronikaufnahmekasten | |
KR20200019446A (ko) | 부쉬 고정장치 | |
KR200436537Y1 (ko) |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 |
US6074144A (en) | Fastener with retained movable pin | |
JP2017158276A (ja) |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ーハーネス | |
JP6984566B2 (ja) | ホルダ及びワイヤハーネス | |
KR102127162B1 (ko) | 밴드 케이블 | |
MX2008015566A (es) | Dispositivo para la absorcion de ruido. | |
JPS6233390B2 (ko) | ||
US5628087A (en) | Foldable stud bushing | |
CN116264379A (zh) | 连接件 | |
JP6955223B2 (ja) | ホルダ及びワイヤハーネス | |
EP3540748B1 (en) | Noise current absorber | |
JP2011196397A (ja) | パネルに対する取付部品のクリップによる固定構造 | |
JP5284233B2 (ja) | 螺子体取付部の構造及び配線器具取付体 | |
KR200469351Y1 (ko) | 고정단과 가동자의 금속간 마찰 방지를 위한 가이드링과 홈의 구조 | |
WO2023157518A1 (ja) | 固定構造 | |
US20240218893A1 (en) | Stud bolt fixture | |
KR101794849B1 (ko) | 케이블용 아이엔드의 체결구조 | |
KR102423985B1 (ko) | 간접 활선용 절연 커버 | |
US20240151327A1 (en) | Holder for long me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