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4134A -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4134A
KR20060054134A KR1020050099015A KR20050099015A KR20060054134A KR 20060054134 A KR20060054134 A KR 20060054134A KR 1020050099015 A KR1020050099015 A KR 1020050099015A KR 20050099015 A KR20050099015 A KR 20050099015A KR 20060054134 A KR20060054134 A KR 20060054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ster
resistor
selector
control valu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1448B1 (ko
Inventor
나오끼 다까다
야스유끼 구도
다꾸야 에리구찌
아끼히또 아까이
가즈오 오오까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060054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에서, 계조와 계조 전압 또는 표시 패널에서의 휘도의 관계를 정한 감마 특성의 진폭을 조정하기 위한 진폭 조정 레지스터(103)와, 감마 특성의 단부를 고정하여 감마 특성의 중간 부분의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한 기울기 조정 레지스터(104)와, 감마 특성의 중간 부분을 계조마다 미세 조정하기 위한 미세 조정 레지스터(105) 외에 추가로, 감마 특성의 단부 근방의 중간 부분에서의 계조 전압에 대한 계조를 조정하기 위한 탭 조정 레지스터(101)와, 감마 특성의 단부 근방의 중간 부분에서의 복수의 계조 사이에서의 계조 전압의 비율을 조정하기 위한 분압비 조정 레지스터(102)를 구비한다.
액정 표시 장치, 계조 조정, 감마 특성, 표시 드라이버

Description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DISPLAY DRIV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계조 전압 생성부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감마 특성을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도 2a는 탭 조정 기능, 도 2b는 분압비 조정 기능, 도 2c는 진폭 조정 기능, 도 2d는 기울기 조정 기능, 도 2e는 미세 조정 기능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계조 전압 생성부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각 레지스터에 입력되는 레지스터 설정 값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각 레지스터에 입력되는 레지스터 설정 값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계조 전압 생성부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가변 저항군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커브 조정 레지스터 값과 가변 저항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커브 조정 기능에 의한 계조 번호-계조 전압 특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계조 전압 생성 회로
101: 탭 조정 레지스터
102: 분압비 조정 레지스터
103: 진폭 조정 레지스터
104: 기울기 조정 레지스터
105: 미세 조정 레지스터
106: 디코드 회로
107: 기준 전압
108: 그라운드
111∼116: 저항
121∼124: 가변 저항
131∼136: 셀렉터
141: 앰프 회로
151∼155: 저항
161, 162: 탭 셀렉터
171, 172: 가변 저항
181∼188: 탭 전압
191∼198: 접속처
300: 액정 표시 장치
301: 액정 패널
302: 신호선 구동 회로
303: 주사선 구동 회로
304: 전원 회로
305: MPU
306: 시스템 인터페이스
307: 표시 데이터 메모리
308: 제어 레지스터
401: A 래더 저항
402: B 래더 저항
411: A 래더 설정 레지스터
412: B 래더 설정 레지스터
421∼428: 셀렉터
431: 래더 절환 신호
501: 정극성용 제어 레지스터
502: 부극성용 제어 레지스터
503: 정극성용 제어 레지스터
504: 부극성용 제어 레지스터
505: 셀렉터
701: 부극 R용 제어 레지스터
702: 정극 R용 제어 레지스터
703: 부극 G용 제어 레지스터
704: 정극 G용 제어 레지스터
705: 부극 B용 제어 레지스터
706: 정극 B용 제어 레지스터
707: 부극 R용 제어 레지스터
708: 정극 R용 제어 레지스터
709: 부극 G용 제어 레지스터
710: 정극 G용 제어 레지스터
711: 부극 B용 제어 레지스터
712: 정극 B용 제어 레지스터
721: 레지스터 절환 타이밍 생성 회로
722: 2 to 1 절환 신호
723: 3 to 1 절환 신호
731∼736: 셀렉터
741∼743: 셀렉터
751: 절환 스위치
752: 신호선 절환 신호
900: 계조 전압 생성 회로
901: 커브 조정 레지스터
902, 903: 가변 저항군
904, 905: 저항
906, 907: 가변 저항군
908∼927: 가변 저항
928∼933: 셀렉터
934: 앰프 회로
935: 제2 래더 저항
1001∼1011: 특성 곡선
[특허 문헌 1] US Patent Publication No. 2002-186230(JP-A-2002-366112)
본 발명은, 계조를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에 따른 계조 전압을 복수의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TFT 액정 등을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은 회로 규모로 다양한 감마 특성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 회로에 적용하기에 유효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가 검토한 바에 따르면,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에 관해서는, 이하와 같은 기술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인가하는 계조 전압에 의해 표시 휘도를 제어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정확한 색 재현을 행하기 위해, 계조 데이터에 대한 표시 휘도의 특성, 소위 감마 특성의 조정이 필요하다. 여기서, 특허 문헌 1은, 감마 특성의 조정 수단을 구동 회로 내부에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표시 데이터에 대한 계조 전압의 관계(이하, 계조 번호-계조 전압 특성이라 함)를, 진폭 조정, 기울기 조정, 미세 조정이라는 3종류의 수단을 이용하여 조정한다. 이에 의해, 액정 패널 개개의 특성에 따른 감마 특성의 조정을, 비교적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에 관하여, 본 발명자가 검토한 결과, 이하와 같은 것이 분명해졌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계조 번호-계조 전압 특성에서, 기준 전압과 그라운드에 가까운, 소위 S자 커브의 견부에서는, 사용하는 액정 패널에 따라 그 최적 커브가 상이하다. 이 때문에, 다종 다양한 액정 패널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조정 마진이 필요하다. 여기서, 상기 특허 문헌 1의 감마 특성 조정 기능에서 는, 견부의 조정을, 미세 조정 회로를 이용하여 행하였지만, 사용하는 패널에 따라서는 조정 범위가 불충분해져서, 원하는 감마 특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견부의 조정 범위를 더 넓히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실현하여, 더 다양한 표시 패널에서 정확한 색 재현성을 실현할 수 있는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는, 계조를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에 따른 계조 전압을, 복수의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에 적용되고,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갖는 것이다.
(1) 기준 전압을 분할함으로써, 복수의 계조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조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생성 회로와, 복수의 계조 전압으로부터, 표시 데이터에 따른 계조 전압을 선택하기 위한 디코드 회로(선택 회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와, 계조와 계조 전압 또는 표시 패널에서의 휘도의 관계를 정한 감마 특성의 진폭을 조정하기 위해,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제1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1 레지스터(진폭 조정 레지스터)와, 감마 특성의 단부를 고정하여 감마 특성의 중간 부분의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해,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제2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2 레지스터(기울기 조정 레지스터)와, 감마 특성의 중간 부분을 계조마다 미세 조정하기 위해,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제3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3 레지스터(미세 조정 레지스터) 외에 추가로, 감마 특성의 단부 근방의 중간 부분에서의 계조 전압에 대한 계조를 조정하기 위해,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제4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4 레지스터(탭 조정 레지스터)와, 감마 특성의 단부 근방의 중간 부분에서의 복수의 계조 사이에서의 계조 전압의 비율을 조정하기 위해,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제5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5 레지스터(분압비 조정 레지스터)를 구비했다.
(2) 제1∼제5 레지스터의 값은, 외부로부터 독립적으로 설정 가능하다.
(3) 감마 특성은, 대략 S자 곡선이다. 제4 레지스터는, 대략 S자 곡선의 극점 부분을 포함하는 감마 특성의 중간 부분에서의 계조 전압에 대한 계조를 조정 가능하다. 제5 레지스터는, 대략 S자 곡선의 극점 부분보다 양단측의 감마 특성의 중간 부분에서의 복수의 계조 사이에서의 계조 전압의 비율을 조정 가능하다.
(4) 생성 회로는, 제1 기준 전압의 접속단과 제2 기준 전압의 접속단 사이에 접속된 제1 래더 저항과, 제1 래더 저항보다 제1 기준 전압의 접속단측 또는 제2 기준 전압의 접속단측에 제1 래더 저항과 직렬로 접속된 제1 가변 저항과, 제1 래더 저항의 중간 부분에 제1 래더 저항과 직렬로 접속된 제2 가변 저항과, 제1 래더 저항으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셀렉터와, 제1 셀렉터의 출력측에 접속된 앰프와, 디코드 회로의 입력을 선택하여 앰프로부터의 출력을 입력에 접속하는 제2 셀렉터와, 디코드 회로의 복수의 입력 사이에 접속된 제2 래더 저항과, 제2 래 더 저항과 디코드 회로의 입력 사이에 제2 래더 저항과 직렬로 접속된 제3 가변 저항을 구비했다. 제1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제1 레지스터 내의 제1 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다. 제2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제2 레지스터 내의 제2 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다. 제1 셀렉터는, 제3 레지스터 내의 제3 값에 기초하여 제1 래더 저항으로부터의 출력을 선택 가능하다. 제2 셀렉터는, 제4 레지스터 내의 제4 값에 기초하여 디코드 회로의 입력점을 선택 가능하다. 제3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제5 레지스터 내의 제5 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다.
(5) 생성 회로는, 제1 래더 저항과, 제1 가변 저항과, 제2 가변 저항과, 제1 셀렉터를 각각 2 계통 갖고, 2 계통의 제1 셀렉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여 앰프에 출력하기 위한 제3 셀렉터를 구비한다. 2 계통의 제1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제1 레지스터 내의 제1 값과 제1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6 레지스터 내의 제6 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다. 2 계통의 제2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제2 레지스터 내의 제2 값과 제2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7 레지스터 내의 제7 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다. 2 계통의 제1 셀렉터는, 제3 레지스터 내의 제3 값과 제3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8 레지스터 내의 제8 값에 기초하여 제1 래더 저항으로부터의 출력을 선택 가능하다. 제3 셀렉터는, 제1 절환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셀렉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 가능하다. 2 계통을 일정한 기간마다 교대로 사용하고, 한쪽이 사용되고 있는 기간 내에, 다른 쪽에서는 차회의 사용 기간에 따른 설정으로 절환되는 기간으로 한다.
(6) 2 계통의 교대로 사용하는 기간은, 액정 표시 장치의 극성 반전 구동에 서의 정극성과 부극성에 대응한 각 기간이다.
(7) 액정 표시 장치의 극성 반전 구동은, 커먼 반전 구동, 매열 반전 구동, 또는 도트 반전 구동이다.
(8) 2 계통의 일정한 기간은, 컬러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에서의 R, G, B의 각 색에 대응한 3분할의 기간이다. 생성 회로는, 2 계통의 제1 셀렉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제3 셀렉터와, 제3 셀렉터로부터의 3분할의 출력을 선택하여 앰프에 출력하기 위한 제4 셀렉터를 구비한다. 2 계통 3분할의 제1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제1 레지스터 내의 제1 값과 제6 레지스터 내의 제6 값과 제1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9∼12 레지스터 내의 제9∼12 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다. 2 계통 3분할의 제2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제2 레지스터 내의 제2 값과 제7 레지스터 내의 제7 값과 제2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13∼16 레지스터 내의 제13∼16 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다. 2 계통 3분할의 제1 셀렉터는, 제3 레지스터 내의 제3 값과 제8 레지스터 내의 제8 값과 제3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17∼20 레지스터 내의 제17∼20 값에 기초하여 제1 래더 저항으로부터의 출력을 선택 가능하다. 제3 셀렉터는, 제1 절환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셀렉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 가능하다. 제4 셀렉터는, 제2 절환 신호에 기초하여 제3 셀렉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 가능하다.
(9) 제1 및 제2 절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타이밍 생성 회로를 구비했다.
(10) 제1∼ 제3 가변 저항은, 복수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는,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갖는 것이다.
(11)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 사이에 복수의 직렬 접속된 저항으로 이루어진 제1 래더 저항과, 제1 래더 저항의 복수의 저항의 복수의 접속점에 입력이 접속된 복수의 앰프를 구비하고, 복수의 앰프의 복수의 출력 사이에서 제1 기준 전압에 가장 근접한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앰프의 출력에 제1 저항의 일단을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앰프의 복수의 출력 사이에서 제2 기준 전압에 가장 근접한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앰프의 출력에 제2 저항의 일단을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제1 저항의 타단과 제2 저항의 타단 사이에 복수의 저항을 직렬로 접속한 제2 래더 저항을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제2 래더 저항의 직렬 접속의 복수의 저항 사이의 복수의 공통 접속점으로부터 복수의 셀렉터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선택 공통 접속점에 제1 앰프와 제2 앰프를 제외한 복수의 앰프의 다른 앰프의 출력으로부터의 복수의 출력 전압이 인가되어 이루어지고, 제1 앰프의 출력과 제2 앰프의 출력과 제2 래더 저항의 복수의 저항의 복수의 공통 접속점의 출력의 전압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 장치 구동을 위한 계조 전압을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는,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갖는 것이다.
(12)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 사이에 복수의 직렬 접속된 저항으로 이루어진 제1 래더 저항과, 제1 래더 저항의 복수의 저항의 복수의 접속점에 입력이 접속된 복수의 앰프를 구비하고, 복수의 앰프의 복수의 출력 사이에서 제1 기준 전압에 가장 근접한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앰프의 출력에 제1 저항의 일단을 접속하 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앰프의 복수의 출력 사이에서 제2 기준 전압에 가장 근접한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앰프의 출력에 제2 저항의 일단을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제1 저항의 타단과 제2 저항의 타단 사이에 복수의 저항을 직렬로 접속한 제2 래더 저항을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제1 저항과 제2 저항의 저항값이 레지스터에 의해 조정 가능하고, 제1 앰프의 출력과 제2 앰프의 출력과 제2 래더 저항의 복수의 저항의 공통 접속점의 전압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 장치 구동을 위한 계조 전압을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는,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갖는 것이다.
(13) 기준 전압을 분할함으로써 복수의 내부 생성 기준 전압을 생성하고, 복수의 내부 생성 기준 전압 사이를 분할함으로써 복수의 계조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조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생성 회로와, 복수의 계조 전압으로부터, 표시 데이터에 따른 계조 전압을 선택하기 위한 디코드 회로와, 계조와 계조 전압 또는 표시 패널에서의 휘도의 관계를 정한 감마 특성의 진폭을 조정하기 위해,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제1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1 레지스터(진폭 조정 레지스터)와, 감마 특성의 중간 부분의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해,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제2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2 레지스터(기울기 조정 레지스터)와, 감마 특성의 중간 부분을 계조마다 미세 조정하기 위해,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제3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3 레지스터(미세 조정 레지스터)와, 감마 특성의 조정을 행하기 위한 제3 값의 설정 범위를 조 정하기 위해,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제4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4 레지스터(커브 조정 레지스터)를 구비했다.
(14) 상기 (2)∼(10)과 마찬가지의 구성, 기능을 구비했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가 전압으로 표시 휘도를 제어하는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 패널 등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감마 특성의 조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특히 종래에서는 조정하기 어렵던 기준 전압 부근, 그라운드 부근의 감마 특성 조정에 관해서도, 레지스터 제어에 의해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표시 패널에 대하여 고화질화와 범용성이 있는 제어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 노멀 블랙 방식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예로서 설명하지만, 그 화소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노멀 화이트 방식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이외에,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표시 장치나 FED(Field Emission Display)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액정 표시 장치를, 도 1∼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감마 특성 조정 기능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기 특허 문헌 1의 종래 기술의 감마 특성 조정 기능인 진폭 조정 기능, 기울기 조정 기능, 미세 조정 기능 외에 새롭게 탭 조정 기능, 분압비 조정 기능을 추가하고, 특히 종래의 조정 기능으로서는 조정이 어렵던 기준 전압, 및 그라운드에 가까운 소위 S자 커브의 견부를 종래 이상으로 유연하게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계조 전압 레벨을 얻을 수 있고, 다양한 액정 패널에 대하여 정확한 색 재현성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상기 특허 문헌 1의 회로 구성에서, 앰프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하, 탭 전압이라 함)에 대해서는 충분한 조정을 행할 수 있지만, 제2 래더 저항에의한 탭 전압 사이의 분압에 대해서는, 제2 래더 저항이 고정이기 때문에, 조정의 자유도가 없었다. 이 점에 주목하여, 제2 래더 저항으로 분압되는 전압을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면, 전압 조정의 자유도가 넓어져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제2 래더 저항에 접속하는 감마 탭의 위치를 변경하는 기능과, 제2 래더 저항의 분압비를 변경하는 기능을 새롭게 설정하는 것으로 했다. 이에 의해, 종래의 감마 특성 조정 기능과 비교하여, 견부의 조정 범위를 더 넓히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실현하여, 더 다양한 액정 패널에서 정확한 색 재현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의해,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계조 전압 생성부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은 계조 전압 생성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계조 전압 생성부는, 기준 전압을 분할함으로써 복수의 계조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조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계조 전압 생성 회로(100)와, 감마 특성의 단부 근방의 중간 부분에서의 계조 전압에 대한 계조를 조정하기 위해,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값을 설정하기 위한 탭 조정 레지스터(101)와, 감마 특성의 단부 근방의 중간 부분에서의 복수의 계조 사이에서의 계조 전압의 비율을 조정하기 위해,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값을 설정하기 위한 분압비 조정 레지스터(102)와, 감마 특성의 진폭을 조정하기 위해,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값을 설정하기 위한 진폭 조정 레지스터(103)와, 감마 특성의 단부를 고정하여 감마 특성의 중간 부분의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해,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값을 설정하기 위한 기울기 조정 레지스터(104)와, 감마 특성의 중간 부분을 계조마다 미세 조정하기 위해,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값을 설정하기 위한 미세 조정 레지스터(105)와, 복수의 계조 전압으로부터 표시 데이터에 따른 계조 전압을 선택하기 위한 디코드 회로(106)로 구성된다.
계조 전압 생성 회로(100)는, 기준 전압의 접속단과 그라운드의 접속단 사이에 접속된 저항(111∼116)으로 구성되는 제1 래더 저항과, 제1 래더 저항보다 기준 전압의 접속단측 또는 그라운드의 접속단측에 제1 래더 저항과 직렬로 접속된 가변 저항(121, 122)과, 제1 래더 저항의 중간 부분에 제1 래더 저항과 직렬로 접속된 가변 저항(123, 124)과, 제1 래더 저항으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셀렉터(SEL)(131∼136)와, 셀렉터(131∼136)에 대응하여 이 셀렉터의 출력측에 접속된 앰프로 구성되는 앰프 회로(141)와, 디코드 회로(106)의 복수의 입력 사이에 접속된 저항(151∼155)으로 구성되는 제2 래더 저항과, 디코드 회로(106)의 입력을 선택하여 앰프 회로(141)로부터의 출력을 입력에 접속하는 탭 셀렉터(TAPSEL)(161, 162)와, 제2 래더 저항과 디코드 회로(106)의 입력 사이에 제2 래더 저항과 직렬로 접속된 가변 저항(171, 172)으로 구성된다.
이 계조 전압 생성 회로(100)의 외부에는, 탭 조정 레지스터(101), 분압비 조정 레지스터(102), 진폭 조정 레지스터(103), 기울기 조정 레지스터(104), 미세 조정 레지스터(105)가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서의 계조 전압 생성부는, 상기 특허 문헌 1의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계조 전압 생성 회로(100)에 탭 셀렉터(161, 162)와, 가변 저항(171, 172)이 추가되고, 탭 조정 레지스터(101)와 분압비 조정 레지스터(102)가 더 추가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탭 조정 레지스터(101)와 분압비 조정 레지스터(102)는, 계조 전압 생성 회로(100)의 각각의 탭 셀렉터(161, 162)와, 가변 저항(171, 172)의 조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값을 저장하는 것이다. 진폭 조정 레지스터(103)는, 가변 저항(121, 122)의 저항값을 조정하는 레지스터 값을 저장하는 것이다. 기울기 조정 레지스터(104)는, 가변 저항(123, 124)의 저항값을 조정하는 레지스터 값을 저장하는 것이다. 미세 조정 레지스터(105)는, 저항(111∼116)을 저항 분할했을 때의 전압 레벨을 선택하는 셀렉터(131∼136)를 조정하는 레지스터 값을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디코드 회로(106)는, 계조 전압 생성 회로(100)에서 생성된 계조 전압으로부터 표시 데이터에 따른 계조 전압을 디코드하는 회로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계조 전압 생성부에서, 상기 도 1을 참조하면서,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외부로부터 입력된 기준 전압(107)은, 그라운드(GND)(108)와의 사이에서, 저항(111∼116)으로 구성되는 제1 래더 저항에 의해 저항 분할되고, 원하는 계조 전압이 가변 저항(121∼124), 셀렉터(131∼136)의 설정에 의해 생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구성에 의해, 8개의 전압 레벨을 생성한다. 이하, 이 생성된 전압 레벨을 고전압측부터 참조 전압 1∼8로 한다. 여기서, 참조 전압 1∼8은,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진폭 조정, 기울기 조정, 미세 조정 기능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참조 전압 1∼8 중, 참조 전압 1과 8(탭 전압(181, 188))은, 디코드 회로(106)에 그대로 출력된다.
참조 전압 2∼7은, 앰프 회로(141)에 의해 버퍼링된다. 이하, 앰프 회로(141)에 의해 버퍼링된 참조 전압 2∼7을 각각 탭 전압(182∼187)이라고 부른다. 탭 전압(182∼187)은, 저항(151∼155)으로 구성되는 제2 래더 저항으로 저항 분할한다. 이 중, 탭 전압(183), 탭 전압(186)은 탭 셀렉터(161, 162)에 의해, 제2 래 더 저항으로의 탭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탭 셀렉터(161, 162)의 내부 회로 구성 및 회로 동작에 대하여, 탭 조정 레지스터(101)와 탭 셀렉터(161, 162)의 관계를 나타내면서 설명한다.
탭 셀렉터(161(162))의 내부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탭 전압(183(186))이 제2 래더 저항 내의 접속처(191, 192, 193, 194(195, 196, 197, 198))에 출력되도록 결선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2단으로 구성된 셀렉트 스위치가 존재한다.
우선, 1단째의 셀렉트 스위치(1)에서는, 탭 전압(183(186))을 접속처(191 혹은 192(195 혹은 196))에 결선하는 제1 데이터선인지, 접속처(193 혹은194(197 혹은 198))에 결선하는 제2 데이터선인지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2단째의 셀렉트 스위치(2)는, 1단째의 셀렉트 스위치(1)로부터의 제1 데이터선을 접속처(191(195))에 결선하는 데이터선인지, 접속처(192(196))에 결선하는 데이터선인지를 선택한다. 또 하나의 2단째의 셀렉트 스위치(3)는, 셀렉트 스위치(1)로부터의 제2 데이터선을 접속처(193(197))에 결선하는 데이터선인지, 접속처(194(198))에 결선하는 데이터선인지를 선택한다.
상기 셀렉트 스위치(1∼3)는, 2 to 1 셀렉터로 구성되어 있고, 레지스터 설정 값의 [0] 비트째에서, 1단째의 셀렉트 스위치(1)의 출력을 선택하고, [1] 비트째에서, 2단째의 셀렉트 스위치(2, 3)의 출력을 선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탭 조정 레지스터(101)의 레지스터 값을 "00"[BIN]으로 설정한 경우, 탭 셀렉터(161(162))는, 접속처(191(195))를 선택하도록 설정되어 있 고, 또한 탭 조정 레지스터(101)의 레지스터 값을 "11"[BIN]으로 설정한 경우, 탭 셀렉터(161(162))는, 접속처(194(198))를 선택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탭 셀렉터(161, 162)의 구성에서는, 상기 구성을 이용하고 있지만, 탭 전압(183(186))을 제2 래더 저항 내의 원하는 접속처(191, l92, 193, 194(195, 196, 197, 198))에 선택할 수 있는 회로 구성이고, 또한 레지스터 설정으로 제어할 수 있으면, 필요에 따라 내부의 구성을 변경해도 상관없다.
이 때, 탭 셀렉터(161, 162)는,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선택처로부터 선택되고 있지만, 선택처를 증감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탭처를 연속하는 계조 번호 중에서 선택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하나를 건너뛰는 계조 번호 중에서 선택한다고 하는 것처럼, 필요에 따라 선택처를 임의로 변경해도 상관없다.
또한, 제2 래더 저항과 탭 전압(182)의 사이와, 제2 래더 저항과 탭 전압(187)의 사이에는, 가변 저항(171, 172)이 존재하고 있다. 가변 저항(171, 172)의 저항값은, 분압비 조정 레지스터(102)의 설정에 의해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변 저항(171)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탭 전압(182)과, 탭 전압(183)을 탭 셀렉터(161)에 의해 선택한 접속처 사이의 저항 분압비를 변화시킬 수 있고, 가변 저항(172)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탭 전압(186)과, 탭 전압(187)을 탭 셀렉터(162)로 선택한 접속처 사이의 저항 분압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8개의 탭 전압(181∼188)을 제2 래더 저항에 의해 저항 분할하여, 필요하게 되는 계조분의 계조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본 실시예에서는, 예로서 32계조를 생성한다).
이 때, 탭 전압(181∼188)에 대하여, 추가로 탭 셀렉터(161, 162) 및 가변 저항(171, 172)의 설정에 의해, 감마 특성의 소위 견부 곡선을 상세하게 변경할 수 있다.
우선, 도 2a에 의해, 탭 조정 기능의 효과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a는, 계조 번호-계조 전압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a에서, 201은 각종 레지스터 설정을 디폴트 설정으로 한 경우의 계조 번호-계조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전술한 탭 전압(181∼188)은, 그래프 상의 202∼209에 대응하고 있다.
지금, 도 1의 계조 전압 생성부에서, 탭 전압(183)의 선택처를 접속처(191)로 되도록, 탭 셀렉터(161) 및 탭 조정 레지스터(101)를 설정한 경우, 도 2a에서의 201의 그래프는, 그래프 상의 점 204가 210으로 이동하도록 변화한다. 또한, 탭 전압(183)의 선택처를 접속처(194)로 되도록, 탭 셀렉터(161) 및 탭 조정 레지스터(101)를 설정한 경우, 도 2a에서의 201의 그래프는, 그래프 상의 점 204가 211로 이동하도록 변화한다.
마찬가지로, 도 1의 계조 전압 생성부에서, 탭 전압(186)의 선택처를 접속처(195)로 되도록 탭 셀렉터(162) 및 탭 조정 레지스터(101)를 설정한 경우, 도 2a에서의 201의 그래프는, 그래프 상의 점 207이 212로 이동하도록 변화한다. 또한, 탭 전압(186)의 선택처를 접속처(198)로 되도록 탭 셀렉터(162) 및 탭 조정 레지스 터(101)를 설정한 경우, 도 2a에서의 201의 그래프는, 그래프 상의 점 207이 213으로 이동하도록 변화한다.
이상과 같이 탭 조정 기능에서는, 계조 번호-계조 전압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에서의 그래프 상의 점 204, 207을 수평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감마 특성의 S자 커브의 곡률을 얕게도 깊게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종래 기술의 감마 특성의 S자 커브에서의 견부의 조정은, 미세 조정 기능에 의해 행해지고 있었다. 이 미세 조정 기능에서는, 계조 번호-계조 전압 특성의 그래프 상의 점 202∼209를 개별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이 경우, 특히 감마 특성의 S자 커브의 소위 견부를 조정하는 경우, 그래프의 203, 204, 205(206, 207, 208)를 수직 방향으로 조정함으로써, S자 커브의 곡률을, 얕게 혹은 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감마 특성의 S자 커브의 견부는, 수직 방향의 조정이라는 1차원적인 조정밖에 할 수 없는 데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탭 조정 기능에 의한 수평 방향의 조정을 가함으로써, 2차원적인 조정을 실현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종래의 조정 기능에 비하여, 더욱 광범위한 조정을 실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만약 종래 기술인 미세 조정 기능의 기능을 확대한 경우(탭 전압의 설정할 수 있는 전압 범위를 확대한 경우, 또는 셀렉터의 설정을 더 상세하게 한 경우), 그래프 상의 점 202∼209의 설정 범위를 넓히는 것이 가능했지만, 그래프 상의 수직 방향의 설정일 뿐이기 때문에, 탭 조정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탭 조정 기능에 의해, 감마 특성의 소위 S자 곡선의 커브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에 의해, 분압비 조정 기능의 효과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b는, 계조 번호-계조 전압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b에서, 도 2a의 201의 그래프와 그래프 상의 점 202∼209는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기재는 생략한다.
지금, 도 1의 계조 전압 생성부에서, 가변 저항(171)의 저항값을 작아지도록 분압비 조정 레지스터(102)를 설정한 경우, 도 2b의 그래프(201)는, 그래프 상의 점 203-204 사이의 분압비가, 221의 분압비로 되도록 변화한다. 또한, 가변 저항(171)의 저항값을 커지도록 분압비 조정 레지스터(102)를 설정한 경우, 도 2b의 그래프(201)는, 그래프 상의 점 203-204 사이의 분압비가, 222의 분압비로 되도록 변화한다.
마찬가지로, 도 1의 계조 전압 생성부에서, 가변 저항(172)의 저항값을 작아지도록 분압비 조정 레지스터(102)를 설정한 경우, 도 2b의 그래프(201)는, 그래프 상의 점 207-208 사이의 분압비가, 223의 분압비로 되도록 변화한다. 또한, 가변 저항(172)의 저항값을 커지도록 분압비 조정 레지스터(102)를 설정한 경우, 도 2b의 그래프(201)는, 그래프 상의 점 207-208 사이의 분압비가, 224의 분압비로 되도록 변화한다.
이상과 같이, 분압비 조정 기능에서는, 가변 저항(171, 172)을 조정함으로써, 그래프 상의 점 203-204 사이, 207-208 사이의 저항 분할비를 변경하여, 그래 프 상의 점 203-204 사이, 207-208 사이의 각 계조 번호의 전압 설정이 변경 가능해진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서는, 탭 전압 간의 계조 전압 값은, 탭 전압 값에 의해 결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탭 전압 사이를 연결하는 래더 저항의 저항 분할비는 고정이었다. 그 때문에, 203-204 사이(207-208 사이)의 계조 전압 값을 위로 들어올리는 경우, 점 203, 204(점 207, 208)를 위로 들어올릴 필요가 있다. 만약 점 204(207)를 위로 들어올린다고 하면, 감마 특성의 S자 커브의 견부가 위로 들어올려진다. 마찬가지로, 203-204 사이(207-208 사이)의 계조 전압 값을 내리는 경우, 점 203,204(점 207,208)를 내릴 필요가 있다. 만약 점 204(207)를 내린다고 하면, 감마 특성의 S자 커브의 견부가 내려간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분압비 조정 기능에서는, 감마 특성의 S자 커브를 변경하지 않고, 기준 전압 부근이나 그라운드 부근의 전압 설정을 광범위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만약 종래에서의 미세 조정 기능을 확장한 경우에도, 역시 감마 특성의 S자 커브의 견부는, 상기 이유에 의해, 변형되기 때문에, 미세 조정 기능의 확장에 의해 분압비 조정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분압비 조정 기능에 의해, 기준 전압 부근이나 그라운드 부근의 전압 설정을 광범위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에서는, 탭 조정 기능과 분압비 조정 기능의 효과를 진술했지만, 이들 2개의 기능은, 도 2c∼도 2e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진폭 조정, 기울기 조정, 미세 조정 기능으로 얻어지는 효과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계조 전압 생성부의 가변 저항(121, 122)은, 진폭 조정 레지스터(103)에 포함된 저항값 설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저항값을 변화시킴으로써, 계조 번호의 양단의 전압 값을 조정한다.
이 진폭 조정 기능의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계조 번호-계조 전압 특성은,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래프(201)의 디폴트 설정에 대하여, 그래프(231)는, 가변 저항(121)의 저항값을 크게 설정하고, 가변 저항(122)의 저항값을 작게 설정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그래프(232)는, 가변 저항(121)의 저항값을 작게 설정하고, 가변 저항(122)의 저항값을 크게 설정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 의해, 계조 전압의 진폭 전압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계조 전압 생성부의 가변 저항(123, 124)은, 기울기 조정 레지스터(104)에 포함된 저항값 설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저항값을 변화시킴으로써, 계조 전압의 중간부의 기울기 특성을 조정한다.
이 기울기 조정 기능의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계조 번호-계조 전압 특성은,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래프(201)의 디폴트 설정에 대하여, 그래프(241)는, 가변 저항(123)의 저항값을 작게 설정하고, 가변 저항(124)의 저항값을 크게 설정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그래프(242)는, 가변 저항(123)의 저항값을 크게 설정하고, 가변 저항(124)의 저항값을 작게 설정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 의해, 계조 전압의 중간조부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계조 전압 생성부의 셀렉터(131∼136)는, 저항(111∼116)으로 저항 분 할된 전압 값 중에서, 미세 조정 레지스터(105)의 설정 값을 참조하여 원하는 계조 전압을 선택함으로써 미세 조정을 행한다.
이 미세 조정 기능의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계조 번호-계조 전압 특성은, 도 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래프(201)의 디폴트 설정에 대하여, 그래프(251)는, 셀렉터(131∼136)의 선택 전압 중 기준 전압에 가까운 값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그래프(252)는, 셀렉터(131∼136)의 선택 전압 중 GND에 가까운 값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 의해, 계조 전압의 미세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이들 기능을 조합함으로써, 종래의 감마 특성 조정 기능 외에, 추가로 감마 특성을 나타내는 S자 곡선에서, 소위 견부의 조정 범위를 더 넓히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실현하여, 더 다양한 액정 패널에서 정확한 색 재현성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의해, 전술한 계조 전압 생성부를 탑재한, 본 실시예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3은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300)는, 액정 패널(301), 액정 패널(301)의 신호선에 표시 데이터에 대응한 계조 전압을 출력하는 도 1의 계조 전압 생성부를 탑재한 신호선 구동 회로(302), 액정 패널(301)의 주사선에 주사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주사선 구동 회로(303), 신호선 구동 회로(302)와 주사선 구동 회로(303)에 동작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304)로 구성된다. 전원 회로(304)로부터 신호 선 구동 회로(302)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에는, 도 1에서 도시한 기준 전압도 포함된다.
이 액정 표시 장치(300)에는, 액정 패널(301)에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각종 처리를 행하는 MPU(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305)가 접속되어 있다.
신호선 구동 회로(302)는, 이 MPU(305)와의 사이에서 표시 데이터 및 제어용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기 위한 시스템 인터페이스(306)와, 시스템 인터페이스(306)로부터 출력된 표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 메모리(307)와, 도 1에서 도시한 탭 조정 레지스터(101), 분압비 조정 레지스터(102), 진폭 조정 레지스터(103), 기울기 조정 레지스터(104), 미세 조정 레지스터(105)의 각종 레지스터로 이루어진 제어 레지스터(308), 계조 전압 생성 회로(100), 및 디코드 회로(106)를 포함한 구성으로 된다.
시스템 인터페이스(306)는, MPU(305)가 출력하는 표시 데이터 및 인스트럭션을 받아, 제어 레지스터(308)에 출력하는 동작을 행한다. 동작의 상세 내용은, 예를 들면 68계 16bit의 버스 인터페이스에 준거하고 있고, 칩 선택을 나타내는 CS(Chip Select) 신호, 제어 레지스터(308)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것인지 데이터를 지정하는 것인지를 선택하는 RS(Register Select) 신호, 처리 동작의 기동을 지시하는 E(Enable) 신호, 데이터의 기입 또는 판독을 선택하는 WR(Write Read) 신호, 제어 레지스터(308)의 어드레스 또는 데이터의 설정 값인 DATA 신호로 구성된다.
여기서, 인스트럭션이란, 신호선 구동 회로(302), 주사선 구동 회로(303), 전원 회로(304)의 내부 동작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프레임 주파수, 구동 라인 수, 구동 전압 등의 각종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인, 진폭 조정, 기울기 조정, 미세 조정, 탭 조정, 및 분압비 조정에 관한 정보도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 레지스터(308)는, 인스트럭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것을 각 구동 회로의 블록에 출력한다.
이상으로부터, 제어 레지스터(308)의 각 레지스터의 설정 값은, 외부로부터 독립적으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해져서, 감마 특성의 각 조정을 용이하게 하고, 종래의 감마 특성 조정 기능 외에, 추가로 감마 특성을 나타내는 S자 곡선에서, 소위 견부의 조정 범위를 더 넓히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실현하여, 더욱 다양한 액정 패널에서 정확한 색 재현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300)를 전제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가하는 전압에 의해 표시 휘도를 제어하는 다른 표시 디바이스, 예를 들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액정의 구동 등에서 필요한 극성 반전 구동에 관한 개념을 생략했지만, 커먼 반전, 매열 반전, 도트 반전이라고 하는 각종 방식에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커먼 반전 구동에의 대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 2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표시 데이터의 비트 수를 6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컬러의 개념을 생략했지 만, 컬러 표시의 실현은, 예를 들면 1화소의 표시 데이터를 R(적), G(녹), B(청)로 구성하고, 표시부에 소위 세로 스트라이프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다. 이 R(적), G(녹), B(청)에의 대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 3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감마 특성의 조정에 관한 각종 정보를 레지스터에 기억시키는 것을 전제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단자 설정으로 하여도 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액정 표시 장치를, 도 4∼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에서는, 영상 표시의 화질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어떤 일정 기간마다 인가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교류화 구동이 필요하다. 이 경우, 인가 전압 극성의 절환은, 교류 신호(이하, M 신호라 함)에 의해 행해지고, 예를 들면 M 신호는 1 주사 기간마다 로우 상태와 하이 상태가 반전한다. 여기서, 액정 패널에 따라서는, 계조 번호-계조 전압의 특성이 정극성(예를 들면 M=로우 상태), 부극성(예를 들면 M=하이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극성마다 원하는 감마 특성 조정을 행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상기 실시예 1에 나타낸 계조 전압 생성 회로의 구성에서, 극성마다 계조 전압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레지스터 설정을, 정극성용과 부극성용으로 2개 저장하고, 그것을 M 신호에 동기시켜, 계조 전압 생성부에 입 력하는 레지스터 값을 절환함으로써, 정극성, 부극성의 계조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계조 전압이 절환되고 나서 수속하기까지의 설정 시간이, 제1 및 제2 래더 저항의 값에 의존하여, 이들 저항값이 지나치게 크면, 어떤 일정 기간 내에(예를 들면 1H 기간 내)에 수속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래더 저항의 값을 작게 하면 되지만, 정상 전류가 증대하는 부작용이 발생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 과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감마 특성 조정 기능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진폭 조정 기능, 기울기 조정 기능, 미세 조정 기능, 탭 조정 기능, 분압비 조정 기능을 겸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 나타낸 제1 래더 저항을 2 계통 구비하고 있고, 특히 교류화 구동시에서 정극성용, 부극성용의 제1 래더 저항을 미리 설정해 두고, 극성의 절환으로 2 계통 존재하는 제1 래더 저항을 절환함으로써, 정극성과 부극성의 계조 전압 설정 절환 시간의 고속화를 도모한 것이다.
우선, 도 4에 의해,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계조 전압 생성부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4는 계조 전압 생성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계조 전압 생성부는, 상기 실시예 1에서의 계조 전압 생성부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나타낸 제1 래더 저항을 A 래더 저항(401)과 B 래더 저항(402)의 2 계통 구성했다. 또한, A 래더 저항(401)과 B 래더 저항(402)에 대하여, 각각 정극성용과 부극성용의 원하는 감마 특성 설정(진폭 조정, 기울기 조정, 미세 조정)을 행하기 위한 독립의 A 래더 설정 레지스터(411), B 래더 설정 레지스터(412)를 설치하고, 또한 A 래더 저항(401)과 B 래더 저항(402)으로부터 생성되는 탭 전압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셀렉터(421∼428)를 추가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외의, 앰프 회로(141), 탭 셀렉터(161, 162), 가변 저항(171, 172), 제2 래더 저항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2 계통의 A 래더 저항(401)과 B 래더 저항(402)에 대응하여, 상기 도 1에 도시한, 저항(111∼116)으로 구성되는 제1 래더 저항, 가변 저항(121∼124), 셀렉터(131∼136)를 각각 2 계통 갖고, 이 2 계통의 셀렉터(131∼136)로부터의 출력을, 추가한 셀렉터(421∼428)로 선택하여 앰프 회로(141)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계조 전압 생성부에서, 상기 도 4를 참조하면서,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제1 래더 저항과 마찬가지로 하여, A 래더 저항(401)과 B 래더 저항(402)에서도 탭 전압이 생성된다. 여기서, A 래더 저항(401)에서는, 정극성용 레지스터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B 래더 저항(402)에서는, 부극성용 레지스터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A 래더 저항(401)과 B 래더 저항(402)의 각각의 감마 특성 조정(진폭 조정, 기울기 조정, 미세 조정)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각의 래더 저항에 의해 생성된 탭 전압은, 셀렉터(421∼428)에 입력되어, 상기 M 신호를 래더 절환 신호(431)로서 절환한다. 예를 들면 M 신호가 로우 상태인 경우, 셀렉터(421∼428)에 입력된 탭 전압 중, 모두 정극성 설정의 탭 전압(A 래더 저항(401)으로부터 출력된 탭 전압)을 선택한다. 반대로, M 신호가 하이 상태인 경우, 셀렉터(421∼428)에 입력된 탭 전압 중, 모두 부극성 설정의 탭 전압(B 래더 저항(402)으로부터 출력된 탭 전압)을 선택한다.
그 후의 동작(탭 전압 생성 후부터 계조 전압 생성까지)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2 계통의 A 래더 저항(401)과 B 래더 저항(402)에 의한 제1 래더 저항에 의해, 정극성용, 부극성용의 탭 전압을 미리 생성해 둠으로써, 극성의 절환에 대하여 고속으로, 필요하게 되는 계조분의 계조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실시예 1에서의 도 2a∼도 2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진폭 조정, 기울기 조정, 미세 조정, 탭 조정, 분압비 조정 기능에서의 효과도 얻는 것이 가능하고, 이들 기능을 조합함으로써, 정극성과 부극성의 양방에서, 종래의 감마 특성 조정 기능과 감마 특성을 나타내는 S자 곡선의 소위 견부의 조정 범위를 더욱 넓히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실현하여, 다양한 액정 패널에서 정확한 색 재현성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의해, 전술한 계조 전압 생성부를 탑재한, 본 실시예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5는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300)는, 상기 실시예 1에 대하여, 제어 레 지스터(308)와 계조 전압 생성 회로(100)만을 변경한 구성으로 된다.
계조 전압 생성 회로(100)는, 도 4에서 설명한 전압 생성 회로의 구성으로 된다.
제어 레지스터(308)는, 정극성용의 진폭 조정 레지스터, 기울기 조정 레지스터, 미세 조정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정극성용 제어 레지스터(501)와, 부극성용의 진폭 조정 레지스터, 기울기 조정 레지스터, 미세 조정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부극성용 제어 레지스터(502)와, 정극성용의 탭 조정 레지스터, 분압비 조정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정극성용 제어 레지스터(503)와, 부극성용의 탭 조정 레지스터, 분압비 조정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부극성용 제어 레지스터(504)로 구성된다.
제어 레지스터(308)로부터 계조 전압 생성 회로(100)에는, 상기 정극성용 제어 레지스터(501)로부터의 A 래더 설정 레지스터 값과 상기 부극성용 제어 레지스터(502)로부터의 B 래더 설정 레지스터 값이 입력된다. 또한, 상기 정극성용 제어 레지스터(503)와 상기 부극성용 제어 레지스터(504)는, 셀렉터(505)에서, 상기 M 신호에 의해 절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M 신호가 로우 상태인 경우, 정극성용 레지스터 설정 값(제어 레지스터(503))을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반대로, M 신호가 하이 상태인 경우, 부극성용 레지스터 설정 값(제어 레지스터(504))을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6에 의해, 상기 제어 레지스터(308)로부터 계조 전압 생성 회로(100)의 각 레지스터에 입력되는 레지스터 설정 값의 타이밍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6은 레지스터 설정 값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6은, 예로서 1라인마다 극성 반전 구동시의 제어 레지스터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1라인마다 극성 반전 구동시에서는, 출력 데이터를 1 수평 주기마다 정극성, 부극성을 절환하고 있다. 그 때문에, 1 수평 주기마다, 정극성용 제어 레지스터(501)의 레지스터 설정 값이 입력되는 A 래더 저항(401)과, 부극성용 제어 레지스터(502)의 레지스터 설정 값이 입력되는 B 래더 저항(402)을 교대로 사용하도록, 래더 절환 신호(431)를 1 수평 주기마다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래더 절환 신호(431)가 하이 상태일 때, A 래더 저항(401)을 선택하고, 래더 절환 신호(431)가 로우 상태일 때, B 래더 저항(402)을 선택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래더 절환 신호(431)와 M 신호의 타이밍이 동일하기 때문에, M 신호를 래더 절환 신호로서 사용해도 상관없다.
다음으로, 탭 조정 레지스터, 분압비 조정 레지스터에 관해서는, 제어 레지스터(308)로부터 계조 전압 생성 회로(100)의 각 레지스터에 입력되는 레지스터 설정 값이 1 수평 주기마다, 정극성용 제어 레지스터(503)의 레지스터 설정 값, 부극성용 제어 레지스터(504)의 레지스터 설정 값을 절환할 필요가 있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M 신호를 이용하여 절환함으로써 실현 가능해진다.
이상 진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300)에 따르면, 정극성, 부극성의 감마 특성 조정을 미리 2 계통 준비하고, 교류화를 지시하는 M 신호에 부합하여 이들을 절환함으로써, 정극성과 부극성에 대응한 계조 전압의 절환을 고속화하는 것이 실현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 장치(300)에는, 진폭 조정, 기울기 조정, 미세 조정, 탭 조정, 분압비 조정이라는 각종 설정 레지스터도 구성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독립적으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해져서, 감마 특성의 각 조정을 용이하게 하고, 종래의 감마 특성 조정 기능 외에, 추가로 감마 특성을 나타내는 S자 곡선에서, 소위 견부의 조정 범위를 더 넓히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실현하여, 더욱 다양한 액정 패널에서 정확한 색 재현성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액정 표시 장치를, 상기 도 4와, 도 7,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컬러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R(적), G(녹), B(청)의 각 색에 대응한 계조 전압을, 신호선 구동 회로가 1 주사 기간 내에 시분할로 출력하고, 이것을 액정 패널측의 내장 회로가 디멀티플렉스하는 방식이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구동 방식에서, R, G, B의 각 색의 감마 특성을 개별적으로 조정하여, 더욱 고화질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실현에 있어서는, 먼저 진술한 실시예 2의 회로 구성을 응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는, 감마 특성 조정 기능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진폭 조정 기능, 기울기 조정 기능, 미세 조정 기능, 탭 조정 기능, 분압비 조정 기능을 겸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실시예 2에서 나타낸 2 계통의 제1 래더 저항을 구비하고 있고, 1 주사 기간마다 정극성과 부극성이 절환되고, 또한 1 주사 기간 중에서, R, G, B의 감마 특성 설정이 절환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정극성과 부극성의 감마 특성 설정 절환, 및 R, G, B 데이터마다의 감마 특성 설정의 절환은, 2 계통의 제1 래더 저항을 교대로 사용함으로써 실현한다.
다음으로, 도 7에 의해, 전술한 계조 전압 생성부를 탑재한, 본 실시예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7은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300)는, 상기 실시예 2에 대하여, 제어 레지스터(308)와 액정 패널(301)만을 변경한 구성으로 된다.
액정 패널(301)은, R/G/B 화소의 신호선과 신호선 구동 회로(30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선 사이에, 절환 스위치(751)를 설치하고 있다. 이 때, 신호선 구동 회로(302)로부터 액정 패널(301)에 입력되는 신호선 데이터는, R/G/B 데이터를 1 수평 기간 내에서 시분할로 입력하고 있다. 그리고, 신호선 절환 신호(752)에 의해, 액정 패널(301)과 신호선 구동 회로(30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선의 입력처를 절환 스위치(751)에서 절환하는 것으로 한다.
제어 레지스터(308)는, 진폭 조정, 기울기 조정, 미세 조정에 관한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부극성 R, G, B 데이터용의 부극 R용 제어 레지스터(701), 부극 G용 제어 레지스터(703), 부극 B용 제어 레지스터(705), 및 정극성 R, G, B 데이터용의 정극 R용 제어 레지스터(702), 정극 G용 제어 레지스터(704), 정극 B용 제어 레지스터(706)를 구비한다. 또한, 탭 조정, 분압비에 관한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부극성 R, G, B 데이터용의 부극 R용 제어 레지스터(707), 부극 G용 제어 레지스터(709), 부극 B용 제어 레지스터(711)와, 정극성 R, G, B 데이터용의 정극 R용 제어 레지스터(708), 정극 G용 제어 레지스터(710), 정극 B용 제어 레지스터(712)를 갖는다.
상기 부극 R용 제어 레지스터(701)와 정극 R용 제어 레지스터(702)의 레지스터 값은, 레지스터 절환 타이밍 생성 회로(721)로부터의 출력되는 2 to 1 절환 신호(722)에 따라, 셀렉터(731)를 이용하여 절환한다. 그 밖의 제어 레지스터도 마찬가지로서, 정극성과 부극성용의 레지스터를 2 to 1 절환 신호(722)에 따라, 셀렉터(732∼736)를 이용하여 절환한다. 여기서, 셀렉터(731∼733과 734∼736)의 절환 타이밍은 서로 다르며, 이 타이밍에 대해서는, 자세하게는 도 8에서 설명한다.
다음으로, 셀렉터(731∼733)에서 선택된 레지스터 설정 값은, 셀렉터(741)에 입력되고, 레지스터 절환 타이밍 생성 회로(721)로부터 출력되는 3 to 1 절환 신호(723)에 따라, 3개의 레지스터 값 중 1개를 선택하여, A 래더 설정 레지스터 값으로서 계조 전압 생성 회로(100)에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셀렉터(731∼733)에서 선택된 레지스터 설정 값은, 셀렉터(742)에 입력되고, 레지스터 절환 타이밍 생성 회로(721)로부터 출력되는 3 to 1 절환 신호(723)에 따라, 3개의 레지스터 값 중 1개를 선택하여, B 래더 설정 레지스터 값으로서 계조 전압 생성 회로(100)에 입력된다.
또한, 셀렉터(734∼736)에서 선택된 레지스터 설정 값은, 셀렉터(743)에 입력되고, 레지스터 절환 타이밍 생성 회로(721)로부터 출력되는 3 to 1 절환 신호(723)에 의해, 3개의 레지스터 값 중 1개를 선택하여, 탭 조정 레지스터 값 및 분압비 조정 레지스터 값으로서 계조 전압 생성 회로(100)에 입력된다.
또한, 이상의 3개의 셀렉터(741, 742, 743)에서, 레지스터 값을 절환하는 타이밍은, 각각 독립한 타이밍으로 되어 있다. 레지스터 값 절환 타이밍에 관해서 는, 자세하게는 도 8에서 설명한다.
다음으로, 도 8에 의해, 상기 제어 레지스터(308)로부터 계조 전압 생성 회로(100)의 각 레지스터에 입력되는 레지스터 설정 값의 타이밍을 설명한다. 도 8은 레지스터 설정 값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8은, 1라인마다 극성 반전 구동이고, 또한 RGB 시분할로 데이터 전송을 행하고 있다. 그 때문에, 1 수평 주기 내의 RGB 시분할마다 A 래더 저항(401)과, B 래더 저항(402)을 절환하고 있다. 이 때, 예를 들면 신호선 구동 회로(302)로부터의 출력 데이터가 정극 G 데이터이고, 선택 래더 저항이 B 래더 저항(402)인 경우(도 8의 801의 기간), B 래더 저항(402)의 레지스터 설정은, 감마 특성 설정 기간(802)에서 행할 필요가 있다. 상기 타이밍에서 설정함으로써, B 래더 저항(402)을 사용하는 타이밍(801)에서는, 이미 B 래더 저항(402)에서의 계조 전압 생성이 이미 고정된 상태로 된다. 이 점에서, 앞의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절환시의 수속 시간에 문제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한, A 래더 저항(401)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의 타이밍에서 레지스터 설정을 행함으로써,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탭 조정 레지스터, 분압비 조정 레지스터에 관해서는, RGB의 출력 데이터와 동기하여, 제어 레지스터도 변화된다. 예를 들면 정극 R 데이터가, 신호선 구동 회로(302)로부터 출력되는 타이밍에서는, 탭 조정 레지스터 값 및 분압비 조정 레지스터 값도 정극 R 데이터의 레지스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상 진술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극성, 부극성의 감마 특성 조정, 및 R, G, B 데이터마다의 감마 특성 조정을 개별적으로 조정 가능하다. 또한, 2 계통의 제1 래더 저항을, 감마 특성 설정 절환시(정극성, 부극성 절환시, 및 RGB 절환시)에, 교대로 사용함으로써, 계조 전압 생성을 고속 설정하는 것이 실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 장치(300)에는, 진폭 조정, 기울기 조정, 미세 조정, 탭 조정, 분압비 조정이라는 각종 설정 레지스터도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독립적으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해지고, 감마 특성의 각 조정을 용이하게 하여, 종래의 감마 특성 조정 기능 외에, 추가로 감마 특성을 나타내는 S자 곡선에서, 소위 견부의 조정 범위를 더 넓히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실현하여, 더욱 다양한 액정 패널에서 정확한 색 재현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각 실시예에 따르면, 감마 특성에서, 종래의 진폭 조정, 기울기 조정, 미세 조정 외에 탭 조정, 분압 조정이라는 5 종류의 감마 특성 조정 기능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액정 패널에서 감마 특성을 최적 또한 용이하게 조정 가능하게 하여, 고화질 또한 범용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의 액정 표시 장치를, 도 9∼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 2, 3에서 이용한 탭 셀렉터 스위치를 제2 래더 저항에 구성할 수 없는 경우에, 탭 전압을 출력하는 앰프 회로의 앞에 커브 조정 기능을 추가하여, 탭 조정 기능과 마찬가지로 기준 전압, 및 그라운드에 가까운, 소위 S자 커브의 견부를 종래 이상으로 유연하게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계조 전압 레벨을 얻을 수 있고, 다양한 액정 패널에 대하여 정확한 색 재현성을 실현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이 실현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 2, 3에서 이용한 탭 셀렉터 스위치를 제2 래더 저항에 구성하는 대신에, 탭 전압을 출력하는 앰프 회로의 앞에 커브 조정 기능을 추가한다.
상기 실시예 1, 2, 3에서 이용한 탭 셀렉터의 내부 구성은, 탭 전압이 제2 래더 저항 내에 출력되도록 결선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Metal-Oxide Field-Effect Transistor(이하, MOSFET라 함)로 짜여진 셀렉트 스위치가 존재한다. 여기서, 전술한 탭 전압은, 제2 래더 저항의 저항값과, MOSFET 스위치를 ON 상태로 했을 때의, 소위 ON 저항과의 합성 저항에 의해 분압된다. 이 때문에, 제2 래더 저항의 저항값을, MOSFET의 ON 저항과 비교하여 충분히 크게 하여, 탭 전압의 오차를 가능한 한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2 래더 저항의 저항값을 크게 하면, 계조 전압의 절환시에서 전압을 조정하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 이 때문에, 제2 래더 저항의 출력 부하에 따라서는, 충분히 저항값을 크게 할 수 없는 경우도 상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임피던스 변환을 행하는 앰프 회로의 앞에 탭 조정에 상당하는 조정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상기한 전압 오차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했다. 또한, 앰프 앞에서 S자 커브의 견부의 조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S자 커브의 견부를 결정하는 탭 전압의 전압 레벨 조정 폭을 넓힘으로써 실현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 래더 저항을 저항 분할하고 있는 저항 분할비를 변경함으 로써, 셀렉터 회로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 폭을 변경하여, S자 커브의 견부를 결정한다. 또는, 제1 래더 저항을 저항 분할하고 있는 저항 분할비를 변경함으로써, 셀렉터 회로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을 상측 혹은 하측으로 평행 이동하여, S자 커브의 견부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도 9에 의해, 계조 전압 생성부에서의 커브 조정 기능을 갖는 회로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9는 계조 전압 생성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계조 전압 생성부는, 기준 전압을 분할함으로써 복수의 내부 생성 기준 전압을 생성하고, 복수의 내부 생성 기준 전압 사이를 분할함으로써 복수의 계조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조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계조 전압 생성 회로(900)와, 감마 특성의 단부 근방의 탭 전압의 전압 레벨의 설정 폭을 넓히기 위해,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값을 설정하는 커브 조정 레지스터(901)와,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진폭 조정 레지스터(103), 기울기 조정 레지스터(104), 미세 조정 레지스터(105), 디코드 회로(106)로 구성된다.
계조 전압 생성 회로(900)는, 복수의 가변 저항으로 구성된 가변 저항군(902, 903, 906, 907) 및 저항(904, 905)으로 구성되고, 또한 이들 저항이 기준 전압의 접속단과 그라운드의 접속단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1 래더 저항과, 제1 래더 저항보다 기준 전압의 접속단측 또는 그라운드의 접속단측에 제1 래더 저항과 직렬로 접속된 가변 저항(908, 911)과, 제1 래더 저항의 중간 부분에 제1 래더 저항과 직렬로 접속된 가변 저항(909, 910)과,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인 셀렉터(SEL)(928∼933), 앰프 회로(934), 및 제2 래더 저항(935)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10에 의해, 가변 저항군(902, 903)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0은 가변 저항군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기준 전압측에 가까운 가변 저항군(902)은, 셀렉터(928)에 결선된 복수의 전압 레벨을 공급하는 전압선의 사이에 구성되고, 전압선 사이의 저항값을 변경하기 위한 가변 저항(912∼918)과, 상기 전압선 및 가변 저항(912∼918)에 대하여 기준 전압측에 직렬로 결선되어 있는 가변 저항(926)으로 구성된다.
기준 전압측에 가까운 가변 저항군(903)은, 셀렉터(929)에 결선된 복수의 전압 레벨을 공급하는 전압선의 사이에 구성되고, 전압선 사이의 저항값을 변경하기 위한 가변 저항(919∼925)과, 상기 전압선 및 가변 저항(919∼925)에 대하여 그라운드측에 직렬로 결선되어 있는 가변 저항(927)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변 저항군(906)의 구성에 관해서는 가변 저항군(902)의 구성과 마찬가지이고, 또한 가변 저항군(907)의 구성에 관해서는 가변 저항군(903)의 구성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커브 조정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계조 전압 생성 회로의 계조 전압 생성의 기본 원리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또한 진폭 조정 기능, 기울기 조정 기능, 미세 조정 기능에 관해서도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한다.
우선, 계조 전압 생성 회로(900)의 외부에 있는 커브 조정 레지스터(901)로부터 레지스터 값을 입력한다.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에 의해, 가변 저항군(902) 중에 구성된 상기 가변 저항(912∼918과 926), 또는 가변 저항군(903) 중에 구성된 가변 저항(919∼925과 927)을 동시에 설정한다. 이 때, 가변 저항(912∼918) 각각의 비율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변 저항(919∼925)의 각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또한, 변경된 가변 저항값의 합계 저항값의 합에 관해서는,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설정하고, 가변 저항군(902)의 기준 전압측의 바로 위 전압 레벨과, 가변 저항군(903)의 그라운드측의 바로 아래 전압 레벨이 일정해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커브 조정 레지스터(901)로부터 입력된 레지스터 값에 의해, 상기 가변 저항군(906) 중에 구성된 가변 저항, 가변 저항군(907) 중에 구성된 가변 저항을 동시에 설정하고, 이때, 변경된 가변 저항값의 합계 저항값의 합에 관해서는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설정을 한 경우의, 커브 조정 기능의 효과를, 도 11, 도 12에서 설명한다.
도 11은, 커브 조정 레지스터 값과 가변 저항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커브 조정 이외의 레지스터 값을 고정으로 해 두고, 커브 조정 레지스터 값을 변화시켰을 때에서의 감마 특성을 나타내는 계조 번호-계조 전압 특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처음에, 가변 저항(926, 927)을 고정값(도면에서는 "0R")으로 하고, 가변 저항(912∼918, 919∼925)을 변화시킨 경우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R은 기본 저항값을 나타내고, 일반적으로는 10 ㏀∼20 ㏀ 정도의 저항값으로 되는 것을 사용한다.
우선, 도 11의 000부터 011까지 변화시킨 경우, 가변 저항군(902)의 가변 저항(912∼918)의 저항값은 점점 작아지고, 한편 가변 저항군(903)의 가변 저항(919∼925)의 저항값은 커진다. 이 경우, 셀렉터(929)로 선택되는 계조 전압 레벨은, 가변 저항(912∼918)의 저항값이 작아져 갈수록 전압 레벨이 커져 간다. 또한, 가변 저항(912∼918)의 저항값이 작아지는 것에 대응하여, 가변 저항값의 합계 저항값의 합이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가변 저항(919∼925)의 저항값을 크게 함으로써, 가변 저항군(902)의 기준 전압측의 바로 위 전압 레벨과, 가변 저항군(903)의 그라운드측의 바로 아래 전압 레벨은 일정해지기 때문에, 셀렉터(930, 931)로 선택되는 탭 전압의 전압 레벨 및 그 사이에 포함되는 중간 계조는 변화하지 않는다.
이 결과를, 계조 번호-계조 전압 특성의 변화로서 도 12에 나타낸다. 우선, 도 12의 특성 곡선(1001)은, 종래의 커브 조정 기능을 갖지 않는 계조 전압 생성 회로에 의한 특성 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가변 저항군(902과 903)의 쌍에 대하여, 도 11의 커브 조정 레지스터의 값 000∼011을 입력한 경우, 이에 대응한 특성 곡선은 각각 특성 곡선(1002∼1005)으로 되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마 특성의 기준 전압측의 S자 커브의 견부만이 서서히 상측으로 올라간다. 한편, 도 9의 가변 저항군(906과 907)의 쌍에 대하여, 도 11의 커브 조정 레지스터의 값 000∼011을 입력한 경우, 이에 대응한 특성 곡선은 각각 특성 곡선(1008∼1011)으로 되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마 특성의 그라운드측의 S자 커브의 견부만이 서서히 상측으로 올라간다.
다음으로, 가변 저항(926, 927) 중 어느 한쪽에 저항 성분을 넣었을 때의 효 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커브 조정 레지스터의 값을 도 11의 100으로 한 경우, 가변 저항군(902)에 포함되는 가변 저항(926)은 7R로 되고, 가변 저항군(903)에 포함되는 가변 저항(927)은 0R이다. 이 경우, 셀렉터(928, 929)로 선택되는 계조 전압 레벨은 모두, 그라운드측으로 평행 이동한다. 한편, 커브 조정 레지스터의 값을 도 11의 101로 한 경우, 가변 저항군(902)에 포함되는 가변 저항(926)은 0R로 되고, 가변 저항군(903)에 포함되는 가변 저항(927)은 7R이다. 이 경우, 셀렉터(928, 929)로 선택되는 계조 전압 레벨은 모두, 기준 전압측으로 평행 이동한다. 여기서, 커브 조정 레지스터의 값 100, 101의 설정인 경우에도, 커브 조정 레지스터의 설정 값 000∼011과 마찬가지로, 가변 저항값의 합계 저항값의 합이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가변 저항(912∼918, 919∼925)의 저항값을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셀렉터(930, 931)로 선택되는 탭 전압의 전압 레벨 및 그 사이에 포함되는 중간 계조는 변화하지 않는다.
이 결과를, 계조 번호-계조 전압 특성의 변화로서 나타내는 도 12에 의하면, 커브 조정 레지스터의 설정 값 100에 대응한 특성 곡선은, 특성 곡선(1006, 1012)으로 되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마 특성의 그라운드측의 S자 커브의 견부만이 그라운드측으로 내려간다. 또한, 커브 조정 레지스터의 설정 값 101에 대응한 특성 곡선은, 특성 곡선(1007, 1013)으로 되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마 특성의 그라운드측의 S자 커브의 견부만이 기준 전압측으로 올라간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감마 특성에서, 종래의 진폭 조정, 기울기 조 정, 미세 조정 외에 커브 조정이라는 4종류의 감마 특성 조정 기능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액정 패널에서 감마 특성을 최적 또한 용이하게 조정 가능하게 하여, 고화질 또한 범용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은 커브 조정 기능에 의한 구성에서도,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정극성, 부극성의 감마 특성 조정을 미리 2 계통 준비하고, 교류화를 지시하는 M 신호에 부합하여 이들을 절환함으로써, 정극성과 부극성에 대응한 계조 전압의 절환을 고속화하는 것이 실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3과 같은 구성을 적용함으로써, 정극성, 부극성의 감마 특성 조정, 및 R, G, B 데이터마다의 감마 특성 조정을 개별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셀렉터(SEL)에 결선된 전압선을 각각 8개씩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가변 저항(912∼918, 919∼925)은, 7개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전압선을 증감한 경우, 그에 대응하여 증감해도 상관없다. 또한, 가변 저항군에서 사용하던 가변 저항값에 관해서도, 본 실시예에 사용한 값에 한하지 않더라도 효과가 예상된다.
또한,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 저항군(902, 903)의 쌍, 가변 저항군(906, 907)의 쌍으로 생각하고, 각 쌍의 전체 저항값의 합이 변하지 않도록 각 저항값을 설정했지만, 전체 저항값의 합이 변화해도, S자 커브 견부의 탭 전압의 전압 레벨 폭을 넓히는 것은 가능하여, 본 실시예의 목적은 실현 가능하다. 이들 설정은, 레지스터의 설정에서 얼마든지 설정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감마 특성에서, 종래의 진폭 조정, 기울기 조정, 미 세 조정 외에 커브 조정이라는 4종류의 감마 특성 조정 기능을 가했을 뿐이지만, 실시예 1, 2, 3에서 구성된 분압비 조정을 추가해도 문제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계조 전압 생성 회로는, 실시예 1, 2, 3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에 조립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이 노멀 블랙 모드를 전제로 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모드에 관계없이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계조 수가 32계조를 전제로 설명했지만, 다른 계조 수로 행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인가 전압에 의해 표시 휘도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예를 들면 유기 EL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가 전압으로 표시 휘도를 제어하는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 패널 등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감마 특성의 조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특히 종래에서는 조정하기 어렵던 기준 전압 부근, 그라운드 부근의 감마 특성 조정에 관해서도, 레지스터 제어에 의해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표시 패널에 대하여 고화질화와 범용성이 있는 제어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21)

  1. 계조를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에 따른 계조 전압을, 복수의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표시 드라이버로서,
    기준 전압으로부터, 복수의 계조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조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생성 회로와,
    상기 복수의 계조 전압으로부터, 상기 표시 데이터에 따른 계조 전압을 선택하기 위한 디코드 회로와,
    상기 계조와 상기 계조 전압 또는 상기 표시 패널에서의 휘도의 관계를 정한 감마 특성의 진폭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 전압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계조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생성 회로의 제1 제어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1 레지스터와,
    상기 감마 특성의 중간 부분의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 전압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계조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생성 회로의 제2 제어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2 레지스터와,
    상기 감마 특성의 중간 부분을 계조마다 미세 조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 전압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계조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생성 회로의 제3 제어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3 레지스터와,
    상기 감마 특성의 단부 근방의 중간 부분에서의 계조 전압에 대한 계조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 전압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계조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상 기 생성 회로의 제4 제어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4 레지스터와,
    상기 감마 특성의 단부 근방의 중간 부분에서의 복수의 계조 사이에서의 계조 전압의 비율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 전압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계조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생성 회로의 제5 제어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5 레지스터
    를 구비한 표시 드라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5 레지스터의 제어값은, 외부로부터 독립적으로 설정 가능한 표시 드라이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 특성은, 대략 S자 곡선이고,
    상기 제4 레지스터는, 상기 대략 S자 곡선의 극점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감마 특성의 중간 부분에서의 계조 전압에 대한 계조를 조정 가능하고,
    상기 제5 레지스터는, 상기 대략 S자 곡선의 극점 부분보다 양단측의 상기 감마 특성의 중간 부분에서의 복수의 계조 사이에서의 계조 전압의 비율을 조정 가능한 표시 드라이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회로는, 제1 기준 전압의 접속단과 제2 기준 전압의 접속단 사이 에 접속된 제1 래더 저항과, 상기 제1 래더 저항보다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접속단측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압의 접속단측에 상기 제1 래더 저항과 직렬로 접속된 제1 가변 저항과, 상기 제1 래더 저항의 중간 부분에 상기 제1 래더 저항과 직렬로 접속된 제2 가변 저항과, 상기 제1 래더 저항으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셀렉터와, 상기 제1 셀렉터의 출력측에 접속된 앰프와, 상기 디코드 회로의 입력을 선택하여 상기 앰프로부터의 출력을 입력에 접속하는 제2 셀렉터와, 상기 디코드 회로의 복수의 입력 사이에 접속된 제2 래더 저항과, 상기 제2 래더 저항과 상기 디코드 회로의 입력 사이에 상기 제2 래더 저항과 직렬로 접속된 제3 가변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제1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1 제어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고,
    상기 제2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제2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2 제어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고,
    상기 제1 셀렉터는, 상기 제3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3 제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래더 저항으로부터의 출력을 선택 가능하고,
    상기 제2 셀렉터는, 상기 제4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4 제어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코드 회로의 입력점을 선택 가능하고,
    상기 제3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제5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5 제어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한 표시 드라이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회로는, 상기 제1 래더 저항과, 상기 제1 가변 저항과, 상기 제2 가변 저항과, 상기 제1 셀렉터를 각각 2 계통 갖고, 상기 2 계통의 제1 셀렉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여 상기 앰프에 출력하기 위한 제3 셀렉터를 구비하고,
    상기 2 계통의 상기 제1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제1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1 제어값과 상기 제1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6 레지스터 내의 제6 제어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고,
    상기 2 계통의 상기 제2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제2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2 제어값과 상기 제2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7 레지스터 내의 제7 제어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고,
    상기 2 계통의 상기 제1 셀렉터는, 상기 제3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3 제어값과 상기 제3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8 레지스터 내의 제8 제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래더 저항으로부터의 출력을 선택 가능하고,
    상기 제3 셀렉터는, 제1 절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셀렉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 가능하고,
    상기 2 계통을 일정한 기간마다 교대로 사용하고, 한쪽이 사용되고 있는 기간 내에, 다른 쪽에서는 차회의 사용 기간에 따른 설정으로 절환되는 기간으로 하는 표시 드라이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 계통의 교대로 사용하는 기간은, 상기 표시 패널에서의 상기 화소의 극성의 변화에 대응한 각 기간인 표시 드라이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서의 상기 화소의 극성의 변화는, 커먼 반전 구동, 매열 반전 구동, 또는 도트 반전 구동인 표시 드라이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 계통의 일정한 기간은, 적녹청의 각 색에 대응한 3분할의 기간이고,
    상기 생성 회로는, 상기 2 계통의 상기 제1 셀렉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제3 셀렉터와, 상기 제3 셀렉터로부터의 3분할의 출력을 선택하여 상기 앰프에 출력하기 위한 제4 셀렉터를 구비하고,
    상기 2 계통 3분할의 상기 제1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제1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1 제어값과 상기 제6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6 제어값과 상기 제1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9∼12 레지스터 내의 제9∼12 제어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고,
    상기 2 계통 3분할의 상기 제2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제2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2 제어값과 상기 제7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7 제어값과 상기 제2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13∼16 레지스터 내의 제13∼16 제어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고,
    상기 2 계통 3분할의 상기 제1 셀렉터는, 상기 제3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3 제어값과 상기 제8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8 제어값과 상기 제3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17∼20 레지스터 내의 제17∼20 제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래더 저항으로부터의 출력을 선택 가능하고,
    상기 제3 셀렉터는, 상기 제1 절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셀렉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 가능하고,
    상기 제4 셀렉터는, 제2 절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셀렉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 가능한 표시 드라이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타이밍 생성 회로를 구비한 표시 드라이버.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3 가변 저항은, 복수로 이루어진 표시 드라이버.
  11.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 사이에 복수의 직렬 접속된 저항으로 이루어진 제1 래더 저항과,
    상기 제1 래더 저항의 상기 복수의 저항의 복수의 접속점에 입력이 접속된 복수의 앰프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앰프의 복수의 출력 사이에서 상기 제1 기준 전압에 가장 근접한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앰프의 출력에 제1 저항의 일단을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앰프의 복수의 출력 사이에서 상기 제2 기준 전압에 가장 근접한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앰프의 출력에 제2 저항의 일단을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저항의 타단과 상기 제2 저항의 타단 사이에 복수의 저항을 직렬로 접속한 제2 래더 저항을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래더 저항의 직렬 접속의 상기 복수의 저항 사이의 복수의 공통 접속점으로부터 복수의 셀렉터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선택 공통 접속점에 상기 제1 앰프와 상기 제2 앰프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앰프의 다른 앰프의 출력으로부터의 복수의 출력 전압이 인가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앰프의 출력과 상기 제2 앰프의 출력과 상기 제2 래더 저항의 상기 복수의 저항의 복수의 공통 접속점의 출력의 전압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 장치 구동을 위한 계조 전압을 발생하는 표시 드라이버.
  12. 제1 기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 사이에 복수의 직렬 접속된 저항으로 이루어진 제1 래더 저항과,
    상기 제1 래더 저항의 상기 복수의 저항의 복수의 접속점에 입력이 접속된 복수의 앰프
    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앰프의 복수의 출력 사이에서 상기 제1 기준 전압에 가장 근접 한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앰프의 출력에 제1 저항의 일단을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앰프의 복수의 출력 사이에서 상기 제2 기준 전압에 가장 근접한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앰프의 출력에 제2 저항의 일단을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저항의 타단과 상기 제2 저항의 타단 사이에 복수의 저항을 직렬로 접속한 제2 래더 저항을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저항과 상기 제2 저항의 저항값이 레지스터에 의해 조정 가능하고,
    상기 제1 앰프의 출력과 상기 제2 앰프의 출력과 상기 제2 래더 저항의 상기 복수의 저항의 공통 접속점의 전압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 장치 구동을 위한 계조 전압을 발생하는 표시 드라이버.
  13. 계조를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에 따른 계조 전압을, 복수의 화소가 배열된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표시 드라이로서,
    기준 전압을 분할함으로써 복수의 내부 생성 기준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내부 생성 기준 전압 사이를 분할함으로써 복수의 계조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조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생성 회로와,
    상기 복수의 계조 전압으로부터, 상기 표시 데이터에 따른 계조 전압을 선택하기 위한 디코드 회로와,
    상기 계조와 상기 계조 전압 또는 상기 표시 패널에서의 휘도의 관계를 정한 감마 특성의 진폭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제1 제어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1 레지스터와,
    상기 감마 특성의 중간 부분의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제2 제어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2 레지스터와,
    상기 감마 특성의 중간 부분을 계조마다 미세 조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제3 제어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3 레지스터와,
    상기 감마 특성의 조정을 행하기 위한 상기 제3 제어값의 설정 범위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 전압의 분할점 또는 분할비를 조정하기 위한 제4 제어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4 레지스터
    를 구비한 표시 드라이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 특성은, 대략 S자 곡선이고,
    상기 제4 레지스터는, 상기 대략 S자 곡선의 극점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감마 특성의 중간 부분에서의, 상기 제3 제어값의 설정 범위를 조정 가능한 표시 드라이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회로는, 제1 기준 전압의 접속단과 제2 기준 전압의 접속단 사이에 접속된 제1 래더 저항과, 상기 제1 래더 저항보다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접속단측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압의 접속단측에 상기 제1 래더 저항과 직렬로 접속된 제 1 가변 저항과, 상기 제1 래더 저항의 중간 부분에 상기 제1 래더 저항과 직렬로 접속된 제2 가변 저항과, 상기 제1 래더 저항으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셀렉터와, 상기 제1 래더 저항의 일부이고, 제1 래더 저항으로부터 상기 제1 셀렉터에 결선되어 있는 선과 선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제3 가변 저항과, 상기 제1 셀렉터의 출력측에 접속된 앰프와, 상기 디코드 회로의 복수의 입력 사이에 접속된 제2 래더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제1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1 제어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고,
    상기 제2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제2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2 제어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고,
    상기 제1 셀렉터는, 상기 제3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3 제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래더 저항으로부터의 출력을 선택 가능하고,
    상기 제3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제4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4 제어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한 표시 드라이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회로는, 상기 제1 래더 저항과, 상기 제1 가변 저항과, 상기 제2 가변 저항과, 상기 제1 셀렉터와, 상기 제3 가변 저항을 각각 2 계통 갖고, 상기 2 계통의 상기 제1 셀렉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여 상기 앰프에 출력하기 위한 제2 셀렉터를 구비하고,
    상기 2 계통의 상기 제1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제1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1 제어값과 상기 제1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5 레지스터 내의 제5 제어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고,
    상기 2 계통의 상기 제2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제2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2 제어값과 상기 제2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6 레지스터 내의 제6 제어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고,
    상기 2 계통의 상기 제1 셀렉터는, 상기 제3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3 제어값과 상기 제3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7 레지스터 내의 제7 제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래더 저항으로부터의 출력을 선택 가능하고,
    상기 2 계통의 상기 제3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제4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4 제어값과 상기 제4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8 레지스터 내의 제8 제어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고,
    상기 제2 셀렉터는, 제1 절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셀렉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 가능하고,
    상기 2 계통을 일정한 기간마다 교대로 사용하고, 한쪽이 사용되고 있는 기간 내에, 다른 쪽에서는 차회의 사용 기간에 따른 설정으로 절환되는 기간으로 하는 표시 드라이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2 계통의 교대로 사용하는 기간은, 상기 표시 패널에서의 상기 화소의 극성의 변화에 대응한 각 기간인 표시 드라이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서의 상기 화소의 극성의 변화는, 커먼 반전 구동, 매열 반전 구동, 또는 도트 반전 구동인 표시 드라이버.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2 계통의 일정한 기간은, 적녹청의 각 색에 대응한 3분할의 기간이고,
    상기 생성 회로는, 상기 2 계통의 상기 제1 셀렉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제2 셀렉터와, 상기 제2 셀렉터로부터의 3분할의 출력을 선택하여 상기 앰프에 출력하기 위한 제3 셀렉터를 구비하고,
    상기 2 계통 3분할의 상기 제1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제1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1 제어값과 상기 제5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5 제어값과 상기 제1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9∼12 레지스터 내의 제9∼12 제어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고,
    상기 2 계통 3분할의 상기 제2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제2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2 제어값과 상기 제6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6 제어값과 상기 제2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13∼16 레지스터 내의 제13∼16 제어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고,
    상기 2 계통 3분할의 상기 제1 셀렉터는, 상기 제3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3 제어값과 상기 제7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7 제어값과 상기 제3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17∼20 레지스터 내의 제17∼20 제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래더 저항으로부터의 출력을 선택 가능하고,
    상기 2 계통의 상기 제3 가변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제4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4 제어값과 상기 제8 레지스터 내의 상기 제8 제어값과 상기 제4 레지스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21∼24 레지스터 내의 제21∼24 제어값에 기초하여 변화 가능하고,
    상기 제2 셀렉터는, 상기 제1 절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셀렉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 가능하고,
    상기 제3 셀렉터는, 제2 절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셀렉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 가능한 표시 드라이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타이밍 생성 회로를 구비한 표시 드라이버.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3 가변 저항은, 복수로 이루어진 표시 드라이버.
KR1020050099015A 2004-10-22 2005-10-20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KR100741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07779 2004-10-22
JP2004307779 2004-10-22
JPJP-P-2005-00100338 2005-03-31
JP2005100338A JP4738867B2 (ja) 2004-10-22 2005-03-31 表示装置用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134A true KR20060054134A (ko) 2006-05-22
KR100741448B1 KR100741448B1 (ko) 2007-07-23

Family

ID=3620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015A KR100741448B1 (ko) 2004-10-22 2005-10-20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60178B2 (ko)
JP (1) JP4738867B2 (ko)
KR (1) KR100741448B1 (ko)
TW (1) TWI30590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497B1 (ko) * 2007-04-16 2008-08-05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감마 버퍼 배치방법 및 상기 방법을 적용한 평판디스플레이
WO2011138978A1 (ko) * 2010-05-03 2011-11-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드라이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1492875B1 (ko) * 2008-07-07 2015-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감마 전압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계조 전압 제너레이터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9093244B2 (en) 2007-04-16 2015-07-28 Silicon Works Co., Ltd. Method for routing gamma voltages in flat panel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7369A (ja) * 2005-02-01 2008-05-08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駆動回路
JP4442455B2 (ja) * 2005-02-17 2010-03-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基準電圧選択回路、基準電圧発生回路、表示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227272A (ja) * 2005-02-17 2006-08-31 Seiko Epson Corp 基準電圧発生回路、表示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243233A (ja) * 2005-03-02 2006-09-14 Seiko Epson Corp 基準電圧発生回路、表示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810840B2 (ja) * 2005-03-02 2011-1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基準電圧発生回路、表示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243232A (ja) * 2005-03-02 2006-09-14 Seiko Epson Corp 基準電圧発生回路、表示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7212144B1 (en) * 2006-01-18 2007-05-01 Marvell World Trade Ltd. Flash ADC
US7783105B2 (en) * 2006-06-07 2010-08-2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ly scaling a gamma curve
JP4936854B2 (ja) * 2006-10-25 2012-05-2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パネルドライバ
WO2008065773A1 (fr) * 2006-11-29 2008-06-05 Sharp Kabushiki Kaisha Appareil d'affichage à cristaux liquides, dispositif de commande d'appareil d'affichage à cristaux liquides, pilote de source d'appareil d'affichage à cristaux liquides et contrôleur d'appareil d'affichage à cristaux liquides
KR101274700B1 (ko) 2007-02-02 2013-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08191443A (ja) * 2007-02-06 2008-08-21 Nec Electronics Corp 表示ドライバic
JP2007183670A (ja) * 2007-03-19 2007-07-19 Seiko Epson Corp 基準電圧発生回路、表示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171997A (ja) * 2007-03-19 2007-07-05 Seiko Epson Corp 基準電圧発生回路、表示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20080303767A1 (en) 2007-06-01 2008-12-1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Video display driver with gamma control
JP2009020340A (ja) 2007-07-12 2009-01-29 Renesas Technology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駆動回路
CN101399021B (zh) * 2007-09-29 2010-08-11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伽玛电压产生装置及液晶显示装置
JP2009162935A (ja) * 2007-12-28 2009-07-23 Rohm Co Ltd 液晶ドライバ回路
JP4829905B2 (ja) * 2008-01-16 2011-12-0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光学階調特性の調整方法
JP2009193042A (ja) * 2008-02-13 2009-08-27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ガンマ電圧生成部及びガンマ電圧生成方法とこれを利用した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JP2010107799A (ja) * 2008-10-31 2010-05-13 Kyocera Corp 信号処理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5641689B2 (ja) * 2008-11-28 2014-12-17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信号処理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534015B1 (ko) * 2008-12-16 2015-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구동회로
US8854294B2 (en) 2009-03-06 2014-10-07 Apple Inc. Circuitry for independent gamma adjustment points
KR20110007529A (ko) * 2009-07-16 2011-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스 드라이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14428A (ko) * 2009-08-05 2011-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칭 계조전압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
JP5509729B2 (ja) * 2009-08-24 2014-06-0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KR20110072115A (ko) * 2009-12-22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 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EP2522147A1 (en) * 2010-01-05 2012-11-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trolling light sources for colour sequential image displaying
JP5644589B2 (ja) * 2011-03-01 2014-12-24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12194276A (ja) * 2011-03-15 2012-10-11 Panasonic Corp 階調電圧発生回路及び表示装置
JP2012194275A (ja) * 2011-03-15 2012-10-11 Panasonic Corp 階調電圧発生回路及び表示装置
US20120320096A1 (en) * 2011-06-20 2012-12-20 Jeffrey Small Gamma curve voltage generation
US9368077B2 (en) 2012-03-14 2016-06-14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liquid crystal display white point using column inversion
US9047826B2 (en) 2012-03-14 2015-06-02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quid crystal display column inversion using reordered image data
US9245487B2 (en) 2012-03-14 2016-01-26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loss of transmittance due to column inversion
US9047832B2 (en) 2012-03-14 2015-06-02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quid crystal display column inversion using 2-column demultiplexers
US9047838B2 (en) 2012-03-14 2015-06-02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quid crystal display column inversion using 3-column demultiplexers
KR101921990B1 (ko) * 2012-03-23 2019-0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6058289B2 (ja) * 2012-06-05 2017-01-11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表示装置、撮像装置及び階調電圧生成回路
TWI502571B (zh) 2012-11-20 2015-10-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面板驅動晶片及其降溫方法
CN103854584B (zh) * 2012-11-30 2016-07-20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面板驱动芯片
CN103366667B (zh) * 2013-07-01 2016-03-30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伽马电压产生电路及控制方法
JP2015090414A (ja) * 2013-11-06 2015-05-11 シナプティクス・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株式会社 表示駆動回路および表示装置
US9275600B2 (en) * 2014-03-25 2016-03-0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Source electrode driving module with Gamma correction and LCD panel
US9362894B1 (en) * 2015-05-04 2016-06-07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lock generator circuit
US11081032B2 (en) * 2019-03-15 2021-08-03 Apple Inc. Display circuitry and method to utilize segmented resistors for optimizing front of screen performance
KR102665207B1 (ko) * 2019-06-12 2024-05-13 매그나칩믹스드시그널 유한회사 감마 보정 회로, 감마 보정을 위한 방법 및 감마 보정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2309344A (zh) * 2019-08-02 2021-02-02 矽创电子股份有限公司 抑制显示面板闪烁的驱动方法及其驱动电路
KR20210111627A (ko) * 2020-03-03 2021-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 방법
US11651719B2 (en) * 2020-09-25 2023-05-16 Apple Inc. Enhanced smoothness digital-to-analog converter interpolation systems and methods
KR20230054987A (ko) * 2021-10-18 2023-04-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마 전압 발생회로와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EP4300475A1 (en) * 2022-06-29 2024-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riable tap gamma amplifier, gamma voltage generator, and display driving integrated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8127B2 (ja) * 1995-02-17 2002-07-2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用輝度調整装置
JPH11175027A (ja) 1997-12-08 1999-07-02 Hitachi Ltd 液晶駆動回路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437378B2 (ja) * 2001-06-07 2010-03-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駆動装置
JP2002366112A (ja) * 2001-06-07 2002-12-20 Hitachi Ltd 液晶駆動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6762565B2 (en) * 2001-06-07 2004-07-13 Hitachi, Ltd. Display apparatus and power supply device for displaying
JP2003280615A (ja) * 2002-01-16 2003-10-02 Sharp Corp 階調表示基準電圧発生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3661651B2 (ja) * 2002-02-08 2005-06-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基準電圧発生回路、表示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
JP3649211B2 (ja) * 2002-06-20 2005-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駆動方法
JP2004111262A (ja) * 2002-09-19 2004-04-08 Nec Yamagata Ltd ガンマ補正回路およびガンマ補正回路を備えたパネル駆動装置
JP2004165749A (ja) * 2002-11-11 2004-06-10 Rohm Co Ltd ガンマ補正電圧生成装置、ガンマ補正装置、表示装置
JP4330871B2 (ja) 2002-11-28 2009-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駆動装置
JP2005010276A (ja) * 2003-06-17 2005-01-13 Seiko Epson Corp ガンマ補正回路、液晶駆動回路、表示装置、電源回路
JP4193771B2 (ja) * 2004-07-27 2008-12-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階調電圧発生回路及び駆動回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497B1 (ko) * 2007-04-16 2008-08-05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감마 버퍼 배치방법 및 상기 방법을 적용한 평판디스플레이
US9093244B2 (en) 2007-04-16 2015-07-28 Silicon Works Co., Ltd. Method for routing gamma voltages in flat panel display
KR101492875B1 (ko) * 2008-07-07 2015-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감마 전압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계조 전압 제너레이터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11138978A1 (ko) * 2010-05-03 2011-11-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드라이버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38327A (en) 2006-11-01
US20060087483A1 (en) 2006-04-27
TWI305907B (en) 2009-02-01
JP4738867B2 (ja) 2011-08-03
JP2006146134A (ja) 2006-06-08
US7760178B2 (en) 2010-07-20
KR100741448B1 (ko) 2007-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448B1 (ko)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KR100621966B1 (ko) 표시용 구동 회로
US7486303B2 (en) Circuit for adjusting gray-scale voltages of a self-emitting display device
US6765551B2 (en) Column electrode driving circuit for use with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670056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2010551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compensating a pixel data in accordance with area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sub-frame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798226B1 (ko)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KR10138546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060130231A (ko) 감마 보정 회로, 표시 패널 및 그것들을 구비하는 표시장치
KR102164701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60011818A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20040046437A (ko) 데이터 공급시간의 변조방법과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20160099162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09008958A (ja) 液晶表示駆動回路
JP4096015B2 (ja) 信号線駆動回路
JP4364742B2 (ja) 表示駆動装置
KR100928496B1 (ko) 액정표시장치
JP4457143B2 (ja) 表示装置
JP5017683B2 (ja) 表示駆動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表示装置
JPH08136897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用の電圧制御装置
KR101118923B1 (ko) 사전 구동 방식이 적용된 소스 드라이버 구동장치
JP2009288270A (ja) カラー表示装置および方法
KR20100030208A (ko)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