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0025A - 온라인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025A
KR20060050025A KR1020050061989A KR20050061989A KR20060050025A KR 20060050025 A KR20060050025 A KR 20060050025A KR 1020050061989 A KR1020050061989 A KR 1020050061989A KR 20050061989 A KR20050061989 A KR 20050061989A KR 20060050025 A KR20060050025 A KR 20060050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main server
calibration program
cal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욱
Original Assignee
김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욱 filed Critical 김지욱
Publication of KR20060050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인체 교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 오프라인 사용자 모두를 대상으로 서비스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온라인을 통해 교정프로그램(710)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오프라인에서는 어느 매장을 가더라도 사용자 데이터가 인터넷망을 통해 공유되므로 동일한 교정프로그램(710)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쁜 현대인에 있어 효과적인 교정의 기회를 제공한다.
100: 메인서버장치 200: 서브서버장치 300: 개인통신장치 500: 측정장치 510: 측정데이터 700: 측정데이터처리장치 710: 교정프로그램 800: 데이터베이스관리부

Description

온라인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ON-LINE APPARATUS FOR CURING BODY STATUS, METHOD}
도 1는 본 발명의 동작에 있어 메인서버장치(100), 서브서버장치(200), 개인통신장치(300)으로 이루어지는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온라인을 이용한 인체 교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터넷을 통해 다이어트, 교정정보를 제공하는 일부 사이트가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단편적인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달할 뿐이어서, 사용자에 맞춤정보를 제공하지 못해 사실상 교정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종래 교정은 주로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졌다. 사용자는 매장을 방문해야 했으므로 시술은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에 한했다. 따라서 시, 공간의 제약을 크게 받고 실시간 교정 지도를 받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시술이 매장에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측 방문비용과 관리자측 관리비용이 많아 최종적으로 시술비용이 증가했으며, 교정에 있어 이에 해당하는 분야가 많아, 해당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해당 매장을 각기 방문해야 했으므로 검사, 비용, 시간이 중복투자되고, 이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중복생산되는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온라인, 오프라인 사용자 모두를 대상으로 서비스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온라인을 통해 교정프로그램(710)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오프라인에서는 어느 매장을 가더라도 사용자 데이터가 인터넷망을 통해 공유되므로 동일한 교정프로그램(710)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쁜 현대인에 있어 효과적인 교정의 기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정상인과 비정상인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인체에 있어 특정 내, 외과의 분야가 아닌 인체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해당 목적에 따라 인체의 상태가 유지 또는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공하는 교정이론에 있어서 종래의 교정이론과 크게 구별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교정프로그램(710)은 <지면과 지지구조> 및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대한민국), 제명 : 지면과 지지구조, 저자명 : 김지욱, 등록번호 : C-2004-002860, 등록부종류: 저작권, 저작물 종류 : 2차적/어문>을 따를 수 있다. 상기 기술사상은 대상이 되는 인체의 상태를 분석, 평가, 개선함에 있어 유용한 이론적 근거로 사용된다. 그러나 주지하다시피 인체는 아직 밝혀진 부분보다 밝혀지지 못한 부분이 훨씬 많다. 따라서 상기 기술사상은 이후 수정, 추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술사상이 비판 또는 이를 대체할 새로운 학설이 있을 경우 본 발명은 적용에 있어 그에 관한 것을 참고 또는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교정프로그램(710)은 사용자의 인체 상태를 진단한 결과를 기반으로 이에 해당하는 해당 목적을 따라 족부에서 체중이 지지될 수 있도록 단계별 학습내용을 제공하고, 이것이 학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교정프로그램(710)은 정상인과 비정상인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당 목적을 따라 해당 유기체의 특성, 환경 요인 등이 충분히 고려되어 제작된다. 교정프로그램(710)의 적용에 있어 해당 목적이란, 정상인에 있어서는 계속해서 족부에서 체중이 올바른 지지되는 상태가 지속, 유지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병변, 기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해당된다. 비정상인에게 있어서는 족부에서 체중이 지지되어야 할 올바로 위치 또는 교정의 필요에 의해 선택된 위치를 기준으로 필요에 부합되는 상태, 정도의 체중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학습시켜 족부, 자세를 교정하고 나아가 체형, 체질과 병변, 기형의 교정, 치료하는 것이 해당되며 이외 운동능력 향상, 보행개선, 학습능력 향상, 미용 등에 적극 활용되어 인체의 상태를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해당된다. 이외 대상자가 요청하는 특정의 인체 상태가 있을 경우, 그에 부합되는 상태로 해당 인체가 교정, 개선될 수 있도록 족부에서 체중이 지지되어야 할 위치, 정도를 학습시키는 것이 해당되며, 해당 목적을 따라 교정프로그램(710)을 달리하여 다양한 인체에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이 제공하는 교정프로그램(710)에는 상기, 해당 목적을 따른 에어로빅, 체조 등의 운동방법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메인서버장치(100), 서브서버장치(200), 개인통신장치(300)가 유, 무선을 통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 교환하며 동작한다. 메인서버장치(100)는 교정데이터와 서브서버장치(200), 개인통신장치(30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가진다. 매장은 서브서버장치(200), 사용자는 개인통신장치(300)를 가진다. 개인통신장치(300)에는 PC, PDA, 핸드폰 등 인터넷 등 유,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하기 필수 동작 수행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해당된다.
본 발명의 동작에 앞서 사용자와 매장은 사용자 인체의 상태를 화상, 문자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디지털카메라, 비디오카메라, 스캐너, 캠코드 등의 영상장치와 족저압검출장치, 체중이동검출장치 등 사용자의 상태, 운동을 측정하여 화상, 문자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측정장치를 구비한다. (이하 상기 영상장치와 운동측정장치를 '측정장치(500)'라 지칭하며, 측정장치(500)를 통해 구비될 수 있는 다양한 화상, 문자데이터를 '측정데이터(510)'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체를 진단함에 있어, 사용자의 족부의 상태를 중요한 자료로 사용한다. 지면을 지지하는 족부의 상태는 족부 상부 분절의 상태에 중요하게 관계한다. 체중이 족부의 특정 부위로 편중될 경우 인체는 균형을 위해 보상된다. 이러한 상태가 장시간에 걸쳐 반복, 지속될 경우 인체는 해당 상태에 최적화되어 구축된다. 최적화에는 족부를 비롯한 근, 골격계의 변이가 포함된다. 변이된 족부는 해당 자세가 지속, 유지될 것을 요청한다. 이것이 다양한 체형, 체질이 형성되게 하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따라서, 족부의 상태는 자세, 체형, 체질과 깊은 상관관계 하에 있다. 따라서 족부의 상태를 분석하여 체형을 평가할 수 있으며, 반대로 체형을 분석하여 족부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측정데이터(510)는 족저압데이터, 체형데이터이다. 이외 기립, 운동시 각 분절의 위치 변화, 근력의 변화, 체중의 이동, 그리고 운동 특성, 패턴, 능력 등 사용자의 다양한 데이터가 해당된다.
족저압데이터는 디지털카메라, 캠코드, 스캐너, 족저압검출장치(기립, 운동시 지면과 관계해 족부에 부하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 등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족저압검출장치는 지면과 관계하는 족부, 족저압의 상태를 용이하게 화상, 문자데이터로 변환시켜 준다. 이외 디지털카메라, 캠코드, 스캐너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먼저 foot print를 준비한다. 준비된 foot print(foot print는 지면과 관계하는 족저면의 족적을 찍는 것으로 당 업자에 있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를 디지털카메라, 캠코드, 스캐너 등을 통해 촬영, 스캔하여 화상데이터로 변환한다. 스캐너 사용자의 경우 직접 족저면을 스캔하여 화상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체형데이터는 디지털카메라, 캠코드, 스캐너 등 다양한 영상장치 또는 그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다양한 장치를 통해 화상, 문자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디지털카메라, 캠코드, 스캐너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의 인체 전체 또는 일부에 해당하는 부위를 촬영 등을 통해 화상, 문자데이터로 변환한다.
측정장치(500)를 통해 변환된 사용자의 측정데이터(510)는 개인통신장치 또는 서브서버장치(200)에 입력되어 메인서버장치(100)로 출력된다. 메인서버장치(100)는 사용자의 개인통신장치(300), 매장의 서브서버장치(200)로부터 입력받은 측정데이터(510)를 분석, 처리할 수 있는 족저압데이터 분석처리장치, 체형데이터 분석처리장치 등 다양한 측정데이터분석장치(700)를 가진다. 일례로 족저압데이터 분석처리장치는 입력받은 족저압데이터를 분석, 처리하는 장치로서 입력받은 족저압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족부, 체형의 상태를 진단한다.체형데이터 분석처리장치는 입력받은 체형데이터를 분석처리하는 장치로서 입력받은 체형데이터를 분석하여 족부, 체형의 상태를 진단한다.
본 발명의 동작에 앞서 개인통신장치(300), 메인서버장치(100), 서브서버장치(200)는 모뎀 및 네트워크 어댑터 등을 통해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으며, 메인서버장치(100), 서브서버장치(200)에는 도메인네임(Domain Name)이 설정되어 있다.
개인통신장치(300)에는 입력장치와 이를 통해 입력된 내용를 화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 또는 운영시스템이 제공하는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액정화면, 모니터 등의 출력장치가 연결된다.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등의 장치와 사용자의 인체 상태를 화상 또는 문자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측정장치(500)로 구성되며 다양한 데이터를 개인통신장치(300)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개인통신장치(300)는 모뎀 및 네트워크 어댑터 등을 통해 인터넷망과 연결된다. 개인통신장치(300)에는 운영시스템과 이에 의해 동작되는 인터넷프로토콜부가 구비된다. 운영시스템은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내용을 해당장치가 처리하도록 각 장치를 동작하게 한다. 인터넷프로토콜부는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인터넷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프로토콜을 지칭한다. 개인통신장치(300)는 운영시스템에 의해 동작된다. 개인통신장치(300)는 인터넷프로토콜부에 의해 인터넷접속이 가능한 브라우저(Browser)를 구비한다. 브라우저는 브라우저에 요청된 내용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모니터, 액정화면 등의 출력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
서브서버장치(200)에는 입력장치와 이를 통해 입력된 내용를 화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 또는 운영시스템이 제공하는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니터 등의 출력장치가 연결된다.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등의 장치와 사용자의 인체 상태를 촬영한 후 화상 또는 문자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측정장치(500)로 구성되며 다양한 데이터를 서브서버장치(200)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서브서버장치(200)는 모뎀 및 네트워크 어댑터 등을 통해 인터넷망과 연결된다. 서브서버장치(200)에는 운영시스템과 이에 의해 동작되는 인터넷프로토콜부가 구비된다. 운영시스템은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내용을 해당장치가 처리하도록 각 장치를 동작하게 한다. 인터넷프로토콜부는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인터넷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프로토콜을 지칭한다. 서브서버장치(200)는 운영시스템에 의해 동작된다. 서브서버장치(200)는 인터넷프로토콜부에 의해 인터넷접속이 가능한 브라우저(Browser)를 구비한다. 브라우저는 브라우저에 요청된 내용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모니터 등의 출력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
메인서버장치(100)는 인터넷을 통해 서브서버장치(200), 개인통신장치(300)와 연결되며 서브서버장치(200), 개인통신장치(300)에서 요청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로써 이에 필요한 장치가 구비된다. 메인서버장치(100)는 서브서버장치(200), 개인통신장치(300)로부터 요청된 데이터 또는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화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 또는 운영시스템이 제공하는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니터 등의 출력장치가 구비된다. 입력장치는 다양한 데이터를 메인서버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도록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장치로 구성된다. 메인서버장치(100)는 모뎀 및 네트워크 어댑터 등을 통해 인터넷망과 연결된다. 메인서버장치(100)에는 운영시스템과 이에 의해 동작되는 인터넷프로토콜부가 구비된다. 운영시스템은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또는 서브서버장치(200), 개인통신장치(300)로부터 요청된 데이터를 해당장치가 처리하도록 각 장치를 동작하게 한다. 인터넷프로토콜부는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인터넷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프로토콜을 지칭한다. 메인서버장치(100)는 운영시스템에 의해 동작하고, CGI프로그램부,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 데이터베이스부, 측정데이터처리장치(700), 인터넷프로토콜부상에 운영하는 WWW서버부가 구비된다. 측정데이터처리장치(700)는 서브서버장치(200), 개인통신장치(300)로 부터 입력된 측정데이터(510)를 분석, 처리하는 장치이다. WWW서버부는 하이퍼텍스트 출력규약(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에 따라 브라우저가 요청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메인서버장치(100)에는 WWW서버부와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 사이에 CGI(Common Gateway Interface)프로그램부가 연결된다. CGI프로그램부는 운영시스템에 의해 동작하고, WWW서버부와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동작한다. CGI프로그램부는 CGI의 기능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학습할 수 있도록 교정프로그램(710)을 제공하고, 학습한 내용을 분석, 처리하며, 개인통신장치(300), 서브통신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분석, 처리 또는 해당 장치에 분석, 처리를 요청할 수 있도록 작성된 프로그램이다. CGI(Common Gateway Interface)는 동화상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와 서버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메인서버장치(100)에는 CGI프로그램부와 데이터베이스부 사이에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가 연결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는 운영시스템에 의해 동작하고, 데이터베이스부를 참조하여 CGI프로그램부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데이터베이스부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에 필요한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동작에 있어 메인서버장치(100), 서브서버장치(200), 개인통신장치(300)으로 이루어지는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개인통신장치(300)의 브라우저를 통해 WWW서버부에 접속을 요청한다. WWW서버부는 개인통신장치(300)로 교정프로그램(710)의 시작페이지를 출력한다(제100단계). 시작페이지는 진단부, 학습부, 지도부, 정보부를 가진다. 사용자가 진단부를 선택하면(제M100단계), WWW서버부는 사용자에게 이름, 암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제200단계). 사용자가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여 WWW서버부로 출력하면, WWW서버부는 CGI프로그램부에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을 요청하고, CGI프로그램부는 이를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에 요청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는 데이터베이스부를 검색한 결과(제201단계),
사용자의 등록정보가 없을 경우(제210단계), 사용자가 등록되지 않았음을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사용자등록페이지를 작성하여 WWW서버부로 출력하고, WWW서버부는 이를 개인통신장치(300)의 브라우저로 출력하여 등록하도록 한다. 사용자등록페이지는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자동으로 교정프로그램(710)을 받을 수 있는 개인통신장치(300)의 종류 등을 입력,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등록페이지를 작성하여, WWW서버부로 출력하면, WWW서버부는 CGI프로그램부에 해당 데이터의 저장과 사용자의 등록을 요청한다. CGI프로그램부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에 해당 데이터를 저장할 것을 요청하고,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는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제211단계)하고, 제300단계 이하 단계를 진행한다.
(제201단계)에서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제220단계), CGI프로그램부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에 이전에 제작된 사용자의 교정프로그램(710)과 이를 이전 사용자가 학습한 기록이 있는지 분석을 요청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가 데이터베이스부를 검색한 결과(제230단계),
이전 제작된 교정프로그램(710), 학습한 기록이 있을 경우(제250단계), 해당 데이터가 있음을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학습한 기록이 없을 경우 이와 관련된 데이터 없이 다음을 진행할 수 있다.) CGI프로그램부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에 해당 사용자의 교정프로그램(710), 학습결과데이터를 요청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는 데이터베이스부에서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여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제400단계) 이하 단계를 진행한다.
제230 단계에서 이전 제작된 교정프로그램(710), 학습한 기록이 없을 경우(제240단계), 학습한 기록이 없음을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제410단계 단계를 거쳐왔을 경우, 입력받은 데이터로 수정된 진단페이지를 작성(제301단계)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프로그래밍된 진단페이지를 작성(제300단계)하여 WWW서버부로 출력한다. WWW서버부는 이를 개인통신장치(300)의 브라우저로 출력한다. 진단페이지는 교정에 앞서 사용자의 인체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쓰이는 것으로 입력부, 선택부, 매장데이터사용부를 가지며, 제410단계 단계를 거쳐왔을 경우 이전에 작성한 데이터와 이에 대응하는 교정프로그램(710) 데이터를 포함한다. 입력부는 측정장치(50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메인서버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입력받는 브라우저 상의 장치이다. 측정장치(50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인체 상태를 진단하는 데 사용한다. 선택부는 사용자의 인체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메인서버장치(100)가 제공한 질문과 사용자의 인체 상태에 해당하는 유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모델을 가진다. 모델은 문자, 화상데이터로 제작된 것으로 다양한 인체의 상태를 유형별로 분류한 것이다.
매장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 매장의 측정장치(500)를 통해 확보된 데이터, 교정시술 과정에서 확보된 진단 데이터 등 매장이 제공하는 다양한 측정, 진단데이터를 사용하여 교정프로그램(710)을 제공받을 수 있다. 매장에서 확보된 데이터를 사용할 경우 매장데이터사용부를 선택하여 제321단계 이하 단계를 진행한다(제320단계).
매장을 방문한 경험이 없는 사용자의 경우 상기 측정장치(500)를 통해 족저압데이터, 체형데이터 등 다양한 측정데이터(510)를 준비하고, 이를 개인통신장치(300)에 입력한다. 측정장치(500)가 없는 경우 사용자는 진단페이지의 선택부가 요청한 데이터를 작성하여 진단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측정장치(500)로부터 입력받은 측정데이터(510)를 입력부에 입력하고, 선택부의 질문에 답하고, 제시된 모델 중 사용자의 상태에 해당하는 모델을 선택한다(제310단계). 측정데이터(510)가 없을 경우 입력부는 그대로 둔다.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입력, 선택한 데이터를 WWW서버부로 출력한다. WWW서버부는 입력받은 데이터를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CGI 프로그램부는 진단페이지의 선택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 처리한다. 진단페이지의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측정데이터(510)가 있을 경우, 해당 데이터를 해당 측정데이터처리장치(700)로 출력하여 분석, 처리할 것을 요청한다. 측정데이터처리장치(700)는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여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제320단계를 거쳐왔을 경우 매장에서 제공한 사용자의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에 요청한다(제321단계). 그렇지 않을 경우 CGI프로그램부는 분석, 처리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에 요청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는 데이터베이스부에서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여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입력받은 데이터로 사용자의 인체 상태를 진단하고, 이에 해당하는 교정프로그램페이지를 작성하여 WWW서버부로 출력하고, WWW서버부는 개인통신장치(300)의 브라우저로 교정프로그램페이지를 출력한다(제400단계).
교정프로그램페이지는 사용자의 인체 상태를 진단한 결과와 이에 대응하는 교정프로그램(710), 확인부, 수정부, 지도요청부(520), 학습결과입력부, 정보변경부 그리고 이전에 학습한 기록이 있는 경우 이전에 작성된 학습결과데이터와 이를 평가한 학습평가데이터를 가진다. 수정부는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장치에 출력된 교정프로그램페이지를 보고 수정의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경우 수정요청사항을 작성할 수 있도록 제작된 브라우저 상의 장치이며, 작성된 수정요청 데이터를 메인서버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교정프로그램페이지를 보고 수정의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경우, 수정부에 수정요청사항을 작성하여 WWW서버부로 출력한다(제410단계). WWW서버부는 수정요청받은 데이터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여 다시 진단페이지를 작성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에 해당 데이터를 요청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는 데이터베이스부에서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여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제301단계 이하 단계를 다시 진행한다.
제400단계에서 사용자가 교정프로그램(710) 페이지를 보고, 수정의 필요가 없다고 판단할 경우, 확인부를 선택한다. 확인부는 해당 교정프로그램을 WWW서버부로 입력한다. WWW서버부는 이를 CGI프로그램부로 입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해당 교정프로그램을 데이터베이스관리부에 저장 요청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는 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 한편, 사용자는 교정프로그램페이지를 보고, 학습을 시작한다(제500단계).
교정프로그램(710) 학습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학습결과 작성하여 브라우저의 학습결과입력부를 통해 WWW서버부로 출력한다(제501단계). 학습결과에는 학습한 내용, 진도, 사용자가 작성한 결과, 측정데이터(510) 등이 포함된다. 측정장치(500)가 없을 경우 측정데이터(510)를 입력하지 않는다. WWW서버부는 입력받은 데이터를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 처리, 평가하여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로 출력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는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여 다음 교정프로그램(710) 학습에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 저장된 데이터는 다음 접속시 교정프로그램(710)과 함께 제공된다. 저장이 완료되면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는 CGI프로그램부에 저장결과를 출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입력받은 데이터로 저장결과페이지로 작성하여 WWW서버부로 출력하고, WWW서버부는 이를 개인통신장치(300)의 브라우저로 출력한다. 사용자는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장치에 출력된 저장결과페이지의 내용을 보고 교정프로그램(710) 학습을 마친다(제502단계).
제100단계에서, 사용자가 학습부를 선택하면(제M200단계), 제200단계 이하 단계를 진행한다.
제100단계에서, 사용자가 지도부를 선택하면(제M300단계), 제200단계에서 제400단계까지를 진행한다. 사용자가 지도요청부(520)를 통해 서브서버장치(200)의 관리자에 지도를 요청하면(제600단계), 서브서버장치(200)는 이를 지도응답부(720), 사용자정보확인부가 포함된 관리자지도페이지를 통해 관리자에 알린다.(서브서버장치(200)의 브라우저에는 항상 관리자지도페이지가 출력되어 있다.) 관리자는 지도응답부(720)를 통해 이에 응한다. 지도요청부(520), 지도응답부(720)는 문자, 화상데이터 등을 통해 개인통신장치의 사용자와 서브서버장치(200)의 관리자가 통신할 수 있도록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도에 앞서 관리자는 해당 사용자의 교정프로그램(710)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정보확인부를 통해 메인서버장치(100)의 WWW서버부에 해당 사용자의 교정프로그램(710)을 요청한다.(매장의 서브서버장치(200)는 장치 내에 메인서버장치(100)가 요청하는 해당 인증이 있으므로 로그인 과정 없이 메인서버장치(100)에 접속, 해당 작업을 root에 준하는 권한{최고사용자 권한}으로 요청, 수행할 수 있다.) WWW서버부는 CGI프로그램부에 이를 요청하고, CGI프로그램부는 이를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에 요청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는 데이터베이스부에서 해당 사용자의 교정프로그램(710)을 검색하여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해당 데이터를 WWW서버부로 출력하고, WWW서버부는 이를 서브서버장치(200) 브라우저의 관리자지도페이지로 출력한다. 매장의 관리자는 서브서버장치(200)의 출력장치를 통해 브라우저에 출력된 관리자지도페이지를 보고, 메인서버장치(100)의 WWW서버부에 지도에 상응하는 해당 데이터를 요청한다(제601단계). WWW서버부는 이를 CGI프로그램부에 요청한다. CGI프로그램부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에 해당 데이터를 요청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는 데이터베이스부에서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여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입력받은 데이터를 WWW서버부로 출력하고, WWW서버부는 이를 서브서버장치(200) 브라우저의 관리자지도페이지로 출력한다. 관리자는 해당 데이터를 지도응답부(720)를 통해 개인통신장치(300)로 출력한다. 사용자는 지도요청부(520)에 출력된 해당데이터를 보고(제610단계), 수정의 필요가 없을 경우, 제500단계 이하 단계를 진행한다(제611단계).
제610단계에서 수정의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자는 제400단계 이하 단계를 진행 또는 지도요청부(520)를 통해 관리자에 수정을 요청한다. 관리자는 제601단계 이하 단계를 다시 진행한다. 제611단계를 거쳐 왔을 경우, 관리자는 사용자 교정프로그램(710)과 지도에 사용된 데이터를 메인서버장치(100)의 WWW서버부에 출력한다(제620단계). WWW서버부는 이를 CGI프로그램부에 분석할 것을 요청한다. CGI프로그램부는 사용자의 교정프로그램(710)과 지도에 사용된 데이터가 같은 지를 분석한다(제630단계). 분석 결과 해당 데이터가 서로 다를 경우 CGI프로그램부는 지도에 사용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교정프로그램(710)을 수정하고, 이를 지도한 내용과 함께 저장할 것을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에 요청한다. 제630단계에서 해당 데이터가 같을 경우 지도한 내용을 저장할 것을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에 요청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는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저장결과를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해당 데이터를 지도결과저장페이지로 작성하여 WWW서버부로 출력한다. WWW서버부는 이를 서브서버장치(200)의 브라우저로 출력한다. 관리자는 서브서버장치(200)의 출력장치를 통해 브라우저에 출력된 지도결과저장페이지를 확인하고 작업을 완료한다.
CGI프로그램부는 각 사용자의 학습 단계에 따라, 이에 해당하는 교정프로그램(710)을 문자, 화상데이터로 처리하여 일정시간을 간격으로 개인통신장치(300)에 자동 출력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제700단계). 이의 작동에 있어 CGI프로그램부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에 해당 사용자의 단계별 교정프로그램(710)을 요청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는 데이터베이스부의 해당 사용자의 학습결과를 참조하여 해당 교정프로그램(710) 데이터를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입력받은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의 교정프로그램페이지로 작성하여 WWW서버부로 출력한다. WWW서버부는 이를 해당 사용자의 개인통신장치(300)의 브라우저로 출력한다. 자동으로 교정프로그램(710)을 받을 개인통신장치(300)의 종류는 사용자 등록시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M400단계를 통해 수정이 가능하다. 교정프로그램(710)을 출력받은 개인통신장치(300)는 진동, 신호음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받은 교정정보프로그램 데이터가 있음을 알린다. 사용자는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장치에 출력된 교정프로그램페이지를 보고 제400단계 이하 단계를 진행한다.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매장을 방문할 경우, 매장의 관리자는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교정프로그램(710)을 제공받은 경험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교정시술받은 경험이 있는지 확인한다(제800단계). 이에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제810단계) 매장의 관리자는 사용자의 상태를 측정장치(500)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서브서버장치(200)로 입력받는다. 매장의 관리자는 측정장치(500)로부터 입력받은 측정데이터(510), 해당 사용자 정보를 서브서버장치(200)의 브라우저를 통해 WWW서버부로 출력한다. WWW서버부는 이를 CGI프로그램부로 입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것을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에 요청하고, 측정데이터(510)를 해당 측정데이터분석장치(700)에 분석을 요청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는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저장결과를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측정데이터분석장치(700)는 측정데이터(510)를 분석, 처리하여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입력받은 데이터로 교정프로그램(710)을 제작한다. CGI프로그램부는 제작된 교정프로그램(710)과 을 데이터베이스관리부에 저장을 요청하고, 교정프로그램(710)과 저장결과를 관리자지도페이지로 작성하여 WWW서버부로 출력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는 저장요청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 WWW서버부는 관리자지도페이지를 서브서버장치(200)의 브라우저로 출력한다. 매장의 관리자는 서브서버장치(200)의 출력장치를 통해 브라우저에 출력된 관리자지도페이지를 보고 시술한다.
제800단계에서 이전 온라인 상에서 교정프로그램(710)을 제공받은 경험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교정시술을 제공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제820단계), 매장의 관리자는 서브서버장치(200)의 브라우저를 통해 WWW서버부에 해당 사용자의 교정프로그램(710)을 요청한다. WWW서버부는 CGI프로그램부에 해당 데이터를 요청한다. CGI프로그램부는 데이터관리부에 해당 데이터를 요청하고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는 데이터베이스부에서 해당 정보를 검색하여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입력받은 데이터로 관리자지도페이지를 작성하여 WWW서버부로 출력한다. WWW서버부는 서브서버장치(200)의 브라우저로 관리자지도페이지를 출력한다. 사용자가 이전 교정프로그램(710)을 학습한 기록이 있을 경우 관리자지도페이지에는 사용자의 학습결과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매장의 관리자는 서브서버장치(200)의 출력장치를 통해 브라우저에 출력된 관리자지도페이지를 보고 해당 사용자에 시술한다. 오프라인 상에서 매장을 방문하는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어느 매장을 가더라도 동일한 교정프로그램(710), 시술을 제공받을 수 있다.
매장의 관리자가 관리자지도페이지를 보고 수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제830단계), 서브서버장치(200)의 브라우저를 통해 WWW서버부에 해당 사용자의 관리자지도수정페이지를 요청한다.(관리자지도수정페이지는 해당 사용자의 교정프로그램(710)을 수정 그리고 사용자의 데이터를 추가 입력할 수 있도록 CGI프로그램부가 매장의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페이지이다. 매장의 서브서버장치(200)는 장치 내에 메인서버장치(100)가 요청하는 해당 인증이 있으므로 로그인 과정 없이 메인서버장치(100)에 접속, 해당 작업을 root에 준하는 권한(최고사용자 권한)으로 요청, 수행할 수 있다.) WWW서버부는 CGI프로그램부에 이를 요청한다. CGI프로그램부는 해당 사용자의 관리자지도수정페이지를 작성하여 WWW서버부로 출력하고 WWW서버부는 이를 서브서버장치(200)의 브라우저로 출력한다. 매장의 관리자는 서브서버장치(200)의 출력장치의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된 해당 사용자의 관리자지도수정페이지를 보고 수정사항을 작성 또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추가 입력하여 브라우저를 통해 WWW서버부로 출력한다.(관리자는 관리자지도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교정프로그램(710)을 수정 또는 사용자의 데이터 추가 입력하여 저장할 것 등을 메인서버장치(100)에 요청할 수 있다.) WWW서버부는 서브서버장치(200)가 요청한 작업(여기에는 사용자 교정프로그램(710)의 수정, 사용자의 데이터 추가 저장 등이 해당된다.)과 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하여 해당 작업 수행을 요청한다. CGI프로그램부는 이를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에 요청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는 데이터베이스부를 참조하여 요청된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이를 수정결과페이지로 작성하여 WWW서버부로 출력한다. WWW서버부는 이를 서브서버장치(200)의 브라우저로 출력한다. 매장의 관리자는 서브서버장치(200)의 출력장치를 통해 브라우저에 출력된 수정결과페이지를 보고 작업을 완료한다.
사용자의 정보를 변경하려면(제900단계), 제100단계에서, 정보부를 선택한다(제M400단계). 제200단계에서 제400단계까지를 진행한다. 사용자는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장치에 출력된 교정프로그램페이지를 확인한다. 해당 데이터에서 수정의 필요 없을 경우 작업을 완료하고, 수정이 필요할 경우 정보변경부를 선택하여 WWW서버부로 사용자 정보 변경을 요청한다(제910단계). WWW서버부는 이를 CGI프로그램부로 입력하고, CGI프로그램부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에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요청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는 데이터베이스부에서 해당 정보를 검색하여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해당 데이터로 개인정보수정페이지를 작성하여 WWW서버부로 출력한다. WWW서버부는 이를 개인통신장치의 브라우저로 출력한다. 사용자는 개인통신장치의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장치에 출력된 개인정보수정페이지에서 해당 데이터를 수정하고, 이를 WWW서버부로 출력한다. WWW서버부는 CGI프로그램부에 해당 데이터를 출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에 해당 데이터의 저장을 요청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800)는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저장결과를 CGI프로그램부로 출력한다. CGI프로그램부는 저장결과를 수정완료페이지로 작성하여 WWW서버부로 출력한다. WWW서버부는 이를 개인통신장치의 브라우저로 출력한다. 수정완료페이지 역시 해당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는 정보변경부가 있다. 사용자는 개인통신장치의 출력장치를 통해 브라우저에 출력된 수정완료페이지를 보고, 수정이 필요할 경우 제910단계를 다시 진행하고, 수정이 필요 없을 경우 작업을 완료한다(제920단계).
상기에 있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교정프로그램을 바람직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상기 해당 목적을 따른 족부상 체중이 지지되어야 할 바람직한 위치, 상기 위치에 체중이 지지되었을 경우 바람직한 분절의 위치, 근력의 정도 및 상기 교정프로그램에서 제한한 바람직한 내용이 올바르게 학습되지 않았을 경우 해당 내용을 음, 진동 등을 통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정장치와 연동될 수 있다. 이에 있어 본 발명이 상기 교정장치와 상기 해당목적을 따라 연동될 경우, 상기 교정장치는 상기 교정장치를 사용한 과정, 결과 등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결과데이터로 가공하여 실시간 메인서버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해당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메인서버장치(100)는 상기 교정장치로부터 입력받은 학습결과데이터를 분석, 처리, 평가하여 사전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을 따라, 상기 해당 목적에 상응하도록 교정프로그램을 수정, 상기 장치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정장치는 상기 입력받은 교정프로그램에 입각해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해당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온라인을 이용한 인체 교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 오프라인 사용자 모두를 대상으로 서비스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온라인을 통해 교정프로그램(710)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오프라인에서는 어느 매장을 가더라도 사용자 데이터가 인터넷망을 통해 공유되므로 동일한 교정프로그램(710)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쁜 현대인에 있어 효과적인 교정의 기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인체에 적용되어 이상적인 인체의 상태, 교정의 목적에 부합되는 인체의 상태 또는 적용에 있어 대상자가 원하는 특정의 인체 상태가 있을 경우 그들의 요청을 적극 수용, 그에 부합되는 상태로 인체를 교정, 개선함에 있어 효과적인 교정프로그램(710)을 제공하며, 해당 목적을 따라 교정프로그램(710)을 달리하여 다양한 인체에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9)

  1. 인터넷 상에서의 월드와이드웹(WWW)를 기반으로, 개인통신장치, 서브서버장치의 입력장치를 사용; 사용자의 인체 상태를 화상, 문자데이터로 변환 후 메인서버장치로 출력하는 단계와; 메인서버장치에서 상기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여 사용자의 인체를 분석, 처리, 평가; 해당 교정프로그램을 제작하여 개인통신장치, 서브서버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력받은 교정프로그램을 학습하는 단계;
    상기 학습이 끝난 후 학습결과를 입력장치를 사용 화상, 문자데이터로 변환 후 메인서버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메인서버장치에서 상기 입력받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결과를 개인통신장치, 서브서버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2. 제 1항에 있어 사용자 정보를 작성하여 메인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서브서버장치 및 개인통신장치로 진단페이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인체 상태를 화상, 문자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서브서버장치 및 개인통신장치로 입력하는 단계;
    메인서버장치가 제공한 질문에 답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데이터를 메인서버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데이터를 메인서버장치에서 분석, 처리하는 단계;
    상기 분석, 처리된 데이터에 기초하고 교정프로그램(710)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교정프로그램을 서브서버장치, 개인통신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출력돈 교정프로그램을 보고 수정의 필요가 있을 경우 메인서버장치로 해당 내용의 수정을 요청하는 단계;
    메인서버창치에서 상기 요청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교정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교정프로그램을 서브서버장치, 개인통신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교정프로그램에 수정의 필요가 없을 경우, 교정프로그램을 따라 학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3. 제 1항에 있어 사용자가 매장을 방문할 경우, 매장의 관리자가 메인서버장치에 사용자의 교정프로그램, 학습결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교정프로그램 및 학습결과가 있을 경우 메인서버장치에 해당 교정프로그램, 학습결과를 요청하는 단계;
    메인서버장치에서 해당 교정프로그램, 학습결과를 서브서버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교정프로그램에 수정이 필요할 경우, 해당 내용을 메인서버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여 해당 교정프로그램을 수정하는 단계;
    상기 수정된 교정프로그램을 서브서버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력받은 교정프로그램을 학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4. 제 3항에 있어 해당 교정프로그램 및 학습결과가 없을 경우 서브서버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인체 상태를 화상, 문자데이터로 변환 후 메인서버장치로 입력하는 단계;
    메인서버장치에서 상기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여 해당 교정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데이터를 매장의 서브서버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데이터에 수정이 필요할 경우, 해당 내용을 메인서버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메인서버장치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여 해당 교정프로그램을 수정하는 단계;
    상기 수정된 교정프로그램을 서브서버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력받은 교정프로그램을 학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5. 제 1항에 있어, 사용자가 지도요청부를 통해 서브서버장치 관리자에 교정프로그램의 지도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관리자가 메인서버장치에 사용자의 교정프로그램, 해당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메인서버장치에서 상기 요청에 상응한 데이터를 서브서버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관리자가 상기 입력받은 데이터를 평가, 수정이 필요할 경우 해당 데이터의 수정을 메인서버장치에 요청하는 단계;
    메인서버장치에서 상기 요청에 상응한 데이터를 서브서버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관리자가 상기 입력받은 데이터를 평가, 수정이 필요할 경우 해당 데이터의 수정을 메인서버장치에 요청하는 단계;
    메인서버장치에서 상기 요청에 상응한 데이터를 서브서버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관리자가 상기 입력받은 데이터에 수정의 필요가 없을 경우, 지도응답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개인통신장치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제공 받은 데이터를 평가, 수정이 필요할 경우, 관리자에 수정을 요청하는 단계;
    관리자가 상기 요청받은 상응한 데이터를 메인서버장치에 요청하는 단계;
    메인서버장치에서 상기 요청에 상응한 데이터를 서브서버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관리자가 상기 입력받은 데이터를 평가, 수정이 필요할 경우 해당 데이터의 수정을 메인서버장치에 요청하는 단계;
    메인서버장치에서 상기 요청에 상응한 데이터를 서브서버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관리자가 상기 입력받은 데이터를 개인통신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력받은 데이터를 학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6. 제 1항에 있어, 상기 개인통신장치는 실시간 해당 교정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7. 제 1항에 있어, 상기 사용자는 오프라인 상 어느 매장을 방문하더라도 개인통신장치, 서브서버장치를 통해 메인서버장치에 접속, 동일한 교정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8. 제 1항에 있어, 사용자가 상기 교정프로그램을 바람직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상기 해당 목적을 따른 교정프로그램에 입각해 족부상 체중이 지지되어야 할 위치, 상기 위치에 체중이 지지되었을 경우 바람직한 분절의 위치, 근력의 정도 및 상기 교정프로그램을 따라 바람직하게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해당 내용을 음, 진동 등을 통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정장치와 연동될 수 있으며, 이에 있어 메인서버장치에서 상기 해당 목적을 따른 교정프로그램을 상기 교정장치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9. 제 8항에 있어, 상기 교정장치는 상기 교정장치를 사용한 과정, 결과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결과데이터로 가공하여 실시간 메인서버장치(100)로 출력하도록 하는 해당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그러할 경우 메인서버장치(100)는 상기 학습결과데이터를 분석, 처리, 평가하여 사전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을 따라, 상기 해당 목적에 상응하도록 교정프로그램을 수정, 상기 교정장치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있어 상기 교정장치는 상기 입력받은 교정프로그램에 입각해 동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KR1020050061989A 2004-07-12 2005-07-11 온라인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KR200600500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53825 2004-07-12
KR1020040053825 2004-07-12
KR1020040054585 2004-07-14
KR1020040054586 2004-07-14
KR20040054585 2004-07-14
KR20040054586 2004-07-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025A true KR20060050025A (ko) 2006-05-19

Family

ID=3578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989A KR20060050025A (ko) 2004-07-12 2005-07-11 온라인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50025A (ko)
WO (1) WO2006006816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7523A (en) * 1997-07-03 2000-05-23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behavioral health care data
US6341265B1 (en) * 1998-12-03 2002-01-22 P5 E.Health Services, Inc. Provider claim editing and settlement system
KR20020011198A (ko) * 2000-08-01 2002-02-08 주식회사 프리모젠 건강 또는 인성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63079A (ko) * 2001-01-26 2002-08-01 (주)맥컴정보기술 인터넷 골프교실 운영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06816A1 (en)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rmann et al. Relationships among selected measures of impairment, functional limitation, and disability in patients with cervical spine disorders
US200700833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osture awareness training
JP2020035432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40054197A (ko) 환자에 의해 관리되는 물리 재활치료를 증강시키기 위한 비침습적 모션 추적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N1639721A (zh) 协作诊断系统
JP2009110490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家族の心の健康診断・管理システム
JP6426249B1 (ja) 施術支援装置、施術支援システム、施術支援方法、プログラム
JP2005000301A (ja) 身体の姿勢診断支援システム
KR20060050025A (ko) 온라인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WO2021149629A1 (ja) 姿勢診断システム、姿勢診断方法及び姿勢診断用データセット
CN110709011B (zh) 用于引导的操作的x射线系统
JP2019079515A (ja) 施術支援装置、施術支援システム、施術支援方法、プログラム
Nath et al. A novel personal fitness trainer and tracker power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enabled by MEDIAPIPE and OpenCV
KR101166756B1 (ko) 작업치료 보조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034388B1 (ko) 자세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
JP6617246B1 (ja) 運動器機能向上支援装置、運動器機能向上支援システム及び運動器機能向上の支援方法
WO2017106934A1 (en) Computer implemented frameworks and methodologies configured to enable the gener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of 3d body scan data, including shared data access protocols and collaborative data utilisation, and identify verification for 3d environments
JP2003256568A (ja) 姿勢診断方法、姿勢診断システム、そのサーバ
Owens et al. Operational definitions of vertebral subluxation: a case study
JP2005323967A (ja) 運動支援システム及び運動支援端末装置及び運動支援サーバ及び運動支援方法並びにサービス提供方法
JP2020189073A (ja) 運動器機能向上支援システム及び運動器機能向上の支援方法
JP2006244266A (ja) 健康相談サーバ装置及び健康相談システム
KR102613638B1 (ko)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Lang et al. Visual estimation of shoulder posture: accuracy and reliability across five planes of motion
KR100443746B1 (ko) 건강인증서버 및 건강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