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756B1 - 작업치료 보조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작업치료 보조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756B1
KR101166756B1 KR1020100054709A KR20100054709A KR101166756B1 KR 101166756 B1 KR101166756 B1 KR 101166756B1 KR 1020100054709 A KR1020100054709 A KR 1020100054709A KR 20100054709 A KR20100054709 A KR 20100054709A KR 101166756 B1 KR101166756 B1 KR 101166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occupational therapy
milestone
occupatio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5015A (ko
Inventor
신창진
박경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아이
Priority to KR1020100054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756B1/ko
Publication of KR20110135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a proximal camera, e.g. a CCD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urg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치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유형에 맞추어진 이정표에 맞추어진 작업을 선택하여 그에 따른 작업치료를 실행하고 이정표를 달성하기 위해 환자의 경과를 나타내는 평가 데이터를 발생시킴으로써, 환자의 작업치료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관찰할 수 있는 작업치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장애 관련 데이터, 치료정보 또는 건강상태 정보가 입력되는 환자정보 입력부; 상기 환자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장애 관련 데이터, 치료정보 또는 건강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 의사 및 작업치료사가 선택한 이정표를 저장하는 이정표 데이터베이스;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저장된 작업 데이터베이스; 상기 의사 및 작업치료사가 선택한 이정표에 기초하여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작업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는 작업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이정표 및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환자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치료 보조 시스템 및 제어방법{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supporting occupational therapy}
본 발명은 작업치료 보조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유형에 맞추어진 이정표에 기초한 작업치료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작업치료에 안내에 따라 환자가 작업치료를 항목을 수행하고 이정표에 제시된 작업치료 완료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환자의 경과를 나타내는 평가 데이터를 발생시킴으로써, 환자의 작업치료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관찰할 수 있는 작업치료 보조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발달 장애 등을 위한 치료 즉, 재활치료 방법은 환자가 직접 병원을 찾아가 의료서비스를 받거나, 의사의 안내에 따라 관련 운동기구 또는 치료 장비를 구입하여 의사가 제시하는 일정한 재활프로그램에 따라 반복적으로 운동을 하여야 하므로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즉, 이러한 종래의 재활치료 방법은 환자가 병원을 수시로 방문하여야 하므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많이 따르고, 또한 종래 재활 프로그램이 주로 반복적인 운동 위주로 되어 있어 환자로 하여금 지루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완쾌를 위해서는 환자에게 많은 의지와 노력을 요구하게 되며, 환자에게 동일한 형태의 반복 기능만을 제시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치료에 대한 자극을 주기 어렵고, 환자의 상태 호전에 따른 단계별 치료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전된 기술로서 가상현실과 제스처 인식 기술을 이용한 햅틱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재활 훈련을 하도록 유도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지만, 가상현실에 맞은 햅틱 인터페이스를 환경에 맞게 구비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고비용의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어 다양한 재활 훈련에 이용할 수 없으며, 재활 훈련에 대한 체계적인 단계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의사 및 작업치료사가 환자의 유형에 맞는 작업치료 항목을 포함한 이정표를 제시하고 이정표에 제시된 작업치료 항목의 달성을 위한 이정표 상의 환자의 작업 실행 경과를 나타내는 평가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환자의 작업치료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관찰하는 것이 가능한 작업치료 보조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작업을 실행하고 선택된 작업이 지시하는 작업치료 화면에 따라 환자의 움직임이 캠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고 입력된 환자의 작업치료 동작화면과 작업치료 화면을 결합하여 결합된 작업치료에 대한 화면을 저장하여 이를 측정하고 관찰하여 평가자에 의해 평가되어 평가 의견과 작업치료에 대한 화면을 입력하는 작업치료 보조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치료 보조시스템은,
환자의 장애 관련 데이터, 치료정보 또는 건강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는 환자정보입력부;
상기 환자정보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장애 관련 데이터, 치료정보 또는 건강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고 있는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가 적어도 하나의 작업치료 항목을 포함하는 이정표를 저장하고 있는 이정표 데이터베이스;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저장된 작업 데이터베이스;
상기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가 선택한 이정표에 기초하여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작업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는 작업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이정표 및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환자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상기 환자용 단말기로부터 환자가 수행한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로부터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 결과에 대한 평가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평가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수신된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로부터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 결과에 대한 의견서를 입력받기 위한 의견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치료 보조시스템은,
관리 서버로부터 작업치료사 또는 의사에 의해 선정된 이정표 및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환자의 작업치료 수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시켜 환자의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 결과에 대한 선택형 평가데이터가 평가데이터 입력부로 입력되도록 하고, 환자의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 결과에 대한 선택형 의견서가 의견서 입력부로 입력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수신된 작업치료 프로그램으로부터 각 환자로부터 수행하여야 할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입력받는 작업 선택부;
상기 수신된 작업치료 프로그램으로부터 각 환자로부터 수행하여야 할 작업치료 프로그램 이정표를 입력받는 이정표 관리부;
상기 입력된 이정표 및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작업 실행부;
상기 실행된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환자의 작업 동작을 영상 또는 음향으로 저장하기 위한 영상입력부;
상기 영상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환자의 작업 영상과 작업 실행부에서 추출된 작업치료 화면을 결합하기 위한 영상결합부; 및
상기 결합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이정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환자에 의해 수행된 작업치료 프로그램 진행 정도에 따라 변경되는 이정표 데이터를 관리하는 이정표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치료 보조시스템 제어방법은,
환자정보 입력부에 의해 환자의 장애 관련 데이터, 치료정보 또는 건강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환자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장애 관련 데이터, 치료정보 또는 건강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환자에 대한 이정표를 이정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이정표를 기초로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작업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이정표 및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환자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환자용 단말기로부터 환자가 수행한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 데이터를 더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로부터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 결과에 대한 평가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로부터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 결과에 대한 의견서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치료 보조시스템 제어방법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 서버로부터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에 의해 선정된 이정표 및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환자의 작업치료 수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정표 및 작업치료 프로그램 중 각 환자가 수행하여야 할 이정표 및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이정표 및 작업치료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하는 환자의 작업 동작을 영상 또는 음향으로 영상입력부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영상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환자의 작업동작과 작업 실행부에서 추출된 작업치료 화면을 영상결합부에 의해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된 영상을 환자용 단말기의 중앙제어부를 통해 영상저장부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용 단말기에서 상기 영상저장부에 저장된 결합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환자의 작업치료 경과에 대한 선택형 평가 데이터 또는 선택형 의견서 데이터가 환자용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선택형 평가 데이터 또는 선택형 의견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선택형 평가 데이터 또는 선택형 의견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선택형 평가 데이터 또는 선택형 의견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이정표 데이터가 관리 서버를 통해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치료 보조시스템 및 제어방법은 의사 및 작업치료사가 환자의 유형에 맞는 이정표를 제시하고 이에 따른 이정표 달성을 위해 환자의 작업 실행 경과를 나타내는 평가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환자의 작업치료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관찰할 수 있어 효율적인 치료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병원을 직접 방문할 필요 없이 환자의 단말기를 통해 작업치료를 작업치료 과정마다 각기 다른 작업치료 화면을 제공하여 환자에게 치료 시 반복수행에 따른 지루함을 없애고 흥미를 유발시켜 작업치료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치료 보조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치료 보조시스템에서 관리 서버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치료 보조시스템에서 환자 단말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치료 보조시스템의 이정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치료 보조시스템에서 관리 서버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치료 보조시스템에서 환자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달장애 작업치료 보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치료 보조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달장애 작업치료 보조시스템은 크게 환자 용 단말기(110), 네트워크망(120)과 관리 서버(130)로 이루어진다.
환자용 단말기(110)는 발달장애 등을 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지급되는 장치이다. 네트워크망(120)은 환자용 단말기와 관리 서버 사이의 통신을 담당하는 것으로 유/무선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한편 관리 서버(130)는 복수의 환자용 단말기(110)와 네트워크망(120)을 통해 통신하며 환자용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관리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정보 또는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들이 입력한 데이터를 관리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관리 서버(130)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건강, 작업치료 진행 상황, 환자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치료 과정을 생성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각 환자들이 수행한 작업치료 정보를 관리하고 최적의 작업치료 과정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각 환자에 최적의 맞춤식 작업치료 이정표 데이터 생성 및 저장하고 관리하는 이정표 데이터베이스(150), 많은 연구자에 의해 개발되는 작업치료 정보 또는 장애 상태에 따라 최적의 작업치료 방법들을 저장하고 있는 작업 데이터베이스(160)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환자용 단말기를 통해 환자들이 수행한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 데이터를 전송받아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들에 의해 상기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 결과에 대한 평가서 또는 부가적으로 의견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평가서 데이터 또는 의견서 데이터 입력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치료 보조시스템에서 관리 서버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2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0), 중앙 제어부(220),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211), 이정표 데이터베이스(212), 작업 데이터베이스(213), 평가 데이터 입력부(231), 의견서 데이터 입력부(232), 환자정보 입력부(241), 이정표 입력부(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0)는 상기 환자용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망을 통해 작업치료에 관한 정보, 즉 환자의 치료 정보, 건강 상태 정보 또는 환자의 장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에 의해 선택되는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수행 이력정보를 포함하는 이정표 데이터, 작업치료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 등을 환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환자용 단말기로부터 환자가 수행한 작업치료 프로그램 진행 관련 데이터 등을 수신한다.
중앙 제어부(220)는 관리 서버(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특히 네트워크망을 통해 환자용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적절하게 변환하며, 환자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역변환하여 상기 중앙 제어부(220)에 연결된 각 장치에 전달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211)는 각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처리하는 것으로 환자에 대한 정보는 신상 정보, 치료 정보, 건강 상태 또는 장애 상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작업 데이터베이스(213)는 장애 정도, 장애 위치 등의 따라 최적의 치료 방법으로 알려진 작업치료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있다.
이정표 데이터베이스(212)는 상기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211)로부터 추출된 환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에 의해 상기 작업 데이터베이스로(213)부터 추출된 작업 프로그램을 치료 일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하며, 환자에 의해 수행된 작업치료 프로그램 정보 등을 일정에 따라 관리한다.
한편 평가 데이터 입력부(231)는 환자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환자에 의해 수행된 작업치료 수행 정보, 평가 데이터 등을 기초로 작업치료사 또는 의사에 의해 환자에 의해 수행된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수행 상태, 예를 들어 현재 수행 프로그램, 이정표, 수행 완성도 등을 기초로 환자별로 부여된 이정표에 근거하여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평가 데이터는 별도의 입력 장치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입력부에 컴퓨터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의견서 데이터 입력부(232)는 상기 평가 데이터 및 각 환자별로 선택된 이정표 정보 등을 기초로 환자의 수행 작업, 수행 횟수, 수행 시간 또는 성공 여부 등을 환자용 단말기에 구비된 영상 획득 장치 등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의 치료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의견서 데이터는 별도의 입력 장치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입력부에 컴퓨터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환자정보 입력부(241)는 작업치료사 또는 의사 등에 작업치료를 수행하고자 하는 환자에 대한 정보 즉, 환자의 치료 정보, 건강 상태 정보, 환자의 장애 정보 또는 환자의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아이디 및 성명 로그온 정보 등)을 위한 개인 정보뿐만 아니라 치료부위, 환자의 치료 작업 진행 정도 또는 작업치료 결과 상태 정도 등이 입력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입력된 환자 정보는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이정표 입력부(242)는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에 의해 상기 이정표 데이터베이스(212)에서 생성된 각 환자별 작업치료 이정표 정보를 수정 또는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치료 보조시스템에서 환자 단말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용 단말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 중앙 제어부(320), 작업치료 프로그램 저장부(332), 이정표 관리부(333), 작업 선택부(331), 작업 실행부(341), 영상 입력부(342), 영상 결합부(343) 및 영상 저장부(3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망을 통해 작업치료에 관한 정보, 즉 환자의 치료 정보, 건강 상태 정보 또는 환자의 장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에 의해 선택되는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수행 이력정보를 포함하는 이정표 데이터, 작업치료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 등을 전송받고, 상기 환자용 단말기로부터 환자가 수행한 작업치료 프로그램 진행 관련 데이터 등을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한다.
중앙 제어부(320)는 상기 환자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특히 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적절하게 변환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역변환하여 상기 중앙 제어부(320)에 연결된 각 장치에 전달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작업치료 프로그램 저장부(332)는 상기 관리 서버의 작업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기 작업치료 프로그램에는 환자가 수행하여야 할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예시적인 작업 동작 화면 또는 설명 등이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작업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보조적인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동작 화면의 배경 이미지 또는 배경 음악, 효과음 등이 상기 보조적인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이정표 관리부(333)는 작업치료사 또는 의사에 의해 관리 서버의 이정표 데이터베이스에서 선정되어 전송된 이정표가 저장되고 환자가 수행한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 정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식에 치료 프로그램에 이정표를 표시 장치를 통해 환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작업 선택부(331)는 상기 이정표 관리부(333)에 따라 해당 이정표 데이터 상에서 수행되어야 할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한 치료 목적을 가지는 복수의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이정표 데이터 상에서 임의의 순서로 선택할 수 있는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작업 실행부(341)는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수행되기 위한 것으로 치료 프로그램에 따라 미리 정의된 작업 동작을 수행하도록 예시적인 작업 동작화면을 제시하기도 하며, 보조로 구비된 작업치료 장비를 통해 환자가 수행하여야 할 작업 동작을 안내하기도 한다.
영상 입력부(342)는 환자의 움직임 또는 작업치료 수행 과정을 기록하기 위한 것으로 표준으로 제시된 작업치료 프로그램 작업 동작과 환자의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 결과를 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작업치료사 또는 의사가 원격지에서 상기 저장된 영상을 검토하는 것만으로도 환자의 작업치료 수행 경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영상 결합부(343)는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작업치료 화면과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환자의 작업 동작화면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작업치료 화면은 작업치료 프로그램에 의해 제시되는 표준적인 작업치료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이거나 환자가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있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보조 영상 또는 보조 음향일 수 있다.
영상 저장부(344)는 상기 영상 결합부(343)에 의해 결합된 영상을 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저장된 영상은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되어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에 의해 환자의 작업치료 경과를 판단하기 위한 평가서 작성을 위한 자료 화면이나 의견서 작성을 위한 자료 화면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환자로 하여금 표준적인 작업치료 화면과 환자가 직접 수행한 작업치료 화면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가 자각에 의하여 작업치료 정도를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환자용 단말기에서 상기 영상저장부(344)는 제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영상 결합부(343)에서 결합된 영상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되며, 이를 수신한 상기 관리 서버에서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에 의해 환자의 작업치료 경과를 판단하기 위한 평가서 작성을 위한 자료 화면이나 의견서 작성을 위한 자료 화면으로 저장되거나 이를 환자용 단말기에 재전송하여 환자로 하여금 표준적인 작업치료 화면과 환자가 직접 수행한 작업치료 화면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가 자각에 의하여 작업치료 정도를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로도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치료 보조시스템의 이정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이정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환자가 환자용 단말기에 제시된 작업치료 중 작업 #2를 선택하게 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손풀기를 진행하게 되며 진행기간은 1주를 하게 된다.
1주 동안 환자는 작업 #2를 진행하게 되는데 손풀기에 대한 성공횟수가 어느 일정 점수 이상을 획득하게 되면 바로 다음 단계인 작업 #5인 손목풀기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작업 #2인 손풀기에 대한 성공횟수가 어는 일정 점수를 미치지 못하면 다시 1주동안 작업 #2인 손풀기를 진행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거친 후 최종 작업 #21을 진행하게 되어 어느 일정 점수 이상 획득시 이정표에 입력된 치료 과정을 마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치료 보조시스템에서 관리서버의 제어 흐름도이다.
작업치료 보조시스템이 구동되고 작업치료를 수행하고자 하는 환자의 정보가 환자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고 저장된다(S510). 이후 상기 저장된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는 수행하여 할 작업치료 정보 즉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작업 데이터베이스에서 생성한다(S510).
다른 한편으로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는 상기 환자 정보 및 작업치료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가 수행하여야 할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이정표 데이터를 이정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생성한다(S520).
상기에서 생성된 작업치료 정보와 이정표 데이터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환자 단말기로 전송된다(S530).
이후 환자에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수행되어 작업치료 수행 데이터가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되면(S540),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는 상기 수신된 작업치료 수행 데이터 즉, 작업치료 화면 또는 이력 데이터 등을 기초로 평가서 또는 의견서를 작성한다.
상기 작성된 평가서 또는 의견서는 필요에 따라 환자 정보데이터베이스 또는 이정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S560), 다른 한편으로 환자 단말기에 전송된다(S550). 상기에서 의견서는 선택적으로 환자 단말기에 전송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치료 보조시스템에서 환자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환자가 작업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환자 단말기가 가동하면 미리 저장된 이정표 데이터 또는 작업치료 정보를 표시한다.
다른 한편으로 최초로 환자 단말기를 가동하는 경우에는 관리 서버로부터 이정표 또는 데이터 작업치료 정보를 수신한다(S610).
이후 상기 이정표 데이터 또는 작업치료 정보가 영상 장치 등에 표시된다(S620).
이후 환자는 이정표 데이터에 따라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되며, 이렇게 환자에 의해 수행된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 데이터가 생성되어 저장되고(S630) 환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이정표 데이터와 함께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S640),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에 의해 평가 데이터 및 의견서에 입력되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평가서 데이터 또는 의견서 데이터를 수신하여(S650) 영상장치 등에 표시하여 환자로 하여금 수행된 작업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자발적인 치료 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과정을 진행 시 의사 또는 작업치료사는 환자의 치료 과정을 담은 영상을 가지고 달성 정도 및 의견 등을 평가부를 통해 평가하여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저장된 정보는 추후 재활 과정 시 참조하기 위한 것이며, 기타 다른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아닌 것으로서 이해하여만 한다.
110: 환자용 단말기 120: 네트워크망
130: 관리 서버 140: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
150: 이정표 데이터베이스 160: 작업 데이터 베이스
170: 평가 데이터 및 의견서 데이터 입력부
200: 관리 서버 211: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
212: 이정표 데이터베이스 213: 작업 데이터베이스
220: 중앙 제어부 231: 평가 데이터 입력부
232: 의견서 데이터 입력부 241: 환자정보 입력부
242: 이정표 입력부 2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20: 중앙 제어부
331: 작업치료 프로그램 저장부 332: 이정표 관리부
333: 작업 선택부 341: 작업 실행부
342: 영상 입력부 343: 영상 결합부
344: 영상 저장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작업치료 보조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서버로부터 작업치료사 또는 의사에 의해 선정된 이정표 및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환자의 작업치료 수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시켜 환자의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 결과에 대한 선택형 평가데이터가 평가데이터 입력부로 입력되도록 하고, 환자의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 결과에 대한 선택형 의견서가 의견서 입력부로 입력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수신된 작업치료 프로그램으로부터 각 환자가 수행하여야 할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입력받는 작업 선택부;
    상기 수신된 작업치료 프로그램으로부터 각 환자가 수행하여야 할 작업치료 프로그램 이정표를 입력받는 이정표 관리부;
    상기 입력된 이정표 및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작업 실행부;
    상기 실행된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환자의 작업 동작화면을 영상 또는 음향으로 저장하기 위한 영상입력부;
    상기 영상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환자의 작업 동작화면과 작업 실행부에서 추출된 작업치료 화면을 동시에 비교하여 환자의 작업치료 정도에 대한 판단 정보가 제공되도록 상기 환자의 작업 동작화면과 상기 작업치료 화면을 결합하는 영상결합부; 및
    상기 결합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치료 보조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이정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환자에 의해 수행된 작업치료 프로그램 진행 정도에 따라 변경되는 이정표 데이터를 관리하는 이정표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치료 보조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작업치료 보조시스템 제어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 서버로부터 선정된 이정표 및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환자용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정표 및 작업치료 프로그램 중 각 환자가 수행하여야 할 이정표 및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작업선택부에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이정표 및 작업치료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하는 환자의 작업 동작화면을 영상 또는 음향으로 영상입력부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영상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환자의 작업 동작화면과 작업 실행부에서 추출된 작업치료 화면이 동시에 비교되어 환자의 작업치료 경과에 대한 판단 정보가 제공되도록 영상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단계; 및
    상기 결합된 영상을 환자용 단말기의 중앙제어부를 통해 영상저장부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용 단말기에서 상기 영상저장부에 저장된 결합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환자의 작업치료 경과에 대한 선택형 평가 데이터 또는 선택형 의견서 데이터가 환자용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선택형 평가 데이터 또는 선택형 의견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선택형 평가 데이터 또는 선택형 의견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선택형 평가 데이터 또는 선택형 의견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이정표 데이터가 관리 서버를 통해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치료 보조시스템 제어방법.
  8. 삭제
KR1020100054709A 2010-06-10 2010-06-10 작업치료 보조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166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709A KR101166756B1 (ko) 2010-06-10 2010-06-10 작업치료 보조 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709A KR101166756B1 (ko) 2010-06-10 2010-06-10 작업치료 보조 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015A KR20110135015A (ko) 2011-12-16
KR101166756B1 true KR101166756B1 (ko) 2012-07-25

Family

ID=45502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709A KR101166756B1 (ko) 2010-06-10 2010-06-10 작업치료 보조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500B1 (ko) * 2017-09-15 2020-09-04 최미숙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 및 장치
KR102131213B1 (ko) 2018-04-11 2020-07-0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성인식 시스템
KR102199165B1 (ko) * 2018-12-27 2021-01-06 제이에스씨(주) 장애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024B1 (ko) 2006-08-23 2008-02-26 김현진 원격재활 무선 작업 치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024B1 (ko) 2006-08-23 2008-02-26 김현진 원격재활 무선 작업 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015A (ko) 201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3321B2 (ja) 診断支援システム
WO2019159007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documenting a patient medical history
US201403793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effective treatment plans
CA2942734A1 (en) Recovery system and method
JP2011520207A (ja) 治療計画の立案を支援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145692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피트니스 회원 관리시스템
US11521735B2 (en) Delivering individualized mental health therapies via networked computing devices
US20140322687A1 (en) Computer system for providing physical therapy methods
WO2013075057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spinal analysis
US201900668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hysical therapy
KR101166756B1 (ko) 작업치료 보조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20150012284A1 (en) Computerized exercise equipment prescrip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60364533A1 (en) Application and method for assessing and supporting medical image interpretation competencies
US20020120208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for enhancing attention on internet
US201302115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monitoring custom exercise programs
JP2019079421A (ja) 施術支援装置、施術支援システム、施術支援方法、プログラム
JP2006301760A (ja) 医療情報提供装置及び医療情報提供方法
JP6781229B2 (ja) 施術支援装置、施術支援システム、施術支援方法、プログラム
KR20120119145A (ko) 질병분류코드를 이용한 운동처방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운동처방정보 제공방법
KR20120077540A (ko)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장치, 진료 통합 장치 및 훈련 시스템
JP6585458B2 (ja) 診療支援システム
JP6308964B2 (ja) 保健事業支援装置、保健事業支援方法及び保健事業支援プログラム
US20130143188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providing exercise program
US20130060096A1 (en) Integrating Wellness Care and Data into the Patient Care Cycle
Lopes et al.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evaluation of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