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500B1 -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500B1
KR102152500B1 KR1020180080634A KR20180080634A KR102152500B1 KR 102152500 B1 KR102152500 B1 KR 102152500B1 KR 1020180080634 A KR1020180080634 A KR 1020180080634A KR 20180080634 A KR20180080634 A KR 20180080634A KR 102152500 B1 KR102152500 B1 KR 102152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information
therapy
speech
curricul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1128A (ko
Inventor
최미숙
Original Assignee
최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미숙 filed Critical 최미숙
Publication of KR20190031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발달장애 아동의 언어를 개인별로 커스터마이징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언어치료 이력들을 검색하여 현재 아동의 증상 및 발화상태에 가장 유사한 몇 건의 치료이력을 추출하고, 치료이력을 재가공하여 개인별 발화치료 커리큘럼을 새롭게 작성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peech Therapy for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
본 실시예는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발달장애는 정신, 신체적인 발달에서 나이만큼 발달하지 않은 상태로서 발달 선별 검사에서 해당 연령의 정상 기대치보다 25% 정도 뒤쳐져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발달장애는 지적장애, 뇌성마비, 자폐증, 유전 장애, 염색체 장애, 다운 증후군, 전반적 발달장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발달장애의 공통적인 증상은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사회적 상황의 전반적인 이해와 인간관계 형성에서 어려움을 보이며 특정 사물에 특이하게 집착하고, 일정한 행동 절차를 반복하는 패턴을 보인다. 발달장애 원인은 어느 한 가지로 국한되어 나타나지 않고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염색체 이상, 미숙아 등의 생물학적인 요인, 임신 시의 음주, 부모와 격리된 환경, 부모의 약물 중독 등의 환경적인 요인 등이 그 원인이 될 수 있다.
발달장애의 가장 큰 문제점은 뇌가 고르게 발달하지 못하는 것이다. 초기에 부모는 단순히 해당 아동이 단순히 말을 잘 안 듣는 편이라거나 다른 아이들과는 다르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아이가 좀 더 크면 부모는 다른 아이들과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고 이러한 인식 때문에 발달장애에 대한 조기 진단이 늦고 증상이 더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발달장애에 따른 재활 활동으로는 약물 치료, 행동 재활 훈련, 인지 행동 재활 훈련, 미술과 음악, 놀이를 통한 재활 등이 있다. 특히 사회성이 현저히 부족한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은 (인지) 행동 재활 훈련, 놀이 훈련 등의 재활 활동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다. 발달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컨대, 발달장애인의 재활을 위해 시각 및 청각적으로 자극을 인가하여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뮬레이션을 제공하여 치료하는 방법, 시각적 자극과 뇌에 물리적인 전정 자극을 치료하는 방법 등이 있다.
전술한 발달장애인의 재활 방법들 중 시각 및 청각적 자극을 통한 뇌파 변환 방법은 미리 설정된 제한된 자극 신호만을 이용자에게 인가하여 뇌파를 특정 주파수로 유도하고, 이용자의 상태 및 훈련 결과 등을 분석하여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발달장애 아동의 언어를 개인별로 커스터마이징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언어치료 이력들을 검색하여 현재 아동의 증상 및 발화상태에 가장 유사한 몇 건의 치료이력을 추출하고, 치료이력을 재가공하여 개인별 발화치료 커리큘럼을 새롭게 작성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치료 장치에서 언어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아동 개인별 증상정보 및 발화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과정;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복수의 언어치료 이력정보에서 상기 아동 개인별 증상정보 및 상기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와 관련된 언어치료 이력들을 추출한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검색 과정; 상기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 중 특정 증상정보 및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와 유사도 높다고 판단되는 언어치료 이력들을 추출한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치료 이력 추출 과정; 상기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 각각에 포함된 상황언어치료 종류정보들을 확인하는 치료 종류 확인 과정; 상기 상황언어치료 종류정보들을 상기 특정 증상정보 및 상기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치에 따라 재조합한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새롭게 생성하는 커리큘럼 생성 과정; 및 상기 개인별 발화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검색 과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복수의 언어치료 이력정보 각각에 포함된 키워드 중 상기 아동 개인별 증상정보 및 상기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키워드로 포함하고 있는 언어치료 이력들을 모두 추출하여 상기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로 생성한다.
상기 치료 이력 추출 과정은 상기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에 포함된 증상정보와 발화 상태정보를 상기 특정 증상정보 또는 상기 특정 발화 상태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한 증상정보 또는 발화 상태정보를 갖는 이력정보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며, 상기 유사도 중 높은 유사도를 갖는 언어치료 이력들을 추출하여 상기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로 생성한다.
상기 치료 종류 확인 과정은 상기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 각각에 포함된 상황언어치료 종류인 행동언어제어치료, 흥분도조절치료, 자발 향상치료, 정서적 함구증, 발화치료, 각성치료, 운동치료, 인지치료, 놀이치료, 정서치료, 감각통합치료 또는 일상 생활 치료를 확인한다.
상기 커리큘럼 생성 과정은 상기 행동언어제어치료, 상기 흥분도조절치료, 상기 자발 향상치료, 상기 정서적 함구증, 상기 발화치료, 상기 각성치료, 상기 운동치료, 상기 인지치료, 상기 놀이치료, 상기 정서치료, 상기 감각통합치료, 상기 일상 생활 치료 중 가장 많이 선택된 치료 종류만을 선별하여 재조합한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새롭게 생성한다.
상기 커리큘럼 생성 과정은 상기 행동언어제어치료, 상기 흥분도조절치료, 상기 자발 향상치료, 상기 정서적 함구증, 상기 발화치료, 상기 각성치료, 상기 운동치료, 상기 인지치료, 상기 놀이치료, 상기 정서치료, 상기 감각통합치료, 상기 일상 생활 치료 중 치료율이 가장 높은 치료 종류만을 선별하여 재조합한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새롭게 생성한다.
상기 커리큘럼 생성 과정은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에 포함된 특정 치료 종류 각각에 대해서 기 설정된 치료 단계별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보를 불러온다.
상기 커리큘럼 생성 과정은 상기 표준화된 커리큘럼 정보에 각 단계별로 기 설정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부 중 일부를 상기 특정 증상정보 및 상기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치에 따른 커리큘럼으로 대체하여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커리큘럼 생성 과정은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기 설정된 단계로 구분하여 생성하며, 각 단계별로 기 설정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보에 상기 특정 증상정보 및 상기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치에 따른 치료 종류를 추가하여 단계 별로 상이한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단말기로부터 아동 개인별 증상정보 및 발화 상태정보를 입력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복수의 언어치료 이력정보에서 상기 아동 개인별 증상정보 및 상기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와 관련된 언어치료 이력들을 추출한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검색부; 상기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 중 특정 증상정보 및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와 유사도 높다고 판단되는 언어치료 이력들을 추출한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치료 이력 추출부; 상기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 각각에 포함된 상황언어치료 종류정보들을 확인하는 치료 종류 확인부; 상기 상황언어치료 종류정보들을 상기 특정 증상정보 및 상기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치에 따라 재조합한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새롭게 생성하는 커리큘럼 생성부; 및 상기 개인별 발화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발달장애 아동의 언어를 개인별로 커스터마이징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언어치료 이력들을 검색하여 현재 아동의 증상 및 발화상태에 가장 유사한 몇 건의 치료이력을 추출하고, 치료이력을 재가공하여 개인별 발화치료 커리큘럼을 새롭게 작성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5세 이전의 발달장애 진단을 받은 아이들을 발화 치료, 자발 향상 치료, 일상 생활 치료, 엄마 코칭 등을 통해서 빠르게 일반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도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황 언어치료 종류 중 발화치료의 개인별로 커스터마이징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시스템은 단말기(110), 네트워크(120),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110)는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한다.
단말기(11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게임 콘솔,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V, 미디어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단말기(110)는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탑재된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와 연동한다. 단말기(110)는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로부터 수신된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를 위한 개인별 발화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출력한다.
네트워크(120)는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의미한다. 네트워크(120)는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하고,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컴퓨팅 자원을 해당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망을 포함할 수 있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상황 언어치료법을 제공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상황 언어치료법을 기반으로 한 개인별 발화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상황 언어치료법은 상황에 필요한 말들을 주입시키는 치료법이다. 다시 말해, 상황 언어치료법은 자발어가 없이 말하는 점, 하이톤으로 말하는 점, 로버트 식으로 말하는 점, 상황에 맞지 않는 혼자말하는 점을 치료하기 위한 언어치료법이다. 상황 언어치료법은 발화가 없는 아이(언어가 전혀 안되는 아이), 상동 행동이나 자해가 심한아이, 쉽게 흥분해서 공격적인 아이, 자발이 없는 아이, 눈맞춤이 없던가 대근육, 소근육, 정서, 감각통합, 각종 마사지 요법 등의 자폐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치료 방법들을 모두 포함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전술한 상황 언어치료법을 소프트웨어 형태로 단말기(110)에 제공한다. 상황 언어치료는 ‘발화치료’, ‘행동언어제어치료’, ‘흥분도조절치료’, ‘자발 향상치료’, ‘정서적 함구증’, ‘발화치료’, ‘각성치료’, ‘운동치료’, ‘인지치료’, ‘놀이치료’, ‘정서치료’, ‘감각통합치료’, ‘일상 생활 치료’등을 포함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상황 언어치료법을 이용하여 언어, 인지, 감각, 놀이, 정서 등 동시에 발달장애 아동에게 동시에 주입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상황 언어치료법을 이용하여 발화, 자발향상, 흥분도 조절, 행동, 언어제어, 일상 생활치료 등 실전적 치료 방법들을 발달장애 아동에게 제공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상황 언어치료법 중 ‘발화치료’는 언어가 전혀 안되는 아이들 중 의학적으로 성대가 이상이 없는 아이들의 말을 틔우는 치료법이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발화치료’를 이용하여 가장 기본적 언어서부터 인위적 발화를 통해 언어를 습득하도록 한다. 보통 발달장애아들은 일반적인 언어치료나 가정에서 말을 틔우기도 하지만, 그렇지 못한 아이들의 경우 인위적인(강제적) 발화가 꼭 필요하고, 발화가 되면 소통의 즐거움 때문에 쉽게 흥분하고, 공격적인 아이가 차분해지도록 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행동언어제어치료’를 이용하여 몇 년 동안 같은 상동 행동을 계속해온 아이나 흥분하면 팔이나 손을 깨무는 등 자해가 심한아이, 상황에 맞지 않는 혼잣말을 하는 아이 등은 언어적 자극과 감각적 자극 등으로 그 횟수를 줄여가면서 소거하도록 한다. ‘행동언어제어치료’는 일반적으로 뇌는 몇 달간 계속해온 행위에 대해서는 하나의 연결고리(고착화)를 만드는데, 이와 반대로 감각적 언어적 자극을 줘서 고착화를 끊어주는 치료법이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흥분도조절치료’를 이용하여 발달장애아들의 전형적인 특징 중 하나인 쉽게 흥분해서 공격적으로 변하는 특징을 치료하도록 한다. 쉽게 흥분해서 공격적으로 변하는 아이들은 밤잠을 잘 이루지 못하고, 공격적이고, 자해를 하는 경우도 있으며, 근육이 뭉쳐서 딱딱한 경우도 있다. 쉽게 흥분해서 공격적으로 변하는 아이들은 언어적 소통의 어려움과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정보 오류에서는 오는 두려움 때문에 흥분 호르몬의 과다 분비로 인해서 발생한다. 따라서,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흥분도조절치료’를 이용하여 흥분 호르몬의 과다 분비 현상들은 뇌압을 떨어뜨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아이를 차분하게 만든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자발 향상치료’를 이용하여 묻는 말에는 반응하지만 자발언어가 전혀 없는 전형적인 자폐아에게 상황언어를 꾸준히 주입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자발 향상치료’를 제공하여 몇 달 후에 아이 자신도 못 느끼게 자발이 조금씩 틔어 나오게 유도한다. 자발언어가 전혀 없는 아이들은 단순 카드식 수업으로 인해서 우뇌가 담당하는 말의 음색, 리듬, 고저(높낮이) 즉 운율을 제대로 말하지 못한다. 또한, 자발언어가 전혀 없는 아이들은 얼굴에 감정을 실어서 말하는 법을 모른다. 따라서,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자발 향상치료’를 이용하여 아이와의 정서적인 교감과 언어의 즐거움을 통해서 자발을 최대한 끌어내도록 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각성치료’를 이용하여 동공이 풀리고, 항상 입을 벌려서 침을 흘리는 아이들에게 뇌의 원리에 의해서 각성이 잘 되도록 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정서적 함구증 발화치료’를 이용하여 정서적(심리적) 이유로 말을 조금하다가 좀 커서는 말문을 닫은 아이들에게 언어를 새롭게 틔어주도록 한다.
말문을 닫은 아이들은 정서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상태이고, 주로 자기만의 감각으로 세상을 보면서 생긴 불안과 엄마와의 정서적 교감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정서적 함구증 발화치료’를 이용하여 엄마와의 상담을 통해서 아이를 안아주고, 칭찬해줌으로써 아이와 엄마가 정서적 교감을 이룰 수 있게 도와준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일상생활치료(엄마코칭)’를 이용하여 엄마들이 일상 생활에서 아이를 잘 가르칠 수 있는 방법들을 코칭하도록 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일상생활치료(엄마코칭)’를 이용하여 세수하기, 양치하기, 단추잠그기, 미용실에서 머리카락 자르기, 엄마 손놓고 따라가기, 신호등 건너기, 의자 착석하기, 전화번호 외우기 등 무수히 많은 일상들을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코칭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언어치료’를 이용하여 발화가 되고 난 후 기본적인 언어치료를 시작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언어치료’를 이용하여 기존 언어치료와는 다른 차별화된 방식으로 일반 유아가 말하는 보편적인 언어위주로 빠르게 언어를 습득하도록 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언어치료’를 이용하여 언어가 가능한 발달장애아들의 "질문하기"(호기심), "감탄사", "눈맞추면서 말하기"등에 대한 트레이닝을 도와준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운동치료’를 이용하여 5~6 세가 넘었는데도 잘 걷지도 일어서기도 어렵거나 신체나이에 비해서 운동이 많이 떨어지는 아이의 대근육, 소근육, 감각 등 다양한 운동 방법을 제공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인지치료’를 이용하여 중증 발달장애로 인해서 한글을 못 뗀 아이나 가장 기본적인 인지가 필요한 아이 등 10살이 넘어도 발화가 안된 발달장애아에게 기초적인 연필잡기부터 선긋기, 곡선긋기, 동그라미, 세모, 네모, 덧쓰고, 보고쓰기 등 단계적으로 제공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인지치료’를 이용하여 소리듣는 훈련, 보기 훈련, 찾기 훈련, 쓰기 훈련 등을 반복하고 다음 단계로 전화번호 외우기, 비밀번호누르기, 차번호판 외우기, 시계보기 등을 단계적으로 인지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14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저장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140)는 기 설정된 저장공간에 저장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입력부(210), 검색부(220), 치료 이력 추출부(230), 치료 종류 확인부(240), 커리큘럼 생성부(250), 전송부(260)를 포함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2에 도시된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10)는 단말기(110)로부터 아동 개인별 증상정보 및 발화 상태정보를 입력받는다.
검색부(22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기 저장된 복수의 언어치료 이력정보 중 아동 개인별 증상정보 및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와 관련된 언어치료 이력들을 추출한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를 생성한다. 검색부(22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기 저장된 복수의 언어치료 이력정보 각각에 포함된 키워드 중 아동 개인별 증상정보 및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키워드로 포함하고 있는 언어치료 이력들을 모두 추출하여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로 생성한다.
치료 이력 추출부(230)는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 중 특정 증상정보 및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와 유사도 높다고 판단되는 언어치료 이력들을 추출한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를 생성한다. 치료 이력 추출부(230)는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에 포함된 증상정보와 발화 상태정보를 특정 증상정보 또는 특정 발화 상태정보와 비교한다. 치료 이력 추출부(230)는 동일한 증상정보 또는 발화 상태정보를 갖는 이력정보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유사도를 산출한다. 치료 이력 추출부(230)는 유사도 중 높은 유사도를 갖는 언어치료 이력들을 추출하여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로 생성한다.
치료 종류 확인부(240)는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 각각에 포함된 상황언어치료 종류정보들을 확인한다. 치료 종류 확인부(240)는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 각각에 포함된 상황언어치료 종류인 행동언어제어치료, 흥분도조절치료, 자발 향상치료, 정서적 함구증, 발화치료, 각성치료, 운동치료, 인지치료, 놀이치료, 정서치료, 감각통합치료 또는 일상 생활 치료를 확인한다.
커리큘럼 생성부(250)는 상황언어치료 종류정보들을 특정 증상정보 및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치에 따라 재조합한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새롭게 생성한다.
커리큘럼 생성부(250)는 행동언어제어치료, 흥분도조절치료, 자발 향상치료, 정서적 함구증, 발화치료, 각성치료, 운동치료, 인지치료, 놀이치료, 정서치료, 감각통합치료, 일상 생활 치료 중 가장 많이 선택된 치료 종류만을 선별하여 재조합한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새롭게 생성한다.
커리큘럼 생성부(250)는 행동언어제어치료, 흥분도조절치료, 자발 향상치료, 정서적 함구증, 발화치료, 각성치료, 운동치료, 인지치료, 놀이치료, 정서치료, 감각통합치료, 일상 생활 치료 중 치료율이 가장 높은 치료 종류만을 선별하여 재조합한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새롭게 생성한다.
커리큘럼 생성부(250)는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에 포함된 특정 치료 종류(예컨대, 발화치료) 각각에 대해서 기 설정된 치료 단계별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보를 불러온다. 커리큘럼 생성부(250)는 표준화된 커리큘럼 정보에 각 단계별로 기 설정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부 중 일부를 특정 증상정보 및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치에 따른 커리큘럼으로 대체하여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예컨대,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계 내지 5단계)를 생성한다.
커리큘럼 생성부(250)는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기 설정된 단계로 구분하여 생성한다. 커리큘럼 생성부(250)는 각 단계별로 기 설정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보에 특정 증상정보 및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치에 따른 치료 종류를 추가하여 단계 별로 상이한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생성한다.
전송부(260)는 개인별 발화치료 커리큘럼정보를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단말기(110)로부터 아동 개인별 증상정보 및 발화 상태정보를 입력받는다(S310). 단계 S310에서, 발달장애 아동의 보호자, 부모 또는 치료사가 단말기(110) 상에 아동 개인별 증상정보 및 발화 상태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아동 개인별 증상정보 및 발화 상태정보를 수신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140)에 기 저장된 복수의 언어치료 이력정보를 확인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정보에서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아동 개인별 증상정보 및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와 관련된 언어치료 이력들을 추출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추출된 정보만을 취합하여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를 생성한다(S320). 단계 S320에서,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기 저장된 복수의 언어치료 이력정보 각각에 포함된 키워드 중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아동 개인별 증상정보 및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키워드로 포함하고 있는 언어치료 이력들을 모두 추출하여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로 생성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 중 특정 증상정보 및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와 유사도 높다고 판단되는 언어치료 이력들을 추출한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를 생성한다(S330).
단계 S330에서,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에 포함된 증상정보와 발화 상태정보를 특정 증상정보 또는 특정 발화 상태정보와 비교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동일한 증상정보 또는 발화 상태정보를 갖는 이력정보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유사도를 산출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유사도 중 높은 유사도를 갖는 언어치료 이력들을 추출하여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로 생성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 각각에 포함된 상황언어치료 종류정보들을 확인한다(S340). 단계 S340에서,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 각각에 포함된 상황언어치료 종류인 행동언어제어치료, 흥분도조절치료, 자발 향상치료, 정서적 함구증, 발화치료, 각성치료, 운동치료, 인지치료, 놀이치료, 정서치료, 감각통합치료 또는 일상 생활 치료를 확인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상황언어치료 종류정보들을 특정 증상정보 및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치에 따라 재조합한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새롭게 생성한다(S350). 단계 S350에서,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행동언어제어치료, 흥분도조절치료, 자발 향상치료, 정서적 함구증, 발화치료, 각성치료, 운동치료, 인지치료, 놀이치료, 정서치료, 감각통합치료, 일상 생활 치료 중 가장 많이 선택된 치료 종류만을 선별하여 재조합한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새롭게 생성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행동언어제어치료, 흥분도조절치료, 자발 향상치료, 정서적 함구증, 발화치료, 각성치료, 운동치료, 인지치료, 놀이치료, 정서치료, 감각통합치료, 일상 생활 치료 중 치료율이 가장 높은 치료 종류만을 선별하여 재조합한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새롭게 생성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에 포함된 특정 치료 종류(예컨대, 발화치료) 각각에 대해서 기 설정된 치료 단계(예컨대,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계 내지 5단계)별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보를 불러온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표준화된 커리큘럼 정보에 각 단계별로 기 설정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부 중 일부를 특정 증상정보 및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치에 따른 커리큘럼으로 대체하여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생성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기 설정된 단계로 구분하여 생성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각 단계별로 기 설정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보에 특정 증상정보 및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치에 따른 치료 종류를 추가하여 단계 별로 상이한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생성한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개인별 발화치료 커리큘럼정보를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360).
도 3에서는 단계 S310 내지 단계 S36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3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도 4a, 도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황 언어치료 종류 중 발화치료의 개인별로 커스터마이징한 예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에 포함된 발화치료에 대해서 1단계 내지 5단계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보를 불러온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화된 커리큘럼 정보에 1단계 내지 5단계별로 기 설정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부 중 일부를 특정 증상정보 및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치에 따른 커리큘럼으로 대체하여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생성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에 포함된 발화치료에 대해서 1단계 내지 5단계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보를 불러온다.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13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화된 커리큘럼 정보에 1단계 내지 5단계별로 기 설정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부 중 일부를 특정 증상정보 및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치에 따른 커리큘럼으로 대체하여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도4a와 상이한 커스터마이징 치료 정보)를 생성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단말기 120: 네트워크
130: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
140: 데이터베이스
210: 입력부 220: 검색부
230: 치료 이력 추출부 240: 치료 종류 확인부
250: 커리큘럼 생성부 260: 전송부

Claims (11)

  1. 치료 장치에서 언어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아동 개인별 증상정보 및 발화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과정;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복수의 언어치료 이력정보에서 상기 아동 개인별 증상정보 및 상기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와 관련된 언어치료 이력들을 추출한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검색 과정;
    상기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 중 특정 증상정보 및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와 유사도 높다고 판단되는 언어치료 이력들을 추출한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치료 이력 추출 과정;
    상기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 각각에 포함된 상황언어치료 종류정보들을 확인하는 치료 종류 확인 과정;
    상기 상황언어치료 종류정보들을 상기 특정 증상정보 및 상기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치에 따라 재조합한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새롭게 생성하는 커리큘럼 생성 과정; 및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치료 종류 확인 과정은,
    상기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 각각에 포함된 상황언어치료 종류인 행동언어제어치료, 흥분도조절치료, 자발 향상치료, 정서적 함구증, 발화치료, 각성치료, 운동치료, 인지치료, 놀이치료, 정서치료, 감각통합치료 또는 일상 생활 치료를 확인하고,
    상기 커리큘럼 생성 과정은,
    상기 행동언어제어치료, 상기 흥분도조절치료, 상기 자발 향상치료, 상기 정서적 함구증, 상기 발화치료, 상기 각성치료, 상기 운동치료, 상기 인지치료, 상기 놀이치료, 상기 정서치료, 상기 감각통합치료, 상기 일상 생활 치료 중 가장 많이 선택된 치료 종류만을 선별하여 재조합한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새롭게 생성하고,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에 포함된 특정 치료 종류 각각에 대해서 기 설정된 치료 단계별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보를 불러오고,
    상기 표준화된 커리큘럼 정보에 각 단계별로 기 설정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보 중 일부를 상기 특정 증상정보 및 상기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치에 따른 커리큘럼으로 대체하여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생성하고, 기준치에 따른 치료 종류를 추가하여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단계 별로 상이하게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과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복수의 언어치료 이력정보 각각에 포함된 키워드 중 상기 아동 개인별 증상정보 및 상기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키워드로 포함하고 있는 언어치료 이력들을 모두 추출하여 상기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이력 추출 과정은,
    상기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에 포함된 증상정보와 발화 상태정보를 상기 특정 증상정보 또는 상기 특정 발화 상태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한 증상정보 또는 발화 상태정보를 갖는 이력정보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며, 상기 유사도 중 높은 유사도를 갖는 언어치료 이력들을 추출하여 상기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리큘럼 생성 과정은,
    상기 행동언어제어치료, 상기 흥분도조절치료, 상기 자발 향상치료, 상기 정서적 함구증, 상기 발화치료, 상기 각성치료, 상기 운동치료, 상기 인지치료, 상기 놀이치료, 상기 정서치료, 상기 감각통합치료, 상기 일상 생활 치료 중 치료율이 가장 높은 치료 종류만을 선별하여 재조합한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새롭게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리큘럼 생성 과정은,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에 포함된 특정 치료 종류 각각에 대해서 기 설정된 치료 단계별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보를 불러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리큘럼 생성 과정은,
    상기 표준화된 커리큘럼 정보에 각 단계별로 기 설정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보 중 일부를 상기 특정 증상정보 및 상기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치에 따른 커리큘럼으로 대체하여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
  9. 삭제
  10. 단말기로부터 아동 개인별 증상정보 및 발화 상태정보를 입력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복수의 언어치료 이력정보에서 상기 아동 개인별 증상정보 및 상기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와 관련된 언어치료 이력들을 추출한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검색부;
    상기 후보 언어치료 이력정보 중 특정 증상정보 및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와 유사도 높다고 판단되는 언어치료 이력들을 추출한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치료 이력 추출부;
    상기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 각각에 포함된 상황언어치료 종류정보들을 확인하는 치료 종류 확인부;
    상기 상황언어치료 종류정보들을 상기 특정 증상정보 및 상기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치에 따라 재조합한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새롭게 생성하는 커리큘럼 생성부; 및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리큘럼 생성부는,
    상기 유사 언어치료 이력정보 각각에 포함된 상황언어치료 종류인 행동언어제어치료, 흥분도조절치료, 자발 향상치료, 정서적 함구증, 발화치료, 각성치료, 운동치료, 인지치료, 놀이치료, 정서치료, 감각통합치료 또는 일상 생활 치료를 확인하고,
    상기 행동언어제어치료, 상기 흥분도조절치료, 상기 자발 향상치료, 상기 정서적 함구증, 상기 발화치료, 상기 각성치료, 상기 운동치료, 상기 인지치료, 상기 놀이치료, 상기 정서치료, 상기 감각통합치료, 상기 일상 생활 치료 중 가장 많이 선택된 치료 종류만을 선별하여 재조합한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새롭게 생성하고,
    상기 커리큘럼 생성부는,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에 포함된 특정 치료 종류 각각에 대해서 기 설정된 치료 단계별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보를 불러오고,
    상기 표준화된 커리큘럼 정보에 각 단계별로 기 설정된 표준화된 커리큘럼정보 중 일부를 상기 특정 증상정보 및 상기 특정 발화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치에 따른 커리큘럼으로 대체하여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생성하고, 기준치에 따른 치료 종류를 추가하여 상기 개인별 커스터마이징 치료 커리큘럼정보를 단계 별로 상이하게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리큘럼 생성부는,
    상기 상황언어치료 종류정보 중에서 가장 많이 선택된 치료 종류, 또는 치료율이 가장 높은 치료 종류만을 선별하여 재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장치.
KR1020180080634A 2017-09-15 2018-07-11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 및 장치 KR102152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287 2017-09-15
KR20170118287 2017-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128A KR20190031128A (ko) 2019-03-25
KR102152500B1 true KR102152500B1 (ko) 2020-09-04

Family

ID=6590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634A KR102152500B1 (ko) 2017-09-15 2018-07-11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825A (ko) 2020-05-27 2021-12-06 보리 주식회사 카메라로 입력되는 영상정보,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언어발달장애 및 행동발달장애를 분석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488B1 (ko) 2019-12-19 2023-02-24 보리 주식회사 발달장애 진단과 치료를 위한 협업 방법 및 시스템
KR102203803B1 (ko) * 2020-02-06 2021-01-14 김의철 3급 지적장애, 언어장애 및 지체장애를 가진 유소년의 신경학적 치료방법 및 시스템
KR102533368B1 (ko) 2020-05-29 2023-05-17 보리 주식회사 빅데이터를 이용해서 유창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606967B1 (ko) * 2020-06-07 2023-11-29 보리 주식회사 가상 치료사의 발달장애 검사/치료 방법 및 시스템
KR102285577B1 (ko) * 2020-11-11 2021-08-04 김의철 자폐를 가진 유소년의 무약물 치료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2845A (ja) * 2001-10-09 2003-04-25 Shinkichi Himeno 医療情報の検索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124B1 (ko) * 2009-11-30 2012-04-1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발달 장애인 관찰정보에 기반한 장애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101166756B1 (ko) * 2010-06-10 2012-07-25 주식회사 메이아이 작업치료 보조 시스템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2845A (ja) * 2001-10-09 2003-04-25 Shinkichi Himeno 医療情報の検索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825A (ko) 2020-05-27 2021-12-06 보리 주식회사 카메라로 입력되는 영상정보,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언어발달장애 및 행동발달장애를 분석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128A (ko) 201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500B1 (ko) 발달장애 아동 언어치료 방법 및 장치
US10617961B2 (en) Online learning simulator using machine learning
US10089895B2 (en) Situated simulation for training, education, and therapy
Dale et al. Treating speech subsystems in childhood apraxia of speech with tactual input: The PROMPT approach
CN102149319B (zh) 阿尔茨海默氏症认知使能器
US201601895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provision and creation of speech stimuli for treatment of speech disorders
Hwang et al. TalkBetter: family-driven mobile intervention care for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Jeon et al. Robot-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or nonverbal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Catania et al. Emoty: an emotionally sensitive conversational agent for people with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Kenny et al. Embodied conversational virtual patients
Ogiela et al. Fundamentals of cognitive informatics
Llanes-Jurado et al. Developing conversational Virtual Humans for social emotion elicitation based on large language models
JP2006120136A (ja) 言語処理装置、言語処理方法、言語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ittern et al.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mobile platform for self-attachment
Schipor Improving computer assisted speech therapy through speech based emotion recognition
Lim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concepts for mental health application development: Therapily for mental health care
Witkin et al. Establishment of a phonemic clustering system for American Sign Language
Canare Tactile-speech perception with gamified training on the vibey transcribey
Olswang et al. The effects of adult behaviours on increasing language delayed children's production of early relational meanings
Zhang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China
Shah Neurolinguistic Programming (NLP): Your Map to Happiness, Confidence and Success
AIRES BIOVISUALSPEECH: DEPLOYMENT OF AN INTERACTIVE PLATFORM FOR SPEECH THERAPY SESSIONS WITH CHILDREN
Hu et al. Investigating the Day-to-Day Experiences of User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with Conversational Agents
Filipe VITHEA Kids 2.0
Kaźmierczak et al. The specificity and determinants of speech-language therapy with a patient after ischemic stroke. Cas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