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213B1 -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성인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성인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213B1
KR102131213B1 KR1020180042153A KR20180042153A KR102131213B1 KR 102131213 B1 KR102131213 B1 KR 102131213B1 KR 1020180042153 A KR1020180042153 A KR 1020180042153A KR 20180042153 A KR20180042153 A KR 20180042153A KR 102131213 B1 KR102131213 B1 KR 102131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orker
activity
space
work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806A (ko
Inventor
유인규
김은주
심선화
정윤화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2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21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61B5/0488
    • A61B5/049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61B5/0533Measuring galvanic skin respo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98Electrooculography [EOG], e.g. detecting nystagmus; Electroretinography [ER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7Indicating the phase of biorhyth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Dermat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nt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는 작업 공간 내에서 작업자의 감성정보를 생성하는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로서,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작업 공간을 특정하는 위치추출부,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작업자의 감성을 평가하는 감성정보생성부, 작업자의 활동반경, 활동량 및 활동부하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활동정보를 생성하는 활동정보생성부 및 작업 공간 내에서 작업자의 만족도를 평가하고, 추천 작업공간정보를 생성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성인식 시스템{EMOTION RECOGNITION APPARATUS BASED ON SPACE AND EMOTION RECOGNI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성인식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공간내에서의 작업자의 생체신호를 검출하여 작업자의 감성을 인식하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성인식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최근 인간의 감성인식과 관련된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인간의 감성인식은 고령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삶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감성 인식 기술은 인간과 인간이 생활하는 환경으로부터 획득한 생체/오감/영상/음성/환경상황 등 복잡 신호를 측정하고 융합 분석하여 인간의 기본적인 감성을 추출하고 인간의 감성에 지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는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효율적인 응용 서비스의 제공을 목표로 한다.
감성, 감정, 행위추론의 연구는 인간 모방의 개념으로부터 인간에 대한 추론 더 나아가 인간의 보조를 위한 기술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특히 감성 인식에 기반한 휴먼-인터페이스 기술은 인간의 감성 상태 변화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인식한 인간 감성에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기술적인 요인에 인간의 감성적 요인을 결합한 미래 핵심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감성은 음성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변화를 통해 표현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표정, 몸동작, 맥박수, 체온, 혈압, 뇌파 신호 등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감성 정보는 다양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고, 사용자 감성 정보를 이용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사용자의 감성 정보의 획득방식도 달라진다.
이러한 감성 인식 기술은 일상 생활의 활동들을 치료목적으로 하는 작업치료(Occupational Therapy)에도 적용되고 있다.
작업치료는 손상이나 질병, 질환, 장해로 인한 장애, 사회 활동의 제한, 사회 참여의 위축 때문에 일상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운 환자를 훈련하는 협의의 개념에서 출발하였고, 최근에는 보다 광의의 개념인 다양한 상황 속에서 육체적, 인식적, 심리사회적 문제를 다루며, 가정과 학교, 직장, 지역 사회 등의 환경과 역할에 참여하도록 돕는 치료로 까지 확대 정의되고 있다.
특히 감성 인식 기술은 작업치료의 정신적 영역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적용되어 왔다. 일본공개특허 제2004-538066호(건강 및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는 센서를 이용하여 검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인간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위 장치는 단순히 정신적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데 그치고 있으며, 주변환경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작업치료 개념의 확대로 감성 인식 기술은 일상적인 작업환경, 작업공간에서의 작업자의 만족도 내지는 선호도 평가를 수행하는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4-53806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35015호 미국공개특허 US 2017/0278117 A1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공간에서의 작업자의 감성을 인식하고, 작업공간의 만족도 내지는 선호도를 작업자의 개입 없이도 판단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는 작업 공간 내에서 작업자의 감성정보를 생성하는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로서,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작업 공간을 특정하는 위치추출부,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작업자의 감성을 평가하는 감성정보생성부, 작업자의 활동반경, 활동량 및 활동부하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활동정보를 생성하는 활동정보생성부 및 작업 공간 내에서 작업자의 만족도를 평가하고, 추천 작업공간정보를 생성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는 작업자의 위치정보, 감성정보 및 활동정보를 시간대별로 저장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추천 작업공간정보를 작업자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추출부는 작업자가 위치하고 있는 작업 공간을 인식하고, 상기 작업 공간 내에서의 이동경로, 이동거리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생체정보는 심박수(HR, Heart Rate), 혈압(BP, Blood Pressure), 근전도(EMG, Electromyography), 말초혈관반응(PPG, Peripheral Plethysmography), 안구운동(EOG, Electrooculogram), 피부전기저항(GSR, Galvanic Skin Resistance) 및 피부온도(SKT, Skin Temperatur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산부는 작업자의 바이오 리듬 정보를 반영한 상기 추천 작업공간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기반 감성인식 시스템은 작업 공간 내에서 작업자의 감성을 인식하는 시스템으로서, 작업자의 위치정보와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작업자의 감성정보를 생성하고, 작업공간정보를 추천하는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작업 공간에 설치된 통신노드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및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생체정보수집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하면 작업공간에서의 작업자의 만족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과거 작업자의 감성패턴정보를 활용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작업환경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적용가능한 다양한 환경에서 작업자의 만족도를 판단하고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기반 감성인식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기반 감성인식 시스템이 도입된 작업 공간 예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의 기능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1)는 작업 공간 내에서 작업자의 감성정보를 생성하는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로서,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작업 공간을 특정하는 위치추출부(100),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작업자의 감성을 평가하는 감성정보생성부(200), 작업자의 활동반경, 활동량 및 활동부하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활동정보를 생성하는 활동정보생성부(300) 및 작업 공간 내에서 작업자의 만족도를 평가하고, 추천 작업공간정보를 생성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연산부(400)를 포함한다.
위치추출부(100)는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특정하고, 작업 공간 내에서의 이동경로, 이동거리를 측정한다. 실외환경에서는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의 GPS정보를 입력받고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경로, 거리를 측정한다.
실내환경에서는 작업공간별로 구분되어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개별 통신노드들과 단말기는 단거리 무선망(WPAN)통신을 한다. 여기서 단거리 무선망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IEEE 802.15.1), 초광대역(UWB, IEEE 802.15.3), 지그비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블루투스 4.0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인 비콘을 이용하여 실내 위치정보(위치 측위)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공간별로 구분되어 설치되어 있는 개별 통신노드를 비콘이라고 가정하면 작업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비콘 스캔을 수행하고, 스캔 결과 각 비콘의 MAC주소와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값을 알 수 있다. 3개 이상의 비콘을 활용한 삼변 측량을 통해서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고, RSSI값의 세기에 따라서 실내에서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를 추정한다.
위치추출부(100)는 단말기를 통해서 송신된 비콘 스캔 결과를 이용하여 작업 공간내에서 작업자의 자세한 위치를 추정할 수 있으며, 특히 측정시간단위를 짧게 세팅하는 경우에는 보다 정확한 작업자의 이동거리, 이동경로를 측정할 수 있다.
위치추출부(100)는 특정 작업 공간으로 작업자가 들어갈 때와 이탈할 때를 판단하여 하기 설명하게 될 감성정보와 활동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작하거나 중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감성정보생성부(200)는 작업자의 생체정보, 즉 심박수(HR, Heart Rate), 혈압(BP, Blood Pressure), 근전도(EMG, Electromyography), 말초혈관반응(PPG, Peripheral Plethysmography), 안구운동(EOG, Electrooculogram), 피부전기저항(GSR, Galvanic Skin Resistance) 및 피부온도(SKT, Skin Temperatur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감성을 평가할 수 있다.
각종 생체정보를 활용하여 스트레스 지수, 우울감, 긴장감, 정서적 안정감을 평가하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김정룡, 박지수, 윤상영, 생체신호 측정을 통한 운전자의 감정적 안정상태 평가(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Vol 30, No.1 pp.203-211 February 2011)에 의하면, 감정적 상태는 자율신경계 반응인 심박수(heart rate; HR), 심박수 변동(heart rate variability; HRV), 말초혈관반응(peripheral plethysmograph; PPG), 피부전기반응(galvanic skin response; GSR), 피부온도(skin temperature; SKT)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운전상황에서 작업부하가 높거나 주의 집중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심박수(HR)와 피부전기반응(GSR)이 증가하고, 말초혈관반응(PPG), 피부온도(SKT), 안구운동(eye movement)이 감소하는 패턴이 나타나고, 생리신호 파라메터의 변화를 사용하여 감성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한 가지 파라메터를 사용한 평가보다는 두 가지 이상의 파라메터를 사용하여 그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평가한다.
또한, Emiko Minakuchi, Eriko Ohnishi, Junji Ohnishi, Shigeko Sakamoto, Miyo Hori, Miwa Motomura, Junichi Hoshino, Kazuo Murakami and Takayasu Kawaguchi, Evaluation of mental stress by physiological indices derived from finger plethysmography(PPG)(Minakuchi et al. Journal of Physiological Anthropology 2013, 32:17)에 의하면 말초혈관반응(PPG)를 통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평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정보생성부(200)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작업자의 감성을 평가하고, 앞서 언급한 방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활동정보생성부(300)는 작업 공간 내에서 작업자의 활동정보를 생성한다. 활동정보생성부(300)는 작업자의 활동반경, 활동량 및 활동부하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활동정보를 생성한다. 활동반경은 작업 공간 내에서 작업자가 움직인 범위를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활동반경은 실제 다양한 작업 공간 내에서 작업자의 작업종류, 주요 동선을 파악하는 정보이다. 활동량 정보는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가속도(accelometer)센서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활동부하량은 생체정보 중 심박수(HR), 혈압(BP), 근전도(EMG) 측정 결과를 활용하여 활동부하량을 산출한다.
활동정보생성부(300)는 활동반경과 관련된 정보를 이동거리, 영역 등을 작업 공간의 평면도 등을 활용하여 표시하거나 수치를 활용하여 표현한다. 또한, 활동정보생성부(300)는 활동량과 관련된 정보를 가속도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인 출력신호를 시간단위로 반영하여 작업자의 운동상태를 상세하게 기록한다.
나아가 활동정보생성부(300)는 활동부하량을 심박수, 혈압, 근전도 측정 결과를 수치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으나 상/중/하로 특정범위를 분류하여 구분할 수도 있다.
이처럼 활동정보생성부(300)에서 산출된 작업자의 활동정보는 감성정보생성부(200)에서 평가된 감성정보와 매칭되어 어느 영역의 활동반경에서, 어느 정도의 활동량과 활동부하량을 기록할 때 작업자의 만족감이나 선호도가 높았는지를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한다.
예를 들어 특정 작업 공간 내에서 높은 만족도를 갖고 있는 작업자의 감성정보가 감성정보생성부(200)에서 도출된 경우, 그 작업자의 활동반경이 크고, 활동량과 활동부하량이 높은 수준에 있었는지, 아니면 활동반경은 작으나 활동량과 활동부하량이 높은 수준에 있었는지 등 활동정보생성부(300)에서 판단가능한 다양한 활동정보를 매칭시킨다.
연산부(400)는 작업 공간 내에서 작업자의 만족도를 감성정보생성부(200)에서 생성된 감성정보인 스트레스 지수, 우울감, 긴장감, 정서적 안정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작업자의 작업 만족도를 평가하고, 작업자가 만족할 만한 작업공간정보를 생성하여 추천한다.
특히 연산부(400)는 작업자의 바이오 리듬 정보를 반영하여 추천 작업공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1)는 작업자의 생년월일을 입력받아 신체리듬, 감성리듬, 지성리듬의 주기적 특성을 반영한 바이오 리듬 정보를 생성한다. 연산부(400)는 작업자의 신체리듬이 상승곡선에 있는 경우에는 활동반경, 활동량 및 활동부하량이 많은 작업공간정보를 추천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감성리듬이 상승곡선에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활동반경, 활동량 및 활동부하량은 낮으나 감성정보를 고려한 작업 만족도가 높았던 작업공간을 추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1)는 작업자의 위치정보, 감성정보 및 활동정보를 시간대별로 저장하고, 연산부에서 연산된 추천 작업공간정보를 작업자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500)를 더 포함한다.
작업치료의 관점에서 작업자에게 가장 알맞는 작업환경을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활용하여 제공함으로서 작업자의 만족감을 높이고 작업의 효율성도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공간기반 감성인식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앞선 실시예와 중복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기반 감성인식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기반 감성인식 시스템은 작업자의 위치정보와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단말기(2) 및 상기 단말기(2)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작업자의 감성정보를 생성하고, 작업공간정보를 추천하는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1)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2)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는 작업 공간에 설치된 통신노드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0) 및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생체정보수집모듈(20)을 포함한다.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0)은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특정하고,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출하기 위해서 실내에 설치된 통신노드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방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생체정보수집모듈(20)은 심박수(HR, Heart Rate), 혈압(BP, Blood Pressure), 근전도(EMG, Electromyography), 말초혈관반응(PPG, Peripheral Plethysmography), 안구운동(EOG, Electrooculogram), 피부전기저항(GSR, Galvanic Skin Resistance) 및 피부온도(SKT, Skin Temperatur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생체정보를 수집한다.
생체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단말기(2)는 별도의 웨어러블 기기와 연결될 수 있으며, 센서 등이 별도 부착되어 생체정보를 수집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는 작업자에 의해서 공간기반 감성인식장치(1)에 접속하기 위해서 로그인 및 인증정보를 전송하여 연결을 시도한다. 로그인 및 인증결과 단말기가 공간기반 감성인식장치(1)와 연결되면 단말기(2)의 각 모듈에서 수집한 위치정보와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공간기반 감성인식장치(1)로 전송한다.
앞선 실시예에서 살펴보았던 공간기반 감성인식장치(1)는 단말기(2)로부터 입력된 위치정보와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감성정보와 활동정보를 생성한다. 공간기반 감성인식장치(1)는 연산부(400)에서 생성된 작업자의 만족도 평가정보와 추천 작업공간정보를 단말기(2)로 전송한다.
작업자는 특정 작업 공간 내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공간기반 감성인식장치(10)에서 전송되는 작업자 만족도 평가정보를 확인하고 단말기(2)에 구비되어 있는 입력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개별의견이나 수정평가의견을 공간기반 감성인지장치(1)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공간기반 감성인지장치(1)는 데이터베이스(500)에 작업자의 개별의견이나 수정평가의견을 저장하고, 이후 추천 작업공간정보를 제공할 때 활용한다.
나아가 공간기반 감성인식장치(1)에서 작업자의 단말기(2)로 제공되는 추천 작업공간정보는 이후 작업자의 만족도와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작업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기반 감성인식 시스템이 도입된 작업 공간 예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공간을 A와 B 작업영역이 공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작업자가 문을 통해 들어오는 순간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와 통신노드(51)이 통신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하나의 A와 B 작업영역이 분리된 작업 공간내에 있는 예시도 마찬가지 적용이 가능하다.
단말기(2)는 통신노드에서 유입되는 신호 강도(ex RSSI) 등의 이용가능한 정보를 통해서 작업 공간내 위치정보를 공간기반 감성인식장치(1)로 전송한다. 또한, 단말기(2)에 내장되거나 부착가능한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공간기반 감성인식장치(1)로 전송한다.
A 작업영역은 문서작업을 하는 영역으로서 작업자가 A 작업영역에서 작업할 경우 활동정보의 활동반경, 활동량 및 활동부하량이 낮게 측정될 것으로 예상되고, 감성을 평가하는 생체정보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감성을 평가한 감성정보를 생성한다.
B 작업영역은 상자를 나르는 육체적인 작업영역으로서, 작업자가 B 작업영역에서 작업할 경우 활동정보의 활동반경, 활동량 및 활동부하량은 높게 측정될 것으로 예상되고, 감성을 평가하는 생체정보를 활용하여 마찬가지로 작업자의 감성정보를 생성한다.
A, B 작업영역에서 작업한 결과 생성된 위치정보, 감성정보 및 활동정보는 공간기반 감성인식장치(1)의 데이터베이스(500)에 시간순으로 저장되고, 연산부(400)는 감성정보생성부(200)에서 생성된 스트레스 지수, 우울감, 정서적 안정감 등 평가된 감성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만족도를 평가한다. 또한, 작업자의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A 작업영역에서 높은 만족도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되면, A 작업과 유사한 작업을 하는 공간을 작업자에게 추천한다. 작업자의 만족도는 높음/중간/낮음과 같이 상대적인 구간으로 평가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공간기반 감성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성인식 시스템은 학생의 교과과목 스케쥴에 따른 만족도 평가를 공간기반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넓은 전시장 부스에 방문객의 만족도 평가, 물건을 판매하는 매장에서의 소비자 선호도 평가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위치추출부
200 감성정보생성부
300 활동정보생성부
400 연산부
500 데이터베이스

Claims (7)

  1. 작업 공간 내에서 작업자의 감성정보를 생성하는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로서,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작업 공간을 특정하는 위치추출부;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작업자의 감성을 평가하는 감성정보생성부;
    작업자의 활동반경, 활동량 및 활동부하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활동정보를 생성하는 활동정보생성부; 및
    작업 공간 내에서 작업자의 만족도를 평가하고, 추천 작업공간정보를 생성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추출부는
    작업자가 위치하고 있는 작업 공간을 인식하고, 상기 작업 공간 내에서의 이동경로, 이동거리를 측정하며, 특정 작업 공간으로 작업자가 들어갈때와 이탈할 때를 판단하여 감성정보와 활동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작하거나 중단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작업자의 위치정보, 감성정보 및 활동정보를 시간대별로 저장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추천 작업공간정보를 작업자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심박수(HR, Heart Rate), 혈압(BP, Blood Pressure), 근전도(EMG, Electromyography), 말초혈관반응(PPG, Peripheral Plethysmography), 안구운동(EOG, Electrooculogram), 피부전기저항(GSR, Galvanic Skin Resistance) 및 피부온도(SKT, Skin Temperatur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작업자의 바이오 리듬 정보를 반영한 상기 추천 작업공간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80042153A 2018-04-11 2018-04-11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성인식 시스템 KR102131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153A KR102131213B1 (ko) 2018-04-11 2018-04-11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성인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153A KR102131213B1 (ko) 2018-04-11 2018-04-11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성인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806A KR20190118806A (ko) 2019-10-21
KR102131213B1 true KR102131213B1 (ko) 2020-07-07

Family

ID=6846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153A KR102131213B1 (ko) 2018-04-11 2018-04-11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성인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2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349B1 (ko) * 2019-10-23 2021-05-18 (주)데이터리퍼블릭 활동 정보 기반 스마트 오피스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695B1 (ko) * 2011-05-30 2012-11-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심리지수에 기초한 조언 추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1690B2 (en) 2000-06-16 2007-08-28 Bodymedia, Inc. Apparatus for monitoring health, wellness and fitness
KR100904012B1 (ko) * 2008-06-05 2009-06-22 조용성 공동주택에 대한 맞춤형 주거환경정보 조회시스템의조회방법
KR100986527B1 (ko) * 2008-12-04 2010-10-0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악선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66756B1 (ko) 2010-06-10 2012-07-25 주식회사 메이아이 작업치료 보조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70088356A (ko) 2014-10-27 2017-08-01 플라밍고 벤처스 피티와이 엘티디 고객 경험 개인 맞춤 관리 플랫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695B1 (ko) * 2011-05-30 2012-11-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심리지수에 기초한 조언 추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806A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dam et al. A review on mental stress detection using wearable sensors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Ergan et al. Quantifying human experience in architectural spaces with integrated virtual reality and body sensor networks
Majumder et al. An energy efficient wearable smart IoT system to predict cardiac arrest
Ahn et al. Wearable sensing technology applications in construction safety and health
Smith et al. Monitoring task loading with multivariate EEG measures during complex forms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Mehler et al. Sensitivity of physiological measures for detecting systematic variations in cognitive demand from a working memory task: an on-road study across three age groups
US9339188B2 (en) Methods from monitoring health, wellness and fitness with feedback
Jung et al. Multi-level assessment model for wellness service based on human mental stress level
US9392939B2 (en) Methods using a monitoring device to monitor individual activities, behaviors or habit information and communicate with a database with corresponding individual base information for comparison
US9204798B2 (en) System for monitoring health, wellness and fitness with feedback
Johannessen et al. Psychophysiologic measures of cognitive load in physician team leaders during trauma resuscitation
He et al. Diversity and suitability of the state-of-the-art wearable and wireless EEG systems review
Sarno et al. Real-time electroencephalography-based emotion recognition system
Gervasi et al. Applications of affective computing in human-robot interaction: State-of-art and challenges for manufacturing
CN109124655A (zh) 精神状态分析方法、装置、设备、计算机介质及多功能椅
Gopalakrishnan et al. Mobile phone enabled mental health monitoring to enhance diagnosis for severity assessment of behaviours: a review
KR102131213B1 (ko) 공간기반 감성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성인식 시스템
JP2021045568A (ja) システム及び方法
Cipresso et al. Continuous measurement of stress levels in naturalistic settings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An experience-sampling study driving a machine learning approach
Thanasekhar et al. Machine learning based academic stress management system
Spencer et al. A Comparison of Unimodal and Multimodal Measurements of Driver Stress in Real-World Driving Conditions
Lim et al. Developing a mobile wellness management system for healthy lifestyle by analyzing daily living activities
Jung et al. Wellness contents recommendation based on human emotional and health status using em
Albashiti et al. A novel neuro-fuzzy model to detect human emotions using different set of vital factors with performance index measure
Ye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latform for collecting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data for mood status infer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