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493A - 차단성 다층 용기 - Google Patents

차단성 다층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493A
KR20060049493A KR1020050047121A KR20050047121A KR20060049493A KR 20060049493 A KR20060049493 A KR 20060049493A KR 1020050047121 A KR1020050047121 A KR 1020050047121A KR 20050047121 A KR20050047121 A KR 20050047121A KR 20060049493 A KR20060049493 A KR 20060049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olefin
nanocomposite blend
nanocomposite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3592B1 (ko
Inventor
김명호
오영탁
양영철
김민기
신재용
김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TW094134621A priority Critical patent/TWI265090B/zh
Priority to EP05856474A priority patent/EP1807470A4/en
Priority to JP2007538816A priority patent/JP2008518848A/ja
Priority to PCT/KR2005/003323 priority patent/WO2006080712A1/en
Priority to US11/249,863 priority patent/US20060094810A1/en
Publication of KR20060049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rrosive chemic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층과 나노복합체 블렌드층을 포함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에 관한 것으로, 휘발유나 가소홀과 접촉하였을 때 접착강도가 충분히 유지되고, 내구성이 장기간에 걸쳐 우수하며, 휘발유 및 유기용매 차단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연료탱크로 적합하다.

Description

차단성 다층 용기{Multi-layer container having barrier property}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층 및 나노복합체 블렌드층을 포함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연료탱크, 농약, 화장품, 식품 등을 충전하는 용기는 주로 중공성형 방식으로 제조하게 된다. 이렇게 중공성형 방식으로 제조되는 경우 자체적으로 소정의 강도를 갖게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용물이 새는 것을 막기 위해 차단성을 높이는 것도 중요한 과제이다.
자동차 연료탱크의 경우 주 내용물인 연료에 대한 차단성을 높이기 위한 재료로는 HDPE의 내벽에 불소로 표면코팅한 것과, HDPE와 SELAR(제조사명:Dupont,USA)를 혼합하여 중공성형한 것과, 내층과 외층으로 HDPE를 사용하고 그 사이에 내연료층인 EVOH와 재생재층인 리그라인드(REGRIND)층을 사용한 다층 구조의 것 등 여러가지가 있다. 그러나 불소로 표면처리한 연료탱크의 경우 장시간동안 사용하다 보면 연료에 의해 불소코팅이 마모되어 내연료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연료탱크의 충격강도가 약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HDPE와 SELAR를 혼합한 경우는 리사이클성이 떨어지게 되고 알코올을 포함한 연료에 대한 차단성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다층 구조는 통상적으로 HDPE/리그라인드층/접착층/EVOH/접착층/HDPE의 구조를 가지는데, SELAR와 HDPE를 혼합한 경우 및 불소 표면처리한 HDPE 연료탱크보다 우수한 차단성을 보인다. 그러나 상기 다층구조 용기도 최근 엄격해진 자동차 증발가스 규제인 무공해차(PZEV:Partial Zero-Emmision Vehicle) 규제를 만족하지는 못하여 다시 스틸 재질로 변경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층 구조 용기는 내벽 안에 있는 휘발유가 HDPE층과 리그라인드층을 뚫고 들어가 EVOH층과 리그라인드층 사이에 존재하는 접착층이 휘발유에 침지되어 팽윤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고온에서는 접착강도가 낮아지는 것이 통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PZEV 규제를 만족하는 우수한 차단성을 발휘하고, 휘발유나 가소홀과 접촉하여도 충분한 접착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내구성이 장기간에 걸쳐 우수하며, 고온에서도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차량용 연료탱크 및 농약, 화공약품 용기 등에 사용하기 적합한 차단성 다층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나노복합체 블렌드층; 및
폴리올레핀층, 차단성수지층 및 리그라인드층 중에서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로서, 상기 나노복합체 블렌드층이
(a) 폴리올레핀 수지 40 내지 98중량부;
(b) (i)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 폴리아미드/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 이오노머/층상점토화합물 및 폴리비닐알코올/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차단성 수지 나노복합체 0.5 내지 60중량부; 및
상용화제 1 내지 30중량부가 건조 혼합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태양에 의하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태양에 의하면, 상기 층상점토화합물이 몬트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카올리나이트, 마이카, 헥토라이트, 불화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베이델라이트, 논트로나이트, 스티븐사이트, 버미큘라이트, 할로사이트, 볼콘스코이트, 석코나이트, 마가다이트 및 케냐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태양에 의하면, 상기 폴리아미드가 1) 나일론4.6, 2) 나일론6, 3) 나일론6.6, 4) 나일론6.10, 5) 나일론 7, 6) 나일론 8, 7) 나일론 9, 8) 나일론 11, 9) 나일론 12, 10)나일론 46, 11) MXD6, 12) 무정형 폴리아미드, 13) 1)~12)의 폴리아미드중 2 이상의 성분을 갖는 공중합 폴리아미드, 또는 14) 1)~12)의 폴리아미드중 2이상의 혼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태양에 의하면, 상기 이오노머가 용융 지수 0.1 내지 10g/10분(190℃, 2,160g)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태양에 의하면, 상기 상용화제가 에틸렌-무수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무수말레산 변성(그래프트)고밀도 폴리에틸렌, 무수말레산 변성(그래프트)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알킬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무수말레산 변성(그래프트)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태양에 따르면 상기 차단성수지는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이오노머, 폴리비닐알코올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태양에 따르면 상기 차단성 다층 용기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단성 다층 용기는 나노복합체 블렌드층; 및 폴리올레핀층, 차단성수지층 및 리그라인드층 중에서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복합체 블렌드층이 (a) 폴리올레핀 수지 40 내지 98중량부; (b) (i)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 폴리아미드/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 이오노머/층상점토화합물 및 폴리비닐알코올/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차단성수지 나노복합체 0.5 내지 60중량부; 및 (c) 상용화제 1 내지 30중량부가 건조 혼합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성 나노복합체중 차단성수지와 층상점토화합물의 중량비는 58.0: 42.0 내지 99.9: 0.1이며, 바람직하게는 85.0: 15.0 내지 99.0: 1.0이다. 상기 차단성수지의 중량비가 58.0 미만이면 층상점토화합물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여 분산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차단성수지의 중량비가 99.9를 초과하면 차단성 상승효과가 미미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dethylen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의 호모폴리머, 코폴리머,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 및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에 탈크, 난연제 등을 첨가하여 일반 폴리프로필렌의 물성을 강화한 복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40 내지 9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6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올레핀 수지가 40 중량부 미만이면 성형이 용이하지 않고 98중량부를 초과하면 차단성 향상효과가 떨어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차단성수지 나노복합체는 층상점토화합물(clay)을 에틸 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폴리아미드(polyamide), 이오노머(ionomer) 및 폴리비닐알코올(PV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차단성수지와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층상점토화합물은 유기물이 층상점토화합물의 층간 사이에 게재되어 있는 유기화된 층상점토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층상점토화합물 내의 유기물 함량은 1 내지 4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물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층상점토화합물과 차단성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지고, 45중량%를 초과하면 차단성수지 사슬의 층간 삽입이 용이하지 못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층상 점토화합물은 몬트모릴로나이트(montmorllonite), 벤토나이트(bentonite), 카올리나이트(kalinite), 마이카(mica), 헥토라이트(hectorite), 불화헥토라이트(fluorohectorite), 사포나이트(saponite), 베이델라이트(beidelite), 논트로나이트(nontronite), 스티븐사이트(stevens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할로사이트(hallosite), 볼콘스코이트(volkonskoite), 석코나이트(suconite), 마가다이트(magadite), 및 케냐라이트(kenyalit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기물은 1내지 4차 암모늄(quaternary ammonium), 포스포늄(phosphonium), 말레에이트(maleate), 석시네이트(succinate), 아크릴레이트(acrylate), 벤질릭 하이드로젠(benzyic hydrogens),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Disteayldimethyl ammonium) 및 옥사졸린(oxazol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기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은 10 내지 5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의 함량이 10몰% 미만일 경우에는 가공성이 저하되어 용융성형이 어려우며, 50몰% 초과할 경우에는 산소 차단성, 및 액체 차단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태양에 의하면, 상기 폴리아미드가 1) 나일론4.6, 2) 나일론6, 3) 나일론6.6, 4) 나일론6.10, 5) 나일론 7, 6) 나일론 8, 7) 나일론 9, 8) 나일론 11, 9) 나일론 12, 10)나일론 46, 11) MXD6, 12) 무정형 폴리아미드, 13) 1)~12)의 폴리아미드중 2 이상의 성분을 갖는 공중합 폴리아미드, 또는 14) 1)~12)의 폴리아미드중 2이상의 혼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오노머는 아크릴산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용융지수는 0.1 내지 10 g/10min(190 ℃, 2,160 g)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성수지 나노복합체는 0.5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차단성수지 나노복합체가 0.5중량부 미만이면 차단성 향상효과가 적고, 60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이 용이하지 못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차단성수지 나노복합체에서 층상점토화합물이 불연속상인 차단성수지 내부에 미세하게 박리될수록 뛰어난 차단 효과를 발휘한다. 이는 차단성수지 내부에 미세하게 박리된 층상점토화합물이 차단막을 형성하게 되어 차단성수지 자체의 차단성 및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궁극적으로 조성물의 차단성 및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까지 얻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단성 수지와 층상점토화합물을 혼련하여 차단성수지 내에 층상점토화합물을 나노크기로 분산시켜 고분자 사슬과 층상점토화합물과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여 가스 투과 억제 및 액체 투과 억제 기능을 극대화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용화제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와 차단성수지 나노복합체와의 상용성을 향상시켜 안정한 구조의 조성물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상용화제는 극성기를 함유하는 탄화수소계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기를 함유하는 탄화수소계 중합체를 사용할 경우, 중합체의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탄화수소 중합체 부분에 의해 상용화제와 폴리올레핀 수지, 및 상용화제와 차단성 수지 나노복합체와의 친화성이 양호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에 안정한 구조를 형성시킨다.
상기 탄화수소계 중합체는 에폭시 변성 폴리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무수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무수말레산 변성(그래프트)고밀도 폴리에틸렌, 무수말레산 변성(그래프트)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알킬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무수말레산 변성(그래프트)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된 화합물, 또는 이들의 변성물인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는 1 내지 3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상용화제가 1중량부 미만이면 조 성물의 성형시 성형물의 기계적 물성이 나쁘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제품의 성형가공이 용이하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에폭시 변성 폴리스티렌 공중합체를 상용화제로 사용할 경우에는 스티렌 70 내지 99 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쇄와 화학식 2의 아크릴계 단량체 1 내지 8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가지를 포함하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2939663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분자구조의 말단에 이중결합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 또는 탄소수 5 내지 20의 방향족 화합물의 잔기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5029396637-PAT00002
또한, 상기 무수말레산 변성(그래프트)고밀도 폴리에틸렌, 무수말레산 변성(그래프트)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무수말레산 변성(그래프트)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각각 주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수말레산 0.1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가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수말레산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상용화제 및 접착층으로서 성능발휘가 어렵고 10중량부 이상이면 조성물을 성형할 시 냄새가 많이 나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 블렌드층 제조시 각 성분을 건조 혼합하게 되는데, 이는 펠릿 형태의 차단성수지 나노복합체, 상용화제 및 폴리올레핀 화합물을 일정한 조성비로 펠릿 혼합기에 동시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건조혼합된 나노복합체 블랜드 조성물을 압출하여 층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차단성 다층 용기를 구성하는 차단성수지층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이오노머 및 폴리비닐알코올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단성 다층 용기를 구성하는 리그라인드층은 다층 용기를 구성하게 되는 각 층 성분의 비사용 부분을 분쇄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분쇄한 적층물을 압출기 등으로 혼련하여 얻어지는 조성물로 형성되며, 다층 용기의 목적을 이탈하지 않는 한 존재시킬 수 있다. 또한 반드시 회수된 비사용 부분만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를 배합하여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차단성 다층 용기는 또한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으로는 상기 상용화제와 동일한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 층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접착층은 극성기를 함유하는 탄화수소계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탄화수소계 중합체로는 에폭시 변성 폴리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무수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 합체,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무수말레산 변성(그래프트)고밀도 폴리에틸렌, 무수말레산 변성(그래프트)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알킬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무수말레산 변성(그래프트)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변성물인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차단성 다층 용기를 구성하는 각 층들은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한, 충전제, 안정제, 윤활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발포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단성 다층 용기를 구성하는 나노복합체 블랜드층은 (a) 폴리올레핀 수지 70 내지 96중량부; (b) (i)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 폴리아미드/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 이오노머/층상점토화합물 및 폴리비닐알코올/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차단성 나노복합체 3 내지 30중량부; 및 (c) 상용화제 2 내지 15중량부가 건조 혼합된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바람직한 조성범위로 기재하였습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성 다층 용기는 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랜드층/리그라인드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차단성수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리그라인드층/폴 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 리그라인드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리그라인드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리그라인드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 폴리올레핀층/리그라인드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 및 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리그라인드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차단성 다층 용기는 리그라인드층/폴리올레핀층/접착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차단성 수지층/접착층/리그라인드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차단성 수지층/접착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 차단성 수지층/접착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리그라인드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접착층/차단성 수지층/접착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접착층/차단성 수지층/접착층/폴리올레핀층, 폴리올레핀층/접착층/차단성수지층/접착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리그라인드층/접착층/차단성수지층/접착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접착층/차단성수지층/접착층/폴리올레핀층, 폴리올레핀층/리그라인드층/접착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접착층/폴리올레핀층, 및 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접착층/차단성수지층/접 착층/폴리올레핀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단성 다층 용기는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 각각을 용융할 수 있는 복수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각 수지를 용융 성형한 후 압출기의 각각의 선단으로부터 용융 패리손으로 만들어 공압출하여, 형틀을 둘러싸고 패리슨 내부에 가압유체를 주입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고, 그 패리슨을 냉각 고화시켜서 형틀로부터 꺼내는 공지의 공압출 블로성형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단성 다층 용기는 휘발유 배리어 특성이 우수하고, 충격강도가 높으며, 층간 접착성, 내구성 및 내열접착성이 우수하므로, 차량용 연료탱크로서 유효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은 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서 사용한 재료는 다음과 같다:
EVOH: Kuraray사(Japan) 제품 E105B 사용
나일론 6: KP 케미칼즈 제품 EN 300
HDPE-g-MAH: 상용화제. 크램프튼(CRAMPTON) 제품 PB3009 사용
HDPE: Basell lupolene 4261AG 사용
클레이: SCP 제품 Closite 30B 사용
열안정제: 송원산업의 제품 IR 1098 사용
접착성수지 : LG화학 AB130
제조예 1(EVOH-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 제조)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E-105B(에틸렌 함유율 44 몰%), 일본 Kuraray사, 용융지수: 5.5 g/10min, 밀도: 1.14 g/㎤)) 97 중량% 를 이축압출기(SM 플라텍 동방향 회전 이축 압출기, Φ40)의 주호퍼에 투입하고, 층상점토화합물로 유기화된 몬트모릴로나이트(Southern 층상점토화합물 Products, 미국 Closite 20A) 3 중량% 및 상기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유기화된 몬트모릴로나이트를 합한 양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안정제 IR 1098 0.1중량부를 사이드 피더에 분리투입한 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를 펠릿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때 압출 온도는 180-190-200-200-200-200-200 ℃이고, 스크류 속도는 300 rpm이고, 토출조건은 30 ㎏/hr였다.
제조예 2(나일론 6-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 제조)
폴리아미드(나일론 6, EN300) 97 중량%를 이축압출기(SM 플라텍 동방향 회전 이축 압출기, Φ40)의 주호퍼에 투입하고, 층상 점토화합물로 유기화된 몬트모릴로나이트 3 중량% 및 상기 폴리아미드와 유기화된 몬트모릴로나이트를 합한 양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안정제 IR 1098 0.1중량부를 사이드 피더에 분리투입한 후, 폴리아미드/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를 펠릿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때 압출 온도는 220-225-245-245-245-245-245 ℃이고, 스크류 속도는 300 rpm이고, 토출조건은 40 ㎏/hr였다.
실시예 1
층[A]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EVOH 나노복합체 30중량부, 상용화제 4중량부, 및 HDPE 66중량부를 건조 혼합하여 나노복합체 블랜드층[A]으로 사용될 펠릿 형태의 건조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층[C] : PE 주쇄에 말레산무수물(Maleic Anhydride, MAH)을 그래프트시켜 극성기를 도입한 LG화학의 AB130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D] : Kuraray사의 EVOH(E105B)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E]: Basell의 Lupolene 4261(HMWPE)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B]: 층[A], [C], [D], [E]로 된 블로성형물의 버(burr)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압출기로 압출하여 층(B)의 펠릿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펠릿을 사용하여 층 (A)/(B)/(C)/(D)/(C)/(A) 순서로 공압출 다이(다이온도230oC)에서 패리슨으로 압출하고 용융상태의 패리슨을 형틀 내에 재치하여 5kg/cm2의 압축공기를 패리슨 내에 불어넣고, 냉각한 후에 생성된 성형물을 형틀로부터 꺼내었다. 이렇게 하여 층의 두께 구성이 0.5/0.3/0.2/0.2/0.2/0.5mm, 직경이 80mm, 높이가 200mm, 용적이 500ml인 병을 얻었다. 이 병 내부에 Ref.C (톨루엔 50%/이소옥탄 50%혼합물)를 500g 충진한 후 60oC 조건의 항온실에 60일간 방치하였다. 30일 후 내용물 변화량을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내용물 변화량 측정 직후 내용물을 비우고, 5분 후에 이 병의 측면으로부터 15mm폭의 시편을 절단하고, 80oC의 항온실에서 층(B)와 층(C)간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박리시험 측정법은 박리속도를 50mm/분으로 한 T-박리법을 채용하였다. 접착력의 측정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층[A]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나일론6 나노복합체 30중량부, 상용화제 4중량부, 및 HDPE 66중량부를 건조 혼합기(명우분체 시스템 Double cone mixer, MYDCM-100) 내에 투입하여 30분간 건조 혼합하여 나노복합체 블랜드층[A]으로 사용될 펠릿 형태의 건조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층[C] : PE 주쇄에 말레산무수물(Maleic Anhydride, MAH)을 그래프트시켜 극성기를 도입한 LG화학의 AB130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D] : Kuraray사의 EVOH(E105B)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E]: Basell의 Lupolene 4261(HMWPE)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B]: 층[A], [C], [D], [E]로 된 블로성형물의 버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압출기로 압출하여 층(B)의 펠릿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펠릿을 사용하여 층 (A)/(B)/(C)/(D)/(C)/(A) 순서로 공압출 다이(다이온도 230oC)에서 패리슨으로 압출하고 용융상태의 패리슨을 형틀 내에 재치하여 5kg/cm2의 압축공기를 패리슨 내에 불어넣고, 냉각한 후에 생성된 성형물을 형틀로부터 꺼내었다. 이렇게하여 층의 두께 구성이 0.5/0.3/0.2/0.2/0.2/0.5mm, 직경이 80mm, 높이가 200mm, 용적이 500ml인 병을 얻었다. 이 병 내부에 Ref.C(톨루엔 50% + 이소옥탄 50%)를 500g 충진한 후 60oC 조건의 항온실에 60일간 방치하였 다. 30일 후 내용물 변화량을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내용물 변화량 측정 직후 내용물을 비우고, 5분 후에 이 병의 측면으로부터 15mm 폭의 시편을 절단하고, 80oC 의 항온실에서 층(B)와 층(C)간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박리시험 측정법은 박리속도를 50mm/분으로 한 T-박리법을 채용하였다. 접착력의 측정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층[A]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나일론6 나노복합체 30중량부, 상용화제 4중량부, 및 HDPE 66중량부를 건조 혼합기(명우분체 시스템 Double cone mixer, MYDCM-100) 내에 투입하여 30분간 건조 혼합하여 나노복합체 블랜드층[A]으로 사용될 펠릿형태의 건조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층[C] : PE 주쇄에 말레산무수물(Maleic Anhydride, MAH)을 그래프트시켜 극성기를 도입한 LG화학의 AB130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D] : Kuraray사의 EVOH(E105B)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E]: Basell의 Lupolene 4261(HMWPE)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B]: 층[A], [C], [D], [E]로 된 블로성형물의 버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압출기로 압출하여 층(B)의 펠릿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펠릿을 사용하여 층 (E)/(B)/(A)/(E)/(A)/(E) 순서로 공압출 다이(다이온도 230oC)에서 패리슨으로 압출하고 용융상태의 패리슨을 형틀 내에 재치하여 5kg/cm2의 압축공기를 패리슨 내에 불어넣고, 냉각한 후에 생성된 성형물을 형 틀로부터 꺼내었다. 이렇게 하여 층의 두께 구성이 0.5/0.3/0.2/0.2/0.2/0.5mm, 직경이 80mm, 높이가 200mm, 용적이 500ml인 병을 얻었다. 이 병 내부에 Ref. C(톨루엔 50% + 이소옥탄 50%)를 500g 충진한 후 60oC 조건의 항온실에 60일간 방치하였다. 30일 후 내용물 변화량을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내용물 변화량 측정직후 내용물을 비우고, 5분 후에 이 병의 측면으로부터 15mm 폭의 시편을 절단하고, 80oC 의 항온실에서 층(B)와 층(A)간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박리시험 측정법은 박리속도를 50mm/분으로 한 T-박리법을 채용하였다. 접착력의 측정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층[A]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나일론6 나노복합체 4중량부, 상용화제 2중량부, 및 HDPE 94중량부를 건조 혼합기(명우분체 시스템 Double cone mixer, MYDCM-100) 내에 투입하여 30분간 혼합하여 나노복합체 블랜드층[A]으로 사용될 펠릿형태의 건조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층[C] : PE 주쇄에 말레산무수물(Maleic Anhydride, MAH)을 그래프트시켜 극성기를 도입한 LG화학의 AB130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D] : Kuraray사의 EVOH(E105B)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E]: Basell의 Lupolene 4261(HMWPE)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B]: 층[A], [C], [D], [E]로 된 블로성형물의 버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압출기로 압출하여 층(B)의 펠릿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펠릿을 사용하여 층 (E)/(B)/(A)/(E)/(A)/(E) 순서로 공압출 다이(다이온도 230oC)에서 패리슨으로 압출하고 용융상태의 패리슨을 형틀 내에 재치하여 5kg/cm2의 압축공기를 패리슨 내에 불어넣고, 냉각한 후에 생성된 성형물을 형틀로부터 꺼내었다. 이렇게 하여 층의 두께 구성이 0.5/0.3/0.2/0.2/0.2/0.5mm, 직경이 80mm, 높이가 200mm, 용적이 500ml인 병을 얻었다. 이 병 내부에 Ref. C(톨루엔 50% + 이소옥탄 50%)를 500g 충진한 후 60oC 조건의 항온실에 60일간 방치하였다. 30일 후 내용물 변화량을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내용물 변화량 측정직후 내용물을 비우고, 5분 후에 이 병의 측면으로부터 15mm 폭의 시편을 절단하고, 80oC 의 항온실에서 층(B)와 층(A)간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박리시험 측정법은 박리속도를 50mm/분으로 한 T-박리법을 채용하였다. 접착력의 측정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층[A]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나일론6 나노복합체 45중량부, 상용화제 15중량부, 및 HDPE 40중량부를 건조 혼합기(명우분체 시스템 Double cone mixer, MYDCM-100) 내에 투입하여 30분간 건조 혼합하여 나노복합체 블랜드층[A]으로 사용될 펠릿형태의 건조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층[C] : PE 주쇄에 말레산무수물(Maleic Anhydride, MAH)을 그래프트시켜 극성기를 도입한 LG화학의 AB130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D] : Kuraray사의 EVOH(E105B)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E]: Basell의 Lupolene 4261(HMWPE)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B]: 층[A], [C], [D], [E]로 된 블로성형물의 버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압출기로 압출하여 층(B)의 펠릿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펠릿을 사용하여 층 (E)/(B)/(A)/(E)/(A)/(E) 순서로 공압출 다이(다이온도 230oC)에서 패리슨으로 압출하고 용융상태의 패리슨을 형틀 내에 재치하여 5kg/cm2의 압축공기를 패리슨 내에 불어넣고, 냉각한 후에 생성된 성형물을 형틀로부터 꺼내었다. 이렇게 하여 층의 두께 구성이 0.5/0.3/0.2/0.2/0.2/0.5mm, 직경이 80mm, 높이가 200mm, 용적이 500ml인 병을 얻었다. 이 병 내부에 Ref. C(톨루엔 50% + 이소옥탄 50%)를 500g 충진한 후 60oC 조건의 항온실에 60일간 방치하였다. 30일 후 내용물 변화량을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내용물 변화량 측정직후 내용물을 비우고, 5분 후에 이 병의 측면으로부터 15mm 폭의 시편을 절단하고, 80oC 의 항온실에서 층(B)와 층(A)간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박리시험 측정법은 박리속도를 50mm/분으로 한 T-박리법을 채용하였다. 접착력의 측정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층[A]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나일론6 나노복합체 45중량부는 벨트형 피더(K-TRON 1호기), 상용화제 15중량부는 벨트형 피더(K-TRON 2호기), 및 HDPE 40 중량부는 벨트형 피더(K-TRON 3호기)를 사용하여 건조 혼합하여 나노복합체 블랜드층[A]을 가공하는 압출기의 주호퍼내로 투입하였다.
층[C] : PE 주쇄에 말레산무수물(Maleic Anhydride, MAH)을 그래프트시켜 극성기를 도입한 LG화학의 AB130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D] : Kuraray사의 EVOH(E105B)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E]: Basell의 Lupolene 4261(HMWPE)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B]: 층[A], [C], [D], [E]로 된 블로성형물의 버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압출기로 압출하여 층(B)의 펠릿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펠릿을 사용하여 층 (E)/(B)/(A)/(E)/(A)/(E) 순서로 공압출 다이(다이온도 230oC)에서 패리슨으로 압출하고 용융상태의 패리슨을 형틀 내에 재치하여 5kg/cm2의 압축공기를 패리슨 내에 불어넣고, 냉각한 후에 생성된 성형물을 형틀로부터 꺼내었다. 이렇게 하여 층의 두께 구성이 0.5/0.3/0.2/0.2/0.2/0.5mm, 직경이 80mm, 높이가 200mm, 용적이 500ml인 병을 얻었다. 이 병 내부에 Ref. C(톨루엔 50% + 이소옥탄 50%)를 500g 충진한 후 60oC 조건의 항온실에 60일간 방치하였다. 30일 후 내용물 변화량을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내용물 변화량 측정직후 내용물을 비우고, 5분 후에 이 병의 측면으로부터 15mm 폭의 시편을 절단하고, 80oC 의 항온실에서 층(B)와 층(A)간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박리시험 측정법은 박리속도를 50mm/분으로 한 T-박리법을 채용하였다. 접착력의 측정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층[C] : PE 주쇄에 말레산무수물(Maleic Anhydride, MAH)을 그래프트시켜 성기를 도입한 LG화학의 AB130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D] : Kuraray사의 EVOH(E105B)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E]: Basell의 Lupolene 4261(HMWPE)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B]: 층 [C], [D], [E]로 된 블로성형물의 버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압출기로 압출하여 층(B)의 펠릿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펠릿을 사용하여 층 (E)/(B)/(C)/(D)/(C)/(E) 순서로 공압출 다이(다이온도 230oC)에서 패리슨으로 압출하고 용융상태의 패리슨을 형틀 내에 재치하여 5kg/cm2의 압축공기를 패리슨 내에 불어넣고, 냉각한 후에 생성된 성형물을 형틀로부터 꺼내었다. 이렇게 하여 층의 두께 구성이 0.5/0.3/0.2/0.2/0.2/0.5mm, 직경이 80mm, 높이가 200mm, 용적이 500ml인 병을 얻었다. 이 병 내부에 Ref.C(톨루엔 50% + 이소옥탄 50%)를 500g 충진한 후 60oC 조건의 항온실에 60일간 방치하였다. 30일 후 내용물 변화량을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내용물 변화량 측정직후 내용물을 비우고, 5분 후에 이 병의 측면으로부터 15mm폭의 시편을 절단하고, 80oC 의 항온실에서 층(B)와 층(C)간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박리시험 측정법은 박리속도를 50mm/분으로 한 T-박리법을 채용하였다. 접착력의 측정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층[C] : PE 주쇄에 말레산무수물(Maleic Anhydride, MAH)을 그래프트시켜 극성기를 도입한 LG화학의 AB130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D] : KP Chemical사의 나일론6 (EN300)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E]: Basell의 Lupolene 4261(HMWPE) 펠릿을 사용하였다.
층[B]: 층 [C], [D], [E]로 된 블로성형물의 버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압출기로 압출하여 층(B)의 펠릿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펠릿을 사용하여 층 (E)/(B)/(C)/(D)/(C)/(E)을 이 순서로 공압출 다이(다이온도 230oC)에서 패리슨으로 압출하고 용융상태의 패리슨을 형틀 내에 재치하여 5kg/cm2의 압축공기를 패리슨 내에 불어넣고, 냉각한 후에 생성된 성형물을 형틀로부터 꺼내었다. 이렇게 하여 층의 두께 구성이 0.5/0.3/0.2/0.2/0.2/0.5mm, 직경이 80mm, 높이가 200mm, 용적이 500ml인 병을 얻었다. 이 병 내부에 Ref.C(톨루엔 50% + 이소옥탄 50%)를 500g 충진한 후 60oC 조건의 항온실에 60일간 방치하였다. 30일 후 내용물 변화량을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내용물 변화량 측정직후 내용물을 비우고, 5분 후에 이 병의 측면으로부터 15mm폭의 시편을 절단하고, 80oC 의 항온실에서 층(B)와 층(C)간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박리시험 측정법은 박리속도를 50mm/분으로 한 T-박리법을 채용 하였다. 접착력의 측정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차단성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500ml 용기에 내용물로 Ref.C(톨루엔 50% + 이소옥탄 50%)를 500g 씩 충진한 다음 , 60℃의 항온 오븐에서 60일 동안 방치 후의 중량을 재어 그 중량 변화율을 점검하였다.
박리강도 측정
내용물 변화량 측정 직후 내용물을 비우고, 5분 후에 이 병의 측면으로부터 15mm 폭의 시편을 절단하고, 80oC 의 항온실에서 층(B)와 층(C)간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박리시험 측정법은 박리속도를 50mm/분으로 한 T-박리법을 채용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용기의 무게 감소량 (g)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무게 감소량 0.9g 0.5g 1.1g 1.2g 0.3g 0.4g 1.2g 11.5g
실시예 및 비교예의 용기의 박리 강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박리강도 (gf) 6200 7500 8100 8600 7100 7000 1800 2400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6에 따른 용기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용기에 비하여 차단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1 및 비교예2의 용기에 비하여 박리강도가 더 컸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차단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휘발유나 가소홀에 접혹하여도 충분한 접착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장기간의 내구성과 고온에서의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차량용 연료탱크로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층플라스틱용기를 제공한다.

Claims (18)

  1. 나노복합체 블렌드층; 및
    폴리올레핀층, 차단성수지층 및 리그라인드층 중에서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로서, 상기 나노복합체 블렌드층이
    (a) 폴리올레핀 수지 40 내지 98중량부;
    (b) (i)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 폴리아미드/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 이오노머/층상점토화합물 및 폴리비닐알코올/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차단성 수지 나노복합체 0.5 내지 60중량부; 및
    (c) 상용화제 1 내지 30중량부가 건조 혼합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체 블렌드층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dethylen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점토화합물이 몬트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카올린나이트, 마이카, 헥토라이트, 불화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베이델라이트,논트로나이트, 스티븐사이트, 버미큘라이트, 할로사이트, 볼콘스코이트, 석코나이트, 마가다이트 및 케냐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점토화합물이 층상점토화합물 내에 1 내지 45중량%의 유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이 1내지 4차 암모늄, 포스포늄, 말레에이트, 석시네이트, 아크릴레이트, 벤질릭 하이드로젠,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 및 옥사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중 에틸렌 함량이 10 내지 50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가 1) 나일론4.6, 2) 나일론6, 3) 나일론6.6, 4) 나일론6.10, 5) 나일론 7, 6) 나일론 8, 7) 나일론 9, 8) 나일론 11, 9) 나일론 12, 10)나일론 46, 11) MXD6, 12) 무정형 폴리아미드 13) 1)~12)의 폴리 아미드중 2 이상의 성분을 갖는 공중합 폴리아미드, 또는 14) 1)~12)의 폴리아미드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노머가 용융 지수 0.1 내지 10g/10분(190℃, 2,160g)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가 에틸렌-무수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무수말레산 변성(그래프트)고밀도 폴리에틸렌, 무수말레산 변성(그래프트)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알킬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무수말레산 변성(그래프트)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압출 성형, 압공 성형 또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체 블랜드층이 (a) 폴리올레핀 수지 70 내지 96중량부; (b) (i)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 폴리 아미드/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 이오노머/층상점토화합물 및 폴리비닐알코올/층상점토화합물 나노복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차단성 나노복합체 3 내지 30중량부; 및 (c) 상용화제 2 내지 15중량부가 건조 혼합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성수지층이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이오노머 및 폴리비닐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
  13.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랜드층/리그라인드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차단성수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리그라인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 리그라인드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리그라인드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리그라인드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 층, 폴리올레핀층/리그라인드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 및 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리그라인드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에틸렌-무수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무수말레산 변성(그래프트)고밀도 폴리에틸렌, 무수말레산 변성(그래프트)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알킬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무수말레산 변성(그래프트)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리그라인드층/폴리올레핀층/접착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차단성 수지층/접착층/리그라인드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차단성 수지층/접착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 차단성 수지층/접착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리그라인드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접착층/차단성 수지층/접착층/나노복합체 블렌 드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접착층/차단성 수지층/접착층/폴리올레핀층, 폴리올레핀층/접착층/차단성수지층/접착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리그라인드층/접착층/차단성수지층/접착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 나노복합체 블렌드층/폴리올레핀층/접착층/차단성수지층/접착층/폴리올레핀층, 폴리올레핀층/리그라인드층/접착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접착층/폴리올레핀층, 및 폴리올레핀층/나노복합체 블렌드층/접착층/차단성수지층/접착층/폴리올레핀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성 나노복합체중 차단성수지와 층상점토화합물의 중량비는 58.0: 42.0 내지 99.9: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 다층 용기.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단성 다층 용기를 사용한 차량용 연료탱크.
KR1020050047121A 2004-11-01 2005-06-02 차단성 다층 용기 KR100843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4134621A TWI265090B (en) 2004-11-01 2005-10-04 Multi-layer container having barrier property
EP05856474A EP1807470A4 (en) 2004-11-01 2005-10-07 MULTILAYER CONTAINER WITH LOCKING PROPERTY
JP2007538816A JP2008518848A (ja) 2004-11-01 2005-10-07 遮断性多層容器
PCT/KR2005/003323 WO2006080712A1 (en) 2004-11-01 2005-10-07 Multi-layer container having barrier property
US11/249,863 US20060094810A1 (en) 2004-11-01 2005-10-13 Multi-layer container having barrier proper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87925 2004-11-01
KR1020040087925 2004-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493A true KR20060049493A (ko) 2006-05-19
KR100843592B1 KR100843592B1 (ko) 2008-07-03

Family

ID=3714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121A KR100843592B1 (ko) 2004-11-01 2005-06-02 차단성 다층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43592B1 (ko)
CN (1) CN1010484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699A (ko) * 2014-01-31 2016-09-3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나노복합체 포장 필름
CN115490950A (zh) * 2022-10-28 2022-12-20 常州胜威塑料有限公司 一种耐溶剂性改性聚乙烯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30465A (zh) * 2011-05-31 2012-01-25 厦门建霖工业有限公司 一种双层功能性马桶水箱箱体及其制备方法
CN102492210B (zh) * 2011-12-21 2014-03-12 上海紫华包装有限公司 一种包装用高阻隔抗紫外线瓶及其制备方法
CN105968571A (zh) * 2016-06-24 2016-09-28 江苏通全球工程管业有限公司 一种多层复合塑料化粪池
CN107189179A (zh) * 2017-06-09 2017-09-22 安徽零度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电池箱体材料的制备方法
CN107629383B (zh) * 2017-09-08 2020-08-18 深圳市通产丽星股份有限公司 一种氧化石墨烯复合薄膜材料及其制备方法、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699A (ko) * 2014-01-31 2016-09-3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나노복합체 포장 필름
CN115490950A (zh) * 2022-10-28 2022-12-20 常州胜威塑料有限公司 一种耐溶剂性改性聚乙烯及其制备方法
CN115490950B (zh) * 2022-10-28 2024-05-28 常州胜威塑料有限公司 一种耐溶剂性改性聚乙烯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3592B1 (ko) 2008-07-03
CN101048451A (zh) 200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18848A (ja) 遮断性多層容器
KR100843592B1 (ko) 차단성 다층 용기
EP1817373B1 (en) Article having barrier property
KR100508907B1 (ko) 차단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블렌드 조성물
KR100733921B1 (ko) 고차단성 나노복합체 조성물
JP2008518076A (ja) 遮断性チューブ容器
WO2006062314A1 (en) Article having high barrier property
KR101002050B1 (ko) 차단성 다층 물품
JP4642195B2 (ja) 樹脂組成物ペレットおよび成形物
AU732062B2 (en) Multilayer plastic container
JP3574500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多層構造体
KR20060063596A (ko) 차단성 튜브 용기
EP4349908A1 (en) Composition and liner for high-pressure gas storage tank comprising same
CN108431120B (zh) 包含乙烯-乙烯醇共聚物的树脂组合物、层叠体和成形品
JP3805386B2 (ja) 燃料容器および燃料移送パイプ
JP3964940B2 (ja) 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H09302170A (ja) 変性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易リサイクル性樹脂組成物、多層積層体および容器
JP2001096682A (ja) 積層包装材
JP3629096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6591868B2 (ja) 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共重合体を含む樹脂組成物、積層体及び成形品
WO2023054506A1 (ja) 樹脂組成物、成形体、多層構造体、熱成形容器、ブロー成形容器及び蒸着フィルム
JP3148405B2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内容器
KR100724552B1 (ko) 고차단성 물품
JP4023898B2 (ja) 積層構造体及びその用途
JP2023104870A (ja) 樹脂組成物、成形体、積層体、パイプ、温水循環用パイプ、断熱多層パイプ、及び燃料用パイ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