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425A -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425A
KR20060049425A KR1020050042650A KR20050042650A KR20060049425A KR 20060049425 A KR20060049425 A KR 20060049425A KR 1020050042650 A KR1020050042650 A KR 1020050042650A KR 20050042650 A KR20050042650 A KR 20050042650A KR 20060049425 A KR20060049425 A KR 20060049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grip
seat
vehic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931B1 (ko
Inventor
기요타카 후지하라
고이치 스기오카
도시카즈 사이토
다츠야 세이지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Arrangement of seats relative to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1Motor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급제동 했을 때에 있어서, 전측부 시트보다도 옆쪽에 오프 셋 한 후측부 시트용 착좌부(着座部)에 앉아 있는 후측부 탑승자에게 전방으로의 힘이 걸렸을 때에, 그 힘을 지지하기 쉽게 하면서, 후측부 탑승자의 타고 내림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차량(10)은 전측부 시트(20)의 후방에 전측부 시트보다도 옆쪽으로 오프셋된 착좌부(32, 32)를 갖는 후측부 시트(30)를 설치하고, 이 후측부 시트의 측부에 측부 지지 부재(60, 60)를 설치하고, 이 측부 지지 부재에 차체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나올 수 있도록 사이드 그립(70, 70)을 세우거나 눕힐 수 있게 설치한 자동차이다.

Description

차량{VEHICLE}
도 1은 발명에 관한 차량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좌측부 지지 부재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좌측부 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사이드 그립의 작용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센터 그립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3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사이드 그립 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하는 사이드 그립 지지부의 로킹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및 그 작용도(사이드 그립을 올리는 조작을 개시할 때)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하는 사이드 그립 지지부의 로킹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및 그 작용도(사이드 그립을 올리는 조작을 완료하였을 때)이다.
도 11은 도 9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도 12는 10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차량
20: 전측부 시트
30: 후측부 시트
32: 후측부 시트의 착좌부
33: 후측부 시트의 백레스트
52: 연료 탱크
54: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
60, 60B: 측부 지지 부재
66: 사이드 그립의 회전축
70, 70B, 70C: 사이드 그립
80: 센터 그립
112, 112B: 제1 베이스 부재
114, 114B: 제2 베이스 부재
122, 122B: 제2 베이스 부재의 축
131, 131B: 로킹 부재
132, 132B: 제1 베이스 부재의 양측벽
133, 133B: 로킹 부재의 양측벽
137, 137B: 탄성 부재
138, 138B: 제2 베이스 부재의 볼록부
M2: 후측부 탑승자
본 발명은 전후에 시트를 구비한 차량의 개량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측부 시트의 후방에 후측부 시트를 설치한 차량으로서는 여러 가지 종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 2 참조).
[특허문헌 1]특허 공개 2004-67079 공보
[특허문헌 2]특허 공개 2002-255070 공보
특허 문헌 1에 의한 종래의 차량은 전측부 시트의 후방에 후측부 시트를 설치하고, 이 후측부 시트에 좌우 착좌부(着座部)를 구비한 3인승 자동차이다. 좌우의 착좌부는 전측부 시트보다도 옆쪽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후측부 시트에 앉은 좌우 2명의 후측부 탑승자는 양발을 가지런히 하여 전측부 시트의 옆쪽에 두게 된다.
한편, 특허 문헌 2에 의한 종래의 차량은 전측부 시트의 후방에 후측부 시트를 설치한 2인승 자동 이륜차이다. 후측부 시트는 백레스트(back rest)의 좌우에 암레스트(arm rest)를 구비한다. 이들 암레스트는 백레스트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사용 위치와 수직으로 내리는 수납 위치로 세우거나 눕힐 수 있다.
그런데,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에 의한 종래의 차량에 있어서는, 후측부 탑승자의 승차 자세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 문헌 2에 의한 종래의 차량은 단순히 후측부 시트의 암레스트를 상하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한 것이다.
추가로, 특허 문헌 2에 있어서, 후측부 시트의 암레스트는 로킹을 행하도록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백레스트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사용 위치에서 움직이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이 급제동 하였을 때 등에 있어서, 전측부 시트보다도 옆쪽으로 오프셋된 후측부 시트용 착좌부에 앉아 있는 후측부 탑승자에게 전방으로의 힘이 걸렸을 때에, 그 힘을 지지하기 쉽게 하면서, 후측부 탑승자의 타고 내림을 쉽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전측부 시트의 후방에 전측부 시트보다도 옆쪽으로 오프셋된 착좌부를 구비하는 후측부 시트를 설치하고, 이 후측부 시트의 옆쪽에 측부 지지 부재를 설치하며, 이 측부 지지 부재에 차체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나올 수 있도록 사이드 그립을 세우거나 눕힐 수 있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측부 지지 부재에 설치한 제1 베이스 부재에 상기 사이드 그립을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사이드 그립의 기부에 설치한 제2 베이스 부재를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로킹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제1 베이스 부재에 제2 베이스 부재를 축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고, 제2 베이스 부재에 설치한 볼록부를 로킹 가능하게 하는 로킹 부재를 제1 베이스 부재와 제2 베이스 부재 사이에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로킹 부재와 제1 베이스 부재 사이에 탄성 부재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로킹 부재는 축에 긴 구멍을 통해 지지되는 동시에, 제1 베이스 부재에 설치한 양측벽에 지지되고, 이 양측벽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사이드 그립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세우거나 눕히는 것이고, 이 회전축은 뒤쪽이 내려가게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은 후측부 시트는 백레스트를 구비하고, 이 백레스트는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은 시트의 옆쪽에 상기 후측부 시트에 앉은 후측부 탑승자가 발을 올려두는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를 설치하고, 이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는 앞쪽이 올라가게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에서는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는 좌우 한 쌍을 가지고, 이들 한 쌍의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 사이에 연료 탱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은 전측부 시트와 상기 후측부 시트 사이에 센터 그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서는 전측부 시트의 후방에 전측부 시트보다도 옆쪽으로 오프셋된 착좌부를 갖는 후측부 시트를 설치하고, 이 후측부 시트의 옆쪽에 측부 지지 부재를 설치하며, 이 측부 지지 부재에 차체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나올 수 있도록 사이드 그립을 세우거나 눕힐 수 있게 설치했기 때문에, 차량이 급제동 되었을 때에 있어서, 후측부 탑승자의 승차 자세를 사이드 그립으로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측부 탑승자의 타고 내림 시에는 사이드 그립을 세울 수 있기 때문에, 타고 내림도 용이해진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서는 측부 지지 부재에 설치한 제1 베이스 부재에 사이드 그립을 지지하고, 이 사이드 그립의 기부에 설치한 제2 베이스 부재를 제1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로킹 가능하게 설치하였다.
제1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제2 베이스 부재는 로킹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사이드 그립을 내측으로 내렸을 때에 로킹 가능하게 구성하면, 내측으로 내린 상태에서 사이드 그립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서는 제1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제2 베이스 부재를 축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고, 제2 베이스 부재에 설치한 볼록부를 로킹 가능하게 하는 로킹 부재를 제1 베이스 부재와 제2 베이스 부재 사이에 유지했기 때문에, 로킹 부재로 제2 베이스 부재의 볼록부는 로킹 가능해진다.
제2 베이스 부재의 볼록부는 요동 가능하고 또한 로킹 부재에 의해 로킹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볼록부를 로킹 부재에 대하여 바람직한 위치에 배치하고, 또한 로킹 부재의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로킹 부재에 의해 사이드 그립의 로킹 및 로킹의 해제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서는 로킹 부재와 제1 베이스 부재 사이에 탄성 부재 를 개재시키고, 탄성 부재가 로킹 부재를 압박하고, 이 로킹 부재가 제2 베이스 부재의 볼록부를 압박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사이드 그립을 내린 위치이고, 또한 로킹 부재를 당겼을 때만 제2 베이스 부재의 볼록부에 대한 압박을 해제하여 사이드 그립의 로킹을 해제할 수 있다.
사이드 그립을 내리고, 또한 로킹 부재를 당겼을 때만 사이드 그립의 로킹을 해제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사이드 그립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로킹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에서는 로킹 부재는 축에 긴 구멍을 통해 지지되는 동시에, 제1 베이스 부재에 설치한 양측벽에 지지되고, 이 양측벽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였기 때문에, 로킹 부재를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로킹 부재가 원활히 이동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사이드 그립의 로킹 및 로킹 해제 조작을 한 층 간편히 행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에서는 사이드 그립의 회전축을 뒤쪽이 내려가게 경사지게 하였기 때문에, 차체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나와 있는 사이드 그립에 대하여 아래에서부터 밀어 올리는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 회전축의 경사각 정도만큼 밀어 올리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밀어 올리는 하중에 의해서 사이드 그립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에서는 후측부 시트의 백레스트를 후방으로 기울였기 때문에, 후측부 시트에 앉아 있는 후측부 탑승자가 백레스트에 기댐으로써 후측부 탑승자의 자세를 후방으로 약간 기울일 수 있다. 따라서, 후측부 탑승자가 전방으 로 이동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에서는 전측부 시트의 옆쪽에 설치한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를 앞쪽이 올라가게 경사지게 하였기 때문에, 차량이 급제동 되었을 때에 있어서, 후측부 탑승자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후측부 탑승자의 승차 자세를 한층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에서는 좌우 한 쌍의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 사이에 연료 탱크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연료 탱크의 측부를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에 의해서 보호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에서는 전측부 시트와 후측부 시트 사이에 센터 그립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후측부 시트의 중앙부에 아이와 같은 작은 체형의 탑승자가 앉은 경우라도 후측부 시트의 앞에 배치된 센터 그립을 쥘 수 있고, 이 결과, 탑승자의 승차 자세를 센터 그립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또한, 「전」,「후」,「좌」,「우」,「상」,「하」는 운전자 입장에서 본 방향을 따르고, Fr은 전측, Rr은 후측, L은 좌측, R은 우측, CL은 차폭 중심(차체 중심)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의 좌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0)은 차체(차체 프레임; 11)에 좌우 2개의 전륜(12, 12) 및 좌우 2개의 후륜(13, 13)을 구비하고, 차체(11)의 전측 부에 바 핸들(14)식의 조타 기구(15)를 구비하며, 차체(11)의 중앙부에 전측부 시트(20) 및 후측부 시트(30)를 구비하고, 차체(11)의 후측부 아래쪽에 파워 유닛(41)을 구비하며, 또한, 차체(11) 전측부의 주위를 덮는 프론트 커버(42) 및 차체(11)의 후측부를 덮는 리어 커버(43)를 구비한 소형 4륜 자동차, 즉 경차량이다.
도면 중, 44는 사이드 미러, 45는 프론트 펜더, 46은 리어 펜더이다.
이하, 차량(10)에 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차량(10)은 운전자(M1)가 앉는 전측부 시트(20)의 후방에 후측부 탑승자(M2, M2)가 앉는 후측부 시트(30)를 접근시켜 설치하고, 전측부 시트(20)의 아래쪽에 수납 박스(51)를 설치하며, 또한 수납 박스(51)의 아래쪽에 연료 탱크(52)를 설치한 것이다.
전측부 시트(20)는 운전자용 시트 쿠션(21), 백레스트(등받이 부; 22) 및 좌우의 사이드 서포트(23, 23)를 구비한다. 전측부 시트(20)는 상하 회전 운동 가능하고, 수납 박스(51)의 상부 개구를 막는 덮개를 겸한다. 수납 박스(51)는 헬멧(He) 등의 짐을 수납할 수 있다.
전측부 시트(20)의 시트 높이(힙 포인트)에 대하여 후측부 시트(30)의 시트 높이는 약간 높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측부 시트(30)는 시트 쿠션(31)에 좌우의 착좌부(32, 32)를 갖는 광폭의 시트이며, 좌우의 착좌부(32, 32)에 대응하는 1개의 백레스트(등받이 부)(3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후측부 시트(30)는 차폭 중심(CL)상에 배치된 전측부 시트(20)보다도 좌측 및 우측으로 오프셋된 좌우 한 쌍의 착좌부(32, 32)를 구비한다. 시트 쿠션(31)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약간 우묵하게 들어간 좌우의 착좌부(32, 32) 사이에 평탄한 중앙부(34)를 갖는다. 좌우의 착좌부(32, 32)를 갖는 광폭의 후측부 시트(30)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후측부 시트(30)에는 좌우 2인의 후측부 탑승자(M2, M2)가 앉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레스트(33)는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즉, 백레스트(33)는 수직이 아니라 하단측보다도 상단측이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차량(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측부 시트(20)에 있어서의 좌우측이면서 플로어(53) 위에 한 쌍의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54, 54)를 설치한 것이다. 이들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54, 54)는 후측부 시트(30)에 앉은 후측부 탑승자(M2, M2)이 각각 양발(Ft, Ft)을 올려두는 스텝이며, 앞쪽이 올라가게 경사져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차량(10)은 전측부 시트(20)에 운전자(M1)가 앉고, 후측부 시트(30)에 좌우의 후측부 탑승자(M2, M2)가 앉아 주행할 수 있다. 각 후측부 탑승자(M2, M2)는 몸을 조금 비스듬히 전방으로 기울여서 후측부 시트(30)에 앉고, 양발(Ft, Ft)을 가지런히 하여 전측부 시트(20)의 옆쪽으로 뻗어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54, 54)에 발(Ft, Ft)을 올려두도록 하면 좋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52)는 좌우 한 쌍의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54, 5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52)의 좌우측을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54, 54)에 의해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후측부 시트(30)의 좌우측에 한 쌍의 측부 지지 부재(60, 60)를 설치함과 함께, 전측부 시트(20)와 후측부 시트(30) 사이에 센터 그립(80)을 설치한 것이다.
좌우 한 쌍의 측부 지지 부재(60, 60)는 예컨대, 후측부 탑승자(M2, M2)가 팔을 걸치는 암레스트(팔 걸이)이며, 차체 프레임(11)의 후측부에 볼트식 고정 등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게 부착한 구성이다. 이하, 측부 지지 부재(60, 60)에 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관한 좌측부 지지 부재의 구성도로서, 도 3(a)는 측부 지지 부재(60)의 측면 구성을 나타내고, 도 3(b)는 측부 지지 부재(60)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관한 좌측부 지지 부재의 평면도로서, 도 4(a)는 측부 지지 부재(60)의 평면 구성을 나타내고, 도 4(b)는 측부 지지 부재(60)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부 지지 부재(60)는 기립된 전방 지주(61) 및 기립된 후방 지주(62)와, 이 전후방의 지주(61, 62)의 상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략 수평인 팔걸이부(63)로 이루어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문(門) 형상의 부재이다. 이러한 측부 지지 부재(60)는 차체 내측{차폭 중심(CL)측}을 향해서 연장되어 나올 수 있도록 왼쪽 사이드 그립(70)을 세우거나 눕힐 수 있게 설치한 구성이다.
자세하게는, 측부 지지 부재(60)는 팔걸이부(63)의 전측부로부터 위쪽으로 기립부(64)를 연장시키고, 기립부(64)의 상단부로부터 위쪽으로 브래킷(65)를 연장 시키며, 브래킷(65)에 코터핀 등의 회전축(66)에 의해서 왼쪽의 사이드 그립(70)의 기단(基端)을 회전 운동 가능하게 부착한 것이다. 즉, 사이드 그립(70)은 전후로 연장되는 회전축(66)을 중심으로 세우거나 눕힐 수 있다. 회전축(66)은 뒤쪽이 내려가게 경사져 있다. 회전축(66)의 중심선, 즉 사이드 그립(70)의 회전 운동 중심선을 「회전 운동 중심선(SL)」이라고 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사이드 그립(70)은 회전축(66)에 대하여 위쪽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이 차폭 중심(CL) 쪽으로 더욱 연장된 대략 く형을 나타내고, 선단 부분에 그립부(71)를 구비한다. 따라서 사이드 그립(70)은 (1)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 내측을 향해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나온 사용 위치와 (2) 상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립된 비사용 위치로 세우거나 눕힐 수 있다. 67은 사용 위치에서의 스토퍼, 68은 비사용 위치에서의 스토퍼이다.
사이드 그립(70)을 사용 위치 및 비사용 위치에 세팅하는 구성으로서는, 각종 구성이 있고, 예컨대, 다음 제1 구성이나 제2 구성으로 하면 좋다. 어떤 구성에 있어서도, 후측부 탑승자(M2)(도 1 참조)의 승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제1 구성은 사용 위치 및 비사용 위치에 있어서, 사이드 그립(70)을 일정한 유지력으로 유지하는 유지 기구(클릭 기구라고도 한다)를 브래킷(65)에 구비한 구성이다. 이 경우에는 사이드 그립(70)에 일정 이상의 들어 올리는 힘이나 밑으로 눌러 내리는 힘을 가함으로써 유지 기구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그립(70)을 임의로 세우거나 눕힐 수 있다.
또한, 사용 위치 및 비사용 위치에 있어서, 유지 기구에 대하여 사이드 그립 (70)의 위치를 확실하게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 위치와 비사용 위치 사이의 세우거나 눕히는 범위를 임의로 조절 가능한 스토퍼를 설치해도 좋다. 사이드 그립(70)을 유지 기구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 구성은 일정한 탄발력에 의해서 사이드 그립(70)을 사용 위치에 유지시키는, 오토 리턴 기구를 브래킷(65)에 구비한 구성이다. 이 경우에는, 그립부(71)를 손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사이드 그립(70)을 비사용 위치까지 세울 수 있다. 그립부(71)로부터 손을 놓으면, 사이드 그립(70)은 탄발력에 의해서 원래의 사용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우측부 지지 부재(60) 및 우측 사이드 그립(70)에 관해서는, 좌측부 지지 부재(60) 및 좌측 사이드 그립(70)과 좌우 대칭인 구성 외에는 동일 구성이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좌우의 사이드 그립(70, 70)의 작용에 관해서 도 1, 도 2 및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사이드 그립의 작용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측부 지지 부재(60, 60)에 대하여, 차체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나올 수 있도록 사이드 그립(70, 70)을 세우거나 눕힐 수 있게 설치하였기 때문에, 착좌부(32, 32)에 앉아 있는 후측부 탑승자(M2, M2)는 쓰러져 있는 사이드 그립(70, 70)을 각각 한 쪽 또는 양 손(Hn, Hn)으로 쥘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이 급제동 하였을 때에 있어서, 후측부 탑승자(M2, M2)의 승차 자세를 사이드 그립(70, 70)으로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측부 탑승자(M2, M2)의 타고 내림 시에는 사이드 그립(70, 70)을 세울 수 있기 때문에, 타고 내림도 용이해진다.
또한, 사이드 그립(70, 70)을 지지하기 위해서 전후로 연장되는 회전축(66, 66)(도 5 참조)이 뒤쪽이 내려가게 경사져 있기 때문에, 후측부 탑승자(M2, M2)가 승차하여 후측부 시트(30)까지 이동할 때에, 후측부 탑승자(M2, M2)의 몸에 의해서 사이드 그립(70, 70)은 후측부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승차할 때에는 사이드 그립(70, 70)을 손으로 비사용 위치까지 세울 필요가 없다. 때문에, 사이드 그립(70, 70)을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후측부 탑승자(M2, M2)의 승차는 매우 용이하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그립(70)의 회전축(66)을 뒤쪽이 내려가게 경사지게 하였기 때문에, 차체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나와 있는 사이드 그립(70)에 대하여, 아래에서부터의 밀어 올리는 하중(f1)이 작용하였을 때에, 회전축(66)의 경사각 θ 정도만큼, 밀어 올리는 하중(f1)을 분산시킬 수 있다. 즉, 수직 방향의 밀어 올리는 하중(f1)은 회전축(66)에 평행한 방향의 수평 분력(f2)과, 회전축(66)에 수직 방향의 수직 분력(f3)으로 나눠진다. 사이드 그립(70)을 들어 올리기 위해서는 수직 분력(f3)이 일정한 유지력을 상회할 필요가 있다. 이 결과, 밀어 올리는 하중(f1)이 보다 더 크지 않으면, 사이드 그립(70)은 들리지 않는다. 따라서, 밀어 올리는 하중(f1)에 의해 사이드 그립(70)이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후측부 시트(30)의 백레스트(33) 및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54, 54)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측부 시트(30)의 백레스트(33)를 후방으로 기울였기 때문에, 후측부 시트(30)에 앉아 있는 후측부 탑승자(M2, M2)가 백레스트(33)에 기댐으로써, 후측부 탑승자(M2, M2)의 자세를 후방으로 약간 기울일 수 있다. 따라서, 후측부 탑승자(M2, M2)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측부 시트(20)의 옆쪽에 설치한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54, 54)를 앞쪽이 올라가게 경사지게 하였기 때문에, 차량(10)이 급제동 하였을 때에 있어서, 후측부 탑승자(M2, M2)는 발(Ft, Ft)을 발판부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버티기가 쉽다. 때문에, 후측부 탑승자(M2, M2)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후측부 탑승자(M2, M2)의 승차 자세를 한층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0)은 차폭 중심(CL) 상에, 전측부 시트(20)와 후측부 시트(30) 사이에 센터 그립(8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센터 그립(80)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센터 그립의 구성도이며, 도 1에 대응시켜 센터 그립(80) 주위를 좌측에서 본 구성을 나타내었다.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0)은 차체 프레임(11)의 후측부에 후측부 시트(30)를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81)을 부착하고, 이 시트 프레임(81)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스테이(stay; 82)를 연장하고, 스테이(82)의 전단에 센터 그립(80)의 기단을 볼트 체결 등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게 부착하고, 센터 그립(80)의 선단을 위쪽으로 연장시킨 구성이다.
센터 그립(80)은 스테이(82)로부터 기립한 좌우의 지주(83, 83)와, 지주(83, 83)의 상단 사이에 연장되는 대략 수평인 그립부(84)로 이루어지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문 형상의 부재이다.
이와 같이, 전측부 시트(20)와 후측부 시트(30) 사이에 센터 그립(80)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후측부 시트(30)의 중앙부(34)에 아이와 같은 작은 체형의 탑승자가 앉은 경우라도, 이 탑승자는 후측부 시트(30) 앞에 배치된 센터 그립(80)을 쥘 수 있다. 이 결과, 탑승자의 승차 자세를 센터 그립(80)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별도의 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 측부 지지 부재(60B)는 상부의 팔걸이부(63B)의 전측부로부터 브래킷(111)을 연장시키고, 이 브래킷(111) 위에 사이드 그립 지지부(113)를 부착하고, 이 사이드 그립 지지부(113)에 사이드 그립(70B)을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 있어서, 사이드 그립(70B)은 차체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나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그립 지지부(113)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 도면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사이드 그립 지지부의 단면도로서, 사이드 그립 지지부(113)는 브래킷(111)에 고정측 부재로서의 제1 베이스 부재(112)를 볼트(115, 115)를 통해 부착하고, 이 제1 베이스 부재(112)에 요동측 부재로서의 제2 베이스 부재(114)를 요동 가능하게 부착하며, 이 제2 베이스 부재(114)에 핀 부재(116)를 통해 사이드 그립(70B)을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 베이스 부재(112)에 관통 구멍(121)을 마련하고, 이 관통 구멍(121)에 제2 베이스 부재(114)의 축(122)을 삽입함과 함께, 축(122)을 삽입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에서부터 축(122)을 향해 축 유지용 코일 스프링(125) 및 와셔 부재(126)를 끼우고, 축(122) 중심에 뚫린 나사 구멍(123)에 지지 볼트(124)를 체결 하여, 와셔 부재(126)를 축(122)에 맞닿게 하고, 브래킷(111) 및 제1 베이스 부재(112)에 대하여 제2 베이스 부재(114)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부착한다.
또한, 제2 베이스 부재(114)에 마련한 볼록부(138)(도 9 참조)를 로킹 가능하게 하는 로킹 부재(131)를 제1 베이스 부재(112)와 제2 베이스 부재(114) 사이에 유지함과 함께, 축(122)의 양측에 로킹 부재(131)를 도면의 지면으로부터 지면 내부로 빼거나 집어넣음으로써 제1 베이스 부재(112)에 대하여 제2 베이스 부재(114)를 로킹 가능하게 구성한다.
즉, 사이드 그립 지지부(113)는 제1 베이스 부재(112) 위에 제2 베이스 부재(114)를 요동 가능하게 부착하여 이루어지며, 사이드 그립(70B)을 지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브래킷(111)은 대략 L자형의 부재이지만, コ형이어도 좋고, 형상은 임의이다. 사이드 그립 지지부(113)에 있어서의 로킹 기구(130)의 상세한 내용에 관해서는 다음 도면에서 설명한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하는 사이드 그립 지지부의 로킹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및 그 작용도(사이드 그립을 올리는 조작을 개시할 때)이다.
사이드 그립(70B)의 로킹 기구(130)는 제1 베이스 부재(112)와, 이 제1 베이스 부재(112)의 양측벽(132, 13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하는 로킹 부재(131) 와, 이 로킹 부재(131)에 구비된 긴 구멍(133)과, 로킹 부재(131)의 외주에 구비된 스토퍼부(134)와, 이 스토퍼부(134)와 연속하여 형성된 접촉부(135)와, 탄성 부재(137)가 압박하는 압박부(136)와, 제2 베이스 부재(114)의 중심에 설치하고 상기 긴 구멍(133)을 통과하여 제1 베이스 부재(112)의 관통 구멍(121)에 끼워 맞추는 축(122)과, 이 축(122)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되며 또한 로킹 부재(131)의 스토퍼부(134)와 접촉부(135) 사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제2 베이스 부재(114)에 마련된 볼록부(138)를 주요 요소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부재(137)는 코일 스프링이지만, 예컨대, 고무제 혹은 수지제 부시 등의 다른 탄성 부재로 대용하여도 좋다.
즉, 측부 지지 부재(60B)(도 7 참조)에 설치한 제1 베이스 부재(112)에 사이드 그립(70B)을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사이드 그립(70B)의 기부(72; 도 8참조)에 설치한 제2 베이스 부재(114)를 제1 베이스 부재(112)에 대하여 로킹 가능하게 설치하였다.
추가로, 제1 베이스 부재(112)에 제2 베이스 부재(114)를 축(122)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한다.
또한, 로킹 부재(131)와 제1 베이스 부재(112) 사이에 탄성 부재(137)를 개재시키고, 로킹 부재(131)는 축(122)에 긴 구멍(133)을 통해 지지되는 동시에, 제1 베이스 부재(112)에 설치한 양측벽(132, 132)에 지지되고, 이 양측벽(132, 132)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사이드 그립(70B)을 올리는 경우에 있어서, 로킹 부재(131)를 당김 부재 (139)를 통해 화살표(141)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볼록부(138)가 접촉부 (135)에 접촉 가능한 위치가 될 때까지 슬라이드시켜, 로킹 부재(131)에 설치한 스토퍼부(134)에 의한 볼록부(138)의 로킹을 해제한다. 로킹을 해제한 상태에서, 사이드 그립(70B)을 화살표(142)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켜 올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베이스 부재(112)에 대하여 제2 베이스 부재(114)는 로킹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사이드 그립(70B)을 내측으로 내렸을 때에 로킹 가능하게 구성하면, 내측으로 내린 상태에서 사이드 그립(70B)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부재(114)의 볼록부(138)는 요동 가능하고 또한 로킹 부재(131)에 의해 로킹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볼록부(138)를 로킹 부재(131)에 대하여 바람직한 위치에 배치하고, 또한 로킹 부재(131)의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사이드 그립(70B)의 로킹 및 로킹의 해제를 간편히 행할 수 있다.
도 10은 도 7에 도시하는 사이드 그립 지지부의 로킹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및 그 작용도(사이드 그립을 올리는 조작을 완료하였을 때)이다.
로킹 부재(131)는 탄성 부재(137)에 의해 압박되기 때문에, 제2 베이스 부재에 마련한 볼록부(138)는 로킹 부재(131)의 접촉부(135)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또한, 볼록부(138)를 제1 베이스 부재(112)의 벽(132)에 닿도록 하였기 때문에, 사이드 그립(70B)이 화살표(143)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회전 운동하지 않도록, 사이드 그립(70B)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사이드 그립(70B)을 올린 위치에서 사이드 그립(70B)을 내릴 때의 작용을 설명하면, 사이드 그립(70B)을 화살표(143)와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하여 움직이게 하 면 , 로킹 부재(131)에 마련한 접촉부(135)를 따라서 제2 베이스 부재(114)의 볼록부(138)가 접촉하면서 이동한다.
또한, 사이드 그립(70B)을 내리는 조작을 계속하면, 탄성 부재(137)가 압박부(136)를 압박함으로써, 볼록부(138)가 접촉부(135)에서 스토퍼부(134)로 이동하여, 사이드 그립(70B)을 로킹 할 수 있으며, 도 9의 포지션이 된다.
로킹 부재(131)와 제1 베이스 부재(112) 사이에 탄성 부재(137)를 개재시켜, 탄성 부재(137)가 로킹 부재(131)를 압박하고, 이 로킹 부재(131)가 제2 베이스 부재(114)의 볼록부(138)를 압박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사이드 그립(70B)을 내린 위치이고, 또한 로킹 부재(131)를 당겼을 때만 제2 베이스 부재(114)의 볼록부(138)에 대한 압박을 해제하여 사이드 그립(70B)의 로킹을 해제할 수 있다.
사이드 그립(70B)을 내리고, 또한 로킹 부재(131)를 당겼을 때만 사이드 그립(70B)의 로킹을 해제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사이드 그립(70B)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로킹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로킹 부재(131)는 축(122)에 긴 구멍(133)을 통해 지지되는 동시에, 제1 베이스 부재(112)에 설치한 양측벽(132, 132)에 지지되고, 이 양측벽(132, 132)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로킹 부재(131)를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로킹 부재(131)가 원활히 이동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사이드 그립(70B)의 로킹 및 로킹 해제 조작을 한층 더 간편히 행할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사이드 그립(70C)의 로킹 기구(130B)는 제1 베이스 부재(112B)와, 이 제1 베이스 부재(112B)의 양측벽(132B, 132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하는 로킹 부재(131B)와, 이 로킹 부재(131B)에 구비하는 긴 구멍(133B) 및 볼록부(138B)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구멍(150)과, 이 가이드 구멍(150)에 구비하는 스토퍼부(134B)와, 이 스토퍼부(134B)와 연속하여 형성한 접촉부(135B)와, 탄성 부재(137B)가 압박하는 압박부(136B)와, 제2 베이스 부재(114B)의 중심에 설치하고 상기 긴 구멍(133B)을 통과하며 제1 베이스 부재(112B)의 관통 구멍(121B)에 끼워 맞추는 축(122B)과, 이 축(122B)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되고 또한 로킹 부재(131B)의 스토퍼부(134B)와 접촉부(135B) 사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제2 베이스 부재(114B)에 설치한 볼록부(138B)를 주요 요소로 한다.
추가로, 로킹 부재(131B)와 제1 베이스 부재(112B) 사이에 탄성 부재(137B)를 개재시켰다. 로킹 부재(131B)는 제1 베이스 부재(112B)에 마련한 양측벽(132B, 132B)에 지지되고, 이 양측벽(132B, 132B)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사이드 그립(70C)을 올리는 경우에 있어서, 로킹 부재(131B)를 화살표(151) 방향으로 눌러 힘을 가하고, 볼록부(138B)가 접촉부(135B)에 접촉 가능한 위치가 될 때까지 슬라이드시켜, 로킹 부재(131B)에 설치한 스토퍼부(134B)에 의한 볼록부(138B)의 로킹을 해제한다. 로킹을 해제한 상태에서, 사이드 그립(70C)을 화살표(152)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켜 올릴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로킹 부재(131B)는 탄성 부재(137B)에 의해 압박되기 때문에, 제2 베이스 부 재(114B)에 마련한 볼록부(138B)는 로킹 부재(131B)의 접촉부(135B)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사이드 그립(70C)을 올린 위치에서 사이드 그립(70C)을 내릴 때의 작용을 설명하면, 사이드 그립(70C)을 화살표(153)와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하여 움직이게 하면, 로킹 부재(131B)에 설치한 접촉부(135B)를 따라서 제2 베이스 부재(114B)의 볼록부(138B)가 접촉하면서 이동한다.
또한, 사이드 그립(70C)을 내리는 조작을 계속하면, 탄성 부재(137B)가 압박부(136B)를 압박함으로써, 볼록부(138B)가 접촉부(135B)에서 스토퍼부(134B)로 이동하여, 사이드 그립(70C)을 로킹 할 수 있으며, 도 11의 포지션이 된다.
로킹 부재(131B)와 제1 베이스 부재(112B) 사이에 탄성 부재(137B)를 개재시키고, 탄성 부재(137B)가 로킹 부재(131B)를 압박하고, 이 로킹 부재(131B)가 제2 베이스 부재(114B)의 볼록부(138B)를 압박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사이드 그립(70C)을 내린 위치이면서 또한 로킹 부재(131B)를 눌렀을 때만 제2 베이스 부재(114B)의 볼록부(138B)에 대한 압박을 해제하여 사이드 그립(70C)의 로킹을 해제할 수 있다.
사이드 그립(70C)을 내리고, 또한 로킹 부재(131B)를 눌렀을 때만 사이드 그립(70C)의 로킹을 해제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사이드 그립(70C)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로킹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로킹 부재(131B)는 축(122B)에 긴 구멍(133B)를 통해 지지되는 동시에, 제1 베이스 부재(112B)에 마련한 양측벽(132B, 132B)에 지지되고, 이 양측벽(132B, 132B)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로킹 부재(131B)를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로킹 부재(131B)가 원활히 이동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사이드 그립(70C)의 로킹 및 로킹 해제 조작을 한층 더 간편히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은 전측부 시트(20)의 후방에 전측부 시트(20)보다도 옆쪽으로 오프셋된 착좌부(32, 32)를 갖는 후측부 시트(30)를 설치한 3륜 자동차나 4륜 자동차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해, 차량이 급제동 되었을 때에도, 후측부 탑승자는 승차 자세를 유지하기 쉽고, 승차가 편리해진다. 또한, 로킹 부재에 의해 사이드 그립의 로킹 및 로킹의 해제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고, 그 사이드 그립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로킹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전측부 시트의 후방에 전측부 시트보다도 옆쪽으로 오프셋된 착좌부(着座部)를 갖는 후측부 시트를 설치하고, 이 후측부 시트의 옆쪽에 측부 지지 부재를 설치하며, 이 측부 지지 부재에 차체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나올 수 있도록 사이드 그립을 세우거나 눕힐 수 있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지지 부재에 설치한 제1 베이스 부재로 상기 사이드 그립을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사이드 그립의 기부에 설치한 제2 베이스 부재를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로킹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를 축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고,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에 설치한 볼록부를 로킹 가능하게 하는 로킹 부재를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 사이에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와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사이에 탄성 부재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축에 긴 구멍을 통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 설치한 양측벽에 지지되고, 이 양측벽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그립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세우거나 눕히는 것이고, 이 회전축은 뒤쪽이 내려가게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부 시트는 백레스트를 구비하고, 이 백레스트는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부 시트의 옆쪽에, 상기 후측부 시트에 앉은 후측부 탑승자가 발을 올려두는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를 설치하고, 이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는 앞쪽이 올라가게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는 좌우 한 쌍을 가지고, 이들 한 쌍의 후측부 탑승자용 발판부 사이에 연료 탱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부 시트와 상기 후측부 시트 사이에 센터 그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050042650A 2004-05-24 2005-05-20 차량 KR100702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53862 2004-05-24
JPJP-P-2004-00153862 2004-05-24
JPJP-P-2005-00060954 2005-03-04
JP2005060954A JP4563840B2 (ja) 2004-05-24 2005-03-04 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425A true KR20060049425A (ko) 2006-05-18
KR100702931B1 KR100702931B1 (ko) 2007-04-06

Family

ID=34935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650A KR100702931B1 (ko) 2004-05-24 2005-05-20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600326B1 (ko)
JP (1) JP4563840B2 (ko)
KR (1) KR100702931B1 (ko)
BR (1) BRPI0501721A (ko)
DE (1) DE602005022015D1 (ko)
MY (1) MY139822A (ko)
TW (1) TWI2643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8498B2 (ja) * 2006-04-28 2012-02-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サポート部構造
JP4728870B2 (ja) * 2006-04-28 2011-07-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吸気ボックス配置構造
JP2008001125A (ja) * 2006-06-20 2008-01-10 Yanmar Co Ltd 作業車両のアシストバー
JP5064044B2 (ja) * 2007-01-25 2012-10-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構造
GB0704966D0 (en) 2007-03-15 2007-04-25 Murray Ian G Compact vehicle seatings arangement
US8640814B2 (en) 2009-06-15 2014-02-04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vehicle
AU2010260149B2 (en) * 2009-06-15 2015-01-15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vehicle
US8328235B2 (en) 2010-06-08 2012-12-11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vehicle
US9650078B2 (en) 2011-02-11 2017-05-16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all terrain vehicle
US9085335B2 (en) * 2011-10-14 2015-07-21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RU2015143447A (ru) 2013-03-15 2017-04-21 Поларис Индастриз Инк. Утилитар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GB2519309B (en) * 2013-10-16 2019-07-10 Ford Global Tech Llc A motor vehicle seating arrangement having an armrest
CN112140966B (zh) * 2019-06-28 2023-03-1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侧挡扶手组件和车辆
JP7163885B2 (ja) 2019-08-08 2022-11-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椅子搭載車両
IT201900016241A1 (it) * 2019-09-13 2021-03-13 Piaggio & C Spa Motoveicolo rollante con blocco di rolli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26166A (en) * 1966-07-09 1968-09-05 Pininfarina Spa Carrozzeria Motor vehicle with a three-seater body
US5190349A (en) * 1990-03-29 1993-03-02 A-Dec, Inc. Dental chair
US5733010A (en) * 1993-10-21 1998-03-31 Lewis; John W. Releasable arm for dental patient chair
JP3421729B2 (ja) * 1993-10-29 2003-06-3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 両
FR2814993B1 (fr) * 2000-10-05 2003-07-04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dossier rabattable sur l'assise
JP2002255070A (ja) * 2001-03-02 2002-09-11 Honda Motor Co Ltd 自動2輪車用バックレスト
EP1490257A1 (en) * 2001-11-13 2004-12-29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Atv with improved driver positioning and single or multiple passenger capacity
ITTO20020687A1 (it) * 2002-07-31 2004-02-01 Honda Motor Co Ltd Veicolo contrattile provvisto di tetto
JP2004089077A (ja) * 2002-08-30 2004-03-25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作業車両の操縦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931B1 (ko) 2007-04-06
TWI264392B (en) 2006-10-21
JP4563840B2 (ja) 2010-10-13
JP2006008104A (ja) 2006-01-12
EP1600326A1 (en) 2005-11-30
BRPI0501721A (pt) 2006-01-10
TW200602220A (en) 2006-01-16
DE602005022015D1 (de) 2010-08-12
MY139822A (en) 2009-10-30
EP1600326B1 (en) 201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931B1 (ko) 차량
US7543836B2 (en) Flip-down footrest for an all-terrain vehicle
JP4432674B2 (ja) 車両のシート装置
JP2007045399A (ja) 自動車の後部座席列の座席
CN106364596A (zh) 带有乘客座椅的运货自行车
CN100460240C (zh) 车辆座椅结构
KR20090087028A (ko) 리트랙터블 후방 레그를 갖는 스탠드 업 좌석 조립체
US8016341B2 (en) Stowable seat
US20040031639A1 (en) Multi-function utiltiy vehicle
CN106627929B (zh) 可折叠电动车及其车架
CN100519266C (zh) 车辆
CN1251905C (zh) 车辆座位
US20040195867A1 (en) Vehicle seating apparatus
KR101033881B1 (ko) 자동차용 오토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JP4962694B2 (ja) 車両のシート配設構造
JPH11189082A (ja) 車両の折畳みシート構造
JP4133726B2 (ja) 車体後部構造
CN109955749A (zh) 一种坐垫和靠背可折叠汽车座椅装置
KR100552069B1 (ko) 차량의 탈착식 시트 고정장치
CN210942091U (zh) 折叠式电动车
CN1162540A (zh) 车辆座位
KR200415314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JPH08216758A (ja) 車輌のアウターグリップの取付構造
JP4127051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H05234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