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337A -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337A
KR20060048337A KR1020050050561A KR20050050561A KR20060048337A KR 20060048337 A KR20060048337 A KR 20060048337A KR 1020050050561 A KR1020050050561 A KR 1020050050561A KR 20050050561 A KR20050050561 A KR 20050050561A KR 20060048337 A KR20060048337 A KR 20060048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p
braking force
warp beam
brak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구라
게이이치 묘기
Original Assignee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8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06Warp let-off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06Warp let-off mechanisms
    • D03D49/10Driving the warp beam to let the warp off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06Warp let-off mechanisms
    • D03D49/08Warp beam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기(織機)의 날실 송출 장치에 있어서, 날실 장력 변동을 억제하며, 직단(織段)을 방지하고, 워프 빔(warp beam)의 회전축을 구동하는 회전 구동원 및 변속기의 용량을 작게 하는 동시에 허용 날실 장력이나 제직(製織) 밀도 범위 등의 사용 조건 범위를 넓혀 직기의 범용성을 향상시킨 것으로서, 회전 구동원(4)과, 구동원(4)의 회전을 워프 빔(2)에 전달하는 전달 장치(5)로 이루어지는 구동 장치(3)를 구비하고, 구동 장치(3)는 날실 장력에 저항하는 제동력을 워프 빔(2)에 작용시키면서 워프 빔(2)을 송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1)에 있어서, 구동 장치(3)의 제동력과는 별도로, 워프 빔(2)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제동 장치(10)를 설치하고, 이 제동 장치(10)에 의해 워프 빔(2)에 제동력이 작용하게 하고 있다.
직기, 날실, 제동력, 워프 빔

Description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WARP LET-OFF APPARATUS FOR WEAVING LOOM}
도 1은 직기(織機)의 날실 송출 장치(1)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의한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1)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2에 의한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1)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3에 의한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1)의 주요부의 모형적인 설명도이다.
도 5는 실시예 4에 의한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1)의 주요부의 모형적인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시예 5에 의한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1)의 주요부의 모형적인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A의 화살표 방향에서 관찰한 주요부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실시예 6에 의한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1)의 주요부(브레이크 원판(23))의 모형적인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 2: 워프 빔(warp beam)
3: 구동 장치 4: 구동원
5: 전달 장치 10: 제동 장치
11: 브레이크 기어 12: 제동력 완화 수단
13: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 14: 브레이크축
21: 회전축 23: 브레이크 원판
25: 브레이크 디스크 27: 브레이크 스프링
31: 액츄에이터 32: 전용 모터
33: 구동 샤프트 34: 웜
35: 워프 빔 기어 45: 비틀림 코일 스프링
46: 압축 코일 스프링 47: 장착 구멍
50: 기어 51: 기어
52: 회전축
본 발명은,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에 있어서, 날실 송출용 워프 빔에 대한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는, 시트형의 날실에 소정의 장력을 걸면서, 날실의 장력이 높아짐에 따라, 날실 송출용의 워프 빔을 송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날실을 송출한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3-193355호 공보에서 날실 송출 장치는, 날실 장력에 저항하는 제동력을 웜 기어 기구의 역지(逆止) 기능에 의해 확보하면 서, 전용 모터에 의해 웜 기어 기구의 웜을 회전시키고, 웜휠(worm wheel)을 구동함으로써, 웜휠과 일체의 워프 빔을 송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날실을 소정의 장력하에서 송출하고 있다.
직기의 제직(製織) 과정에 있어서, 개구 운동이나 바디침에 의해 날실 장력이 급격하게 변동되고, 또 이 진동이 각 피크(1사이클) 시에 발생하므로, 날실이 권취된 워프 빔에 장력 변동이 전해져, 이 장력 변동이 가진력(加振力)이 되어, 축의 비틀림 변형이나 기어의 백러시에 의해 워프 빔이 미세한 송출 방향의 회전과 반 송출 방향의 회전(역회전)을 반복하므로, 이른바 진동 회전이 발생한다.
이 진동 회전에 의해 제직구(製織口)로부터 워프 빔 사이의 날실 길이가 변화되고, 직단(織段)(밀도 불균일)이 발생한다. 워프 빔의 직경이 크면 클수록, 워프 빔에 가해지는 가진력의 반경이 크게 되기 때문에, 워프 빔이 진동 회전하기 쉬워지고, 또 워프 빔의 중량이 클수록, 진동 회전의 에너지가 크게 되어, 직단이 크게 되기 쉽다. 또 고밀도 직물에서의 제직에서는, 특히 바디침 시의 출렁거림에 의한 급격한 날실 장력 변동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에 있어서, 날실 장력 변동을 억제하고, 직단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과제는, 워프 빔의 회전축을 구동하는 회전 구동원 및 변속기의 용량을 작게 하는 동시에 허용 날실 장력이나 제직 밀도 범위 등의 사용 조건 범위를 넓혀서, 직기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과제에 따라, 본 발명은, 날실 장력에 저항하는 제동력을 워프 빔에 작용시키면서 구동원의 회전을 전달 장치에 의해 워프 빔에 전달하고, 워프 빔을 송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의 제동력과는 별도로, 워프 빔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제동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청구항 1).
또, 본 발명은, 워프 빔의 반 송출 방향의 회전 시에 제동 장치의 제동력을 완화시키는 제동력 완화 수단을 제동 장치에 설치하고 있다(청구항 2). 상기 제동력 완화 수단은, 제동 장치의 제동력을 O ~ 소정의 제동력값으로 하기 위해, 제동 장치와 워프 빔의 회전축 사이에 개재되는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에 의해 구성하거나(청구항 3), 또는 브레이크 축과 일체의 브레이크 원판에 대한 브레이크 디스크의 접촉 압력을 감소시키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장치는, 직기 모터 이외의 독립된 전용 모터에 의해, 전동식 송출 장치로서 구성하거나, 또는 직기 모터의 회전을 입력하고, 그 회전을 변속하여 출력하는 변속기에 의해, 기계식 송출 장치로서 구성한다. 또, 구동 장치에서 씨실 장력에 저항하는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구성으로서는, 전용 모터, 구동축, 워프 빔 기어(웜휠)와 서로 맞물리는 웜 기어 기구의 역지 기능(셀프 록이 가능한 웜 기어)으로 구성되고, 웜 기어로 날실 장력에 저항하는 제동력을 작용시키거나, 또는 제동 기능을 구비한 전용 모터, 구동축 및 워프 빔과 서로 맞물리는 구동 기어에 의해 구성되며, 제어 장치로부터 전용 모터에 제동 신호를 출력하고, 전용 모터로 날실 장력에 저항하는 제동력을 작용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1)의 전제가 되는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1)는, 워프 빔(2)을 구동하기 위해 구동 장치(3)를 구비하고 있고, 구동 장치(3)는, 구동원(4)으로서의 전용 모터(32)와, 이 전용 모터(32)의 회전을 워프 빔(2)에 전달하는 전달 장치(5)로 이루어진다. 전달 장치(5)는, 이 예에서 전용 모터(32)의 출력축과 일체의 구동 샤프트(33)에 고정되어 있는 웜(34)과 이 웜(34)에 서로 맞물리는 기어(50)와 기어(50)에 일체로 조합되어, 기어(50)와 함께 회전축(52)에 지지되는 기어(51)와, 기어(51)에 서로 맞물리는 워프 빔 기어(35)로 구성되어 있다. 워프 빔 기어(35)는, 워프 빔(2)을 지지하기 위한 회전축(21)에 장착되고 워프 빔(2)과 함께 회전한다.
이 예에서 기어(50)는, 웜휠이기 때문에, 웜(34) 및 기어(50)는, 큰 감속비를 갖는 웜 기어 기구로 구성되고, 역지 기능(셀프 록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전용 모터(32)의 회전은, 감속하여 워프 빔 기어(35)에 전달할 수 있지만, 그와 반대, 즉 워프 빔 기어(35)의 회전력은, 웜(34)에 전달되지 않는다.
구동 장치(3)는, 워프 빔(2)으로부터 클로스 펠(8; cloth fell)에 송출되는 날실(9)에 대해, 그 날실 장력 T에 저항하는 제동력을 워프 빔(2)에 작용시키면서 워프 빔(2)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날실 장력 T에 저항하는 제동력은, 웜 기어 기구(웜(34) 및 이것에 서로 맞물리는 웜휠에 의한 기어(50))의 역지 기능(셀프 록 기능)에 의해 얻어진다.
그리고, 날실(9)은, 워프 빔(2)으로부터 시트 형태로 인출되고, 가이드롤 (6), 텐션롤(7)에 유도되어, 클로스 펠(8)의 방향으로 송출된다. 또, 텐션 롤(7)은, 통상, 장력 부여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날실(9)에 소정의 날실 장력 T를 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1)는,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구동 장치(3)의 제동력과는 별도로, 워프 빔(2)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제동 장치(10)를 가지고 있다. 이 제동 장치(10)는,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구체화된다. 그리고, 실시예 2 외에는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13)를 사용한 예이며, 실시예 2는 액츄에이터(31)로 브레이크 디스크(25)에 대한 접촉 압력을 감소시킨 예이다.
[실시예 1 (도 2)]
실시예 1은, 도 2와 같이, 제동 장치(10)의 브레이크 기어(11)와 브레이크축(14) 사이에, 제동력 완화 수단(12)으로서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13)를 내장한 예이다. 도 2에 있어서, 제동 장치(10)는, 워프 빔 기어(35)과 서로 맞물리는 브레이크 기어(11)와, 이 브레이크 기어(11)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제동 수단으로서의 브레이크 원판(23), 한쌍의 브레이크 디스크(25), 워프 빔(2)의 송출 방향의 회전(이하에서 송출 방향의 회전을 정회전이라고도 한다)에 대해 제동력을 작용시켜, 반 송출 방향의 회전(이하에서 반 송출 방향의 회전을 역회전이라고도 한다)에 대해서만 제동력을 작용시키지 않는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1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13)는, 예를 들면 원웨이 클러치이다. 그리고 워프 빔 기어(35)는, 워프 빔(2)을 지지하는 회전축(21)에 동심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브레이크 기어(11) 및 한쌍의 브레이크 디스크(25)는 함께 브레이크축(1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브레이크축(14)은, 볼베어링(15), 베어링 하우징(16)에 의해 프레임(17)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브레이크 기어(11)는, 워프 빔 기어(35)에 서로 맞물리는 위치에서, 니들 베어링(18),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원웨이 클러치)(13), 슬리브(19; sleeve) 및 슬리브(19)의 키(22)를 개재시키면서 브레이크축(14)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다.
다음에, 제동 장치(10)는, 베어링 하우징(16)에 장착된 복수개의 지주(20), 이들 지주(20)에 의해 회전되어 멈춘 상태로 지지된 브레이크 원판(23), 이 브레이크 원판(23)을 협지하도록 대향하는 한쌍의 브레이크 디스크(25), 및 브레이크 스프링(2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브레이크 디스크(25)는, 브레이크축(14)에 대해서 스플라인(spline) 등에 의해 회전되어 멈추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외주의 브레이크 라이닝(24)에 의해 브레이크 원판(23)의 면에 마찰에 의해 접함으로써, 브레이크축(14)에 제동력을 작용시킨다.
또, 브레이크 스프링(27)은, 코일형이며, 브레이크축(14)이 스프링 내를 통과하고, 선단에서 브레이크 스프링(27) 측의 브레이크 디스크(25)에 맞닿고, 후단에서 브레이크축(14)에 삽입된 스프링 받이(28)에 맞닿아 있다. 스프링 받이(28)는 브레이크축(14)의 수나사(29)와 나사 결합된 조절 너트(26)에 의해 브레이크 스프링(27)을 압축하고, 브레이크 원판(23)과 한쌍의 브레이크 라이닝(24) 사이에 필요한 제동력에 대응하는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원웨이 클러치)(13) 측의 브레이크 디스크(25)는, 리시브 링(30)에 의해 볼베어링(15)에 닿는다. 이같이 하여, 제동 장치(10)는, 브레이크 원판(23)과 한쌍의 브레 이크 라이닝(24)과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필요한 제동력을 발생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브레이크 기어(11)는, 니들 베어링(18)에 의해 브레이크축(14)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지만,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원웨이 클러치)(13)의 일방향만의 회전 전달 기능때문에, 워프 빔 기어(35)의 반 송출 방향의 회전(역회전)을 허용하더라도, 장력 T에 저항하도록 제동 장치(10)의 제동력을 작용시킨다. 이같이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13)는, 워프 빔(2)의 회전축(21)과 제동력 완화 수단(12) 사이에 개재하고, 워프 빔(2)의 송출 회전 방향에 대해서 제동 장치(10)의 제동력을 작용시키고, 송출과 역회전 방향, 즉 날실 장력 T에 저항하는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만 제동 장치(10)의 제동력을 작용시키지 않게 된다.
이 결과, 제직 중에, 개구 운동이나 바디침에 의해 날실 장력 T가 급격하게 변동되고, 이 장력 변동이 워프 빔(2)에 대한 가진력이 커져도, 워프 빔(2)의 송출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 웜 기어 기구(웜(34) 및 이것에 서로 맞물리는 웜휠에 의한 워프 빔 기어(35))의 역지 기능(셀프 록 기능)에 의해 얻어지는 제동력과, 제동 장치(10)의 제동력을 더한 제동력에 의해, 워프 빔(2)은 진동 회전을 유발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직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워프 빔(2)의 역회전(반 송출 방향의 회전) 시에, 제동력 완화 수단(12)으로서의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원웨이 클러치)(13)는 워프 빔(2)의 역회전(반 송출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기 때문에, 제동 장치(10)의 제동력은, 워프 빔(2)의 역회전(반 송출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 작용하지 않고, 거의 O(제로)가 되어 완화된다. 그러므로, 제동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워프 빔(2)의 역회전 시에서 의 구동 장치(3)의 부하는 증대하지 않고, 송출 방향의 회전 시의 부하보다 경감되게 된다.
이 결과, 후술하는[웜 기어 기구에 의한 송출 구동의 설명]에 기재된 대로, 구동 장치(3)가 같은 용량(같은 제동력)에서도, 제동 장치(10)에 제동력 완화 수단(12)으로서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원웨이 클러치)(13)의 내장에 의해, 구동 장치(3)의 필요 토크에 여유가 생기므로, 간소한 구성에 의해, 날실 장력이나 제직 밀도 범위 등의 사용 조건 범위가 넓어져서 직기의 범용성이 향상된다. 또, 사용 조건 범위를 넓히는 대신, 한 단계 작은 용량(구동력)의 구동 장치(3)를 채용할 수도 있고, 이로써 장치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 의하면, 제동력 완화 수단(12)으로서의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원웨이 클러치)(13)가 제동 장치(10)와 회전축(21) 사이에 개재되어 있지만,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원웨이 클러치)(13)는, 브레이크 디스크(25)와 브레이크축(14) 사이에 내장할 수도 있다. 또,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13)는, 원웨이 클러치가 아니고, 전자(電磁) 클러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전자 클러치로 구성할 때는, 직기의 제어와 연동하거나, 또는 인위적으로, 제동이 필요 시에 여자(勵磁)하고, 역회전 등이 불필요할 때에, 여자를 해제하고, 프리 상태로 설정하게 된다.
[실시예 2 (도 3)]
실시예 2는, 도 3과 같이, 제동 장치(10)의 제동력 완화 수단(12)을 브레이크축(14)과 일체인 브레이크 원판(23)에 대한 한쌍의 브레이크 디스크(25)의 접촉 압력을 감소시키는 액츄에이터(31),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에 의해 구성하고, 워프 빔(2)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전환하는 타이밍에서, 한쌍의 브레이크 디스크(25)를 브레이크 원판(23)에 대해서 접촉 및 이격시키는 예이다. 그리고, 브레이크 기어(11)는, 키(22)에 의해 직접 브레이크축(14)에 고정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액츄에이터(31)는, 지주(20)와 그 선단에 장착된 장착판(36)에 장착되고, 압력원(38), 밸브(39) 및 제어 장치(40)에 의해, 액츄에이터 로드(37)의 진출량(진출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액츄에이터 로드(37)는, 장착판(36)을 관통하고, 선단의 스프링 받이(28)에 의해 브레이크 스프링(27)의 일단에 소정의 진출력으로 맞닿아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축(14)이 회전하면, 브레이크 원판(23)과 한쌍의 브레이크 디스크(25) 사이에 일정한 마찰력(제동력)이 작용한다.
워프 빔(2)의 송출 방향의 회전(정회전) 시에는, 제어 장치(40)가 밸브(39)를 제어하고, 액츄에이터 로드(37)를 진출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한쌍의 브레이크 디스크(25)에 일정한 접촉 압력을 가함으로서, 워프 빔(2)에 제동력을 작용시킨다. 이에 비해서, 워프 빔(2)의 반 송출 방향의 회전(역회전) 시에는, 제어 장치(40)가 밸브(39)를 제어하고, 액츄에이터 로드(37)을 후퇴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한쌍의 브레이크 디스크(25)를 브레이크 원판(23)에서 빠지지 않을 정도로 떼어 놓는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원판(23)과 한쌍의 브레이크 디스크(25) 사이의 일정한 제동력이 감소하거나, 또는 거의 제동력이 작용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31)는, 에어 실린더 대신에, 유압 에어 실린더, 전자(電磁) 솔레노이드로 형성할 수도 있고, 또 전동 모터나 유압 모터와 나사 기구 등의 회전-직선 운동 변환 기구를 조합한 기구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도 4)]
실시예 3은, 도 4와 같이, 워프 빔(2)을 지지하는 회전축(21)의 위치에 제동 장치(10) 및 제동력 완화 수단(12)을 내장한 예이다. 도 4에서, 제동력 완화 수단(12)으로서의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원웨이 클러치)(13)는, 회전축(21)의 외경 부분에 삽입되어 있고, 회전축(21)이 역회전 시에는 공회전한다. 또 제동 장치(10)로서의 미끄러짐 베어링(41)은,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원웨이 클러치)(13)와 직기 프레임(42)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미끄러짐 베어링 내륜(43)과 미끄러짐 베어링 외륜(45)과의 사이의 마찰(슬라이드 이동 저항)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 회전축(21)의 직경이 클수록,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제동력이 강해진다.
워프 빔(2)의 송출 방향의 회전(정회전) 시에는, 회전축(21)과 미끄러짐 베어링 내륜(43)이 함께 회전하고, 미끄러짐 베어링(41)에 의해 워프 빔(2)에 제동력이 작용한다. 이에 비해서, 워프 빔(2)의 반 송출 방향의 회전(역회전) 시에는, 회전축(21)만이 회전하므로, 워프 빔(2)에 제동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실시예 4 (도 5)]
실시예 4는, 실시예 1(도 2)에 있어서,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13)로서 원웨이 클러치를 사용하는 대신에, 도 5와 같이, 한쌍의 브레이크 디스크(25)와 브레이크 기어(11) 사이의 브레이크축(14)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을 개재시킨 예이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은, 브레이크축(14)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지고, 일단에서 브레이크축(14)에 고정되고, 타단에서 브레이크 기어(11)의 보스 부분에 고정 되어 있다.
워프 빔(2)의 송출 방향의 회전 시에는, 브레이크 기어(11)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을 비트는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은, 끝까지 감기거나 또는 소정의 회전량까지 회전하면, 브레이크 기어(11)의 회전을 브레이크축(14)에 전달한다. 이 결과, 워프 빔(2)의 송출 방향 회전 시에, 제동 장치(10)의 제동력은 워프 빔(2)에 작용한다.
이에 비해서, 워프 빔(2)의 반 송출 방향의 회전 시에는, 브레이크 기어(11)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감겨진 상태를 되돌리는(개방)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은 그 가압력을 브레이크 기어(11)에 작용시키면서 회전한다. 이 때, 브레이크 디스크(25)에는, 브레이크 기어(11)의 회전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제동 장치(10)의 제동력은 워프 빔(2)에 부여되지 않는다. 그리고, 역회전 시의 회전량을, 제동력을 넘지 않는 정도(역회전에 브레이크 디스크(25)가 회전하지 않는 정도)로 하거나, 또는 제동력을 넘지 않는 정도, 즉 역회전량에 대응한 충분한 비틀림량을 가지도록,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스프링 상수(spring constant)를 결정한다.
[실시예 5 (도 6 및 도 7)]
실시예 5는, 실시예 4(도 5)에 있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을 사용하는 대신에 도 6 및 도 7과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46), 브레이크측 연결 부재(47) 및 기어측 연결 부재(48)를 사용한 예이다. 브레이크측 연결 부재(47)는 브레이크축(14)에 고정되어 있고, 기어측 연결 부재(48)는 브레이크 기어(11)에 고정되어 있 다. 또 브레이크측 연결 부재(47)와 기어측 연결 부재(48)는, 압축 코일 스프링(46)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워프 빔(2)의 정회전 시에, 브레이크 기어(11)는 압축 코일 스프링(46)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브레이크 기어(11)가 회전하고, 압축 코일 스프링(46)이 끝까지 압축되거나, 또는 압축 코일 스프링(46)의 압축력이 제동 장치(10)의 제동력에 상당하는 압축량이 되면, 브레이크 디스크(25)에 브레이크 기어(11)의 회전이 전달되고, 워프 빔(2)에 제동 장치(10)의 제동력이 작용한다.
워프 빔(2)의 역회전 시에는, 브레이크 기어(11)는, 압축 코일 스프링(46)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따라 압축 코일 스프링(46)은 브레이크 기어(11)에 가압력을 작용시키면서 회전한다. 이 때, 브레이크 디스크(25)에는, 브레이크 기어(11)의 회전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제동 장치(10)의 제동력은 브레이크 기어(11)에 부여되지 않는다. 그리고 역회전 시의 회전량을 제동력을 넘지 않는 정도(역회전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25)가 회전하지 않을 정도)로 하거나, 또는 제동력을 넘지 않는 정도로, 즉 역회전량에 대응한 충분한 비틀림량을 가지도록 압축 코일 스프링(46)의 스프링 상수를 결정한다.
[실시예 6 (도 8)]
실시예 6은, 실시예 1(도 2)에 있어서,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13)로서 원웨이 클러치를 사용하는 대신에, 도 8과 같이, 한쌍의 브레이크 디스크(25)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브레이크 원판(23)을 소정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한 예이다. 도 8에서, 브레이크 원판(23)은,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착 구멍(49)에 의해 지주(20)에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으므로, 장착 구멍(49)의 길이 범위에서만 한쌍의 브레이크 디스크(25)와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워프 빔(2)의 정회전 시에는, 브레이크축(14)이 회전함으로써, 한쌍의 브레이크 디스크(25) 및 이들에 끼워져 있는 브레이크 원판(23)이 같이 회전하지만, 브레이크 원판(23)의 장착 구멍(49), 즉 장공(長孔)의 일단이 지주(20)에 걸리면, 브레이크 원판(23)은 정지하고, 이것에 대해 한쌍의 브레이크 디스크(25)가 마찰력을 작용시키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제동 장치(10)는, 제동력을 워프 빔(2)에 작용시킨다.
워프 빔(2)의 역회전 시에는, 브레이크축(14)이 회전되어서, 한쌍의 브레이크 디스크(25) 및 이들에 끼워져 있는 브레이크 원판(23)이 같이 회전하고, 브레이크 원판(23)의 장착 구멍(49), 즉 장공의 타단이 지주(20)에 걸리면서, 브레이크 원판(23)이 정지한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 원판(23)의 장착 구멍(장공)(49)과 지주(20)가 맞닿을 때까지, 제동 장치(10)는, 제동력을 작용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워프 빔(2)의 역회전 시의 회전량은, 브레이크 원판(23)의 장착 구멍(49)이 지주(20)에 걸릴 때까지(역회전 시에 제동력을 작용시키지 않는 정도)로 하고, 그 이상은 역회전 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실시예 6은, 기계식 구동 장치, 예를 들면 날실 장력 T에 따라 변속비를 바꾸는 변속기를 구비한 기계식 구동 장치(3)에 적용된다. 전동식 구동 장치(3)에서는 전용 모터(32)에 의해 몇회라도 역회전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구동 장치(3)에서의 역회전량을 제한하거나, 장착 구멍(49)의 형성 범위를 넓게 함으로써 적용할 수 있다.
[웜 기어 기구에 의한 송출 구동의 설명]
상기와 같이, 워프 빔(2)의 송출 방향(정회전) 구동은, 날실 장력 T에 저항하는 제동력을 작용시키기 위해, 부하 방향과 회전 방향이 동일하게 되는 날실 장력 T에 대한 제동 완화 구동이 된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이러한 송출 구동에 웜 기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웜 기어(웜(34) 및 웜휠의 워프 빔 기어(35))는 날실(9)의 송출 시에 워프 빔(2)이 공회전하지 않도록, 항상 워프 빔(2)에 제동력을 부여하고 있다. 워프 빔(2)의 정회전 시에 구동 장치(3)에 필요한 토크는, 이 웜 기어(웜(34) 및 웜 휠의 워프 빔 기어(35))에 의한 제동력의 크기, 즉 날실 장력 T의 크기에 의해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웜 기어를 사용한 송출의 경우, 웜 기어에 접속된 전용 모터(32)의 날실 장력 T에 대한 정회전 시의 필요 모터 토크 TF와 역회전 시에 필요한 모터 토크 TR은 TF < TR의 관계가 된다. 또, 그들의 비 TR / TF = 3 ~ 4 (진행각 10˚이하의 경우)이다. 이것은, 제동 장치(10)가 없더라도 역회전 시의 모터 토크 TR은 정회전 시의 3 ~ 4배가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고, 역회전 시에 필요한 모터 토크 TR을 줄이는 것이 과제가 된다.
종래에는, 역회전 시의 모터 토크 TR을 크게하기 위해 전용 모터(32)의 감속비를 크게 하였지만, 단점으로서 감속비가 크면, 워프 빔(2)의 최고 회전수가 낮아지으로, 조밀도(粗密度) 제직에 대응할 수 없다. 또 조밀도에 대응시키려고 하면, 높은 날실 장력 T에 대응할 수 없게 된다. 또, 워프 빔(2)의 외경이 크거나, 날실 장력 T가 클 때는, 워프 빔(2)의 구동 장치(3)에 필요한 토크가 커지게 되지만, 상 기 웜 기어를 사용한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1)에 제동 장치(10)를 구비할 경우, 워프 빔(2)의 정회전 시에는, 웜 기어 제동력이 제동 장치(10)의 제동력(이하, 워프 빔 제동력이라고 한다)에 의해, 일부 부담이 되기 때문에, 워프 빔(2)의 정회전 시에 구동 장치(3)에 필요한 토크는, (날실 장력 T) - (워프 빔 제동력 B)에 대응하는 토크가 된다.
그러나, 워프 빔(2)의 역회전 시에는, 정회전 시와는 반대로 (날실 장력 T) + (워프 빔 제동력B)보다 큰 토크에 의해 워프 빔(2)을 회전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워프 빔(2)의 역회전 시에 필요한 토크는, (날실 장력 T) + (워프 빔 제동력 B)에 대응하는 토크가 된다. 그러므로 구동 장치(3)의 용량 선정은 워프 빔(2)의 역회전 시에 필요한 토크로 결정되게 되어, 본래 필요 충분한 토크, 즉 워프 빔(2)의 정회전 시에 필요한 토크에 대해 큰 용량의 전용 모터(32)를 선정하여야 한다. 또 이 때문에 본래의 토크를 살리지 못하고, 허용 날실 장력이나 제직 밀도 범위(1인치당 피킹 개수이며, 그 값이 작을(성길) 수록 워프 빔을 빨리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등의 사용 조건 범위가 제한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전동식 구동 장치(3)에 한정되지 않고, 기계식 구동 장치(3)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 제동 장치(10)는 송출 전기간에 걸쳐서 제동을 작용시켜도 되고, 제직 중에 제직 조건을 변경하는 직기에 있어서, 직단이 발생하기 쉽거나, 또는 워프 빔(2)이 진동하기 쉬운 제직 조건에서만 제동 장치(10)에 의한 제동을 작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전달 장치(5)에 대해서 제동 장치(10)에 의한 제어를 작용시킬 수도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구동 샤프트(33) 사이에 원 웨이 클러치에 접속된 구동 장치(10)에 의해 제동력을 작용시켜도 된다. 다만 이 경우는, 웜 기어를 이용하지 않고, 제동 기능을 구비한 전용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에 있어서, 워프 빔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제동 장치가 구동 장치의 제동력과는 별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직 중에 워프 빔에 제동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워프 빔의 진동 회전을 억제할 수 있어서 워프 빔의 진동 회전에 의한 직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청구항 1).
상기 [웜 기어 기구에 의한 송출 구동의 설명]에 기재한 대로, 반 송출 방향 회전 시에 필요한 구동 장치의 토크가 송출 방향 회전 시에 필요한 구동 장치의 토크보다 크기 때문에, 워프 빔의 반 송출 방향 회전 시에 제동 장치의 제동력이 제동력 완화 수단에 의해 완화되어, 워프 빔의 반 송출 방향 회전 시에 구동 장치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어 구동 장치의 부하가 가벼워진다. 그러므로, 구동 장치가 동일 용량이라도, 허용 날실 장력이나 제직 밀도 범위 등의 사용 조건 범위가 넓어져서, 직기의 범용성이 향상된다. 또 사용 조건 범위를 넓히는 대신에 한 단계 작은 용량의 구동 장치를 사용할 수 있어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청구항 2).
제동력 완화 수단이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라면, 범용 원웨이 클러치나 코일 스프링 등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청구항 2의 효과가 간소한 구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청구항 3).
제동력 완화 수단이 접촉 압력을 감소시키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성되면, 그 접촉 압력의 가감(상태) 제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서, 최적 접촉 압력의 조절을 행할 수 있다(청구항 4).

Claims (4)

  1. 회전 구동원(4)과 구동원(4)의 회전을 워프 빔(2)에 전달하는 전달 장치(5)로 이루어지는 구동 장치(3)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3)는 날실 장력에 저항하는 제동력을 상기 워프 빔(2)에 작용시키면서 상기 워프 빔(2)을 송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직기(織機)의 날실 송출 장치(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3)의 제동력과는 별도로, 상기 워프 빔(2)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제동 장치(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실 송출 장치(1)는 반 송출 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동 장치(10)는 상기 워프 빔(2)의 반 송출 방향의 회전 시에 상기 제동 장치(10)의 제동력을 완화시키는 제동력 완화 수단(1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력 완화 수단(12)은 상기 제동 장치(10)와 상기 워프 빔(2)의 회전축(21) 사이에 개재된 일방향 회전 전달 장치(13)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력 완화 수단(12)은 브레이크축(14)과 일체인 브레이크 원판(23)에 대한 브레이크 디스크(25)의 접촉 압력을 감소시키는 액츄에이터(31)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1).
KR1020050050561A 2004-07-22 2005-06-13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 KR200600483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14796A JP4663266B2 (ja) 2004-07-22 2004-07-22 織機の経糸送り出し装置
JPJP-P-2004-00214796 2004-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337A true KR20060048337A (ko) 2006-05-18

Family

ID=3565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561A KR20060048337A (ko) 2004-07-22 2005-06-13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016504A1 (ko)
JP (1) JP4663266B2 (ko)
KR (1) KR20060048337A (ko)
CN (1) CN17247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5123A1 (en) * 2006-12-12 2008-06-12 Sultex Ag Cloth draw-off apparatus
EP2180092B1 (de) * 2008-10-24 2012-11-21 Groz-Beckert KG Breithalter mit Klemm- und Lüftvorrichtung
KR200457562Y1 (ko) 2009-12-01 2011-12-23 김기형 직기의 경사 공급 속도 보정장치
CN102146607A (zh) * 2010-11-17 2011-08-10 江苏万工科技集团有限公司 织机经纱送出机构采样周期的自动调节装置及调节方法
CN102070046B (zh) * 2010-11-23 2012-12-05 东华大学 一种织机启动时纱线张力控制方法
CN102443947A (zh) * 2011-09-26 2012-05-09 江苏万工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双后梁转动联动装置
CN103510252A (zh) * 2012-06-20 2014-01-15 吴江市金真缝纫机有限公司 一种电动急纱送经机构
RU2606221C2 (ru) * 2015-02-02 2017-01-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остромско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КГУ)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трехмерной ткани
CN105226879B (zh) * 2015-10-30 2018-11-23 湖州现代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织机马达刹停装置
CN105227002B (zh) * 2015-10-30 2018-06-15 湖州现代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织机马达停转装置
CN105537900B (zh) * 2016-03-04 2017-12-12 郑州纺机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浆纱机自动上落经轴装置
CN106192169B (zh) * 2016-09-05 2018-08-24 江苏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交替产生不同立体泡绉效应的织机送经机构
CN108221145A (zh) * 2018-01-30 2018-06-29 约科布·缪勒机械制造(中国)有限公司 Vtx单向传动控制装置
CN108691075A (zh) * 2018-07-10 2018-10-23 山东日发纺织机械有限公司 主动送经装置
CN109706594B (zh) * 2019-01-15 2023-11-10 扬州市海力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织网机下线刹车结构
CN111826784B (zh) * 2020-06-15 2021-11-23 苏州市天翱特种织绣有限公司 一种妆花罗织造的停撬装置
CN112160102A (zh) * 2020-09-30 2021-01-01 际华三五四二纺织有限公司 一种浆纱机经轴架装置
CN115029844B (zh) * 2022-06-27 2023-01-03 浙江泰坦股份有限公司 一种喷气织机自动上经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8158A (en) * 1948-05-18 1950-08-08 Kellogg M W Co Electrical let-off
CH504558A (de) * 1970-03-02 1971-03-15 Wernli Ag Verbandstoffabrik & Kettbaumbremse
DE2062859A1 (de) * 1970-12-21 1972-06-29 Scheffel, Walter, 8832 Weissenburg Vorrichtung zum Fördern bandartiger Gebilde mittels Walzen, insbesondere an Webmaschinen
US3677305A (en) * 1971-02-19 1972-07-18 Southern Machinery Co Loom having interconnected warp let-off and cloth take-up means at back of loom
BE768521R (nl) * 1971-02-26 1971-11-03 Weefautomaten Picanol N V Meti Kettingafwinder voor
US3799210A (en) * 1971-06-19 1974-03-26 A Gardella Brake unit for the warp beam of weaving looms
US3749136A (en) * 1971-10-13 1973-07-31 D Robinson Tension control device
CH603860A5 (ko) * 1976-09-21 1978-08-31 Saurer Ag Adolph
DE2939607C2 (de) * 1979-09-29 1983-10-27 Maschinenfabrik Stromag Gmbh, 4750 Unna Regeleinrichtung für den Antrieb eines Kettablasses einer Webmaschine
US4485849A (en) * 1982-06-14 1984-12-04 Franks Bobby L Loom beam let off
US4552186A (en) * 1982-12-02 1985-11-12 Nissan Motor Co., Ltd. Warp let-off mechanism of weav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63266B2 (ja) 2011-04-06
CN1724735A (zh) 2006-01-25
US20060016504A1 (en) 2006-01-26
JP2006037246A (ja) 2006-02-09
CN1724735B (zh)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8337A (ko) 직기의 날실 송출 장치
CN1980848A (zh) 用于生产交叉卷绕筒子的纺织机的卷绕装置的筒子架加载和减载装置
KR20110059625A (ko) 헬리컬 기어장치
JPH0824939A (ja) 連続伸線機
JP4851576B2 (ja) 織機の経糸送り出し装置
CN202755167U (zh) 用于喷气织机的纬纱张力控制装置
EP1319859A1 (de) Bremsvorrichtung
JP6227980B2 (ja) 織機の布巻張力調整装置
CN107531211A (zh) 安全带卷收器
BE1014441A3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toevoeren van inslaggaren bij een weefmachine, alsmede rem- en/of dempingsmechanisme hierbij toegepast.
JP2000002309A (ja) アクチュエータ
CN2883419Y (zh) 喷水织机经轴制动装置
JPWO2005106274A1 (ja) 機械式自動変速機のクラッチ構造
JP4409259B2 (ja) トロイダルコアの巻線装置
JPS5831419B2 (ja) 積極的に巻戻される織機における経糸の張力調整装置
US4458728A (en) Constant tension let-off motion for warp threads in a loom
US6595457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 creel of a textile machine
US8057346B2 (en) Automatic stepless transmission
CN220850601U (zh) 一种减速机底座防拉裂装置
JPS602208Y2 (ja) 織機における経糸送出装置
US3866482A (en) Drive system for reed roller of weaving machine
RU233801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пуска и натяжения основы на ткацком станке
SU1758107A1 (ru) Механизм намотки полотна круглов зальной машины
JP3500327B2 (ja) 織機の織段防止装置
JPS63878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