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275A -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275A
KR20060048275A KR1020050048976A KR20050048976A KR20060048275A KR 20060048275 A KR20060048275 A KR 20060048275A KR 1020050048976 A KR1020050048976 A KR 1020050048976A KR 20050048976 A KR20050048976 A KR 20050048976A KR 20060048275 A KR20060048275 A KR 20060048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bracket
upper thread
rock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9356B1 (ko
Inventor
박함규
박일규
Original Assignee
(주) 인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브로 filed Critical (주) 인브로
Priority to JP2007527007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08501471A/ja
Priority to EP05749411A priority patent/EP1753905A1/en
Priority to PCT/KR2005/001734 priority patent/WO2005121433A1/en
Priority to US11/629,334 priority patent/US20070261619A1/en
Publication of KR20060048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16Arrangements for repeating thread patterns or for changing thread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8Thread-tensioning arrangements
    • D05C11/10Guides, e.g. resi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공급부로부터 바늘작업부로 윗실을 공급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윗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기며 접촉하는 실접촉부를 가지며, 실접촉부를 통과하는 윗실에 저항을 주어 윗실의 장력을 조절하는 실장력조절체와; 소정의 회전축선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축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윗실을 파지하며 회전하여 실장력조절체에 윗실을 감을 수 있는 인출부재와; 윗실이 실접촉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권취되도록 인출부재를 회전시키는 인출부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간편하게 윗실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THREAD FEED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의 부분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a 및 도 5b, 도 6a 및 도 6b는 실장력조절체에 윗실이 감기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인출부재 및 요동브래킷에 윗실이 걸리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8a 및 도 8b, 도 9a 및 도 9b, 도 10a 및 도 10b는 브래킷 구동부의 작동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의 부분 확대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분해사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도 11의 실채기와 요동브래킷의 작동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사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도 11의 실채기와 요동브래킷의 작동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윗실 공급장치 3 : 윗실
5 : 실공급부 8 : 실가이드
15 : 이격부 21 : 실장력조절체
23 : 실접촉부 25 : 인출부재
27 : 파지부 30 : 인출부재 구동부
71,71' : 요동브래킷 73,73' : 실걸림부
81,81' : 브래킷 구동부 83 : 브래킷구동캠
85 : 이동핀 91,91' : 요동브래킷용 탄성부재
95 : 캠용 탄성부재
본 발명은,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윗실의 장력 조절 구조를 개선한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자수기는 다양한 색상의 실을 이용하여 의류나 신발 라벨 등에 미리 짜여진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를 놓아 소정의 무늬 및 상표 등을 형성하는 자동재봉기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자수기는 고정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된 헤드 스템과, 헤드 스템에 장착되어 복수의 실패로부터 여러 가지 상이한 색상의 윗실을 자수작업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공급하는 윗실 공급장치와, 이렇게 공급된 윗실을 꿰어 자수작업을 수행하는 바늘작업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자동자수기는 윗실 공급장치 및 바늘작업부에 장착된 바늘의 수에 따라 싱글니들(single needle)용과 멀티니들(multi needle)용으로 분류된다.
싱글니들용 자동자수기는 복수의 실보빈으로부터 여러 가지 상이한 색상의 윗실들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를 바늘작업부로 공급하는 윗실 공급장치와, 공급되는 하나의 윗실을 꿰어 자수작업을 수행하도록 단일의 바늘을 갖는 바늘작업부를 포함한다.
멀티니들용 자동자수기는 복수의 실보빈으로부터 여러 가지 상이한 색상의 윗실들을 바늘작업부로 공급하는 윗실 공급장치와, 공급되는 복수의 윗실들을 각각 꿰어 그 중 하나가 자수작업을 수행하도록 복수의 바늘을 갖는 바늘작업부를 포함한다.
이하 명세서에서는 싱글니들용 자동자수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종래의 싱글니들용 자동자수기에 대한 발명이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68028호의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는, 바늘작업부를 갖는 헤드 스템과; 상이한 색상을 갖는 복수의 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실공급부와; 상기 헤드 스템에 마련되며, 상기 실공급부로부터의 실을 수령하는 제1안내관과, 상단부가 상기 제1안내관에 대해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 간격을 가지고 하단부가 상기 바늘작업부에 인접하는 제2안내관을 갖는 안내관조립체와; 상기 실의 공급경로와 평행한 평면내에서 요동하는 요동레버와, 상기 요동레버의 자유단부 영역에 상기 요동레버의 요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요동레버의 요동운동에 따라 상기 이격 간격을 통해 왕복동하여 상기 실을 긴장 및 이완하는 실걸이부재를 갖는 실채기를 포함하여, 헤드스템을 단일화하면서 실의 공급경로에 곡선경로를 배제할 수 있어 실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는, 헤드스템의 상측에 마련되어 복수의 실보빈으로부터 연장된 각 윗실의 장력을 조절하는 실장력유지부를 더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의 실장력유지부는 실보빈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윗실 모두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일일이 각 윗실을 실장력유지부에 결합시켜 장력을 각각 조절해야 하므로, 윗실의 장력 조절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게 윗실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공급부로부터 바늘작업부로 윗실을 공급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있어서, 윗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기며 접촉하는 실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실접촉부를 통과하는 상기 윗실에 저항을 주어 상기 윗실의 장력을 조절하는 실장력조절체와; 소정의 회전축선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윗실을 파지하며 회전하여 상기 실장력조절체에 윗실을 감을 수 있는 인출부재와; 상기 윗실이 상기 실접촉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권취되도록 상기 인출부재를 회전시키는 인출부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인출부재 구동부는 상기 인출부재에 직결되는 모터, 유체압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인출부재 구동부는, 상기 인출부재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소정의 축간거리를 가지며 이격 배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축구동부와, 상기 회전축과 구동축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는, 상기 실장력조절체로부터 상기 바늘작업부로 향하는 윗실이 걸리는 실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윗실을 긴장 및 이완시키도록 요동하는 요동브래킷과; 상기 요동브래킷의 실걸림부를 실이동경로상으로 이동시켜 상기 실걸림부에 상기 윗실이 걸리도록 상기 요동브래킷을 구동하는 브래킷 구동부와; 상기 요동브래킷이 요동하도록 상기 요동브래킷에 소정의 탄성력 을 제공하는 요동브래킷용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브래킷 구동부는 상기 디스크에 직결되는 모터, 유체압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브래킷 구동부는, 측면에 소정의 캠프로파일이 형성된 브래킷구동캠과; 상기 브래킷구동캠의 캠프로파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핀과; 상기 이동핀을 상기 브래킷구동캠의 캠프로파일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브래킷구동캠을 회전시키는 캠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동브래킷용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브래킷구동캠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요동브래킷에 지지되어, 상기 요동브래킷을 요동시킨다.
또한, 상기 브래킷 구동부는 상기 브래킷구동캠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브래킷구동캠을 소정의 탄성력으로 회전시키는 캠용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소정의 구간을 요동하며 윗실을 긴장 및 이완시키는 실채기와, 상기 실장력조절체로부터 상기 바늘작업부로 향하는 윗실을 인출하여 상기 실채기 및 상기 실걸림부에 걸어주는 실인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요동브래킷은 상기 실채기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채기가 상사점에 위치할 때 상기 실걸림부는 상기 요동브래킷의 상사점에 위치하고, 상기 실채기가 하사점에 위치할 때 상기 실걸림부는 상기 요동브래킷의 하사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싱글 니들 자동자수기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1)는, 상이한 색상을 갖는 복수의 윗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윗실(3)을 공급하는 실공급부(5)와, 실공급부(5)로부터 공급되는 윗실(3)을 바늘(13)로 안내하는 실가이드(8)와, 소정의 구간을 요동하며 실가이드(8)를 통과하는 윗실(3)을 채어 긴장 및 이완시키는 실채기(11)를 가진다.
실공급부(5)는 실공급로(6)를 가지며, 대기중인 상이한 색상을 갖는 복수의 윗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윗실(3)을 압축공기에 의해 실가이드(8)로 공급한다.
실가이드(8)에는 실공급부(5)로부터 공급되는 윗실(3)을 안내하는 실안내로(9)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실가이드(8)는 사각단면형상의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다양한 단면형상을 갖는 관상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실공급부(5)와 실가이드(8) 사이에는 실이동경로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이격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이격부(15)에는 이격부(15)를 통과하는 윗실(3)이 부분적으로 감기며 접촉하여 윗실(3)의 장력을 조절하는 실장력조절체(21)와, 이격부(15)를 통과하는 윗실(3)을 파지하며 회전하여 실장력조절체(21)에 윗실(3)을 감는 인출부재(25)가 마련되어 있다.
실장력조절체(21)는 원반형상을 가지며, 외주를 따라 함몰 형성되어 윗실(3) 이 부분적으로 감기며 접촉하는 실접촉부(23)를 가진다. 실장력조절체(21)는 후술할 인출부재(25)의 수용홈(29)에 수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실접촉부(23)에는 윗실(3)이 접촉 통과하면서 저항이 발생하여, 윗실(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실장력조절체(21)는 후술할 인출부재 구동부(30)의 회전축(31)에 자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회전축(31)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회전축(31)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인출부재(25)는 실장력조절체(21)와 실공급부(5)의 하단부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인출부재(25)는 후술할 인출부재 구동부(30)의 회전축(31)에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축(31)의 축선과 이격부(15)를 통과하는 윗실(3)의 이동경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또한, 인출부재(25)에는 이격부(15)를 통과하는 윗실(3)을 파지하는 파지부(27)로서 윗실(3)이 통과하는 실통과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나, 실통과공 대신에 인출부재(25)의 일단부에 일측이 개구된 반원호형상의 파지홈을 형성하여, 이격부(15)를 통과하는 윗실(3)을 파지할 수도 있다.
또한, 인출부재(25)에는 실장력조절체(21)를 수용하는 수용홈(2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출부재(25)는 인출부재 구동부(3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실장력조절체(21)의 실접촉부(23)에 윗실(3)을 부분적으로 권취시킨다.
본 실시예에서의 인출부재 구동부(30)는, 인출부재(25)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31)과, 회전축(31)과 소정의 축간거리를 가지며 이격 배치되는 구동축(33)과, 구동축(33)을 회전시키는 축구동부와, 회전축(31)과 구동축(33) 사이에 마련되어 구동축(33)의 회전력을 회전축(3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가진다.
회전축(31)은 헤드 스템(17)에 지지되는 프레임(19)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회전축(31)의 일단부에는 인출부재(25)가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동력전달부로서 종동풀리(35)가 결합되어 있다.
구동축(33)은 회전축(31)과 평행을 이루며 프레임(19)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구동축(33)의 일단부에는 종동풀리(35)와 대응하는 규격을 갖는 구동풀리(37)가 결합되어 있다. 구동풀리(37)와 종동풀리(35)는 벨트(39)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구동축(33)의 회전력을 회전축(31)에 전달한다.
회전축(31)과 구동축(33)은 프레임(19)에 수용 지지되는 베어링(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33)의 타단부에는 구동축(33)을 회전시키는 축구동부의 일 구성요소인 구동캠(43)이 결합되어 있다. 구동캠(43)의 외주면에는 구동캠(43)의 길이방향을 따라 곡선이 형성된 캠프로파일(4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캠프로파일(43a)에는 구동핀(45)이 수용되어 있다. 구동핀(45)의 일단부에는 도시 않은 구동수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구동핀(45)이 구동캠(43)의 캠프로파일(43a)을 따라 이동하면, 구동캠(43)은 회전을 하게 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인출부재 구동부(30)를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구성하지 않고, 인출부재 구동부(30)로서 모터, 유체압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인출부재(25)와 직결하여 인출부재(25)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동력전달부로서 한 쌍의 구동풀리(37) 및 종동풀리(35)와 벨트(39)가 개시되어 있으나, 한 쌍의 기어를 맞물림 결합하여 구동축(33)의 회전력을 회전축(31)에 전달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1)는, 윗실(3)을 긴장 및 이완시키도록 요동하는 요동브래킷(71)과, 요동브래킷(71)에 윗실(3)이 걸리도록 요동브래킷(71)을 구동하는 브래킷 구동부(81)와, 소정의 탄성력으로 요동브래킷(71)을 요동시키는 요동브래킷용 탄성부재(91)를 더 포함한다.
요동브래킷(71)은 인출부재 구동부(30)의 회전축(31)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부시(75)에 결합되어 있다. 요동브래킷(71)은 반고리형상을 갖는 상단부(71a)와, 상단부(71a)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부시(75)가 관통 결합되는 하단부(71b)와, 상단부(71a)와 하단부(71b)의 일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며 상단부(71a)와 하단부(71b)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부(71c)를 가진다. 요동브래킷(71)의 상단부(71a)에는 실장력조절체(21)로부터 바늘(13)로 향하는 윗실(3)이 걸리는 실걸림부(73)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걸림부(73)로서 실이 관통하는 실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나, 실관통공 대신에 요동브래킷(71)의 상단부(71a)에 일측이 개구된 반원호형상의 실걸림홈을 형성하여, 실걸림홈에 윗실(3)을 걸 수도 있다.
브래킷 구동부(81)는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를 실이동경로상으로 이동시켜 실걸림부(73)에 윗실(3)이 걸리도록 요동브래킷(71)을 구동한다. 브래킷 구동부(81)는, 측면에 소정의 캠프로파일(83a)이 형성된 브래킷구동캠(83)과, 브래킷구동캠(83)의 캠프로파일(83a)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핀(85)과, 이동핀(85)을 브래킷구동캠(83)의 캠프로파일(83a)을 따라 이동시켜 브래킷구동캠(83)을 회전시키 는 캠구동부(87)를 가진다.
브래킷구동캠(83)은 외주면에 브래킷구동캠(83)의 축선에 대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경사를 이루는 캠프로파일(83a)이 형성되어 있으며, 부시(75)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브래킷구동캠(83)의 캠프로파일(83a)에는 캠프로파일(83a)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핀(85)이 수용되어 있다.
이동핀(85)의 일단부에는 캠구동부(87)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캠구동부(87)의 구동에 의해 이동핀(85)이 브래킷구동캠(83)의 캠프로파일(83a)을 따라 이동하면, 브래킷구동캠(83)은 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캠구동부(87)로서 모터, 유체압실린더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요동브래킷용 탄성부재(91)는 요동브래킷(71)과 브래킷 구동부(81) 사이에 마련된다. 요동브래킷용 탄성부재(91)는 일단부가 브래킷구동캠(83)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요동브래킷(71)에 지지되어 있다. 이에, 요동브래킷(71)은 요동브래킷용 탄성부재(91)에 의해 소정의 구간 내에서 요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요동브래킷용 탄성부재(91)로서 코일스프링이 개시되어 있으나, 코일스프링 이외에 스파이럴 스프링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브래킷 구동부(81)는 브래킷구동캠(83)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브래킷구동캠(83)을 소정의 탄성력으로 회전시키는 캠용 탄성부재(9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캠용 탄성부재(95)는 일단부가 브래킷구동캠(83)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프레임(19)에 지지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캠용 탄성부재(95)로서 코일스 프링이 개시되어 있으나, 코일스프링 이외에 스파이럴 스프링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윗실(3) 교체시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가 실이동경로상에 위치하도록, 캠구동부(87)를 구동하여 이동핀(85)을 브래킷구동캠(83)의 캠프로파일(83a)을 따라 이동시키면 브래킷구동캠(83)이 회전하여,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가 인출부재(25)의 파지부(27)와 상호 연통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인출부재(25)가 회전하여 실장력조절체(21)에 실을 감을 때, 요동브래킷(71)에 실이 걸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에 실이 걸린 후,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가 인출부재(25)의 파지부(27)와 동축을 이루지 않도록 캠구동부(87)를 구동하여 이동핀(85)을 브래킷구동캠(83)의 캠프로파일(83a)을 따라 이동시키면, 요동브래킷(71)은 캠용 탄성부재(95)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회전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요동브래킷(71)을 통과하는 윗실(3)은 실장력조절체(21)에 의해 가해진 실 자체의 장력뿐만 아니라 요동브래킷용 탄성부재(91)의 탄성력에 의해 요동하여 긴장 및 이완된다.
여기서, 요동브래킷(71)과 브래킷 구동부(81)와 요동브래킷용 탄성부재(91)와 캠용 탄성부재(95)는 필요에 따라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자수 도중 색상의 변화에 따라 윗실(3)을 교체하거나 단사하여 윗실(3)을 교체할 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윗실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바늘(13)로 공급되는 윗실(3)의 장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먼저, 실공급부(5)와 실가이드(8) 사이에 마련된 이격부(15)의 실이동경로 상에 인출부재(25)의 파지부(27)가 위치하도록 인출부재 구동부(30)를 구동시킨다. 동시에,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가 인출부재(25)의 파지부(27)와 동축을 이루도록 요동브래킷(71)을 회전시킨다. 요동브래킷(71)에 윗실(3)을 거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실공급부(5)에 대기중인 상이한 색상의 복수의 윗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윗실(3)은 압축공기에 의해 실공급부(5)의 실공급로(6)를 거쳐 이격부(15)를 지나 실가이드(8)의 실안내로(9)를 거쳐 바늘(13)로 향하게 된다.
이 때,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공급로(6)를 나온 윗실(3)은 인출부재(25)의 파지부(27)를 거쳐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를 관통하여 실가이드(8)의 실안내로(9)로 안내된다.
이어서, 실장력조절체(21)의 실접촉부(23)에 윗실(3)이 부분적으로 권취되도록 인출부재(2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도시 않은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구동핀(45)을 구동캠(43)의 캠프로파일(43a)을 따라 이동시켜 구동캠(4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캠(43)이 회전함에 따라 구동축(33)이 회전하여 구동축(33)의 회전력은 벨트(39)에 의해 연결된 구동풀리(37)와 종동풀리(35)를 거쳐 회전축(31)으로 전달되어, 인출부재(25)는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인출부재(25)가 회전함에 따라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부 재(25)의 파지부(27)에 파지된 윗실(3)은 이격부(15)의 실이동경로로부터 인출되어 실장력조절체(21)의 실접촉부(23)를 따라 감기게 된다. 여기서, 윗실(3)이 실접촉부(23)에 1회 감기도록 인출부재(25)를 일회전만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실장력조절체(21)의 실접촉부(23)에 감긴 윗실(3)은 실장력조절체(21)의 실접촉부(23)를 통과하면서 저항이 발생되어, 실접촉부(23)를 따라 이동하는 윗실(3)에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실장력조절체(21)를 통과하여 실가이드(8)로 이동하는 윗실(3)은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에 윗실(3)이 걸린 후, 캠용 탄성부재(95)의 탄성력에 의해 요동브래킷(71)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복귀된 요동브래킷(71)은 요동브래킷용 탄성부재(91)의 탄성력에 의해 요동하게 된다. 이에, 요동브래킷(71)을 통과하는 윗실(3)은 실장력조절체(21)에 의해 가해진 윗실(3) 자체의 장력뿐만 아니라 요동브래킷(71)의 요동에 의해 긴장 및 이완된다.
여기서,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에 윗실(3)을 거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편위되어 있는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와 인출부재(25)의 파지부(27)가 동축을 이루도록, 캠구동부(87)를 구동하여 이동핀(85)을 브래킷구동캠(83)의 캠프로파일(83a)을 따라 이동시킨다. 도 8a 및 도 8b, 도 9a 및 도 9b,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핀(85)이 브래킷구동캠(83)의 캠프로파일(83a)을 상승 이동함에 따라 브래킷구동캠(83)이 회전하면서 요동브래킷(71)이 회전하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브래킷(71)의 실 걸림부(73)는 인출부재(25)의 파지부(27)와 동축을 이루며 연통하게 된다.
이에, 실공급부(5)에 대기중인 상이한 색상의 복수의 윗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윗실(3)은 압축공기에 의해 실공급부(5)의 실공급로(6)를 지나 인출부재(25)의 파지부(27)를 거쳐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에 걸린 후, 실가이드(8)의 실안내로(9)를 거쳐 바늘(13)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에 윗실(3)이 걸린 후,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와 인출부재(25)의 파지부(27)가 동축을 이루지 않도록 캠구동부(87)를 구동하여 이동핀(85)을 브래킷구동캠(83)의 캠프로파일(83a)을 따라 하강 이동시키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브래킷(71)은 캠용 탄성부재(95)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소정의 구간에서 요동하며 윗실(3)을 긴장 및 이완시킨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의 부분 확대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1')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윗실(3)을 긴장 및 이완시키도록 요동하는 요동브래킷(71')이 인출부재구동부(30)의 부시(75)에 결합되지 않고, 프레임(19)에 결합되는 보조프레임(51)에 힌지핀(53)에 의해 프레임(19)의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요동브래킷(71')은 실채기(11)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요동, 즉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를 요동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요동브래킷(71')은 힌지핀(53)이 결합되는 핀결 합부(71a')와, 핀결합부(71a')의 일측으로부터 절곡 연장된 텐션플레이트(71b')를 가진다.
요동브래킷(71')의 텐션플레이트(71b')에는 실장력조절체(21)로부터 바늘(13)로 향하는 윗실(3)이 걸리는 실걸림부(73')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걸림부(73)로서 실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걸림부(73')에는 윗실(3)의 교체시 실공급로(6)와 실안내로(9)를 거쳐 바늘(13)로 향하는 윗실(3)을 인출하여 실채기(11)에 걸어주는 실인출부로서 실인출레버(7)가 관통한다.
여기서, 실인출레버(7)는 실안내로(9)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실가이드(8)에 형성된 레버수용공(10)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래킷구동부(81')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요동브래킷(71')의 핀결합부(71a')에 접근 및 이격하는 텐션플레이트 클러치(88)와, 텐션플레이트 클러치(88)를 승강시키는 클러치구동부(89)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러치구동부(89)로서 유체압에 의해 길이 신장 및 축소하여 텐션플레이트 클러치(88)를 왕복 이동시키는 유체압실린더가 개시되어 있으나, 유체압실린더 이외에 모터, 캠장치,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하여 텐션플레이트 클러치(88)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요동브래킷용 탄성부재(91')는 일단부가 힌지핀(53)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요동브래킷(71')에 지지되어 있다. 요동브래킷용 탄성부재(91')는 요동브래킷(71')이 소정의 구간, 즉 상사점 및 하사점 사이에서 요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요동브래킷용 탄성부재(91') 로서 토오션스프링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요동브래킷(71')과 텐션플레이트 클러치(88) 사이에는 보조프레임(51)의 장공(51a)에 결합되어 요동브래킷(71')의 요동 정도를 단속하는 장력조절용 부재로서 요동브래킷 단속핀(97)이 마련되어 있다. 요동브래킷 단속핀(97)은 요동브래킷(71')의 핀결합부(71a')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에,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브래킷 단속핀(97)은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에 걸린 윗실(3)이 긴장될 때 요동브래킷(71')의 핀결합부(71a')와 이격하고,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에 걸린 윗실(3)이 이완될 때 요동브래킷(71')의 핀결합부(71a')와 접촉한다. 한편, 보조프레임(51)의 장공(51a)을 따라 요동브래킷 단속핀(97)을 이동시킴으로써, 요동브래킷(71')의 하사점 위치를 조절, 즉 실채기(11)를 거쳐 바늘(13)로 향하는 윗실(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윗실 공급장치(1')를 이용하여 바늘(13)로 공급되는 윗실(3)의 장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윗실(3)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실장력조절체(21)의 실접촉부(23)에 윗실(3)을 감는 과정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에 윗실(3)을 걸어 윗실(3)의 장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실채기(11)가 하사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요동브래킷(71')을 상승시켜,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와 실가이드(8)의 레버수용공(10)이 연통하도록 클러 치구동부(89)를 구동시킨다. 실공급부(5)에 대기중인 상이한 색상의 복수의 윗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윗실(3)은 압축공기에 의해 실공급부(5)의 실공급로(6)를 지나 인출부재(25)의 파지부(27)를 거쳐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에 걸린 후, 실가이드(8)의 실안내로(9)를 거쳐 바늘(13)로 향하게 된다. 이 때, 실안내로(9)를 이동하는 윗실(3)은 레버수용공(10)에 수용된 실인출레버(7)에 파지되어 바늘(13)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실인출레버(7)가 실채기(11)를 향해 접근하도록 실인출레버(7)를 전진 구동시키면, 실인출레버(7)는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를 관통하여 실채기(11)에 윗실(3)을 걸게 된다.
다음, 실채기(11)에 윗실(3)이 걸리면, 실인출레버(7)가 실채기(11)로부터 이격하도록 실인출레버(7)를 후진 구동시키면, 실인출레버(7)는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를 빠져 나와 실가이드(8)의 레버수용공(10)에 수용된다.
그리고,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에 윗실(3)이 걸린 후,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와 실가이드(8)의 레버수용공(10)이 연통하지 않도록 클러치구동부(89)를 구동하여 요동브래킷(71')을 하강시키면, 요동브래킷(71')은 요동브래킷용 탄성부재(91')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 즉 실걸림부(73)는 요동브래킷(71')의 상사점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실장력조절체(21)를 통과하여 실가이드(8)를 거쳐 바늘(13)로 이동하는 윗실(3)은 실인출레버(7)에 파지되며 실채기(11)와 요동브래킷(71')의 실걸림부(73')에 걸린 후, 실채기(11)의 요동에 의해 긴장 및 이완된다.
즉, 도 13a 및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채기(11)가 상사점에 있을 때, 요동브래킷(71')의 텐션플레이트(71b')도 상사점에 있게 되어, 윗실(3)은 긴장된다. 또한, 도 13b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채기(11)가 하사점에 있을 때, 요동브래킷(71')의 텐션플레이트(71b')도 하사점에 있게 되어, 윗실(3)은 이완된다.
이에, 요동브래킷(71')을 통과하는 윗실(3)은 실장력조절체(21)에 의해 가해진 윗실(3) 자체의 장력뿐만 아니라 실채기(11)와 요동브래킷(71')의 상호 작동에 의해 긴장 및 이완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윗실 공급장치(1')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비해 요동브래킷(71')이 바늘(13) 가까이에 배치되어 윗실(3)의 장력을 더욱 확실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윗실을 파지하며 회전하는 인출부재를 회전시켜 실장력조절체에 윗실을 부분적으로 감고, 윗실이 실장력조절체를 통과하면서 저항이 발생됨으로써, 간편하게 윗실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은 싱글 니들 자동자수기에 국한하지 않고, 멀티 니들(multi needle) 자동자수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윗실의 장력 조절 구조를 개선함 으로써, 간편하게 윗실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7)

  1. 실공급부로부터 바늘작업부로 윗실을 공급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있어서,
    윗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기며 접촉하는 실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실접촉부를 통과하는 상기 윗실에 저항을 주어 상기 윗실의 장력을 조절하는 실장력조절체와;
    소정의 회전축선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윗실을 파지하며 회전하여 상기 실장력조절체에 윗실을 감을 수 있는 인출부재와;
    상기 윗실이 상기 실접촉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권취되도록 상기 인출부재를 회전시키는 인출부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 구동부는,
    상기 인출부재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소정의 축간거리를 가지며 이격 배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축구동부와,
    상기 회전축과 구동축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 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력조절체로부터 상기 바늘작업부로 향하는 윗실이 걸리는 실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윗실을 긴장 및 이완시키도록 요동하는 요동브래킷과;
    상기 요동브래킷의 실걸림부를 실이동경로상으로 이동시켜 상기 실걸림부에 상기 윗실이 걸리도록 상기 요동브래킷을 구동하는 브래킷 구동부와;
    상기 요동브래킷이 요동하도록 상기 요동브래킷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요동브래킷용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구동부는,
    측면에 소정의 캠프로파일이 형성된 브래킷구동캠과;
    상기 브래킷구동캠의 캠프로파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핀과;
    상기 이동핀을 상기 브래킷구동캠의 캠프로파일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브래킷구동캠을 회전시키는 캠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동브래킷용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브래킷구동캠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요동브래킷에 지지되어, 상기 요동브래킷을 요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구동부는 상기 브래킷구동캠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브래킷구동캠을 소정의 탄성력으로 회전시키는 캠용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소정의 구간을 요동하며 윗실을 긴장 및 이완시키는 실채기와,
    상기 실장력조절체로부터 상기 바늘작업부로 향하는 윗실을 인출하여 상기 실채기 및 상기 실걸림부에 걸어주는 실인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요동브래킷은 상기 실채기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채기가 상사점에 위치할 때 상기 실걸림부는 상기 요동브래킷의 상사점에 위치하고, 상기 실채기가 하사점에 위치할 때 상기 실걸림부는 상기 요동브래킷의 하사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1020050048976A 2004-06-09 2005-06-08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100639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527007A JP2008501471A (ja) 2004-06-09 2005-06-09 自動刺繍機用糸供給装置
EP05749411A EP1753905A1 (en) 2004-06-09 2005-06-09 Thread feed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PCT/KR2005/001734 WO2005121433A1 (en) 2004-06-09 2005-06-09 Thread feed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US11/629,334 US20070261619A1 (en) 2004-06-09 2005-06-09 Thread Feed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328 2004-06-09
KR20040042328 2004-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275A true KR20060048275A (ko) 2006-05-18
KR100639356B1 KR100639356B1 (ko) 2006-10-30

Family

ID=3714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976A KR100639356B1 (ko) 2004-06-09 2005-06-08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39356B1 (ko)
CN (1) CN19892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4921A1 (ko) * 2021-05-07 2022-11-10 모베이스썬스타 주식회사 자수기용 실 장력 조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464B1 (ko) 2007-06-13 2008-09-08 (주) 인브로 실채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기계
CN113046945B (zh) * 2021-02-02 2022-11-18 青岛高达花边有限公司 一种用于刺绣机的刺绣机进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10632D0 (en) * 1989-05-09 1989-06-21 Tomkinsons Plc Yar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6247419B1 (en) * 1998-08-19 2001-06-19 Tokai Kogyo Mishin Kabushiki Kaisha Multineedle embroidering sewing machine
US6202580B1 (en) * 1999-05-05 2001-03-20 Tapistron International, Inc. Tufting apparatus with yarn pullback mechanism for producing patterned tufted goods
US6213036B1 (en) * 2000-03-27 2001-04-10 Spencer Wright Industries, Inc. Tufting machine yarn feed pattern control
JP2002052288A (ja) * 2000-08-08 2002-02-19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多色刺繍ミシ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4921A1 (ko) * 2021-05-07 2022-11-10 모베이스썬스타 주식회사 자수기용 실 장력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356B1 (ko) 2006-10-30
CN1989285A (zh)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9355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JP2008517704A (ja) 刺繍機用上糸供給装置
KR100639356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JP2008501471A (ja) 自動刺繍機用糸供給装置
KR100639354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100439528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JP4336589B2 (ja) 千鳥縫いミシン
KR100687890B1 (ko) 자수기의 운전방법
JP4296560B2 (ja) 二重環縫いミシンの針糸案内装置
JP5205175B2 (ja) 刺繍ミシンの布押え体
KR200381601Y1 (ko) 테두리실 공급장치 및 그 테두리실 공급장치를 갖는 자수기
JP4920954B2 (ja) 多針ミシン
WO2021131884A1 (ja) ミシン
JP4150067B2 (ja) 自動刺繍機用糸供給装置
KR100766485B1 (ko) 자수기용 단사 감지장치
US5934212A (en) Two part sewing system for large work pieces
KR100766486B1 (ko) 재봉기계
CN214882231U (zh) 一种带动态保持机构的电脑刺绣机
US20080053354A1 (en) Sewing Machine
KR200465633Y1 (ko) 셔닐 자수기의 미싱헤드
TWM540880U (zh) 四針六線縫紉機的護針結構
KR200231907Y1 (ko) 자수기의 고속 코딩기구
TWI621747B (zh) Needle structure of four-needle six-wire sewing machine
KR100639352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JP3374195B2 (ja) 環縫い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