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888A - 리드스크류식 이동장치 및 그 이동체 - Google Patents

리드스크류식 이동장치 및 그 이동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888A
KR20060047888A KR1020050040157A KR20050040157A KR20060047888A KR 20060047888 A KR20060047888 A KR 20060047888A KR 1020050040157 A KR1020050040157 A KR 1020050040157A KR 20050040157 A KR20050040157 A KR 20050040157A KR 20060047888 A KR20060047888 A KR 20060047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lead screw
wedge member
nuts
bi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2278B1 (ko
Inventor
도미오 하마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하마인터나쇼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하마인터나쇼나루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하마인터나쇼나루
Publication of KR20060047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03Screw mechanisms with arrangements for taking up backlash
    • F16H25/2006Screw mechanisms with arrangements for taking up backlash with more than one nut or with nut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bearing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576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screw and nut
    • Y10T74/18728Backl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이동장치(A)의 이동체(4)는 너트(6,8)와 리드스크류(2)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자동으로 신속하게 제거한다.
이동체는(4): 리드스크류(2)의 나사부에 나사맞춤된 제 1 너트(6)와; 제 1 너트(6)와 리드스크류(2)와 나사결합하고, 제 1 너트(6)로부터 상대적으로 접근 및 이간될 수 있는 제 2 너트(8)와; 제 1 너트(6) 및 제 2 너트(8)의 사이에 마련되는 쐐기부재(18); 및, 상기 쐐기부재(18)에 힘을 가하여, 제 1 너트(6) 및 제 2 너트(8)사이의 간격을 증가하도록 하는 바이어스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쐐기부재(18)에 의하여 상기 제 1 너트(6) 및 제 2 너트(8)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킴으로써, 제 1 너트(6) 및 제 2 너트(8)가 리드스크류(2)상에 눌려진다.

Description

리드스크류식 이동장치 및 그 이동체{MOVING BODY AND ACTUATING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리드스크류식 이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쐐기부재가 도 1에서 나타낸 위치로부터 이동한 상태의 이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이동장치의 종방향 단면도;
도 4A는 제 1 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제 2 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이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이동장치 2 : 리드스크류
4 : 이동체 6 : 제 1 너트
7 : 측면 8 : 제 2 너트
10 : 관통구멍 11 : 부착너트
12 : 오목부 14 : 돌출부
16 : 홈부 16a : 내부 바닥면
18 : 쐐기부재 18a : 볼록부
20 : 지지부재 22 : 스프링(바이어스부재)
본 발명은, 리드스크류에 나사맞춤하고 리드스크류상을 이동하는 이동체 및 그 이동체를 가지는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리드스크류형 이동장치는: 바깥둘레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리드스크류와, 리드스크류의 나사부에 나사맞춤하는 너트; 및,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리드스크류를 따라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드스크류는 예를 들면 모터인 구동유니트에 의하여 회전된다.
이러한 리드스크류식 이동장치에 있어서는, 리드스크류와 너트와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내에 움직임이나 덜컹거림이 발생한다. 따라서, 움직임이나 덜컹거림을 억제하기 위한 많은 기구가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90)에 2개의 너트(92, 93)를 설치하고, 너트(92, 93)의 사이에 예를 들면 압축스프링인 바이어스부재(94)를 설치한다. 2개의 너트(92, 93)는, 바이어스부재(94)의 탄성력에 의해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그 탄성력에 의하여 너트(92, 93)가 리드스크류(96)의 측면(96a)에 꽉 눌러져, 움직임이나 덜컹거림이 억제된다.
그러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리드스크류식 이동장치에 있어서는, 2개의 너트(92, 93)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도 5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바이 어스부재(94)의 탄성력보다 큰 외부의 힘이 걸린 경우, 바이어스부재(94)가 변형된다. 바이어스부재(94)를 변형함으로써, 너트(92, 93)와 리드스크류(96)의 측면(96a)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생기고, 이동체(90)에 움직임이나 덜컹거림이 생겨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동체(90) 또는 너트(92, 93)에 걸릴 수 있다고 예견되는 최대외력보다 큰 탄성을 갖는 바이어스부재(94)가 채용될 수 있다. 그러나, 너트(92, 93)와 리드스크류(96)와의 사이에 마찰저항이 커지게 되고, 리드스크류를 회전구동시키는 고출력의 구동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큰 탄성의 바이어스부재(94)는 대형화되고 고비용화되며, 따라서 이동장치가 대형화되고 제조단가가 증가되어 버린다.
이밖에, 리드스크류와 너트와의 사이에, 이들 사이의 클리어런스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구형상체를 넣어 너트들을 리드스크류상으로 누르도록 하는 장치도 있다. 또한 리드스크류와 너트의 나사피치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 리드스크류에 대해서 너트를 누르드록 하는 방법도 있다. 이들 방법들은 너트와 리드스크류의 사이의 클리어런스의 발생을 제한한다. 그러나, 리드스크류와 너트와의 마찰이 커져 높은 출력의 구동유니트가 필요하다. 또한, 리드스크류, 너트 또는 볼이 마모됨에 따라서도 클리어런스가 생기기 쉽고, 그 유지관리에 수고가 든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작은 출력의 구동유니트에 의하여 리드스크류가 회전할 수 있고, 리드스크류와 너트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생기게 하지 않는 종래의 리드스크류식 이동장치 의 구성이 2003년 10월 30일에 검색된 후쿠다 고에키가부시키가이샤의 웹페이지 http://www.fujudaco.jp/item/pdf/h1.pdf 에 개시되어 있다.
이동장치의 이동체는: 리드스크류와 나사결합하는 한쌍의 너트와; 일끝단이 한쪽의 너트에 고정되고 너트들사이에 걸치도록 배설된 통형상부재와; 일끝단이 다른쪽의 너트에 접촉하고, 통형상부재의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맞춤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스페이서를 회전함으로써 너트들이 상호간으로부터 이간된다. 스페이서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힘을 받으며, 항상 너트를 누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드스크류와 너트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생겼을 때에는, 스페이서가 회전함으로써 양 너트사이가 벌어져, 그 클리어런스가 메워진다. 또한, 스페이서의 나사부가 미세피치로 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에 큰 외력이 걸리더라도, 스페이서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페이서는 너트를 상호간에 밀접해지도록 움직이지 않으며 리드스크류와 너트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생길 일은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스프링은 스페이서를 회전시키도록만 마련된다. 리드스크류와 너트사이의 클리어런스는, 리드스크류상에 너트를 누르지 않고서도 없어질 수 있다. 따라서, 리드스크류가 작은 힘 또는 구동토크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웹페이지에 개시된 이동장치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이동체는 통형상부재, 스페이서, 그 통부재부재및 스페이서를 나사맞 춤하는 나사기구, 및 스페이서를 회전시키는 스프링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동체는 구성이 복잡하고, 이동장치가 대형화되어야 하며 제조단가가 높아진다.
둘째, 스페이서가 통형상부재와 나사맞춤되어 있고 다른 너트와 접촉하고 있어서, 이들사이의 회전마찰이 크다. 이 때문에, 스페이서가 느리게 회전하고, 누르는 힘의 급속한 감소 및 클리어런스의 형성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한다. 만약 너트가 작은 누름힘으로 리드스크류상에 눌려지거나 또는 리드스크류와 너트사이에 클리어런스가 발생하면, 이동체는 움직임이나 덜컹거림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의 목적은, 낮은 단가로, 리드스크류와 너트와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자동적으로 또한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는 이동장치의 이동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이동체를 가지는 이동장치를 제동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가진다.
즉, 리드스크류를 가지는 이동장치의 이동체는:
리드스크류의 나사부에 나사맞춤하고, 리드스크류상의 회전은 금지되지만 리드스크류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되는 제 1 너트와;
리드스크류의 나사부 및 제 1 너트에 나사맞춤하고, 리드스크류상의 회전은 금지되지만 리드스크류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되며, 제 1 너트로부터 상대적으로 접근 및 이간될 수 있는 제 2 너트와;
제 1 및 제 2 너트의 사이에 마련되는 쐐기부재; 및
쐐기부재를 바이어스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제 1 및 제 2 너트사이의 간격을 증가하도록 하는 바이어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쐐기부재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너트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킴으로써 제 1 너트 및 제 2 너트가 리드스크류상에 눌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체에 있어서, 쐐기부재와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너트의 접촉면사이의 간격은, 바이어스부재의 바이어스방향에서 점차적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너트 사이의 간격은, 바이어스방향으로 접촉면과 접촉하는 쐐기부재를 이동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이동체에 있어서, 쐐기부재의 간격은 앞쪽끝단 또는 바이어스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술한 이동체에 있어서는, 너트를 리드스크류쪽으로 누르는 힘이 감소되고 너트와 리드스크류사이에 클리어런스가 클리어런스가 발생했을 때, 쐐기부재는 바이어스부재의 탄성에 의하여 너트사이의 간격을 증가 및 유지하게 되고, 누르는 힘이 유지되어, 클리어런스의 발생이 억제된다.
회전하는 스페이서를 가지는 종래의 이동체와는 달리, 이동체가 단순한 구성을 가지며, 그의 제조단가가 감소되며, 마찰저항없이 너트간의 간격이 신속하고도 원활하게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이동체에 있어서, 쐐기부재는 그의 내면을 향하여 제 1 및 제 2 너트의 바깥면으로부터 힘이가해질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동체를 간단하고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동체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너트의 축선에 관하여 다수개의 쐐기부재가 방사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너트에 작용하는 외력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쐐기부재에 의하여 수납되고, 너트사이의 간격이 쐐기부재에 의하여 유지되기 때문에, 너트에 무리한 힘이 걸리는 일 없이, 안정된 이동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동체는 적어도 한쪽의 너트에 마련된 지지부재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이어스부재는 쐐기부재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동체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제 1 및 제 2 너트의 바깥둘레면을 덮는 통형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이동체를 간단하고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동체에 있어서, 바이어스부재의 한끝단이 쐐기부재의 오목부내에 끼워질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바이어스부재가 작은 공간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동체에 있어서, 제 1 너트는 제 1 걸어맞춤부를 가질 수 있으며,
제 2 너트는, 제 1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추어지는 제 2 걸어맞춤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구성으로, 너트들은 간단한 구성으로 상호간에 용이하게 걸어맞추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장치는:
그의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나사부를 가지는 리드스크류와;
리드스크류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된 본 발명의 이동체; 및,
리드스크류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리드스크류식 이동장치(A)를, 도 1 내지 3에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이동장치(A)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은, 도 3의 Y-Y선에 따른 단면도가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스크류(2)의 외부둘레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구동장치(도시않됨)에 의해서 회전한다. 이동체(4)는 리드스크류(2)를 따라서 직선적으로 왕복이동한다. 이동체(4)는 제 1 너트(6) 및 제 2 너트(8)를 포함하며, 이들 너트는 리드스크류(2)의 숫나사부와 나사결합하며, 상호간에 걸어맞추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동체(4)는 리드스크류(2)를 회전함으로써 리드스크류(2)상에서 이동한다.
도 4A 는 제 1 너트(6)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제 2 너트(8)의 사이도이다. 리드스크류(2)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가능한 수사나부(도시않됨)가 제 1 및 제 2 너트(6, 8)의 안둘레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음에 주목한다.
도 1 과 도 4A 및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너트(11)를 끼워 넣기 가능한 관통구멍(10)이 제 1 너트(6)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공구등의 이동될 부재가 부착너트(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부재는 이동체(4)와 함께 리드스크류를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2)는 제 1 너트의 측면상에 형성되며, 제 1 너트는 제 2 너트(8)에 대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수개의 오목부 (12), 예를 들어 3개의 볼록부가 일정간격으로 너트(6)의 둘레방향으로 배열된다. 한편,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오목부(12)내에 끼워맞춤하는 다수개의 볼록부, 예를 들면 3개의 볼록부(14)가 제 2 너트(8)상에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너트(6)의 각 오목부(12)내에, 제 2 너트(8)의 각 볼록부(14)가 끼워맞춤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너트(6) 및 (8)가 상호간에 걸어맞추어진다. 너트(6) 및 (8)들은 리드스크류(2)의 둘레방향으로는 서로 회전불가능하게, 또한 리드스크류(2)의 축선방향으로는 서로 밀착 또는 멀어지도록 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4)는, 제 1 및 제 2 너트(6, 8)의 각 바깥둘레를 걸쳐 덮는 통형상부재(20)를 구비한다. 통형상부재(20)의 일끝단측은 제 1 너트(6)에 고착되고; 다른 끝단측은, 제 2 너트(8)에 고착된다. 따라서 너트(8)는 통형상부재(20)에 간하여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너트(8)에는, 제 1 너트(6)과의 대향면에, 홈부(16)가 형성되고 있다. 각 홈부(16)는, 각 볼록부(14)의 사이에 형성된다. 홈부(16)는 제 2 너트(8)의 축심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제 1 너트(6)의 측면(7)에 대향하는 각 홈부(16)의 내부 바닥면(16a)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이다. 내부 바닥면(16a)과 측면(7)의 간격은 리드스크류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홈부(16)내에는, 쐐기부재(18)가 설치된다. 쐐기부재(18)의 한 측면은 홈부(16)의 바닥면(16a)에 대향하며, 내부 바 닥면(16a)에 대응하는 경사면에 형성된다.
각 쐐기부재(18)의 외부끝단면, 즉 통형상부재(20)의 안둘레면을 향하는 면에는 오목부(18a)이 형성된다. 각 오목부(18a)의 바닥면과 통형상부재(20)의 안둘레면과의 사이에는 스프링(22)이 배설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쐐기부재(18)는 항상 스프링(22)에 의하여 리드스크류(2)로 향하여 힘이 가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너트(6)의 측면(7)과 제 2 너트(8)의 각 홈부(16)의 내부 바닥면(16a)사이의 간격은 리드스크류(2)로 향하여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스프링(22)의 탄성력이 쐐기부재(18)에 힘을 가하여 그 간격을 증가하게 된다. 스프링(22)의 탄성력은 제 1 너트(6)및 제 2 너트에 누르는 힘에 의하여 누르게 된다.
이동체(4)를 가지는 리드스크류식 이동장치(A)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너트(6,8)는, 스프링(22)에 의해서 쐐기부재(18)를 통하여,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이 가해지며, 리드스크류(2)상에 눌리어진다. 마모 등에 의해 리드스크류(2)와 제 1 또는 제 2 너트(6, 8)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생겼을 때에는, 쐐기부재(18)에 작용하는, 제 1 및 제 2 너트(6, 8)에 의한 끼워지지하는 힘이 약해진다. 그리고, 쐐기부재(18)가 스프링(22)의 바이어스방향으로 이동하여, 쐐기부재(18)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너트(6, 8)간의 간격을 확대할 수 있어 그 클리어런스가 메워진다(도 2 참조).
또한, 제 1 및 제 2 너트(6, 8)사이에 외력이 걸렸을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너트(6, 8)와 쐐기부재(18)와의 사이의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쐐기부재(18)가 역방향, 즉 스프링(22)의 바이어스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행하는 일은 없고, 리드스크류(2)와 너트(6, 8)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생기는 일이 없다.
또한, 스프링(22)은 제 1 및 제 2 너트(6, 8)와 쐐기부재(18)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생겼을 때에, 쐐기부재(18)를 바이어스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스프링(22)은 큰 탄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누르는 힘을 증가하지 않고서도 리드스크류(2)와 너트(6, 8)사이의 클리어런스가 제거될 수 있으며, 리드스크류(2)를 회전하기 위한 토크를 작게 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너트(6, 8)는 쐐기부재를 바이어스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사이가 벌어지므로, 너트(6) 및(8)의 동작저항은, 나사 스페이서를 회전함으로써 너트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는 종래의 이동장치에서보다 매우 작아진다. 따라서, 누르는 힘이 감소되거나 클리어런스가 발생하더라도, 너트(6, 8)사이의 간격이 급속하고도 원활하게 증가되어 누르는 힘이 유지되며 클리어런스가 자동적으로 제거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홈부(16)의 내부바닥면(16a)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너트(6, 8) 사이의 간격이, 쐐기부재(18)를 스프링(22)의 바이어스방향으로 진행시킴에 따라 증가한다. 너트(6, 8)사이의 간격을 확대할 수 있는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너트(6)의 측면(7)과 제 2 너트(8)의 내부바닥면(16a)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너트(6,8)사이의 간격은 그의 폭이 리드스크류(2)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테이퍼형상의 쐐기부재(18)에 의하여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테이퍼형상 쐐기부재(18)의 외부끝 단들은 너트(6,8)의 외부둘레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약각 돌출한다. 테이퍼형상 쐐기부재(18)는 바이어스부재에 의하여 리드스크류(2)쪽으로 이동하여 너트(6,8)사이의 간격을 증가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스프링(22)인 바이어스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통형상부재(20)를 채용했지만, 지지부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지지부는 제 1 너트(6)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제 2 너트(8)로 이어지는 돌출부로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이동체는 많은 리드스크류식 이동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너트를 리드스크류상에 누르는 힘이 감소되고 리드스크류와 너트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발생하더라도, 클리어런스가 자동적으로 제거되고, 따라서 이동체의 움직임이나 덜컥거림이 방지된다. 클리어런스는 신속하고도 원활하게 제거된다. 이동체의 구조가 단간하고 컴팩트해진다. 또한, 이동체 및 이동장치의 제조단가가 저렴해진다.
본 발명은 그의 필수적인 특성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서 기타의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따라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는 앞서의 기술내용에 의한 것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표시되는 것이며, 그 특허청구의 범위의 등가물의 범위 및 의미내에 들어가는 모든 변형들이 의도될 수 있다.

Claims (10)

  1. 리드스크류(2)의 나사부에 나사맞춤하고, 리드스크류(2)상의 회전은 금지되지만 리드스크류(2)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되는 제 1 너트(6)와;
    리드스크류(2)의 나사부 및 상기 제 1 너트(6)에 나사맞춤하고, 리드스크류(2)상의 회전은 금지되지만 리드스크류(2)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되며, 제 1 너트(6)로부터 상대적으로 접근 및 이간될 수 있는 제 2 너트(8)와;
    제 1 너트(6) 및 제 2 너트(8)의 사이에 마련되는 쐐기부재(18); 및,
    상기 쐐기부재(18)를 바이어스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제 1 너트(6) 및 제 2 너트(8)사이의 간격을 증가하도록 하는 바이어스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쐐기부재(18)에 의하여 상기 제 1 너트(6) 및 제 2 너트(8)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킴으로써, 제 1 너트(6) 및 제 2 너트(8)가 리드스크류(2)상에 눌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스크류(2)를 가지는 이동장치(A)의 이동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쐐기부재(18)와 접촉하는 제 1 너트(6) 및 제 2 너트(8)의 접촉면사이의 간격이 바이어스부재(22)의 바이어스방향에서 점차적으로 감소되며,
    제 1 너트(6) 및 제 2 너트(8) 사이의 간격이, 바이어스방향으로 접촉면과 접촉하는 쐐기부재(18)를 이동함으로써 증가되는 이동체(4).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18)의 폭이 앞쪽끝단 또는 바이어스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이동체(4).
  4. 제 1 항에 있어서, 쐐기부재(18)는 그의 내면을 향하여 제 1 및 제 2 너트(6,8)의 바깥면으로부터 힘이 가해지는 이동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너트(6,8)의 축선에 관하여 다수개의 쐐기부재(18)가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이동체.
  6. 상기 너트(6,8)중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는 지지부재(2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이어스부재(22)는 상기 쐐기부재(18)와 상기 지지부재(20)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이동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너트(6,8)의 바깥둘레면을 덮는 통형상부재(20)인 이동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재(22)의 한 끝단이 상기 쐐기부재(18)의 오목부(18a)내에 끼워지는 이동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너트(6)는 제 1 걸어맞춤부(12)를 가지며,
    상기 제 2 너트(8)는, 제 1 걸어맞춤부(12)와 걸어맞추어지는 제 2 걸어맞춤부(14)를 가지는 이동체.
  10. 그의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나사부를 가지는 리드스크류(2)와;
    상기 리드스크류(2)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이동체(4); 및,
    상기 리드스크류(2)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장치(A)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4)는:
    리드스크류(2)의 나사부에 나사맞춤하고, 리드스크류(2)상의 회전은 금지되지만 리드스크류(2)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되는 제 1 너트(6)와;
    리드스크류(2)의 나사부 및 상기 제 1 너트(6)에 나사맞춤하고, 리드스크류(2)상의 회전은 금지되지만 리드스크류(2)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되며, 상기 제 1 너트(6)로부터 상대적으로 접근 및 이간될 수 있는 제 2 너트(8)와;
    제 1 너트(6) 및 제 2 너트(8)의 사이에 마련되는 쐐기부재(18); 및,
    상기 쐐기부재(18)를 바이어스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제 1 너트(6) 및 제 2 너트(8)사이의 간격을 증가하도록 하는 바이어스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쐐기부재(18)에 의하여 상기 제 1 너트(6) 및 제 2 너트(8)사이의 간격 을 증가시킴으로써, 제 1 너트(6) 및 제 2 너트(8)가 리드스크류(2)상에 눌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A).
KR1020050040157A 2004-05-14 2005-05-13 리드스크류식 이동장치 및 그 이동체 KR100652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45397A JP2005325944A (ja) 2004-05-14 2004-05-14 リードスクリュー式移動装置およびその移動体
JPJP-P-2004-00145397 2004-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888A true KR20060047888A (ko) 2006-05-18
KR100652278B1 KR100652278B1 (ko) 2006-11-30

Family

ID=3494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157A KR100652278B1 (ko) 2004-05-14 2005-05-13 리드스크류식 이동장치 및 그 이동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252323A1 (ko)
EP (1) EP1596099A1 (ko)
JP (1) JP2005325944A (ko)
KR (1) KR100652278B1 (ko)
CN (1) CN1699792A (ko)
TW (1) TW2005370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5944A (ja) 2004-05-14 2005-11-24 Hama International:Kk リードスクリュー式移動装置およびその移動体
US20070068292A1 (en) * 2005-09-19 2007-03-29 Hiwin Technologies Corp. Preload adjusting device for a ball screw
US20070295128A1 (en) * 2006-05-19 2007-12-27 Erikson Keith W Lead screw actuator with torsional anti-backlash nut
JP4894413B2 (ja) * 2006-08-24 2012-03-14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US7891265B2 (en) * 2006-11-16 2011-02-22 Haydon Kerk Motion Solutions, Inc. Motor assembly with anti-backlash nut and thermal insensitive mechanism
US8438712B2 (en) * 2008-02-08 2013-05-14 Lam Research Corporation Floating collar clamping device for auto-aligning nut and screw in linear motion leadscrew and nut assembly
US8257548B2 (en) 2008-02-08 2012-09-04 Lam Research Corporation Electrode orientation and parallelism adjustment mechanism for plasma processing systems
US20090249910A1 (en) * 2008-04-04 2009-10-08 Kerk Motion Products, Inc. Lead screw device
CN102454678A (zh) * 2010-10-19 2012-05-16 大连宝锋机器制造有限公司 安全双丝母
CN102049699A (zh) * 2010-11-26 2011-05-11 威海华东数控股份有限公司 双丝母消隙装置
CN102615546A (zh) * 2011-09-26 2012-08-01 北华大学机械工程学院 一种用于机床进给精度保障装置
CN102862086A (zh) * 2012-09-14 2013-01-09 扬州市组合机床厂 组合机床中机械滑台丝杠间隙调整机构
CN103174811B (zh) * 2013-01-22 2016-05-25 北京工业大学 一种预紧力微调式滚珠丝杠螺母
CN104249266A (zh) * 2013-06-28 2014-12-31 王又增 顺铣改进装置
CN104942353A (zh) * 2014-03-31 2015-09-30 青岛青宏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龙门铣床的工作台传输装置
JP5862734B1 (ja) * 2014-09-10 2016-02-16 日本電産サンキョーシーエムアイ株式会社 直線駆動装置
JP6582602B2 (ja) * 2015-06-23 2019-10-02 日本精工株式会社 ボールねじの予圧回復装置
EP3364224B1 (en) * 2015-10-16 2021-07-21 Nidec Sankyo CMI Corporation Linear drive device
CN106312660B (zh) * 2016-10-28 2017-11-24 泰州英格伟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可锁定进给位置的加工装置
CN108253106A (zh) * 2016-12-29 2018-07-0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丝杆螺母机构
EP3751172B1 (en) * 2019-06-14 2023-03-01 Goodrich Actuation Systems SAS Screw actu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0792742A (zh) * 2019-10-31 2020-02-14 成都四威高科技产业园有限公司 一种自动间隙补偿螺母及其安装方法
DE102021122789A1 (de) 2021-09-02 2023-03-02 Oechsler Ag Aktuator,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und/oder Montieren eines Aktuator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51579C (de) * 1951-01-10 1952-10-06 Fritz Werner A G Vorrichtung zur Aufhebung des axialen Spiels von Getrieben
DE946202C (de) * 1951-03-20 1956-07-26 Maschb Ges Spielfreier, sich selbsttaetig nachstellender Vorschub-Spindelantrieb fuer Werkzeugmaschinen
US2679168A (en) * 1953-04-06 1954-05-25 Michael P Rokos Backlash device
DE1192492B (de) * 1957-12-11 1965-05-06 Kovosvit Narodni Podnik Vorrichtung zum Aufheben des axialen Spiels in Schraubengetrieben von Werkzeugmaschinen, insbesondere Radialbohrmaschinen
JPH01153861A (ja) * 1987-12-10 1989-06-16 Inoue Japax Res Inc ねじ装置
JPH06341505A (ja) * 1993-05-31 1994-12-13 Ntn Corp ボールねじ
US6467362B2 (en) * 1997-04-17 2002-10-22 Kerk Motion Products, Inc. Reinforced lead screw with spring biased anti-backlash nut
US5839321A (en) * 1997-05-16 1998-11-24 Ball Screw & Actuators Co. Backlash compensating assembly
US6119541A (en) * 1999-03-25 2000-09-19 Micron Electronics, Inc. Methods for adjusting a lead screw nut and a nut for adjustably engaging a lead screw
JP2005325944A (ja) 2004-05-14 2005-11-24 Hama International:Kk リードスクリュー式移動装置およびその移動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278B1 (ko) 2006-11-30
TW200537042A (en) 2005-11-16
EP1596099A1 (en) 2005-11-16
JP2005325944A (ja) 2005-11-24
US20050252323A1 (en) 2005-11-17
CN1699792A (zh)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278B1 (ko) 리드스크류식 이동장치 및 그 이동체
US10883582B2 (en) Ball screw apparatus
US10247286B2 (en) Ball screw device
US7992456B2 (en) Anti-backlash nut, lead screw assembly and method
US8528687B2 (en) Worm gear for electric assisted steering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worm shaft in a worm gearing
US6142032A (en) Adjustable anti-backlash nut assembly
US9863514B2 (en) Ball screw apparatus
US11047459B2 (en) Ball screw device
WO2013011694A1 (ja) 転がりねじ用シール及び転がりねじ
JP6756447B2 (ja) クランパ
KR20060047871A (ko) 이동장치
US20230202445A1 (en) An actuating device for a brake disc
JP3962817B2 (ja) テンショナー
JPS6151693B2 (ko)
JP5064781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9192061A (ja) 両方向トルクリミッタ
JP5821200B2 (ja) ボールねじ用接触シール及びボールねじ
US20080092678A1 (en) Dust-Proof Structure for a Ball Screw
JP2021139418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用変換装置
JP2005106248A (ja) パーキング機構付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110394A (ja) ボールねじ装置
RU46064U1 (ru) Шариковый винтовой механизм с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м натягом
JP2006038173A (ja) 電動式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