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303A -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및 이의 테이프 초기위치자동 셋팅 방법 - Google Patents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및 이의 테이프 초기위치자동 셋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303A
KR20060045303A KR1020040092810A KR20040092810A KR20060045303A KR 20060045303 A KR20060045303 A KR 20060045303A KR 1020040092810 A KR1020040092810 A KR 1020040092810A KR 20040092810 A KR20040092810 A KR 20040092810A KR 20060045303 A KR20060045303 A KR 20060045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tape
transfer
hole
to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7067B1 (ko
Inventor
리케슨토미하워드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45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20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 B65H20/22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to effect step-by-step advancement of we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큰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면서 2열 이상의 테이프를 이송시킬 수 있고, 테이프가이드에 테이프 홀이 간편하고 정확히 끼워지는 구조를 가진 테이프 피이더 및 이의 테이프 초기위치 자동 셋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과,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고, 다수개의 부품이 장착된 테이프의 테이프 홀에 삽입 후 전방으로 이동되어서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 핀과, 이송 핀을 전후방향으로 직진시킬 수 있는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 및 이송 핀을 상하로 이동시켜서 테이프 홀로 삽입 및 탈출시킬 수 있는 핀 상하이동 구동장치를 구비한 핀 이동 구동장치와,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며, 테이프로부터 박리된 탑 커버를 배출시키는 한 쌍의 배출기어를 구비한 탑 커버 배출장치를 구비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및 이의 테이프 초기위치 자동 셋팅 방법{Tape feeder for component mounting and the method for automatic setting of tape initial position by the same}
도 1은 통상적인 부품실장기용 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복수 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핀 이동구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테이프 고정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분리날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a 내지 도 8e는 도 3의 이송 핀의 테이프 이송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탑 커버 배출장치를 분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에서 2열의 탑 커버 배출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9의 탑 커버 이송변경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의 테이프 초기위치 자동 셋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4a 내지 도 14e는 도 13의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의 테이프 초기위치 자동 셋팅 단계 각각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a는 도 14의 S23단계에서 정확한 홀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흐름도에 따른 홀 위치 저장 단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102: 테이프
102b: 탑 커버 102c: 이송공
102c_a: 이송공 시작부 102c_b: 이송공 끝부
102c_c: 이송공 중앙부 111: 프레임
120: 핀 이동 구동장치 121: 이송 핀
122: 센서 123: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
124: 구동전달부 125: 리드 스크류
128: 핀 상하이동 구동장치 130: 테이프 고정장치
131: 클램프 구동모터 132: 클램프 암
134: 클램프 암 힌지축부 140, 240: 탑 커버 배출장치
171: 테이프가이드 174: 분리날
241: 주 배출기어 242: 아이들 배출기어
262: 전후링크 263: 캠
264: 상하이동축 266: 랙 기어
284: 제1탄성 스프링 288: 제2탄성 스프링
본 발명은 테이프 피이더 및 이의 테이프 초기위치 자동 셋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 실장장치에서 반도체 부품을 픽업시키기 위하여 테이프를 이송하고, 탑 커버를 분리, 배출하는 테이프 피이더 및 이의 테이프 초기위치 자동 셋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 피이더는 칩 마운터와 같은 부품 실장기에서 부품을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칩 마운터에서는 반도체 칩과 같은 부품을 인쇄 회로 기판의 소정 위치에 실장하게 되는데, 칩 마운터에서 소요되는 다종의 부품은 다양한 형태로 공급되며, 로보트에 의해 작동되는 흡착 노즐을 이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하게 된다.
부품의 공급 형태는 작업 환경 및 부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면 부품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부품을 트레이에 적재하여 실장 작업을 수행하지만, 부품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부품을 트레이에 적재하여 실장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다.
특히 크기가 매우 작은 부품에 대하여 실장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부품이 이송 중에 분실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호 격리된 수납공간(2a)에 통상 반도체 칩인 부품(5)이 일렬로 다수 개 격리 수납되고 그 상부가 탑 커버(2b)에 의해 밀봉되며 일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이송공(2c)이 형성된 테이프(2)가 테이프 피이더(tape feeder)에 의하여 부품실장기로 이송된다.
테이프 피이더는 미소한 크기의 부품을 테이프 상에 소정 간격으로 부착시켜서 형성된 테이프 롤을 이용하며, 이러한 롤로부터 테이프를 풀어냄과 동시에, 테이프에 부착된 부품을 덮고 있던 탑 커버를 벗겨내는 작용을 수행한다. 로보트의 흡착 노즐은 커버가 벗겨진 테이프에 부착된 부품을 흡착하여 테이프로부터 부품을 픽업하고, 이를 인쇄 회로 기판의 소정 위치로 이송시킨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2-0047860호에 개시된 종래의 통상적인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과, 테이프를 소정의 피치로 이송시키는 테이프 이송수단(20)과, 테이프로부터 벗겨진 탑 커버를 배출시키는 탑 커버 배출수단(40)과, 상기 테이프 이송수단과 탑 커버 배출수단을 동시에 또는 각각 구동시키는 구동수단(50)과, 전자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셔터수단(70)을 구비한다.
상기 테이프 이송수단(20)은 테이프(2)의 이송공(2c)과 그 치(齒)가 결합되어 테이프를 소정의 피치로 이송시키는 스프로킷(22)을 구비한다. 상기 테이프(2) 는 테이프가이드(71)의 가이드에 의하여 스프로킷(22)에 맞물리게 되고, 상기 테이프가이드(71) 상측으로 탑 커버(2b)가 배출된다.
상기 스프로킷(22)은 구동모터(52)에 의하여 회전되며, 이송용 워엄기어(57) 및 상기 이송용 워엄기어와 치합되는 이송용 워엄휠(58)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래치트(31) 및 스토퍼(32)가 스프로킷(22)의 역회전을 방지한다.
이와 더불어, 프레임(11)에는 엔코더(81) 및 상기 엔코더를 센싱하는 센서(82)를 구비하여, 상기 스프로킷(22)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각도 감지수단(80)이 설치된다.
탑 커버 배출수단(40)은 제1배출기어(41)와 제2배출기어(42)를 구비한다. 상기 제1배출기어(41)와 제2배출기어(42)는 상호 맞물리도록 설치되어서, 그 사이에 탑 커버(2b)가 끼워져서 배출된다.
즉, 구동모터(52)의 구동력에 의해 배출용 매개기어(59)가 회전하고, 이로 따라서 배출용 워엄기어(62)도 구동된다. 상기 배출용 워엄기어의 회전으로 배출용 워엄휠(63)이 구동되고 이에 따라서 제2롤러(64) 및 제1롤러(65)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제1배출기어(41)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배출기어(42)가 회전하게 되어서 탑 커버(2b)가배출된다.
이 경우 상기 제2배출기어(42)는 제2배출레버(67)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제2배출레버(67)의 타단부가 프레임의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2배출레버의 타단부에는 제2배출기어(42)를 제1배출기어(41)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2배출레버 스프링(67a)이 설치된다.
위와 같은 스프로킷 이송방식의 테이프 피이더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스프로킷(22)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이송용 워엄기어(57) 등이 이용하는데, 상기 이송용 워엄기어가 배치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공간이 필요하다.
둘째, 부품(5)이 정확하고 편평한 위치에서 픽업되기 위해서는, 상기 테이프가 일정구간 직선운동을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 스프로킷(22)은 원형으로 회전운동을 함으로 인하여, 미세한 전자부품의 경우에는 상기 테이프의 직선 운동 안정성이 저하된다.
셋째, 일렬의 테이프(2)를 이송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스프로킷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이송용 워엄기어(57), 이송용 워엄휠(58) 등이 구비되어야 하고, 캐리어 테이프(2)의 역회전을 방지하여 래치트(31)와 스토퍼(32)가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스프로킷(22)의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회전각도 감지수단(80)이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2 열의 테이프를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부품들이 2개씩 필요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하나의 테이프 피이더로 복수 개의 테이프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테이프 피이더가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그 제조 비도 많이 들게 된다.
넷째, 종래와 같은 스프로킷으로 테이프를 이송하는 경우에는 처음 테이프 장착 시에 테이프가이드를 열고, 이송공을 상기 스프로킷 치(齒)와 수동으로 맞추어 끼운 다음, 테이프가이드를 닫아서 피이더 셋팅한다.
그런데, 상기의 피이더 셋팅 방법에 의하면, 스프로킷의 치(齒)가 작고, 이와 더불어 테이프의 이송공도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끼우기가 쉽지 않으며, 잘못 끼워지는 경우에는 끼워지는 부품 위치가 틀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탑 커버 배출수단에 있어서는, 배출용 매개기어(59)와, 배출용 워엄기어(62)와, 배출용 워엄휠(63)과, 제2롤러(64)와, 제1롤러(65), 제2배출레버(67), 제2배출레버 스프링(67a) 등이 구비됨으로 인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큰 공간을 차지하며, 대형 테이프 피이더의 경우 탑 커버를 테이프 이송방향과 직각으로 배출하기 힘들다.
이와 더불어 제1배출기어(41) 및 제2배출기어(42)사이의 장력에 의해서만 탑 커버가 테이프에서 벗겨지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테이프로부터 탑 커버를 쉽게 분리시킬 수 없으며, 반복적으로 탑 커버 배출수단을 작동시킴에 따라서 상기 테이프의 탑 커버를 당기는 힘이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작은 피치의 이송공이 형성된 테이프를 이송시킬 수 있음으로 인하여, 많은 수의 부품을 부착시킬 수 있는 테이프 이송수단을 구비한 테이프 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상기 테이프 이송수단에서 스프로킷 및 워엄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부품이 정확하고 편평한 위치에서 픽업되도록 상기 테이프가 일정구간 직선운동을 하 며, 테이프 이송에 있어서 높은 정밀도를 가지는 테이프 이송수단을 구비한 테이프 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탑 커버 배출수단의 구조가 복잡하거나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특히 대형 테이프 피이더의 경우 탑 커버를 테이프 이송방향과 직각으로 배출하기 간편한 구조를 가진 테이프 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넷째, 큰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면서 복수 개의 테이프를 이송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테이프 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섯째, 테이프로부터 탑 커버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테이프 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섯째, 상기 테이프가이드에 상기 이송공이 간편하고 정확히 끼워지는 구조를 가진 테이프 피이더 및 이의 테이프 초기위치 자동 셋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고, 전자 부품이 수납된 이송공에 삽입 후 전방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 핀;
상기 이송 핀을 전후방향으로 직진시킬 수 있는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와, 상기 이송 핀을 상하로 이동시켜서 상기 이송공에 삽입 및 탈출시킬 수 있는 핀 상하이동 구동장치를 구비한 핀 이동 구동장치;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테이프로부터 박리된 탑 커버를 배출시키는 탑 커버 배출장치;를 구비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를 제공한다.
상기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 핀과 연결되며, 전후로 직선 운동할 수 있는 구동전달부 및 상기 구동전달부를 구동하는 회전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 상하이동 구동장치는, 상기 이송 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 핀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이송 핀은 좌우로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이송 핀마다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가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 핀 모두는 하나의 핀 전후이송 구동장치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 핀 내에는 상기 이송공에 정확하게 끼워지도록 센서가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가 이송 핀에 삽입되어 이송되는 기간 외에는, 상기 테이프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테이프 고정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상기 테이프 고정장치는, 클램프 구동모터와, 상기 클램프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한 모터 연결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측으로 볼록한 테이프 고정부가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테이프의 하측의 상기 테이프 이동경로에 따라서 배치된 클램프 암과, 상기 클램프 암의 중앙부에서, 상기 클램프 암의 모터 연결부가 하강되는 경우에 상기 테이프 고정부가 상승하여 상기 테이프를 고정시키는 클램프 암 힌지축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테이프 고정장치에는 클램프 암과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클램프 암의 탄성을 유지시키는 클램프 암 스프링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테이프 이동방향에서 상기 이송 핀의 배치 위치 후방부에는, 상기 테이프와 탑 커버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테이프에서 탑 커버를 분리시키는 분리날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고, 전자 부품이 장착된 이송공에 삽입된 후에 전방으로 이동되는 이송 핀;
상기 이송 핀을 전후방향으로 직진시킬 수 있는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와 상기 이송 핀을 상하로 이동시켜서 상기 이송공에 삽입 및 탈착시킬 수 있는 핀 상하이동 구동장치를 구비한 핀 이동 구동장치; 및
상기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테이프의 탑 커버가 끼워지는 한 쌍의 배출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 핀이 전진하는 경우에 상기 탑 커버를 배출하는 탑 커버 배출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탑 커버 배출장치는:
그 일단이 상기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와 연결되어서 전후 직진운동을 하는 전후링크;
상기 전후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서, 상기 전후링크에 전후 직진운동과 연동하여 회전 운동하는 캠;
상기 캠과 연동하여 상하 운동을 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이 일방향으로 회전 시에만 회전하는 주 배출기어와, 상기 주 배출기어와의 사이에 탑 커버를 끼워서 배출시키는 아이들 배출기어로 이루어진 한 쌍의 배출기어들;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랙 기어는, 일단이 상기 캠과 접하여 상기 캠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 운동을 하는 상하이동축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상하이동축이 상기 캠과 접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상하이동축을 캠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1탄성 스프링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니언과 주 배출기어는 주 배출축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주 배출축과 주 배출기어는 일방향 베어링에 의하여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 커버 배출장치에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서 상기 주 배출축을 지지하는 배출브래킷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아이들 배출기어는 상기 배출브래킷에 고정된 아이들 배출축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아이들 배출축에는 상기 아이들 배출기어를 주 배출기어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2탄성 스프링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는 상기 이송 핀과 연결되어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전달부 및 상기 구동전달부를 구동시키는 구동회전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전후링크는 그 일단이 상기 구동전달부에 결합되어 전후 운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이송 핀은 복수 개가 형성되어 복수열의 테이프를 이송시키고, 상기 이송 핀들은 하나의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와, 하나의 전후링크와, 하나의 캠과 연결되며, 상기 상하이동축은 각각의 이송 핀마다 별개로 형성되며, 상기 하나의 캠과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와 구조를 가진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에 있어서, 테이프가이드에 삽입된 테이프의 이송공을 피이더 셋팅 위치로 정확하게 이송시키는 테이프 초기위치 자동 셋팅 방법으로서,
이송 핀을 설정 원점으로 이동시키는 원점이동단계;
지정 스텝 내에 형성된 상기 이송공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이송공의 정확한 위치에 이송 핀을 위치시키는 홀 조준단계;
상기 이송 핀을 이송공에 삽입시키는 핀 삽입단계; 및
상기 이송 핀을 지정된 피이더 셋팅 위치로 이동시키는 피이더 셋팅위치 이동단계;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의 테이프 초기위치 자동 셋팅 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홀 조준단계는:
상기 이송 핀의 위치에 상기 이송공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홀 존재 판단 단계; 및
상기 이송 핀의 위치에 상기 이송공이 존재한 경우, 상기 이송 핀의 정확한 위치를 저장하는 핀 정위치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이송 핀의 위치에 상기 이송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지정 스텝 내에 배치된 이송공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이송공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이송 핀을 위치시키는 홀 위치 파악 단계; 및
다시 상기 홀 존재 판단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핀 위치 저장 단계는:
상기 이송 핀을 설정 원점으로부터 상기 지정 스텝 내에 형성된 상기 이송공 시작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이송공 시작부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송 핀을 상기 이송공 끝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이송공 끝부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송 핀을 상기 이송공 시작부와 이송공 끝부의 중간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이송 핀의 정확한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송 핀 내부에는 센서가 설치되어서, 상기 이송 핀을 움직이면서 홀 위치 파악 단계, 핀 정위치 저장 단계, 홀 위치 파악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100)는 프레임(111)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된 이송 핀(121)과, 상기 이송 핀(121)을 상하, 전후로 직진시키는 핀 이동 구동장치(120)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장착된 탑 커버 배출장치(140)를 구비한다.
이송 핀(121)은 상기 이송공(102c)에 삽입된다. 그 후에 핀 이동 구동장치(120)가 상기 프레임(111)에서 상기 이송공(102c)에 삽입된 이송 핀(121)을 정확한 피이더 셋팅 위치로 이송시킨 다음, 상기 이송 핀(121)을 이송공(102c)에서 탈출시켜서 다시 원점으로 이동하는 작업을 되풀이함으로써, 상기 테이프(102)를 간헐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부품이 픽업된 후의 테이프는 테이프 배출구(1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프레임(111)의 타측에는 탑 커버 배출장치(140)를 구비한다. 상기 탑 커버 배출장치(140)는 한 쌍의 배출기어(141)들이 맞물리도록 형성시키고, 그 사이로 상기 테이프로부터 박리된 탑 커버(102b)가 통과하여서 배출함으로써, 상기 테이프(102)로부터 탑 커버(102b)를 분리시키는 기능을 동반한다.
여기서 핀 이동 구동장치(120)는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123) 및 핀 상하이동 구동장치(128)로 이루어진다. 상기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123)는 상기 이송 핀을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구동모터(150) 및 상기 회전구동모터에 의하여 이송 핀을 전후방향으로 직진시킬 수 있는 구동전달부(12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 핀(121)이 상기 구동전달부(124)에 연결되어서 상기 구동전달부의 회전에 따라서 전진 또는 후진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전달부(124)는 리드 스크류(125) 및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서 전후 직진 운동하는 이송브래킷(126)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하여 상기 구동전달장치가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정확하게 테이프를 이송시 킬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전달부(124)가 리드 스크류(125) 및 상기 리드 스크류에 설치된 이송브래킷(126)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브래킷(126)이 회전구동모터(150)의 구동에 의하여 리드 스크류(125)를 따라 전후 직진운동을 하게 된다. 이 때에, 상기 이송브래킷(126)이 이송 핀(121)과 연결되어서, 상기 이송 핀(121)이 이송브래킷(126)의 직진운동에 연동하여서 전후 직진운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채택된 구동전달부로는 리드 스크류에 한정되지 않으며, LM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등 회전구동모터에 의하여 전후직진운동을 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구동전달부(124)로 채택될 수 있다.
구동전달부(124)가 리드 스크류(125)를 구비한 경우에는 상기 이송 핀이 과도하게 전진되거나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송 핀 가이드부(127)가 이송 핀 전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핀 상하이동 구동장치(128)는 상기 이송 핀(121)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송 핀의 하측과 연결된 보이스 코일 모터(129)를 구비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는 모터 지지대(119)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지지대(119)는 상기 구동전달부(124)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터지지대(119)는 이송브래킷(126)과 이송 핀(121)을 연결하여서, 상기 이송브래킷의 전후 직진운동에 연동하여 이송 핀이 전후 직진 운동하도록 한다.
이 보이스 코일 모터(129)는 통상 자석으로 이루어진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 를 둘러싼 보이스 코일을 구비한다. 따라서 보이스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상기 가동부가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서 상하로 직진운동을 한다. 따라서, 상기 가동부에 상기 이송 핀을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129)의 작동에 따라서 이송 핀(121)이 상하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이송 핀(121) 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핀(121)이 이송공(102c)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센서(122)가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센서가 상기 이송 핀에 삽입되어 배치되도록 작은 부피를 가지고, 정확한 센싱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센서가 광섬유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핀(121)이 좌우로 나란히 두 개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이송 핀마다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129)가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 핀(121) 모두는 하나의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123)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송 핀이 하나의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123)로 상기 두 개의 이송 핀(121)을 전후 이동시키고,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은 보이스 코일 모터(129)로 상기 이송 핀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123) 및 핀 상하이동 구동장치(128)가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두 개의 이송 핀을 전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이송되는 기간 외에는 테이프(102)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송 핀(121)이 이송공(102c)에서 탈출된 후에 상기 테이프(102)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테이프(102)가 흔들린다면 테이프와 홀에 이송 핀을 삽입하기가 쉽지 않고, 상기 테이프(102)로부터 탑 커버(102b)를 분리시키기도 쉽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프 피이더(100)에는 상기 테이프 고정장치(1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프 고정장치(130)는 테이프(102)가 이송 핀(121)에 삽입되어 이송되는 기간 외에는, 상기 테이프(10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 경우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고정장치(130)는 클램프 구동모터(131)와, 클램프 암(132)과, 클램프 암 힌지축부(134)를 구비한다. 클램프 암(132)의 일단이 클램프 구동모터(131)와 연결되는 모터 연결부(132')가 형성되고, 클램프 암의 타단에는 테이프 고정부(132")가 형성된다.
클램프 암(132) 중앙에는 클램프 암 힌지축부(134)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 암 힌지축부(134)는 프레임(111)에 결합되고 클램프 암(132)의 중앙과 연결된다. 이로서 상기 모터 연결부(132')가 하강하는 경우에 클램프 암 힌지축부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형성된 테이프 고정부(132")가 상승하게 되어서 상기 테이프(102)와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테이프(102)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와 달리 상기 모터 연결부(132')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클램프 암 힌지축부(134)에 의하여 테이프 고정부(132")가 하강하게 되어서, 상기 테이프와 접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테이프(102)를 고정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이송 핀(121)이 이송공(102c)에 삽입되어서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경우에는 클램프 암(132)이 테이프와 접하지 않도록 하여서 상기 테이프(102)의 이송 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이송 핀이 상기 이송공에서 빠져서 원점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테이프 고정부(132")가 테이프(102)와 접하도록 하여서 상기 테이프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테이프 고정장치(130)에는 상기 클램프 암(132)이 프레임(111)에 대하여 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암 레버 스프링(136)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를 상기 이송 핀과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테이프가이드(171)의 이송 핀(121) 설치 위치 후방부에는 상기 테이프(102)로부터 탑 커버(102b)를 쉽게 박리 시키도록 상기 테이프와 탑 커버 사이에 삽입되는 분리날(174)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테이프 피이더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배출기어(41, 42)들의 장력에 의하여만 상기 테이프로부터 탑 커버(20b)가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송 핀(121) 후방에 분리날(174)이 배치됨으로써 테이프(102)로부터 탑 커버(102b)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음으로써 탑 커버(102b)의 반복배출에 의하여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테이프 피이더의 작동을 설명하면, 테이프(102)가 테이프 가이드(171)로 삽입되면 테이프 셋팅 단계를 거친다. 즉, 이송 핀(121)이 지정 스텝을 움직이면서, 상기 지정 스텝 내에 배치된 이송공(102c)을 감지한다. 이 경우, 상기 이송공(102c)은 상기 이송 핀에 구비된 센서(122)에 의하여 감지되고,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123)에 의하여 지정된 스텝을 움직일 수 있다. 이 때에는 테 이프 고정장치의 클램프 암(132)이 상승하여 상기 테이프(102)와 접하여서 상기 테이프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이송공(102c)을 센서(122)가, 특히 바람직하게는 광섬유센서가 감지하면서 상기 이송공(102c)과 동일한 위치에 이동된 이송 핀(121)은 핀 상하이동 구동장치(128)의 구동에 따라서 이송공(102c)에 삽입하게 된다. 그 후에 지정된 피이더 셋팅 위치까지 이송 핀(121)이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송 핀에 의하여 끼워진 테이프(102)가 피이더 셋팅된다.
그 후에 테이프(102)를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테이프 이송 단계를 거친다. 도 8a 내지 도 8e에는 테이프 이송 단계가 도시되고 있다. 도 3 및 도 8a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 피이더 셋팅 위치(FS)에 위치한 상기 이송 핀(121)이 상기 핀 상하이동 구동장치(128)에 의하여 상승하여(도 8a), 상기 이송공(102c)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123)에 의하여 전진함으로써(도 8b) 테이프(102)가 이송된다(도 8c).
그 후에 상기 이송 핀(121)은 상기 핀 상하이동 구동장치(128)에 의하여 하강함으로써 상기 이송공로부터 빠지게 되고(도 8d), 상기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123)에 의하여 피이더 셋팅 위치(FS)로 되돌아온다(도 8e). 이런 작동이 되풀이됨으로써 이송 핀(121)이 테이프(102)를 간헐적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테이프가 이송하는 시기에는 테이프 고정모터(131)의 구동에 따라서 모터 연결부(132')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테이프 고정부(132")가 하강하게 되어서 상기 테이프와 접하지 않음으로써, 테이프가 이송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이송 핀(121)이 상기 이송공(102c)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테이프 고정모터(131)의 구동에 따라서 모터 연결부(132')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테이프 고정부(132")가 상승하게 되어서 상기 테이프와 접하게 됨으로써, 테이프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테이프 고정장치(130)에는 클램프 암 스프링(135)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클램프 암 스프링(135)은 클램프 암(132)과 프레임(111)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클램프 암의 탄성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프 이송장치로 스프로킷(22)을 사용하지 않고, 이송 핀(121)을 사용한다. 즉, 상기 이송 핀(121)으로 상기 테이프(102)를 이동시킴으로써 적어도 이송 핀(121)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구간에서 테이프(102)가 직진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부품이 수평상태에서 부품 픽업장치(미도시)가 부품을 픽업할 수 있게 되어서 픽업작업의 정밀도가 증가하고, 픽업오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더불어 이송 핀(121)을 사용하여 테이프(102)를 이송시킴으로써, 그 이송 피치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서 테이프에(102) 많은 수의 부품을 부착시킬 수 있고, 스프로킷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워엄기어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테이프 이송장치(120)의 공간이 줄어들게 되고, 워엄기어 마모가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테이프 이송에 있어서 정밀도가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200)의 측면도 및 이에 구비된 탑 커버 배출장치의 분리 사시도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 어 있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200)는 프레임(111)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된 이송 핀(121)과, 상기 이송 핀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123) 및 상기 이송 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핀 상하이동 구동장치(128)를 구비한 핀 이동 구동장치와 함께, 상기 판 이송 구동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탑 커버 배출장치(24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 핀(121) 및 핀 이송 구동장치(12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이송 핀 및 핀 이동 구동장치와 구조와 작용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탑 커버 배출장치(240)를 중점으로 설명한다.
탑 커버 배출장치(240)는 상기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123)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테이프의 탑 커버가 끼워지는 한 쌍의 배출기어(241, 242)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 핀(121)이 전진하는 경우에 상기 탑 커버(102b)를 배출한다.
특히, 상기 탑 커버 배출장치(240)는, 상기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123)와 연결되어 전후이동을 하는 전후링크(262) 및 상기 전후링크의 일단과 접하여 상하 회전 운동하는 캠(263)과, 상기 캠의 회전운동과 연동하여 상하 운동하는 랙 기어(265)와, 상기 랙 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피니언(266)과, 한 쌍의 배출기어(241, 242)들을 구비한다.
전후링크(262)는 그 일단이 상기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123)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 핀이 전진하는 경우 동일하게 전진하고, 상기 이송 핀이 후진하는 경우 동일하게 후진한다. 상기 전후링크의 타단에는 캠(263)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캠 (263)은 상기 전후링크(262)가 전진 또는 후진하는 동안 회전하며 작동한다. 상기 전후링크(262)와 캠(263)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캠(263)이 프레임(111)에 힌지 결합되어서 지지된다.
이 경우, 상기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123)는 상기 이송 핀(121)과 연결되어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전달부(124) 및 상기 구동전달부를 구동시키는 회전구동모터(150)를 구비하며, 상기 전후링크(262)는 그 일단이 상기 구동전달부(124)에 결합되어 전후 운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구동전달부(124)에는 회전구동모터(150)에 의하여 상기 이송 핀(121)과 연동하여 전후 운동하기 위하여 이송브래킷(126)이 설치되고, 상기 전후링크의 일단이 이송브래킷(126)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263)이 회전함에 따라 랙 기어(265)가 연동하여 움직인다. 즉, 상하이동축(264)의 일단이 상기 캠(263)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에 랙 기어(265)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서, 상기 전후링크(262)가 전진함에 따라 캠(263)이 회전 작동하고 이에 따라서 상하이동축(264)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하이동축(264)의 타단에 형성된 랙 기어(265)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전후링크(262)가 전진하는 경우 캠(263)이 반대로 회전 작동하고 이에 따라서 상하이동축(264)이 하강하며, 상기 상하이동축(264)의 타단에 형성된 랙 기어(265)도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상하이동축(264)에는 상기 상하이동축(264)을 캠(263)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1탄성 스프링(28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서 상기 제1탄성 스프링이 상하이동축의 탄성을 제공하여서 상하이동축(264)이 원활하게 상하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랙 기어(265)는 피니언(266)과 접촉한다. 상기 피니언(266)은 상기 랙 기어(265)의 상승과 하강에 따라서 반대로 회전한다. 상기 피니언(266)은 주 배출기어(241)와 연결된다.
상기 주 배출기어(241)는 피니언(266)이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만 회전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피니언(266)과 주 배출기어(241)는 주 배출축(267)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고, 상기 주 배출축(267)과 주 배출기어(241)는 일방향 베어링(287)에 의하여 연결되어서 상기 주 배출기어(241)가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와 달리 주 배출기어(241)에 일방향 클러치가 배치되어 일방향 회전할 때에는 클러치가 작동하지 않아서 회전가능하고, 타방향 회전할 때에는 클러치가 작동하여 주배출기어가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탑 커버(102b)는 배출되면서 장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장력으로 인하여 탑 커버와 테이프를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주 배출기어(241)와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는 아이들 배출기어(24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들 배출기어(242)는 상기 주 배출기어(241)가 회전 시에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탑 커버가 장력을 받으면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주 배출기어(241)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아이들 배출기어(242)가 회전하지 않음으로써 탑 커버(102b)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주 배출기어(241)와 아이들 배출기어(242)가 맞물리는 부분은 프레임(111)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탑 커버 배출장치에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서 상기 주 배출축을 지지하는 배출브래킷(298)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아이들 배출기어(242)는 상기 배출브래킷(298)에 고정된 아이들 배출축(268)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아이들 배출축(268)에는 상기 아이들 배출기어(242)를 주 배출기어(241)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2탄성 스프링(288)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주 배출기어(241)와 아이들 배출기어(242)가 반복 사용되어짐으로 인하여 마모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맞물림이 느슨하게 되어서 충분한 장력이 유지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제2탄성 스프링(288)이 아이들 축에 연결된 아이들 배출기어(242)를 주 배출기어(241) 쪽으로 탄성을 유지시켜 줌으로써 주 배출기어(241)나 아이들 배출기어(242)의 마모와 관계없이 충분히 맞물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탄성 스프링(288)은, 종래의 테이프 피이더에 구비된 제2배출레버 제1탄성 스프링(67a)과 달리,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이를 장착하기 위해서 큰 공간이 필요 없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탑 커버 배출장치(240)의 작용을 이송 핀(121)의 이동과 연동하여 설명하면, 이송 핀(121)과 전후링크(262)는 구동전달부(124)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 핀(121)이 이송공(102c)에 삽입되어 전진하는 때에 상기 전후링크(262)도 전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전후링크(262)의 타단에 배치 된 캠(263)이 후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캠(263)에 수직방향으로 접촉된 상하이동축(264) 및 상하이동축의 타단에 형성된 랙 기어(265)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랙 기어(265)와 맞물려있는 피니언(266)이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과 연결된 주 배출기어(241)가 상기 탑 커버(102b)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주 배출기어(241)가 아이들 배출기어(242)와 맞물리면서 탑 커버(102b)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와 달리 상기 이송 핀(121)이 상기 이송공(102c)에서 빠져서 후진하는 경우에는 전후링크(262)도 함께 후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전후링크(262) 타단에 배치된 캠(263)이 전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캠과 연결된 랙 기어(265)가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랙 기어와 맞물려있는 피니언(266)이 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상기 주 배출기어(241)는 일방향 베어링(287)에 의하여 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상기 주배출기어(241)와 맞물리는 아이들 배출기어(242) 또한 회전하지 않게 되어서 탑 커버가 외부 반대방향으로 이송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핀(121)이 복수 개가 형성되어 복수열의 테이프(102)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 핀(121)들은 모두 하나의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123)와 연결되고, 하나의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123)는 하나의 전후링크(262) 및 상기 전후링크의 타단에 형성된 하나의 캠(263)과 연결된다.
상기 캠(263)은 복수의 상하이동축(264)들과 연결된다. 하나의 상하이동축(264) 각각에는 하나의 랙 기어(266)가 형성되고, 하나의 랙 기어(266)마다 피니언 (267) 및 한쌍의 배출기어(241, 242)들이 배치됨으로써, 복수 개의 탑 커버(102b)를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102)로부터 박리되어 테이프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송되는 탑 커버(102b)의 상면은 상기 프레임과 직각인 경사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탑 커버 상면(102b')이 상기 프레임(111)과 평행하게 되도록 탑 커버의 이송 각을 변경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102)에서 분리되어 상기 테이프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탑 커버(102b)의 상면(102b')이 상기 한 쌍의 배출기어(241, 242)들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탑 커버의 이송 각도를 변경시키는 탑 커버 이송변경기구(245)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탑 커버 이송변경기구(245)는, 상기 테이프에서 분리되어 상기 테이프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탑 커버의 상면이 상기 프레임과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이송각도를 변경하는 제1 이송각변경봉(246), 및 상기 제1 이송각변경봉(246)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111)과 일정한 경사를 가지고 이송되는 탑 커버의 상면(102b')이 상기 프레임과 평행하게 이송되도록 이송각도를 변경하는 제2 이송각변경봉(247)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이송 핀(121)에 의하여 테이프(102)를 이송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100)에서, 테이프에 장착된 부품이 정확한 위치에서 픽업되도록 이송공을 피이더 셋팅 위치로 정확하게 이송시키는 테이프 초기위치 자동 셋팅 방법이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은 테이프가 처음 테이프가이드에 삽입되는 시기에, 이송 핀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이송공이 지정된 피이더 셋팅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도 13 및 도 14a 내지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초기위치 자동 셋팅 방법은 원점이동단계(S10)와, 홀 조준단계(S20)와, 핀 삽입단계(S30)와, 테이프 셋팅위치 이동단계(S40)를 포함한다.
테이프가 초기에 테이프가이드로 삽입되는 경우에, 이송 핀을 자동적으로 이미 설정된 설정 원점(O)으로 이동시킨다(S10).
그 후에 이미 지정된 지정 스텝(ST) 내에 위치된 이송공(102c)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이송공(102c)의 정확한 위치에 이송 핀(121)을 위치시키는 홀 조준단계(S20)를 거치게 된다. 그 후에 상기 이송 핀(121)을 이송공(102c)에 삽입시키는 핀 삽입단계(S30)를 거친 뒤에 상기 이송 핀을 지정된 피이더 셋팅 위치(FS)로 이동시키는 피이더 셋팅위치 이동단계(S40)를 거침으로써, 테이프 초기위치 자동 셋팅이 끝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이송 핀(121) 내부에는 센서(122)가 배치되고 이로서 상기 센서가 배치된 이송 핀(121)이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123)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하면서 정확한 이송공(102c)의 위치를 알 수 있게 되어서, 간편하게 이송공(102c)의 정위치에 이송 핀(121)을 위치시킬 수 있고, 정확한 위치에서 이송공(102c)에 이송 핀(121)을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센서는 광섬유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 조준단계(S20)에서는, 상기 이송 핀(121)의 위치에 이송공(102c)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홀 존재 판단 단계(S21)를 거친다.
이 경우, 상기 이송 핀(121) 위치에 상기 이송공(102c)이 존재한 경우, 상기 이송 핀의 정확한 위치를 저장하는 핀 정위치 저장단계(S23)를 거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이송 핀(102c) 위치에 상기 이송공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지정 스텝 내에 형성된 이송공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이송공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이송 핀을 위치시키는 홀 위치 파악 단계(S22)를 거친 다음, 다시 상기 이송 핀(121)의 위치에 이송공(102c)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홀 존재 판단 단계(S21)로 진행하게 된다.
한편, 핀 정위치 저장단계(S23)는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핀을 설정 원점으로부터 상기 지정 스텝(ST) 내에 형성된 상기 이송공 시작부(102c_a)로 이동시키며, 상기 이송공 시작부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S231)와, 상기 이송 핀을 상기 이송공 끝부(102c_b)로 이동시키며, 상기 이송공 끝부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S232)와, 상기 이송 핀을 상기 이송공 시작부와 이송공 끝부의 중간인 이송공 중앙부(102c_c)로 이동시키며, 상기 이송 핀의 정확한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S223)를 거친다. 즉, 이송 핀(121)이 원점(O)으로부터 지정 스텝(ST)만큼 이동하면서 상기 이송 핀 내에 배치된 센서가 상기 이송공 시작부(102c_a), 이송공 끝부(102c_b) 및 이송공 중앙부(102c_c)를 검출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이송 핀(121)이 이송공(102b)으로 삽입하여서 상기 테이프(102)를 피이더 셋팅 위치(FS)로 이동시키는 상태에서는, 상기 테이프를 원활히 이송시키도록 테이프 고정장치(130, 도 7 참조)가 테이프와 접하지 않도록 작동시키 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상기 이송 핀(121)이 이송공(102b)으로 삽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테이프 고정장치(130, 도 7 참조)가 상기 테이프(102)와 접하도록 작동시켜서 상기 테이프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테이프 이송수단으로서 스프로킷을 사용하지 않고, 핀을 사용함으로써 이송공 피치가 작은 경우에도 안정된 이송이 가능하다.
둘째, 하나의 핀 전후이동 구동수단으로 복수의 이송 핀을 이송시킬 수 있으며, 핀 상하이동 구동수단이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복수 개의 테이프를 작은 두께를 가진 하나의 테이프 피이더가 이송시킬 수 있다.
셋째, 회전구동모터 및 구동전달부를 사용하여 핀을 전후로 직진 운동하도록 하여 테이프를 일정구간 직진하여 이송시킬 수 있음으로써, 부품의 픽업 시에 있어서 높은 정밀도를 가진다.
넷째, 상기 이송 핀에 센서가 장착되어 상기 이송 핀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이송공에 삽입 및 탈출되도록 하여서, 이송공의 정확한 위치에서 삽입된다.
다섯째, 탑 커버 배출수단의 구조가 복잡하거나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특히 대형 테이프 피이더의 경우 탑 커버를 테이프 이송방향과 직각으로 배출하기 간편하다.
여섯째, 이송 핀이 배치된 위치 전에 분리날이 구비됨으로써 테이프로부터 탑 커버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탑 커버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탑 커버 배출수단이 과도한 장력을 가질 필요가 없다.
일곱째,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프로킷에 테이프의 이송공을 끼우지 않고, 자동적으로 이송 핀이 이송공에 삽입되고 셋팅위치로 이동함으로써, 테이프 이송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고, 전자 부품이 수납된 테이프의 이송공에 삽입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하여서 상기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 핀;
    상기 이송 핀을 전후방향으로 직진시킬 수 있는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와, 상기 이송 핀을 상하 이동시켜서 상기 이송공에 삽입 또는 탈출시킬 수 있는 핀 상하이동 구동장치를 구비한 핀 이동 구동장치;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테이프로부터 박리된 탑 커버를 배출 시키는 탑 커버 배출장치;를 구비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 핀과 연결되며, 전후로 직진 운동할 수 있는 구동전달부; 및
    상기 구동전달부를 구동하는 회전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상하이동 구동장치는, 상기 이송 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 핀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핀은 좌우로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이송 핀마다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가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 핀 모두는 하나의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핀 내에는 상기 이송공에 정확하게 끼워지도록 센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공이 이송 핀에 삽입되어 테이프가 이송되는 기간 외에는, 상기 테이프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테이프 고정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고정장치는:
    클램프 구동모터;
    상기 클램프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한 모터 연결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측으로 볼록한 테이프 고정부가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테이프의 하측의 상기 테이프 이동경로에 따라서 배치된 클램프 암; 및
    상기 클램프 암의 중앙부에서, 상기 클램프 암의 모터 연결부가 하강되는 경우에 상기 테이프 고정부가 상승하여 상기 테이프를 고정시키는 클램프 암 힌지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고정장치에는 클램프 암과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클램프 암의 탄성을 유지시키는 클램프 암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이동방향에서 상기 이송 핀의 배치 위치 후방부에는, 상기 테이프와 탑 커버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테이프에서 탑 커버를 분리시키는 분리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9.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고, 전자 부품이 수납된 이송공에 삽입된 후에 전방으로 이동되는 이송 핀;
    상기 이송 핀을 전후방향으로 직진시킬 수 있는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와 상기 이송 핀을 상하로 이동시켜서 상기 이송공에 삽입 및 탈착시킬 수 있는 핀 상하이동 구동장치를 구비한 핀 이동 구동장치; 및
    상기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테이프의 탑 커버가 끼워지는 한 쌍의 배출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 핀이 전진하는 경우에 상기 탑 커버를 배출하는 탑 커버 배출장치;를 구비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 배출장치는:
    그 일단이 상기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와 연결되어서 전후 직진운동을 하는 전후링크;
    상기 전후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서, 상기 전후링크에 전후 직진운동과 연동하여 회전 운동하는 캠;
    상기 캠과 연동하여 상하 운동을 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이 일방향으로 회전 시에만 회전하는 주 배출기어와, 상기 주 배출기어와의 사이에 탑 커버를 끼워서 배출시키는 아이들 배출기어로 이루어진 한 쌍의 배출기어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는, 일단이 상기 캠과 접하여 상기 캠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 운동을 하는 상하이동축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상하이동축이 상기 캠과 접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상하이동축을 캠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1탄성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과 주 배출기어는 주 배출축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주 배출축과 주 배출기어는 일방향 베어링에 의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 배출장치에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서 상기 주 배출축을 지 지하는 배출브래킷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아이들 배출기어는 상기 배출브래킷에 고정된 아이들 배출축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아이들 배출축에는 상기 아이들 배출기어를 주 배출기어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제2탄성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는 상기 이송 핀과 연결되어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전달부 및 상기 구동전달부를 구동시키는 구동회전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전후링크는 그 일단이 상기 구동전달부에 결합되어 전후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핀은 복수 개가 형성되어 복수열의 테이프를 이송시키고,
    상기 이송 핀들은 하나의 핀 전후이동 구동장치와, 하나의 전후링크와, 하나의 캠과 연결되며,
    상기 상하이동축은 각각의 이송 핀마다 별개로 형성되며, 상기 하나의 캠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16. 제 1 항의 구조를 가진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에 있어서, 테이프가이드에 삽입된 테이프의 이송공을 피이더 셋팅 위치로 정확하게 이송시키는 테이프 초기위치 자동 셋팅 방법으로서,
    이송 핀을 설정 원점으로 이동시키는 원점이동단계;
    지정 스텝 내에 형성된 상기 이송공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이송공의 정확한 위치에 이송 핀을 위치시키는 홀 조준단계;
    상기 이송 핀을 이송공에 삽입시키는 핀 삽입단계; 및
    상기 이송 핀을 지정된 피이더 셋팅 위치로 이동시키는 피이더 셋팅위치 이동단계;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의 테이프 초기위치 자동 셋팅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홀 조준단계는:
    상기 이송 핀의 위치에 상기 이송공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홀 존재 판단 단계; 및
    상기 이송 핀의 위치에 상기 이송공이 존재한 경우, 상기 이송 핀의 정확한 위치를 저장하는 핀 정위치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의 테이프 초기위치 자동 셋팅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핀의 위치에 상기 이송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지정 스텝 내에 배치된 이송공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이송공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이송 핀을 위치시키는 홀 위치 파악 단계; 및
    다시 상기 홀 존재 판단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의 테이프 초기위치 자동 셋팅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위치 저장 단계는:
    상기 이송 핀을 설정 원점으로부터 상기 지정 스텝 내에 형성된 상기 이송공 시작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이송공 시작부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송 핀을 상기 이송공 끝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이송공 끝부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송 핀을 상기 이송공 시작부와 이송공 끝부의 중간인 이송공 중앙부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이송 핀의 정확한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의 테이프 초기위치 자동 셋팅 방법.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핀 내부에는 센서가 설치되어서, 상기 이송 핀을 움직이면서 상기 홀 위치 파악 단계, 핀 정위치 저장 단계, 또는 홀 위치 파악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의 테이프 초기위치 자동 셋팅 방법.
KR1020040092810A 2004-11-12 2004-11-13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및 이의 테이프 초기위치자동 셋팅 방법 KR100627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86,619 US7243828B2 (en) 2004-11-12 2004-11-12 Tape feeder for component mounter and method of automatically setting tape initial position by the same
US10/986,619 2004-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303A true KR20060045303A (ko) 2006-05-17
KR100627067B1 KR100627067B1 (ko) 2006-09-25

Family

ID=36385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810A KR100627067B1 (ko) 2004-11-12 2004-11-13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및 이의 테이프 초기위치자동 셋팅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43828B2 (ko)
KR (1) KR100627067B1 (ko)
CN (1) CN177416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125B1 (ko) * 2006-08-02 2012-12-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부품 공급테이프 고정용 위치결정유닛을 갖는 전자부품 공급테이프용 커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3828B2 (en) * 2004-11-12 2007-07-17 Samsung Techwin Co., Ltd. Tape feeder for component mounter and method of automatically setting tape initial position by the same
JP4829031B2 (ja) * 2006-08-08 2011-11-3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の送り量データ設定装置
JP5357743B2 (ja) * 2009-12-26 2013-12-04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電子回路部品供給装置
EP2695505B1 (en) 2011-04-08 2018-09-19 Mycronic AB Tape feeder and method for moving a carrier tape towards a picking position in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EP2820930A1 (en) * 2012-02-27 2015-01-07 Micronic Mydata AB A carrier arrangement,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component tapes
EP2827692B1 (en) * 2012-03-13 2018-07-18 Fuji Machine Mfg. Co., Ltd. Component mounting device feeder management system
PL222469B1 (pl) 2012-08-14 2016-07-29 Włodarczyk Władysław Igloo Kasetowy podajnik taśmowy do pozycjonowania elementów elektronicznych SMD
CN104512750B (zh) * 2013-10-07 2018-02-13 韩华泰科株式会社 带送进器
CN103747630B (zh) * 2014-01-28 2017-06-23 杭州纽登科技有限公司 贴片机料带进料装置
WO2016088224A1 (ja) * 2014-12-03 2016-06-09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
CN107409486B (zh) * 2015-03-06 2020-06-05 株式会社富士 元件种类配置的最优化方法及元件种类配置的最优化装置
JP6630914B2 (ja) * 2015-07-29 2020-0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供給システムおよび部品供給方法
JP6554440B2 (ja) * 2016-04-28 2019-07-3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部品供給方法および表面実装機
WO2017213916A1 (en) * 2016-06-08 2017-12-14 Nuvizen Portable pill dispenser device using pill cartridge with enclosed pill strip
WO2018029755A1 (ja) * 2016-08-08 2018-02-1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JP6995190B2 (ja) * 2018-04-10 2022-01-14 株式会社Fuji テープフィーダ
CN115108363B (zh) * 2022-08-29 2022-11-11 四川明泰微电子有限公司 一种ic加工用上料输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9006A (en) * 1950-08-09 1952-11-25 Debrie Andre Victor Le Clement Balanced mechanism for driving films
FR1478399A (fr) * 1966-01-21 1967-04-28 Mécanisme d'entraînement du film d'un appareil cinématographique
US3900257A (en) * 1973-05-03 1975-08-19 Amp Inc Registration device for printed circuits
US4702577A (en) * 1984-08-17 1987-10-27 Dedo Weigert Film Gmbh Film transport device
US5543869A (en) * 1991-12-12 1996-08-06 Vetter; Richard Frame registration
US5644376A (en) * 1991-12-12 1997-07-01 Vetter; Richard Added film perforations for frame registration
KR970001239Y1 (ko) * 1993-12-29 1997-02-21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릴상태의 전자부품 자동공급 장치
JP3467079B2 (ja) * 1994-07-07 2003-11-17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カートリッジ
US5529232A (en) * 1994-08-19 1996-06-25 Eastman Kodak Company Precision pin registered film gate
US5725140A (en) * 1996-09-09 1998-03-10 Amistar Corporation Tape feeder for a surface mount placement system
US5713503A (en) * 1997-01-10 1998-02-03 Sony Corporation Film transport mechanism having automatic stroke adjustment
US6137530A (en) * 1997-04-02 2000-10-24 Steadi-Film Corp. Combination continuous motion and stationary pin registration film gate for telecine
US6435393B1 (en) * 2000-06-06 2002-08-20 Eastman Kodak Company Filmstrip transport mechanism with compensation for perforation pitch variations for improved film registration
KR100763957B1 (ko) * 2000-12-01 2007-10-0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테이프 피더의 커버 테이프 포밍 방법 및, 커버 테이프 포밍 기구
KR100378487B1 (ko) 2000-12-14 2003-03-2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CN100438743C (zh) * 2001-10-16 2008-11-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运送带送带器和电子部件安装装置及电子部件输送方法
KR100496633B1 (ko) * 2002-08-28 2005-06-20 미래산업 주식회사 테이프 피더
US7243828B2 (en) * 2004-11-12 2007-07-17 Samsung Techwin Co., Ltd. Tape feeder for component mounter and method of automatically setting tape initial position by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125B1 (ko) * 2006-08-02 2012-12-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부품 공급테이프 고정용 위치결정유닛을 갖는 전자부품 공급테이프용 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74167A (zh) 2006-05-17
US20060102681A1 (en) 2006-05-18
CN1774167B (zh) 2010-09-01
US7243828B2 (en) 2007-07-17
KR100627067B1 (ko) 2006-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067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및 이의 테이프 초기위치자동 셋팅 방법
JP6681344B2 (ja) フィーダ装置
US10321619B2 (en) Feeder
US10426069B2 (en) Feeder
US20170196132A1 (en) Feeder
JP6445676B2 (ja) フィーダ
JP4714256B2 (ja) 部品供給装置
KR100942164B1 (ko)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 자동공급장치
US10059552B2 (en) Feeder
KR101034116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JP7470475B2 (ja) 部品実装機
KR101133789B1 (ko)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자동공급장치의 테이프 가이드
KR100963270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JP4938607B2 (ja)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供給装置におけるサプレッサの開放状態の判定方法
JP6780898B2 (ja) フィーダ装置
JP4387816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6956431B2 (ja) フィーダ装置
KR101028667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20130088657A (ko)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
JP5192453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4016941B2 (ja) テープフィーダ
JP6586620B2 (ja) フィーダ
JP6675178B2 (ja) フィーダ
JPH0575294A (ja) テープフイーダ
KR20060028573A (ko) 테이프 피이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