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127A - 하드 코트 적층체 - Google Patents

하드 코트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127A
KR20060045127A KR1020050026163A KR20050026163A KR20060045127A KR 20060045127 A KR20060045127 A KR 20060045127A KR 1020050026163 A KR1020050026163 A KR 1020050026163A KR 20050026163 A KR20050026163 A KR 20050026163A KR 20060045127 A KR20060045127 A KR 20060045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hard coat
layer
laminate
c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치 미카미
노리나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5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1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02B1/10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02B1/116Multilayers including electrically conduct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2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by surface treatment, e.g. by ir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7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weight per unit area [e.g., gms/sq cm, lbs/sq ft, etc.]
    • Y10T428/273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weight per unit area [e.g., gms/sq cm, lbs/sq ft, etc.] of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부착 내성을 향상시키는 하드 코트 적층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광투과성 기재와, 당해 광투과성 기재 상에 도전층과, 하드 코트층이 이들 순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하드 코트 적층체로서, 상기 하드 코트 적층체의 최표면에 있어서의 포화 대전량이 1.5kV 이하인 하드 코트 적층체이다.
하드 코트 적층체, 먼지부착 내성, 광투과성 기재, 도전층

Description

하드 코트 적층체{HARDCOAT LAMINATE}
본 발명은, 먼지부착 내성을 향상시킨 하드 코트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음극관 표시 장치(CRT)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면은, 형광등 등의 외부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선에 의한 반사를 적게 하고, 그 시인성(視認性)을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대하여, 광투과성 기재 상에, 도전층과 하드 코트층을 이들의 순으로 적층시킨 하드 코트 적층체를 이용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반사성을 저감시키고,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반사 방지 적층체로서 이용되는 하드 코트 적층체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제2003―202408호 공보에서 제안된 것과 같이, 광투과형 기재의 표면에 하드 코트층을 적층해서 제조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하드 코트 적층체 중에는 그 최표면에 대전(帶電)이 발생하여, 그 결과 그 최표면에 있어서 먼지가 부착되는 것이 종종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현재 먼지부착 내성과 기계적 강도를 구비한 하드 코트 적층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하드 코트층의 최표면을 특정한 포화 대전량이 되도록 도전제를 첨가해서 조제함으로써, 하드 코트층의 최표면에 있어서의 먼지부착 내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투과형 기재의 표면에, 도전층과 하드 코트층과 임의의 층을 적층할 때에 하드 코트 적층체의 최표면의 포화 대전량을 특정치로 함으로써, 하드 코트 적층체의 최표면에 있어서 먼지부착 내성을 부여하고 또한, 기계적 강도가 뛰어난 하드 코트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는,
광투과성 기재와, 당해 광투과성 기재 상에, 도전층과 도전제를 포함하고 있는 하드 코트층이 이들의 순으로 구비되어 있는 하드 코트 적층체로서,
상기 하드 코트 적층체의 최표면에 있어서의 포화 대전량이 1.5 kV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상태에 따라 제안되는 제조 방법은, 광투과성 기재와,당해 광투과성 기재 상에, 도전층과 도전제를 포함하고 있는 하드 코트층이 이들의 순으로 구비할 수 있는 하드 코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고,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표면에 도전층을 형성하고,
상기 도전층에 도전제를 첨가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액체 조성물을 부여하여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하드 코트 적층체의 최표면에 있어서의 포화 대전량을 1.5kV 이하로 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하드 코트 적층체
하드 코트 적층체의 최표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 적층체의 최표면은, 그 포화 대전량이 1.5kV 이하, 바람직하게는 0.6kV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OkV라고 되어 있는 것이다. 포화 대전량이 이러한 값을 취함으로써, 하드 코트 적층체의 최표면에 있어서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포화 대전량은 JIS L1094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반감기 측정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은 시판의 측정기를 이용해서 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네오스트미터 H―0110(시시드 정전기(주))를 이용해서 측정할 수 있다. 이 측정 장치를 이용한 포화 대전량의 측정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하기에 설명한다.
시료(4cm×4cm)를 턴테이블에 고정하여 회전시켜서 전압을 인가하고, 이 측정기에 의해 시료 표면의 내전압값(kV)을 측정한다. 시간에 대한 내전압의 감쇠 곡선이 그려지고, 반감기(대전량이 초기값의 반에 달할 때까지의 시간)와 포화 대전량이 측정된다.
1) 하드 코트층
하드 코트층은, 적층체 자체에, 내찰상성, 강도 등의 성능을 부여하는 목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전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이란, JIS 5600―5―4: 1999에서 규정되는 연필 경도 시험에서 'H' 이상의 경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기본 재료
하드 코트층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이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갖는 것, 예를 들면 비교적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에테르 수지, 다가 알코올, 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화합물로서의 모노머류, 또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를 이용할 수 있다.
도전제
하드 코트층은 바람직하게는 도전제를 포함하고 있다. 도전제의 첨가에 의해, 하드 코트 적층체의 최표면의 포화 대전량을 저감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최표면에 먼지에 대한 내성을 양호하게 부여할 수 있다.
도전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하기에 기재하는 도전층으로 이용되는 것을 들 수 있는데, 금속, 금속 산화물(실리카), 금속 질화물, 금속 탄화물, 금속 알콕시드, 탄소 화합물 또는 탄소계 화합물(카본블랙), 유기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형성되는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미립자의 형태를 들 수 있다. 금속(미립자)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로서는, 금 미립자, 니켈 미립자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금 미립자이다. 유기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롤 설포네이트(PEDT/PSS), 폴리-P-페닐렌비닐렌, 폴리-2,5-디알킬-P-페닐렌비닐렌, 폴리-2,5-디알콕시-P-페닐렌비닐렌, 폴리-2,5-티에닐렌비닐렌, 폴리아닐린, 폴리아닐린의 유도체,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제가 미립자로서 첨가되는 경우, 그 미립자의 평균 일차 입경은 10nm 이상 15㎛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100nm 이상이고 상한이 7㎛ 이하이다. 도전제의 첨가량은, 하드 코트층의 전중량에 대하여, 0.005중량% 이상 70중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0.01중량% 이상이고 상한이 30중량% 이하이다.
하드 코트층의 형성
하드 코트층은, 상기한 수지, 필요에 따라서 도전제를, 적절한 용제, 예를 들면, 톨루엔, 자일렌, 시클로헥산, 초산 에틸, 초산 부틸, 초산 프로필, 메틸에틸케톤(MEK), 메틸이소부틸케톤(MIBK)에 혼합해서 얻은 액체 조성물을 투명 기재에 도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상태에 따르면, 상기의 액체 조성물에, 불소계 또는 실 리콘계 등의 레베링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베링제를 첨가한 액체 조성물은, 도포 또는 건조시에 도포막 표면에 대하여 산소에 의한 경화 저해를 유효하게 방지하고, 또한, 내찰상성의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레베링제는, 내열성이 요구되는 필름 형상 투명 기재(예를 들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액체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롤 코트법, 미야바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등의 도포 방법을 들 수 있다. 액체 조성물의 도포 후에, 건조하고 자외선 경화를 행한다.
자외선원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등, 블랙 라이트 형광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의 광원을 들 수 있다. 자외선의 파장으로서는, 190∼380nm의 파장 영역을 이용할 수 있다. 전자선원의 구체적인 예로는, 콕크크로프트월트형, 반데그라프트형, 공진변압기형, 절연코어 변압기형 또는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들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액체 조성물의 도포량은, 3.0g/m2 이상이다. 하드 코트층의 막두께(경화시)은 하드 코트 적층체의 기계적 강도 등을 고려해서 적당히 정할 수 있다. 도포량 및 막두께를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정함으로써, 하드 코트 적층체의 최표면의 포화 내전량을 저감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최표면에 먼지부착 내성을 양호하게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2) 도전층(대전 방지층)
도전층(대전 방지층)은, 광투과성 기재의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전층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전도성 금속 또은 전도성 금속 산화물 등을 증착 또는 스퍼터링함으로써 증착막을 광투과성 기재의 표면에 형성하는 방법, 또는 수지 중에 도전제를 분산한 도포액을 광투과성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도전층을 증착막으로 형성하는 경우, 전도성 금속 또는 전도성 금속 산화물로서, 예를 들면 안티몬 도프의 인듐 주석 산화물(이하, 'ATO' 라고 함), 인듐·주석 산화물 (이하, 'ITO' 라고 함)을 들 수 있다. 대전 방지층으로서의 증착막의 두께는, 10nm 이상 300n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상한이 100nm 이하이고, 하한이 50nm 이하이다.
도전제를 포함한 도포액을 이용하여 도포막을 형성하는 경우, 그 도전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또는 유기 화합물로부터 이루어지는 도전성 미립자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안티몬 도프의 인듐, 주석 산화물(이하, 'ATO' 라고 함), 인듐 주석 산화물(이하, 'ITO' 라고 함), 금 및/또는 니켈로 표면 처리한 유기 화합물 미립자를 들 수 있다. 도전제의 첨가량은, 도전층용 도포액의 총량에 대하여, 5 중량% 이상 70 중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15 중량% 이하이고 상한이 60 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중량 25% 이하이고 상한이 50 중량% 이하이다.
사용하는 수지는 투명성인 것이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그 구체적인 예로서 는, 자외선 또는 전자선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인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용제 건조형 수지의 혼합물, 또는 열경화형 수지의 3종류를 들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갖는 것, 예를 들면 비교적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다가 알코올 등의 다관능 화합물의 (메타)알릴레이트등의 올리고머 또는 프레폴리머, 반응성 희석제를 들 수 있고,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 스티렌, N―비닐 피롤리돈 등의 단관능 모노머 및 다관능 모노머, 예를 들면, 폴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피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광중합 개시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미힐러 벤조일 벤조에이트, a-아밀옥심 에스테르,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설파이드, 티오크산톤류를 들 수 있다. 또한, 광증감제를 혼합해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체적인 예로서는, n-부틸 아민, 트리에틸아 민, 폴-n-부틸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용제 건조형 수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혼합해서 이용되는 용제 건조형 수지로서는, 주로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일반적으로 예시되는 것이 이용된다. 용제 건조형 수지의 첨가에 의해, 도포면의 도막 결함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상태에 따르면, 투명 기재의 재료가 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경우, 열가소성 수지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로서, 셀룰로오스계 수지, 예를 들면 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광투과성 기재와 도전층의 밀착성과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닌 수지, 구아나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가교제, 중합 개시제 등의 경화제, 중합 촉진제, 용제, 점도 조정제 등을 더욱 첨가해서 이용할 수 있다.
도전층으로서 도포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도성 미립자에 상기한 수지를 첨가한 도포액(액체 조성물)을, 롤 코트법, 미야바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등의 도포 방법에 의해 도포한다. 그 다음에, 이 도포액의 도포 후에, 건조와 자외선 경화를 행한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 방법으로서는, 전자선 또는 자외선의 조사에 따라서 경화한다. 전자선 경화의 경우에는, 100KeV∼300KeV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선 등을 이용한다. 자외선 경화의 경우에는,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 크세논 아크, 메탈할라이드 렘프 등의 광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외선 등을 이용한다.
도전층의 도포막의 두께는, 0.05 ㎛ 이상 4㎛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하한
이 0.1㎛ 이상이고 상한이 1㎛ 이하이다.
3) 투명 기재
투명 기재는, 평활성, 내열성을 구비하고, 기계적 강도에 뛰어난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를 형성하는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 염화비닐, 폴리비닐 아세탈,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 메타크릴산메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우레탄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의 열가소성 수지를 박막의 유연성이 풍부한 필름 형상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화성이 요구되는 이용 상태에 따라, 이들 열가소성 수지의 판자 또는 유리판 형상인 것도 이용할 수 있다.
투명 기재의 두께는, 20㎛ 이상 300㎛ 이하, 바람직하게는 상한이 200㎛ 이하이고, 하한이 30㎛ 이상이다. 투명 기재가 판 형상인 경우에는 이들의 두께를 초과하는 두께라도 좋다.
4) 임의의 층(저굴절률층)
본 발명의 바람직한 상태에 따르면, 저굴절률층을 하드 코트층의 최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저굴절률층'이란, 그 굴절률이 1.5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1.45 이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저굴절률층을 구비하고 있는 하드 코트 적층체는 반사 방지 효과가 부여된다.
저굴절률층의 형성 방법은, 다른 일반적인 박막 형성 수단, 예를 들면 진공증착법, 스퍼터링법, 반응성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전기 도금법 등의 적당한 수단이이라도 좋고, 또한, 수지에 저굴절제를 분산시킨 도포액을 도포한 것이라도 좋다. 후자의 경우, 저굴절제로서 미립자, 결착제로서 수지를 이용하지만 그 내용은 이하와 같다.
미립자
미립자는, 무기물, 유기물의 어느 것이라도, 예를 들면, 금속, 금속산화물,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산화 규소(실리카)미립자를 들 수 있다. 실리카 미립자는 결착제(바인더)의 굴절률 상승을 억제하면서 원하는 굴절률을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리카 미립자는 결정성, 졸(Sol)상, 겔(gel)상의 상태 등에 불문한다. 또한, 실리카 미립자는 시판물을 이용할 수 도 있고, 예를 들면 데구사사제의 아에로질, 일본 화학 공업제의 콜로이달실리카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지름은, 5nm 이상 300n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10nm 이상이고 상한이 100n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20nm 이상이고 상한이 80nm 이하이다.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지름이 이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저굴절률층에 뛰어난 투명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착제(바인더)
결착제는, 1 분자 중에 3개 이상의 전리 방사선으로 경화하는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가 필수 성분으로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모노머는, 전리 방사선에 의하여 경화하는 관능기(이하,'전리방사선경화성기'라고 적당히 부른다)를 갖거나, 또는 열에 의하여 경화하는 관능기(이하, '열경화성기'이라고 적당히 부른다)를 갖는다. 이 때문에, 이 모노머를 함유하는 조성물(도포액)을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한 후,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거나, 또는 전리 방사선의 조사와 가열을 행함으로써 도포 내의 가교 결합 등의 화학 결합을 용이하게 형성하고, 도포막을 효율적으로 경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결착제는, 도전층에서 설명한 수지와 동일해도 좋다.
도포액을 이용하여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미립자와 결착제에, 필요에 따라 적당한 용제를 혼합하고, 점도를 조정한 도포액을 조정한다. 가시광선이 뛰어난 반사 방지막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균일하게 도포 얼룩이 없는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특히 뛰어난 굴절률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화 처리를 위하여 가열 수단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가열에 의해, 예를 들면 라디컬을 발생해서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을 개시시키는 열중합 개시제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의 경화 수단은, 도전층의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저굴절률층의 두께는, 20nm 이상 800n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상한이 400nm 이하이고, 하한이 50nm 이상이다.
하드 코트 적층체의 용도
본 발명에 의한 하드 코트 적층체는, 대전 방지 필름, 내찰과성 필름, 또는 반사 방지 적층체에 이용된다. 또한, 하드 코트 적층체는, 투과형 표시 장치에 이용된다. 특히, 텔레비전,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 등의 디스플레이 표시에 이용된다. 특히, CRT, 액정 패널 등의 고정밀(세밀) 화상용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이용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내용은 실시예에 의해 한정해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포액의 조제
도전성층용 도포액
ATO 분산액 2.5 kg
(페르트론C―4456S―7: 일본 페르녹스사 제)
광경화성 수지액 1.05 kg
(KS―HDDA: 일본 화약사 제)
중합 개시제 84 kg
(이르가큐어184: 치바가이기사 제)
초산 부틸(잉크테크사 제) 7.65 kg
시클로헥사논(잉크테크 사제) 3.28 kg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
광경화성 수지액 4.32 kg
(클리어 하드 코트(80)MEK: 잉크테크사 제)
광경화성 수지 PETA 2.18 kg
(PET-30: 일본화약사 제)
금 미립자(평균 입경 5um) 2.18 g
메틸에틸케톤(잉크테크사 제) 1.32 kg
시클로헥사논 (잉크테크사 제) 3.47 kg
메틸이소부틸케톤 (잉크테크사 제) 1.37 kg
불소계 레베링제 100 kg
(MCF―350―5: DIC사제)
저굴절률용 도포액
중공 실리카졸 20%(IPA: 촉매화성 제) 14.67 kg
계면활성제형 대전방지제 O.24 kg
(스타티사이드: 미쯔이물산플라스틱사 제)
광경화성 수지(PETA) 1.71 kg
중합 개시제 0.11 kg
(이르가큐어 907: 치바가이기사 제)
메틸이소부틸케톤 83.26 kg
(잉크테크사 제)
하드 코트 적층체의 형성
(1) 실시예1~7
두께 80㎛의 트리아세테이트셀룰로오즈(TAC)의 박막(광투과성 기재) 상에, 도전층용 도포액을 바-코팅하고 건조하여 용제를 제거한 후, 자외선 조사 장치(퓨죤 UV시스템 재팬(주); 밸브)를 이용하고, 조사선량 30mJ/cm2로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경화시켜서 도막하였다. 도전층의 전도성(표면 저항치)은,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6 및 비교예 10에서 차이가 있으나, 이것은, 바코딩에서의 막두께에 의해 변화시켜서 행하였다.
다음으로, 형성된 도전층의 표면에 하드 코트층용 도포액을 바코팅하고 건조하여 용제를 제거한 후, 자외선 조사 장치(퓨죤 UV 시스템 재팬(주); H밸브)를 이용하여, 조사선량 30mJ/cm2로 자외선 조사를 행하고, 경화시켜서 원하는 하드 코트 적층체를 조제했다. 실시예1∼비교예3에 있어서는, 하드 코트층의 도포량은, 바코팅시의 미야바의 번수를 변경시켜 실시하였다.
(2)실시예8
상기에서 조제한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저굴절률층용 도포액을 바코팅하고 건조하여 용제를 제거한 후, 자외선 조사 장치(퓨존 UV 시스템 재팬(주); H밸브)를 이용하고, 조사선량 200mJ/cm2로 자외선 조사를 행하고, 경화시켜서, 막두께 100nm의 저굴절률층을 형성시킨 하드 코트 적층체를 형성하여, 이것을 실시예 8로 하였다.
평가시험
실시예 1∼8 및 비교예 1∼3의 하드 코트 적층체에 대해서 이하의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 각 평가 시험의 결과는 하기 표1에 기재한 바와 같다.
평가1: 포화 대전량 시험
오네스트 미터 H―0110(시시드정전기(주))을 이용하고, 하드 코트 적층체의 뒷면에서 20mm의 위치에 +10kV의 전압을 인가하여, 포화 대전 상태가 된 곳에서, 전압 인가를 중지하고, 신속하게 포화 대전량을 측정했다. 포화 대전량이 적은 값일수록, 먼지에 대한 내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나타낸다.
평가2: 먼지 부착 시험
담배재(평균 입경수 um∼수 mm정도) 10g을 균일하게 분산시킨 대의 상부 10mm 정도의 높이에 하드 코트 적층체를 설치하는 시험대를 준비하고, 하드 코트 적층체를 평가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압 인가하고, 포화 대전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시험대 위에 설치하고, 하드 코트 적층체의 표면에 담배재가 부착하는 지에 따라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평가 ○: 담배재의 부착이 나타나지 않았다.
평가 ×: 담배재의 부착이 나타났다.
평가3: 강도(경도)평가
평가 기준
각 하드 코트 적층체의 강도에 대해서 연필 경도를 이용하였다. 측정 방법으로는, JIS―K―5400에 준거해서 측정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행하였다.
평가 ○: H2 이상의 강도였다.
평가 ×: H2 미만의 강도였다.
평가4: 표면 저항치 측정
각 하드 코트 적층체의 최표면의 표면 저항치를, Hiresta IP MPC―HT260(미쓰비시 화학(주)제)의 HR 프루브를 막의 면에 눌러 측정하였다.
AS층 도전성 (Ω/□) HC층 도포량 (g/m2) 저굴절률층 시험 평가
포화내전압(kV) 먼지 부착성 경도 (2H) 적층체 표면저항 (Ω/□)
실시예1 8.00E+07 3.0 없음 0.35 3.20E+08
실시예2 8.00E+07 4.5 없음 0.66 4.08E+08
실시예3 8.00E+07 5.5 없음 0.89 1.14E+09
실시예4 8.00E+07 6.0 없음 0.95 4.95E+09
실시예5 8.00E+07 7.0 없음 1.21 9.80E+12
실시예6 4.50E+10 7.0 없음 1.45 9.00E+12
실시예7 8.00E+07 8.5 없음 1.48 9.80E+12
실시예8 8.00E+07 7.5 있음 1.32
비교예1 8.00E+07 2.5 없음 0.14 × 2.40E+08
비교예2 8.00E+07 8.0 없음 1.57 ×(*1) 측량 불가
비교예3 1.00E+12 6.0 없음 1.62 측량 불가
(*1)극히 소량
본 발명은, 광투과형 기재의 표면에, 도전층과 하드 코트층과 임의의 층을 적층할 때에 하드 코트 적층체의 최표면의 포화 대전량을 특정치로 함으로써, 하드 코트 적층체의 최표면에 있어서 먼지부착 내성을 부여하고 기계적 강도가 뛰어난 하드 코트 적층체를 제공한다.

Claims (8)

  1. 광투과성 기재와, 당해 광투과성 기재 상에, 도전층과 하드 코트층이 이들의 순서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하드 코트 적층체로서,
    상기 하드 코트 적층체의 최표면에 있어서의 포화 대전량이 1.5kV 이하인
    하드 코트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이 도전제를 포함하는 것인
    하드 코트 적층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의 최표면에, 저굴절률층을 더욱 구비하여 이루어진
    하드 코트 적층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제가,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탄화물, 금속 알콕시 드, 탄소 화합물 또는 탄소계 화합물, 및 유기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것으로 형성되는
    하드 코트 적층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제가 금 미립자인
    하드 코트 적층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액체 조성물의 도포량이 3.0g/m2 이상인
    하트 코트 적층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사 방지 적층체로서 이용되는
    하드 코트 적층체.
  8. 광투과성 기재와, 당해 광투과성 기재 상에, 도전층과 도전제를 포함하고 있는 하드 코트층이 이들의 순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하드 코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표면에 도전층을 형성하고,
    상기 도전층에 도전제를 첨가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액체 조성물을 부여 하여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하드 코트 적층체의 최표면에 있어서의 포화 대전량을 1.5kV 이하로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조 방법.
KR1020050026163A 2004-03-31 2005-03-29 하드 코트 적층체 KR200600451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05827A JP2005288831A (ja) 2004-03-31 2004-03-31 ハードコート積層体
JPJP-P-2004-00105827 2004-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127A true KR20060045127A (ko) 2006-05-16

Family

ID=3532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163A KR20060045127A (ko) 2004-03-31 2005-03-29 하드 코트 적층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029794A1 (ko)
JP (1) JP2005288831A (ko)
KR (1) KR20060045127A (ko)
TW (1) TW2005382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183A (ko) * 2016-05-24 2019-01-1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와 이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전면판,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기능을 갖는 미러, 저항막식 터치 패널 및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642837A (en) * 2005-03-30 2006-12-16 Dai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layered product
TW200728763A (en) * 2005-10-24 2007-08-01 Hitachi Maxell Optical thi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083495B2 (ja) * 2006-07-26 2012-11-28 アキレス株式会社 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FR2904431B1 (fr) * 2006-07-31 2008-09-19 Essilor Int Article d'optique a proprietes antistatiques et anti-abras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US8847913B2 (en) 2012-04-04 2014-09-30 Kohler Co. User interface device for a bath or shower
KR102083679B1 (ko) * 2013-01-25 2020-03-0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용 고투과 복합필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6753A (en) * 1997-05-26 2000-11-14 Dai Nippon Printing Co., Ltd. Antistatic hard coat film
US6319594B1 (en) * 1998-03-17 2001-11-20 Dai Nippon Printing Co., Ltd. Low reflective antistatic hardcoat fil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183A (ko) * 2016-05-24 2019-01-1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와 이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전면판,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기능을 갖는 미러, 저항막식 터치 패널 및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29794A1 (en) 2006-02-09
TW200538288A (en) 2005-12-01
JP2005288831A (ja)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465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108221B1 (ko) 하드코팅층의 활성(滑性)을 개선한 적층체
KR101470463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470466B1 (ko) 적층 하드코팅 필름
KR101451848B1 (ko)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KR101470464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415841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671431B1 (ko) 플라스틱 필름
KR101388275B1 (ko) 투명 도전성 필름, 전자 기기 및 터치 패널
KR101686644B1 (ko) 플라스틱 필름 적층체
KR20060045127A (ko) 하드 코트 적층체
JP2017161893A (ja) 光学積層体
JP2015212923A (ja) アンチニュートンリング積層体およびそのアンチニュートンリング積層体を用いた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KR101081987B1 (ko) 하드코팅층의 굴곡을 억제한 적층체
JP5353285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20060051875A (ko) 광학적층체 및 광학소자
KR101263967B1 (ko) 광학 적층체
KR101542643B1 (ko) 점착층을 포함하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6085186B2 (ja) 透明積層フィルム及び透明基板
KR101031817B1 (ko) 방현성 필름
WO2004088369A1 (ja) 偏光板保護フィルム
JPH11291383A (ja) 透明導電性フイルム
CN113874588A (zh) 抗静电性透明光栅
JP6179211B2 (ja) 透明基板用積層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4348156A (ja) 防眩性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