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093A - 팽이버섯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팽이버섯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093A
KR20060045093A KR1020060036096A KR20060036096A KR20060045093A KR 20060045093 A KR20060045093 A KR 20060045093A KR 1020060036096 A KR1020060036096 A KR 1020060036096A KR 20060036096 A KR20060036096 A KR 20060036096A KR 20060045093 A KR20060045093 A KR 20060045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cultivation
growth
mushrooms
carbon di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0511B1 (ko
Inventor
박희주
이승두
이창윤
최범영
정혜영
이혜정
Original Assignee
그린합명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합명회사 filed Critical 그린합명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6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511B1/ko
Publication of KR20060045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9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e.g.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이버섯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며 버섯재배사에서 팽이버섯을 재배할 때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조절하여 버섯의 생육을 조절하고 광(光)을 이용하여 팽이버섯의 멜라닌색소를 조절하여 야생에 가까운 팽이버섯을 효율적으로 재배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팽이버섯의 재배는 배양단계와 재배(생육)단계를 구분하고, 재배단계를 노화균 제거단계와, 발아 단계와, 고르기 단계와, 생육억제 단계와, 생육단계로 구분하여 재배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재배된 팽이버섯은 버섯 갓의 직경이 크고, 대가 굵고, 길이는 짧으며, 색상은 밤색으로 야생에 가깝고 육질이 단단하여 장기보존이 가능한 고품질의 팽이버섯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팽이버섯, 밤색, 조사, 생육억제, 이산화탄소

Description

팽이버섯 재배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mushroom}
도1은 본 발명의 재배 공정도
본 발명은 팽이버섯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산화탄소(CO₂)의 농도를 조절하여 버섯의 생육을 조절하고 광(光)을 이용하여 팽이버섯의 멜라닌색소를 조절하여 야생에 근접되는 밤색의 팽이버섯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은 분류학상 담자균아문(Basidiomycota)이고, 주름버섯목(Agaricales)이며 송이과(Tricholomataceae), 팽이버섯속(Flammulina)의 5종 가운데 하나이고 벨루티페스(Velutipes)로 분류된다.
또 야생종의 팽이버섯은 저온기에 활엽수의 그루터기나 고목에서 발견되는 목재 부후균이고 자실체의 색상은 황갈색 내지 밤색을 나타내고 갓의 직경과 대의 굵기가 크고 대의 길이가 짧다.(공원식,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7년)
또 팽이버섯의 인공재배는 1899년 일본에서 시작된 이래 1936년 한국에서 원목재배방법으로 소개되었고, 1980년경부터 환경조절재배를 실시하는 병 재배가 본격화되면서 표고, 송이 등과 함께 대량 생산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팽이버섯은 품종개량을 통하여 자실체의 색상을 흰색으로 한 M50이 육성 보급되고 인공재배되어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팽이버섯은 생활수준의 향상과 야생종의 색상인 밤색을 선호하면서 LG계열의 수향버섯에서 재배가 이루어져 생산되고 있으나 재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서 재배가 어려운 결점이 있다.
또 야생으로 생산되는 팽이버섯은 버섯대가 10cm이내로 짧고 굵으며, 색상은 밤색계열인데 인공재배되는 팽이버섯의 자실체는 버섯대의 길이가 15cm이상으로 길고 가늘고 백색계열이며, 조리하여 섭취할 때에는 치아 사이에 끼여 취식이 불편한 결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소하고 팽이버섯을 재배할 때 이산화탄소(CO₂)의 농도로 성장상태를 조절하고 광(光)을 이용하여 멜라닌 색소를 조절하고 조절하여 야생으로 생산되는 팽이버섯에 근접되는 팽이버섯 재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1과 같이 팽이버섯을 재배함에 있어서 배양단계와 재배단계로 구분하여 배양단계는 버섯 재배용 배지를 조성하고 재배용기에 담아서 살균 및 연화하고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배양기에 배양시킨 버섯종균액을 재배용기의 배지에 접종하고, 15℃를 유지하여 22일간의 배양단계를 거친 재배용기를 버섯재배사에서 재배단계로 진행함에 있어서 발이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배지 표면을 긁어 주는 노화균 제거단계와, 습도는 95% 이상 온도는 15℃를 유지하고 이산화탄소(CO₂)의 농도는 2,000ppm이하로 하여 8~10일간을 발이 하는 발이 단계와, 습도는 85% 온도는 8~10℃를 유지하고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2,0000ppm이하로 하여 4~6일간 성장을 고르게 하는 고르기 단계와, 습도는 75% 온도는 5~7℃를 유지하고 이산화탄소ㅇ으의 농도는 3,000 ~ 4,000ppm을 유지하고 6일간을 유지하여 생육을 억제하는 생육억제단계와, 습도가 75% 온도는 4~5℃에서 1,000Lux의 광을 15분간 조사하고 45분간은 off상태로 5일간을 반복하는 생육단계를 거쳐서 재배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팽이버섯의 재배단계를 공정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배양공정)
콘코프, 미강, 밀기울, 패화석을 이용하여 배지를 조성하고 이를 규격의 합성수지재 재배용기에 충진 하고, 100℃에서 6시간을 살균처리 및 연화시켜서 버섯의 생육시 잡균에 방해되지 않도록 살균하고 배지를 부드럽게 연화시킨 다음 15℃가 되도록 냉각하여 재배용기를 구성하고 한편 대두박, 설탕, 일인산칼륨(KH₂PO₄),황산마그네슘(MGSO₄)를 혼합시킨 용액과 버섯종균을 함께 배양기에 넣고 18℃를 유지하여 7일간을 배양시켜 액상 버섯종균을 조성하고, 종균 접종기를 이용하여 상기의 재배용기에 액상의 종균을 접종하여 15℃를 유지하는 배양실에서 22일간 배양하여 버섯종균을 접종 배양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며 이는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하게 된다.
제2공정( 노화균제거 단계)
제1공정을 거치게 되면 재배용기의 표면으로 노화된 균이 노출되므로 이를 긁어서 제거하여 버섯의 발이를 균일하고 용이하게 한다.
이때 배양용기의 노화균을 긁어주는 작업은 기계적으로 또는 수작업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3공정(발이 단계)
버섯재배사는 습도를 95%이상으로 하고 온도는 15℃를 유지하며 이산화탄소(CO₂)의 농도는 2,000ppm 이하로 하여 8~10일간 발이 하게 된다.
이때 표면에 제거된 노화균에 종균이 재부상되고 오염을 최소화하게 된다.
제4공정(고르기 단계)
제3공정을 거친 버섯재배사는 습도를 85%, 온도를 8~10℃로 유지하고 이산화탄소(CO₂)의 농도는 2,000ppm 이하로 하여 4~6일간을 유지하면 버섯의 발이 단계에서 생육되지 못한 버섯이 성장되고 성장이 고르게 된다.
제5공정(생육억제 단계)
제4공정을 거친 버섯재배사는 습도를 75% 온도는 5~7℃로 유지하고 이산화탄소(CO₂)의 농도는 3,000 ~ 4,000ppm을 유지하면 버섯의 생육은 억제되고 육질은 단단하게 된다.
제6공정(생육 단계)
제5공정을 거친 버섯재배사는 습도가 75% 실내온도는 4~5℃로 낮추고 1,000Lux의 광(光)을 15분간 조사하고, 45분간은 off상태로 5일 동안 반복으로 수행하여 버섯을 성장시킨다.
이때 광(光)의 조사 시간을 늘릴 경우 멜라닌색소의 생성량이 많아져 버섯갓의 색깔이 짙어지고 조사시간을 줄이면 색상이 엷어지게 된다.
또 광(光)을 조사하는 시간을 늘리면 색상은 짙어지고 버섯대의 길이는 짧게 되며 광의 조사시간을 줄이면 색상을 엷어지고 버섯대의 길이는 길어지게 된다.
또 광량을 높일 경우에는 버섯의 멜라닌 색소의 분비가 증가하여 버섯의 호흡량이 증가하여 자실체의 습도가 증가 되어 습도조절과 생육에 영향을 주게 된다.
또 생육 단계에서는 버섯의 생육상태와 환경상태를 고려하여야 하므로 생육시기는 5일을 기준으로 가감될 수 있다.
또 생육단계에서 습도를 75%를 유지하게 되면 버섯이 생육과정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버섯이 물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실내온도를 4~5℃를 유지하는 것은 버섯은 저온에서 생육하게 되면 육질이 단단하게 되어 상품화되었을 때 저장기간이 길어지게 되고, 또 1,000Lux의 광으로 조사하는 것은 버섯의 멜라닌색소 조절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버섯갓의 색상이 우수하게 된다.
상기 제5공정을 경료한 팽이버섯은 제6공정의 생육단계에서 광을 조사한 생육상태의 팽이버섯의 윗면상태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6027869642-PAT00001
Figure 112006027869642-PAT00002
1일 2일
Figure 112006027869642-PAT00003
Figure 112006027869642-PAT00004
3일 4일
Figure 112006027869642-PAT00005
5일
제7공정(수확 및 상품화)
제6공정의 생육단계가 경료 되면 팽이버섯은 버섯대의 길이가 10cm이내의 길이가 되고 갓의 직경이 크고, 밤색이며 야생 팽이버섯과 흡사하게 되어 생육이 완료되면 이를 수확하여 규격으로 포장 상품화하게 된다.
상기에서 수확 상품화된 팽이버섯은 아래와 같다.
(윗면) (옆면)
Figure 112006027869642-PAT00006
Figure 112006027869642-PAT00007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광(光)의 조사량을 조절하여 팽이버섯을 재배하게 되므로서 동 팽이버섯은 대의 길이는 짧고, 경은 굵으며 색상은 밤색계통이고 야생에 가까운 팽이버섯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재배방법으로 버섯을 재배하게 되면 종래의 팽이버섯재배 방식에 비하여 버섯대의 길이가 짧아 생육기간이 단축되고 몸통이 단단하여 저장기간이 길어지고 갓이 크고 비대하게 되어 조리와 취식이 간편하여 상품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 본 발명은 버섯대의 길이가 짧고 일정하게 되므로 한 송이를 그대로 포장할 수 있게 되어 버섯의 보존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재배방법으로 재배할 경우 종래의 재배기간 53일간에 비하여 7일정도 단축되는 46일 재배로서 수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팽이버섯을 재배할 때 배양과정을 거치고 재배(생육)단계에 진입할 때 노화균 제거, 발이, 고르기, 생육억제, 생육단계를 구분하여 진행하면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높게 하여 생육을 억제조정하고 생육단계에서는 광(光)을 조사시켜 멜라닌색소의 생성량을 조절하여 재배하게 되므로 야생에 가까운 팽이버섯을 재배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배지에 접종 배양단계를 거치고 팽이버섯을 재배단계로 진행함에 있어서 배지표면을 긁어 노화균을 제거하는 노화균 제거단계와; 습도는 95%이상 온도는 15℃ 이산화탄소는 2,000ppm 이하인 상태에서 8~10일간 발이 하는 발이 단계와; 습도 85% 온도는 8~10℃ 이산화탄소는 2,000ppm 이하에서 4~6일간 성장을 고르게 하는 고르기 단계와; 습도 75% 온도 5~7℃ 이산화탄소 3,000 ~ 4,000ppm 상태에서 5~6일간 생육을 억제하는 생육억제 단계와; 습도 75% 온도는 4~5℃에서 1,000Lux의 광 조사 시간을 조절하여 버섯의 갓의 크기와 대의 길이를 조정하는 생육단계를 거쳐서 재배하는 팽이버섯 재배방법
KR1020060036096A 2006-04-21 2006-04-21 팽이버섯 재배방법 KR100800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096A KR100800511B1 (ko) 2006-04-21 2006-04-21 팽이버섯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096A KR100800511B1 (ko) 2006-04-21 2006-04-21 팽이버섯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093A true KR20060045093A (ko) 2006-05-16
KR100800511B1 KR100800511B1 (ko) 2008-02-04

Family

ID=3714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096A KR100800511B1 (ko) 2006-04-21 2006-04-21 팽이버섯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5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1328A (zh) * 2014-07-03 2014-09-17 抚顺清道食用菌科技有限公司 黄金金针菇的栽培方法
CN104285668A (zh) * 2014-09-10 2015-01-21 韦俊 一种提高金针菇多糖含量的栽培方法
CN105027989A (zh) * 2015-08-28 2015-11-11 抚顺清道食用菌科技有限公司 黄金金针菇的栽培方法
CN105917967A (zh) * 2016-05-30 2016-09-07 福建建宁日鑫菌业科技有限公司 一种金针菇的菌丝培养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296B1 (ko) 2022-05-02 2022-12-13 이명수 스마트팜 블럭식 자동화 버섯 재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510B1 (ko) * 2001-05-16 2004-05-03 최경환 참숯을 함유한 팽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KR100411230B1 (ko) * 2001-08-31 2003-12-18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트레할로스 함량이 높은 신규한 팽이버섯
KR100399538B1 (en) 2002-08-05 2003-09-26 Kea Yeon Cho Method for growing functional flammulina velutipes using red ginseng extract and herbal extract and culture medium composition for growing the same
KR100483333B1 (ko) 2002-09-26 2005-04-15 김천환 발효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JP2004254643A (ja) 2003-02-27 2004-09-16 Enos:Kk 生食用エノキ茸
JP2005073514A (ja) 2003-08-28 2005-03-24 Shinko Kogyo Kk エノキ茸の栽培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1328A (zh) * 2014-07-03 2014-09-17 抚顺清道食用菌科技有限公司 黄金金针菇的栽培方法
CN104285668A (zh) * 2014-09-10 2015-01-21 韦俊 一种提高金针菇多糖含量的栽培方法
CN105027989A (zh) * 2015-08-28 2015-11-11 抚顺清道食用菌科技有限公司 黄金金针菇的栽培方法
CN105917967A (zh) * 2016-05-30 2016-09-07 福建建宁日鑫菌业科技有限公司 一种金针菇的菌丝培养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511B1 (ko) 2008-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5001A (ko)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CN106818207B (zh) 一种金针菇的袋栽直生法
KR101479209B1 (ko) 표고버섯 배양물 제조방법
KR101645802B1 (ko) 톱밥배지를 이용한 버섯의 재배방법
KR101148759B1 (ko) 자실체의 모양을 균일하게 만드는 버섯의 병재배 방법
CN102150564A (zh) 一种平菇的栽培方法
KR100800511B1 (ko) 팽이버섯 재배방법
CN107047068B (zh) 设施温室香菇增产栽培方法
Chen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on synthetic logs
CN111972288A (zh) 一种百香果离体保存及增殖再生方法
KR101239711B1 (ko) 표고버섯 배양물 제조방법
CN111034599A (zh) 优质花生芽苗菜培育方法
CN106613336A (zh) 灵芝种植方法
JP2012205589A (ja) きのこの菌床栽培方法
KR20190040536A (ko) 표고버섯 및 그 재배방법
KR20100061386A (ko) 땅찌만가닥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KR100898420B1 (ko)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
KR20160087513A (ko) 새송이버섯의 재배방법 및 배지조성물
KR100737399B1 (ko) 칼슘이 강화된 기능성 표고버섯 생산방법
KR101634857B1 (ko) 목침종균을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CN112931049A (zh) 一种红托竹荪菌棒及红托竹荪的工厂化栽培方法
KR101754411B1 (ko) 동충하초술의 제조 방법
KR20160087512A (ko) 목이버섯의 재배방법 및 배지조성물
CN105409578A (zh) 一种白灵菇的栽培方法
KR101582972B1 (ko) 카사바 줄기를 이용한 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그 배지를 이용한 버섯의 재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