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838A - 윤활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윤활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838A
KR20060044838A KR1020050025440A KR20050025440A KR20060044838A KR 20060044838 A KR20060044838 A KR 20060044838A KR 1020050025440 A KR1020050025440 A KR 1020050025440A KR 20050025440 A KR20050025440 A KR 20050025440A KR 20060044838 A KR20060044838 A KR 20060044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oil
oil composition
mass
fatty acid
diphenyl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8405B1 (ko
Inventor
노리히사 호라구찌
시끼 마쯔오
히데오 고메따니
나오모또 이시까와
다쯔시 세꼬
유스케 기노시따
마사루 세또
기미히또 히또쯔마쯔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사또오도구슈세이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사또오도구슈세이유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 C10M105/56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05/58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 C10M107/2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07/3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07/3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Polyesters;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10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 C10M2207/12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2207/125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hydrocarbon chains of eight up to twenty-nine carbon atoms, i.e. fatty acids
    • C10M2207/126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hydrocarbon chains of eight up to twenty-nine carbon atoms, i.e. fatty acids monocarboxyl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3Esters of polyhydroxy compounds
    • C10M2207/2835Esters of polyhydroxy compound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2215/06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10M2215/064Di- and triaryl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3/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4Molecular weight;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8Resistance to extreme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74Noack Volatil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터 등과 같은 고온 개방계의 실제 기기 환경하에서도 고화 및 슬러지화되기 어렵고, 또한 증발 손실이 적어서 열 안정성이 높은 고온용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윤활성이 높고, 실제 기기에 이용되는 부재에 결점을 발생시키지 않는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한다. 윤활유 조성물은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 오일 및 C12 내지 C72의 지방산 및(또는) 수평균 분자량 400 이상 800 이하의 아릴알킬기를 갖는 디페닐아민 유도체를 포함한다.
증발 손실, 열 안정성, 윤활유 조성물, 윤활성,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 오일, 지방산, 디페닐아민 유도체

Description

윤활유 조성물 {Lubricating Oil Composition}
도 1은 실시예 1, 2, 9, 10 및 비교예 1, 2의 시료 오일의 증발 손실 시험 (2차 성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시료 오일의 증발 손실 시험 (2차 성능 시험)에서 각 시료 오일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 3, 4 및 6 내지 8의 증발 손실 시험 (1차 성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 5 및 11 내지 14의 시료 오일의 소다식 사구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비교예 1의 시료 오일에 침지시킨 시험편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비교예 2의 시료 오일에 침지시킨 시험편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시료 오일에 침지시킨 시험편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열 안정성 및 윤활성이 우수하고, 실제 기기에 이용되는 부재를 손상시키지 않는, 고온 환경하에서 사용하는데 바람직한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텐터(tenter) 오일 등의 체인용 윤활유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올에스테르계 오일을 기재 오일로 하는 윤활유는 고화 시간 (유동성이 손실될 때까지의 시간)이 비교적 길고 증발 손실도 적어서 열 안정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윤활유는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아미드 (PA), 폴리에틸렌 (PE) 등의 수지 필름, 직포, 부직포 또는 건재 등을 개방계에서 200℃ 전후의 고온으로 횡연신하는 텐터에 사용하기 위한 윤활유 등과 같이 고온용 윤활유로서 여러가지가 상품화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윤활유 중에는 산화 중합물이나 슬러지(sludge)가 다량으로 생성되는 경우가 있어 실용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었다. 한편, 슬러지 생성이 적은 윤활유는 고화 시간이 짧아 증발 손실이 많아져서 본래의 윤활성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기재 오일로 구성된 고온용 윤활유에 높은 윤활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윤활 첨가제인 인계, 황계 등의 화합물을 극압제 또는 마모 방지제로서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292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03086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들 종래의 첨가물을 이용한 윤활유는 실용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실제 기기의 환경하에서 이들 첨가제가 2차 생성물이 되어 급유 배관을 폐색시킨다거나 또는 이들 첨가제의 분해물에 의해 실제 기기에 사용된 실리콘 고무 등의 부재가 용출된다는 결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비닐메틸실리콘 (VMQ) 등의 실리콘계 고무의 주쇄가 개열되어 저분자량화됨으로써 연화 열화되는 것을 "용출"이라고 함).
따라서, 텐터 등과 같은 고온 개방계에서 이용하더라도 고온 안정성 및 윤활성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또한 실제 기기에 이용되는 부재에 결점을 초래하지 않는 윤활유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예를 들어 텐터 등과 같은 고온 개방계의 실제 기기 환경하에서도 고화 (산화 중합) 및 슬러지화되기 어렵고, 또한 증발 손실이 적어서 열 안정성이 높은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 안정성 뿐만 아니라 윤활성이 높고, 실제 기기에 이용되는 부재에 결점을 발생시키지 않는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고온용 윤활유 조성물은 이하의 수단 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은,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 오일을 포함하는 기재 오일 성분 및
수평균 분자량 400 이상 800 이하의 아릴알킬기를 갖는 디페닐아민 유도체
를 포함한다.
상기 윤활유 조성물에는 수평균 분자량 400 이상 800 이하의 아릴알킬기를 갖는 디페닐아민 유도체가 첨가되어 있기 때문에 윤활유 조성물의 증발 손실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 중 상기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함유량은 2 질량% 이상 8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 중 상기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함유량은 3 질량% 이상 7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 중 상기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함유량은 약 6 질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양이 8 질량%를 초과해도 증발 손실은 일정하며 그 이상의 효과가 달성되지는 않는다. 또한,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그 자체의 과포화에 의해 고화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어서 바람직하지도 않다. 따라서,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양은 8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7 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함유량이 윤활유 조성물 전량에 대해 2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증발 손실을 억제하는 효과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양은 2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양은 윤활유 조성물의 증발 손실 및 고화라는 측면에서 약 6 질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 오일은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네오펜틸글리콜을 알콜 성분으로 하는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에서 상기 디페닐아민 유도체는 4,4-비스(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의 기재 오일 성분은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 오일 및 C12 내지 C72의 지방산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지방산은 선형 지방산일 수도 있고 분지형 지방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상기 윤활유 조성물에 C12 내지 C72의 지방산을 기재 오일 성분의 하나로서 사용하면,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실제 기기에 사용된 부재를 용출시키는 첨가제를 이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윤활성 (내하중성)이 부여된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 중 상기 지방산의 함유량은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 중 상기 지방산의 함유량은 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 중 상기 지방산의 함유량은 약 2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유 조성물 중 지방산의 함유량이 10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윤활유 조성물의 내열성이 손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충분한 내하중값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윤활유 조성물 중 지방산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유 조성물의 내열성과 내하중성을 고려할 때, 윤활유 조성물 중 지방산의 함유량은 약 2 질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 오일은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네오펜틸글리콜을 알콜 성분으로 하는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에서 상기 지방산은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에서 상기 지방산은 포화 지방산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은,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 오일 및 C12 내지 C72의 지방산을 포함하는 기재 오일 성분 및 수평균 분자량 400 이상 800 이하의 아릴알킬기를 갖는 디페닐아민 유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윤활유 조성물이 C12 내지 C72의 지방산 및 수평균 분자량 400 이상 800 이하의 아릴알킬기를 갖는 디페닐아민 유도체를 함께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증발 손실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실제 기기에 사용된 부재를 용출시키는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윤활성 (내하중성)이 부여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 기기 환경하에서 고화 및 슬러지화되기 어렵고, 또한 증발 손실이 적어서 열 안정성이 높은 윤활유 조성물이 수득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윤활성이 높고, 실제 기기에 이용되는 부재에 결점을 발생시키지 않는 윤활유 조성물이 수득된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은, 특히 개방계에서 200℃ 전후의 고온으로 수지 필름, 직포, 부직포 또는 건재 등을 횡연신하는 텐터에 사용하기 위한 윤활유 등과 같이 고온 개방계에서 이용되는 윤활유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텐터용 윤활유 이외에도, 체인용 오일, 제트 엔진 오일, 가스 터빈 오일, 압축기 오일, 유압 작동 오일, 기어 오일, 베어링 오일, 그리스 기재 오일 등의 윤활유로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고온용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실시양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에 사용되는 기재 오일로는 고화되기 어렵고 증발 손실이 적어서 고열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측면에서 폴리올에스테르계 오일이 사용된다. 윤활유 조성물 중 폴리올에스테르계 오일의 함유량은 윤활유 조성물의 전량에 대해 85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에스테르계 오일의 양이 95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산화 방지제, 윤활 첨가제의 처방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증발 손실량이 많아져서 내하중값이 저하된다. 또한, 폴리올에스 테르계 오일의 함유량이 윤활유 조성물의 전량에 대해 85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산화 방지제가 과포화가 되어 고화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폴리올에스테르계 오일의 함유량은 85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올에스테르계 오일로는 고온용 윤활유의 기재 오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알콜 성분이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네오펜틸글리콜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올에스테르계 오일의 산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윤활유의 점도가 소정의 범위가 되도록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수 6 내지 10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등이 사용된다. 이 중에서도 분지형 지방산이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옥탄산, 데칸산, 트리멜리트산 및 이소노난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 중에서도 점도의 측면에서 이소노난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 중의 디페닐아민 유도체는 산화 방지제로서 사용되며, 윤활유 조성물의 증발 손실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윤활유 조성물 중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함유량은 윤활유 조성물의 전량에 대해 2 질량% 이상 8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양이 8 질량%를 초과해도 증발 손실은 일정하며 그 이상의 효과가 달성되지는 않는다. 또한,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그 자체의 과포화에 의해 고화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어서 바람직하지도 않다. 또한,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함유량이 윤활유 조성물 전량에 대해 2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증발 손실을 억제하는 효과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바 람직하지 않다.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함유량은 3 질량% 이상 7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약 6 질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디페닐아민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5016245816-PA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수평균 분자량 (Mn)이 400 이상 800 이하인 아릴알킬을 나타낸다. R1 및 R2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메틸벤질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및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한 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디페닐아민 유도체는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4,4-비스(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이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112005016245816-PAT00002
지방산은 윤활유 조성물의 윤활성 (내하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 오일과 함께 기재 오일 성분으로서 사용된다.
윤활유 조성물 중 지방산의 함유량은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의 함유량이 10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윤활유 조성물의 내열성이 손상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윤활유 조성물 중의 지방산 함유량의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충분한 내하중값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1 질량% 이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으로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C12 내지 C72의 지방산이 사용된다:
Figure 112005016245816-PA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C11 내지 C71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상기 탄화수소기는 포화 상태일 수도 있고 불포화 상태일 수도 있다. 포화 지방산의 대표적인 예로는 라우르산 (C12), 미리스트산 (C14), 팔미트산 (C16) 및 스테아르산 (C18) 등을 들 수 있고, 불포화 지방산의 대표적인 예로는 올레산 및 리노르산 (둘다 C18)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방산이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방산은 치환기를 갖고 있을 수도 있고 또는 비치환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지방산은 상기에서 설명한 각종 지방산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뿐만 아니라 그 성능을 향상시키기위해 통상의 윤활유 조성물에 사용되는 산화 방지제, 유성제·마찰 조정제, 마모 방지제·극압제, 금속계 청정제, 점도 지수 향상제, 유동점 강하제, 금속 불활성화제, 금속 부식 방지제, 방청제, 소포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적절하게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설명한 각 성분을 통상의 가열 교반기를 이용하여 혼합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원의 각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의 윤활유 조성물 시료 오일을 준비하였다. 표에서는 각 성분의 양을 질량%로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시료 오일은 시판되고 있는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기재 오일 (에스테르) 지방족 에스테르 90 지방족 에스테르 92 94 60
산 성분 이소노난산 (분지형) 지방산 (C6-10)
알콜 성분 디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기재 오일 (에스테르 이외) 지방산 (C12-72) 2
윤활 첨가제 인계 A 2 인계 A 2 인계 B 2
열·화학적 안정화제
아민계 4,4-비스(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 6 4,4-비스(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 6 아민계 A 4 아민계 A + 아민계 B 4
기타 디옥틸나프탈렌 15
불명확 21
실시예 3 및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4,4-비스(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의 함유량을 3 질량%, 1 질량%로 변경하고 다른 성분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용하여, 이들을 각각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윤활유 조성물 시료 오일로 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의 지방산을 0 질량% (함유하지 않음)로 변경하고 다른 성분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용하여, 이를 실시예 5의 윤활유 조성물 시료 오일로 하였다.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11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의 윤활유 조성물 시료 오일을 준비하였다. 표에서는 각 성분의 양은 질량%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기재 오일 (폴리올 에스테르) 지방족 에스테르 98 지방족 에스테르 93 지방족 에스테르 92 지방족 에스테르 92 지방족 에스테르 94
산 성분 이소노난산 이소노난산 이소노난산 이소노난산 이소노난산
알콜 성분 디펜타 에리트리톨 디펜타 에리트리톨 디펜타 에리트리톨 디펜타 에리트리톨 디펜타 에리트리톨
기재 오일 (에스테르 이외) 지방산 (C12-72) 0 지방산 (C12-72) 0 지방산 (C12-72) 0 지방산 (C12-72) 2 지방산 (C12-72) 0
윤활 첨가제 인계 A 0 인계 A 0 인계 A 0 인계 A 0 인계 A 0
열·화학적 안정화제 4,4-비스 (디메틸벤질) 디페닐아민 2 4,4-비스 (디메틸벤질) 디페닐아민 7 4,4-비스 (디메틸벤질) 디페닐아민 8 4,4-비스 (디메틸벤질) 디페닐아민 6 4,4-비스 (디메틸벤질) 디페닐아민 6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4
하기 표 3에 나타낸 조성의 윤활유 조성물 시료 오일을 준비하였다. 표에서는 각 성분의 양을 질량%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기재 오일 (폴리올 에스테르) 지방족 에스테르 97 지방족 에스테르 88 지방족 에스테르 100 지방족 에스테르 92
산 성분 이소노난산 이소노난산 이소노난산 이소노난산
알콜 성분 디펜타 에리트리톨 디펜타 에리트리톨 디펜타 에리트리톨 디펜타 에리트리톨
윤활 첨가제 인계 A 2 인계 A 2 인계 A 0 인계 A 0
기재 오일 (에스테르 이외) 지방산 (C12-72) 1 지방산 (C12-72) 10 지방산 (C12-72) 0 지방산 (C12-72) 2
열·화학적 안정화제 4,4-비스 (디메틸벤질) 디페닐아민 0 4,4-비스 (디메틸벤질) 디페닐아민 0 4,4-비스 (디메틸벤질) 디페닐아민 0 4,4-비스 (디메틸벤질) 디페닐아민 6
증발 손실률 시험, 2차 성능 시험
용량 10 cc의 내열 유리 비커에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9, 실시예 10 및 비교예 1, 2의 각각의 시료 오일 약 5 g 및 철분 (JIS SCM440) 2.5 g을 첨가하여 200℃의 오븐 내에서 720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증발 손실률의 변화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700 시간 후에 각 시료 오일의 상태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에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시료 오일은 700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고화되지 않고 유동성이 있었고,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시료 오일에 비해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윤활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실시예 9, 윤활 첨가제 및 지방산을 첨가하지 않은 실시예 10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600 시간).
증발 손실률 시험, 1차 성능 시험
용량 10 cc의 내열 유리 비커에 실시예 1,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6, 실시예 7 및 실시예 8의 각각의 시료 오일 약 5 g을 첨가하고, 200℃의 오븐 내에 정치시켜 400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증발 손실률의 변화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결과에서 실시예 1, 실시예 3, 실시예 4 및 실시예 6 모두 내열성이 우수하지만, 4,4-비스(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 6 질량%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시료 오일이 내열성이 가장 우수하고, 그 다음으로는 이와 근소한 차이로 4,4-비스(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 3 질량%를 포함하는 실시예 3의 시료 오일이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7, 8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소다식 사구 시험
실시예 1, 실시예 5,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및 실시예 14의 시료 오일에 대해 소다식 사구 시험기(Soda four-ball machine)를 이용하여 회전수 200 rpm, 하중 0.5 kg/분 스텝업으로 시험을 행하고, 마찰 계수가 변하는 점 (오일 막이 매우 얇아져 금속 접촉 거동을 일으키는 점)을 측정하여 내하중값으로 하였다.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의 결과로부터, 지방산을 함유하는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의 시료 오일은 지방산을 함유하지 않는 실시예 5의 시료 오일에 비해 내하중량이 크고 윤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방산 2 질량%를 함유하는 실시예 1의 시료 오일은 지방산을 함유하지 않는 실시예 5의 시료 오일에 비해 내하중량이 약 3배 향상되었다. 또한, 윤활 첨가제 인계 A를 첨가하지 않은 실시예 13, 14에서도 실시예 1의 윤활성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침지 시험
비닐메틸실리콘 (VMQ) 고무를 포함하는 시험편을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각각의 시료 오일에 침지하여 185℃에서 정치시켰다. 168 시간 후에 시험편을 추출하여 시험편의 용출 유무를 관찰하였다. 비교예 1의 시료 오일에서의 침지 시험 후의 시험편 상태를 도 5에 나타내었고, 비교예 2의 시료 오일에서의 침지 시험 후의 시험편 상태를 도 6에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의 시료 오일에서의 침지 시험 후의 시험편 상태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시험편에서는 용출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시험편에서는 용출이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온용 윤활유 조성물은 텐터 등과 같은 고온 개방계의 실제 기기 환경하에서도 고화 및 슬러지화되기 어렵고, 또한 증발 손실이 적어서 열 안정성이 높을 뿐만이 아니라 윤활성이 높고, 실제 기기에 이용되는 부재에 결점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Claims (14)

  1.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 오일을 포함하는 기재 오일 성분 및
    수평균 분자량 400 이상 800 이하의 아릴알킬기를 갖는 디페닐아민 유도체
    를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함유량이 2 질량% 이상 8 질량% 이하인 윤활유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함유량이 3 질량% 이상 7 질량% 이하인 윤활유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페닐아민 유도체의 함유량이 약 6 질량%인 윤활유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 오일이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네오펜틸글리콜을 알콜 성분으로 하는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페닐아민 유도체가 4,4-비스(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 인 윤활유 조성물.
  7.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 오일 및 C12 내지 C72의 지방산을 포함하는 기재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의 함유량이 10 질량% 이하인 윤활유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인 윤활유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의 함유량이 약 2 질량%인 윤활유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 오일이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네오펜틸글리콜을 알콜 성분으로 하는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
  14.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 오일 및 C12 내지 C72의 지방산을 포함하는 기재 오일 성분 및
    수평균 분자량 400 이상 800 이하의 아릴알킬기를 갖는 디페닐아민 유도체
    를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
KR1020050025440A 2004-03-31 2005-03-28 윤활유 조성물 KR100688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08105 2004-03-31
JP2004108105 2004-03-31
JPJP-P-2005-00035276 2005-02-10
JP2005035276A JP4310286B2 (ja) 2004-03-31 2005-02-10 潤滑油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838A true KR20060044838A (ko) 2006-05-16
KR100688405B1 KR100688405B1 (ko) 2007-03-02

Family

ID=35034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440A KR100688405B1 (ko) 2004-03-31 2005-03-28 윤활유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25850B2 (ko)
JP (1) JP4310286B2 (ko)
KR (1) KR100688405B1 (ko)
CN (1) CN1676588B (ko)
DE (1) DE102005013572B8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31216B (zh) * 2005-12-16 2013-08-07 Hatco公司 用于高温合成润滑剂的添加剂包
KR20080094958A (ko) * 2006-02-21 2008-10-27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이 윤활유 조성물
EP2055763A1 (en) * 2007-10-23 2009-05-06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Lubricating oil composition
CN101508933B (zh) * 2009-03-18 2011-12-28 淄博吉孚消防科技有限公司 高分子聚合物润滑油分散助剂及其制备方法
WO2010140343A1 (ja) 2009-06-01 2010-12-09 三井化学株式会社 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太陽電池封止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232755B2 (ja) * 2009-10-23 2013-07-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鍛造成型加工用潤滑油組成物および鍛造成型装置
JP5623765B2 (ja) 2010-03-19 2014-11-12 出光興産株式会社 高温用潤滑油組成物
CN105907376B (zh) * 2010-12-20 2019-12-13 日立江森自控空调有限公司 冷冻空调用压缩机及冷冻空调装置
WO2014142157A1 (ja) 2013-03-14 2014-09-18 出光興産株式会社 高温用潤滑油組成物
CN104250419B (zh) * 2013-06-28 2016-06-2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分散剂组合物及其应用
JP2016210843A (ja) 2015-04-30 2016-12-15 協同油脂株式会社 流体動圧軸受用潤滑油及び該潤滑油を備えたスピンドルモータ
WO2019189834A1 (ja) 2018-03-30 2019-10-03 出光興産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2056A (en) 1966-04-07 1969-06-24 Uniroyal Inc Substituted diphenylamines
US4440657A (en) 1982-09-01 1984-04-03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 Synthetic ester lubricating oil composition containing particular t-butylphenyl substituted phosphates and stabilized hydrolytically with particular long chain alkyl amines
JPH0459894A (ja) * 1990-06-29 1992-02-26 Nippon Oil Co Ltd 潤滑油組成物
US5464549A (en) * 1991-12-12 1995-11-07 Ethyl Corporation Oil soluble dispersants suitable for use in fuels and lubricants
US5358652A (en) * 1992-10-26 1994-10-25 Ethyl Petroleum Additives, Limited Inhibiting hydrolytic degradation of hydrolyzable oleaginous fluids
JPH07305079A (ja) 1994-05-12 1995-11-21 Lion Corp 潤滑油
BR9504838A (pt) * 1994-11-15 1997-10-07 Lubrizol Corp Ester de poliol composição de óleo lubrificante
JP3370829B2 (ja) 1995-04-21 2003-0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潤滑グリース組成物
DE19613562A1 (de) * 1996-04-04 1997-10-09 Hoechst Trespaphan Gmbh Spannkluppe mit Rollenlagerung
US5726135A (en) * 1996-12-11 1998-03-10 Khorramian; Behrooz A. Phosphorus-free and ashless oil for aircraft and turbo engine application
US5895778A (en) 1997-08-25 1999-04-20 Hatco Corporation Poly(neopentyl polyol) ester based coolants and improved additive package
JP3997627B2 (ja) 1998-10-26 2007-10-24 新日本理化株式会社 チェーン用潤滑油組成物
JP2001049281A (ja) * 1999-08-16 2001-02-20 Oouchi Shinko Kagaku Kogyo Kk 熱及び酸化に対して安定な潤滑剤組成物
JP4456708B2 (ja) * 1999-12-28 2010-04-28 出光興産株式会社 環状有機リン化合物を含有する潤滑油組成物
JP2001303086A (ja) 2000-04-18 2001-10-31 Chevron Oronite Ltd 潤滑油組成物および添加剤組成物
US20050070449A1 (en) * 2003-09-30 2005-03-31 Roby Stephen H. Engine oil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14650A (ja) 2005-11-10
DE102005013572B4 (de) 2009-08-06
DE102005013572B8 (de) 2009-12-17
DE102005013572A1 (de) 2005-10-20
US20050222000A1 (en) 2005-10-06
CN1676588A (zh) 2005-10-05
JP4310286B2 (ja) 2009-08-05
CN1676588B (zh) 2012-06-13
US7625850B2 (en) 2009-12-01
KR100688405B1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405B1 (ko) 윤활유 조성물
EP2177595B1 (en) Lubricating composition with good oxidative stability and reduced deposit formation
US3914179A (en) Synthetic lubricants for aero gas turbines
KR101931511B1 (ko) 식품 산업용 고온 윤활제
JP5638256B2 (ja) 潤滑油組成物
US5047159A (en) Lubricant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anti-deposition properties comprising a polyalkylene oxide-modified silicone oil
JPS61213296A (ja) 金属材料の冷間圧延用潤滑油
EP2554646B1 (en) Biodegradable lubricating oil composition having flame retardancy
KR930010533B1 (ko) 철재류 냉간압연유
WO2011058777A1 (ja) 難燃性油圧作動油組成物
CN107699322A (zh) 一种饱和多元醇酯型高温链条油及其制备方法
US7601677B2 (en) Triglyceride based lubricant
JP2008274190A (ja) ギヤ油組成物
JP5445767B2 (ja) 高温用潤滑油組成物
US4122021A (en) Antioxidant stabilized lubricating oils
EP0103884A2 (en) Synthetic transmission lubricant composition
JP4783026B2 (ja) アルミニウム管抽伸潤滑油及びアルミニウム管の抽伸方法
JP7181778B2 (ja) 難燃性油圧作動油
KR940011835B1 (ko) 윤활성 및 밀크린성을 겸비한 박판냉간압연유
JP5130072B2 (ja) 難燃性ギヤ油組成物
EP3778833B1 (en) Lubricant composition
EP2121880A2 (en) Vegetable oil lubricating composition
KR20070087870A (ko) 환경친화성, 난연성 유압작동유 조성물
JPH0379699A (ja) 潤滑性能改善シリコーン系流体組成物及びシリコーン系流体の潤滑性能を改善する方法
JP2023135126A (ja) 高温用潤滑油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