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813A -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813A
KR20060043813A KR1020050019934A KR20050019934A KR20060043813A KR 20060043813 A KR20060043813 A KR 20060043813A KR 1020050019934 A KR1020050019934 A KR 1020050019934A KR 20050019934 A KR20050019934 A KR 20050019934A KR 20060043813 A KR20060043813 A KR 20060043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communication
state
transmiss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7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91Housing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애플리케이션 처리부(15)는, 송신해야 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의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작성하고, 통신 매체 처리부(16)는 통신 매체의 종별을 나타내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를 기억하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와, 통신 매체 처리부(16)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조정하고,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는 통신 조정 처리부(12)에 의해서 조정되는 타이밍에 따라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COMMUNICATION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통신 신뢰성이 낮은 통신 매체 및 통신 매체 처리부를 사용하여 개별·응답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통신 조정 처리부에서 실행하는 통신 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통신 신뢰성이 높은 통신 매체 및 통신 매체 처리부를 사용하여 개별·응답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통신 조정 처리부에서 실행하는 통신 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통신 신뢰성이 낮은 통신 매체 및 통신 매체 처리부를 사용하여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통신 조정 처리부에서 실행하는 통신 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통신 신뢰성이 높은 통신 매체 및 통신 매체 처리부를 사용하여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통신 조정 처리부에서 실행하는 통신 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통신 신뢰성이 낮은 통신 매체 및 통신 매체 처리부를 사용하여 동보(同報)·응답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통신 조정 처리부에서 실행하는 통신 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통신 신뢰성이 높은 통신 매체 및 통신 매체 처리부를 사용하여 동보·응답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통신 조정 처리부에서 실행하는 통신 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통신 신뢰성이 낮은 통신 매체 및 통신 매체 처리부를 사용하여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통신 조정 처리부에서 실행하는 통신 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통신 신뢰성이 높은 통신 매체 및 통신 매체 처리부를 사용하여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통신 조정 처리부에서 실행하는 통신 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통신 조정 처리부가 구비하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통신 장치와 복수의 통신 매체를 접속하는 경우에서의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통신 장치 12 : 통신 조정 처리부
13 : 데이터 수신 처리부 14 : 데이터 송신 처리부
15 : 애플리케이션 처리부 16 : 통신 매체 처리부
17 : 통신 매체 101 : 통신 데이터 테이블
161 : 종별·버전 정보 기억부
본 발명은, 통신 기능을 가지는 통신 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회선에 접속하고 있고, 마찬가지로 통신회선에 접속하고 있는 그 밖의 통신 장치와 통신을 할 때, 시퀀스 관리를 함으로써 1:1의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부하 레벨에 따라 물리회선 상에의 데이터 송신 간격을 조절하여, 교신 처리를 원활하게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관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 통신 관리 장치에서는, 송신의 일제정지 또는 일제재개와 같은 급격한 제어를 하는 일없이, 부하에 따른 원활한 제어를 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 및 회선 버퍼에 대한 부하를 경감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06-62081호 공보
여기서, 통신속도가 저속이며, 또한, 통신 신뢰성이 낮은 통신 매체를 사용 한 경우에도, 실시간성을 보장하고, 또한, 시스템으로서 통신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술의 통신 관리 장치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접속되는 통신 매체의 통신 신뢰성이, 반드시 확보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는,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로서, 송신해야 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상기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의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작성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 작성 수단과, 상기 통신 매체의 종별을 나타내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를 기억하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종별 정보와, 상기 종별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조정하는 통신 조정 처리 수단과,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에 의해 조정되는 타이밍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수단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해야 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의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작성된다. 그리고,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와, 종별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매체의 종별을 나타내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조정되고, 조정되는 타이밍에 따라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다.
따라서,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의 필요 여부와, 통신 매체의 종별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조정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복수의 통신 장치의 통신을 가상적으로 1:1로 해서, 통신 매체 상의 다른 데이터에 충돌함으로써 송신 데이터가 소실하는 것이 적어져,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는, 송신해야 할 송신 데이터가, 특정 송신처를 개별적으로 지정하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에 의한 응답을 요구하는 개별·응답요 데이터, 특정 송신처를 개별적으로 지정하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에 의한 응답을 요구하지 않는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 송신처를 특정하지 않고 동보(同報)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에 의한 응답을 요구하는 동보·응답요 데이터, 또는 송신처를 특정하지 않고 동보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에 의한 응답을 요구하지 않는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종별 정보와,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요구 데이터에는, 송신해야 할 송신 데이터가, 특정 송신처를 개별적으로 지정하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에 의한 응답을 요구하는 개별·응답요 데이터, 특정 송신처를 개별적으로 지정하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에 의한 응답을 요구하지 않는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 송신처를 특정하지 않고 동보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에 의한 응답을 요구하는 동보·응답요 데이터, 또는 송신처를 특정하지 않고 동보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에 의한 응답을 요구하지 않는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와,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조정된다.
따라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요 데이터,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 동보·응답요 데이터 및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 중의 어느 하나를 확인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데이터의 송신처 및 응답의 필요 여부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통신 데이터 테이블을 더 구비하되,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마다 송신 상태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고,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종별 정보와,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와,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송신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요구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통신 데이터 테이블은, 송신 요구 데이터마다 송신 상태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와,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와,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상태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조정된다.
따라서, 데이터 종별 정보 및 통신 매체 종별 정보뿐만 아니라,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도 고려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조정되기 때문에, 통신의 신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 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기억되고, 또한, 송신 상태가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확인된다. 여기서,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닐 때,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통신 매체 상에 다른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은,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통신 매체의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 후에 다시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또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인 것은 있지만, 상기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가,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와 모두 다른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데이터 송신 수단은,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통신 매체의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 후에 다시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기억되고, 또한, 송신 상태가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닐 때, 또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인 것은 있지만,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가,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와 모두 다를 때,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데이터 송신 수단이 데이터의 충돌을 피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데 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응답 데이터의 송신원이 서로 다른 때에 데이터가 송신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송신 완료 상태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기억되고, 또한, 송신 상태가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닐 때,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송신 완료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닐 때,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통신 매체 상에 다른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은,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통신 매체의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 후에 다시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또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인 것은 있지만, 상기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가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와 모두 다른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송신 완료 상태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데이터 송신 수단은,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통신 매체의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 경로 상 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 후에 다시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기억되고, 또한, 송신 상태가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닐 때, 또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인 것은 있지만,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가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와 모두 다를 때,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송신 완료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데이터 송신 수단이 데이터의 충돌을 피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응답 데이터의 송신원이 서로 다른 때에 데이터가 송신되어,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기억되고, 또한, 송신 상태가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닐 때,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통신 매체 상에 다른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은,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통신 매체의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 후에 다시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 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또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인 것은 있지만, 상기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종류가 모두 동보인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데이터 송신 수단은,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통신 매체의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 후에 다시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기억되고, 또한, 송신 상태가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확인된다. 여기서,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또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인 것은 있지만,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종류가 모두 동보인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된다.
동보 송신의 경우, 불특정의 다른 통신 장치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응답 데이터가 회신된다고는 한정되지 않고, 이미 모든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응답 데이터가 회신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동보 송신의 경우, 응답 데이터의 수신을 기다리지 않고 송신 데이터를 송신했다고 해도, 송신 데이터와 응답 데이터가 충돌할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데이터 송신 수단이 데이터의 충돌을 피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종류가 모두 동보일 때 데이터가 송신되어,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송신 완료 상태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 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기억되고, 또한, 송신 상태가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송신 완료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닐 때,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통신 매체 상에 다른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은,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통신 매체의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 후에 다시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또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인 것은 있지만, 상기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종류가 모두 동보인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송신 완료 상태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데이터 송신 수단은,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통신 매체의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 후에 다시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기억되고, 또한, 송신 상태가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또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인 것은 있지만,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종류가 모두 동보인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송신 완료 상태로 변경된다.
동보 송신의 경우, 불특정의 다른 통신 장치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응답 데이터가 회신된다고는 한정되지 않고, 이미 모든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응답 데이터가 회신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동보 송신의 경우, 응답 데이터의 수신을 기다리지 않고 송신 데이터를 송신했다고 해도, 송신 데이터와 응답 데이터가 충돌할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데이터 송신 수단이 데이터의 충돌을 피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종류가 모두 동보일 때 데이터가 송신되어,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요 데이터 또는 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에 의해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된 후, 송신된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응하는 송신 상태를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하고,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하더라도 응답이 없는 경우, 송신 상태를 타임아웃 상태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기억되고, 또한, 송신 상태가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요 데이터 또는 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된 후, 송신된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응하는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된다.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하더라도 응답이 없는 경우, 송신 상태가 타임아웃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하더라도 응답이 없 는 경우, 응답을 계속해서 대기하는 것은 아니고,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 때문에, 응답이 없는 경우라도 처리를 멈추는 일없이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을,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이,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따라 설정되기 때문에, 통신 매체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속도에 따라서,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통신 매체의 송신 속도가 빠른 경우, 소정 시간을 짧게 설정하는 것으로 통신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통신 매체의 송신 속도가 느린 경우, 소정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으로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을,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이, 송신 요구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에 따라 설정되기 때문에, 통신 매체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필요한 시간에 따라서,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송신 요구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짧은 경우, 송신에 필요한 시간은 줄어들기 때문에, 소정 시간을 짧게 설정하는 것으로 통신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송신 요구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긴 경우, 송신에 필요한 시간은 길어지기 때문에, 소정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으로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을, 상기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이,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에 따라 설정되기 때문에, 통신 매체가 응답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필요한 시간에 따라서,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응답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짧은 경우, 송신에 필요한 시간은 줄어들기 때문에, 소정 시간을 짧게 설정하는 것으로 통신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응답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긴 경우, 송신에 필요한 시간은 길어지기 때문에, 소정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으로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는, 각각 규격이 다른 복수의 상기 통신 매체 중에서, 사용할 통신 매체를 특정하기 위한 통신 매체 특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통신 매체 특정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 매체를 특정하며,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은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에 의해 특정된 통신 매체를 사용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 요구 데이터에는, 각각 규격이 다른 복수의 통신 매체 중에서, 사용할 통신 매체를 특정하기 위한 통신 매체 특정 정보가 포함되고,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통신 매체 특정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 매체가 특정되며, 특정된 통신 매체를 사용하여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 매체를 전환하여 사용함으로써, 각각 규격이 다른 복수의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은,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방법으로서, 송신해야 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상기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의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작성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 작성 단계와, 상기 통신 매체의 종별을 나타내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를 기억하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단계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 작성 단계에서 작성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종별 정보와,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단계에서 기억된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조정하는 통신 조정 처리 단계와, 상기 통신 조정 처리 단계에서 조정되는 타이밍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해야 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의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작성된다. 그리고,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와, 종별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매체의 종별을 나타내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조정되고, 조정되는 타이밍에 따라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다.
따라서,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의 필요 여부와, 통신 매체의 종별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조정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복수의 통신 장치의 통신을 가상적으로 1:1로 해서, 통신 매체 상의 다른 데이터에 충돌함으로써 송신 데이터가 소실하는 것이 적어져,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송신해야 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상기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의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작성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 작성 수단과, 상기 통신 매체의 종별을 나타내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를 기억하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종별 정보와,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조정하는 통신 조정 처리 수단과,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에 의해 조정되는 타이밍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하게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신해야 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의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작성된다. 그리고,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와, 종별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매체의 종별을 나타내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조정되고, 조정되는 타이밍에 따라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다.
따라서,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의 필요 여부와, 통신 매체의 종별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조정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복수의 통신 장치의 통신을 가상적으로 1:1로 해서, 통신 매체 상의 다른 데이터에 충돌함으로써 송신 데이터가 소실하는 것이 적어져,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장치의 내부에 통신을 조정하는 기능을 갖게 하여, 시스템 내의 트래픽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내에서의 통신을 m:n에서 가상적으로 1:1의 통신으로 하는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그리고, 송신 요구가 있었던 데이터의 종류, 송신 요구가 있었던 데이터의 상태를 통신 장치가 관리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때마다 송신 가능한 것을 확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 다. 통신 장치(11)는 통신 매체(17)를 통해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통신 매체(17)에 접속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고 있다. 통신 매체(17)는, 유선 또는 무선이며, 예컨대, 전등선, 특정 소전력 무선 및 블루투스(blue tooth) 등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통신 장치(11)는 통신 조정 처리부(12), 데이터 수신 처리부(13), 데이터 송신 처리부(14), 애플리케이션 처리부(15) 및 통신 매체 처리부(1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통신 매체 처리부(16)는, 통신 매체(17)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 데이터를 통신 매체(17)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통신 매체 처리부(16)는, 통신 매체(17)의 종별을 나타내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와, 통신 매체 처리부(16)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를 기억하는 종별·버전 정보 기억부(161)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 매체 처리부(16)는, 후술하는 통신 조정 처리부(12)로부터 통신 매체(17)의 종별과 통신 매체 처리부(16)의 버전의 취득을 요구하는 종별·버전 정보 취득 요구를 수취하면, 통신 매체 종별 정보 및 버전 정보를 통신 조정 처리부(12)에 응답한다.
애플리케이션 처리부(15)는, 송신해야 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의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작성한다. 애플리케이션 처리부(15)는 작성한 송신 요구 데이터를 특정 타이밍에서 후술하는 통신 조정 처리부(12)로 출력한다. 송신 요구 데이터에는, 특정 송신처를 개별적으로 지정하고, 데이터의 송신처에 대하여 응답을 요구하는 「개별·응답요 데이터」, 특정 송신처를 개별적으로 지정하고, 데이터의 송신처에 대하여 응답을 요구하지 않는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 송신처를 특정하지 않고 동보(同報)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데이터의 송신처에 대하여 응답을 요구하는 「동보·응답요 데이터」, 또는, 송신처를 특정하지 않고 동보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데이터의 송신처에 대하여 응답을 요구하지 않는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포함된다.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는, 후술하는 통신 조정 처리부(12)로부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고,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한 송신 데이터를 구성하여, 통신 매체 처리부(16)로 출력한다. 데이터 수신 처리부(13)는, 통신 매체 처리부(16)로부터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면, 후술하는 통신 조정 처리부(12)로 데이터를 출력한다.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매체 처리부(16)에 대하여, 통신 장치(11)가 접속하는 통신 매체(17)의 통신 매체 종별 정보와 통신 매체 처리부(16)의 버전 정보를 요구한다.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매체 처리부(16)로부터 통신 매체 종별 정보와 버전 정보를 수취하고, 통신 매체(17)의 종별 및 통신 매체 처리부(16)의 버전에 적합한 후술하는 통신 조정 방식을 선택하며,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송신 요구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하는 타이밍을 조정한다. 또한,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애플리케이션 처리부(15)로부터 수취한 송신 요구 데이터를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로 전개하여 기억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부(15)가 송신 요구 데이터 작성 수단의 일례에 상당하고, 데이터 송신 처리부(14) 및 통신 매체 처리부(16)가 데이터 송신 수단의 일례에 상당하며, 통신 조정 처리부(12)가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의 일 례에 상당하고, 종별·버전 정보 기억부(161)가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수단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10은 통신 데이터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은 번호(101a), 송신 순서(101b), 송신 상태(101c) 및 송신 요구 데이터(101d)로 구성된다. 번호(101a)는 통신 조정 처리부(12)에 입력된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송신 순서(101b)는 송신하는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송신 상태(101c)는 송신 요구 데이터의 현재의 송신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송신 요구 데이터(101d)는 애플리케이션 처리부(15)로부터 입력된 송신 요구 데이터이며, 송신처 및 데이터 종별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통신 장치(11)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에는, 특정 송신처를 개별적으로 지정하고, 데이터의 송신처에 대하여 응답을 요구하는 「개별·응답요 데이터」, 특정 송신처를 개별적으로 지정하고, 데이터의 송신처에 대하여 응답을 요구하지 않는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 송신처를 특정하지 않고 동보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데이터의 송신처에 대하여 응답을 요구하는 「동보·응답요 데이터」, 및 송신처를 특정하지 않고 동보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데이터의 송신처에 대하여 응답을 요구하지 않는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의 4종류가 있다. 송신 요구 데이터에는 이들 데이터를 구별하기 위한 데이터 종별 정보가 포함된다. 즉, 데이터 종별 정보는, 송신 데이터가 「개별·응답요 데이터」,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 「동보·응답요 데이터」 및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 중의 어느 하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기억되어 있는 송신 요구 데이터에 「송신 대기 상태」, 「응답 대기 상태」, 「타임아웃 상태」, 「응답 수신 완료 상태」, 및 「송신 완료 상태」의 5개의 상태를 송신 상태로서 설정한다. 「송신 대기 상태」란, 통신 조정 처리부(12)의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송신 요구 데이터가 기억되고, 데이터 송신 처리부(14)에 출력하는 것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이다. 「응답 대기 상태」란, 데이터 송신 처리부(14)에 송신 요구 데이터를 출력하고, 데이터 수신 처리부(13)에 의해서 수신되는 응답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이다. 「타임아웃 상태」란, 데이터 송신 처리부(14)에 송신 요구 데이터를 출력한 후, 소정 시간 경과하더라도 응답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상태이다. 「응답 수신 완료 상태」란, 데이터 수신 처리부(13)로부터 응답 데이터가 입력된 상태이다. 「송신 완료 상태」란, 송신처로부터의 응답이 불필요한 경우에, 데이터 송신 처리부(14)에 송신 요구 데이터를 출력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기억되고, 또한, 송신 상태가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요 데이터 또는 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된 후, 송신된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응하는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된다.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하더라도 응답이 없는 경우, 송신 상태가 타임아웃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응답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하더라도 응답이 없 는 경우, 응답을 계속해서 대기하는 것은 아니고,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 때문에, 응답이 없는 경우라도 처리를 멈추는 일없이 계속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은 미리 결정된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특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종별·버전 정보 기억부(161)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매체(17)의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따라 설정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이, 종별·버전 정보 기억부(161)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따라 설정되기 때문에, 통신 매체(17)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속도에 따라서,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통신 매체(17)의 송신 속도가 빠른 경우, 소정 시간을 짧게 설정하는 것으로 통신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통신 매체(17)의 송신 속도가 느린 경우, 소정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으로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송신 요구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에 따라 설정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이, 송신 요구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에 따라 설정되기 때문에, 통신 매체(17)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필요한 시간에 따라서,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송신 요구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짧은 경우, 송신에 필요한 시간은 줄어들기 때문에, 소정 시간을 짧게 설정하는 것으로 통신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송신 요구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긴 경우, 송신에 필요한 시간은 길어지기 때문에, 소정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으로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예측하고, 예측한 응답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에 따라 설정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이,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에 따라 설정되기 때문에, 통신 매체가 응답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필요한 시간에 따라서,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응답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짧은 경우, 송신에 필요한 시간은 줄어들기 때문에, 소정 시간을 짧게 설정하는 것으로 통신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응답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긴 경우, 송신에 필요한 시간은 길어지기 때문에, 소정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으로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통신 조정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매체 처리부(16)가 통신 매체(17) 상에서의 데이터의 충돌 검지 및 충돌 회피를 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 제 1 통신 조정 방식이 선택되고, 이러한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 제 2 통신 조정 방식이 선택된다. 예컨대, 제 1 통신 조정 방식에서의 통신 매체 처리부(16)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통신 매체(17)의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랜덤 시간 또는 기기 고유의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다시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데이터를 송신한다. 통신 매 체 처리부(16)가 이러한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 데이터가 충돌하는 일 없이 송신처로 송신되기 때문에, 통신 신뢰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제 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 매체 처리부(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충돌 검지 및 충돌 회피를 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어, 통신 신뢰성이 낮다고 할 수 있다.
또, 통신 경로 상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데이터를 송신하더라도 좋지만, 통신 경로 상에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 복수의 통신 장치가 데이터의 송신 대기 상태가 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데이터가 통신 경로 상에서 소멸한 순간에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 복수의 통신 장치가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해버려, 데이터가 충돌하여 깨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통신 매체(17)의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랜덤 시간 또는 기기 고유의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다시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통신 장치가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데이터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 및 버전 정보와 통신 조정 방식을 대응시켜 미리 기억하고 있다. 즉, 통신 매체(17)의 종별과 통신 매체 처리부(16)의 버전을 알 수 있으면, 당해 통신 매체(17) 및 통신 매체 처리부(16)가 상술의 충돌 검지 및 충돌 회피 기능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매체 처리부(16)로부터 취득한 통신 매체(17)의 종별과 통신 매체 처리부(16)의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조정 방식을 전환한다. 즉, 통신 매체(17) 상에서 데이터의 충돌 검지나 충돌 회피를 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통신의 신뢰성이 높은 통신 매체 처리부(16) 및 통신 매체(17)인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후술하는 도 3, 도 5, 도 7, 도 9에 나타내는 통신 조정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통신 매체(17) 상에서, 데이터의 충돌 검지 또는 충돌 회피를 할 수가 없는 것과 같은 통신의 신뢰성이 낮은 통신 매체 처리부(16) 및 통신 매체(17)인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후술하는 도 2, 도 4, 도 6, 도 8에 나타내는 통신 조정 처리를 실행한다.
도 2는, 통신 신뢰성이 낮은 통신 매체(17) 및 통신 매체 처리부(16)를 사용하고 있고, 송신 예정의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 「개별·응답요 데이터」인 경우의 통신 조정 처리부(12)에서 실행하는 통신 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매체 처리부(16)에 통신 매체 종별 정보와 버전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종별·버전 정보 요구를 출력한다(단계 S201). 통신 매체 처리부(16)는, 종별·버전 정보 요구가 입력되면, 종별·버전 정보 기억부(161)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 및 버전 정보를 판독하고, 통신 조정 처리부(12)로 출력한다.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매체 처리부(16)로부터 출력된 통신 매체 종별 정보와 버전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202).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매체 처리부(16)로부터 취득한 통신 매체 종별 정보 및 버전 정보에 근거하여 통신 조정 방식을 특정한다(단계 S203). 즉,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 및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조정 방식을 선택한다. 또, 도 2에서는, 통신 매체 처리부(16)가 데이터의 충돌 검지 및 충돌 회피를 하는 기능을 갖지 않고, 통신 신뢰성이 낮은 제 2 통신 조정 방식이 선택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에서의 단계 S201∼S203까지의 처리는, 통신 장치(11)의 기동시에 실행하면 좋다. 그리고, 기동시에 단계 S201∼S203까지의 처리가 한번만 행해지고, 그 후, 송신 요구 데이터가 수신될 때에 단계 S204 이후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애플리케이션 처리부(15)에 의해 작성된 송신 요구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 S204).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애플리케이션 처리부(15)로부터 수신한 송신 요구 데이터를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한다(단계 S205).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한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응하는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한다(단계 S206).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한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로부터 송신 데이터의 종별을 판정한다(단계 S207). 또, 도 2에 나타내는 단계 S207에서는, 통신 조정 처리부(12)에 의해서,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 「개별·응답요 데이터」로 판정된 것으로 한다.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체크한다(단계 S208). 그 때,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모두 「응답 대기」 이외의 상태인 경우, 통신 조정 처리 부(12)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한다(단계 S209).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응답 대기」의 상태로 변경한다(단계 S210).
한편,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 중 하나라도 「응답 대기」의 상태가 있는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11). 여기서, 소정 시간 경과한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단계 S211에서 '예'), 통신 조정 처리를 종료하고, 소정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211에서 '아니오'), 단계 S208의 처리에 되돌아가, 다시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체크한다.
이와 같이, 송신해야 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의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작성된다. 그리고,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와, 종별·버전 정보 기억부(161)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매체(17)의 종별을 나타내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조정되고, 조정되는 타이밍에 따라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다.
따라서,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의 필요 여부와, 통신 매체(17)의 종별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조정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복수의 통신 장치(11)의 통신을 가상적으로 1:1로 해서, 통신 매체(17) 상의 다른 데이터에 충돌함으로써 송신 데이터가 소실하는 것이 적어져,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요 데이터,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 동보·응답요 데이터 및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 중의 어느 하나를 확인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데이터의 송신처 및 응답의 필요 여부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요구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은 송신 요구 데이터마다 송신 상태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와, 종별·버전 정보 기억부(161)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와,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상태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조정된다. 따라서, 데이터 종별 정보 및 통신 매체 종별 정보뿐만 아니라,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도 고려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조정되기 때문에, 통신의 신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기억되고, 또한, 송신 상태가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이 기억하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확인된다. 여기서,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닐 때,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통신 매체(17) 상에 다른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통신 신뢰성이 높은 통신 매체(17) 및 통신 매체 처리부(16)를 사용하고 있고, 송신 예정의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 「개별·응답요 데이터」인 경우의 통신 조정 처리부(12)에서 실행하는 통신 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 단계 S301∼S306까지의 처리는, 도 2의 단계 S201∼S206까지의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3의 단계 S303에서는, 통신 매체 처리부(16)가 데이터의 충돌 검지 및 충돌 회피를 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통신 신뢰성이 높은 제 1 통신 조정 방식이 선택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3에서의 단계 S301∼S303까지의 처리는, 통신 장치(11)의 기동시에 실행하면 좋다. 그리고, 기동시에 단계 S301∼S303까지의 처리가 한번만 행해지고, 그 후, 송신 요구 데이터가 수신될 때에 단계 S304 이후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한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로부터 송신 데이터의 종별을 판정한다(단계 S307). 또, 도 3에 나타내는 단계 S307에서는, 통신 조정 처리부(12)에 의해서,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 「개별·응답요 데이터」로 판정된 것으로 한다.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체크한다(단계 S308). 그 때,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모두 「응답 대기」 이외의 상태인 경우, 통신 조정 처리 부(12)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한다(단계 S309).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응답 대기」의 상태로 변경한다(단계 S310).
한편,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 중 하나라도 「응답 대기」의 상태가 있는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응답 대기」 상태의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를 확인한다(단계 S311). 그 때, 송신 예정의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와, 「응답 대기」 상태인 모든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가 다른 경우, 단계 S309의 처리로 이행한다. 그리고,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응답 대기」의 상태로 변경한다.
한편, 「응답 대기」 상태인 모든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 중, 송신 예정의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와 하나라도 동일한 것이 있는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2). 여기서, 소정 시간 경과한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단계 S312에서 '예'), 통신 조정 처리를 종료하고, 소정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312에서 '아니오'), 단계 S308의 처리에 되돌아가, 다시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체크한다.
이와 같이, 통신 신뢰성에 따라서, 도 2, 도 3의 처리를 자동적으로 전환하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 전체에 있어서 통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가장 빠르게 통신 처리를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 매체 처리부(16)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통신 매체(17) 의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 후에 다시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기억되고, 또한, 송신 상태가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닐 때, 또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인 것은 있지만,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가,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와 모두 다를 때,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통신 매체(17)가 데이터의 충돌을 피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응답 데이터의 송신원이 서로 다른 때에 데이터가 송신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통신 신뢰성이 낮은 통신 매체(17) 및 통신 매체 처리부(16)를 사용하고 있고, 송신 예정의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의 통신 조정 처리부(12)에서 실행하는 통신 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 단계 S401∼S406까지의 처리는, 도 2의 단계 S201∼S206까지 의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4의 단계 S403에서는, 통신 매체 처리부(16)가 데이터의 충돌 검지 및 충돌 회피를 하는 기능을 갖지 않고, 통신 신뢰성이 낮은 제 2 통신 조정 방식이 선택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에서의 단계 S401∼S403까지의 처리는, 통신 장치(11)의 기동시에 실행하면 좋다. 그리고, 기동시에 단계 S401∼S403까지의 처리가 한번만 행해지고, 그 후, 송신 요구 데이터가 수신될 때에 단계 S404 이후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한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로부터 송신 데이터의 종별을 판정한다(단계 S407). 또, 도 4에 나타내는 단계 S407에서는, 통신 조정 처리부(12)에 의해서,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로 판정된 것으로 한다.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체크한다(단계 S408). 그 때,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모두 「응답 대기」 이외의 상태인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한다(단계 S409).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송신 완료」의 상태로 변경한다(단계 S410).
한편,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 중 하나라도 「응답 대기」의 상태가 있는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11). 여기서, 소정 시간 경과한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단계 S411에서 '예 '), 통신 조정 처리를 종료하고, 소정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411에서 '아니오'), 단계 S408의 처리에 되돌아가, 다시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체크한다.
이와 같이,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기억되고, 또한, 송신 상태가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닐 때,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송신 완료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닐 때,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통신 매체(17) 상에 다른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통신 신뢰성이 높은 통신 매체(17) 및 통신 매체 처리부(16)를 사용하고 있고, 송신 예정의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의 통신 조정 처리부(12)에서 실행하는 통신 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 단계 S501∼S506까지의 처리는, 도 2의 단계 S201∼S206까지의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5의 단계 S503에서는, 통 신 매체 처리부(16)가 데이터의 충돌 검지 및 충돌 회피를 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통신 신뢰성이 높은 제 1 통신 조정 방식이 선택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에서의 단계 S501∼S503까지의 처리는, 통신 장치(11)의 기동시에 실행하면 좋다. 그리고, 기동시에 단계 S501∼S503까지의 처리가 한번만 행해지고, 그 후, 송신 요구 데이터가 수신될 때에 단계 S504 이후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한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로부터 송신 데이터의 종별을 판정한다(단계 S507). 또, 도 5에 나타내는 단계 S507에서는, 통신 조정 처리부(12)에 의해서,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로 판정된 것으로 한다.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체크한다(단계 S508). 그 때,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모두 「응답 대기」 이외의 상태인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한다(단계 S509).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송신 완료」의 상태로 변경한다(단계 S510).
한편,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 중 하나라도 「응답 대기」의 상태가 있는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응답 대기」 상태의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를 확인한다(단계 S511). 그 때, 송신 예정의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와, 「응답 대기」 상태인 모든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가 다른 경우, 단계 S509의 처리로 이행한다. 그리고,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송신 완료」의 상태로 변경한다.
한편, 「응답 대기」 상태인 모든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 중, 송신 예정의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와 하나라도 동일한 것이 있는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12). 여기서, 소정 시간 경과한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단계 S512에서 '예'), 통신 조정 처리를 종료하고, 소정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512에서 '아니오'), 단계 S508의 처리에 되돌아가, 다시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체크한다.
이와 같이, 통신 신뢰성에 따라서, 도 4, 도 5의 처리를 자동적으로 전환하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 전체에 있어서 통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가장 빠르게 통신 처리를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 매체 처리부(16)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통신 매체(17)의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 후에 다시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기억되고, 또한, 송신 상태가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닐 때, 또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인 것은 있지만,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가,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와 모두 다를 때,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송신 완료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통신 매체가 데이터의 충돌을 피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응답 데이터의 송신원이 서로 다른 때에 데이터가 송신되어,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통신 신뢰성이 낮은 통신 매체(17) 및 통신 매체 처리부(16)를 사용하고 있고, 송신 예정의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 「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의 통신 조정 처리부(12)에서 실행하는 통신 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 단계 S601∼S606까지의 처리는 도 2의 단계 S201∼S206까지의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6의 단계 S603에서는, 통신 매체 처리부(16)가 데이터의 충돌 검지 및 충돌 회피를 하는 기능을 갖지 않고, 통신 신뢰성이 낮은 제 2 통신 조정 방식이 선택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6에서의 단계 S601∼S603까지의 처리는, 통신 장치(11)의 기동시에 실행하면 좋다. 그리고, 기동시에 단계 S601∼S603까지의 처리가 한번만 행해지고, 그 후, 송신 요구 데이터가 수신될 때에 단계 S604 이후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한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로부터 송신 데이터의 종별을 판정한다(단계 S607). 또, 도 6에 나타내는 단계 S607에서는, 통신 조정 처리부(12)에 의해서,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 「동보·응답요 데이터」로 판정된 것으로 한다.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체크한다(단계 S608). 그 때,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모두 「응답 대기」 이외의 상태인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한다(단계 S609).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응답 대기」의 상태로 변경한다(단계 S610).
한편,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 중 하나라도 「응답 대기」의 상태가 있는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11). 여기서, 소정 시간 경과한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단계 S611에서 '예'), 통신 조정 처리를 종료하고, 소정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611에서 '아니오'), 단계 S608의 처리에 되돌아가, 다시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체크한다.
이와 같이,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기억되고, 또한, 송신 상태가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 로 변경된다.
따라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닐 때,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통신 매체 상에 다른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통신 신뢰성이 높은 통신 매체(17) 및 통신 매체 처리부(16)를 사용하고 있고, 송신 예정의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 「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의 통신 조정 처리부(12)에서 실행하는 통신 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 단계 S701∼S706까지의 처리는, 도 2의 단계 S201∼S206까지의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7의 단계 S703에서는, 통신 매체 처리부(16)가 데이터의 충돌 검지 및 충돌 회피를 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통신 신뢰성이 높은 제 1 통신 조정 방식이 선택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에서의 단계 S701∼S703까지의 처리는, 통신 장치(11)의 기동시에 실행하면 좋다. 그리고, 기동시에 단계 S701∼S703까지의 처리가 한번만 행해지고, 그 후, 송신 요구 데이터가 수신될 때에 단계 S704 이후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한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로부터 송신 데이터의 종별을 판정한다(단계 S707). 또, 도 7에 나타내는 단계 S707에서는, 통신 조정 처리부(12)에 의해서,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 「동보·응답요 데이터」로 판정된 것으로 한다.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체크한다(단계 S708). 그 때,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모두 「응답 대기」 이외의 상태인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한다(단계 S709).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응답 대기」의 상태로 변경한다(단계 S710).
한편,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 중 하나라도 「응답 대기」의 상태가 있는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응답 대기」 상태의 송신 요구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을 확인한다(단계 S711). 그 때, 「응답 대기」 상태인 모든 송신 요구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 동보 데이터(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단계 S709의 처리로 이행한다. 그리고,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응답 대기」의 상태로 변경한다.
한편,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중, 하나라도 개별 데이터(개별·응답요 데이터)가 있는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12). 여기서, 소정 시간 경과한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단계 S712에서 '예'), 통신 조정 처리를 종료하고, 소정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712에서 '아니오'), 단계 S708의 처리에 되돌아가, 다시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체크한다.
이와 같이, 통신 매체 처리부(16)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통신 매체(17)의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 후에 다시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기억되고, 또한, 송신 상태가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확인된다. 여기서,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또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인 것은 있지만,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종류가 모두 동보인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된다.
동보 송신의 경우, 불특정의 다른 통신 장치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응답 데이터가 회신된다고는 한정되지 않고, 이미 모든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응답 데이터가 회신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동보 송신의 경우, 응답 데이터의 수신을 기다리지 않고 송신 데이터를 송신했다고 해도, 송신 데이터와 응답 데이터가 충돌할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통신 매체(17)가 데이터의 충돌을 피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종류가 모두 동보일 때 데이터가 송신되어,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통신 신뢰성이 낮은 통신 매체(17) 및 통신 매체 처리부(16)를 사용 하고 있고, 송신 예정의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의 통신 조정 처리부(12)에서 실행하는 통신 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 단계 S801∼S806까지의 처리는, 도 2의 단계 S201∼S206까지의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8의 단계 S803에서는, 통신 매체 처리부(16)가 데이터의 충돌 검지 및 충돌 회피를 하는 기능을 갖지 않고, 통신 신뢰성이 낮은 제 2 통신 조정 방식이 선택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8에서의 단계 S801∼S803까지의 처리는, 통신 장치(11)의 기동시에 실행하면 좋다. 그리고, 기동시에 단계 S801∼S803까지의 처리가 한번만 행해지고, 그 후, 송신 요구 데이터가 수신될 때에 단계 S804 이후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한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로부터 송신 데이터의 종별을 판정한다(단계 S807). 또, 도 8에 나타내는 단계 S807에서는, 통신 조정 처리부(12)에 의해서,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로 판정된 것으로 한다.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체크한다(단계 S808). 그 때,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모두 「응답 대기」 이외의 상태인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한다(단계 S809).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송신 완료」의 상태로 변경한다(단계 S810).
한편,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 중 하나라도 「응답 대기」의 상태가 있는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11). 여기서, 소정 시간 경과한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단계 S811에서 '예'), 통신 조정 처리를 종료하고, 소정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811에서 '아니오'), 단계 S808의 처리에 되돌아가, 다시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체크한다.
이와 같이,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기억되고, 또한, 송신 상태가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송신 완료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닐 때,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통신 매체 상에 다른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통신 신뢰성이 높은 통신 매체(17) 및 통신 매체 처리부(16)를 사용하고 있고, 송신 예정의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의 통신 조정 처리부(12)에서 실행하는 통신 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 는 흐름도이다. 또, 단계 S901∼S906까지의 처리는 도 2의 단계 S201∼S206까지의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9의 단계 S903에서는, 통신 매체 처리부(16)가 데이터의 충돌 검지 및 충돌 회피를 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통신 신뢰성이 높은 제 1 통신 조정 방식이 선택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9에서의 단계 S901∼S903까지의 처리는, 통신 장치(11)의 기동시에 실행하면 좋다. 그리고, 기동시에 단계 S901∼S903까지의 처리가 한번만 행해지고, 그 후, 송신 요구 데이터가 수신될 때에 단계 S904 이후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한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로부터 송신 데이터의 종별을 판정한다(단계 S907). 또, 도 9에 나타내는 단계 S907에서는, 통신 조정 처리부(12)에 의해서,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로 판정된 것으로 한다.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체크한다(단계 S908). 그 때,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모두 「응답 대기」 이외의 상태인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한다(단계 S909). 다음에,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송신 완료」의 상태로 변경한다(단계 S910).
한편,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 중 하나라도 「응답 대기」의 상태가 있는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응답 대기」 상태의 송신 요구 데이터 의 데이터 종별을 확인한다(단계 S911). 그 때, 「응답 대기」 상태인 모든 송신 요구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 동보 데이터(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단계 S909의 처리로 이행한다. 그리고,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송신 완료」의 상태로 변경한다.
한편,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중, 하나라도 개별 데이터(개별·응답요 데이터)가 있는 경우,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12). 여기서, 소정 시간 경과한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단계 S912에서 '예'), 통신 조정 처리를 종료하고, 소정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912에서 '아니오'), 단계 S908의 처리에 되돌아가, 다시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체크한다.
이와 같이, 통신 매체 처리부(16)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통신 매체(17)의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 후에 다시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가 기억되고, 또한, 송신 상태가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모든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또는 다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인 것은 있지만,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종류가 모두 동보인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가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로 출력되고, 통신 데이터 테이블(101)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송신 완료 상태로 변경된다.
동보 송신의 경우, 불특정의 다른 통신 장치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응답 데이터가 회신된다고는 한정되지 않고, 이미 모든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응답 데이터가 회신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동보 송신의 경우, 응답 데이터의 수신을 기다리지 않고 송신 데이터를 송신했다고 해도, 송신 데이터와 응답 데이터가 충돌할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통신 매체(17)가 데이터의 충돌을 피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종류가 모두 동보일 때 데이터가 송신되어,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의 통신 장치(11)는 하나의 통신 매체(17)와 접속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특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규격이 다른 복수의 통신 매체와 접속하더라도 좋다. 도 11은 통신 장치와 복수의 통신 매체를 접속하는 경우에서의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통신 장치(11)는 통신 조정 처리부(12), 데이터 수신 처리부(13), 데이터 송신 처리부(14), 애플리케이션 처리부(15) 및 복수의 통신 매체 처리부(16a, 16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통신 장치(11)는 각각 규격이 다른 복수의 통신 매체(17a, 17b)를 통해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11에서, 도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 장치(11)는 접 속하는 통신 매체의 수에 따라 통신 매체 처리부를 구비한다. 도 11에서는, 2개의 통신 매체(17a, 17b)에 접속하기 위해, 각각의 통신 매체(17a, 17b)에 따른 2개의 통신 매체 처리부(16a, 16b)를 구비한다. 통신 매체 처리부(16a, 16b)는 도 1에 나타내는 통신 매체 처리부(16)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송신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매체에 따라 통신 매체 처리부(16a, 16b)를 전환한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처리부(15)는, 각각 규격이 다른 복수의 통신 매체 중에서, 사용할 통신 매체를 특정하기 위한 통신 매체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작성하고, 작성한 송신 요구 데이터를 통신 조정 처리부(12)로 출력한다. 통신 조정 처리부(12)는,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통신 매체 특정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하는 통신 매체 처리부를 특정한다. 데이터 송신 처리부(14)는 통신 조정 처리부(12)에 의해서 특정된 통신 매체 처리부에 송신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 매체를 전환하여 사용함으로써, 규격이 다른 복수의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처리부(15)가 각각 규격이 다른 복수의 통신 매체 중에서, 사용할 통신 매체를 특정하기 위한 통신 매체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처리부(15)는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데이터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작성하고, 데이터 송신 처리부(14)가 각각 규격이 다른 복수의 통신 매체 중에서, 사용할 통신 매체를 특정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조정 처리는, 통신 장치(11)가 구비하는 ROM(리드온리 메모리)에 기억된 통신 조정 처리 프로그램을 CPU(중앙 연산 처리 장치)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되고, 통신 조정 처리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이송함으로써, 독립된 다른 컴퓨터 시스템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특히 저속이며, 물리층에서의 통신 신뢰성이 낮은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할 때,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에 유용하다. 이 통신 장치를 미들웨어 이하에 내장함에 따라, 각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상태를 의식하지 않고 용이하게 개발·설계할 수 있다. 이 통신 장치는 특히 콘트롤러 등 제어계의 기기 등에 내장함으로써 효과는 커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의 필요 여부와, 통신 매체의 종별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조정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복수의 통신 장치의 통신을 가상적으로 1:1로 해서, 통신 매체 상의 다른 데이터에 충돌함으로써 송신 데이터가 소실하는 것이 적어져,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8)

  1.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로서,
    송신해야 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상기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의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작성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 작성 수단과,
    상기 통신 매체의 종별을 나타내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를 기억하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종별 정보와, 상기 종별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조정하는 통신 조정 처리 수단과,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에 의해 조정되는 타이밍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는, 송신해야 할 송신 데이터가, 특정 송신처를 개별적으로 지정하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에 의한 응답을 요구하는 개별·응답요 데 이터, 특정 송신처를 개별적으로 지정하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에 의한 응답을 요구하지 않는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 송신처를 특정하지 않고 동보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에 의한 응답을 요구하는 동보·응답요 데이터, 또는 송신처를 특정하지 않고 동보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에 의한 응답을 요구하지 않는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종별 정보와,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통신 데이터 테이블을 더 구비하되,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마다 송신 상태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고,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종별 정보와,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와, 상기 통신 데 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송신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은,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통신 매체의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 후에 다시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또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인 것은 있지만, 상기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가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와 모두 다른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 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송신 완료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은,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통신 매체의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 후에 다시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또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인 것은 있지만, 상기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가,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처와 모두 다른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송신 완료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은,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통신 매체의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 후에 다시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또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인 것은 있지만, 상기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종류가 모두 동보인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 터의 송신 상태를 송신 완료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은,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통신 매체의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 후에 다시 통신 경로 상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동보·응답 불필요 데이터인 경우,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이 기억하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또는 다른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인 것은 있지만, 상기 응답 대기 상태인 송신 요구 데이터의 종류가 모두 동보인 경우,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송신 완료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송신 상태를 송신 대기 상태로 설정하며, 기억된 데이터 종별 정보가 개별·응답요 데이터 또는 동보·응답요 데이터인 경우,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에 의해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가 송신된 후, 송신된 송신 요구 데이터에 대응하는 송신 상태를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하고,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 변경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하더라도 응답이 없는 경우, 송신 상태를 타임아웃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을,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따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을,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에 따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송신 상태가 응답 대기 상태로부터 타임아웃 상태로 천이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을, 상기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에 따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는, 각각 규격이 다른 복수의 상기 통신 매체 중에서, 사용할 통신 매체를 특정하기 위한 통신 매체 특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통신 매체 특정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 매체를 특정하며,
    상기 데이터 송신 수단은,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에 의해 특정된 통신 매체를 사용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7.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방법으로서,
    송신해야 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상기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의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작성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 작성 단계와,
    상기 통신 매체의 종별을 나타내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를 기억하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단계와,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 작성 단계에서 작성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종별 정보와,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단계에서 기억된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조정하는 통신 조정 처리 단계와,
    상기 통신 조정 처리 단계에서 조정되는 타이밍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8.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송신해야 할 송신 데이터의 송신처와, 상기 송신 데이터에 대한 응답의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를 작성하는 송신 요구 데이터 작성 수단과,
    상기 통신 매체의 종별을 나타내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를 기억하는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상기 송신 요구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종별 정보와,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통신 매체 종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조정하는 통신 조정 처리 수단과,
    상기 통신 조정 처리 수단에 의해 조정되는 타이밍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50019934A 2004-03-12 2005-03-10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600438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70416 2004-03-12
JP2004070416 2004-03-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813A true KR20060043813A (ko) 2006-05-15

Family

ID=3482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934A KR20060043813A (ko) 2004-03-12 2005-03-10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201413A1 (ko)
EP (1) EP1575219B1 (ko)
KR (1) KR20060043813A (ko)
CN (1) CN1668041B (ko)
DE (1) DE602005001126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383B1 (ko) * 2006-10-02 2010-02-02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송신 출력 제어 장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송신 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1326390B1 (ko) * 2009-08-27 2013-11-1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유저 행동 이력에 기초한 송신 요청 지연을 이용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최적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83388B (zh) * 2009-05-08 2013-07-03 傲世通科技(苏州)有限公司 快速处理MAC-hs包数据的方法
CN105703912A (zh) * 2014-11-26 2016-06-22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多功能多态无线网络适配器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3875A (en) * 1988-01-19 1989-08-01 Eastman Kodak Company Image-capable interprocessor link communications protocol
US5479408A (en) * 1994-02-22 1995-12-26 Will; Craig A. Wireless personal paging, communications, and locating system
JP3186917B2 (ja) * 1994-03-25 2001-07-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及びその送信順位自動決定方法
JP3251797B2 (ja) * 1995-01-11 2002-01-28 富士通株式会社 ワイヤレスlanシステム
US5684791A (en) * 1995-11-07 1997-11-04 Nec Usa, Inc. Data link control protocols for wireless ATM access channels
US5661727A (en) * 1996-06-12 1997-08-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chemes to determine presence of hidden terminals in wireless networks environment and to switch between them
US5935220A (en) * 1996-08-09 1999-08-10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speed data and command transfer over an interface
US6122514A (en) * 1997-01-03 2000-09-19 Cellport Systems, Inc. Communications channel selection
US5963560A (en) * 1997-03-05 1999-10-05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multi-level priority in a rotating priority arrangement for access to medium in an ethernet network
US5991387A (en) * 1997-03-21 1999-11-23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Inc. Monitoring and controlling channels to improve the interface of calls
US6178448B1 (en) * 1997-06-18 2001-0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mal link scheduling for multiple links by obtaining and utilizing link quality information
US6505253B1 (en) * 1998-06-30 2003-01-07 Sun Microsystems Multiple ACK windows providing congestion control in reliable multicast protocol
US20050058149A1 (en) * 1998-08-19 2005-03-17 Howe Wayne Richard Time-scheduled and time-reservation packet switching
US6363062B1 (en) * 1999-06-08 2002-03-26 Caly Corporation Communications protocol for packet data particularly in mesh topology wireless networks
US6643259B1 (en) * 1999-11-12 2003-11-04 3Com Corporation Method for optimizing data transfer in a data network
CN1121651C (zh) * 2000-02-03 2003-09-17 财团法人资讯工业策进会 无线资料传输方法及装置
JP2001237828A (ja) * 2000-02-18 2001-08-31 Sony Corp データ伝送管理装置及び方法、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データ伝送方法
JP3534305B2 (ja) * 2000-02-29 2004-06-07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ドレス解決プロトコルを用いたipアドレス重複検出方法
US7127736B2 (en) * 2000-11-17 2006-10-24 Sony Corporation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ent processing method for digest information based on input of a content user
US7570656B2 (en) * 2001-06-18 2009-08-04 Yitran Communications Ltd. Channel access method for powerline carrier based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US7489655B2 (en) * 2001-07-06 2009-02-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ve scheduling in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US7505458B2 (en) * 2001-11-27 2009-03-17 Tellabs San Jos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 fault-tolerant scalable switch fabric with quality-of-service (QOS) support
WO2003047175A1 (en) * 2001-11-28 2003-06-05 Millennial Net Etwork protocol for an ad hoc wireless network
US7684380B2 (en) * 2002-01-22 2010-03-23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synchronous data in a wireless network
US7289535B2 (en) * 2002-03-15 2007-10-3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of accommodating fragmentation and burst in a wireless protocol
US6768726B2 (en) * 2002-08-06 2004-07-2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seamless handoff between IP connections
US8644321B2 (en) * 2003-09-16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packet transmiss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383B1 (ko) * 2006-10-02 2010-02-02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송신 출력 제어 장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송신 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1326390B1 (ko) * 2009-08-27 2013-11-1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유저 행동 이력에 기초한 송신 요청 지연을 이용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최적화
US8769320B2 (en) 2009-08-27 2014-07-0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optimization for data ser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75219B1 (en) 2007-05-16
DE602005001126T2 (de) 2008-02-07
US20050201413A1 (en) 2005-09-15
EP1575219A1 (en) 2005-09-14
DE602005001126D1 (de) 2007-06-28
CN1668041B (zh) 2010-12-01
CN1668041A (zh) 200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1523B2 (ja) 低電力無線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フィールドデバイスの選択的起動
JP5196931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制御無線装置
JP4586906B2 (ja) 無線通信装置、プログラ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2019487A (ja) 通信装置及び制御方法
KR20060043813A (ko)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4030168A (ja) 中継通信システム、及び中継通信装置
JP2007081569A (ja) 無線ネットワーク情報配信方法
WO2015045322A1 (ja) リモコンおよびリモコンの通信方法
JP5891037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JP4833135B2 (ja) 無線基地局、集中制御局、移動局
JP4654056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JP2008131107A (ja) 車載通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車載通信方法
CN113892010B (zh) 遥控器以及空调系统
WO2017188011A1 (ja) 設備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設備通信システム
JP2005184551A (ja)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20080096349A (ko) P2p nfc장치의 llc계층에서 데이터 전송의 균형을개선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5891036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JP5162907B2 (ja) ストリーム配信システム
JP2006033490A (ja) データ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3791001B2 (ja) 操作監視システム
JP4828322B2 (ja) 基地局
JP2017046281A (ja) コントローラ、電気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WO201718338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44558B1 (ko) 전자 선반 시스템 및 전자 선반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1674600B1 (ko) 마스터 장치를 선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