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678A - 아연 전극을 갖는 전지를 위한 격리판 - Google Patents

아연 전극을 갖는 전지를 위한 격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678A
KR20060043678A KR1020050021676A KR20050021676A KR20060043678A KR 20060043678 A KR20060043678 A KR 20060043678A KR 1020050021676 A KR1020050021676 A KR 1020050021676A KR 20050021676 A KR20050021676 A KR 20050021676A KR 20060043678 A KR20060043678 A KR 20060043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surfactant
battery
days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558B1 (ko
Inventor
질 브이. 왓슨
씨. 글렌 웬슬리
Original Assignee
셀가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가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셀가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43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5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24Electrodes for alkaline accumulators
    • H01M4/244Zinc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24Electrodes for alkaline accumulators
    • H01M4/32Nickel oxide or hydroxid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7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30Nickel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연 전극을 갖는 전지를 위한 격리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격리판은 미세다공성 막, 및 이 미세다공성 막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 코팅을 포함한다. 코팅은 25 내지 40 wt%의 중합체와 60 내지 75 wt%의 계면활성제 배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중합체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이고, 계면활성제 배합물은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제1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유기 에테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활성 성분을 갖고, 제2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인산 2수소 2-에틸헥실의 옥시란 중합체이다.
전지 격리판, 미세다공성 막, 코팅,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계면활성제

Description

아연 전극을 갖는 전지를 위한 격리판{SEPARATOR FOR A BATTERY HAVING A ZINC ELECTRODE}
본 발명은 아연 전극을 갖는 전지를 위한 격리판에 관한 것이다.
아연 전극을 갖는 전지는 공지되어 있다. 각각 본원에서 참조인용되는, 미국 특허 번호 4,359,510; 4,438,185; 및 4,544,616; Tuck, C. D. S. 편저, Modern Battery Technology(Ellis Horwood Limited, Chichester, England, 1991); 및 Linden D. 편저, Handbook of Batteries 2판(McGraw-Hill, Inc., New York, N. Y. 1995)을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전지 중 하나는 니켈-아연(NiZn) 전지(또는 셀)이다.
니켈-아연(아연/산화 니켈) 전지 시스템은 아연 전극, 니켈 전극, 전해질, 및 격리판을 포함한다. 아연/산화 니켈 전지 시스템은 음극 활성 물질로 아연을 사용하고, 양극 활성 물질로 산화 니켈을 사용하며, 전해질은 알칼리성 수산화 칼륨 용액이다.
NiZn 셀은 익히 공지되어 있지만, 유의적인 상업적 성공에 도달한 적은 없었는데, 이는 명백하게 이들 전지의 제한적인 유효 주기 수명 때문이다. Besenhard, J. 편저, Handbook of Battery Materials(Wiley-VCH, New York, N. Y. 1999) 참조. 이 제한적인 주기 수명의 원인은 알칼리성 전해질에서 수산화 아연의 용해도가 높고, 형성된 아연산염 이온이 추후의 충전 동안에 수지상, 즉 양치류형 결정의 형태로 재침착되기 때문이다. 상기 Besenhard의 저서 참조. 이들 수지상은 상대 전극의 방향으로 성장하여 최종적으로는 전기 단락을 야기시킨다. 상기 Besenhard의 저서 참조.
단기적인 해결책은 전해질내 아연 용해도를 감소시키거나 수지상 형성을 억제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데, 산화 카드뮴, 산화 납, 또는 산화 비스무트, 뿐만 아니라 수산화 칼슘이나 수산화 알루미늄을 아연 전극 또는 전해질에 첨가하면 수지상 형성이 억제되었다. 상기 Besenhard의 저서 참조.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의 효과는 장기간 지속되지 못한다. 상기 Besenhard의 저서 참조.
미세다공성 필름을 사용하여 아연 전극의 사용과 관련된 문제점을 극복하는 방법도 제안되었다. 상기 Tuck의 저서, Linden의 저서, 및 미국 특허 번호 4,359,510; 4,438,185; 및 4,544,616 참조.
아연 전극을 갖는 전지에 사용하는 시판용 미세다공성 막 중 하나는 Celgard® 3406 미세다공성 막이다. 미국 특허 번호 4,359,510 및 4,438,185 참조. Celgard® 3406은 한쪽 표면이 중합체 코팅된 미세다공성 막이다. 미세다공성 막은 약 0.045 미크론의 평균 기공 크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미세다공성 막인 Celgard® 2400으로서 시판중이다. 중합체 코팅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VICTAWET® 12 습윤제로서 시판중인 계면활성제로 구성된다. 인산 2수소 2-에틸헥실의 옥시란 중합체인 VICTAWET® 12는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소재한 악조 케미컬즈 인코포레이티드(Akzo Chemicals, Inc.)에서 시판중이다. Celgard® 3406은 적절하게 수행되지만, 제한적인 저장 수명(코팅일로부터 약 9개월)을 가지며, 오직 1회만 습윤된다(즉, 계면활성제가 쉽게 세척됨).
아연 전극을 갖는 전지에 사용하는 또 다른 시판용 미세다공성 막은 코팅된 Celgard® 3407 미세다공성 막이다. 미국 특허 번호 6,479,190 참조. 노스 캐롤라이나주 샬럿에 소재한 셀가드 인코포레이티드(Celgard, Inc.)에서 시판중인 Celgard® 3407은 막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막을 포함한다. 약 0.045 미크론의 평균 기공 크기를 갖는 Celgard® 3407 미세다공성 막은 전형적으로는 소수성 폴리올레핀 중합체이다. 코팅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유기 에테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활성 성분을 갖는 계면활성제로 구성된다. 계면활성제는 뉴저지주 크랜베리에 소재한 롱-프랑(Rhone-Poulenc)에서 IGEPAL CO-530으로서 시판중이다. Celgard® 3407은 니켈-아연 전지의 제한적인 주기 수명 성능을 극복하기 위한 디자인 개선점을 갖추었지만, 20 mΩ/in2 미만의 전기 저항을 가지며, 저장 12개월 후에는 수성 전해질내에서 습윤되는 데 100초까지 소요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보다 긴 저장 수명, 즉 보다 큰 재습윤력, 및 보다 낮은 전기 저항을 갖는, 아연 전극을 갖는 전지를 위한 개선된 격리판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아연 전극을 갖는 전지를 위한 격리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격리판은 미세다공성 막, 및 이 미세다공성 막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 코팅을 포함한다. 코팅은 25 내지 40 wt%의 중합체와 60 내지 75 wt%의 계면활성제 배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중합체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이고, 계면활성제 배합물은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제1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유기 에테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활성 성분을 갖고, 제2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인산 2수소 2-에틸헥실의 옥시란 중합체이다.
본 발명은 아연 전극을 갖는 전지를 위한 격리판에 관한 것이다. 이들 전지는 전형적으로는 2차(즉, 재충전식) 전지이다. 이러한 전지는 니켈-아연 또는 은-아연 전지일 수 있다. 하기 논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세히 논의되는 전지는 니켈-아연(아연/산화 니켈) 전지로 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연/산화 니켈 전지 화학은 익히 공지되어 있다. 모두 본원에서 참조인용되는, 상기 Tuck의 저서, Linden의 저서, 및 Besenhard의 저서를 참조할 수 있다.
아연/산화 니켈 전지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아연 전극, 니켈 전극, 전해질, 및 격리판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격리판은 전극 사이에 삽입되어 있고, 전해질 은 격리판을 통해 2개의 전극과 소통한다.
아연 전극은 부극(anode) 또는 음극이다. 부극은 환원 전극 또는 연료 전극인데, 즉 아연 전극은 전기화학 반응 동안에 전자를 외부 회로에 방출함으로써 산화된다. 아연 전극은 금속 아연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아연 전극은 그들의 완전금속 상태에서 60 내지 70%의 다공성을 갖도록 설계된다.
니켈 전극은 정극(cathode) 또는 양극이다. 정극은 산화 전극인데, 즉 니켈 전극은 전기화학 반응 동안에 외부 회로로부터 전자를 수용함으로써 환원된다. 니켈 전극은 전형적으로는 산화 니켈로 제조할 수 있다.
전해질은 전형적으로 부극과 정극 사이의 셀 내부에서 전자를 이온으로서 이동시키는 매개체를 제공하는 이온성 전도체이다. 전해질은 전형적으로는, 이온 전도성을 부여하는 염, 산, 또는 알칼리가 용해된 물 또는 기타 다른 용매와 같은 액체이다. 그러나, 전해질은 셀 작동 온도에서 이온성 전도체인 고체 전해질일 수도 있다. 아연/산화 니켈 전지 시스템의 전해질의 예에는 수산화 칼륨 농도가 약 20 내지 45 wt% 범위인 수산화 칼륨(KOH) 수용액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격리판은 미세다공성 막, 및 이 막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 코팅을 포함한다.
미세다공성 막은 전형적으로는 소수성 폴리올레핀 중합체이다. 소수성 폴리올레핀 중합체에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이 포함되지만, 후자가 바람직하다. 막 제조 방법에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건식" 연신(또 는 Celgard) 공정 또는 "용매" 연신(또는 상 전환) 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막은 3 mil(약 75 미크론)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mil(38 미크론) 미만,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mil(25 미크론)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막은 약 0.045 ± 0.002 미크론의 평균 기공 크기, 28 내지 40%의 다공성, 및 25 내지 45 초/in2의 Gurley 투기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막은 예를 들면,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주 샬럿에 소재한 셀가드 인코포레이티드; 일본 도쿄에 소재한 도넨 케이. 케이.(Tonen K. K.); 일본 도쿄에 소재한 아사히 케미컬 컴퍼니(Asahi Chemical Co.); 일본 도쿄에 소재한 우베 인더스트리즈(Ube Industries); 및 일본 도쿄에 소재한 니토 덴코 코오포레이션(Nitto Denko Corporation)에서 시판중이다.
코팅은 중합체 및 계면활성제 배합물을 포함한다. 코팅은 미세다공성 막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코팅은 미세다공성 막의 양쪽 표면에 적용된다. 코팅이 미세다공성 막의 양쪽 표면에 적용되는 경우, 코팅은 약 0.30 내지 0.43 mg/㎠ 범위의 표면 밀도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코팅은 0.31 내지 0.38 mg/㎠ 범위의 표면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형태로 적용되며, 용매(예를 들면, 아세톤 또는 메틸에틸 케톤)는 임의의 공지된 방식으로 제거한다.
중합체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최적량은 습윤시 체 효과(즉, 크기에 따라 분자를 선택적으로 통과/거부하는 능력)를 나타내도록 미세다공성 막의 양쪽 표면을 코팅시키기에 충 분한 양이지만, 지나치게 다량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는 미세다공성 막의 기공을 봉쇄시킴으로써 전기 저항을 증가시킬 것이다. 코팅이 미세다공성 막의 양쪽 표면에 적용되는 경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는 약 0.10 내지 0.13 mg/㎠ 범위의 표면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글루코스당 약 2.5개의 아세틸기를 갖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CA-398-3)는 예를 들면,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주 샬럿에 소재한 셀레니즈 아세테이트 엘엘씨(Celanese Acetate LLC); 또는 미국 테네시주 킹스포트에 소재한 이스트맨 케미컬 컴퍼니(Eastman Chemical Co.)에서 시판중인 물질이다. 셀레니즈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HB-105가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배합물은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계면활성제 배합물의 최적량은 단기간에 수성 전해질내에서 습윤시키기에 충분한 양이지만, 지나치게 다량의 계면활성제 배합물은 미세다공성 막의 기공을 봉쇄시킴으로써 전기 저항을 증가시킬 것이다. 코팅이 미세다공성 막의 양쪽 표면에 적용되는 경우, 계면활성제 배합물은 0.20 내지 0.30 mg/㎠ 범위의 표면 밀도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 배합물은 0.25 mg/㎠의 표면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는 서로에 대해서 임의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는 각각 1:3 또는 3:1의 중량비를 가지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는 1:1의 중량비를 가진다.
제1 계면활성제에 관해서는, 선택 기준을 정의하는 데 3가지 고려사항이 필요한데, 이는 다음과 같다: 1) 제1 계면활성제는 전해질에 대해 비활성이어야 한다 (예를 들면, 전해질내에서 비가수분해성); 2) 제1 계면활성제는 전해질에 전혀 용해되지 않거나 쉽게 용해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3) 제1 계면활성제는 막에 부착되어야 한다.
제2 계면활성제에 관해서는, 선택 기준을 정의하는 데 2가지 고려사항이 필요한데, 이는 다음과 같다: 1) 제2 계면활성제는 전해질에 대해 비활성이어야 한다(예를 들면, 전해질내에서 비가수분해성); 그리고 2) 제2 계면활성제는 막의 긴 저장 수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막의 습윤 속도 및 안정성을 증가시켜야 한다.
제1 계면활성제는 유기 에테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활성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유기 에테르의 일례는 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옥시)에탄올이다. 이러한 계면활성제 중 하나는 뉴저지주 크랜베리에 소재한 롱-프랑에서 상표명 IGEPAL CO-530으로 시판중이다. 코팅이 미세다공성 막의 양쪽 표면에 적용되는 경우, 제1 계면활성제는 0.10 내지 0.20 mg/㎠ 범위의 표면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계면활성제는 0.10 내지 0.15 mg/㎠ 범위의 표면 밀도를 가질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 계면활성제는 0.125 mg/㎠의 표면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계면활성제는 인산 2수소 2-에틸헥실의 옥시란 중합체일 수 있다. 전술한 기준에 적합한 이러한 계면활성제 중 하나는 VICTAWET® 12 습윤제이다. VICTAWET® 12는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소재한 악조 케미컬즈 인코포레이티드에서 시판중이다. 코팅이 미세다공성 막의 양쪽 표면에 적용되는 경우, 제2 계면활성제는 0.10 내지 0.20 mg/㎠ 범위의 표면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계면 활성제는 0.10 내지 0.15 mg/㎠ 범위의 표면 밀도를 가질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2 계면활성제는 0.125 mg/㎠의 표면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새롭게 코팅된 격리판은 임의의 전기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새롭게 코팅된 격리판은 10.4 mΩ/in2 미만의 전기 저항,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9 내지 10.4 mΩ/in2 범위의 전기 저항을 가진다. 또한, 70℃에서 22일 이상 256일 이하의 기간 동안 저장되는, 본 발명에 따라 코팅된 격리판은 임의의 전기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70℃에서 22일 이상 256일 이하의 기간 동안 저장되는, 본 발명에 따라 코팅된 격리판은 10 mΩ/in2 미만의 전기 저항,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7 내지 10 mΩ/in2 범위의 전기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어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미세다공성 필름의 전기 저항("ER")은 알려진 표면적(즉, 1.0 in2)을 갖는 샘플을 약 30 wt%의 KOH 수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측정한다. 그 다음, 결과적인 샘플을 30 wt%의 KOH 수용액인 전해질에 침지된 백금 작동 전극(즉, 부극 및 정극) 사이에 배치하고, 알려진 전류량(즉 40 ㎃)의 직류를 전극 사이로 셀에 통과시킨다. 필름을 가로지르는 전위 강하량(E')을 전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내부에 배치된 미세다공성 필름이 없는 상태에서도 동일한 전류를 사용하여 셀을 가로지르는 전위 강하량(E)을 측정한다. E는 ㎷로서 측정한다. 그 다음, 미세다공성 필름의 전기 저항을 다음 방정식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ER = ((E' - E)A) / I
상기 방정식에서 A는 노출된 필름의 in2 단위 표면적이고, I는 셀을 가로지르는 ㎃ 단위의 전류이며, ER은 미세다공성 필름의 mΩ/in2 단위 전기 저항이고, E' 및 E는 전술한 바와 같다.
코팅된 격리판은 3 mil(75 미크론) 미만의 두께, 및 바람직하게는 1.5 mil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새롭게 코팅된 격리판은 8초 이내에 습윤될 수 있다. 또한, 70℃에서 22일 이상 256일 이하의 기간 동안 저장되는, 본 발명에 따라 코팅된 격리판은 1초 이내에 습윤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거의 순간적으로 습윤될 수 있다.
코팅된 격리판의 평균 유효 기공 크기는 0.045 미크론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0.030 내지 0.040 미크론 범위,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0.035 미크론 미만이어야 한다. 지나치게 큰 평균 유효 기공 크기는 주기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이는 지나치게 다량의 아연산염 이온이 격리판을 통과할 것이기 때문이며, 크기가 지나치게 작으면 전기 저항이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셀 내부의 전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평균 유효 기공 크기는 코팅된 막이 전해질에 의해 완전히 습윤되었을 때 나타나는 겉보기 기공 크기를 의미한다. 평균 유효 기공 크기는 용질 통과 방법으로 측정한다. 예를 들면, Cheryan, M. 저, Ultrafiltration Handbook(Technomic Publishing Co., Lancaster, Pa., 1986) p. 62 - 71 참조. 막 의 기공 크기는 다음을 사용하여 전술한 방법에 의해 0.035 미크론(35 nm)으로 추정되었다: 미오글로불린 - 분자량(MW) 17,600, 크기 3.7 나노미터(nm), 거부율 0%; 락토글로불린 - 38,000 MW, 5.2 nm, 10 %; 알부민 - 69,000 MW, 6.4 nm, 30%; 혈청 글로불린 - 148,000 MW, 9.2 nm, 75 %; 헤모시아닌(Palinurus) - 450,000 MW, 11.7 nm, 90%.
실시예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격리판을 70℃에서 시판용 제품, 즉 Celgard® 3407 미세다공성 막 및 Celgard® 3406 미세다공성 막과 비교했다. 비교 분석에는 6개의 격리판 샘플을 포함시켰다.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샘플 1의 코팅 용액(3407 대조군)은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1.75%, IGEPAL CO-530 4%, 및 VICTAWET-12 0%를 포함했다.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샘플 2의 코팅 용액은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1.75%, IGEPAL CO-530 3.5%, 및 VICTAWET-12 0.5%를 포함했다.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샘플 3의 코팅 용액은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1.75%, IGEPAL CO-530 3.0%, 및 VICTAWET-12 1.0%를 포함했다.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샘플 4의 코팅 용액은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1.75%, IGEPAL CO-530 2.0%, 및 VICTAWET-12 2.0%를 포함했다.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샘플 5의 코팅 용액은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1.75%, IGEPAL CO-530 1.0%, 및 VICTAWET-12 3.0%를 포함했다.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샘플 6의 코팅 용액(3406 대조군)은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1.75%, IGEPAL CO-530 0%, 및 VICTAWET-12 7%를 포함했다. 비교 결과는 하기 표 2 및 표 3에 제시했다. 표 2는 70℃에서 저장 0일, 22일, 48일, 104일, 122일, 및 256일 후에 mΩ/in2 단위로 측정한, 전술한 샘플의 전기 저항("ER")을 제시한다. 표 3은 70℃에서 저장 0일, 22일, 48일, 104일, 122일, 및 256일 후에 초 단위로 측정한, 전술한 샘플의 습윤도("W")를 제시한다.
샘플 번호 CA % IGEPAL % VICTAWET-12 % 아세톤 %
1 1.75% 4% 0% 94.25%
2 1.75% 3.5% 0.5% 94.25%
3 1.75% 3% 1% 94.25%
4 1.75% 2% 2% 94.25%
5 1.75% 1% 3% 94.25%
6 1.75% 0% 7% 91.25%
샘플 번호 0일째 ER (mΩ/in2) 22일째 ER (mΩ/in2) 48일째 ER (mΩ/in2) 104일째 ER (mΩ/in2) 122일째 ER (mΩ/in2) 256일째 ER (mΩ/in2)
1 15.6 17.8 18.4 18.7 18.5 15.1
2 13.9 -- 20.6 19.9 21.6 18.9
3 10.4 15.9 19.6 16 15.9 12.2
4 9.9 10.9 11.8 11.7 10.1 7.7
5 10.3 9.8 11.5 11.1 9.0 8.6
6 6.2 173.2 62.1 219.7 > 1000 --
샘플 번호 0일째 W (초) 22일째 W (초) 48일째 W (초) 104일째 W (초) 122일째 W (초) 256일째 W (초)
1 21 -- 57 55 -- 91
2 12.3 1 1 4 3 순간적
3 12 1 1 1 1 순간적
4 8 1 1 1 1 순간적
5 7 1 1 1 1 순간적
6 5 명확하게 습윤되지 않음 명확하게 습윤되지 않음 습윤되지 않음 -- --
본 발명은 그 취지 및 필수적인 속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명세서보다는 본 발명의 범위를 지시하고 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참조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전지 격리판은 중합체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코팅으로 적어도 하나의 표면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막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저장 수명이 길고 전기 저항이 낮다.

Claims (32)

  1. 미세다공성 막; 및
    상기 막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 코팅을 포함하는 전지 격리판으로서, 상기 코팅은 25 내지 40 wt%의 중합체와 60 내지 75 wt%의 계면활성제 배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중합체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이고, 상기 계면활성제 배합물은 유기 에테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활성 성분을 갖는 제1 계면활성제 및 인산 2수소 2-에틸헥실의 옥시란 중합체인 제2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격리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가 1:1의 중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격리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가 1:3의 중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격리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가 3:1의 중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격리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가 글루코스당 약 2.5개의 아세 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격리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막의 양쪽 표면 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격리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0.30 내지 0.43 mg/㎠ 범위의 표면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격리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0.31 내지 0.38 mg/㎠ 범위의 표면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격리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70℃에서 22일 이상 256일 이하의 기간 동안 저장되며, 10 mΩ/in2 이하의 전기 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격리판.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70℃에서 22일 이상 256일 이하의 기간 동안 저장되며, 7.7 내지 10 mΩ/in2 범위의 전기 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격리판.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수성 전해질에 의해서 습윤되기에 적합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격리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새롭게 코팅되며, 8초 이내에 습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격리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70℃에서 22일 이상 256일 이하의 기간 동안 저장되며, 1초 이내에 습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격리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70℃에서 22일 이상 256일 이하의 기간 동안 저장되며, 순간적으로 습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격리판.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막이 1.5 mil 미만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격리판.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이 0.045 미크론 미만의 평균 유효 기공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격리판.
  17. 제1 전극;
    제2 전극;
    전해질; 및
    격리판을 포함하는 아연 전극을 갖는 전지로서, 상기 격리판은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해질은 격리판을 통해 2개의 전극과 소통하며,
    여기서 상기 격리판은
    미세다공성 막; 및
    상기 막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 코팅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은 25 내지 40 wt%의 중합체와 60 내지 75 wt%의 계면활성제 배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중합체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이고, 상기 계면활성제 배합물은 유기 에테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활성 성분을 갖는 제1 계면활성제 및 인산 2수소 2-에틸헥실의 옥시란 중합체인 제2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가 1:1의 중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가 1:3의 중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가 3:1의 중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가 글루코스당 약 2.5개의 아세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막의 양쪽 표면 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0.30 내지 0.43 mg/㎠ 범위의 표면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0.31 내지 0.38 mg/㎠ 범위의 표면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70℃에서 22일 이상 256일 이하의 기간 동안 저장되며, 10 mΩ/in2 이하의 전기 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70℃에서 22일 이상 256일 이하의 기간 동안 저장되며, 7.7 내지 10 mΩ/in2 범위의 전기 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수성 전해질에 의해서 습윤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새롭게 코팅되며, 8초 이내에 습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70℃에서 22일 이상 256일 이하의 기간 동안 저장되며, 1초 이내에 습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70℃에서 22일 이상 256일 이하의 기간 동안 저장되며, 순간적으로 습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3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막이 1.5 mil 미만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3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이 0.045 미크론 미만의 평균 유효 기공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KR1020050021676A 2004-03-18 2005-03-16 아연 전극을 갖는 전지를 위한 격리판 KR100676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03,710 2004-03-18
US10/803,710 US20050208372A1 (en) 2004-03-18 2004-03-18 Separator for a battery having a zinc electr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678A true KR20060043678A (ko) 2006-05-15
KR100676558B1 KR100676558B1 (ko) 2007-01-30

Family

ID=3483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676A KR100676558B1 (ko) 2004-03-18 2005-03-16 아연 전극을 갖는 전지를 위한 격리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050208372A1 (ko)
EP (1) EP1577968A2 (ko)
JP (1) JP4446069B2 (ko)
KR (1) KR100676558B1 (ko)
CN (1) CN1314143C (ko)
CA (1) CA2498597A1 (ko)
SG (1) SG115759A1 (ko)
TW (1) TWI2799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4396B2 (en) 2007-05-14 2013-03-26 Brigham Young University Fuel cell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US20120171535A1 (en) 2010-12-31 2012-07-05 Fuyuan Ma Nickel-zinc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40335396A1 (en) * 2011-09-26 2014-11-13 Asahi Kasei E-Materials Corporation Microporous Membrane
KR101672609B1 (ko) 2012-01-19 2016-11-03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에너지 소비
JP2013203894A (ja) * 2012-03-28 2013-10-07 Asahi Kasei E-Materials Corp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
EP3166171B1 (de) * 2015-11-05 2020-02-26 VARTA Microbattery GmbH Elektrochemische zelle
WO2017142522A1 (en) * 2016-02-17 2017-08-24 Daramic, Llc Improved battery separators which reduce water loss in lead acid batteries and improved lead acid batteries including such improved battery separators
KR20230141924A (ko) * 2016-04-08 2023-10-10 다라믹 엘엘씨 강화 침수형 전지용 개선된 분리기, 전지 및 관련 방법
CN106129305B (zh) * 2016-08-05 2018-11-06 大连理工大学 一种用于镍锌电池的微孔膜及其制备方法
WO2018136337A2 (en) * 2017-01-18 2018-07-26 Aqua Metals Inc. Pretreatment of diaphragms used in electrochemical processes
US10651445B2 (en) 2017-01-23 2020-05-12 ZAF Energy Systems, Incorporated Electrode with cellulose acetate separator system
CN110364660B (zh) * 2018-04-10 2022-07-15 浙江浙能中科储能科技有限公司 一种水系锌离子电池复合隔膜及制备方法
CN115668576A (zh) * 2020-04-06 2023-01-31 达拉米克有限责任公司 表面活性剂涂覆的隔板
US11404747B1 (en) * 2022-02-18 2022-08-02 ZAF Energy Systems, Incorporated Ceria coatings and structures for zinc-based battery separato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1957A (en) * 1969-07-22 1974-05-21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Battery separators made from polymeric fibers
US4298666A (en) * 1980-02-27 1981-11-03 Celanese Corporation Coated open-celled microporous membranes
US4298668A (en) * 1980-07-03 1981-11-03 Kimberly-Clark Corporation Alkaline battery, electrolyte absorber therefor
US4438185A (en) * 1980-07-31 1984-03-20 Celanese Corporation Hydrophilic polymer coated microporous membranes capable of use as a battery separator
US4359510A (en) * 1980-07-31 1982-11-16 Celanese Corporation Hydrophilic polymer coated microporous membranes capable of use as a battery separator
US4501793A (en) 1983-06-17 1985-02-26 Celanese Corporation Surfactant treated polyolefinic microporous materials capable of multiple re-wetting with aqueous solutions
US4544616A (en) * 1984-02-16 1985-10-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zinc electrode with modified separator and method
US6479190B1 (en) * 2000-09-21 2002-11-12 Celgard Inc. Separator for battery having zinc electr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81549B2 (en) 2011-07-19
KR100676558B1 (ko) 2007-01-30
CN1314143C (zh) 2007-05-02
US20050208372A1 (en) 2005-09-22
US20100279167A1 (en) 2010-11-04
TWI279939B (en) 2007-04-21
EP1577968A2 (en) 2005-09-21
JP2005268225A (ja) 2005-09-29
JP4446069B2 (ja) 2010-04-07
TW200603465A (en) 2006-01-16
CN1670988A (zh) 2005-09-21
SG115759A1 (en) 2005-10-28
CA2498597A1 (en) 200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558B1 (ko) 아연 전극을 갖는 전지를 위한 격리판
US5910366A (en) Thin film composite membrane as battery separator
JP4618831B2 (ja) 親水性ポリオレフィン
US7642012B2 (en) Polymer separator for a lithium battery
US6372379B1 (en) Microporous membrane battery separator for silver zinc batteries
US20150249244A1 (en) Alkali metal-chalcogen battery having low self-discharge and high cycle life and performance
US20110117416A1 (en) Batteries with permanently wet-able fine fiber separators
US20110236762A1 (en) Porous membran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SE466527B (sv) Oeppencelligt mikroporoest membran med en poroes belaeggning samt anvaendning av membranet som batteriseparatormaterial
BRPI0617556A2 (pt) bateria e bateria de lÍtio
US6479190B1 (en) Separator for battery having zinc electrode
WO2017098732A1 (ja) 電解質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解質膜を備えた燃料電池用の膜-電極接合体
JPH08273653A (ja) アルカリ電池用セパレーター及びアルカリ電池
US6682854B2 (en) Battery separator with fluoride-containing inorganic salt
WO2020067031A1 (ja) 鉛蓄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鉛蓄電池
JP2981238B2 (ja) 電池用セパレーター
JPH10275608A (ja) アルカリ亜鉛蓄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アルカリ亜鉛蓄電池
KR101910885B1 (ko) 리튬-황 전지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100264774B1 (ko) 알카리 아연 축전지
JPH0773863A (ja) アルカリ電池用セパレータ
CN117438741A (zh) 一种基于无机氧化物的疏水性锌离子电池隔膜及其在锌电池中的应用
JPS58165243A (ja) ニツケル亜鉛電池
CN114069155A (zh) 一种镍氢低自放电电池用复合隔膜纸的制作方法
JPH10247485A (ja) 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ー
JPH02155159A (ja) アルカリ亜鉛蓄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