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649A -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649A
KR20060043649A KR1020050021411A KR20050021411A KR20060043649A KR 20060043649 A KR20060043649 A KR 20060043649A KR 1020050021411 A KR1020050021411 A KR 1020050021411A KR 20050021411 A KR20050021411 A KR 20050021411A KR 20060043649 A KR20060043649 A KR 20060043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rd
connection cord
bottom cover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7549B1 (ko
Inventor
도시유키 아다치
데쓰야 이노쓰카
Original Assignee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mechanism
    • B60B33/006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mechanism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axis
    • B60B33/0071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mechanism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axis the swivel axis being incl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공간적으로 유리하게 하고, 접속코드의 분리, 끼워 넣기를 억제하여 내구성을 향상하며, 또한 맞붙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차체측의 브래킷에 설치되어 좌우에 각 레버스위치가 설치되는 본체(1)와, 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체측에서 핸들(steering wheel)측으로 통전을 하기 위한 플랫케이블을 지지함과 동시에 좌우의 레버스위치에 대응하여 좌우의 커넥터(connector)지지부(11, 13)를 갖는 바닥커버(3)와, 좌우의 커넥터지지부(11, 13)의 양 끝단의 각 커넥터(15, 17)가 지지되어 각 커넥터(15, 17)가 좌우의 레버스위치에 각각 접속되는 접속코드(5)를 구비한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있어서, 바닥커버(1)의 바깥둘레부에, 코드걸어맞춤부(27)를 돌출설치하고, 접속코드(5)를 코드걸어맞춤부(27)의 바깥둘레부에 걸어맞춤하여 접속코드(5)를 바닥커버(3)의 바깥둘레측에 따라 우회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그 조립방법{COMBINATION SWITCH FOR VEHICL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도 1은 본체와 바닥커버와 접속코드의 조립상태의 사시도이다(실시예 1).
도 2는 본체와 바닥커버와 접속코드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실시예 1).
도 3은 본체와 바닥커버와 접속코드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2와는 다른 위치의 단면도이다(실시예 1).
도 4는 본체와 바닥커버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를 단면으로 한 분해도이다(실시예 1).
도 5는 일부를 단면으로 한 주요부의 확대설명도이다(실시예 1).
도 6은 본체와 바닥커버와 접속코드의 분해사시도이다(실시예 1).
도 7은 제 1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실시예 1).
도 8은 제 2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실시예 1).
도 9는 제 3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실시예 1).
도 10은 바닥커버 및 접속코드가 맞붙어진 본체와 슬립링 및 키각도센서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실시예 1).
도 11은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사시도이다(종래예).
도 12는 바닥커버, 접속코드, 및 코드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종래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바닥커버
5 : 접속코드 11, 13 : 커넥터지지부
15, 17 : 커넥터 27 : 코드걸어맞춤부
29 : 중앙갈고리 31, 33 : 연계갈고리
35 : 앞끝단혀부(앞끝단) 41 : 벽부
43, 45 : 홈부 47 : 본체걸어맞춤부
49 : 본체위치결정돌출부 51 : 센서위치결정돌출부
53 : 세선(細線)
본 발명은,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로서, 예컨대,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이 있다. 도 11은,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사시도, 도 12는 바닥커버, 접속코드 및 코드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과 같이,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101)는, 본체(103)에 좌우의 레버스위치(105, 10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03)의 하면측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닥커버(109)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바닥커버(109)는, 상기 본체 (103)측 내에 수용되는 플랫케이블을 하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커버(109)의 하면에는, 접속코드(111)가 배치되어 있다. 접속코드(111)는, 코드커버(113)의 수용공간(115) 내에 수용되어, 양 끝단의 커넥터(117, 119)가 코드커버(113)의 양 끝단의 커넥터지지부(121, 123)에 걸어 맞춰 유지되어 있다. 이 코드커버(113)가, 상기 바닥커버(109)의 하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코드(111)가 바닥커버(109)의 하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각 커넥터(117, 119)는, 상기 레버스위치(105, 107)측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스위치(105)의 조작에 의해서, 와이퍼, 워셔의 동작지시를 할 수 있고, 레버스위치(107)의 조작에 의해서, 턴시그널, 패싱, 메인디머 전환, 전조등, 안개등 등의 점등소등의 지시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에서는, 바닥커버(109)의 하면측에, 코드커버(113)를 통해 접속코드(111)를 배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바닥커버(109)의 하면측에 공간적인 여유가 없고, 전체적으로 대형화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예컨대 바닥커버(109)의 하면측에 더욱 그 아래쪽에 히터용의 슬립링을 맞붙이는 경우는, 접속코드(1)를 끼우고 바닥커버(109)의 하면에 슬립링 등을 맞붙이는 것이 되어, 맞붙임을 할 수 없거나 상당한 무리를 따를 우려가 있었다.
또한, 접속코드(111)를 코드커버(113)의 수용공간(115) 내에 수용하 도록 하여 바닥커버(109)의 하면에 배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접속코드(111) 그 자체가 조립할 때에 분리하기 쉽고, 분리된 코드가 코드커버(113)와 바닥커버(109)의 사이에 끼워져, 내구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분리된 접속코드(111)가 바닥커버(109)와 코드커버(113)의 사이에 끼워 넣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어, 맞붙임에 곤란이 따른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2-150864호 공보
공간적으로 불리한 점, 접속코드가 분리되기 쉬워 접속코드의 끼워 넣기에 의한 내구성을 손상하는 점, 맞붙임에 곤란이 따르는 점이다.
본 발명은, 공간적으로 유리하고, 접속코드의 끼워 넣기를 억제하여 맞붙임을 쉽게 하기 위해서, 바닥커버의 바깥둘레부에 코드걸어맞춤부를 돌출설치하여, 접속코드를 상기 코드걸어맞춤부의 바깥둘레부에 걸어맞춤시켜서, 상기 접속코드를 상기 바닥커버의 바깥둘레에 따라 우회배치한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공간적으로 유리하고, 접속코드의 분리, 끼워 넣기를 억제하여, 내구성 향상, 맞붙임을 용이하게 한다는 목적을, 최소의 부품점수로 대형화 하지 않고 실현하였다.
[실시예 1]
도 1∼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적용한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주요부를 나타내고, 도 1은 본체와 바닥커버와 접속코드의 조립상태의 사시도, 도 2 는 본체와 바닥커버와 접속코드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같은 도면의 다른 위치의 단면도, 도 4는 본체와 바닥커버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를 단면으로 한 분해도, 도 5는 일부를 단면으로 한 주요부의 확대설명도이다. 또한, 도 1∼도 5에 있어서, 설명상, 본체 등의 상하관계를 차체측으로의 설치상태에 대하여 상하 반대방향으로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나타내는 위쪽이 차체측으로의 부착상태에 있어서 아래쪽이 된다. 또한,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전체의 구성은, 도 11에서 설명한 것으로 거의 같은 형태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도 4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는, 본체(1)와, 바닥커버(3)와, 접속코드(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는, 상기 본체(1)에 대하여 상기 바닥커버(3)가 착탈가능하게 맞붙어지고, 바닥커버(3)의 바깥둘레측에 따라 상기 접속코드(5)가 우회배치 되어 있다. 본체(1)에는, 더욱 핸들측에 설치되는 로터하우징(6)이 연결장치(8)에 의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들 본체(1) 및 바닥커버(3) 사이에 형성되는 케이블수용공간(7)에, 차체측에서 핸들측으로 통전을 하기 위한 플랫 케이블이 수용되어, 바닥커버(3)에 대하여 매끄러운 시트(9)를 통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플랫케이블의 타입에 따라서는, 매끄러운 시트(9)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들 본체(1) 및 바닥커버(3) 사이에 형성되는 케이블수용공간(7)에, 차체측에서 핸들측으로 통전을 하기 위한 플랫케이블이 수용되어, 바닥커버(3)에 대하여 매끄러운 시트(9)를 통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플랫케이블의 타입에 의해서는, 매끄러운 시트(9)를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는 비도전성의 수지로 형성되어, 차체측의 브래킷에 설치된다. 본체(1)에는, 설치부(19, 21)가 좌우에 설치되어 있다. 이 설치부(19, 21)에 스위치 본체인 도 11에서 나타낸 레버스위치가 각각 설치된다. 본체(1)의 안둘레측(1)에는, 바닥커버(3)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계단부(10)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1)의 계단부(10) 내 주위에, 스냅고정각창(23)이 둘레방향에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본체(1)에는, 한쪽에 계단부(10)에 연속하는 지지부(12)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1)에는, 상기 지지부(12)의 대향측에 차체측의 브래킷에 본체(1)를 걸어 맞추게 되는 본체걸어맞춤부(47)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걸어맞춤부(47)는, 본체(1)를 브래킷으로 임시 멈추고 걸어 맞추게 되는 것이다. 본체걸어맞춤부(47)의 양측에, 본체위치결정돌출부(49)와 센서위치결정돌출부(51)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본체위치결정 돌출부(49)는, 상기 브래킷에 대하여 본체(1)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센서위치결정돌출부(51)는, 본체(1)에 대하여 핸들의 조타각도를 검출하는 키각도센서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바닥커버(3)는, 비도전성의 수지로 형성된 도너츠 형상의 판부(14)로 주로 형성되어, 안둘레에 로터하우징(6)을 맞붙임 가능하게 하는 관통구멍(16)이 형성되고, 바깥둘레에 2중의 둘레리브(18, 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커버(3)에는, 상기 좌우의 레버스위치에 대응하여 좌우의 커넥터지지부(11, 13)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커넥터지지부(11, 13)는, 2중의 둘레리브(18, 20)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둘레리브(20)의 바깥둘레면 한쪽에는 커넥터부(22)가 설치되어 있 다.
상기 둘레리브(20)의 바깥둘레면에는, 고정갈고리(25)가 둘레방향소정간격으로 복수개, 예컨대 4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닥커버(3)의 상기 본체(1)에 대한 착탈은, 상기 고정갈고리(25)와 상기 스냅고정각창(23)으로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즉, 바닥커버(3)를 본체(10)에 끼워 넣도록 설치하여, 고정갈고리(25)를 스냅고정각창(23)에 스냅(snap) 걸어 맞추게 되는 것에 의해 바닥커버(3)를 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에서는 특히, 상기 바닥커버(3)의 바깥주위에 코드걸어맞춤부(27)를 설치하여, 상기 접속코드(5)를 상기 코드걸어맞춤부(27)의 바깥둘레부에 걸어 맞추게 되어, 상기 접속코드(5)를 상기 바닥커버(3)의 바깥둘레측에 따라 우회배치하였다.
즉, 상기 코드걸어맞춤부(27)는, 상기 커넥터부(22)의 반대측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중앙갈고리(29) 및 상기 중앙갈고리(29)와 상기 좌우의 커넥터지지부(11, 13) 사이의 연계갈고리(31, 33)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갈고리(29)와 연계갈고리(31, 33)는, 상기 둘레리브(20) 위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중앙갈고리(29) 및 연계갈고리(31, 33)의 높이는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중앙갈고리(29)의 폭이 연계갈고리(31, 33)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계갈고리(31, 33)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갈고리(29)와, 좌우의 커넥터지지부(11, 13)의 사이의 거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중앙갈고리(29) 및 연계갈고리(31, 33)에는, 앞끝단에 앞끝단혀부(35, 37, 39)가 설치되어 있 다. 앞끝단혀부(35, 37, 39)는, 바닥커버(3)의 바깥둘레측을 향하여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에는, 상기 중앙갈고리(29)의 바깥둘레측에 대향하는 벽부(41)와, 상기 벽부(41)의 양측에 위치하여, 본체(1) 안팎둘레측을 연이어 통하여 형성하는 홈부(43, 4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벽부(41)는, 상기 차체측의 브래킷에 본체를 걸어 맞추게 되는 본체걸어맞춤부(47)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43)는, 상기 본체걸어맞춤부(47)와 상기 센서위치결정돌출부(51)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홈부(45)는, 상기 본체 걸어맞춤부(47)와 상기 본체위치결정돌출부(49)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본체(1)에 바닥커버(3)를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앙갈고리(29)의 앞끝단은, 상기 본체(1)의 벽부(41)에 근접형성하여 중앙갈고리(29)의 앞끝단과 본체(1)의 벽부(41)와의 간격을 접속코드(5)의 지름보다도 작게 형성하고 있다. 즉, 중앙갈고리(29)의 앞끝단인 앞끝단 혀부(35)와 본체걸어맞춤부(47)의 벽부(41)와의 간격(C)이 접속코드(5)의 세선(細線)(53) 1개의 지름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코드(5)는, 복수개의 세선을 꼬아 형성한 것으로, 양 끝단에 커넥터(15, 17)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15, 17)는, 상기 좌우의 커넥터지지부(11, 13)에 걸어맞추어 지지되어, 각각 좌우의 레버스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접속코드(5)는, 꼬지 않은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조립방법은, 도 6∼도 9와 같이 하여 행하 여진다. 도 6은 본체와 바닥커버와 접속코드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제 1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제 2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제 3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과 같이 본체(1)와 바닥커버(3)와 접속코드(5)가 분리된 상태로 두고서, 우선 제 1 공정에서는, 도 7과 같이 본체(1)의 본체걸어맞춤부(47)에 상기 접속코드(5)의 중앙부를 걸고, 접속코드(5)의 양측을 홈부(43, 45)를 통해서 본체(1)의 바깥둘레측으로 끌어낸다.
도 8의 제 2 공정에서는, 상기 본체(1)에 바닥커버(3)를 설치하여 상기 벽부(41)와 중앙갈고리(29)의 사이에서 상기 접속코드(5)의 중앙부를 지지한다. 상기 본체(1)에 대한 바닥커버(3)의 고정은, 상기와 같이 고정갈고리(25)가 스냅고정각도창(23)에 스냅걸어맞춤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 때, 접속코드(5)는, 세선(53)이 꼬여진 것으로, 세선(53) 서로의 분리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코드(5)의 홈부(43, 45)를 통과한 끌어내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속코드(5)의 중앙부를 벽부(41)와 중앙갈고리(29)의 사이에서 확실히 유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5와 같이, 중앙갈고리(29)의 앞끝단혀부(35)와 벽부(41)의 간격(C)이, 세선(細線)(53)의 지름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선(53)이 예를 들면 분리되었다고 하더라도, 세선(53)이, 간격(C)에서 중앙갈고리(29)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어, 중앙갈고리(29)와 벽부(41)의 사이에서 접속코드(5)를 확실히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간격(C)에 의해서, 접속코드(5)가 꼬여있지 않고, 분리하기 쉬운 것이 어도, 세선(53)이 중앙갈고리(29)와 벽부(41)의 사이에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여, 접속코드(5)를 중앙갈고리(29)와 벽부(41)의 사이에서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도 9의 제 3 공정에서는, 도 8의 제 2 공정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코드(5)의 양측부인 커넥터(15, 17)측을 본체(1)의 안둘레측으로 반전시켜, 상기 홈부(43, 45)로부터 접속코드(5)를 안둘레측으로 되돌리고, 또한 연계갈고리(31, 33)의 바깥둘레측에 끌어 돌려서 양 끝단의 커넥터(15, 17)를 커넥터지지부(11, 13)에 걸어맞추어 지지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접속코드(5)가 바닥커버(3)의 바깥둘레측에 따라 확실히 우회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이상, 본 발명실시예의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는, 바닥커버(3)의 바깥둘레부에 코드걸어맞춤부(27)를 돌출설치하고, 접속코드(5)를 코드걸어맞춤부(27)의 바깥둘레부에 걸어맞춤시켜, 상기 접속코드(5)를 상기 바닥커버(3)의 바깥둘레측에 따라 우회하여 배치하였기 때문에, 코드커버를 생략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닥커버(3)의 하면에 다른 부재를 맞붙임 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공간적으로 유리한 구조가 된다.
상기 접속코드(5)를 코드걸어맞춤부(27)의 바깥둘레부에 걸어맞춤시켜 우회하여 배치함으로써, 접속코드의 분리를 억제하고, 접속코드의 끼워 넣기를 억제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코드(5)의 분리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조립할 때에 접속코드(5)에 주의할 필요가 없어, 맞붙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코드걸어맞춤부(27)를 중앙갈고리(29) 및 상기 중앙갈고리(29)와 상기 좌우의 커넥터지지부(11, 13) 사이의 연계갈고리(31, 33)로 구성하고, 상기 본체(1)에 상기 중앙갈고리(29)의 바깥둘레측에 대향하는 벽부(41)와, 상기 벽부(41)의 양측에 위치하여 본체(1)의 안팎둘레측을 연이어 통하게 형성하는 홈부(43, 45)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접속코드(5)를 중앙갈고리(29) 및 연계갈고리(31, 33)에 의해서 바닥커버(3)의 바깥둘레에 따라 확실히 우회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조립할 때에는, 본체(1)의 벽부(41)에 접속코드(5)의 중앙부를 걸어, 상기 접속코드(5)의 양측을 홈부(43, 45)를 통해서 본체(1)의 바깥둘레측으로 끌어내는 것에 의해, 접속코드(5)를 끼워 넣지 않고 본체(1)에 대하여 바닥커버(3)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바닥커버(3)를 장착한 후에는, 접속코드(5)의 양측부를 반전하여, 상기 홈부(43, 45)로부터 본체(1)의 안둘레측으로 되돌리고, 접속코드(5)를 연계갈고리(31, 33)의 바깥둘레측으로 끌어 돌려서 양 끝단의 커넥터(15, 17)를 커넥터지지부(11, 13)에 지지시킴으로써, 접속코드(5)를 바닥커버(3)의 바깥둘레측에 따라 용이하게 우회하여 배치 할 수 있다.
상기 벽부(41)가, 차체측의 브래킷으로 본체를 걸어 맞춤시키는 본체걸어맞춤부(47)로 형성되어, 상기 홈부(43, 45)가, 상기 본체걸어맞춤부(47)와 상기 본체걸어맞춤부(47)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브래킷에 대한 위치결정을 위한 본체위치결정돌출부(49) 및 키각도센서의 위치결정을 위한 센서위치결정돌출부(51)의 사이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벽부(41) 및 홈부(43, 45)를 특별히 형성하지 않고, 기존의 부분으로 벽부(41) 및 홈부(43, 45)를 형성할 수 있어,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상기 중앙갈고리(29)의 앞끝단을 상기 본체(1)의 벽부(41)에 근접하게 형성하고, 상기 중앙갈고리(29)의 앞끝단과 상기 본체(1)의 벽부(41)의 간격을 상기 접속코드(5)의 세선(細線)(53)의 지름보다도 작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접속코드(5)의 중앙부를 중앙갈고리(29)와 본체(1)의 벽부(41)의 사이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고, 접속코드(5)의 분리, 맞물림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으며, 접속코드(5)를 확실히 우회하여 배치할 수 있고, 맞붙임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접속코드(5)가 복수개의 세선을 꼬아 놓은 것이기 때문에, 접속코드(5)의 분리를 보다 확실히 억제하고, 접속코드(5)의 맞물림과 확실한 우회배치를 보다 용이하게 행하게 되어, 맞붙임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바닥커버 및 접속코드가 맞붙어진 본체와 슬립링 및 키각도센서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 도 10은, 바닥커버 및 접속코드를 집어넣은 본체(1)에 대하여, 슬립링(55), 키각도센서(57)를 순서대로 집어넣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접속코드(5)를 바닥커버(3)의 바깥둘레측으로 우회하여 배치하면, 바닥커버(3)의 하면에 접속코드(5)가 존재하지 않아, 그만큼 공간이 비어있게 된다. 따라서, 핸들히터용의 슬립링(55) 등을 공간이 비어있는 바닥커버(3)의 하면측에 무리 없이 맞붙일 수 있다. 또한 히터용의 슬립링(55)이 바닥커버(3)의 열린 공간에 수용되는 것에 따라, 키각도센서(57)도 무리 없이 치밀하게 맞붙일 수 있다.
또, 코드걸어맞춤부(27)는, 중앙갈고리(29) 및 연계갈고리(31, 33)를 각각 추가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중앙갈고리(29) 및 연계갈고리(31, 33)를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어, 중앙갈고리(29)로부터 좌우의 커넥터지지부(11, 13)까지 코드걸어맞춤부(27)를 연속으로 형성하고, 상기 코드걸어맞춤부(27)의 커넥터지지부(11, 13)측에 슬릿을 형성하여, 접속코드(5)를 슬릿으로부터 안둘레측으로 끌어내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간격(C)은, 세선(5)보다도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속코드(5)는 꼬아놓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부(41), 홈부(43, 45)는, 본체걸어맞춤부(47)와 본체위치결정 돌출부(49) 및 센서위치결정돌출부(51)와는 관계없이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는, 바닥커버의 바깥둘레부에 코드걸어맞춤부를 돌출설치하고, 접속코드를 코드걸어맞춤부의 바깥둘레부에 걸어맞춤시켜, 상기 접속코드를 상기 바닥커버의 바깥둘레측에 따라 우회하여 배치하였기 때문에, 코드커버를 생략할 수 있음과 함께 바닥커버의 하면에 다른 부재를 맞붙이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공간적으로 유리한 구조가 된다.
상기 접속코드를 코드걸어맞춤부의 바깥둘레부에 걸어맞춤시켜 우회배치함으로써, 접속코드의 분리를 억제하여, 접속코드의 끼워 넣기를 억제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코드의 분리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조립할 때에 접속코드에 주의할 필요가 없어, 맞붙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코드걸어맞춤부를 중앙갈고리 및 상기 중앙갈고리와 상기 좌우의 커넥터지지부 사이의 연계갈고리로 구성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중앙갈고리의 바깥둘레측에 대향하는 벽부와, 상기 벽부의 양측에 위치하여 본체 내 바깥둘레측을 연이어 통하여 형성하는 홈부를 설치한 경우는, 접속코드를 중앙갈고리 및 연계갈고리에 의해서 바닥커버의 바깥둘레에 따라 확실히 우회하여 배치 할 수 있다.
또한, 조립할 때에는, 본체의 벽부에 접속코드의 중앙부를 걸어, 상기 접속코드의 양측을 홈부를 통해서 본체의 바깥둘레측으로 끌어내는 것에 의해, 접속코드를 끼워 넣지 않고 본체에 대하여 바닥커버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바닥커버를 장착한 후에는, 접속코드의 양측부를 반전하여, 상기 홈부로부터 본체의 안둘레측으로 되돌리고, 접속코드를 연계갈고리의 바깥둘레측에 끌어 돌려서 양 끝단의 커넥터를 커넥터지지부에 지지시킴으로써, 접속코드를 바닥커버의 바깥둘레측에 따라 용이하게 우회하여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벽부가, 상기 브래킷에 본체를 걸어맞춤시키는 본체걸어맞춤부로 형성되어, 상기 홈부가 상기 본체걸어맞춤부와 상기 본체걸어맞춤부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브래킷에 대한 위치결정을 위한 본체위치결정돌출부 및 키각도센서의 위치결정을 위한 센서위치결정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된 경우는, 벽부 및 홈부를 특별히 형성하지 않고, 기존의 부분에서 벽부 및 홈부를 형성할 수 있어,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상기 중앙갈고리의 앞끝단을 상기 본체의 벽부에 근접형성하고, 상기중앙갈고리의 앞끝단과 상기 본체의 벽부의 간격을 상기 접속코드의 지름보다도 작게 형 성한 경우는, 접속코드의 중앙부를 중앙갈고리와 본체의 벽부의 사이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어, 접속코드의 분리, 맞물림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어, 접속코드를 확실히 우회하여 배치할 수 있고, 맞붙임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접속코드가 복수개의 세선을 꼬아놓은 것인 경우는, 접속코드의 분리를 보다 확실히 억제하고, 접속코드의 맞물림과 확실한 우회배치를 보다 용이하게 하여, 맞붙임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조립방법은, 상기 본체의 본체걸어맞춤부에 상기 접속코드의 중앙부를 걸어 상기 접속코드의 양측을 상기홈부를 통해서 바깥둘레측으로 끌어내는 제 1 공정과, 상기 본체에 상기 바닥커버를 설치하여 상기 본체걸어맞춤부와 코드걸어맞춤부의 사이에서 상기 접속코드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접속코드의 양측부를 반전하여 상기 홈부로부터 안둘레측으로 되돌리고 또한 코드걸어맞춤부의 바깥둘레측에 끌어 돌려서 양 끝단의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지지부에 지지시키는 제 3 공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체에 접속코드를 유지시키면서 바닥커버를 설치할 때에, 접속코드가 바닥커버의 설치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본체의 바깥둘레측으로 끌어내어 둘 수 있어, 바닥커버를 본체에 대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체에 바닥커버를 설치한 후에는, 접속코드의 양측부를 반전하여 홈부로부터 본체의 안둘레측으로 용이하게 되돌리고, 접속코드의 우회배치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Claims (6)

  1. 차체측의 브래킷에 설치되고 좌우에 각 스위치본체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차체측에서 핸들측으로 통전을 하기 위한 플랫케이블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좌우의 스위치본체에 대응하여 좌우의 커넥터지지부를 갖는 바닥커버와,
    상기 좌우의 커넥터지지부에 양 끝단의 각 커넥터가 지지되어 상기 각 커넥터가 상기 좌우의 스위치본체에 각각 접속되는 접속코드를 구비한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커버의 바깥둘레부에, 코드걸어맞춤부를 돌출설치하고,
    상기 접속코드를 상기 코드걸어맞춤부의 바깥둘레부에 걸어맞춤시켜서 상기 접속코드를 상기 바닥커버의 바깥둘레측에 따라 우회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걸어맞춤부를, 중앙갈고리 및 상기 중앙갈고리와 상기 좌우의 커넥터지지부 사이의 연계갈고리로 구성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중앙갈고리의 바깥둘레측에 대향하는 벽부와 상기 벽부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의 안팎둘레측을 연이어 통하여 형성하는 홈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브래킷으로 본체를 걸어맞춤시키는 본체걸어맞춤부로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본체걸어맞춤부와 상기 본체걸어맞춤부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브래킷에 대하여 위치결정하기 위한 본체위치결정돌출부 및 상기 본체에 대하여 키각도센서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센서위치 결정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갈고리의 앞끝단을 상기 본체의 벽부에 근접하게 형성하여 상기 중앙갈고리의 앞끝단과 상기 본체의 벽부의 간격을 상기 접속코드의 지름보다도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코드는, 복수개의 세선(細線)을 꼬아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콤비네이션스위치.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조립방법으로서,
    상기 본체의 본체걸어맞춤부에 상기 접속코드의 중앙부를 걸어서 상기 접속코드의 양측을 상기 홈부를 통해서 본체의 바깥둘레측으로 끌어내는 제 1 공정과,
    상기 본체에 상기 바닥커버를 설치하여 상기 벽부와 코드걸어맞춤부의 사이 에서 상기 접속코드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접속코드의 양측부를 반전하여 상기 홈부로부터 본체의 안둘레측으로 되돌리고 또한 코드걸어맞춤부의 바깥둘레측에 끌어 돌려서 양 끝단의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지지부에 지지시키는 제 3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조립방법.
KR1020050021411A 2004-03-17 2005-03-15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그 조립방법 KR101057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75961 2004-03-17
JP2004075961A JP4301981B2 (ja) 2004-03-17 2004-03-17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その組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649A true KR20060043649A (ko) 2006-05-15
KR101057549B1 KR101057549B1 (ko) 2011-08-17

Family

ID=3483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411A KR101057549B1 (ko) 2004-03-17 2005-03-15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62378B2 (ko)
EP (1) EP1577161B1 (ko)
JP (1) JP4301981B2 (ko)
KR (1) KR101057549B1 (ko)
DE (1) DE602005004820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624B1 (ko) * 2009-10-27 2011-04-0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94538B1 (en) * 2006-12-27 2011-09-14 Autoliv Development AB A safety arrangement
KR101118851B1 (ko) 2009-12-14 2012-03-16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9375A (ja) * 1997-01-17 1998-07-31 Yazaki Corp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H10228844A (ja) 1997-02-14 1998-08-25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の構造
US6172314B1 (en) * 1997-05-20 2001-01-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utomotive combination switch
DE19958505C2 (de) * 1999-12-04 2003-04-10 Delphi Tech Inc Lenkstockschalteranordnung
KR200183574Y1 (ko) * 1999-12-15 2000-05-15 대성전기공업주식회사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조립체
JP4629854B2 (ja) 2000-11-14 2011-02-09 ナイルス株式会社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JP3958645B2 (ja) * 2001-08-10 2007-08-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フラットケーブルの取付け構造
JP2003141972A (ja) 2001-11-01 2003-05-16 Niles Parts Co Ltd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US6854977B2 (en) * 2002-09-13 2005-02-15 Trw Inc. Steering wheel rotary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624B1 (ko) * 2009-10-27 2011-04-0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08800A1 (en) 2005-09-22
US7262378B2 (en) 2007-08-28
EP1577161A3 (en) 2006-09-20
DE602005004820D1 (de) 2008-04-03
EP1577161A2 (en) 2005-09-21
DE602005004820T2 (de) 2009-02-19
EP1577161B1 (en) 2008-02-20
KR101057549B1 (ko) 2011-08-17
JP2005262945A (ja) 2005-09-29
JP4301981B2 (ja)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7860B2 (en) Speaker installation structure
US6431642B2 (en) Grommet and fixing structure thereof
US7731543B2 (en) Shielded connector
KR101355446B1 (ko) 안전 장치
KR101057549B1 (ko)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그 조립방법
JP2007204040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トリムプレート
KR20040076208A (ko) 트렁크리드 래치 릴리스를 해체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방법및 이를 위한 어셈블리
JP4338581B2 (ja) 車両用室内照明灯
CN103681048A (zh) 车辆用按钮开关
US20160169470A1 (en) Compact Lighting System With LEDs
CN111746663B (zh) 车轮罩构造
RU144769U1 (ru) Рулевое колесо с подушк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KR102529731B1 (ko) 체결형 그로멧
EP2695259B1 (en) Electric junction box comprising a wire guiding out portion having a tape winding structure
KR101824401B1 (ko) 자동차의 와이어 고정용 클립
JP2009259022A (ja) 車両のレバーブーツ取付構造
JP4059819B2 (ja) 盗難防止鍵取付け構造
CN213082924U (zh) 拖拉机开关盒装置以及拖拉机
JP5948978B2 (ja) センサ用コネクタ
JP4396844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カバー取付構造
CN114502432A (zh) 织物承载式布线
EP2599703A2 (en) Handle switch device
KR200389887Y1 (ko) 와이어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커버조립구조
KR100231562B1 (ko)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
KR200145748Y1 (ko) 차량용 프론트 콤비네이션 램프 조립체의 램프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