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397A -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397A
KR20060041397A KR1020040090472A KR20040090472A KR20060041397A KR 20060041397 A KR20060041397 A KR 20060041397A KR 1020040090472 A KR1020040090472 A KR 1020040090472A KR 20040090472 A KR20040090472 A KR 20040090472A KR 20060041397 A KR20060041397 A KR 20060041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olen
theft
terminal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9372B1 (ko
Inventor
독고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0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372B1/ko
Priority to CNA2005100707530A priority patent/CN1774024A/zh
Publication of KR20060041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37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도난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차량도난 확인단계와, 상기 차량도난 확인단계중에 확인한 결과 현재 차량이 도난상태에 있을 경우 차량에 탑재된 무선송수신장치가 차량의 위치좌표를 생성하여 기지국시스템부로 전송하는 차량도난신호 송출단계와, 상기 차량도난신호 송출단계후에 기지국시스템부가 해당 차량의 위치정보를 저장관리하고 해당 차량의 도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와 도난차량의 최근접경로상에 위치한 방범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로 전송처리하는 차량도난정보 처리단계와, 상기 차량도난정보 처리단계후에 도난차량과 최근접 경로상에 위치한 방법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가 도난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도난차량 추적단계로 이루어진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내에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GPS 송수신기능이 구비된 단말기를 장착하고 차량도난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차량을 추적하고 아울러 차량의 내부의 음성신호도 검출해내어 차량내부의 상황을 파악하므로써, 이동통신망을 통해 도난 차량의 위치와 그 내부 상황을 파악하여 도난차량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차량도난,무선송수신장치부, 도난검출센서, 사용자 단말기, 무선추적단말기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Vehicle theft prevention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도 1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도난방지기능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도난방지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차량 2 : 도난검출센서
3 : 무선송수신장치부 4 : 이동통신단말기
5 : 무선추적단말기 6 : 기지국시스템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내에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GPS 송수신기능이 구비된 단말기를 장착하고 차량도난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차량을 추적하고 아울러 차량의 내부의 음성신호도 검출해내어 차량내 부의 상황을 파악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시스템은 각 개인이 1인 1대의 소형 휴대 단말(약 100~ 150g)을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2GHz 대역의 전파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방식 무선 통신을 하는 서비스시스템을 지칭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개인 휴대 통신의 이러한 정의는 사용되는 기술이나 시스템과는 독립적인 개념을 말하는데, 자유화와 경쟁을 통하여 다양한 기술과 망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일반 대중이 유선 전화와 별 차이 없는 낮은 가격으로 특히, 도심이나 교외에서 이동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것과, 주택이나 사무실 같은 장소나 차량과 연관된 번호가 아니라 개인의 고유 번호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이동통신시스템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과 시스템이 유럽을 비롯한 각국에서 연구 개발되어 왔는데, 그중에서도 영국이 1988년에 제2세대 코드 없는 전화(CT-2) 기술을 이용한 텔레포인트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1989년에 '이동하는 전화(Phones on the Move)'라는 개념을 발표하고 이것을 실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 통신망(PCN) 규격을 발표했다. 이것은 셀룰러 기술의 유럽 표준인 전 지구적 이동 통신 시스템(GSM)과 디지털 CT-2의 유럽 표준인 디지털 유럽형 코드 없는 전화 시스템(DECT)을 기반으로 한 PCS 시스템이다. 그에 더하여1.8GHz대에서 2ㅧ75MHz의 광대역 주파수를 사용하여 인구가 조밀한 도시 지역에 km2당 10만 명의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초소형 마이크로 셀의 망을 구축하여, 가입 자들이 소형 휴대 단말기 즉, 휴대폰이나 PDA를 가지고 음성 통신과 몇 가지의 부가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더나아가, 상기와 같은 개인휴대통신의 개념을 세계적인 규모로 확대, 망과는 독립적인 개인 번호를 사용하여 세계 어디에서도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ITU-T에서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 범세계 개인 통신(UPT)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다수의 단말기(70)로부터 전송된 기능신호 예컨대, 호신호나 SMS 메시지등을 무선으로 처리하는 기지국시스템(71)과, 상기 기지국시스템(71)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호신호나 SMS메시지의 전송기능을 제어하는 MSC(72)와, 상기 MSC(72)에 연결되어 단말기(70)로 SMS메시지를 제공하는 SMS 메시지센터(7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단말기(70)의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예컨대, SMS메시지에 실어 타단말기로 전송하기를 원할 경우 단말기(70)의 사용자는 단말기(70)의 키패드(74)를 통해 LCD패널(75)상에 표시된 해당 메뉴를 선택한 다음 필요한 문자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문자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기(70)의 사용자는 목적지 전화번호와 함께 전송버튼을 누르게 된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70)는 현재 사용자가 입력시켜준 문자데이터를 SMS메시지에 실어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70)의 SMS메시지신호는 기지국시스템(71)과 MSC(72)를 경유하여 SMS 메시지센터(73)로 입력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SMS 메시지센터(73)는 입력된 SMS 메시지의 목적지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MSC(72)로 전송한다. 그 러면, 상기 MSC(72)는 SMS 메시지센터(73)로부터 전송된 SMS메시지신호를 상대방 단말기(76)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상대방 단말기(76)는 수신한 SMS메시지신호를 분석하고 해당 신호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의 또다른 실시예로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차량(77)에 탑재된 채로 차량이 도난을 당할 경우인데,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70)의 핸드오프상태를 추적하여 도난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는 인터넷검색이나 기타 동영상 재생기능과 같은 편의기능들을 구비하고 있기는 하나 사용자가 원하는 특별한 기능 예컨대, 차량 도난시 이를 추적할 수 있는 추적정보를 산출하는 기능과 같은 특별한 기능들을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의 필요에 적절히 부흥하지 못하였으며, 또한, 이동통신단말기가 탑재된 차량의 도난시에 단말기의 핸드오프상태를 체킹하여 도난차량을 추적하는 방법도 위치추적의 정확성과 차량내부의 상황을 전혀 알 수가 없어 차량도난을 적절히 해결하는데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도난 차량의 위치와 그 내부 상황을 파악하여 도난차량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이동통신시스템의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자신 의 차량이 도난되는 것을 감시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성도 상당히 향상시키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일정위치에 설치되어 비정상적으로 차량이 운행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도난검출센서와, 상기 차량의 내부에 탑재되어 상기 도난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차량도난발생신호에 따라 GPS위성을 통한 위치좌표정보를 포함한 차량도난 신호메시지신호를 송출함과 더불어 차량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성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무선송수신장치부와, 상기 무선송수신장치부로부터 전송된 차량도난 신호메시지신호에 따라 무선송수신장치부를 통해 차량내의 음성호 채널을 형성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무선송수신장치부를 위치좌표를 추적관리하고 핸드오프시 무선송수신장치부의 위치좌표정보를 핸드오프된 지역의 방범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로 전송함과 더불어 현재 음성호채널이 형성된 이동통신단말기도 해당 지역으로 핸드오프시키는 기지국시스템부로 이루어지는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차량이 도난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차량도난 확인단계와, 상기 차량도난 확인단계중에 확인한 결과 현재 차량이 도난상태에 있을 경우 차량에 탑재된 무선송수신장치가 차량의 위치좌표를 생성하여 기지국시스템부로 전송하는 차량도난신호 송출단계와, 상기 차량도난신호 송출단계후에 기지국시스템부가 해당 차량의 위치정보를 저장관리하고 해당 차량의 도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와 도난차량의 최근접경로상에 위치한 방범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로 전송처리하는 차량도난정보 처리단계와, 상기 차량도난정보 처리단계후에 도난차량과 최근접 경로상에 위치한 방법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가 도난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도난차량 추적단계로 이루어진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1)의 일정위치에 설치되어 비정상적으로 차량이 운행할 경우 예컨대, 정상적인 키조작이 아닌 방법으로 차량(1)의 엔진이 구동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도난검출센서(2)와, 상기 차량(1)의 내부에 탑재되어 상기 도난검출센서(2)에 의해 검출된 차량도난발생신호에 따라 GPS위성을 통한 위치좌표정보를 포함한 차량도난 신호메시지신호를 송출함과 더불어 차량(1)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성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무선송수신장치부(3)와, 상기 무선송수신장치부(3)로부터 전송된 차량도난 신호메시지신호에 따라 무선송수신장치부(3)를 통해 차량내의 음성호 채널을 형성하는 이동통신단말기(4)와, 상기 무선송수신장치부(3)를 위치좌표를 추적관리하고 핸드오프시 무선송수신장치부(3)의 위치좌표정보를 핸드오프된 지역의 방범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5)로 전송함과 더불어 현재 음성호채널이 형성된 이동통신단말기(4)도 해당 지역으로 핸드오프시키는 기지국시스템부(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시스템부(6)에는 도난차량(1)의 무선송수신장치부(3)로부터 송출된 차량도난에 따른 위치신호 및 음성호신호를 처리하는 방법기관 예컨 대, 경찰기관내에 구비된 무선추적단말기(5)가 무선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송수신장치부(3)는 내부의 마이크를 통해 차량 내부의 음성신호를 검출하고 GPS위성으로부터 위치좌표를 송출받아 PDE(Position determination entity)를 통해 차량의 위치좌표를 계산한다.
다음에는 상기와같은 구성으로된 본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상태(S1)에서 차량도난 확인단계(S2)로 진행하여 현재 차량이 도난상태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차량도난 확인단계(S2)중에 현재 차량이 도난상태에 있지 않고 정상구동상태에 있을 경우 현상태를 종료하고 대기상태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차량도난 확인단계(S2)중에 확인한 결과 현재 차량이 도난상태에 있을 경우 차량도난신호 송출단계(S3)로 진행하여 차량에 탑재된 무선송수신장치가 차량의 위치좌표를 생성하여 기지국시스템부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도난신호 송출단계(S3)후에 차량도난정보 처리단계(S4)로 진행하여 기지국시스템부가 해당 차량의 위치정보를 저장관리하고 해당 차량의 도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와 도난차량의 최근접경로상에 위치한 방범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로 전송처리한다. 또한, 상기 차량도난정보 처리단계(S4)후에 도난차량 추적단계(S5)로 진행하여 도난차량과 최근접 경로상에 위치한 방법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가 도난차량의 위치를 추적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된다.
여기서, 상기 도난차량 추적단계(S5)에는 차량의 무선송수신장치부와 음성채널을 형성하여 차량내부의 음성신호를 사용자 단말기와 방범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로 동시에 검출하는 음성신호 검출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성신호 검출단계에는 차량의 무선송수신장치부와 음성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방범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간에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음성통화 동시실행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도난차량 추적단계(S5)후에 핸드오프 확인단계(S6)로 진행하여 현재 도난된 차량의 무선송수신장치가 핸드오프되었는 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핸드오프 확인단계(S6)중에 확인한결과 현재 도난된 차량의 무선송수신장치가 핸드오프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도난차량 추적단계(S5)로 복귀하여 루프를 반복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핸드오프 확인단계(S6)중에 확인한결과 현재 도난된 차량의 무선송수신장치가 핸드오프되었을 경우 지속추적단계(S7)로 진행하여 기지국시스템부가 도난차량의 위치좌표정보를 핸드오프된 지역에 도난차량과 최근접 경로상에 위치한 방법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로 전송하여 지속추적하게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해당지역으로 핸드오프시킨다.
환언하면, 차량(1)의 일정한 위치에 설치된 도난검출센서(2)는 현재 정상적으로 차량(1)이 구동되는 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신호를 무선송수신장치부(3)로 입력시키게 되는데, 예컨대, 상기 차량(1)이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구동될 경우 상기 도난검출센서(2)는 이를 검출하여 무선송수신장치부(3)로 입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차량(1)의 내부에 탑재되어 있는 무선송수신장치부(3)는 상기 도난검출센서(2)로부터 입력된 검출신호에 따라 현재 차량(1)이 도난상태임을 판단하여 GPS을 통해 계산한 차량의 위치좌표와 사용자 단말기(4)의 전화번호를 기지국시스템부(6)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시스템부(6)는 현재 도난된 차량(1)의 무선송수신장치 부(3)로부터 무선전송된 위치정보를 저장관리한 다음 해당 차량의 도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와 도난 차량(1)의 최근접경로상에 위치한 방범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5)로 전송처리한다.
이때, 상기 도난 차량(1)과 최근접 경로상에 위치한 방법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5)는 네비게이션시스템을 통해 도난 차량(1)의 위치를 추적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된다.
여기서, 상기 방범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5)와 사용자 단말기(4)는 차량(1)의 무선송수신장치부(3)와 음성채널을 형성하여 차량내부의 음성신호를 동시에 검출할 수가 있는데, 이렇게 할 경우 무선추적단말기(5)나 사용자 단말기(4)에서 현재 차량(1)의 내부에 벌어지는 상황을 음성신호로 파악할 수가 있다.
즉, 상기 차량(1)의 무선송수신장치부(3)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4)나 혹은 방범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5)로부터 기지국시스템부(6)를 통해 음성호 연결신호가 입력될 경우 무선송수신장치부(3)에 구비된 마이크(도시안됨)를 통해 차량(1)의 내부에 들려오는 음성신호를 검출하여 사용자 단말기(4)나 혹은 방범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5)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차량(1)의 무선송수신장치부(3)와 음성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4)와 방범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5)간에는 서로 음성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어 서로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도난된 차량(1)의 무선송수신장치부(3)가 이동을 하다가 핸드오프될 경우 기지국시스템부(6)는 도난차량의 위치좌표정보를 핸드오프된 지역에 도난차량과 최근접 경로상에 위치한 방법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5)로 전송하여 지속추적하게하고 사용자 단말기(4)를 해당지역으로 핸드오프시킨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내에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GPS 송수신기능이 구비된 단말기를 장착하고 차량도난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차량을 추적하고 아울러 차량의 내부의 음성신호도 검출해내어 차량내부의 상황을 파악하므로써, 이동통신망을 통해 도난 차량의 위치와 그 내부 상황을 파악하여 도난차량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이동통신시스템의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차량이 도난되는 것을 감시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성도 상당히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차량의 일정위치에 설치되어 비정상적으로 차량이 운행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도난검출센서와, 상기 차량의 내부에 탑재되어 상기 도난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차량도난발생신호에 따라 GPS위성을 통한 위치좌표정보를 포함한 차량도난 신호메시지신호를 송출함과 더불어 차량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성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무선송수신장치부와, 상기 무선송수신장치부로부터 전송된 차량도난 신호메시지신호에 따라 무선송수신장치부를 통해 차량내의 음성호 채널을 형성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무선송수신장치부를 위치좌표를 추적관리하고 핸드오프시 무선송수신장치부의 위치좌표정보를 핸드오프된 지역의 방범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로 전송함과 더불어 현재 음성호채널이 형성된 이동통신단말기도 해당 지역으로 핸드오프시키는 기지국시스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수신장치부는 차량 내부의 음성신호를 검출하는 마이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
  3. 차량이 도난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차량도난 확인단계와, 상기 차량도난 확인단계중에 확인한 결과 현재 차량이 도난상태에 있을 경우 차량에 탑재된 무선송수신장치가 차량의 위치좌표를 생성하여 기지국시스템부로 전송하는 차량도난신호 송 출단계와, 상기 차량도난신호 송출단계후에 기지국시스템부가 해당 차량의 위치정보를 저장관리하고 해당 차량의 도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와 도난차량의 최근접경로상에 위치한 방범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로 전송처리하는 차량도난정보 처리단계와, 상기 차량도난정보 처리단계후에 도난차량과 최근접 경로상에 위치한 방법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가 도난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도난차량 추적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차량 추적단계에는 차량의 무선송수신장치부와 음성채널을 형성하여 차량내부의 음성신호를 사용자 단말기와 방범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로 동시에 검출하는 음성신호 검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 검출단계에는 차량의 무선송수신장치부와 음성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방범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간에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음성통화 동시실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의 제어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차량 추적단계후에는 현재 도난된 차량의 무선송수신장치가 핸드오프되었는 지를 확인하는 핸드오프 확인단계와, 상기 핸드오프 확인단계중에 확인한결과 현재 도난된 차량의 무선송수신장치가 핸드오프되었을 경우 기지국시스템부가 도난차량의 위치좌표정보를 핸드오프된 지역에 도난차량과 최근접 경로상에 위치한 방범기관의 무선추적단말기로 전송하여 지속추적하게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해당지역으로 핸드오프시키는 지속추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40090472A 2004-11-08 2004-11-08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39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472A KR100639372B1 (ko) 2004-11-08 2004-11-08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A2005100707530A CN1774024A (zh) 2004-11-08 2005-05-18 利用移动通信网的防止车辆被盗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472A KR100639372B1 (ko) 2004-11-08 2004-11-08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397A true KR20060041397A (ko) 2006-05-12
KR100639372B1 KR100639372B1 (ko) 2006-10-26

Family

ID=3676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472A KR100639372B1 (ko) 2004-11-08 2004-11-08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39372B1 (ko)
CN (1) CN177402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04792B1 (en) * 2009-03-06 2013-12-25 Honda Motor Co., Ltd. Abnormality detection and vehicle tracking device
KR101580416B1 (ko) * 2014-12-09 2015-12-24 김형욱 도난차량 추적 시스템
CN105407460A (zh) * 2015-11-03 2016-03-16 徐承柬 一种预设区域内设备的追踪方法和系统
CN108773435A (zh) * 2018-06-13 2018-11-09 浙江天地人科技有限公司 一种追踪防盗系统和方法以及网关标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74024A (zh) 2006-05-17
KR100639372B1 (ko) 200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5589B2 (ja) 事前登録を通しての高速ハンドオーバ
US6987975B1 (en) Method of generating control signals based on location of radio terminals
EP1454459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coupling location information
EP1472898B1 (en) Method for initiating an emergency call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n emergency call
US7336933B2 (en) Method of maintaining communication with a device
KR100639372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도난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18210A (ko) 위치정보 음성안내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 및 그제어방법
JPH06315005A (ja) 無線電話装置
JP2005308410A (ja) 位置検出装置
JP2007151049A (ja) 圏外告知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
KR20060027875A (ko) 무선식별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26221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미아의 위치 추적 방법
JP2002262336A (ja) 携帯無線機
KR100594444B1 (ko) 일정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제어방법
KR100515417B1 (ko) 수신자 위치를 통화 상대방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JP2004312439A (ja) 携帯通信装置
EP0986272B1 (en) Portable messag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12139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차량 정보 전송 방법과 장치 및시스템
KR100547373B1 (ko) 무전기 겸용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모드 자동 전환방법
KR100660994B1 (ko) 모바일 단말기 시스템
KR100639331B1 (ko) 탑승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39367B1 (ko) 고유번호인식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H11285076A (ja) 移動体用緊急通報装置及び媒体
JP2001292469A (ja) 無線通信端末
JP2002152061A (ja) 緊急信号発信装置付き携帯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