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0897A - 고밀도재료펌프 - Google Patents

고밀도재료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0897A
KR20060040897A KR1020040089843A KR20040089843A KR20060040897A KR 20060040897 A KR20060040897 A KR 20060040897A KR 1020040089843 A KR1020040089843 A KR 1020040089843A KR 20040089843 A KR20040089843 A KR 20040089843A KR 20060040897 A KR20060040897 A KR 20060040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driving
cylinders
cylind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4462B1 (ko
Inventor
강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헤
Priority to KR1020040089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4462B1/ko
Publication of KR20060040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02Hydraulic systems to change the pump deliv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1/00Pump parameters
    • F04B2201/02Piston parameters
    • F04B2201/0201Position of the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1/00Pump parameters
    • F04B2201/02Piston parameters
    • F04B2201/0202Linear speed of the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Slurry pumps, e.g.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피스톤과 공급피스톤을 연결하여 이동하는 피스톤로드의 로드연결부를 물상자의 양측면에 장착된 감지부에서 감지하여 피스톤로드의 속도와 위치를 확인함과 동시에 피스톤로드의 반전시기를 미리 판단하고, 구동피스톤을 위치센서에서 감지하여 반전동작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두 개의 구동실린더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오일의 설정된 양을 확인하여 부족하면 유입하고, 남으면 방출시키도록 수정밸브를 일시적으로 개폐시켜 구동피스톤이 기준위치에서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으므로 공급실린더의 내부에서 콘크리트의 경화를 막고, 구동피스톤이 구동실린더의 내부에서 충돌하지 않음으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고밀도재료펌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밀도재료펌프{Hidensity Material Pump}
도 1은 선출원된 고밀도재료펌프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공급실린더 24',24": 구동실린더
26',26": 공급피스톤 28',28": 피스톤로드
30',30": 구동피스톤 42: 유압펌프
100: 감지부 110: 제1감지센서
120: 제2감지센서 200: 제어부
300: 수정밸브
본 발명은 레미콘차량에서 공급되는 콘크리트를 건물의 타설위치까지 전달하는 고밀도재료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밀도재료펌프는, 레미콘차량의 내부에 모래, 자갈, 물, 시멘트 등을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공급받아 타설위치까지 압송하는 장치로, 이는 2003년 특허출원제 7000141호로 출원하여 특허 2003-15369호로 공개된 고밀도재료펌프가 사용되었다.
선 공개된 고밀도재료폄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에 위치한 개구부를 통해 재료공급부분(14) 내부로 개방되는 두 개의 공급실린더(10)를 가지고, 피스톤로드측부 및 피스톤헤드측부의 펌프연결부(34')(34")(36')(36")를 통해 전환가능한 유압펌프(42)에 연결되는 두 개의 구동실린더(24')(24")를 가지며, 상기 유압펌프(42)와 마주보는 구동실린더(24')(24")들의 단부들과 상호작용하는 순환오일라인(44)을 가지고, 구동실린더(24')(24")의 구동피스톤(30')(30") 및 공급실린더(10)의 공급피스톤(26)이 공통의 피스톤로드(28)를 통해 쌍을 이루며 강하게 연결되며, 각 단부위치들에서 구동피스톤(30')(30") 위에 연결되고 체크밸브(46)를 포함하며 구동실린더(24')(24")들의 두 개의 단부들이 구성된 영역내에 연결되는 동일화라인(48)들을 가지고, 유압펌프(42)의 전환작용을 제어하기 위해 구동피스톤(30')(30")의 통과에 응답하여 단부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어장치(51)에 연결되며 구동실린더(24')(24")들의 단부들 중 한 개로부터 정해진 거리에 제공되는 두 개의 위치센서(52')(52")들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고밀도재료펌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는 구동피스톤의 위치를 위치센서가 감지하여 구동피스톤이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나, 구동실린더의 내측에 저장된 순환오일은 구동실린더의 헤드부와 로드부의 압력차이 때문에 구동피스톤을 통과하는 오일이 발생하는데, 이때, 상기 구동실린더의 내부에 설정된 기준량보다 오일이 부족하게 되면, 구동피스톤의 이동거리가 감소되어 공급실린더로 콘크리트를 정확하게 배출시키지 못함과 동시에 공급실린더의 내부에 경화상태의 콘크리트가 형성되어 마찰마모를 증가시켜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구동실린더의 내부에 설정된 기준량보다 오일이 많으면, 구동실린더의 내부에서 구동피스톤의 이동거리가 증가되고 공급피스톤과 구동실린더의 내면이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오동작을 일으키게 되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목적은, 구동피스톤과 공급피스톤을 연결하여 이동하는 피스톤로드의 로드연결부를 물상자의 양측면에 장착된 감지부에서 각각 감지하여 피스톤로드의 속도와 위치를 확인함과 동시에 피스톤로드의 반전시기를 미리 판단하고, 구동피스톤을 위치센서와 감지센서에서 감지하여 반전동작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두 개의 구동실린더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오일의 설정된 양을 확인하여 부족하면 유입하고, 남으면 방출시키도록 수정밸브를 일시적으로 개폐시켜 구동피스톤이 기준위치에서 동작할 수 있으므로 공급실린더의 내부에서 콘크리트의 경화를 막고, 구동피스톤이 구동실린더의 내부에서 충돌하지 않는 고밀도재료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피스톤과 공급피스톤을 연결한 한 쌍의 피스톤로드의 로드연결부가 물상자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상기 물상자의 양측에 구동피스톤과 공급피스톤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구동실린더와 공급실린더를 장착하며, 상기 구동실린더에 저장된 오일이 구동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순환오일라인이 구동실린더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실린더의 내부에 구동피스톤의 위치를 위치센서에서 감지하여 유압펌프의 전환작업을 제어장치에서 제어하는 고밀도재료펌프에 있어서,
상기 물상자의 내부로 이동하는 피스톤로드의 로드연결부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피스톤과 위치센서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도록 물상자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제1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1감지센서를 경유하여 이동하는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장착된 구동피스톤을 위치센서에서 감지하여 유압펌프의 반전동작으로 구동실린더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는 구동피스톤을 위치센서에서 감지함과 동시에 구동실린더의 내부에 전방으로 이동되는 피스톤로드의 로드연결부를 감지하는 위치에 따라 구동실린더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의 양을 판단할 수 있도록 물상자의 내부 타측에 장착되는 제2감지센서가 구비된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제1감지센서에서 로드연결부를 감지하여 이동하는 피스톤로드 의 단부에 장착된 구동피스톤과 위치센서의 거리를 판단하고, 판단된 거리에 따라 구동피스톤의 이동속도와 그에 따른 구동피스톤의 반전시기를 계산하여 유압펌프를 작동시켜 피스톤로드가 반전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감지센서의 로드연결부 감지신호위치에 따라 구동실린더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의 양을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오일 양 판단에 따라 구동실린더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의 양이 부족하면 유입시키고, 많으면 방출시켜 설정된 양만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는 수정밸브가 순환오일라인에 장착되는 것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구동피스톤(30')(30")과 공급피스톤(26')(26")을 연결한 한 쌍의 피스톤로드(28')(28")의 로드연결부(28a)(28b)가 물상자(32)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상기 물상자(32)의 양측에 구동피스톤(30')(30")과 공급피스톤(26')(26")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구동실린더(24')(24")와 공급실린더(10')(10")를 장착하며, 상기 구동실린더(24')(24")에 저장된 오일이 구동피스톤(30')(3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순환오일라인(44)이 구동실린더(24')(24")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실린더(24')의 내부에 구동피스톤(30')의 위치를 위치센서(52')(52")에서 감지하여 유압펌프(42)의 전환작업을 제어장치(51)에서 제어하는 고밀도재료펌프에 있어서, 상기 물상자(32)의 내부로 이동하는 피스톤로드(28')의 로드연결부(28a)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피스톤(30')과 위치센서(52')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도록 물상자(32)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제1감지센서(1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감지센서(110)를 경유하여 이동하는 피스톤로드(28')의 단부에 장착된 구동피스톤(30')을 위치센서(52')에서 감지하여 유압펌프(42)의 반전동작으로 구동실린더(24')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는 구동피스톤(30')을 위치센서(52")에서 감지함과 동시에 구동실린더(24")의 내부에 전방으로 이동되는 피스톤로드(28")의 로드연결부(28b)를 감지하는 위치에 따라 구동실린더(24')(24")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의 양을 판단할 수 있도록 물상자(32)의 내부 타측에 장착되는 제2감지센서(120)가 구비된 감지부(1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감지부(100)의 제1감지센서(110)에서 로드연결부(28a)를 감지하여 이동하는 피스톤로드(28')의 단부에 장착된 구동피스톤(30')과 위치센서(52')의 거리를 판단하고, 판단된 거리에 따라 구동피스톤(30')의 이동속도와 그에 따른 구동피스톤(30')의 반전시기를 계산하여 유압펌프(42)를 작동시켜 반전동작을 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감지센서(120)의 로드연결부(28b) 감지신호위치에 따라 구동실린더(24')(24")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의 양을 판단하는 제어부(200)가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200)의 오일 양 판단에 따라 구동실린더(24')(24")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의 양이 부족하면 유입시키고, 많으면 방출시켜 설정된 양만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는 수정밸브(300)가 순환오 일라인(44)에 장착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구동피스톤(30')(30")과 공급피스톤(26')(26")을 연결한 피스톤로드(28')(28")의 로드연결부(28a)(28b)를 조절하여 물상자(3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키고, 상기 물상자(32)의 내부 양측에 상기 로드연결부(28a)(28b)를 감지하는 제1,2감지센서(110)(120)가 각각 장착된다.
또한, 상기 구동피스톤(30')(30")과 공급피스톤(26')(26")을 각각 수용하는 구동실린더(24')(24")와 공급실린더(10')(10")를 물상자(32)의 양측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공급실린더(10')(10")의 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공급피스톤(26')(26")의 이동에 따라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절환밸브(미도시)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실린더(24')(24")의 단부에 장착되는 순환오일라인(44)에 수정밸브(300)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저압작업(세척작업 및 비우기작업 등)을 할 수 있도록 작동스위치를 가압하면, 모터(43)의 회전에 따라 유압펌프(42)가 피스톤로드(28')(28")의 운동방향을 각각 전환시킴과 동시에 구동실린더(24")에 저장된 오일이 순환오일라인(44)을 통해 구동실린더(24')의 내부로 이동되어 상호작용하며, 구동실린더(24')(24")와 공급실린더(10')(10")에 내장된 구동피스톤(30')(30")과 공급피스톤(26')(26")은 인장-가압식으로 구동된다.
또한, 상기 구동실린더(24')(24")의 내부 표면을 구동피스톤(30')(30")이 완전히 유체밀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구동실린더(24')의 공간에 오일의 압력차에 따라 구동실린더(24')(24")의 내부에서 유출이 발생하는데, 이때, 상기 구동실린더(24')의 내측 단부에 위치한 구동피스톤(30')을 위치센서(52")에서 감지하고, 상기 구동피스톤(30")의 로드연결부(28b)를 감지부(100)의 제2감지센서(120)에서 감지하는 위치에 따라 오일의 설정량을 판단하여 설정된 오일의 양과 동일하면, 수정밸브(300)를 개폐시키지 않고, 설정된 오일의 양보다 많거나 적을 경우는, 수정밸브(300)를 개폐시켜 오일을 방출시키거나 유입시켜 설정된 오일의 양과 동일하게 유지한다.
여기서 오일의 설정된 양은, 구동실린더(24')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구동피스톤(30')을 위치센서(52')(52") 및 피스톤로드(28')(28")의 로드연결부(28a)(28b)를 제1,2감지센서(110)(120)에서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실린더(24')(24")의 내부에 저장된 양을 말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동실린더(24')(24")의 내부에 설정된 오일의 양이 저장된 상태에서, 고압작업(고밀도재료전달)을 할 경우는, 재료공급부분(14)으로 유입된 콘크리트가 구동피스톤(30')이 위치센서(52")와 피스톤로드(28")의 로드연결부(28b)가 제2감진센서(120)에서 각각 감지될 때까지 공급실린더(10")의 내부로 공급피스톤(26")이 이동되는 거리만큼 공급실린더(10")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구동피스톤(30')이 위치센서(52")와 피스톤로드(28")의 로드연결부(28b)가 제2감지센서 (120)에서 각각 감지함과 동시에 절환밸브가 회전하여 공급실린더(10")와 공급파이프를 일치시킨다.
이때, 상기 유압펌프(42)의 반전동작으로 구동실린더(24')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이 순환오일라인(44)을 따라 구동실린더(24")의 내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구동피스톤(30')이 구동실린더(24')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구동피스톤(30')이 구동실린더(24')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피스톤로드(28')의 로드연결부(28a)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감지센서(110)에서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1감지센서(110)가 로드연결부(28a)를 감지한 순간에는 구동피스톤(30')과 위치센서(52')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감지센서(110)가 로드연결부(28a)를 감지하고 이동되는 구동피스톤(30')을 위치센서(52')에서 감지할 때 까지의 시간은 구동피스톤(30')의 이동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제1감지센서(110)에서 로드연결부(28a)를 감지한 시점으로부터 구동피스톤(30')과 위치센서(52')의 거리를 계산하여 구동피스톤(30')의 동작방향을 제어부(200)에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실린더(24')의 내부로 이동하는 구동피스톤(30')을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위치센서(52')에서 감지하면, 상기 유압펌프(42)의 반전동작으로 구동실린더(24")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이 순환오일라인(44)을 따라 구동실린더(24')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공급실린더(10")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공급피스톤(26")은 공급실 린더(10")의 단부에 개구된 개구부(12)에 가장 근접한 위치까지 도달하여 공급실린더(10")의 내부로 유입된 콘크리트가 공급파이프를 통해 콘크리트 타설위치까지 공급되며, 상기 유압펌프(42)에 의해 반전동작이 이루어지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24')의 내부 타측으로 구동피스톤(30')이 이동하여 위치센서(52")에 위치함과 동시에 피스톤로드(28")의 로드연결부(28b)를 제2감지센서(120)에서 감지하게 되며, 상기 공급실린더(10')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공급피스톤(26')은 공급실린더(10')의 단부에 개구된 개구부(12)에 가장 근접한 위치까지 도달하여 공급실린더(10')의 내부로 유입된 콘크리트가 공급파이프를 통해 콘크리트 타설위치까지 공급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실린더(24')(24")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이 설정된 양보다 많은 경우는, 구동피스톤(30')이 위치센서(52")에 위치하더라도, 피스톤로드(28")의 로드연결부(28b)가 제2감지센서(120)에 도달하지 못하고, 상기 제2감지센서(120)에서 로드연결부(28b)를 감지하지 못함에 따라 제어부(200)에서는 구동실린더(24')(24")에 저장된 오일이 설정된 양보다 많은 것으로 판단하여 수정밸브(300)를 통해 오일을 방출한다.
또한, 상기 구동실린더(24')(24")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이 설정된 양보다 적은 경우는, 구동피스톤(30')이 위치센서(52")에 도달하기 전에 구동피스톤(30")을 로드연결부(28b)에서 감지하게 된다. 즉, 위치센서(52")의 신호보다 먼저 피스톤로드(28")의 로드연결부(28b)를 제2감지센서(120)에서 감지하게 되면 구동실린더(24')(24")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이 설정된 양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 (200)에서는 수정밸브(300)를 통해 오일은 보충하고 구동실린더(24")의 단부와 구동피스톤(30")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유압펌프(42)를 작동하여 구동피스톤(30')(30")의 동작방향을 반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실린더(24')(24")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의 양에 따라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설정된 양만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피스톤과 공급피스톤을 연결하여 이동하는 피스톤로드의 연결부를 물상자의 양측면에 장착된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피스톤의 속도와 위치를 확인함과 동시에 피스톤의 반전시기를 미리 판단하고, 구동피스톤을 위치센서에서 감지하여 반전동작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두 개의 구동실린더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오일의 설정된 양을 확인하여 부족하면 유입하고, 남으면 방출시키도록 수정밸브를 일시적으로 개폐시켜 구동피스톤이 기준위치에서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으므로 공급실린더의 내부에서 콘크리트의 경화를 막고, 구동피스톤이 구동실린더의 내부에서 충돌하지 않음으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구동피스톤(30')(30")과 공급피스톤(26')(26")을 연결한 한 쌍의 피스톤로드(28')(28")의 로드연결부(28a)(28b)가 물상자(32)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상기 물상자(32)의 양측에 구동피스톤(30')(30")과 공급피스톤(26')(26")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구동실린더(24')(24")와 공급실린더(10')(10")를 장착하며, 상기 구동실린더(24')(24")에 저장된 오일이 구동피스톤(30')(3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순환오일라인(44)이 구동실린더(24')(24")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실린더(24')의 내부에 구동피스톤(30')의 위치를 위치센서(52')(52")에서 감지하여 유압펌프(42)의 전환작업을 제어장치(51)에서 제어하는 고밀도재료펌프에 있어서,
    상기 물상자(32)의 내부로 이동하는 피스톤로드(28')의 로드연결부(28a)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피스톤(30')과 위치센서(52')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도록 물상자(32)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제1감지센서(1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감지센서(110)를 경유하여 이동하는 피스톤로드(28')의 단부에 장착된 구동피스톤(30')을 위치센서(52')에서 감지하여 유압펌프(42)의 반전동작으로 구동실린더(24')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는 구동피스톤(30')을 위치센서(52")에서 감지함과 동시에 구동실린더(24")의 내부에 전방으로 이동되는 피스톤로드(28")의 로드연결부(28b)를 감지하는 위치에 따라 구동실린더(24')(24")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의 양을 판단할 수 있도록 물상자(32)의 내부 타측에 장착되는 제2감지센서(120)가 구비된 감지부 (100)와;
    상기 감지부(100)의 제1감지센서(110)에서 로드연결부(28a)를 감지하여 이동하는 피스톤로드(28')의 단부에 장착된 구동피스톤(30')과 위치센서(52')의 거리를 판단하고, 판단된 거리에 따라 구동피스톤(30')의 이동속도와 그에 따른 구동피스톤(30')의 반전시기를 계산하여 유압펌프(42)를 작동시켜 반전동작을 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감지센서(120)의 로드연결부(28b) 감지신호위치에 따라 구동실린더(24')(24")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의 양을 판단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의 오일 양 판단에 따라 구동실린더(24')(24")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의 양이 부족하면 유입시키고, 많으면 방출시켜 설정된 양만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는 수정밸브(300)가 순환오일라인(44)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재료펌프.
KR1020040089843A 2004-11-05 2004-11-05 고밀도재료펌프 KR100634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843A KR100634462B1 (ko) 2004-11-05 2004-11-05 고밀도재료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843A KR100634462B1 (ko) 2004-11-05 2004-11-05 고밀도재료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897A true KR20060040897A (ko) 2006-05-11
KR100634462B1 KR100634462B1 (ko) 2006-10-16

Family

ID=3714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843A KR100634462B1 (ko) 2004-11-05 2004-11-05 고밀도재료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44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320B1 (ko) * 2005-05-25 2007-01-02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콘크리트 펌핑시스템의 유압실린더 스트로크 교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320B1 (ko) * 2005-05-25 2007-01-02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콘크리트 펌핑시스템의 유압실린더 스트로크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4462B1 (ko) 200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30853A (ja) 濃厚物質ポンプ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0803842B1 (ko) 고밀도재료펌프
US8225604B2 (en) Shock absorp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small swing radius excavator
US7611331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wo cylinder thick matter pump
KR100281932B1 (ko) 드라이브 실린더 유압장치
KR101470626B1 (ko) 건설장비의 전자유압 시스템
CN103603843B (zh) 油缸控制系统、控制方法及泵送机械
JP4218261B2 (ja) ポンプユニット
US20050232069A1 (en) Concrete-mortar transfer system of concrete pump car
KR101032731B1 (ko) 해머장치를 구비한 굴삭기용 유압시스템
CN110382784A (zh) 作业机械
JP4890238B2 (ja) ピストン式コンクリートポンプの制御装置
KR100634462B1 (ko) 고밀도재료펌프
JPH1182312A (ja) 油圧駆動のピストンポンプ
JP4902178B2 (ja) ピストン式コンクリートポンプの制御装置
JP3626872B2 (ja) 流動体圧送ポンプ及びその油圧シリンダ
JPS59208177A (ja) 流動体圧送用ピストンポンプの作動制御方法
KR100606202B1 (ko) 펌프카의 콘크리트 압송변환시스템
JP4302017B2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JP4219464B2 (ja) ピストンポンプの切換衝撃低減装置
KR100857828B1 (ko) 변속기용 오일주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036351A (ja) 油圧走行装置
KR100986399B1 (ko) 차량의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의 오일 공급 구조
JP2013194564A (ja) コンクリートポンプ
JP7119686B2 (ja) 旋回式油圧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