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766A - 뇌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뇌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766A
KR20060039766A KR1020040088982A KR20040088982A KR20060039766A KR 20060039766 A KR20060039766 A KR 20060039766A KR 1020040088982 A KR1020040088982 A KR 1020040088982A KR 20040088982 A KR20040088982 A KR 20040088982A KR 20060039766 A KR20060039766 A KR 20060039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n function
extract
red ginseng
health functional
functiona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3212B1 (ko
Inventor
위재준
경종수
김나미
박종대
곽이성
송용범
양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040088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212B1/ko
Publication of KR20060039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원지, 산조인, 석창포, 백복령, 오미자, 황기, 당귀, 백출, 감초, 대추 추출물 및 팔라티노스를 함유하는 뇌 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기억력 증강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므로 뇌 기능 개선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홍삼, 원지, 산조인, 석창포, 백복령, 오미자, 황기, 당귀, 백출, 감초, 대추, 뇌 기능 개선

Description

뇌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A FOOD FOR IMPROVING BRAIN FUNCTION}
도 1은 수동회피반응 실험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1을 투여한 마우스의 잠복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비교예 2를 투여한 마우스의 잠복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비교예 3을 투여한 마우스의 잠복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을 투여한 마우스의 잠복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홍삼, 원지, 산조인, 석창포, 백복령, 오미자, 황기, 당귀, 백출, 감초, 대추 추출물 및 팔라티노스를 함유하는 뇌 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연구되고 있는 뇌 기능 개선 방법으로 뇌 세포에 영양을 효율적으로 흡수시켜, 세포의 작용을 활성화하는 뇌 에너지의 대사를 개선하는 방법(예를 들어, 뇌 내 글루코오스의 상승 등), 뇌 혈액을 좋게 하여 뇌세포에 필요한 영양과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려는 뇌순화 개선방법(예를 들어, 뇌혈류 증가), 또한 신경전달 물질을 통하여 시냅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신경전달을 활성화하는 방법(신경전달 물질 전구체의 공급(예를 들어, 콜린(choline), 아세틸 CoA의 보급 등), 방출된 신경전달 물질의 변화 저해(예를 들어,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etylcholine esterase)저해 등), 신경전달 물질 방출의 증가(예를 들어, 아세틸콜린, 글루타믹산(glutamic acid) 방출 증가 등),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의 활성화 등), 또한 신경세포막의 보호(예를 들어, 항산화, 막성분의 보급, 동맥경화 예방 등)등이 검토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과거의 연구에서, 뇌 기능을 개선하는 활성 성분들이 많이 발견되고 있지만, 그 성분들이 식품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부작용 및 독성이 알려진 바가 미약하여 천연물에 한정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뇌 기능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천연물의 대표적인 것은 인삼이다. 인삼은 옛날부터 "養心安神", "開心益智"라 하여 뇌의 기능을 좋게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현대의 과학적인 방법으로 그 효능이 입증되고 있다. 특히 인삼 사포닌 중 Ginsenoside Rg₁은 아세틸콜린의 합성, 기억력 증진, 신경세포의 성장 촉진 및 생존기간의 증가, 콜린의 흡수능 증가효과가 있어 뇌기능 활성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인삼을 특수제조 가공 기술인 Bio Red Ginseng System으로 72 시간 이상을 숙열하고 건조하여 제조된 홍삼에도 Ginsenoside Rg1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서 뇌 기능 활성화와 관련된 많은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동의보감 내경편에 기재된 총명탕은 백복령, 원지, 감초, 석창포가 주요 약재로 구성된 것으로서, 최근 총명탕의 주요 구성 약재들은 기억력 증강 물질을 탐색하는 천연물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84117호에는 기억력 증진작용을 갖는 인삼엑기스 함유 건강기능음료가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439202호에는 Ginsenoside Rg₁의 함유비율을 최고로 높여 제조된 인삼 엑기스 및, 총명탕의 약재인 원지, 석창포, 산조인, 백복령을 함유하는 학습효능 강화 인삼식품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한의학에서는 학습과 기억 등은 대뇌활동의 기본 역할로 뇌 기능의 활성은 단지 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물질만으로 달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장의 기능이 충실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홍삼은 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물질들만 함유하고 있어, 다른 요인에 의해 집중력 또는 기억력이 떨어지는 경우에 그 효과를 발휘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종래 뇌 기능 개선을 위해 뇌에 직접적으로만 작용하는 물질을 찾고자 하는 노력에서 좀 더 나아가 오장의 기를 보함으로서 두뇌활동을 원활케 할 수 있는 물질을 찾고자 하였다.
한편, 인삼, 백출, 백복령, 감초, 숙지황, 백작약, 천궁, 당귀, 황기, 육계의 처방인 십전대보탕은 여러 가지 만성병이나 큰 병을 앓은 뒤 전신쇠약이 심하고 기혈, 음양, 표리, 내외가 모두 허해져 있을 때 이를 크게 보하는 약으로서 사용되어 오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오장의 기를 보하는 십전대보탕의 원료들 중에서 기억력 증강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약재들을 선별하여 Ginsenoside Rg₁이 강화된 홍삼과 최적 구성을 발명하여 종래 기억력 증강 효과보다도 더 우수한 식품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뇌 기능 개선 작용을 갖는 물질과 한의학적 기를 보하는 물질이 기억력 증강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생약재를 구성함으로서 뇌 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홍삼, 원지, 산조인, 석창포, 백복령, 오미자 추출물에 십전대보탕의 10가지 원료들 중 기억력 증강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배합으로 황기, 당귀, 백출, 감초, 대추 추출물과 팔라티노스를 더 함유하는 뇌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Ginsenoside Rg₁이 강화된 홍삼 추출물은 대한민국 특허 제439202호의 제조방법에 의해 홍삼에 물을 용매로 1회에는 홍삼 중량의 10배량, 2회 및 3회에는 5배량 첨가하여 70℃에서 8시간씩 추출한 후 60~65℃에서 수분 함량이 36~40% 되도록 감암 농축함으로서 제조한다.
본 발명의 원지, 석창포, 산조인, 백복령 및 오미자는 이를 혼합하여 물 또는 저급 알콜을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추출한다. 상기 생약재 추출물은 대한민국 특허 제439202호의 제조방법에 의해 원지: 석창포: 산조인: 백복령: 오미자를 약 2:2:2:2:1의 비율로 배합한 후 1회에는 생약재 중량의 10배량, 2회에는 5배량의 정제수를 가하여 85℃에서 4시간씩 추출하여, 추출액을 5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 여과한 후 여액을 60~65℃의 온도에서 수분함량이 36~40% 될 때까지 감압농축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기, 당귀, 백출, 감초 및 대추는 이를 혼합하여 물 또는 저급 알콜을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추출한다. 바람직하게는 황기: 당귀: 백출: 감초: 대추를 약 10:10:10:1:6의 비율로 배합한 후 1회에는 생약재 중량의 10배량, 2회에는 5배량의 정제수를 가하여 85℃에서 4시간씩 추출하여, 추출액을 5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 여과한 후 여액을 60~65℃의 온도에서 수분함량이 36~40% 될 때까지 감압농축시켜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은 Shin Mitsui Co. 로 부터 구입한 팔라티노스를 함유한다.
팔라티노스(palatinose)는 수크로스(sucrose, 설탕)와 같이 글로코스(glucose, 포도당)와 푸락토스(fructose, 과당)로 구성된 이당류로, 글루코스와 푸락토스의 결합이 α1-6결합인 것이 특징이다. 뇌에서 소비할 수 있는 유일한 당질은 글루코스인데, 두뇌가 피로할 때 글루코스를 섭취하면 뇌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됨으로서 주의력과 집중력이 향상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혈중 글루코스 함량을 조절하는 것은 두뇌활동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데, 설탕보다 분해속도가 느려 혈당치를 완만하게 상승시킴으로서 혈중 글루코스 농도를 유지하여 뇌에 포도당을 지속적으로 공급해 주므로 뇌세포의 에너지원으로 집중력과 주의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홍삼, 원지, 산조인, 석창포, 백복령, 오미자, 황기, 당귀, 백출, 감초, 대추 추출물 및 팔라티노스 이외에 통상적으로 식품에 함유되는 비타민, 향미제, 여러 가지 영양제, 감미제, 유화제 등의 첨가제 및 상기 건강기능식품이 음료로 제조되기 위해서는 정제수가 함유될 수 있다. 비타민의 예로는 비타민 B1-염산염, 비타민 B2, 인산에스테르나트륨, 비타민 B6 -염산염,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등이 있고, 향미제의 예로 메리사, 엘더베리 등이 있으며, 영양제의 예로는 타우린, 쌀배아 추출물, L-카르니틴, 폴리글리시톨시럽, 폴리덱스트로스, 타우린, 실크펩타이드, 녹용 TINC, 구연산 등이 있고, 감미제의 예로 액상과당, 저당엿, 꿀, 아세설팜칼륨 등이 있고, 유화제의 예로 싸이덱스 P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의 전체 중량비 10 내지 20 중량% 비율로 함유된다.
본 발명은 상기 복합 생약 조성물을 함유한 국수, 빵 등의 고상식품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음료 및 다류로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투여형태가 정제, 과립제, 캅셀제 또는 액제 제형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뇌 기능 개선을 위한 복합 생약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종래 알려진 학습효능 강화 홍삼, 원지, 산조인, 석창포, 백복령, 오미자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보다 기억력 증강 효과가 4배 이상 증강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홍삼에 십전대보탕의 원료인 황기, 당귀, 백출, 감초, 대추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팔라티노스만을 실험동물에 투여하는 경우에는 단독으로 기억력 증강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홍삼, 원지, 산조인, 석창포, 백복령, 오미자, 황기, 당귀, 백출, 감초, 대추 및 팔라티노스를 모두 함유하여 기억력 증강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므로 뇌 기능 개선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비교예 1> 홍삼, 원지, 산조인, 석창포, 백복령,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
홍삼 추출물은 대한민국 특허 제439202호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추출용매로 물을 이용하여 1회에는 홍삼중량의 10배량, 2회 및 3회에는 5배량을 첨가하고 70℃에서 8시간 씩 추출하여 65℃에서 수분 함량이 40% 되도록 감압 농축하여 제조하였 다.
원지, 석창포, 산조인, 백복령 및 오미자 추출물(이하 "생약 추출물 Ⅰ"이라 한다)은 대한민국 특허 제439202호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원지 21.76 중량%, 석창포 21.76 중량%, 산조인 21.76 중량%, 백복령 21.76 중량% 및 오미자 13.32 중량% 비율로 배합한 후 1회에는 생약재 중량의 10배량, 2회에는 5배량의 정제수를 가하여 85℃에서 4시간씩 추출하여, 추출액을 5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 여과한 후 여액을 65℃의 온도에서 수분함량이 40% 될 때까지 감압농축시켜 제조하였다(표 1).
생약 추출물 Ⅰ의 구성성분과 배합비율
번호 생약재명 배합비(%) 수분함량 적용규격 비고
1 원지 21.76 12.7% 대한약전
2 산조인 21.76 5.4% 대한약전
3 석창포 21.76 10.4% 대약외생약
4 백복령 21.76 15.4% 대한약전 국산
5 오미자 13.32 8.7% 대한약전 국산
Total 100

상기 홍삼 추출물 및 상기 생약 추출물 Ⅰ을 혼합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홍삼, 황기, 당귀, 백출, 감초, 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
홍삼 추출물은 상기 <비교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황기, 당귀, 백출, 감초, 대추 혼합추출물(이하 "생약 추출물 Ⅱ"라 한다)은 황기 27.4 중량%, 당귀 26.5 중량%, 백출 25.7 중량%, 감초 2.7 중량%, 대추 17.7 중량%의 비율로 배합하여, 1회에는 생약재 중량의 10배량, 2회에는 5배량의 정제수를 가하여 85℃에서 4시간씩 추출하여, 추출액을 5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 여과한 후 여액을 60~65℃의 온도에서 수분함량이 36~40% 될 때까지 감압농축시켜 제조하였다(표 3).
생약 추출물 Ⅱ의 구성성분과 배합비율
번호 생약재명 배합비(%) 수분함량 적용규격 비고
1 황기 27.4 9.5% 대한약전 국산
2 당귀 26.5 10.8% 대한약전 국산
3 백출 25.7 11.4% 대한약전
4 감초 2.7 8.9% 대한약전
5 대추 17.7 13.1% 대한약전 국산
Total 100

상기 홍삼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 Ⅱ을 혼합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팔라티노스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
Shin Mitsui Co. 로부터 구입한 팔라티노스는 증류수에 고형분이 20% 되게 녹여 팔라티노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홍삼, 원지, 산조인, 석창포, 백복령, 오미자, 황기, 당귀, 백 출, 감초, 대추 추출물 및 팔라티노스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
홍삼 추출물은 상기 <비교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원지, 산조인, 석창포, 백복령, 오미자 생약추출물 Ⅰ도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황기, 당귀, 백출, 감초, 대추 생약추출물 Ⅱ는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팔라티노스는 Shin Mitsui Co. 로부터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홍삼 추출물, 생약추출물 Ⅰ, 생약추출물 Ⅱ 및 팔라티노스를 혼합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기억력 증강효과 실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의 기억력 증강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를 대상으로 수동회피반응실험을 하였다.
1. 실험재료 및 실험장치
실험재료로 상기 비교예 1,2,3 및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실험동물로 마우스(ICR mouse) 수놈 (23~25g)을 한 조에 15마리씩 배정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장치는 수동회피반응 장치를 사용하였다(도 1).
2. 실험방법
실험동물에 전기쇼크를 가하기 60분전 비교예 1,2,3 및 실시예 1을 경구투여 하고, 전기쇼크 30분전 스코폴라민(기억손상약물)을 2mg/kg의 용량으로 피하주사 하였다. 실험동물을 수동회피반응 장치내 플랫폼에 올려놓고 실험동물이 플랫폼으로부터 격자로 된 전기선으로 내려오면 전기쇼크(0.4mA)를 가하였다. 24 시간 후 실험동물을 다시 수동회피반응 장치 내 플랫폼에 올려놓고 실험동물이 플랫폼으로부터 격자로 된 전기선으로 내려오는 시간(잠복시간)을 측정하였다. 잠복시간이 길수록 스코폴라민에 의해 손상된 기억이 상기 조성물들에 의해 회복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은 2, 4, 8 ml/kg의 용량으로 투여하였고 비교예 2, 3 및 실시예 1은 1, 2, 4, 8 ml/kg 용량으로 투여하였으며 통계처리는 Mann-Whitney U-test를 사용하였다.
3. 실험결과
도 2에 따르면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용량별로 투여한 결과 8 ml/kg 투여용량에서 유의한 기억력 증강 효과가 나타났다(## P < 0.01 (NC vs Sco), * P < 0.05 (Sco vs "A")). 도 2에서 NC는 정상대조군, Sco.는 scopolamine 단독투여군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비교예 2 및 3 각각을 용량별로 투여한 결과 8 ml/kg 투여용량에서도 기억력 증강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P < 0.05 (NC vs Sco)). 도 3 및 도 4에서 NC는 정상대조군, Sco.는 scopolamine 단독투여군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따르면 실시예 1을 용량별로 실험동물에 투여한 결과 2 ml/kg에서 유 의한 기억력 증강 효과를 나타내었다(## P < 0.01 (NC vs Sco), * P < 0.05 (Sco vs "D"), ** P < 0.01 (Sco vs "D")). 도 5에서 NC는 정상대조군, Sco.는 scopolamine 단독투여군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므로 실시예 1은 비교예보다 동일투여용량 (2ml/kg)에서 기억력 증강 효능이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실시예 1은 비교예 1의 1/4 용량인 2mg/kg에서 유의하게 기억력 증강 효과가 나타났으므로 비교예 1보다 4배 이상의 기억력 개선 효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 1의 주 구성성분인 Ginsenoside Rg₁ 강화 홍삼 추출물, 생약 추출물 Ⅰ, 생약 추출물 Ⅱ 및 팔라티노스가 복합됨으로서 기억력 개선 효과에 있어 시너지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 음료의 제조
실시예 제조된 홍삼 추출물 1200mg, 생약 추출물 Ⅰ 1450mg, 생약 추출물 Ⅱ 3260mg 및 팔라티노스 2000mg을 혼합하고, 이 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비타민, 감미제, 영양제, 향미제 등을 첨가하여 뇌 기능 개선용 음료를 제조하였다(표 4).
뇌 기능 개선용 음료의 구성성분과 배합비율
성 분 함 량 (mg) 비 고
홍삼 추출물 1,200 수분함량 : 36%
생약 추출물Ⅰ 1,450 수분함량:40%, 수율:35%
생약 추출물 Ⅱ 3,260 수분함량:40%, 수율:40%
비타민B1- 염산염 비타민B2- 인산에스테르나트륨 비타민 B6염산염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0.05 0.20 0.3 2.0 0.05
타우린 쌀배아 추출물 (GABA) L-카르니틴 100 50 50 HC-5(향림산업) CHEMACON GmbH
구연산 구연산소다 25 2.5
팔라티노스 액상과당 저당엿 꿀 2000 3000 12000 2000 Shin Mitsui Co.
싸이덱스 P 100 두산cpk
Flavor 1 Flavor 2 메리사 10 엘더베리 29.4 HF-31786 FKA-C13071
정제수 적량
Total 50ml

본 발명은 뇌 기능 개선 작용을 갖는 물질인 홍삼, 원지, 산조인, 석창포, 백복령, 오미자 및 팔라티노스와 한의학적 기를 보하는 물질인 황기, 당귀, 백출, 감초, 대추를 혼합한 생약재를 구성함으로서 기억력 증강의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
아울러 본 발명은 뇌에너지 대사의 문제 등과 같은 뇌 기능 저하 요인뿐만 아니라 기가 약해짐으로서 집중력, 기억력이 저하되는 요인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므로서 뇌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홍삼, 원지, 산조인, 석창포, 백복령, 오미자, 황기, 당귀, 백출, 감초, 대추 추출물 및 팔라티노스를 함유하는 뇌 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2. 제 1 항에 있어서, 뇌 기능 개선은 기억력이 증강되는 효과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3. 홍삼, 원지, 산조인, 석창포, 백복령, 오미자, 황기, 당귀, 백출, 감초, 대추 추출물 및 팔라티노스를 함유하며 고상식품, 음료 또는 다류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뇌 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4. 제 3 항에 있어서, 뇌 기능 개선은 기억력이 증강되는 효과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5. 홍삼, 원지, 산조인, 석창포, 백복령, 오미자, 황기, 당귀, 백출, 감초, 대추 추출물 및 팔라티노스를 함유하며 정제, 과립제, 캅셀제 또는 액제 제형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뇌 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6. 제 5 항에 있어서, 뇌 기능 개선은 기억력이 증강되는 효과를 가짐을 특징으 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040088982A 2004-11-03 2004-11-03 뇌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043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982A KR101043212B1 (ko) 2004-11-03 2004-11-03 뇌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982A KR101043212B1 (ko) 2004-11-03 2004-11-03 뇌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766A true KR20060039766A (ko) 2006-05-09
KR101043212B1 KR101043212B1 (ko) 2011-06-21

Family

ID=37146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982A KR101043212B1 (ko) 2004-11-03 2004-11-03 뇌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21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7138A1 (en) * 2010-07-14 2012-01-19 Südzucker Aktiengesellschaft Mannheim/Ochsenfurt Isomaltulose for use in enhancing mental performance
CN103404673A (zh) * 2013-08-28 2013-11-27 北京绿源求证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养益大脑的食品养脑茶冲剂
WO2014163328A1 (ko) * 2013-04-02 2014-10-09 (주)아모레퍼시픽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활성화 조성물
CN104824635A (zh) * 2015-03-30 2015-08-12 宁波北仑戌鸿农业科技有限公司 健脑中药组合物
CN105146667A (zh) * 2015-08-13 2015-12-16 张洪义 鹿胎阿胶固体饮料及其生产工艺
KR101653124B1 (ko) * 2016-04-11 2016-09-01 유상희 인지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1351A (ko) *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장애, 인지장애 또는 기억력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21528A1 (en) * 2019-12-20 2021-06-24 Clutch Cognition Aps Nutraceutical composition for mental activ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819B1 (ko) 2013-09-27 2018-06-08 김영동 오미자 발효물 및 호두를 함유하는 정제를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16046B1 (ko) * 2018-03-22 2020-05-27 뉴트리진 주식회사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0840B2 (ja) * 2001-05-14 2012-01-25 三井製糖株式会社 集中力及び注意力を持続させる剤及び該剤を含む飲食物
KR100439202B1 (ko) * 2001-09-29 2004-07-0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학습효능 강화 인삼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524385B1 (ko) * 2003-01-02 2005-11-01 서울향료(주) 용안육, 산조인, 원지 및 백복신의 추출물을 함유한 기억력 증진 및 청소년기 학습능력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7138A1 (en) * 2010-07-14 2012-01-19 Südzucker Aktiengesellschaft Mannheim/Ochsenfurt Isomaltulose for use in enhancing mental performance
CN103068259A (zh) * 2010-07-14 2013-04-24 甜糖(曼海姆/奥克森富特)股份公司 异麦芽酮糖用于增强精神表现
CN103068259B (zh) * 2010-07-14 2015-05-20 甜糖(曼海姆/奥克森富特)股份公司 异麦芽酮糖用于增强精神表现
EA026164B1 (ru) * 2010-07-14 2017-03-31 Зюдцукер Акциенгезелльшафт Маннхайм/Окзенфурт Применение изомальтулозы для усиления умственн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WO2014163328A1 (ko) * 2013-04-02 2014-10-09 (주)아모레퍼시픽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활성화 조성물
US10555983B2 (en) 2013-04-02 2020-02-11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brain activation, comprising ginseng fruit extract
CN103404673A (zh) * 2013-08-28 2013-11-27 北京绿源求证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养益大脑的食品养脑茶冲剂
CN104824635A (zh) * 2015-03-30 2015-08-12 宁波北仑戌鸿农业科技有限公司 健脑中药组合物
CN105146667A (zh) * 2015-08-13 2015-12-16 张洪义 鹿胎阿胶固体饮料及其生产工艺
KR101653124B1 (ko) * 2016-04-11 2016-09-01 유상희 인지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1351A (ko) *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장애, 인지장애 또는 기억력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21528A1 (en) * 2019-12-20 2021-06-24 Clutch Cognition Aps Nutraceutical composition for mental a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212B1 (ko) 201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2805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enriched natural crocin and/or crocetin, and their therapeutic or nutraceutical uses
KR20030059984A (ko) 인삼의 가공방법 및 가공인삼 추출물의 용도
ZA200604097B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extract of red vine leaves and a blood circulation-improving agent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venous insufficiences
JP5275251B2 (ja) 肝臓疾患を予防及び処置するための組合せ薬草の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101043212B1 (ko) 뇌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WO2016099043A1 (ko) 숙취해소용 및 간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US20060073225A1 (en)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pericarpium zanthoxyli for protecting brain cells and improving memory
WO2013085337A1 (ko) 아까시재목버섯의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US2005014223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extract of red vine leaves and an antithrombotic agent
KR102348044B1 (ko) 번아웃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7061243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assiae semen for treating or preventing cognitive dysfunction
KR100512912B1 (ko) 알코올대사 생약 촉진제
KR20110082444A (ko) 산두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KR101210748B1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453542B1 (ko) 가공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제 및 건강식품
WO2013085326A1 (ko) 꽃흰목이버섯의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395338B1 (ko) 추위 민감증을 포함하는 전신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경구 조성물
Donia et al. Hesperidin: Advances on Resources, Biosynthesis Pathway, Bioavailability, Bioactivity, and Pharmacology
KR101865819B1 (ko) 오미자 발효물 및 호두를 함유하는 정제를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04196750A (ja) ストレス緩和剤
KR20220170316A (ko) 퇴행성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고 기억력을 높이는 뇌 세포 보호 효과를 유도하는 건강보조식품
Agulló García et al. Synergistic interaction in the analgesic-like effects of maqui berry and citrus Is antagonized by sweeteners
JP2005104877A (ja) ストレス緩和剤
KR20190035290A (ko) 콩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65092A (ko) 노란반달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