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116A -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116A
KR20060039116A KR1020040088173A KR20040088173A KR20060039116A KR 20060039116 A KR20060039116 A KR 20060039116A KR 1020040088173 A KR1020040088173 A KR 1020040088173A KR 20040088173 A KR20040088173 A KR 20040088173A KR 20060039116 A KR20060039116 A KR 20060039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oller
coil
roller
uni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063B1 (ko
Inventor
조덕현
한상용
권중기
김환겸
채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063B1/ko
Priority to US11/211,567 priority patent/US7340207B2/en
Priority to CNB2005101088152A priority patent/CN100501598C/zh
Publication of KR20060039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4Tools, e.g. nozzles, rollers, calenders
    • H05B6/145Heated roll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정착롤러는 소정의 교류전류에 의해 저항발열되고 교류전류에 의해 교번자속을 생성하는 코일부와, 교번자속에 의해 생성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유도발열되는 가열롤러부와 가열롤러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극부가 마련되어 있는 엔드캡 및 코일부의 양단에 마련되어 전극부와 접촉할 때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저감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Fusing roller and fusing apparatus adop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할로겐램프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정착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Ⅰ-Ⅰ'를 따라 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저감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감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정착롤러에서 유도전류에 의하여 가열롤러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정착롤러에서 열을 발생하는 발열원을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정착롤러 112...가열롤러부
113...제1절연층 114...코일부
115...제2절연층 116...밀착부
117...리드부 1171...연결부
1172...고정부 1173...저감부
118...공간부 120...엔드캡
121...동력전달용 엔드캡 122...숨구멍
123...전극부 130...가압롤러
본 발명은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발열에 의하여 화상을 용지에 융착시키는 정착롤러를 구비하는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프린터 및 디지털복사기 등과 같은 전자사진방식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기를 이용하여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toner)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단색화상 또는 칼라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사용되는 현상제에 따라 습식과 건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로 대별된다.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액상의 캐리어에 분말상의 토너가 분산된 현상제를 사용한다. 건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분말상의 캐리어와 토너가 혼합된 이성분 현상제 또는 캐리어가 없는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건식 전자사진방식 형성장치에 관하여 설명하며, 편의상 현상제는 토너로 칭한다.
도 1은 종래의 할로겐램프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정착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Ⅰ-Ⅰ'를 따라 본 종단면도이다.
정착장치(10)는 그 양단이 각각 베어링(14)에 의하여 지지되어 서로 대향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접촉하도록 설치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원통형 정착롤러(11)(12)를 구비한다. 정착롤러(11)(12)의 표면에는 화상으로의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닙(NIP)을 형성하기 위할 뿐만 아니라 화상과의 이형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코팅층(13)이 형성되어 있다.
정착롤러(11)(12)의 내부에는 외부전원(미도시)에 연결되어 열을 발생하는 열원으로서 할로겐램프를 사용하는 발열부(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발열부(15)와 정착롤러(11)(12)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공기로 채워져 있다.
외부전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된 전류가 발열부(15)의 양단에 인가되면 발열부(15)에서 복사에너지를 발생한다. 발생된 복사에너지는 공기를 통하여 정착롤러(11)(12)의 내벽에 전달되고, 흑체로 이루어진 광열변환층에서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전도에 의하여 정착롤러(11)(12)와 코팅층(13)을 거쳐 정착롤러(11)(12)의 접촉부인 닙(NIP)을 통과하는 기록매체(20)위의 화상(21)에 전달된다. 따라서, 화상(21)은 열에너지에 의하여 용융되어 기록매체(20)위에 융착된다.
위와 같이 할로겐램프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정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인쇄작업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였을 때 상온으로부터 정착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당한 웜-업시간(Warm-up Time)이 필요하다. 사용자는 정착롤러의 온도가 정착목표온도까지 올라가 인쇄가능해 질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둘째, 할로겐램프와 정착롤러는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기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할로겐램프로부터 발생된 열은 복사에 의하여 정착롤러를 가열하고, 전도에 의하여 정착롤러를 통과하기 때문에 열 전달속도가 느리며,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셋째, 할로겐램프가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어야 하는데, 할로겐램프와 외부전원과의 접촉부에서 접촉저항이 발생될 수 있다. 이 접촉저항은 접촉부를 산화시키거나 또는 부식시켜서 접촉불량을 발생시켜 전원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전극과 접촉하는 코일부의 접촉저항을 줄이고 자속밀도의 집중에 의한 유도가열효율을 극대화시킨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정착롤러는 화상을 용지에 융착시키기 위한 정착롤러에 있어서,
소정의 교류전류에 의해 저항발열되고, 상기 교류전류에 의해 교번자속을 생성하는 코일부;
상기 교번자속에 의해 생성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유도발열되는 가열롤러부;
상기 가열롤러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극부가 마련되어 있는 엔드캡; 및
상기 코일부의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전극부와 접촉할 때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저감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일부의 양단에 상기 코일부와 상기 전극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부가 더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저감부는 상기 전극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리드부는 상기 코일부에 레이저용접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감부는 납,금,은,백금 중 어느 하나로 코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용지에 화상을 융착시키기 위한 열을 발생하는 정착롤러와, 상기 정착롤러에 대향되어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용지를 상기 정착롤러쪽으로 밀착시키는 가압롤러를 구비하는 정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롤러는 소정의 교류전류에 의해 저항발열되고, 상기 교류전류에 의해 교번자속을 생성하는 코일부;
상기 교번자속에 의해 생성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유도발열되는 가열롤러부;
상기 가열롤러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극부가 마련되어 있는 엔드캡; 및
상기 코일부의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전극부와 접촉할 때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저감부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저감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감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정착롤러에서 유도전류에 의하여 가열롤러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정착롤러에서 열을 발생하는 발열원을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정착장치(100)는 토너화상을 용지에 융착시키는 열을 발생하는 정착롤러(110)와 상기 정착롤러(110)에 대향되어 있으며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를 상기 정착롤러(110)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130)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롤러(130)는 관상의 몸체(131)가 축(13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31)의 외주면에는 토너화상과의 이형성이 좋게 하기 위하여 코팅층(132)이 형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압롤러 대신에 별도의 정착롤러를 사용하여 가압과 동시에 열을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정착롤러(110)는 가열롤러부(112), 코일부(114) 및 밀착부(11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열롤러부(112)는 속이 빈 관상으로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다. 그 표면에는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Tetrafluoruethylene)등으로 코팅되어 토너화상과의 이형성을 좋게 하는 코팅층(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열롤러부(112)는 자기 장에 의해 자화되는 성질을 가지며 또한 소정의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도체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철(Fe) 합금, 구리(C) 합금, 알루미늄(Al) 합금, 니켈(Ni) 합금, 크롬(Cr) 합금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부(114)는 상기 가열롤러부(112)의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전원(미도시)으로부터 입력된 전류에 상응하여 변화하는 교번자속(alternating magnetic flux)을 발생한다. 상기 코일부(114)는 구리(Cu)재질의 리번(ribbon)코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부(114)와 상기 가열롤러부(112)사이에는 제1절연층(113)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부(114)와 밀착부(118)사이에는 제2절연층(115)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코일부(114)에 입력되는 교류전류에 의하여 절연파괴가 일어나지 않으며 누설전류가 상기 가열롤러부(112) 또는 상기 밀착부(116)로 흐르지 않도록 상기 코일부(114)를 절연시킨다.
상기 제1절연층(113) 및 제2절연층(115)은 소정의 내전압 특성과 내절연 파괴특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 내전압 특성은 소정 외부전원이 걸려도 이를 견뎌낼 수 있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내절연 파괴특성은 최대 내전압 하에서 1분 동안 누설전류가 10㎃이상이 발생하지 않고 절연파괴가 되지 않는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제1절연층(113) 및 제2절연층(115)은 마이카(Mica), 폴리이미드(Polyimide), 세라믹(Ceramic), 실리콘(Silicon),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유리(Glass) 또는 PTFE(PolyTetraFluoruEthylene)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116)는 관상으로 상기 가열롤러부(1 내측에 설치되어 소정 확관 압을 가하면 확관되면서 상기 코일부(114)를 상기 가열롤러부(112)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밀착부(115)는 확관되면서 소성변형되므로 상기 코일부(114), 제1절연층(113), 제2절연층(115) 및 상기 가열롤러부(112)는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밀착부(116)는 상기 코일부(114)를 상기 가열롤러부(112)에 밀착시키는 결합계수를 극대화시킴으로써 상기 코일부(114)로부터 발생되는 교번자속의 손실 없이 유도전류를 발생하는데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밀착부(115)는 폴리머(Polymer) 또는 고무와 같은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코일부(114)로부터 발생되는 교번자속에 의하여 상기 밀착부(115)에는 유도전류가 발생하지 않고, 상기 가열롤러부(112)에만 유도전류가 발생하여 이에 의한 유도발열을 화상을 용지에 융착시키는데 사용하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가열롤러부(112)의 양단에는 엔드캡(120)과 동력전달용 엔드캡(121)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 엔드캡(121)은 상기 엔드캡(120)과 구성은 유사하며 다만 전동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정착롤러(11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기어 등 동력전달수단(12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엔드캡(120)에는 숨구멍(air vent, 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숨구멍(122)은 상기 엔드캡(120)이 상기 가열롤러부(112)에 설치된 후 상기 가열롤러부(112)의 내부공간(118)과 외부를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상기 내부공간(118)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117)은 상기 숨구멍(122)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통하 므로 대기압이 유지된다. 상기 숨구멍(122)은 상기 동력전달 엔드캡(121)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숨구멍(122)은 상기 엔드캡(120)과 동력전달 엔드캡(121)에 모두 마련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숨구멍(122)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엔드캡(120)과 동력전달 엔드캡(121)에는 전극부(123)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전극부(123)는 나사(125)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엔드캡(120)과 동력전달 엔드캡(121)에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코일부(114)의 양단에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부(117)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리드부(117)는 연결부(1171), 고정부(1172) 및 저감부(117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리드부(117)는 인청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부(1172)를 이용하여 상기 밀착부(116)를 감쌈으로써 상기 리드부(117)가 상기 코일부(114)의 양단에 고정되며, 상기 코일부(114)의 양단은 상기 연결부(1171)에 레이저용접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저감부(1173)는 상기 리드부(117)의 일측에 상기 전극부(123)와 접촉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부(123)와 접촉할 때 발생되는 부식이나 산화막으로 인한 접촉저항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금(Au), 은(Ag), 백금(Pt) 및 납(Pb) 중 어느 하나로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라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저감부(1173)가 코일부(114)의 양단에 마련되어 있 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리드부(117)를 마련하지 않고 상기 코일부(114)를 연장시키고 그 끝단에 금(Au), 은(Ag), 백금(Pt) 및 납(Pb) 중 어느 하나로 코팅되어 있는 저감부(1141)를 마련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전원으로부터 상기 코일부(114)에 교류전류가 입력되면, 상기 코일부(114)는 그 주변에 실선으로 도시된 교번자속(A)을 발생한다. 상기 코일부(114)에서 발생한 상기 교번자속(A)은 상기 가열롤러부(112)를 쇄교하며, 상기 가열롤러부(112)를 쇄교하는 상기 교번자속(A)의 변화에 의해 상기 가열롤러부(112)에서는 서로 다른 방향의 유도전류(B)(C)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코일부(114)에는 지면으로부터 나오는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상기 가열롤러부(112)는 자체 고유저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유도전류(B)(C)는 상기 가열롤러부(112)에 줄열(Juole heat, 이하 유도줄열이라 한다, G)을 발생한다. 상기 유도줄열(G)은 상기 가열롤러부(112)에 의하여 전도되어 상기 보호층(111)을 거쳐 토너화상에 전달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코일부(112)도 자체 저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입력되는 교류전류에 의하여 저항발열되어 줄열(이하 저항줄열이라 한다, H)을 발생한다. 상기 저항줄열(H)은 상기 제 1절열층(113)→코일부(112)→보호층(111)을 거쳐 토너화상(미도시)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상기 코일부(114)에 교류전류가 입력되면, 상기 코일부(114)자체에서 발생되는 저항줄열(H)과 상기 코일부(112)의 주위에 발생되는 상기 교번자속(A)에 의하여 상기 가열롤러부(112)에 발생되는 상기 유도전류(B)(C)에 의한 유도 줄열(G)에 의하여 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미도시)이 융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착롤러는 전극부와 접촉하는 코일부에 납 등으로 코팅된 저감부를 마련하여 전극부와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화상을 용지에 융착시키기 위한 정착롤러에 있어서,
    소정의 교류전류에 의해 저항발열되고, 상기 교류전류에 의해 교번자속을 생성하는 코일부;
    상기 교번자속에 의해 생성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유도발열되는 가열롤러부;
    상기 가열롤러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극부가 마련되어 있는 엔드캡; 및
    상기 코일부의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전극부와 접촉할 때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저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의 양단에 상기 코일부와 상기 전극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부가 더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저감부는 상기 전극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상기 코일부에 레이저용접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부는 납,금,은,백금 중 어느 하나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착롤러.
  5. 용지에 화상을 융착시키기 위한 열을 발생하는 정착롤러와, 상기 정착롤러에 대향되어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용지를 상기 정착롤러쪽으로 밀착시키는 가압롤러를 구비하는 정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롤러는
    소정의 교류전류에 의해 저항발열되고, 상기 교류전류에 의해 교번자속을 생 성하는 코일부;
    상기 교번자속에 의해 생성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유도발열되는 가열롤러부;
    상기 가열롤러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극부가 마련되어 있는 엔드캡; 및
    상기 코일부의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전극부와 접촉할 때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저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의 양단에 상기 코일부와 상기 전극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부가 더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저감부는 상기 전극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상기 코일부에 레이저용접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부는 납,금,은,백금 중 어느 하나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착롤러.
KR1020040088173A 2004-11-02 2004-11-02 정착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0694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173A KR100694063B1 (ko) 2004-11-02 2004-11-02 정착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US11/211,567 US7340207B2 (en) 2004-11-02 2005-08-26 Fusing roller and fus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CNB2005101088152A CN100501598C (zh) 2004-11-02 2005-09-30 定影辊和采用该定影辊的定影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173A KR100694063B1 (ko) 2004-11-02 2004-11-02 정착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116A true KR20060039116A (ko) 2006-05-08
KR100694063B1 KR100694063B1 (ko) 2007-03-12

Family

ID=3626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173A KR100694063B1 (ko) 2004-11-02 2004-11-02 정착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40207B2 (ko)
KR (1) KR100694063B1 (ko)
CN (1) CN10050159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131B1 (ko) * 2005-06-25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롤러 및 상기 정착롤러를 적용한 정착장치
JP2009258243A (ja) * 2008-04-14 2009-11-05 Sharp Corp 定着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061608B2 (ja) * 2012-10-17 2017-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9068A (en) 1980-07-30 1982-02-16 Fuji Xerox Co Ltd Heating roll for fixing of electrophotographic copier
JPH04153683A (ja) 1990-10-17 1992-05-27 Murata Mach Ltd 熱定着器のヒートローラ
JP3412968B2 (ja) 1995-07-12 2003-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GB2319583B (en) * 1996-11-25 1999-09-22 Ricoh Kk Device with induction heating roller
US6160983A (en) 1998-05-20 2000-12-12 Hewlett-Packard Company Heated fuser roller
JP3762100B2 (ja) * 1998-05-29 2006-03-29 京セラ株式会社 管状発熱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定着用ヒートローラ
JP2002174973A (ja) * 2000-10-31 2002-06-21 Toshiba Tec Corp 定着装置
JP3765387B2 (ja) * 2000-11-02 2006-04-1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403589B1 (ko) * 2001-07-09 200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장치
JP2003317899A (ja) 2002-04-24 2003-11-07 Shinozaki Seisakusho:Kk ヒートローラ
JP2003323069A (ja) 2002-05-08 2003-11-14 Panasonic Communications Co Ltd 定着装置、印字装置及び複写機
JP2004020997A (ja) 2002-06-18 2004-01-2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定着装置、誘導コイル、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77200B2 (ja) * 2002-08-23 2007-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KR100497483B1 (ko) 2002-09-06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장치의 가열롤러 및 그 가열롤러의 전극제조방법
KR100477662B1 (ko) 2002-09-09 200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 장치
KR100477678B1 (ko) * 2002-11-11 200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KR100619047B1 (ko) * 2004-08-25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
KR100608010B1 (ko) * 2004-10-29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40207B2 (en) 2008-03-04
CN1770034A (zh) 2006-05-10
CN100501598C (zh) 2009-06-17
US20060093415A1 (en) 2006-05-04
KR100694063B1 (ko) 2007-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9802B2 (en) Fusing roller with adjustable heating area and fu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476975B1 (ko) 화상형성기기의 정착롤러
JP3376228B2 (ja) 画像加熱定着装置
KR100694063B1 (ko) 정착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US7356299B2 (en) Fusing roller and fu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349661B2 (en) Fusing roller and fu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951575B2 (ja) 定着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694131B1 (ko) 정착롤러 및 상기 정착롤러를 적용한 정착장치
JP5535890B2 (ja) 定着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060291924A1 (en) Fusing unit and fu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538246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KR100619047B1 (ko)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
JP2002123113A (ja) 定着装置及びこの定着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H10319751A (ja) 誘導加熱定着装置
JP3824484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342246B2 (ja) 像加熱装置
JP2006018290A (ja) 定着器,定着装置および定着器加熱方法
KR20060018617A (ko) 정착롤러
JP2001265150A (ja) 熱伝達強化型クイックヒートローラー及びこれを用いた装置
JPH1020690A (ja) 定着装置
JPH07319311A (ja) 定着装置
JPH11288192A (ja) 定着部材、定着装置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電子写真装置
JPH08262901A (ja) 定着ヒータ,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60024487A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JPH10104984A (ja) ヒー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