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8901A - 헤드폰 - Google Patents

헤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8901A
KR20060038901A KR1020057006291A KR20057006291A KR20060038901A KR 20060038901 A KR20060038901 A KR 20060038901A KR 1020057006291 A KR1020057006291 A KR 1020057006291A KR 20057006291 A KR20057006291 A KR 20057006291A KR 20060038901 A KR20060038901 A KR 20060038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housing
winding
plug
head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시 오오따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38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양호하게 코드를 권취할 수 있는 코드 권취 기구 부착 헤드폰을 제공하기 위해, 헤드폰을 구성하는 하우징(1L, 1R)의 한 쪽 혹은 양 쪽의 하우징 내에 코드 권취 기구를 내장하고, 좌우 하우징을 접합함으로써 계지가 해제되어 코드가 권취되도록 하였다.
코드 권취 기구 부착 헤드폰, 하우징, 플러그, 걸침 코드, 릴리스 레버

Description

헤드폰{HEADPHONE}
본 발명은 코드를 하우징 내에 권취하는 기구를 구비한 헤드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형 음향 기기의 발달에 수반하여 헤드폰이 옥외에서도 많이 이용되게 되었다. 또한, 젊은이를 중심으로 한 개성화의 시대가 진행됨에 따라서 헤드폰에 있어서도 그 디자인을 중시한 제품으로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고, 헤드 밴드가 없는 귀걸이 장착 방식의 헤드폰이 널리 보급되고, 그 옥외 사용의 기회도 늘어났다.
이 귀걸이형 헤드폰을 휴대, 수납하는 경우, 하우징에는 가는 막대 형상의 귀걸이 아암이 설치되고, 또한 좌우에서 하우징이 독립되어 있으므로 코드와 하우징이 얽히기 쉽고, 매우 번거롭다. 이 코드를 처리하기 위해, 종래, 코드를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본체 내의 릴에 권취하는 구조로 하여 코드의 번잡함을 해결한 것이 있었다. 그런데, 플러그 부착 코드의 권취 기구를 구비한 헤드폰의 경우, 사용자의 귓바퀴에 헤드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권취의 계지를 해제한 경우, 말단부의 플러그가 강하게 인입될 때에 귓바퀴나 얼굴에 닿는 일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플러그를 하우징에 삽입함으로써 코드의 하우징 내부로의 권취를 방지하는 계지를 해제하고, 코드를 권취하는 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도12는 종래의 코드 권취 기구를 구비한 헤드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내부에 스피커 유닛이 수납된 하우징(90)에는 귓바퀴에 장착하기 위한 행거(91)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에 플러그(93)가 부착된 코드(92)가 하우징(90)의 내부의 권취 기구(94)에 의해 권취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권취 기구(94)에 의한 권취는 내장된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고 있고, 통상은 로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코드(92)의 선단부의 플러그(93)를 삽입하기 위한 플러그 삽입부(95)가 하우징(90)에 설치되어 있고,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93)를 플러그 삽입부(95)에 삽입시킨 경우에 플러그(93)의 선단부(93a)가 화살표 R로 나타낸 바와 같이 권취 기구(94)의 로크를 제거하고 코드(92)를 권취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청 발행의 일본 특허 공개 2002-10385호에는 종래의 코드 권취 기구를 구비한 헤드폰의 예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12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구조상 권취가 종료된 상태에서는 플러그(93)의 브러싱부(93b)가 만곡되어, 다음에 사용할 때에도 구부러진 상태로 외관이 나쁘고, 코드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코드를 만곡시키면 코드 내부의 신호선의 단선으로도 이어지는 등 내구성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하게 코드를 권취할 수 있는 코드 권취 기구가 달린 헤드폰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1 발명은, 각각 스피커 유닛이 내장되어 서로 접합 가능한 리브를 갖는 제1 및 제2 하우징과, 제1 하우징 내부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타단부에 플러그를 갖는 플러그 부착 코드와, 제1 하우징 내부에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코드를 권취하는 플러그 부착 코드 권취 수단과, 플러그 부착 권취 수단에 의한 권취를 규제하는 계지 수단과, 리브로 제1 하우징에 제2 하우징을 접합한 경우에 계지 수단에 의한 플러그 부착 코드의 권취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는 헤드폰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한 것으로, 헤드폰을 구성하는 좌우 하우징을 접합함으로써 코드를 권취하므로, 코드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 양호하게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좌우로 독립되어 있던 하우징을 1개로 연결함으로써 계지를 해제하므로, 사용자의 귓바퀴에 헤드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코드를 권취하는 일이 없고, 코드의 말단부의 플러그가 강하게 인입될 때에 귓바퀴나 얼굴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우 하우징이 하나로 포개어지므로, 수납성, 휴대성이 향상된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의 헤드폰에 있어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접속하는 걸침 코드를 구비하고, 제1 또는 제2 하우징 내부에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걸침 코드를 권취하는 걸침 코드 권취 수단과, 걸침 코드 권취 수단에 의한 권취를 규제하는 계지 수단과, 리브로 제1 하우징에 제2 하우징을 접합한 경우에 계지 수단에 의한 걸침 코드의 권취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한 것으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접속하는 걸침 코드에 대해서도 좌우 하우징을 접합함으로써 권취되어, 양호하게 권취할 수 있게 된다.
제3 발명은, 제2 발명의 헤드폰에 있어서, 제1 및 제2 하우징은 귓바퀴에 장착하기 위한 행거를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한 것으로, 귓바퀴에 장착하기 위한 행거를 갖는 구성의 헤드폰의 걸침 코드를 양호하게 권취할 수 있게 된다.
제4 발명은, 제1 발명의 헤드폰에 있어서, 제1 및 제2 하우징을 접속하는 헤드 밴드를 갖고, 헤드 밴드를 거쳐서 접속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리브에 의해 결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한 것으로, 헤드 밴드를 갖는 구성의 헤드폰의 플러그 부착 코드를 양호하게 권취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폰의 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폰의 하우징을 접합시킨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폰의 내부 구조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폰의 하우징을 접합시킨 상태의 내부 구조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고정용 리브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고정용 리브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고정용 리브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밴드를 갖는 헤드폰의 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밴드를 갖는 헤드폰의 하우징을 접합시킨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밴드를 갖는 헤드폰의 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밴드를 갖는 헤드폰의 하우징을 접어 넣은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12는 종래의 코드 권취 기구를 구비한 헤드폰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인용 부호의 설명>
1L, 1R : 하우징
2L, 2R : 행거
3 : 걸침 코드
4 : 블러그 부착 코드
5 : 플러그
6L, 6R : 고정용 리브
6R' : 물결 형상 리브
7La, 7Ra : 돌출부
7Lb, 7Rb : 계지부
8L, 8R : 태엽 스프링
9L, 9R : 요철부
10L, 10R : 코일 스프링
11L, 11R : 축
21L, 21R : 하우징
22L, 22R : 고정용 리브
23 : 릴리스 레버
24 : 플러그 부착 코드
25 : 플러그
26 : 헤드 밴드
27L, 27R : 연결 부재
28L, 28R : 고정용 리브
61, 61a : 리브의 볼록부
62, 62a : 리브의 오목부
62a' : 물결 형상 리브의 오목부
90 : 하우징
91 : 행거
92 : 코드
93 : 플러그
93a : 선단부
93b : 브러싱부
94 : 권취 기구
95 : 플러그 삽입부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예의 헤드폰의 외관도, 도2는 본 예의 헤드폰을 구성하는 하우징(1L, 1R)을 접합한 상태의 외관도이다. 본 예의 헤드폰은 수지 형성된 좌우 한 쌍의 하우징(1L, 1R)으로 구성하고 있고, 각각의 하우징(1L, 1R) 내에 음향 출력을 행하는 스피커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내장시키고 있다. 스피커 유닛은 후술하는 코드(3, 4)를 거쳐서 외부의 음향 기기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신호에 대응한 음향을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하우징(1L, 1R)에는 귀에 걸기 위한 행거(2L, 2R)를 부착하고 있고, 걸침 코드(3)에 의해 좌우 하우징(1L, 1R)끼리를 접속하고 있다. 음향 기기에 접속되는 플러그(5)가 달린 플러그 부착 코드(4)는 한 쪽의 하우징, 본 예의 경우에서는 좌측 하우징(1L)에 접속하여 오디오 신호를 입력한다. 걸침 코드(3)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좌측 하우징(1L)으로부터 우측 하우징(1R) 내의 스피커 유닛으로 공급한다. 하우징(1L, 1R) 표면의 단부에는 좌우 하우징을 접합하기 위한 고정용 리브(6L, 6R)를 형성하고 있다. 본 예의 경우, 고정용 리브(6L, 6R)는 빗살 형상으로 형성시킨 리브로 하고 있고, 각각의 하우징(1L, 1R)을 귓바퀴에 장착시킨 경우에 머리부의 전방면(얼굴) 부근이 되는 단부가 되는 위치에 리브(6L, 6R)를 형성시키고 있다. 좌측 하우징(1L)의 리브(6L)와, 우측 하우징(1R)의 리브(6R)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 맞추어 접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고정용 리브(6L, 6R)의 일부에 코드를 권취한 상태를 보유 지지, 해제하기 위한 릴리스 레버(7L, 7R)를 설치하고 있다. 도5는 우측 하우징(1R)의 리브(6R)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리브(6R)는 빗살 형상으로 형성하여 볼록부(61)와, 오목부(62)로 구성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좌측 하우징(1L)의 리브(6L)는 우측 리브(6R)의 볼록부(61)와 끼워 맞추는 형상의 오목부와, 오목부(62)와 끼워 맞추는 형상의 볼록부로 구성한다. 릴리스 레버(7R)는 하우징(1R)의 하우징 내에 그 기구를 배치하지만, 그 선단부 부분의 돌출부(7Ra)를 고정용 리브의 오목부(62a)로 돌출되도록 구성한다. 릴리스 레버(7R)의 돌출부(7Ra)는 좌측 하우징(1L)의 리브(6L)와 끼워 맞춤으로써 리브(6L)의 볼록부에 의해 하우징(1R)의 내부에 압입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2는 좌우 고정용 리브(6L, 6R)를 접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좌측 하우징(1L)의 릴리스 레버(7L)의 돌출부(7La)는 우측 리브(6R)의 볼록부에 의해 하우징(1L) 내부에 압입되어 계지를 해제하고, 마찬가지로, 우측 하우징(1R)의 릴리스 레버(7R)의 돌출부(7Ra)는 좌측 리브(6L)의 볼록부에 의해 하우징(1R)의 내부에 압입되어 계지를 해제한다. 계지가 해제된 것에 의해, 걸침 코드(3) 및 플러그 부착 코드(4)가 하우징 내에 권취되고, 본 예에서는, 걸침 코드(3)는 우측 하우징(1R) 내부에 권취하고, 플러그 부착 코드(4)는 좌측 하우징(1L) 내부에 권취한다. 도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부착 코드(4)가 모두 권취된 상태에서는 플러그(5)의 일부만이 하우징(1L)의 외부로 나온 상태에서 코드가 수납된다.
다음에, 도3, 도4를 이용하여 본 예의 헤드폰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은 헤드폰 내부의 권취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4는 코드를 권취 도중의 상태의 헤드폰 내부의 권취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좌우 하우징(1L, 1R)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 유닛 외에, 코드를 권취하기 위한 태엽 스프링(8L, 8R)을 고정하고 있고, 릴(9L, 9R)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또한, 코드를 권취한 상태를 유지, 해제하기 위해 릴리스 레버(7L, 7R)를 릴(9L, 9R)의 외주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고정하고 있는 축(11L, 11R)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릴리스 레버(7L, 7R)의 일단부의 돌출부(7La, 7Ra)는 고정용 리브(6L, 6R)의 오목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타단부에 있는 계지부(7Lb, 7Rb)는 릴(9L, 9R)에 접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릴리스 레버(7L, 7R)를 릴(9L, 9R)측으로 누르기 위한 코일 스프링(10L, 10R)을 릴(9L, 9R)의 외측에 릴리스 레버(7L, 7R)의 계지부(7Lb, 7Rb)와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있어서, 코드 권취 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은 계지 기구에 의해 태엽 스프링(8L, 8R)이 코드를 권취하고자 하는 것을 로크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릴(9L, 9R)의 외주에는 톱니 형상의 요철부(9La, 9Ra)를 복수 부위 설치하고 있고, 그 요철부에 의해 외주를 균등하게 분할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외주를 3분할하고, 요철부를 3군데 설치하고 있다. 릴리스 레버(7L, 7R)의 계지부(7Lb, 7Rb)는, 헤드폰이 좌우 분리된 상태에서는 릴의 요철부 (9La, 9Ra)에 끼워진지 얼마 안 되어 코일 스프링(10L, 10R)에 의해 눌려 계지된다. 계지부(7Lb, 7Rb)가 릴의 요철부(9La, 9Ra)에 끼워짐으로써 릴(9L, 9R)이 태엽 스프링(8L, 8R)의 복원력에 의해 도3에 나타내는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것을 방지하여, 코드가 권취되지 않으므로, 코드의 상태를 보유 지지한다.
헤드폰의 코드를 수납하는 경우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하우징(1L, 1R)의 고정용 리브(6L, 6R)를 접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정용 리브(6L, 6R)의 오목부에 돌출되어 있던 릴리스 레버의 돌출부(7La, 7Ra)가 좌우 서로 상대의 고정용 리브의 볼록부에 의해 압입되고, 릴리스 레버(7L, 7R)가 축(11L, 11R)을 축으로 회전함으로써 계지부(7Lb, 7Rb)가 릴의 요철부(9La, 9Ra)로부터 떨어지므로, 계지를 해제한다. 계지가 해제되면, 태엽 스프링(8L, 8R)의 복원력에 의해 릴(9L, 9R)이 도4에 나타내는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고, 좌측 릴(9L)은 플러그 부착 코드(4)를, 우측 릴(9R)은 걸침 코드(3)를 권취한다.
다음에, 헤드폰의 코드를 인출하는 경우에 대해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플러그 부착 코드(4)를 하우징(1L)으로부터 인출하는 경우에는, 우선 좌우 하우징(1L, 1R)을 분리한다. 좌우 하우징(1L, 1R)을 분리함으로써, 고정용 리브(6L, 6R)의 볼록부에 의해 압입하고 있던 릴리스 레버의 돌출부(7La, 7Ra)의 로크가 어긋나고, 코일 스프링(10L, 10R)이 릴리스 레버의 계지부(7Lb, 7Rb)를 릴(9L, 9R)측으로 누름으로써, 릴리스 레버(7L, 7R)가 축(11L, 11R)을 축으로 회전하고, 릴리스 레버의 돌출부(7La, 7Ra)가 고정용 리브(6L, 6R)의 오목부로 돌출된다. 그 결과, 앞서 설명한 계지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플러그 부착 코드(4)를 좌측 하우징(1L)으로 부터 도3에 나타내는 화살표 B방향으로 인출하면, 그것에 수반하여 릴(9L)이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릴리스 레버(7)의 계지부(7Lb)는 코일 스프링(10L)에 의해 릴(9L)의 외주에 눌려 있으므로, 계지부(7Lb)는 릴(9L)의 외주에 따라서, 요철부(9La)에 끼워지면서 회전한다. 필요한 길이까지 인출하였을 때에 코드의 인출을 정지하면, 태엽 스프링(8L)의 복원력에 의해 릴(9L)이 도3에 나타내는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지만, 계지부(7Lb)가 릴(9L)의 요철부(9La)에 끼워짐으로써 회전이 정지하여 계지된다. 마찬가지로, 걸침 코드(3)를 하우징(1R)으로부터 인출하는 경우에는 좌우 하우징(1L, 1R)을 분리하고, 우측 하우징(1R)으로부터 도3에 나타내는 화살표 D방향으로 코드를 인출한다. 그것에 수반하여 하우징(1R) 내에서 상기 같은 동작이 행해져 코드를 적당한 길이로 인출한 후, 계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우 하우징 내에서 각각 플러그 부착 코드(4), 걸침 코드(3)를 권취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양 쪽 코드를 동시에 권취할 수 있는 동시에, 각각의 코드의 길이를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릴리스 레버(7L, 7R)는 고정용 리브(6L, 6R)의 오목부에 그 돌출부(7La, 7Ra)가 돌출되는 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우징(1L, 1R)을 1개로 접합하여 고정용 리브(6L, 6R)를 끼워 맞춘 것만으로는 계지를 해제할 수 없다. 그로 인해, 사용자가 헤드폰을 귓바퀴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코드를 권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여기서는 플러그 부착 코드와 걸침 코드를 좌우 각각의 하우징 내에 권취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그들의 코드를 좌우 어느 한 쪽의 하우징 내에 권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을 접합시키기 위한 고정용 리브를 다른 형상으로 하여 실현할 수도 있다. 도6은 우측 하우징(1R)의 리브(6R)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리브(6R)는 빗살 형상으로 형성하여 볼록부(61)와, 오목부(62)로 구성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볼록부의 중앙 부분을 복수 부위 단차식 볼록부(61a)로 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좌측 하우징(1L)의 리브는 우측 리브(6R)의 단차식 볼록부(61a)와 끼워 맞출 때에 접촉하는 부분의 볼록부에 같은 단을 붙인다. 또한, 릴리스 레버(7R)의 선단부 부분의 돌출부(7Ra)는 리브의 오목부(62a)로 돌출되어 있다. 코드를 권취하는 경우에는 좌우 하우징의 고정용 리브(6L, 6R)를 끼워 맞추지만, 본 예의 경우, 리브 부분을 탄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한 경우에는 도6에 나타내는 화살표 X방향을 향해 좌우 하우징을 끼워 넣고, 탄력이 적은 재질로 형성한 경우에는 도6에 나타내는 화살표 Y방향을 향해 좌우 하우징을 상하로 끼워 넣는다. 좌우 하우징을 끼워 맞춤으로써 릴리스 레버(7L, 7R)의 돌출부(7La, 7Ra)가 하우징(1L, 1R)의 내부에 압입되어 계지를 해제하도록 구성한다. 본 예에서는 고정용 리브 부분에 단을 붙이고 있으므로, 그 포개어지는 부분에 의해 좌우 하우징의 접합을 보유 지지할 수 있어 좌우 하우징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7은 고정용 리브의 형상을 물결 형상으로 한 경우의, 우측 하우징(1R)의 고정용 리브(6R')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다른 예와 마찬가지로, 물결 형상의 리브(6R')의 오목부(62a')에 릴리스 레버(7R)의 선단부 부분의 돌출부(7Ra)를 돌출시키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좌측 하우징(1L)의 리브는 우측 리브(6R')와 끼워 맞추는 형상의 물결 형상으로 형성하여 좌우 리브를 끼워 맞춤으로써 릴리스 레 버(7L, 7R)의 돌출부(7La, 7Ra)가 하우징(1L, 1R)의 내부에 압입되어 계지를 해제하도록 구성한다. 본 예에서는 물결 형상의 요철부가 서로 맞물리는 구조로 함으로써 하우징의 접합을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리브 부분을 곡선으로 함으로써 손이나 얼굴 등에 닿는 경우의 충격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고정용 리브를 떨어지기 어렵게 하고, 휴대 시에도 안정된 상태에서 좌우 하우징을 정리해 둘 수 있다. 또한, 고정용 리브를 형성하는 부위로서, 본 예에서는 하우징을 귓바퀴에 장착시킨 경우에 머리부의 전방면(얼굴) 근방이 되는 단부가 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 하우징을 가로로부터 접합하는 형상으로 설명하였지만, 하우징의 귓바퀴에 닿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고정용 리브를 설치하여 좌우 하우징의 면끼리를 접합하는 형상으로 하여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리브 부분의 재질은 좌우 하우징을 안정된 상태에서 접합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이와 같이, 고정용 리브의 형상이나, 그 부위, 또는 재질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예에서는 귀걸이형 헤드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예의 코드 권취 수단은 헤드 밴드를 갖는 헤드폰에도 같은 기구를 적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8은 헤드 밴드를 갖는 헤드폰에 본 예의 코드 권취 수단을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고, 도9는 그 헤드폰을 접합시킨 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8에 있어서, 좌우 하우징(21L, 21R)의 내부에는 음향 출력을 행하는 스피커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내장하고, 헤드 밴드(26)와 연결 부재(27L, 27R)를 거쳐서 좌우 하우징(21L, 21R)을 접속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각 하우징(21L, 21R) 은 연결 부재(27L, 27R)를 거쳐서 180°반전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각 하우징(21L, 21R)에 내장하고 있는 스피커 유닛은 음향 기기에 접속하는 플러그(25)가 달린 플러그 부착 코드(24)를 거쳐서 외부의 음향 기기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신호에 대응한 음향을 출력한다. 플러그 부착 코드(24)는 한 쪽의 하우징, 본 예에서는 좌측 하우징(21L)에 접속하여 하우징(21L) 내의 스피커 유닛에 오디오 신호를 공급한다. 공급된 오디오 신호는 헤드 밴드(26) 내를 통해 좌우 하우징을 접속하는 코드(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우측 하우징(21R) 내의 스피커 유닛으로 공급된다. 좌우 하우징(21L, 21R)에는 내부의 스피커 유닛으로부터의 음향이 출력되는 귓바퀴에 닿는 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고정용 리브(22L, 22R)를 설치하고 있다. 플러그 부착 코드(24)의 접속하는 측의 고정용 리브(22L)의 오목부에 릴리스 레버(23)를 배치한다. 하우징(21L) 내부에는 상기 도3, 도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코드 권취 기구 및 계지 기구를 구비하고, 릴리스 레버(23)의 돌출부를 하우징(21L) 내에 압입함으로써 계지가 해제되어 코드를 권취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도9는 좌우 헤드폰을 접합하여 코드를 권취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코드의 권취 시에는 하우징(21L, 21R)을 연결 부재(27L, 27R)를 거쳐서 180°반전하고, 서로 마주 본 좌우 고정용 리브(22L과 22R)를 접합한다. 고정용 리브(22L, 22R)를 접합함으로써 릴리스 레버(23)를 하우징(21L) 내부에 압입하여 계지를 해제하고, 플러그 부착 코드(24)를 하우징(21L) 내에 권취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헤드 밴드를 갖는 헤드폰에 관해서도 좌우 하우징을 접합함으로써 코드를 권취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사용자가 헤드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코드를 권취하는 일이 없어지 고, 또한 좌우 하우징을 접합하므로 수납성, 휴대성이 우수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10은 헤드 밴드를 갖는 헤드폰에 본 예의 코드 권취 수단을 적용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고, 도11은 그 헤드폰을 접어 넣어 코드를 수납한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10 및 도11에 있어서, 도8 및 도9와 동일한 구성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10에 있어서, 좌우 하우징(21L, 21R)을 접속하는 헤드 밴드(26)의 만곡부의 내경측, 즉 사용자가 헤드폰을 장착하였을 때에 머리부로 접촉하는 측에 좌우 각각 고정용 리브(28L, 28R)를 설치한다. 플러그 부착 코드(24)를 하우징(21L) 내에 권취하는 경우, 상기 예에서는 좌우 하우징끼리를 접합함으로써 계지를 해제하였지만, 본 예에서는 좌측 하우징(21L)을 연결 부재(27L)를 거쳐서 상방향으로 접어 넣고, 하우징(21L) 내부의 스피커 유닛으로부터의 음향이 출력되는 귓바퀴에 닿는 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설치한 고정용 리브(22L)와, 헤드 밴드(26)에 설치한 고정용 리브(28L)를 접합함으로써 리브(22L)의 오목부에 설치한 릴리스 레버(23)를 하우징(21L) 내에 압입하여 계지를 해제한다. 계지를 해제함으로써, 플러그(25)를 접속한 코드(24)를 하우징(21L)의 내부로 권취한다. 또한, 우측 하우징(21R)에 설치한 고정용 리브(22R)와, 헤드 밴드(26)에 설치한 고정용 리브(28R)도 마찬가지로 접합할 수 있고, 좌우 하우징을 동일한 형상으로 접어 넣을 수 있으므로, 수납성, 휴대성이 우수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헤드 밴드를 갖는 헤드폰에 관해서도 고정용 리브의 형상이나 설치 부위나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폰을 구성하는 좌우 하우징을 접합함으로써 코드를 권취하므로, 코드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 양호하게 권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좌우에서 독립되어 있던 하우징을 1개로 연결함으로써 계지를 해제하므로, 사용자의 귓바퀴에 헤드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코드를 권취하는 일이 없고, 코드의 말단부의 플러그가 강하게 인입될 때에 귓바퀴나 얼굴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좌우 하우징이 1개로 정리되므로, 수납성, 휴대성이 향상된다.

Claims (4)

  1. 각각 스피커 유닛이 내장되어 서로 접합 가능한 리브를 갖는 제1 및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타단부에 플러그를 갖는 플러그 부착 코드와,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코드를 권취하는 플러그 부착 코드 권취 수단과, 상기 플러그 부착 코드 권취 수단에 의한 권취를 규제하는 계지 수단과,
    상기 리브로 제1 하우징에 제2 하우징을 접합한 경우에 상기 계지 수단에 의한 플러그 부착 코드의 권취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는 헤드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접속하는 걸침 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하우징 내부에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침 코드를 권취하는 걸침 코드 권취 수단과, 상기 걸침 코드 권취 수단에 의한 권취를 규제하는 계지 수단과,
    상기 리브로 제1 하우징에 제2 하우징을 접합한 경우에 상기 계지 수단에 의한 걸침 코드의 권취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는 헤드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은 귓바퀴에 장착하기 위한 행거를 갖는 헤드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을 접속하는 헤드 밴드를 갖고,
    상기 헤드 밴드를 거쳐서 접속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리브에 의해 결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한 헤드폰.
KR1020057006291A 2003-08-13 2004-08-11 헤드폰 KR20060038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93078A JP3838229B2 (ja) 2003-08-13 2003-08-13 ヘッドホン
JPJP-P-2003-00293078 2003-08-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901A true KR20060038901A (ko) 2006-05-04

Family

ID=34190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291A KR20060038901A (ko) 2003-08-13 2004-08-11 헤드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84565B2 (ko)
EP (1) EP1549105A1 (ko)
JP (1) JP3838229B2 (ko)
KR (1) KR20060038901A (ko)
CN (1) CN100527860C (ko)
TW (1) TWI258315B (ko)
WO (1) WO20050182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230B1 (ko) * 2013-09-02 2014-11-13 안재희 엉킴 방지형 이어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9389B2 (ja) * 2003-09-12 2009-04-3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JP4548531B2 (ja) * 2003-09-12 2010-09-2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
JP3933142B2 (ja) * 2004-04-27 2007-06-20 ソニー株式会社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US8798305B2 (en) 2004-07-06 2014-08-05 Kaddan Entertainment,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headphone transducers
US7519192B1 (en) * 2005-09-13 2009-04-14 Logan Laycock Wired clothing and earphones
KR100796806B1 (ko) * 2006-01-11 2008-01-24 (주)유빅슨 목걸이형 무선 헤드셋
CN101203057B (zh) * 2006-12-14 2011-06-15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具有杆动式控制接口的耳挂装置
JP4862699B2 (ja) * 2007-03-09 2012-01-25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CN101394681B (zh) * 2007-09-21 2014-11-26 索尼(中国)有限公司 一种分体式电子装置
JP5077940B2 (ja) * 2007-10-02 2012-1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イアークリップタイプヘッドホン
US8500384B2 (en) 2008-08-19 2013-08-06 Tld (Canada) Inc. Cargo loader for an aircraft with an articulate scissor assembly
US8170231B2 (en) * 2009-11-20 2012-05-01 Motorola Solutions, Inc. Adjustable accessory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8351868B2 (en) * 2009-11-20 2013-01-08 Motorola Solutions, Inc. Radio status indicator
US20110286615A1 (en) * 2010-05-18 2011-11-24 Robert Olodort Wireless stereo headsets and methods
JP5418434B2 (ja) * 2010-07-22 2014-02-1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ヘッドホン
KR101303274B1 (ko) * 2010-11-04 2013-09-03 신지앙 티안디 그룹 내장형 신축 이어폰 구조 및 단말 설비
US8365887B2 (en) 2010-12-17 2013-02-05 Fischer Consumer Electronics Retraction apparatus
CN102811399B (zh) * 2011-06-01 2016-02-17 新疆天地集团有限公司 一种耳机结构
CN102625210A (zh) * 2012-04-12 2012-08-01 姜文音 一种能听到自己声音的耳机
CN104541213A (zh) * 2012-06-11 2015-04-22 耶斯华·苏利亚斯 带有备用电池用于方便地为外部移动电子装置提供电源的手表
US20160227309A1 (en) * 2013-09-30 2016-08-04 Rocco DeLeonardis Tangle-free earphones
US9094757B2 (en) * 2013-11-12 2015-07-28 Ideavillage Products Corp. Headphone apparatus with cord storage
US9820028B2 (en) 2014-03-21 2017-11-14 Robert J. Long Cord management device
USD750039S1 (en) * 2014-05-08 2016-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phone
US9648407B2 (en) 2014-06-12 2017-05-09 Kaddan Entertainment,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eadphone wires
US9769551B2 (en) * 2014-12-31 2017-09-19 Skullcandy, Inc. Method of connecting cable to headphone, and headphone formed using such methods
WO2017161415A1 (en) * 2016-03-21 2017-09-28 Edward Ip Pty Ltd Head phone
US9807493B1 (en) 2016-04-21 2017-10-31 Human, Incorporated Attachment apparatus
US10945076B2 (en) 2016-09-23 2021-03-09 Apple Inc. Low spring-rate band
US11102567B2 (en) 2016-09-23 2021-08-24 Apple Inc. Foldable headphones
JP6902605B2 (ja) 2016-09-23 2021-07-14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ヘッドホン
WO2018139088A1 (ja) * 2017-01-27 2018-08-02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出力装置
USD842836S1 (en) * 2017-07-17 2019-03-12 Shaowu MA Wireless headset
KR102386280B1 (ko) * 2017-11-20 2022-04-14 애플 인크. 헤드폰
KR102414633B1 (ko) 2018-04-02 2022-06-30 애플 인크. 헤드폰
USD940689S1 (en) * 2020-03-04 2022-01-11 Luxshare Precision Industry Co., Ltd. Wireless headset
CN113923552B (zh) * 2021-09-24 2024-03-19 湖南捷力泰科技有限公司 一种线控无线音效耳麦及其控制方法
USD983768S1 (en) * 2022-10-08 2023-04-18 Yingshan Wu Earpho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3778A (en) 1981-02-27 1982-09-06 Toshiba Corp Tape recorder with radio receiver
JPS57143778U (ko) * 1981-03-05 1982-09-09
JP3777855B2 (ja) * 1999-03-04 2006-05-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ード巻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JP4151157B2 (ja) * 1999-05-31 2008-09-17 ソニー株式会社 イヤホン
JP4310893B2 (ja) * 2000-06-26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CN2563136Y (zh) * 2001-12-07 2003-07-30 廖生兴 短线距的卷线盒
US20030169896A1 (en) * 2002-03-05 2003-09-11 Kirk Karl Dallas Ear clip speakers that interlock and enable cord spool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230B1 (ko) * 2013-09-02 2014-11-13 안재희 엉킴 방지형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84565B2 (en) 2007-02-27
WO2005018276A1 (ja) 2005-02-24
CN100527860C (zh) 2009-08-12
JP3838229B2 (ja) 2006-10-25
JP2005064909A (ja) 2005-03-10
TW200520590A (en) 2005-06-16
CN1701628A (zh) 2005-11-23
TWI258315B (en) 2006-07-11
US20060013429A1 (en) 2006-01-19
EP1549105A1 (en)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38901A (ko) 헤드폰
JP4123600B2 (ja) ヘッドホン装置
JP4310893B2 (ja)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JP4601839B2 (ja) ヘッドホン装置
US4409442A (en) Headphone
JP6055835B2 (ja) ユーザ装着式ヘッドホンの収納リールアセンブリを備える携帯機器用ケース
US7120267B2 (en) Headset
JP2001112081A (ja) ヘッドホン
JP2010166258A (ja) ヘッドホン及びイヤマフ
JP2004241332A (ja) プラグ取付機構
JP5747484B2 (ja) ステレオヘッドホンおよびステレオヘッドホン用スライダ
KR20090003689A (ko) 이어폰 수납장치
JP2006345310A (ja) 収納ケース付ヘッドホン装置及びヘッドホン装置
JP3655573B2 (ja) イヤフォン整理具
KR200235866Y1 (ko) 귀걸이형 이어셋
KR102634803B1 (ko) 이어폰 코드의 꼬임 방지구
AU771321B2 (en) Headphone device
JPH0531491U (ja) インナーイヤヘツドホン
JP3557336B2 (ja) マイクロホン付きイヤホン
KR200262893Y1 (ko) 이어폰 줄 및 플러그 단자 수납 케이스
JP2001231087A (ja) ヘッドホン係止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ヘッドホン
KR0133716Y1 (ko) 이어폰
KR200342206Y1 (ko) 귀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JP5077940B2 (ja) イアークリップタイプヘッドホン
JP2597145Y2 (ja) ヘッドフォ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