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405A - 유틸리티 차량용 서포팅 프레임 - Google Patents
유틸리티 차량용 서포팅 프레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37405A KR20060037405A KR1020067001831A KR20067001831A KR20060037405A KR 20060037405 A KR20060037405 A KR 20060037405A KR 1020067001831 A KR1020067001831 A KR 1020067001831A KR 20067001831 A KR20067001831 A KR 20067001831A KR 20060037405 A KR20060037405 A KR 200600374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ing frame
- chords
- longitudinal
- longitudinal member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62D21/2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trailer type, i.e. a frame specifically constructed for use in a non-powered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부분(front part, 14)과 중앙부분(center part, 16) 그리고 후방부분(rear part, 18)으로 구성되는, 특히 관절된 트럭을 위한 사용자 차량을 위한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부분은 격자형 구성으로써, 적어도 두개이상의 상현재와 적어도 두개이상의 하현재가 제공되어지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박스형 단면을 가진다. 전방부분과 후방부분들은 사다리 프레임과 같은 방식으로, 우측 및 좌측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들(20,22,26,28)에 의해서 형성되어진다.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들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U-형 단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서포팅 프레임은, 예를 들어 배기가스 크리닝 시스템(exhaust gas cleaning system)과 연료탱크가 제공되어진 관절된 트럭을 위하여 사용되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방부분(front part)과 중앙부분(center part), 그리고 후방부분(rear part)을 가지는, 특히 트렉터 유닛(tractor unit)과 같은 유틸리트 차량(utility vehicle)을 위한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에 관한 것이다.
공개된 독일 명세서 DE 43 22 716 A1호는, 세 가지 다른 섹션(section), 즉 프론트 액슬 부위(front axle region)를 맞추기 위한 전방부분(front part)과, 중앙부분(center part), 그리고 리어액슬(rear axle)을 맞추기 위한 후방부분(rear part)로 구성된, 유틸리티 차량(utility vehicle)을 위한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을 개시하고 있다. 전방부분(front part)과 후방부분(rear part)은 크로스 부재(cross member)에 연결되어진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로 각각 구성되어지고,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는 다수의 리브(rib)를 가진 알루미늄 캐스팅(aluminum casting)으로서 설계되어진다. 중앙부분(central part)은 박스형 단면을 가지며, 중앙부분의 두개의 측벽은 지지기능(supporting function)을 취하며, 돌출된 알루미늄 프로파일(extruded aluminum profile)로 구성되어진다. 세 개의 다른 섹션(section)들은 모듈(module)로서 미리 조립되어지고,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에 결속되어지게 되는 모든 구성부품(component)들은 섹션 프레임(sectional frame)이 연결되어지기 전에 대응되는 섹션 프레임 상에서 배열되어지도록 제공된다. 전방부분(front part)과 후방부분(rear part) 내의 길이방향 부재의 세그먼트는 H 섹션(section)을 가진다.
독일특허 DE 101 48 312 C1호는 유티릴티 차량(utility vehicle)의 섀시(chassis)를 위한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을 개시하고 있고, 상기 서포팅 프레임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박스형 단면을 가진다. 서포팅 프레임은 두개의 상현재(top chord)와 두개의 하현재(bottom chord) 그리고 상기 현재(chord)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스러스트 플레이트(thrust plate)로 구성되어진다. 각각의 하현재(bottom chord)가 전방피스(front piece)와, 중앙피스(center piece) 그리고 후방피스(rear piece)를 가지도록, 하현재(bottom chord)는 3-피스 디자인(three-piece design)으로 될 수도 있다. 구동 트레인(drive train)과, 만일 필요하다면 추가적인 구성부품들은 박스형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의 내부 공간 내에 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전체 길이에 걸쳐서 박스형 단면을 가진 유틸리티 차량(utility vehicle)을 위한 추가적인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은 공개된 독일 명세서 DE 197 50 981 A1호에서 개시되어진다.
유틸리티 차량을 위한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은 공개된 독일 명세서 DE 101 37 379 A1호에서 개시되어지고, 상기 서포팅 프레임은 박스형 단면을 가지며,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두개의 상현재(top chord)와 두개의 하현재(bottom chord) 그리고 상현재와 하현재를 서로 연결하는 수직 웨브(vertical web)로 구성되어진다. 두개의 상현재와 두개의 하현재는 웨브에 의해서 유사하게 연결되어진다. 완전히 밀폐된 보강 프레임(reinforcing frame)이 얻어지도록, 웨브들은 배열되어진다.
본 발명은 종래의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과 비교하여, 예를 들어 배기가스 크리링 시스템(exhaust gas cleaning system) 및 연료탱크(fuel tank)와 같은 기능적 구성요소(functional element)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더욱 제공하는, 유틸리티 차량(utility vehicle)을 위한 서포팅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부분(front part), 중앙부분(center part) 그리고 후방부분(rear part)을 가지는, 특히 트랙터 유닛(tractor unit)과 같은 유틸리티 차량(utility vehicle)을 위한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은, 상기 중앙부분(center part)이 적어도 두개 이상의 상현재(top chord)와 두개 이상의 하현재(bottom chord)를 가진 격자(latticework)와 같은 구성으로 되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박스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전방부분(front part)과 후방부분(rear part)은 우측 길이방향 부재(longitudinal member)와 좌측 길이방향 부재를 가진 사다리-프레임(ladder-frame)과 같은 디자인으로 되도록 제공되어지며, 길이방향 부재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U-와 같은 단면을 가진다.
종래의 서포팅 프레임과 비교하여, 박스형 단면의 중앙부분(center part)의 격자와 같은 설계(latticework-like design)는, 예를 들어 배기가스 크리링 시스템 및 연료탱크를 수용하기 위한 더 큰 공간(space)으로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 덕분에, 유틸리티 차량을 위한 추가적인 배기가스의 조절(regulation)이 연료탱크의 체적을 감소시킴이 없이도 수행되어질 수 있다. 반면에, 전방부분(front part)과 후방부분(rear part)은 U-와 같은 단면의 길이방향 부재로써 입증된 방식으로 구성되어짐으로써, 입증된 엔진의, 리어-액슬(rear-axle)과 프론트-액슬(front-axle)의 결속(fastening)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개에서, 전방부분과 후방부분에 있어서, U-와 같은 단면의 길이방향 부재의 레그(leg)들은 각각의 경우에 반대편 길이방향 부재의 방향으로 뻗어지고, 중앙부분(center part)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놓인 상현재(top chord) 또는/및 하현재(bottom chord)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L-과 같은 단면을 가진다.
중앙부분(center part) 내의 상현재 또는/및 하현재는 L-과 같은 단면을 가진다는 사실 덕분에, 가능한 더 많은 공간(space)이 기능적 구성요소(functional element)의 설치를 위하여 중앙부분의 박스형 단면 내부에 제공되어진다.
본 발명의 전개에 있어서, L-과 같은 단면의 상현재 또는/및 하현재의 제 1 레그(leg)는 전방부분(front part) 또는/및 후방부분(rear part)의 각각 관련된 길이방향 부재의 베이스(base)에 평행하게 되고, 상현재 또는/및 하현재의 제 2 레그(leg)는 길이방향 부재의 레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관련된 길이방향 부재의 베이스(base)로부터 외부로 뻗어진다.
이러한 구성(arrangement)으로 인하여, 박스형 단면의 중앙부분(center part) 내부의 공간(space)은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되어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튼튼한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이 보장되어진다.
본 발명의 전개에 있어서, 상현재와 하현재 그리고 각각 관련된 한쪽 측면의 길이방향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삼각형 스러스트 플레이트(thrust plate)가 제공되어진다.
한편으로는 상현재와 하현재 그리고 길이방향 부재의 튼튼한 연결(robust connection)이 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재료와 무게가 절약되어지도록, 예를 들어, 중앙 구멍(central aperture)을 가지는 삼각형 스러스트 플레이트가 선택되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개에 있어서, 한쪽 측면의 상현재와 하현재와, 두개의 반대편 상현재 또는/및 두개의 반대편 하현재들은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스러스트 플레이트(thrust plate)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진다.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선택은 박스형 단면의 중앙부분(center part) 내부에 제공되어지도록 사용가능한 공간(space)을 가능한 크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량 타입 구성의 스러스트 플레이트는 서포팅 프레임의 전체 무게의 감소를 유지하도록 선택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개에 있어서, 적어도 중앙부분(center part)의 후방단부(rear end) 영역 내의 하현재(bottom chord)들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U-와 같고 아랫방향으로 개방된 포탈 부재(portal member)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진다.
상기 포탈 부재(portal member)에 의해서, 한편으로는 두개 하현재의 튼튼한 연결(robust connection)이 제공되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카르단 샤프트(cardan shaft)의 반동 움직임(rebound movement) 및 스프링 편향(spring deflection)을 위한 공간이 제공되어진다.
본 발명의 전개에 있어서, 포탈 부재(portal member)는, 하현재에 대향된 상부 부위에서, 전방부분(front part) 또는 후방부분(rear part)의 크로스 부재(cross member)에 연결되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방부분 또는 후방부분에의 연결(connection)이 달성되어지며, 이는 디자인의 측면에서 간단하며 동시에 튼튼(robust)하다.
본 발명의 전개에 있어서, 리어액슬(rear axle)을 위한 섀시 결속(chassis fastening)은, 특히 스태빌라이저 마운트(stabilizer mount)는, 중앙부분의 하현재의 후방단부 부위 내에 배열되어진다.
중앙부분의 하현재의 후방단부 영역 내의 섀시 결속의 배열은, 하현재의 후방단부가 실질적으로 액슬 레벨(axle level)에서 위치되어지는 장점을 가진다. 액슬 레벨에서 관절 포인트(articulation point)를 제공하도록 복잡한 스트럿(strut)이 제공되어져야만 하는 종래의 서포팅 프레임과 비교하여, 제작비용과 무게가 절약되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서, 단지 하나의 마운팅 스트럽(mounting stirrup)이 하현재의 후방단부에 결속되어져야만 하는 스태빌라이저 마운트(stabilizer mount)의 경우에 있어서는, 튼튼한 부재(robust member)가 길이방향 부재로부터 대략 액슬레벨로 아래로 연장되어져야만 하는 종래의 디자인과 비교하여, 상당한 무게 절약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과 장점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의 아래 기술로부터 따르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조립된 상태에 있는 도 1의 서포팅 프레임을 도시한 모습
도 3은 기능적 구성요소(functional element)가 제공되어진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프레임의 분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 14 : 전방부분(front part)
16 : 중앙부분(center part) 18 : 후방부분(rear part)
20,22,26,28 :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longitudinal member segment)
24,30,32,48 : 크로스 부재(cross member) 34,36 : 상현재(top chord)
38,40 : 하현재(bottom chord) 58 : 포탈부재(portal member)
42,44,46,50,52,54 : 스러스트 플레이트(thrust plate)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유틸리티 차량(utility vehicle)용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 10)은 특히 트랙터 유닛(tractor unit)을 위하여 의도되어진다. 전방 운행방향(12)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팅 프레임(10)은 전방부분(front part, 14)과, 중앙부분(center part, 16) 그리고 후방부분(rear part, 18)를 가진다.
전방부분(front part, 14)은 종래의 방법으로 구성되어지고, 전방 운행방향(12)에서 볼 때, 우측의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0)와, 좌측의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2)와 그리고 두개의 길이방향 부재 섹션(20,22)을 연결하는 크로스 부재(cross member, 24)를 가진다. 두개의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0,22)들은 각각 베이스(base)와 그리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시작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있는 두개의 레그(leg)를 가진 U형 프로파일(profile)의 형상으로 설계되어진다. 이러한 경우에서, U형 프로파일 형상의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0,22)들은, 베이스(base)로부터 출발하는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0,22)의 레그들이 반대편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0,22)의 방향으로 각각 뻗어지도록 구성되어진다.
이와 유사하게 후방부분(rear part, 18)도 종래의 방법으로 구성되어지는데, 전방 운행방향(12)으로 볼 때, 우측의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6)와, 좌측의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8)와 그리고 두개의 크로스 부재(cross member, 30,32)를 가 진다. 전방부분(14)과 비슷하게, 이들은 후방부분(18)이 사다리-프레임(ladder-frame)과 같은 구성이 되도록 한다. 후방부분(18)의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6,28)들은 U형 프로파일(profile)의 형상으로 설계되어지고, 전방부분(14)의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0,22)와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서 방향화 되어진다.
전방 운행방향(12)으로 볼 때, 중앙부분(center part, 16)은 우측 상현재(top chord, 34)와 좌측 상현재(36), 그리고 우측 하현재(bottom chord, 38)와 좌측 하현재(40)를 가진다. 상현재들(34,36)과 하현재들(38,40)은 각각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L형 단면을 가지며, 전방부분(14)과 후방부분(18)의 서로 다른 프레임 폭(width)에 적응되어질 수 있도록 차량의 길이방향에 가로지르게 각각 구부러진다.
중앙부분의 중간 부위에서, 두개의 상현재들(34,36)은 경량 타입의 구성으로 된 스러스트 플레이트(thrust plate, 4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진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우측 상현재(34)와 우측 하현재(38)들은 경량 타입의 구성으로 된 추가적인 스러스트 플레이트(thrust plate, 44)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지고, 좌측 상현재(36)와 좌측 하현재(40)들은 경량 타입의 구성으로 된 추가적인 스러스트 플레이트(46)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진다. 스러스트 플레이트들(42,44,46)은 중앙부분(center part, 16)의 중간영역에서의 보강(reinforcement)의 결과가 되며, 이러한 보강은 박스형 중앙부분(16)의 세 개의 측면 둘레에 있다. 그러나, 중앙부분 (16)은 아래쪽을 향하여 개방되게 남아있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카르단 샤프트(cardan shaft)의 반동 움직임(rebound movement)과 스프링 편향(spring deflection)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이용가능하다.
중앙부분(16)의 전반부위에 있어서, 우측 하현재(38)와 좌측 하현재(40)들은 크로스 부재(cross member, 48)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진다. 크로스 부재(48)의 레벨(level)에서, 우측 하현재(38)와 우측 상현재(34)들은 삼각형 스러스트 플레이트(50)의 후방 레그(leg)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지고,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중앙부분(16)의 반대편에서도, 좌측 상현재(36)와 좌측 하현재(40)들은 추가적인 삼각형 스러스트 플레이트(52)의 레그(leg)에 의해서 연결되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삼각형 스러스트 플레이트(50)들은 중앙부분(16)의 전방 단부에서 배열되어져서,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추가적인 레그(leg)가 우측 상현재(34)와 좌측 상현재(36)에 각각 평행하게 되고, 각각의 전방 단부를 넘는 연장부(extension)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에, 삼각형 스러스트 플레이트들(50,52)의 두개의 레그들은 서로 직각으로 배열되어지고, 삼각형 스러스트 플레이트들(50,52)의 연결 스트럿(strut)은 두개의 레그에 대해 약 45도의 각도로 되며, 그 단부들을 연결한다. 이러한 경우에서, 두개의 레그와 연결 스트럿(strut)을 가진 삼각형 스러스트 플레이트들(50,52)의 구성은 스러스트 플레이트(50,52) 내에 삼각형의 중앙 구멍이 제공되도록 한다. 두개의 상현재(34)와 삼각형 스러스트 플레이트(50,52)의 상부 레그(leg)들이 각각 관련된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들(20,22)의 베이스에 연결되어지 고 이와 겹쳐짐에 의해서, 중앙부분(16)은 전방부분(14)에 연결되어진다.
중앙부분(16)의 후방 단부에서, 우측 상현재(34)와 우측 하현재(38)들은 앞서 설명된 스러스트 플레이트(50,52)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 삼각형 스러스트 플레이트(54)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진다. 좌측 상현재(36)와 좌측 하현재(40)들은 앞서 설명된 스러스트 플레이트(50,52)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 추가적인 삼각형 스러스트 플레이트(56)에 의해서 중앙부분(16)의 후방단부의 영역 내에서 서로 연결되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후방 삼각형 스러스트 플레이트들(54,56)의 배열은 전방 스러스트 플레이트(50,52)의 배열과 동일하게 되도록 선택되어져서, 두개의 후방 스러스트 플레이트(54,56)에서, 상현재들(34,36)과 하현재들(38,40)에 각을 이루며 배열되어진 연결 스트럿(strut)이 전방 운행방향(12)에 대해서 각각의 경우에 전방에 면하도록 한다.
또한, 중앙부분(center part, 16)의 후방단부의 영역에서, 두개의 하현재들(38,40)은 U-형상의 포탈부재(portal member, 58)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진다. 포탈부재(58)의 제공은 첫째로 하현재들(38,40)의 후방단부의 튼튼한 연결(robust connection)을 생성하고, 이와 동시에 카르단 샤프트(cardan shaft)의 반동 움직임(rebound movement)과 스프링 편향(spring deflection)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 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포탈부재(portal member, 58)의 상부 섹션(top section)은 조립된 상태에서 후방부분(rear part, 18)의 크로스 부재(cross member, 30)에 연결되어진다.
또한, 하현재들(38,40)의 후방단부 영역에서, 각각의 경우에 스태빌라이저 마운트(stabilizer mount, 60)가 하현재들(38,40)의 외부 측면 상에 제공되어진다. 스태빌라이저 마운트(stabilizer mount, 60)들은 각각 스트럽(stirrup) 형상의 디자인으로 되며, 그 의도는 스트럽(stirrup) 내에 수용되어지게 되는 리어액슬(rear axle)을 위한 각각의 스태빌라이저 링크(stabilizer link)를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는 서로 리벳(rivet)되어지거나 스크류(screw)되어진다. 이를 위하여, 다수의 관통구멍(through-hole)들이 개별적인 구성요소 내에 제공되어진다.
도 1의 조립된 서포팅 프레임(1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 2로부터, 우측 상현재(34)와 전방부분(front part, 14)의 우측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0)는 서로 겹쳐지고(overlap), 상기 겹침부위에서 서로 결속되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우측 상현재(34)와 우측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0)와 그리고 우측 하현재(38)의 전방 단부에 삼각형 스러스트 플레이트(triangular thrust plate, 50)를 연결함으로써, 전방부분(14)에 중앙부분(16)의 매우 튼튼한 연결이 얻어진다. 전방부분(14)의 좌측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2)로의 좌측 상현재(36)의 반대편 연결도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되어진다.
중앙부분(center part, 16)과 후방부분(rear part, 18)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우측 상현재(34)와 후방부분(18)의 우측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6)들은 서로 겹쳐지고(overlap), 상기 겹침부위에서 서로 결속되어지는데, 예를 들어 리벳(rivet)되어지거나 또는 스크류(screw)되어진다. 삼각형 스러스트 플레이트(triangular thrust plate, 54)의 상부 레그(leg)는 우측 상현재(34)와 우측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6) 사이의 겹침부위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덮으며(cover), 상기 겹침부위에서 후방부분(18)의 우측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6)와 상현재(34)에 연결되어지는데, 예를 들어 리벳(rivet)되어지거나 또는 스크류(screw)되어진다. 우측 하현재(38)의 후방단부에 삼각형 스러스트 플레이트(54)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후방부분(18)에 중앙부분(16(의 아주 튼튼한 연결이 결과적으로 얻어진다. 반대편에서도, 좌측 상현재(36)와 후방부분(18)의 좌측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8)와 그리고 좌측 하현재(40)의 후방단부들은 삼각형 스러스트 플레이트(56)에 의해서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진다.
도 3의 개략적인 사시도는 분해된 모습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 10)을 다시 도시하고 있는데, 일부의 기능적 구성요소 (functional element)들은 전방부분(front part, 14)과 후방부분(rear part, 18)에 이미 설치되어져 있다. 도 3의 도시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전방부분(14)과 중앙부분(16) 그리고 후방부분(18)들은 모듈(module)로서 미리 조립되어질 수 있고, 다음으로 서포팅 프레임(10)을 형성하도록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합쳐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작시간(production time)은 현저하게 감소되어질 수 있고, 개별적인 기능적 구성요소의 맞춤(fitting) 과정 동안 접근성(accessibility)이 개선되어진다.
특히, 도 3의 도시에 따르면, 트랜스미션(transmission, 64)을 가진 구동 유닛(drive unit, 62)이 전방부분(14) 내에 설치되어진다. 나아가, 예를 들어 프론트 액슬(front axle)은 전방부분(14)에 부착되어질 수 있고, 이때 부착된 프론트 액슬을 가진 전방부분은 중앙부분(16)과 후방부분(18)과 함께 서로 조립되어지게 된다.
도 3의 도시에서, 리어액슬(rear axle, 66)은 후방부분(rear part, 18)에 이미 부착되어진다. 두개의 스태빌라이저 링크(stabilizer link, 68)가 한편으로는 리어액슬(66)에 연결되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태빌라이저 마운트(60) 속으로 삽입되어지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 링크(68)는 실질적으로 리어액슬(66)의 중앙 레벨에 있으며, 결과적으로 스태빌라이저 마운트(60)들은 대략 리어액슬(66)의 중앙레벨에서 배열되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 마운트(60)들은 컴팩트한 스트럽형 마운팅 지점(stirrup-shaped mounting points)으로서 설계되어진다. 이러한 스태빌라이저 마운트의 종래의 설계와 비교하여, 이는 재료와 무게의 상당한 절약을 가능하게 하는데, 종래의 서포팅 프레임에서는, 마운팅 지점(mounting points)들이 리어액슬(66)의 중앙레벨에 대략적으로 배치되어져야만 하고, 결과적으로 스태빌라이저 마운트는 리어액슬의 중앙레벨을 넘어 우측 길이방향 부재 또는 좌측 길이방향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부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대체로, 본 발명은 종래의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과 비교하여 배기가스 크리닝 시스템(exhaust gas cleaning system)과 연료탱크(fuel tank)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부분(center part, 16)의 영역 내에 공간을 더 많이 제공하는, 유틸리티 차량(utility vehicle)을 위한 서포팅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증된 유닛 결속(unit fastenings)이 전방부분(14)과 후방부분(18)의 영역 내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는데, 이는 전방부분(14)과 후방부분(18)의 영역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프레임(10)은 그 자체로서 사다리-프레임(ladder-frame)과 같은 타입의 구성으로 적응되어지고, 우측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0,26)와 좌측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2,28)와 그리고 크로스 부재들(24,30,43)은 상기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와 연결되어지기 때문이다.
Claims (10)
- 전방부분(front part)과 중앙부분(center part)과 그리고 후방부분(rear part)를 가지는, 특히 트랙터 유닛(tractor unit)과 같은 유틸리티 차량(utility vehicle)용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에 있어서,중앙부분(center part, 16)은 두개이상의 상현재들(top chord, 34,36)과 두개이상의 하현재들(bottom chord, 38,40)을 가진 격자와 같은 구성(latticework-like construction)이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박스형 단면을 형성하고, 후방부분(rear part, 18)은 우측 및 좌측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들(longitudinal member segment, 20,22,26,28)을 가진 사다리-프레임과 같은 디자인(ladder-frame-like design)이며,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들(20,22,26,28)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U-와 같은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차량용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
- 제 1 항에 있어서, 전방부분(front part, 14) 및 후방부분(rear part, 18)의 U-와 같은 단면을 가진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들(20,22,26,28)의 레그(leg)들은,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반대편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들(20,22,26,28)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부분(center part, 16)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놓인 상현재들(top chord, 34,36)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L-과 같은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차량용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
- 제 2 항에 있어서, L-과 같은 단면의 상현재들(top chord, 34,36)의 제 1 레그(leg)는 전방부분(14) 또는/및 후방부분(18)의 각각 관련된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0,22,26,28)의 베이스(base)에 평행하게 되고, 상현재들(34,36)의 제 2 레그(leg)는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들(20,22,26,28)의 레그들의 반대편 방향으로 각각 관련된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들(20,22,26,28)의 베이스(base)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차량용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
- 상기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중앙부분(16)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놓인 하현재들(bottom chord, 38,40)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L-과 같은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차량용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
- 제 4 항에 있어서, L-과 같은 단면의 하현재들(38,40)의 제 1 레그는 전방부분(14) 또는/및 후방부분(18)의 각각 관련된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들(20,22,26,28)의 베이스(base)에 평행하게 되고, 하현재들(38,40)의 제 2 레그(leg)는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들(20,22,26,28)의 레그들의 반대편 방향으로 각각 관련된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들(20,22,26,28)의 베이스(base)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차량용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
- 상기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현재들(top chord, 34,36)과 하현재 들(bottom chord, 38,40)과 그리고 한쪽 측면의 각각 관련된 길이방향 부재 세그먼트(20,22,26,28)를 연결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삼각형 스러스트 플레이트(thrust plate, 50,52,54,56)가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차량용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
- 상기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한쪽 측면의 상현재들(top chord, 34,36)과 하현재들(bottom chord, 38,40)과 그리고 두개의 반대편 상현재들(34,36) 또는/및 두개의 반대편 하현재들(38,40)은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스러스트 플레이트(thrust plate, 42,44,46,50,52,54,56)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차량용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
- 상기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중앙부분(center part, 16)의 후방단부 영역에서, 하현재들(bottom chord, 38,40)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U-와 같은 포탈 부재(portal member, 58)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지고, 아랫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차량용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
- 제 8 항에 있어서, 하현재들(bottom chord, 38,40)의 반대편 상부영역에서, 포탈 부재(portal member, 58)는 전방부분(14) 또는 후방부분(18)의 크로스 부재(cross member, 30)에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차량용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
- 상기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리어액슬(rear axle, 66)을 결속하기 위한 섀시(chassis), 특히 스태빌라이저 마운트(stabilizer mount, 60)는 중앙부분(16)의 하현재들(bottom chord, 38,40)의 후방단부 영역 내에 배열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차량용 서포팅 프레임(supporting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335031A DE10335031A1 (de) | 2003-07-31 | 2003-07-31 | Tragrahmen für ein Nutzfahrzeug |
DE10335031.4 | 2003-07-3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7405A true KR20060037405A (ko) | 2006-05-03 |
Family
ID=34088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01831A KR20060037405A (ko) | 2003-07-31 | 2004-07-22 | 유틸리티 차량용 서포팅 프레임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1648756A1 (ko) |
JP (1) | JP2007500640A (ko) |
KR (1) | KR20060037405A (ko) |
CN (1) | CN1829626A (ko) |
DE (1) | DE10335031A1 (ko) |
WO (1) | WO200501206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6041664A1 (de) * | 2006-09-06 | 2008-03-27 | Daimler Ag | Trägeranordnung für einen Lastkraftwagen |
DE102009012350B4 (de) * | 2009-03-09 | 2020-07-23 | Engineering Center Steyr Gmbh & Co. Kg | Fahrgestell für Nutzfahrzeuge |
EP2532567B1 (en) * | 2011-06-07 | 2014-10-29 | Iveco Magirus Ag | Frame structure of a tractor vehicle |
DE102012008150A1 (de) | 2012-04-24 | 2013-10-24 | Man Truck & Bus Ag | Fahrerhauslagerung |
DE102012013901B4 (de) | 2012-07-13 | 2024-03-14 | Man Truck & Bus Se | Rahmentragstruktur aus Modulbaugruppen |
SE537977C2 (sv) | 2012-11-27 | 2015-12-29 | Scania Cv Ab | Ramkonfiguration för fordon |
CN104149855B (zh) * | 2014-08-20 | 2017-09-15 | 南京金龙客车制造有限公司 | 一种三段式旅游车车架 |
ES2868957T3 (es) | 2016-03-31 | 2021-10-22 |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 Vehículo con módulos de conductor y de propulsión separables |
CN106143616B (zh) * | 2016-08-26 | 2018-08-07 | 东风商用车有限公司 | 一种变宽度客车车架连接结构 |
CN109664942B (zh) * | 2017-10-17 | 2021-02-19 | 益阳天华两栖车艇有限公司 | 一种水陆两栖吉普车的车架总成 |
CN109533025B (zh) * | 2018-11-27 | 2024-02-02 |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整体式车架及消防车 |
DE102018009702A1 (de) | 2018-12-12 | 2019-06-13 | Daimler Ag | Tragrahmen für ein Nutzfahrzeug |
DE102020129504A1 (de) | 2020-11-09 | 2022-05-12 | CTV GmbH & Co. kg | Fahrgestellkonstruktion für ein Nutzfahrzeug |
DE102021103557A1 (de) | 2021-02-16 | 2022-08-18 | Man Truck & Bus Se | 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modular aufgebautem Kraftfahrzeugchassis und Behälter zur Aufnahme eines Brennstoff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01163A1 (de) * | 1970-01-13 | 1971-07-22 | Carrozzeria Sicca Sa R L | Rahmen fuer Autobus mit Heckmotor |
DE3151280C2 (de) * | 1981-12-24 | 1987-05-07 | Iveco Magirus AG, 7900 Ulm | Fahrgestellrahmen für Fahrzeuge, insbesondere Omnibusse |
DE4322716A1 (de) * | 1993-07-08 | 1995-01-05 | Daimler Benz Ag | Rahmen für Nutzfahrzeuge |
DE10159468C2 (de) * | 2001-12-04 | 2003-09-25 | Daimler Chrysler Ag | Modular aufgebauter Tragrahmen für ein Nutzfahrzeug |
-
2003
- 2003-07-31 DE DE10335031A patent/DE10335031A1/de not_active Withdrawn
-
2004
- 2004-07-22 EP EP04741214A patent/EP1648756A1/de not_active Withdrawn
- 2004-07-22 WO PCT/EP2004/008186 patent/WO2005012065A1/de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7-22 CN CNA2004800218241A patent/CN1829626A/zh active Pending
- 2004-07-22 JP JP2006521479A patent/JP2007500640A/ja not_active Withdrawn
- 2004-07-22 KR KR1020067001831A patent/KR2006003740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7500640A (ja) | 2007-01-18 |
EP1648756A1 (de) | 2006-04-26 |
DE10335031A1 (de) | 2005-02-24 |
CN1829626A (zh) | 2006-09-06 |
WO2005012065A1 (de) | 2005-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60037405A (ko) | 유틸리티 차량용 서포팅 프레임 | |
CN108349536B (zh) | 后副车架结构 | |
CN101678861B (zh) | 后车身结构 | |
US9540046B2 (en) | Subframe for a motor vehicle | |
RU2339533C1 (ru) | Конструкция передней части кузова | |
GB2287679A (en) | Vehicle frame assembly | |
JP2020029162A (ja) | 車両の前部車体構造 | |
US11396332B2 (en) |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 |
US7040639B2 (en) | Vehicle body structure employing gussets fastened to cross member portion between damper bases | |
US6330778B1 (en) | Beam arrangement | |
JPH0476826B2 (ko) | ||
JPH11180347A (ja) | 車体後部構造 | |
DE102019001685A1 (de) | Vordere Fahrzeugkarosseriestruktur | |
JP2020029161A (ja) | 車両の前部車体構造 | |
DE102019001673A1 (de) | Vordere Fahrzeugkarosseriestruktur | |
CN108349535A (zh) | 后副车架结构 | |
CN108349534A (zh) | 后副车架结构 | |
US11084532B2 (en) |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 |
JP2005219607A (ja) | 車体前部構造 | |
JP6973104B2 (ja) | 車両の後部車体構造 | |
EP0822106A1 (en) | Spring carrier arm for a vehicle spring system | |
JPH08310445A (ja) |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 |
JPH07251758A (ja) |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 |
KR200149819Y1 (ko) | 자동차 저면의 차체구조 | |
JP3969160B2 (ja) |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取付部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