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245A -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 Google Patents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245A
KR20060037245A KR1020057020895A KR20057020895A KR20060037245A KR 20060037245 A KR20060037245 A KR 20060037245A KR 1020057020895 A KR1020057020895 A KR 1020057020895A KR 20057020895 A KR20057020895 A KR 20057020895A KR 20060037245 A KR20060037245 A KR 20060037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production
skin collagen
basic protein
fraction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0352B1 (ko
Inventor
요시카즈 모리타
유키히로 다카다
야스히로 도바
와타루 오오이
히로시 가와카미
Original Assignee
유키지루시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키지루시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키지루시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37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0Milk; Whey; Colostr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9Dairy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2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 A61K38/018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mi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의 거칠음, 주름, 탄력성 저하 등을 방지하는 데 유용한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음식품 및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음식품 및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화장료는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또는 그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펩신이나 판크레아틴 등의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하여 얻어지는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유효 성분으로 한다. 이 염기성 단백질 분획이나 염기성 펩티드 분획에는 피부의 콜라겐량을 증가시키는 기능이 있다.

Description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SKIN COLLAGEN PRODUCTION PROMOTER}
본 발명은 피부의 거칠음, 주름, 탄력성 저하 등을 방지하는 데 유용한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음식품(飮食品) 및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부의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피부의 건조감이나 피부 거칠음의 원인으로서 거시적으로는 나이가 듦에 따른 신진 대사의 감쇠에 의한 것 이외에, 태양광(자외선), 건조, 산화 등의 작용이 복잡하게 관여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 왔다. 이들 인자에 의한 작용에 의해 진피의 가장 주요한 매트릭스 성분인 콜라겐 섬유가 현저히 감소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콜라겐 섬유에 의해 유지되고 있던 피부의 팽팽함이나 탄력성과 같은 장력 유지 기구가 자외선 등의 작용에 의해 파괴되면, 피부는 주름이나 처짐이 증가한 상태가 된다. 또한, 콜라겐은 그 분자중에 수분을 유지할 수 있고, 이것에 따라, 피부를 촉촉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도 도움이 되고 있기 때문에, 외적 인자에 의해 콜라겐이 파괴되면 피부는 건조하고, 거칠어진 상태가 된다.
이상으로부터, 진피층의 주요한 성분의 하나인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의 주름이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안전성면에서도 문제가 없 는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가 요구되고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이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널리 식품 소재에 함유되어 있는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 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에 대해서 예의 연구를 진행한 결과,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그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펩신이나 판크레아틴 등의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하여 얻어지는 염기성 펩티드 분획이 피부의 콜라겐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 염기성 단백질 분획이나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음식품 및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화장료의 유효 성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을 갖는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또는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분획을 배합한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음식품 및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란, 경구 투여 혹은 도포 등에 의해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중,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드링크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그대로 혹은 제제화한 후, 영양제나 음식품 등에 배합하여 경구 투여하는 것을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음식품이라고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중, 연고, 겔, 크림, 스프레이제, 패치제, 로션 등으로 제제화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화장료라고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의약품이지만 제제화하여 그대로 경구 투여하는 것을 편의상, 상기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음식품 속에 포함시키고, 의약품이지만 제제화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편의상, 상기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화장료 속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의 특징은,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또는 그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하여 얻어지는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데 있다. 이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은 우유, 모유, 산양유, 양유 등의 포유류의 젖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이고, 또한, 이 염기성 펩티드 분획은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작용시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은, 후술하는 시험예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 성질을 갖고 있다.
1) 나트륨도데실설페이트-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 영동(SDS-PAGE)에 의한 측정에서 분자량 3,000∼80,000의 범위에 있는 여러 종류의 단백질로 이루어진다.
2) 95 중량% 이상이 단백질이다.
3) 단백질은 주로 락토페린 및 락토퍼옥시다제로 이루어진다.
4)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리신, 히스티딘, 아르기닌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을 15 중량% 이상 함유한다.
이러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은, 예컨대 탈지유나 유청 등의 젖 원료를 양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시켜 염기성 단백질을 흡착시키고, 이 수지에 흡착된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0.1∼1 M의 염 농도의 용출액으로 용출시키며, 이 용출 분획을 회수하여 역침투(RO) 막이나 전기투석(ED)법 등에 의해 탈염 및 농축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젖 또는 젖에서 유래한 원료를 양이온 교환체에 접촉시켜 염기성 단백질을 흡착시킨 후, 이 양이온 교환체에 흡착된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pH 5를 초과하고 이온 강도 0.5를 초과하는 용출액으로 용출하여 얻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5-202098호 공보), 알긴산 겔을 이용하여 얻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소화 제61-246198호 공보), 무기의 다공성 입자를 이용하여 유청으로부터 얻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86839호 공보), 황산화에스테르 화합물을 이용하여 젖으로부터 얻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소화 제63-255300호 공보) 등이 알려져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펩티드 분획은 염기성 단백질 분획과 동일한 아미노산 조성을 갖고 있으며, 예컨대, 상기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에 펩신, 트립신, 키모트립신, 판크레아틴 등의 단백질 분해효소를 작용시킴으로써, 평균 분자량 4,000 이하의 염기성 펩티드 조성물로서 얻을 수 있다. 분자량의 하한은 500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는 경구 투여 혹은 도포함으로써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를 경구 투여할 때에, 유효 성분인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그대로의 상태로 이용할 수도 있지만,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드링크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등의 경구제는 예컨대 전분, 젖당, 백당, 만니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옥수수 전분, 무기염류 등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제화된다. 이 종류의 제제에는 상기 부형제 이외에, 결합제, 붕괴제, 계면활성제, 활택제, 유동성 촉진제, 착색료,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결합제로서는 예컨대 전분, 덱스트린, 아라비아고무 분말, 젤라틴,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을 들 수 있다. 또한, 붕괴제로서는 예컨대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가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성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대두 레시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활택제로서는 탈크, 밀랍,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수소 첨가 식물유 등을 들 수 있으며, 유동성 촉진제로서는 무수 규산, 건조 수산화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서는, 이들 염기성 단백질 분획이나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그대로 혹은 제제화한 후, 이것을 영양제나 음식품 등에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비타민 C 등 종래부터 콜라겐 생성에 유효한 작용을 갖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성분과 함께 염기성 단백질 분획이나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배합하면, 한층 더한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염기성 펩티드 분획은 비교적 열에 대하여 안정적이기 때문에,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함유하는 원료를 통상 행해지는 조건으로 가열 살균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를 도포할 때에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통상 이용되는 공지의 성분에 배합함으로써, 액제, 고형제, 반고형제 등의 각종 제제 형태로 조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바람직한 조성물로서 연고, 겔, 크림, 스프레이제, 패치제, 로션, 분말제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를 바셀린 등의 탄화수소, 스테아릴알코올,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등의 고급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라놀린 등의 동물성 유지,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계면활성제, 무기염, 밀랍, 수지, 물 및 필요할 경우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부틸 등의 보존제에 혼합함으로써,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화장료나 의약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의 경구 투여에 의한 유효량은 그 제제 형태,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및 이것을 적용하는 환자의 연령, 체중, 병 증상에 따라 적절하게 규정되어 일정하지 않지만, 래트를 이용한 동물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 작용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또는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래트 체중 1 kg당 20 mg 이상 섭취할 필요가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외삽법에 따르면, 통상, 성인 1 인당 1 일 20 mg 이상의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또는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섭취하면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필요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음식품에 배합하거나 혹은 의약으로서 투여하면 좋다. 또한, 투여는 필요에 따라 1일 수회에 나누어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의 도포에 의한 유효량은 제제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적용하는 조성물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2 중량%가 되도록 염기성 단백질 분획 혹은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배합하면 좋다. 단, 입욕제와 같이 사용시에 희석되는 것은 배합량을 더 늘릴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 및 시험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예시할 뿐이며,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양이온 교환 수지의 술폰화 키토펄(후지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400 g를 충전한 컬럼(직경 5 ㎝×높이 30 ㎝)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한 후, 이 컬럼에 미살균 탈지유 40 l(pH 6.7)를 유속 25 ml/min로 통과시켰다. 통과시킨 후, 이 컬럼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하고, 0.98 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0.02 M 탄산 완충액(pH 7.0)으로 수지에 흡착된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용출하였다. 그리고, 이 용출액을 역침투(RO) 막에 의해 탈염하고, 농축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형의 염기성 단백질 분획 21 g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염기성 단백질 분획은 그대로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시험예 1]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염기성 단백질 분획에 대해서 나트륨도데실설페이트-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 영동(SDS-HGE)에 의해 측정한 결과, 분자량은 3,000∼80,000의 범위에 분포하고 있었다.
[시험예 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염기성 단백질 분획에 대해서 성분 조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이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분획의 대부분은 단백질이다.
Figure 112005063315467-PCT00001
[시험예 3]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염기성 단백질 분획에 대해서 6 N 염산으로 110℃, 24 시간 가수분해한 후, 아미노산 분석 장치(L-8500형, 히타치세이사쿠쇼 제조)로 그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이 염기성 단백질 분획에는 아미노산 조성 중, 15 중량% 이상의 염기성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Figure 112005063315467-PCT00002
[실시예 2]
양이온 교환 수지의 SP 도요펄(도소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30 kg을 충전한 컬럼(직경 100 ㎝×높이 10 ㎝)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한 후, 이 컬럼에 121℃에서 30 초간 가열 살균한 치즈 유장(cheese whey) 3 t(pH 6.2)을 유속 10 l/min로 통과시켰다. 통과시킨 후, 이 컬럼을 탈이온수로 충분히 세정하고, 0.9 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0.1 M 구연산 완충액(pH 5.7)으로 수지에 흡착된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용출하였다. 그리고, 이 용출액을 전기투석(ED)법에 의해 탈염하여 농축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형의 염기성 단백질 분획 183 g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염기성 단백질 분획은 그대로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염기성 단백질 분획 50 g을 증류수 10 l에 용해한 후, 판크레아틴(시그마사 제조)을 1% 첨가하여 37℃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후, 80℃에서 10 분간 가열 처리하여 효소를 비활성화시킨 후,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형의 염기성 펩티드 분획 48.3 g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염기성 펩티드 분획은 그대로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시험예 4]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염기성 펩티드 분획에 대해서 래트를 이용한 동물 실험에 의해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 작용을 조사하였다. 7 주령의 위스타(Wistar)계 수컷 래트를 생리식염수 투여군(A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래트 체중 1 kg당 20 mg 투여하는 군(B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래트 체중 1 kg당 200 mg 투여하는 군(C군),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래트 체중 1 kg당 20 mg 투여하는 군(D군),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래트 체중 1 kg당 200 mg 투여하는 군(E군)의 5개 시험군(n=6)으로 나누어, 각각을 매일 1회 존데(sonde)로 투여하여 10 주간 사육하였다.
피부의 콜라겐량에 대해서는, 래트의 진피를 Nimni 등의 방법(Arch. Biochem. Biophys., 292p, 1967년 참조)에 준하여 처리한 후, 가용성 분획에 함유되는 히드록시프롤린량을 측정하였다. 히드록시프롤린은 콜라겐에만 함유되는 특수한 아미노산으로서, 콜라겐을 구성하는 전 아미노산의 약 10%를 차지하기 때문에 콜라겐량을 추정할 수 있다(아사노다카시 등, Bio Industory, 12p, 2001년 참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63315467-PCT00003
수치는 평균치±표준편차(n=6)를 나타낸다.
또한, 다른 문자 사이에서 유의차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p<0.05).
이것에 따르면, 10 주 후의 가용성 분획중 히드록시프롤린량은 A군에 비하여 B군, C군, D군 및 E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것으로부터,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 염기성 펩티드 분획에는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 작용이 있는 것이 밝혀져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로서 유용한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이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 작용은 염기성 단백질 분획 또는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래트 체중 1 kg당 최저 20 mg 투여한 경우에 확인되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4]
표 4에 나타내는 배합의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음료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제조한 음료의 풍미는 양호하고, 상온에서 1년간 보존하여도 풍미가 나빠지지 않으며, 침전 등의 문제도 없었다.
[실시예 5]
표 5에 나타내는 배합의 도우(dough)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작하여 성형한 후, 불에 구워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비스킷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5063315467-PCT00005
[실시예 6]
표 6에 나타내는 배합의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5063315467-PCT00006
[시험예 5]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염기성 펩티드 분획에 대해서 정상 인간 선유아세포의 세포주[백인 여성의 피부에서 채취된 CCD45SK(ATCCRL 1506)]를 이용한 실험에 의해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 작용을 조사하였다. 10 용량% 우태아 혈청(이하 FBS라 약기함) 함유 변법 이글 배지(MEM, 10-101, 다이니폰세이야쿠사 제조)를 이용하여 정상 인간 선유아세포의 세포주를 4×104 개/웰/0.4 ml가 되도록 24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여 5% 탄산가스, 포화 수증기하, 37℃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0.6 용량% FBS 함유 변법 이글 배지로 치환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각 웰에 0.1 용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24 시간 배양한 후, β-아미노프로피오니트릴을 50 ㎍/ml, 트리튬-L-프롤린을 1 μCi/ml가 되도록 첨가하여 24 시간 더 배양하여 배양액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배양액으로부터 Webster 등의 방법(Analytical Biochemistry, 220p, 1979년 참조)에 따라 콜라겐 분획을 분획하여 콜라겐 분획에 혼입된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대조로서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첨가하지 않고 동일한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63315467-PCT00007
수치는 평균치±표준편차(n=6)를 나타낸다.
또한, 다른 문자 사이에서 현저하게 차이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p<0.05).
이것에 따르면,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첨가한 군은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첨가하지 않은 군(대조)에 비하여 모두 2배 정도의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능을 나타내었다.
이것으로부터,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 염기성 펩티드 분획에는 피부 선유아세포에 작용하여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 작용이 있는 것이 밝혀져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로서 유용한 것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7]
표 8에 나타내는 배합의 화장수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5063315467-PCT00008
[실시예 8]
표 9에 나타내는 배합의 크림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5063315467-PCT00009
[시험예 6]
실시예 7에서 얻어진 화장수 및 실시예 8에서 얻어진 크림을 이용하여 실사용 테스트를 행하였다. 비교품으로서는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제외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및 8과 동일한 배합의 것을 이용하였다.
안면의 처짐이나 잔주름이 확인되는 건조 피부를 갖는 성인 여자 20명을 각각 10명씩 무작위로 2군(A, B군)으로 나누고, 또한, 손에 거칠음이 확인되는 여자 20명을 각각 10명씩 무작위로 2군(C, D군)으로 나누어 A군의 안면에는 본 발명품의 화장수를, B군의 안면에는 비교품의 화장수를, C군의 손에는 본 발명품의 크림을, D군의 손에는 비교품의 크림을 각각 하루 2회 통상의 사용 상태와 마찬가지로 10 일간 도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품의 화장수는 비교품의 화장수에 비하여 건조감의 개선, 피부 거칠음 개선이 현저하며,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가 우수한 것이 실증되었다. 또한, 본 발명품의 크림에 대해서도 비교품의 크림에 비하여 현저한 개선이 보여졌고, 피부 거칠음 등의 자연 악화의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 의해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또는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음식품 및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화장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음식품 및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화장료는 피부의 콜라겐 생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가지며, 피부의 주름이나 처짐, 건조감이나 피부 거칠음의 예방이나 치료에 유용하다.

Claims (5)

  1.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또는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하여 얻어지는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2. 제1항에 있어서,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이 그 아미노산 조성 중에 염기성 아미노산을 15 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는 분획인 것인 콜라겐 생성 촉진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이 젖 또는 젖에서 유래한 원료를 양이온 교환 수지에 접촉시켜 염기성 단백질을 흡착시키고, 이 수지에 흡착된 분획을 염 농도 0.1∼1 M의 용출액으로 용출하여 얻어지는 분획인 것인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또는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배합한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음식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젖에서 유래한 염기성 단백질 분획 및/또는 염기성 펩티드 분획을 배합한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화장료.
KR1020057020895A 2003-05-07 2003-05-07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KR100980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3/005707 WO2004098632A1 (ja) 2003-05-07 2003-05-07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245A true KR20060037245A (ko) 2006-05-03
KR100980352B1 KR100980352B1 (ko) 2010-09-06

Family

ID=33428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895A KR100980352B1 (ko) 2003-05-07 2003-05-07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20060247162A1 (ko)
EP (1) EP1623718B1 (ko)
KR (1) KR100980352B1 (ko)
CN (1) CN100528223C (ko)
AT (1) ATE493966T1 (ko)
AU (1) AU2003235874A1 (ko)
CA (1) CA2523098C (ko)
DE (1) DE60335665D1 (ko)
WO (1) WO20040986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605949D0 (en) * 2006-03-24 2006-05-03 Quest Int Serv Bv Milk product for skin treatment
WO2008070893A1 (en) * 2006-12-13 2008-06-19 Tgr Biosciences Pty Ltd Promoting ecm production by fibroblast cells and/or promoting migration of fibroblast cells in a biological system
JP2008189637A (ja) * 2007-02-08 2008-08-21 Snow Brand Milk Prod Co Ltd 自己免疫疾患予防剤
KR20090119785A (ko) * 2007-03-12 2009-11-19 유키지루시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성장 호르몬 분비 촉진제
CN101868475A (zh) * 2007-11-01 2010-10-20 雪印乳业株式会社 骨吸收抑制用食品原材料
JP2012077018A (ja) * 2010-09-30 2012-04-19 Snow Brand Milk Products Co Ltd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2012077017A (ja) * 2010-09-30 2012-04-19 Snow Brand Milk Products Co Ltd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5783484B2 (ja) * 2010-09-30 2015-09-24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2012077015A (ja) * 2010-09-30 2012-04-19 Snow Brand Milk Products Co Ltd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5955499B2 (ja) * 2010-09-30 2016-07-20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5890100B2 (ja) * 2011-02-09 2016-03-22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2012188384A (ja) 2011-03-10 2012-10-04 Snow Brand Milk Products Co Ltd 美肌剤
WO2014114939A1 (en) 2013-01-23 2014-07-31 Bottled Science Limited Skin enhancing beverage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901672A (fr) 1985-02-07 1985-08-07 Oleofina Sa Procede de purification de proteines du lait et de ses derives.
JPH0725800B2 (ja) 1987-04-10 1995-03-22 雪印乳業株式会社 硫酸エステル化物を用いて乳からラクトフエリンを分離、精製する方法
FR2616628B1 (fr) 1987-06-19 1989-09-29 Entremont Sa Procede pour extraire des proteines du lactoserum par adsorption et elution
JP2533376B2 (ja) * 1989-06-19 1996-09-11 太陽化学株式会社 皮膚化粧料
JPH05202098A (ja) * 1992-01-29 1993-08-10 Snow Brand Milk Prod Co Ltd 乳質原料から生理活性物質の製造法
FR2714599B1 (fr) * 1993-12-30 1996-02-09 Oreal Composition pour lutter contre le vieillissement, agissant siimultanément sur les couches superficielles et profondes de la peau, son utilisation.
JP3746081B2 (ja) * 1994-02-24 2006-02-15 森永乳業株式会社 動物皮膚病治療剤
JP3112637B2 (ja) * 1994-09-30 2000-11-27 雪印乳業株式会社 骨強化剤
JPH08133943A (ja) * 1994-11-04 1996-05-28 Kyodo Nyugyo Kk 美肌剤
JPH0987164A (ja) * 1995-07-13 1997-03-31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3578538B2 (ja) * 1996-01-09 2004-10-20 雪印乳業株式会社 離乳食
JP2974604B2 (ja) * 1996-01-23 1999-11-10 雪印乳業株式会社 塩基性タンパク質組成物、塩基性ペプチド組成物及びその利用
JP4082782B2 (ja) * 1998-04-30 2008-04-30 雪印乳業株式会社 歯周病予防及び改善剤
CA2296311A1 (en) * 1999-01-28 2000-07-28 Universite Laval Enzymatic hydrolysate of milk proteins
AUPQ878600A0 (en) * 2000-07-13 2000-08-03 Gropep Pty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intact skin
FR2827290B1 (fr) * 2001-07-13 2004-07-09 Pierre Jouan Biotechnologies Sa Procede d'obtention d'une fraction proteique enrichie en tgf-beta sous forme activee, fraction proteique et applications therapeutiques
TWI332401B (en) * 2001-08-21 2010-11-01 Shiseido Co Ltd Materials which are capable of enhancing laminin-5 producing ability in epidermal cell and the use thereof
JP2003089629A (ja) * 2001-09-18 2003-03-28 Kakunai Juyotai Kenkyusho:Kk 新規化粧品、新規外用剤及び新規浴剤の製造方法
JP4291967B2 (ja) * 2001-11-08 2009-07-08 雪印乳業株式会社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US20040214750A1 (en) * 2003-04-28 2004-10-28 Georgiades Izolda M. Medicaments for healing skin conditions in hum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352B1 (ko) 2010-09-06
EP1623718A1 (en) 2006-02-08
AU2003235874A1 (en) 2004-11-26
CA2523098C (en) 2011-06-21
CN1771051A (zh) 2006-05-10
US20060247162A1 (en) 2006-11-02
DE60335665D1 (de) 2011-02-17
EP1623718B1 (en) 2011-01-05
EP1623718A4 (en) 2007-11-07
CA2523098A1 (en) 2004-11-18
WO2004098632A1 (ja) 2004-11-18
CN100528223C (zh) 2009-08-19
US20100035819A1 (en) 2010-02-11
ATE493966T1 (de) 201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35819A1 (en) Method of promoting skin collagen production
JP4291967B2 (ja)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WO2014203885A1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1705938B1 (ko)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KR101789355B1 (ko)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JP4698935B2 (ja)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5955499B2 (ja)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TWI602581B (zh) 玻尿酸產生促進劑
JP4698934B2 (ja)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5783484B2 (ja)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2004331564A (ja)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WO2013164995A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WO2012043711A1 (ja)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WO2012043713A1 (ja)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