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237A - 유지취의 신규 탈취법 및 그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지취의 신규 탈취법 및 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237A
KR20060037237A KR1020057017154A KR20057017154A KR20060037237A KR 20060037237 A KR20060037237 A KR 20060037237A KR 1020057017154 A KR1020057017154 A KR 1020057017154A KR 20057017154 A KR20057017154 A KR 20057017154A KR 20060037237 A KR20060037237 A KR 20060037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fatty acid
polyunsaturated fatty
omega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교코 코니시
Original Assignee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37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23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5/00Preserving by using additives, e.g.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7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chemical treatment, by adsorption or by ab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0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유지, 예를 들면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합물에 카로티노이드류, 예를 들면 크산토필류를 함유시켜서 이루어지는 유지취의 탈취가 실시된 조성물, 및 유지에 카로티노이드류를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취의 탈취법.
유지취, 탈취, 고도 불포화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카르티노이드류, 모르티에렐라속의 미생물.

Description

유지취의 신규 탈취법 및 그 조성물{NOVEL METHOD OF DEODORIZATION FOR FAT ODOR AND COMPOSITION OBTAINED BY THE SAME}
본 발명은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화합물, 보다 상세하게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알코올 에스테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 또한 인지질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유지와 카로티노이드류를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취의 신규 탈취법, 그리고 신규 탈취가 이루어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생합성 경로에는 대표적인 2가지 계열, 즉, 오메가 3계와 오메가 6계가 있다(오메가란 지방산의 메틸기 말단으로부터 세어서 최초의 이중 결합이 있는 탄소까지의 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오메가 6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리놀레산, γ-리놀렌산, 디호모-γ-리놀렌산 및 아라키돈산 등이 알려져 있고, 오메가 3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α-리놀렌산, 에이코사헥사엔산, 도코사헥사엔산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고도 불포화 지방산, 예를 들면, 아라키돈산은 혈액이나 간장 등의 중요한 기관을 구성하는 지방산의 약 10% 정도를 차지하고 있고(예를 들면, 사람 혈 액의 인지질 중의 지방산 조성비로는 아라키돈산은 11%, 에이코사펜타엔산은 1%, 도코사헥사엔산은 3%), 세포막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서 막의 유동성의 조절에 관여하여 체내의 대사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나타내는 한편, 프로스타글란딘류의 직접적인 전구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최근에는 영유아의 영양으로서 아라키돈산의 역할, 신경 활성 작용을 나타내는 내인성 칸나비노이드(2-아라키도노일 모노글리세롤, 아난다미드)의 구성 지방산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아라키돈산 및/또는 아라키돈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화합물에 대하여서는 최근,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48831호 공보 「뇌 기능의 저하에 기인하는 증상 또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작용을 가지는 조성물」에서는, 나이 든 동물을 모리스형 수중 미로 시험에 이용하여, 나이가 듦에 따라 나타나는 학습능력의 저하를 아라키돈산 및/또는 아라키돈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개선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다음으로, 오메가 3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다가 불포화 지방산(이하 「EPA」라 한다) 및 도코사헥사엔산(이하「DHA」라 한다)에 대하여서는 동맥경화증, 혈전증 등의 생활 습관병의 예방 효과나 항암 작용, 학습능력의 증강 작용 등 많은 생리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의약품,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의 이용이 시도되고 있다.
오메가 6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리놀레산을 전구체로 하고, 오메가 3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α-리놀렌산을 전구체로 하여 생체 내에서 생합성된다. 다만, 사람은 리놀레산 및α-리놀렌산을 생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식물성 식품으로부터 섭취하여, 불포화화와 탄소 사슬 길이의 연장을 반복하여, 예를 들면, 리놀레산을 전구체로 하는 오메가 6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경우는γ-리놀렌산, 디호모-γ-리놀렌산, 아라키돈산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통상은 리놀레산 및 α-리놀렌산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면 아라키돈산, EPA 및 DHA는 충분히 생합성된다. 그러나, 생활 습관병 환자나 그 예비군, 유아, 노인에게서는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기능이 저하되고, 이들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부족되기 쉬워 유지로서 직접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탄소수 18 이상, 이중 결합을 2 이상을 가지는 지방산이며, 자동 산화되기 쉽고 산화취를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탈취 원리의 기초가 되는 방법으로서 (l) 흡착법 (활성탄, 제올라이트), (2) 용해법 (실리카 겔 등의 탈취제), (3) 분해법 (바이오 분해, 산화 분해(오존 O3), 가수분해(광촉매 OH-), 이온 분해(산소 클러스터 이온), 연소법(산화 촉매법·직접법) 및 (4) 응고법(고분자 화합물로 싸서 제거)이 알려져 있다.
또한, 유지의 탈취법에는 활성탄과 같은「물리적 탈취」가 유효하고, 유지를 식품에 제공하기 위한 정제 공정에 탈취 조작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높게 함유하는 유지의 경우, 어유를 예를 들어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지취를 완전하게 없애지 못하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용하게 되면 유지취를 계속 참아야 할 필요가 있어 상당히 무리가 있었다. 또한, 상용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고정밀도의 탈취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비용 증가로 연결되어, 실용적인 수법이 될 수 없었다.
그리고, 유지를 캡슐화하면 섭취시의 유지취는 막을 수 있으나, 섭취 후에 올라오는 냄새가 있어, 실제로는 유지 그 자체를 탈취할 필요가 있었다. 탈취의 별도의 방법으로서 중화(다른 복수의 악취에 의한 상쇄 방법)나 마스킹(다른 냄새로 희석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식품으로서 제공하기 위하여 취향에 맞는 냄새(마스킹의 경우는 향기)를 사용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고, 또한, 유지에 가용인 향기일 필요도 있어, 완전히 새로운 탈취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따라서,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화합물, 보다 상세하게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알코올 에스테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 그리고 인지질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유지에 대한 상용하는 식품에 대하여 적용하기에 적절한 신규 탈취법의 개발 및 신규 탈취법을 실시한 조성물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은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화합물, 보다 상세하게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알코올 에스테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 그리고 인지질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유지와 카로티노이드류를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취의 신규 탈취법, 또는 신규 탈취가 실시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 으로 하는 화합물, 보다 상세하게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알코올 에스테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 그리고 인지질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유지의 탈취 효과를 인정하는 지용성 소재에 대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놀랍게도 카로티노이드류에 탈취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화합물, 보다 상세하게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알코올 에스테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 그리고 인지질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유지와 카로티노이드류를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취의 신규 탈취법, 또는 신규 탈취가 실시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지에 카로티노이드류를 함유시켜서 완성되는 유지취의 신규 탈취가 실시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지에 카로티노이드류를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취의 탈취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 또는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지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합물이며, 예를 들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알코올 에스테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 그리고 인지질이다. 상기 고도 불포화 지방산은 예를 들면, 오메가 6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또는 오메가 3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및/또는 오메가 9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다.
상기 오메가 6계 불포화 지방산은 예를 들면, 9,12-옥타데카디엔산(리놀레산)[18:2ω6], 6,9,12-옥타데카트리엔산 (γ-리놀렌산)[18:3ω6], 8,11,14-에이코사트리엔산 (디호모-γ-리놀렌산)[20:3ω6], 5,8,11,14-에이코사테트라엔산(아라키돈산)[20:4ω6], 7,10,13,16-도코사테트라엔산 [22:4ω6], 또는 4,7,10,13,16-도코사펜타엔산 [22:5ω6]이며; 상기 오메가 3계 불포화 지방산은 예를 들면, 9,12,15-옥타데카트리엔산 (α-리놀렌산)[18:3ω3], 6,9,12,15-옥타데카테트라엔산 (스테아리돈산)[18:4ω3], 11,14,17-에이코사트리엔산(디호모-α-리놀렌산)[20:3ω3], 8,11,14,17-에이코사테트라엔산 [20:4ω3], 5,8,11,14,17-에이코사펜타엔산 [20:5ω3], 7,10,13,16,19-도코사펜타엔산 [22:5ω3] 또는 4,7 10,13,16,19-도코사헥사엔산 [22:6ω3]이며; 또한 상기 오메가 9계 불포화 지방산은 예를 들면, 6,9-옥타데카디엔산 [18:2ω9], 8,11-에이코사디엔산 [20:2ω9] 또는 5,8,11-에이코사트리엔산(미드산) [20:3ω9]이다.
상기 조성물 또는 방법에 있어서, 오메가 6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는 예를 들면, 모르티에렐라 (Mortierella) 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하여 얻을 수 있는 균체로부터 추출한 것이다. 상기 오메가, 3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는 예를 들면, 어유이다.
상기 카로티노이드류는 예를 들면 카로틴류 또는 크산토필류, 예를 들면, β-카로틴, α-카로틴, β-크립토크산틴, α-크립토크산틴, γ-카로틴, 리코펜, 루테인, 푸코크산틴, 캅산틴, 제아크산틴, 피토플루엔, 피토엔, 칸타크산틴, 아스타크 산틴이다.
상기 조성물 및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유지를 구성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에 대한 카로티노이드류의 비율은 0.00001 내지 0.1이며, 예를 들면 0.0001 내지 0.01,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01이다.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면, 기능성 식품, 영양 보조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또는 노인용 식품이다.
본 발명은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화합물, 보다 상세하게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알코올 에스테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 그리고 인지질의 군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유지와 카로티노이드류를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취의 신규 탈취법, 또는 신규 탈취가 실시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유지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란 탄소수 18 이상으로, 이중 결합을 2 이상 가지는 지방산을 나타내고, 9, 12-옥타데카디엔산(리놀레산) [18:2ω6], 6,9,12-옥타데카트리엔산 (γ-리놀렌산) [18:3ω6], 8,11,14-에이코사트리엔산 (디호모-γ-리놀렌산)[20:3ω6], 5, 8, 11, 14-에이코사테트라엔산 (아라키돈산) [20:4ω6], 7,10,13,16-도코사테트라엔산 [22:4ω6], 또는 4,7,10,13,16-도코사펜타엔산 [22:5ω6]인 오메가 6계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
9,12,15-옥타데카트리엔산 (α-리놀렌산)[18:3ω3], 6,9,12,15-옥타데카테트라엔산 (스테아리돈산)[18:4ω3], 11,14,17-에이코사트리엔산 (디호모-α-리놀렌산)[20:3ω3], 8,11,14,17-에이코사테트라엔산 [20:4ω3], 5,8,11,14,17-에이코사펜타엔산 [20:5ω3], 7,10,13,16,19-도코사펜타엔산 [22:5ω3], 또는 4,7,10,13,16, 19-도코사헥사엔산 [22:6ω3]인 오메가 3계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 그리고 6,9-옥타데카디엔산 [18:2ω9], 8,11-에이코사디엔산 [20:2ω9], 또는 5,8,11-에이코사트리엔산(미드산) [20:3ω9]인 오메가 9계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아라키돈산인 경우에는 아라키돈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모든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아라키돈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화합물에는 아라키돈산염, 예를 들면 칼슘염, 나트륨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라키돈산의 저급 알코올 에스테르, 예를 들면 아라키돈산 메틸에스테르, 아라키돈산 에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라키돈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 인지질, 나아가 당지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열거한 것에 한정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아라키돈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모든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식품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경우, 유지로서는 트리글리세리드의 형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아라키돈산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천연계의 공급원은 존재하지 않았지만, 이미 아라키돈산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공업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식용 유지방으로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지에 구성 지방산의 일부 및/또는 전부가 아라키돈산인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아라키돈산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제공할 수 있다. 아라키돈산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로서는 트리글리세리드를 구성하는 전지방산에서 차지하는 아라키드산의 비율에 한정은 없고,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하나인 아라키돈산에 기인하는 유지취를 카로티노이드류의 첨가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탈취할 수 있다.
아라키돈산을 함유하는 유지(트리글리세리드)를 공업적으로 이용하려면, 아라키돈산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미생물을 배양하여 얻어진 균체로부터 유지를 추출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된다.
아라키돈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유지(트리글리세리드)의 생산능이 있는 미생물로서는 모르티에렐라(Mortierella)속, 코니디오볼러스(Conidiobolus) 속, 피튬(Pythium)속, 피토프토라(Phytophthora)속, 페니실륨(Penicillium) 속, 클라도스포리움(Cladosporium)속, 뮤코(Mucor)속, 푸사리움(Fusarium)속,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속, 로드토룰라(Rhodotorula)속, 엔토모프토라(Entomophthora)속, 에키노스포란지움(Echinosporangium)속, 사프로레그니아(Saprolegnia)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들 수 있다.
모르티에렐라(Mortierella)속 모르티에렐라(Mortierella) 아속에 속하는 미생물로는 예를 들면 모르티에렐라·엘론가타(Mortierella elongata), 모르티에렐라·엑시구아(Mortierella exigua), 모르테에렐라·히그로필라(Mortierella hygrophila), 모르티에렐라·알피나(Mortierella alpina) 등 구체적으로는 모르티에렐라·엘론가타) IF08570, 모르티에렐라·엑시구아 (Mortierella exigua) I F08571, 모르티에렐라·히그로필라(Mortierella hygrophila) IFO5941, 모르티에렐라·알피나(Mortierella alpina) I―F08568, ATCC16266, ATCC32221, ATCC42430, CBS2l9.35, CBS224.37, CBS250.53, CBS343.66, CBS527.72, CBS529.72, CBS608.70, CBS754.68 등의 균주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균주는 모두 오사카시의 재단법인 발효 연구소(IF0) 및 미국의 아메리칸·타입·컬쳐·콜렉션(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및, Centrral bureau voor Schimmelcultures (CBS)로부터 아무런 제한없이 입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구 그룹이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균주 모르티에렐라·엘론가타 SAM0219(미공연균기 제8703호)(미공연조기 제1239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아라키돈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유지(트리글리세리드)의 생산능을 가지는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하여 그 균주의 포자, 균사, 또는 미리 배양하여 얻은 전 배양액을, 액체 배지 또는 고체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한다. 액체 배지의 경우에, 탄소원으로서는 글루코스, 프럭토스, 크실로스, 사카로스, 말토스, 가용성 전분, 당밀, 글리세롤, 만니톨 등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질소원으로서는 펩톤, 효모 추출물, 맥아 추출물, 육류 추출물, 카자미노산(casamino acids), 콘 스팁 리쿼, 대두 단백, 탈지 대두, 면실 잔사 등의 천연 질소원 외에, 요소 등의 유기 질소원 및 질산나트륨,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등의 무기 질소원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이외에, 필요에 따라 인산염, 황산마그네슘, 황산철, 황산구리 등의 무기염 및 비타민 등도 미량 영양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배지 성분은 미생물의 생육을 해치지 않는 농도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실용상 일반적으로, 탄소원은 0.1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중량%의 농도로 하는 것이 좋다. 최초의 질소원 첨가량은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6 중량%로서 배양 도중에 질소원을 첨가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배지 탄소원 농도를 제어함으로써 아라키돈산을 45% 이상 함유하는 유지(트리글리세리드)도 생산 가능하게 되고, 유지로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배양은 배양 2-4일째까지가 균체 증식기, 배양 2-4일째 이후가 유지 축적기가 된다. 처음의 탄소원 농도는 1-8중량%, 바람직하게는 1-4중량%의 농도로 하고, 균체 증식기 및 유지 축적기의 초기에만 탄소원을 순서대로 첨가하고, 순서대로 첨가한 탄소원의 총합은 2-20%, 바람직하게는 5-15%로 한다. 또한, 균체 증식기 및 유지 축적기 초기의 탄소원을 순서대로 첨가하는 첨가량은 최초의 질소원 농도에 따라 첨가하고, 배양 7일째 이후, 바람직하게는 배양 6일째 이후, 보다 바람직하게는 배양 4일째 이후의 배지 중에서의 탄소원 농도를 0이 되도록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아라키돈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유지(트리글리세리드)의 생산능이 있는 미생물의 배양 온도는 사용하는 미생물에 따라 다르지만, 5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로 하고, 또 20 내지 30℃에서 배양하여 균체를 증식시킨 후 5 내지 20℃에서 배양을 계속하여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생산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온도 관리에 의하여, 생성 지방산 중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배지의 pH는 4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로 하고 통기 교반 배양, 진탕 배양, 또는 정치 배양을 실시한다. 배양은 통상 2 내지 30일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일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일간 실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유지로서 디호모-γ-리놀렌산 또는 오메가 9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유지(트리글리세리드)도 제공할 수 있다. 이미, 디호모-γ-리놀렌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유지(트리글리세리드)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특허 번호 3354581). 또한 오메가 9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 (6,9-옥타데카디엔산(18:2ω9), 8, 11-에이코사디엔산(20:2ω9) 5, 8, 11-에이코사트리엔산(20:3ω9))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유지(트리글리세리드)를 높은 효율로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모르티에렐라속 모르티에렐라아속에 속하는 미생물에 변이 처리를 가하여 얻어지는 Δ12 불포화화 효소가 저하 또는 결실되어 있는 변이주를 사용하여 ω9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유지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특허 번호 3354582,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57085, 일본공개특허공보 평5-91886).
또는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유지로서 오메가 3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유지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참치유, 정어리유, 가다랭이유, 대구유, 린시드유를 들 수 있다. 또는 오메가 3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유지를 효율적으로 산생하는 미생물을 배양하고, 추출하여 얻은 유지도 사용할 수 있다. 오메가 3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유지의 생산능을 갖는 미생물로서는 크립테코데니움(Crypthecodenium)속, 스라우스토키트리움(Thraustochytrium)속, 쉬조키트리움(Schizochytrium) 속, 울케니아(Ulkenia)속, 자포노키트리움(Japonochytorium) 속, 할립토로스(Haliphthoros) 속을 들 수도 있다.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화합물, 보다 상세하게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알코올 에스테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 그리고 인지질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유지에 카로티노이드류를 조합함으로써 유지취를 저하 또는 경감 또는 탈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카로티노이드류로서 β-카로틴, α-카로틴, β-크립토크산틴, α-크립토크산틴, γ-카로틴, 리코펜, 루테인, 푸코크산틴, 캅산틴, 제아크산틴, 피토플루엔, 피토엔, 칸타크산틴, 아스타크산틴을 들 수 있다.
유지취의 탈취에 필요한 카로티노이드류의 배합 비율은 유지를 구성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총합에 대한 카로티노이드류의 비율로서 0.00001 내지 0.1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 0.0001 내지 0.01로 하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01로 한다.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화합물, 보다 상세하게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알코올 에스테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 나아가 인지질의 군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유지(트리글리세리드)의 용도에 관하여서는 무한한 가능성이 있고, 식품, 음료, 화장품, 의약품의 원료 및 첨가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사용 목적, 사용량에 관하여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식품 조성물로서는 일반 식품 이외에 기능성 식품, 영양 보조 식품, 미숙아용 조제유, 유아용 조제유, 유아용 식품, 임산부 식품 또는 노인용 식품 등을 들 수 있다. 유지를 포함한 식품예로서 육류, 어류, 또는 너트 등 본래 유지를 포함한 천연 식품, 스프 등의 조리시에 유지를 가하는 식품, 도너츠 등과 같이 열 매체로서 유지를 이용하는 식품, 버터 등의 유지 식품, 쿠키 등과 같이 가공시에 유지를 가하는 가공 식품, 하드 비스킷 등의 가공 마무리시에 유지를 분무 또는 도포하는 식품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유지를 포함하지 않는 농산식품, 발효식품, 축산식품, 수산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할 수 있다. 또는 기능성 식품·의약품의 형태이어도 무방하고, 예를 들면, 경장영양제, 분말, 과립, 정제(troch), 내복액, 현탁액, 유탁액, 시럽 등의 가공 형태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지취의 탈취 효과에 대한 관능 시험
아라키돈산을 구성 지방산으로서 25% 함유하는 유지(트리글리세리드) 64중량%와 DHA를 구성 지방산으로 하여 46% 함유하는 정제 어유(트리글리세리드) 36중량%를 혼합하여 컨트롤유로 하였다. 컨트롤유에, 표 1과 같은 농도로 아스타크산틴이나 그 외 색소를 첨가하고, 5 종류의 샘플유를 조제하였다. 냄새의 탈취 효과에 대하여 15명의 패널리스트가 참가하여 관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컨트롤유의 냄새를 0으로 하고 샘플유의 냄새를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5단계로 평가하였다.
Figure 112005051164354-PCT00001
그 결과, 카로티노이드류인 아스타크산틴, β-카로틴에서 분명한 탈취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콘트롤유에 아스타크산틴이나 그 외 색소를 첨가한 직후의 관능 시험이기 때문에, 유지의 보존 중에 유지의 산화를 막음으로써, 그것에 따른 산화취를 예방하는 것은 아닌 것, 아스타크산틴의 항산화 효과에 의한 것이 아닌 것은 분명하고, 탈취 효과라고 하는 완전히 새로운 사실이 발견되었다.
실시예 2. 아라키돈산 함유 유지와 DHA 함유 유지와 아스타크산틴 함유 헤마 토코커스 조류( haematococcus algae)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프트 캅셀의 제조.
젤라틴 100 중량부 및 식품 첨가물용 글리세린 30 중량부에 물을 가하고 50 내지 60℃로 용해하고, 젤라틴 피막을 조제하였다. 다음으로 아라키돈산을 구성 지방산으로서 25% 함유하는 유지(트리글리세리드) 62.5중량%와 DHA 구성 지방산으로서 46% 함유하는 정제 어유(트리글리세리드) 36중량%와 4.7% 아스타크산틴 함유 헤마트코커스 조류 추출물을 1.5중량%를 질소 기류하에서 혼합하고, 내용물을 조제하였다. 이러한 젤라틴 피막과 내용물을 사용하여 상법에 의하여 캅셀 성형 및 건조를 실시하고, 1 캅셀당 248mg의 내용물을 함유하는 소프트 캅셀을 제조하였다.

Claims (24)

  1. 유지에 카로티노이드류를 함유시켜 이루어지는 유지취에 대한 탈취가 실시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가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합물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합물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알코올 에스테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인지질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오메가 6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 오메가 3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오메가 9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이들의 조합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 6계 불포화 지방산이, 9, 12-옥타데카디엔산 (리놀레산) 18:2ω6, 6,9,12-옥타데카트리엔산 (γ-리놀렌산) 18:3ω6, 8,11,14-에이코사트리엔산 (디호모-γ-리놀렌산) 20:3ω6, 5,8,11,14-에이코사테트라엔산 (아라키돈산) 20:4ω6, 7,10,13,16-도코사테트라엔산 22:4ω6 또는 4,7;10,13,16-도코사펜타엔산 22:5ω6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 3계 불포화 지방산이, 9,12,15-옥타데카트리엔산 (α-리놀렌산) 18:3ω3, 6,9,12,15-옥타데카테트라엔산(스테아리돈산) 18:4ω3, 11,14,17-에이코사트리엔산 (디호모-α-리놀렌산) 20:3ω3, 8,11,14,17-에이코사테트라엔산 20:4ω3, 5,8,l1,14,17-에이코사펜타엔산 20:5ω3, 7,10,13,16,19-도코사펜타엔산 22:5ω3 또는 4,7,10,13,16,19-도코사헥사엔산 22:6ω3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 9계 불포화 지방산이, 6, 9-옥타데카디엔산 18:2ω9, 8,11-에이코사디엔산 20:2ω9 또는 5,8,11-에이코사트리엔산(미드산) 20:3ω9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 6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가 모르티에렐라(Mortierella) 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하여 얻어진 균체로부터 추출한 것인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 3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가 어유인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카로티노이드류가, β-카로틴, α-카로틴, β-크립토크산틴, α-크립토크산틴, γ-카로틴, 리코펜, 루테인, 푸코크산틴, 캅산틴, 제아크산틴, 피토플루엔, 피토엔, 칸타크산틴, 아스타크산틴인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유지를 구성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에 대한 카로티노이드류의 비율이 0.00001 내지 0.1인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유지를 구성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에 대한 카로티노이드류의 비율이 0.0001 내지 0.01인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유지를 구성하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에 대한 카로티노이드류의 비율이 0.001 내지 0.01인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기능성 식품, 영양 보조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또는 노인용 식품인 조성물.
  15. 유지에 카로티노이드류를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취의 탈취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가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합물인 유지취의 탈취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합물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알코올 에스테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인지질인 유지취의 탈취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오메가 6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 오메가 3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오메가 9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유지취의 탈취법.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 6계 불포화 지방산이 9,12-옥타데카디엔산(리놀레산) 18:2ω6, 6,9,12-옥타데카트리엔산(γ-리놀렌산) 18:3ω6, 8,11,14-에이코사트리엔산(디호모-γ-리놀렌산) 20:3ω6, 5,8,11,14-에이코사테트라엔산(아라키돈산) 20:4ω6, 7,10,13,16-도코사테트라엔산 22:4ω6 또는 4,7,10,13,16-도코사펜타엔산 22:5ω6인 유지취의 탈취법.
  20.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 3계 불포화 지방산이 9,12,15-옥타데카트리엔산 (α-리놀렌산) 18:3ω3, 6,9,12,15-옥타데카테 트라엔산 (스테아리돈산)18:4ω3, 11,14,17-에이코사트리엔산(디호모-α-리놀렌산) 20:3ω3, 8,11,14,17-에이코사테트라엔산 20:4ω3, 5,8,11,14,17-에이코사펜타엔산 20:5ω3, 7,10,13,16,19-도코사펜타엔산 22:5ω3 또는 4,7,10,13,16,19-도코사헥사엔산 22:6ω3인 유지취의 탈취법.
  21.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 9계 불포화 지방산이 6,9-옥타데카디엔산 18:2ω9, 8,11-에이코사디엔산 20:2ω9 또는 5,8,11-에이코사트리엔산(미드산) 20:3ω9인 유지취의 탈취법.
  22.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 6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가 모르티에렐라(Mortierella) 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하여 얻어진 균체로부터 추출한 것인 유지취의 탈취법.
  23. 제15항 내지 제18항 및 제2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 3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가 어유인 유지취의 탈취법.
  24. 제15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카로티노이드류가, β-카로틴, α-카로틴, β-크립토크산틴, α-크립토크산틴, γ-카로틴, 리코펜, 루테인, 푸코크산틴, 캅산틴, 제아크산틴, 피토플루엔, 피토엔, 칸타크산틴, 아스타 크산틴인 유지취의 신규 탈취법.
KR1020057017154A 2003-06-09 2004-06-08 유지취의 신규 탈취법 및 그 조성물 KR200600372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63598 2003-06-09
JPJP-P-2003-00163598 2003-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237A true KR20060037237A (ko) 2006-05-03

Family

ID=3350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154A KR20060037237A (ko) 2003-06-09 2004-06-08 유지취의 신규 탈취법 및 그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60165734A1 (ko)
EP (1) EP1632556A4 (ko)
JP (1) JPWO2004108870A1 (ko)
KR (1) KR20060037237A (ko)
CN (1) CN1761736A (ko)
AU (1) AU2004245844A1 (ko)
CA (1) CA2517661A1 (ko)
TW (1) TW200503635A (ko)
WO (1) WO2004108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4751B2 (ja) * 2005-09-14 2012-03-28 株式会社カネカ 生体内dha合成促進剤
US10966937B2 (en) * 2015-05-04 2021-04-06 Cytometix,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derivatives and analogs
CN106262848A (zh) * 2016-08-22 2017-01-04 国家海洋局第三海洋研究所 一种岩藻黄质鱼油软胶囊及其制备方法
WO2018156596A1 (en) * 2017-02-22 2018-08-30 Cargill, Incorporated Purification of dha containing oils
CN111690464A (zh) * 2019-03-15 2020-09-22 王征 Dha藻油、鱼油去腥方法
CN114096649A (zh) * 2019-07-16 2022-02-25 日清奥利友集团株式会社 用于制造精制食用油和/或脂肪的方法,用于改善食用油和/或脂肪的光暴露气味的方法,以及精制食用油和/或脂肪
CA3175531A1 (en) * 2020-04-23 2021-10-28 V. Theocharis KOFTIS Compositions for stabilizing an isothiocyanat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162B1 (ko) * 1970-10-31 1974-01-18
JP2619491B2 (ja) * 1988-08-11 1997-06-11 サントリー株式会社 アスタキサンチン含有組成物
JPH06197703A (ja) * 1991-05-23 1994-07-19 Ajinomoto Takara Corp:Kk 畜産動物用飼料添加剤
JPH06245698A (ja) * 1993-02-22 1994-09-06 Morinaga Milk Ind Co Ltd 保存性が改善された含脂粉乳の製造方法
FR2721516B1 (fr) * 1994-06-27 1996-09-13 Inst Rech Biolog Sa Nouvelles utilisations d'un complexe à base de phospholipides cérébraux en thérapeutique et dans l'alimentation.
JPH08245335A (ja) * 1995-03-15 1996-09-24 Itano Reitou Kk 化粧料
JPH09110888A (ja) * 1995-10-17 1997-04-28 Nippon Oil & Fats Co Ltd リン脂質組成物
JPH1156257A (ja) * 1997-08-18 1999-03-02 Yoji Muramatsu うなぎ稚魚の餌料生物用餌料及びうなぎ稚魚の養殖方法
JP3592902B2 (ja) * 1997-09-17 2004-11-24 花王株式会社 加熱調理用油脂組成物
JP3198090B2 (ja) * 1998-03-31 2001-08-13 花王株式会社 油由来の不快臭抑制剤
US6221918B1 (en) * 1999-09-05 2001-04-24 Siberian Center For Natural Technologies, Inc. Combination of carotenoids for use as dietary supplement or topical ointment
EP1155620B1 (en) * 2000-05-18 2005-08-10 Q-mega healthcare A/S Dietary supplement comprising vitamins, minerals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32556A4 (en) 2006-12-20
JPWO2004108870A1 (ja) 2006-07-20
AU2004245844A1 (en) 2004-12-16
EP1632556A1 (en) 2006-03-08
WO2004108870A1 (ja) 2004-12-16
TW200503635A (en) 2005-02-01
US20060165734A1 (en) 2006-07-27
CN1761736A (zh) 2006-04-19
CA2517661A1 (en)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013B1 (ko) 도코사펜타엔산 함유물질의 이용
KR101451415B1 (ko) 불비누화 물질 함량을 저감시킨 미생물 유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유지
US20200078464A1 (en) Polyunsaturated fatty acid-containing solid fat compositions and uses and production thereof
AU2005283697B9 (en) Composition with preventive or improvement effect on symptoms or diseases associated with stress-induced behavior disorders
JP4522257B2 (ja) エステル交換油脂またはトリグリセリドの製造方法
KR20040026697A (ko) 뇌기능 저하에 기인하는 증상이나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작용을 가지는 조성물
KR20060037237A (ko) 유지취의 신규 탈취법 및 그 조성물
JP2007089522A (ja) 特定の高度不飽和脂肪酸が濃縮された脂肪酸組成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