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6892A -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6892A
KR20060036892A KR1020057005828A KR20057005828A KR20060036892A KR 20060036892 A KR20060036892 A KR 20060036892A KR 1020057005828 A KR1020057005828 A KR 1020057005828A KR 20057005828 A KR20057005828 A KR 20057005828A KR 20060036892 A KR20060036892 A KR 20060036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data
interpolation
field
image
history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모리따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36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Conversion between an interlaced and a progressiv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one of the standards corresponding to a cinematograph film stand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일정 속도로 움직이는 주기 패턴 등을 갖는 화면에서 동화상 부분이 잘못 판단되는 것과, 배경이 동화상인 정지 화상 엣지 부분이 동화상 처리되는 것을 동시에 방지한다. 인터레이스 화상의 화소 데이터 Pi(0)와, 그 2 필드(2F) 지연의 화소 데이터 Pi(+2F)를 입력하여 움직임 검출을 행하는 움직임 검출부(3, 51)와, 움직임 검출의 결과(Dif(O))에 의해 연속하여 「정지 화상」이라고 판단된 횟수를 나타내는 이력값(Hk)을 생성하는 이력값 생성부(52, 53)와, 인터레이스 화상의 화소 데이터에 기초하는 필드 내의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m) 및 복수의 필드 사이에서의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s)를 상기 움직임 검출의 결과(Dif(0)) 및 상기 이력값(Hk)에 따른 비율(Rmix)로 혼합하는 화소 데이터 보간부(4)를 갖는다. 이 화소 데이터 보간부(4)는, 상기 이력값(Hk)이 클수록 상기 필드간의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s)를 더 많이 혼합한다.
이력값, 보간, 화소 데이터, 움직임 검출의 결과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인터레이스 화상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그 결과에 따른 보간 방법에 의해 논인터레이스 화상으로 하기 위해 라인을 보완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와 화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행의 텔레비전 신호 방식은, 인터레이스 주사를 전제로 한 인터레이스 신호 방식과, 논인터레이스 주사를 전제로 한 논인터레이스 신호 방식으로 대별된다. 인터레이스 주사란, 비월 주사라고도 하며, 텔레비전 화상의 1 화면을 구성하는 525개 또는 1125개의 주사선 중, 주사선을 하나씩 비월하여 주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하나의 표시 화면(1프레임)은 2회의 인터레이스 주사에 의해 생성되고, 주사선이 엇갈리는 2개의 주사 화면(제1 및 제2 필드)으로 1 프레임이 구성된다. 한편, 논인터레이스 주사는 비월 주사가 아니고, 주사선 하나씩 순차적으로 주사하는 방법이다.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동화상 중 일부에 다른 정지 화상을 표시시키는 경우, 정지 화상에서 깜박임을 억제하면서, 고화질화하기 위해, 인터레이스 신호를 논인터레이스 신호로 변환하여 정지 화상을 표시시킬 필요가 있다. 이 변 환은 IP(Interlace Progressive) 변환이라고도 하며, 다화면 표시를 위한 IP 변환 기능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하, 인터레이스와 논인터레이스의 변환을 IP 변환이라는 호칭 방법으로 통일하여 이용한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의 종류에 따라, 특히 자발광의 PDP(Plasma Display Panel)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화상 표시 패널 등과 같이, 논인터레이스의 프로그레시브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있으며, 이들 화상 표시 패널도 IP 변환 기능을 갖고 있다.
IP 변환의 방법은 다양한 것이 존재하지만, 특히 최근에는 고화질화를 위해, 필드간의 화소 데이터의 차이로부터 화상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동화상은 필드내 보간, 정지 화상은 필드간 보간을 행함으로써 화상의 종류(동화상인지 정지 화상인지)에 따라 적응적으로 라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움직임 적응형 IP 변환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방법으로는, 라인 데이터를 생성할 필드 내의 화상으로부터 보간하여 동화상에 적합한 화상 데이터(이하, 동화상용 보간 데이터라고 함)와, 라인을 생성할 필드를 포함하는 2개의 필드간의 화상으로부터 보간하여 정지 화상에 적합한 화상 데이터(이하, 정지 화상 보간 데이터라고 함)를, 적응적으로 혼합하여 새로운 라인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있다. 그 혼합비를 정할 때에, 보간하는 화소의 전후 필드의 프레임 차분에 기초하여, 프레임 차분이 클 때에는 동화상용 보간 데이터의 혼합비를 높게 하고, 작을 때에는 정지 화상용 보간 데이터의 혼합비를 높게 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이 움직임 적응형 IP 변환의 방법으로는, 혼합비를 정할 때에, 동화상에 가 깝다는 판정(즉, 동화상용 보간 데이터의 혼합비를 높인다는 판정)을 하면, 동화상용 보간이 동일한 필드 내에서의 처리이기 때문에 화면에 큰 파탄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하여, 동화상을 정지 화상이라고 잘못 판정하면, 움직임에 따라 상이한 데이터로 된 2매의 필드로부터 1매의 화면을 작성하게 되기 때문에, 상(像)의 윤곽이 들쭉날쭉하게 되거나, 혹은 횡선이 눈에 띄고, 심할 때에는 화상이 이중으로 보이는 등 그림으로서 파탄되어 버린다. 따라서, 종래의 움직임 적응형 IP 변환에서는, 동화상에 가깝다는 판정을 행하는 경향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정지 화상을 정확하게 정지 화상이라고 판정하지 않으면 수직 해상도가 높은 정지 화상을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동화상에 가깝다는 판정을 행하는 종래의 움직임 적응형 IP 변환에서는, 정지 화상의 수직 해상도를 희생으로 하여 그림으로서의 파탄을 방지하고 있었다.
이 기본적인 IP 변환 방법을 발전시켜, 인접한 2 필드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6 필드로 더 많은 필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보간하는 화소의 시간적 혹은 공간적으로 상이한 화소의 정보를 반영시키는 IP 변환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2-185933호」 참조, 이하 선행 기술 문헌1이라고 칭함).
이 선행 기술 문헌1에서 시간적으로 상이한 많은 화소 정보를 반영시키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현 필드와 2 필드 지연 데이터와의 차분, 1 필드 지연 데이터와 3 필드 지연 데이터와의 차분, 2 필드 지연 데이터와 6 필드 지연 데이터와의 차분, 현 필드 지연 데이터와 6 필드 지연 데이터와의 차분이라고 하는 광범위하고 복잡하게 조합된 필드 차분을 계산한다. 이 각 차분을,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비 교하여 플래그를 설정하고, 얻어진 플래그 데이터의 논리합을 산출하여, 이 플래그 데이터의 논리합에 의해 동화상과 정지 화상의 혼합비를 정하고 있다. 또한, 공간적으로 상이한 화소의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로서는, 상기 선행 기술 문헌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보간하려는 화소의 상하 합하여 4 라인으로 보간 연산을 행하는 경우 등이, 이것에 해당한다.
이들 방법으로는, 보간 화소의 시간적 혹은 공간적으로 상이한 화소의 정보를 반영시켜 혼합비를 결정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주기적인 패턴이 그 주기로 거의 적합한 속도로 움직이는 경우에, 임의의 시간 간격으로 보면 마이크로적으로는 데이터가 거의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정지 화상이라고 오류 검출이 되기쉬운 동화상 부분에 대하여 확실하게 「동화상이다」라는 검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알파벳 등의 문자(텔롭)이 화면 내를 이동하는 경우에도, 일부 화소에서 동화상을 정지 화상으로 잘못 검출되는 것이 줄어든다. 따라서, 선행 기술 문헌1에 기재된 IP 변환 방법을 이용하면, 동화상이 정지 화상으로 잘못 검출되어, 화상의 엣지가 들쭉날쭉하게 보이는 등의 화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선행 기술 문헌1에 기재된 IP 변환 방법으로는, 동화상과 정지 화상의 판정에 참조하는 필드가 많아, 대용량의 필드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또한, 예를 들면, TV 프로그램에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화상에 대하여, PC(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작성되어 정지된 텔롭이 중복되어 표시되는 경우에, 너무 넓은 범위의 주변 화소 혹은 많은 필드를 참조하면, 이러한 광범위한 검출 결과의 영향이 마이너스적인 효과로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즉, 동일한 데이터가 표 시될 정지 화상(텔롭)이 엣지 부분이고, 주위가 동화상이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동화상에 가깝다는 판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정지한 텔롭의 엣지 부분만이 다른 텔롭 부분보다 선명하게 보이거나, 반대로 희미하게 보이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텔롭은, 배경의 동화상에 비하면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주파수 성분이 높으므로 엣지가 흐릿하거나 하면 매우 눈에 띄기 때문에, 그러한 의미에서 화질이 저하된다.
한편, 배경이 동화상인 정지 화상의 엣지 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방법으로서, 정지 화상과 동화상의 경계를 판정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IP 변환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보 「제3347234호」 참조, 이하 선행 기술 문헌2라고 함).
이 방법으로는, 움직임 검출의 결과로부터, 현 라인, 1 라인 전의 출력 및 1 라인 후의 출력을 이용하여 3 라인 모두 움직임이 있거나, 또는 3 라인 모두 움직임이 없는 것 이외의 경우, 경계가 있다고 판단한다. 이 경계 판정의 결과와, 움직임 검출의 결과가 모순된 개소가 없어지도록 라인 데이터의 치환을 행한다.
이 선행 기술 문헌2에 기재된 IP 변환 방법은, 대용량의 필드 메모리를 이용하지 않고, 배경이 동화상인 정지 화상의 엣지 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는 우수한 방법이다.
그러나, 이 선행 기술 문헌2에 기재된 방법으로는, 광범위한 화소 정보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선행 기술 문헌1이 해결하려고 한 과제, 즉 일정 속도로 움직이는 주기적인 패턴 혹은 움직이는 텔롭을 갖는 화면에서, 동화상 부분(움 직이는 주기적 패턴 및 움직이는 텔롭)이 정지 화상이라고 잘못 판단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없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속도로 움직이는 주기적인 패턴 혹은 움직이는 텔롭 등을 갖는 화면에서 동화상 부분이 정지 화상이라고 잘못 판단되는 것, 및 배경이 동화상인 정지 화상의 엣지 부분이 동화상 처리되어 눈에 띄는 것을 동시에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인터레이스 화상 데이터를 논인터레이스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인터레이스 화상의 화소 데이터(필드 화면 Pi(0), Pi(+2F)을 구성하는 화소 데이터 Di(0), Di(+2F), 단, 이하 도면과의 대응을 고려하여 화소 데이터를, 그 화소 데이터가 속하는 필드 화면의 부호로 표기함)를 프레임 사이에서 화소마다 비교하여 움직임 검출을 행하는 움직임 검출부(3, 51)와, 상기 움직임 검출부(3, 51)로부터의 움직임 검출의 결과(Dif(0))에 의해 연속하여 정지 화상이라고 판단된 횟수를 나타내는 이력값(Hk)을 생성하는 이력값 생성부(52, 53)와, 인터레이스 화상의 화소 데이터에 기초하는 필드 내에서의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m) 및 복수의 필드 사이에서의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s)를 상기 움직임 검출부(3, 51)에 의한 움직임 검출의 결과(Dif(0)) 및 상기 이력값(Hk)에 따른 비율(Rmix)로 혼합하는 화소 데이터 보간부로서, 상기 이력값(Hk)이 클수록 상기 필드간의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s)를 많이 혼합하는 화소 데이터 보간부(4)를 구비한다.
이 화소 데이터 보간부는, 상기 필드 내의 화소 데이터(Pi(+F))로부터의 보간에 의해 화소 데이터(Pm)를 생성하는 필드내 보간부(41)와, 상기 복수의 필드간의 화소 데이터(Pi(+F), Pi(+2F))로부터의 보간에 의해 화소 데이터(Ps)를 생성하는 필드간 보간부(42)와, 상기 필드내 보간부(41)로부터의 화소 데이터(Pm)와, 상기 필드간 보간부(42)로부터의 화소 데이터(Ps)를 소정의 비율(Rmix)로 혼합하는 화소 데이터 혼합부(43)와, 상기 움직임 검출부(3, 51)의 검출 결과(Dif(0))와 상기 이력값(Hk)에 의해 결정되는 혼합비(Rmix)를, 상기 이력값(Hk)이 클수록 필드간 보간부(42)로부터의 화소 데이터(Ps)의 비율이 높아지도록 변화시키는 혼합비 설정부(44)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인터레이스 화상 데이터를 논인터레이스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인터레이스 화상의 화소 데이터(Pi(0), Pi(+2F))를 프레임 사이에서 화소마다 비교하여 움직임 검출을 행하는 움직임 검출 스텝과, 상기 움직임 검출의 결과에 의해 연속하여 정지 화상이라고 판단된 횟수를 나타내는 이력값(Hk)을 생성하는 이력값 생성 스텝(ST4B, ST5)과, 인터레이스 화상의 화소 데이터에 기초하는 필드 내에서의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m) 및 복수의 필드 사이에서의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s)를 상기 움직임 검출부(3)에 의한 움직임 검출의 결과(Dif(0)) 및 상기 이력값(Hk)에 따른 비율(Rmix)로 혼합하는 스텝으로서, 상기 이력값(Hk)이 클수록 상기 필드간의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s)를 많이 혼합하는 화소 데이터의 보간 스텝을 포함한다.
이 화소 데이터의 보간 스텝은, 또한 필드 내에서 화소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라인의 화소 데이터(Pm)를 상기 필드 내의 화소 데이터(Pi(+F))로부터의 보간에 의해 생성하는 필드내 보간의 스텝과, 상기 라인의 화소 데이터(Ps)를 복수의 필드 내의 화소 데이터(Pi(+F), Pi(+2F))로부터의 보간에 의해 생성하는 필드간 보간의 스텝과, 상기 필드내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m)와, 상기 필드간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s)를 소정의 비율(Rmix)로 혼합하는 화소 데이터 혼합의 스텝과, 상기 움직임 검출의 결과(Dif(0))와 상기 이력값(Hk)에 의해 결정되는 혼합비(Rmix)를, 상기 이력값(Hk)이 클수록 필드간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s)의 비율(Rmix)이 높아지도록 변화시키는 혼합비 설정의 스텝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인터레이스 화상의 화소 데이터를 움직임 검출부(3, 51)에 의해 움직임 검출한 결과, 화소 데이터에 차가 없거나 혹은 차가 적은 경우, 정지 화상이라고 판단되고, 차가 큰 경우, 동화상이라고 판단된다. 이력값 생성에 대해서는, 연속하여 정지 화상이라고 판단되는 횟수인 이력값(Hk)을 화소마다 생성한다. 화소 데이터 보간부(4)(혹은, 보간 스텝에서)는, 이 생성된 이력값(Hk)에 따라, 데이터를 새롭게 작성할 화소의 보간 방법을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화소 데이터 보간부(4)는, 동화상에 적합한 필드내 보간부(41)와, 정지 화상에 적합한 필드간 보간부(42)와, 양 보간부의 출력을 소정의 비율(Rmix)로 혼합하는 화소 데이터 혼합부(43)와, 이 혼합의 비율(Rmix)을 설정하는 혼합비 설정부(44)를 갖는다. 혼합비 설정부(44)는, 이력값(Hk)이 클수록 정지 화상에 가까운 보간으로 되도록, 즉 필드간 보간에 의해 생성된 화소 데이터(Ps)의 비율이 높아지도록 상기 혼합비(Rmix)를 정한다.
이러한 화상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소정 주기의 반복 패턴이 해당 주기에 적합한 속도로 움직이는 경우, 그 패턴이 반복하여 표시되는 화소 위치에서는, 임의의 시간 간격으로 보면 항상 정지 화상이라고 판단되는 패턴 부분이 존재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화소마다 정지 화상이라는 판단이 연속하여 발생하는 횟수, 즉 이력값(Hk)이 카운트되고 있기 때문에, 그 정지 화상의 이력값(Hk)이 패턴의 폭에 대응한 주기로 중간 중간 끊기게 된다.
즉, 이력값(Hk)을 이용하여 대국적으로 보면, 이러한 소정 주기의 반복 패턴은 완전한 정지 화상이라고 판단되지 않고, 완전한 동화상이라고도 판단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반복 패턴의 주기나 움직이는 속도에 적합한 혼합비(Rmix)로 되고, 그 혼합비에 의해, 해당 화소 위치에 새로운 화소 데이터(Po)가 생성된다.
또한, 알파벳 등의 텔롭이 흐르도록 이동하는 경우, 문자 사이에서 이력값(Hk)이 중간 중간 끊기게 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이 문자 간격이나 움직이는 속도에 적합한 혼합비(Rmix)로, 텔롭을 표시하는 위치에 화소 데이터(Po)가 생성된다.
또한, 주위가 동화상인 정지 화상 텔롭의 엣지 부분에서는, 주변의 화소 정보는 반영되지 않고, 해당 화소에서의 이력값(Hk)만이 판단 재료로 되기 때문에, 해당 화소에서의 이력값(Hk)은 텔롭의 표시 시간에 의존하여 충분히 커서 완전한 정지 화상에 가깝다는 판단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정지 화상 텔롭의 엣지 부분에서는 정지 화상에 가까운 혼합비(Rmix)로 새로운 화소 데이터(Po)가 생성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3개의 연속한 필드 화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정면 A의 측으로부터 본 3 화면의 위치 관계에 의해 프레임 차분을 취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과 마찬가지의 3 화면의 위치 관계에 의해 필드내 보간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3과 마찬가지의 3 화면의 위치 관계에 의해 필드간 보간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이력값 생성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7은 혼합비 설정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8은 혼합비 참조 테이블에서의 2개의 입력 파라미터와 혼합비와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9는 정지한 배경 내에서 원형 화상이 움직이는 경우의 혼합비의 추이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주위가 동화상인 정지 화상 텔롭(알파벳의 문자)을 갖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블록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화상 처리 장치는, 움직임 적응형 IP 변환 기능을 갖는 장치 혹은 집적 회로(IC)로서 실현된다.
[제1 실시예]
도 1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1A)는, 대별하면, 필드 지연부(2), 프레임 차분 연산부(3), 화소 데이터 보간부(4), 및 정지 화상의 이력값 생성부(5)로 구성되어 있다.
필드 지연부(2)는, 입력한 필드 화면 Pi(0)를 1 필드 지연시켜 출력하는 제1 필드 지연부(21)와, 제1 필드 지연부(21)로부터 입력된 1 필드(1F) 지연 후의 화면 Pi(+F)을 1 필드 더 지연시키는 제2 필드 지연부(22)를 갖는다. 제2 필드 지연부(22)로부터는 2 필드(2F), 즉 1 프레임만 지연된 필드 화면 Pi(+2F)이 출력된다.
여기서 1 필드의 표시 시간(또는 시간축 상에서의 필드 화면 간격)을 「F」로 나타내고, 위상이 앞서고 있는 것을 「+」, 위상이 지연되고 있는 것을 「-」의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현 시점을 「0」으로 표기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필드 화상 Fi(0)이 입력되어 있을 때(현 시점)에, 그 때부터 1 필드 표시 시간(이하, 단순히 1F라고 함)만큼 전에 제1 필드 지연부(21)에 입력되고, 1F만큼 위상이 앞선 인접한 필드 화면 Pi(+F)이 제1 필드 지연부(21)로부터 출력되고 있다. 또한, 2 필드 표시 시간(이하, 단순히 2F라고 함)만큼 현 시점보다 전에 제1 필드 지연부(21)에 입력되고, 2F만큼 위상이 앞서고 또한 인접한 필드 화면 Pi(+2F)이 제2 필드 지연부(22)로부터 출력되고 있다.
이 3개의 필드 화면 Pi(0), Pi(+F), Pi(+2F)의 위치 관계를, 도 2에 도시하 고 있다. 도 2는, 화면의 2차원 공간에 시간축을 도입하여 3차원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 시간축을 「→t」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도 5에, 도 2에 도시하는 정면 A의 측으로부터 3 화면의 위치 관계를 본 도면을 도시한다.
인터레이스 표시 화면은, 그림으로서 완성된 화면(1 프레임)을 2회의 비월 주사를 거쳐 표시하는 것은 앞서 설명했지만, 도 2에서, 제1회째의 주사에 의한 제1 필드 화면에 속하는 화소(혹은 화소 데이터)를 ○로 표시하고, 제2회째의 주사에 의한 제2 필드 화면에 속하는 화소(혹은 화소 데이터)를 ●로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현 시점의 입력 화면 Pi(0)와, 이것으로부터 1F만큼 위상이 앞선 화면 Pi(+F)와의 조합으로 1 프레임이 구성되고, 그 위상이 더 앞선 인접한 화상의 조, 즉 Pi(+2F)와 도시되지 않은 Pi(+3F)에 의해 다른 1 프레임이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를 ●로 나타낸 제2 필드 화면 Pi(+F)와, 그 양측의 제1 필드 화면 Pi(0) 및 Pi(+2F)는, 1 라인 주사 간격 L만큼 어긋난 수직 방향의 위치 관계에 있다. 또한, 비월 주사이기 때문에, 각 화면의 화소 데이터 라인의 간격은 2 라인 주사 간격(2L)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프레임 차분 연산부(도 1에서, 「ΔP」라고 표기)(3)는, 입력된 현 시점의 필드 화면 Pi(0)와, 제2 필드 지연부(22)로부터의 1프레임 지연 후의 필드 화면 Pi(+2F)를 입력받아, 프레임 사이에서 화소마다, 예를 들면 휘도 데이터의 차분의 절대값(이하, 프레임 차분이라고 함)을 연산에 의해 구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드 화면 Pi(0) 내의 화소 데이터 Dk(0)와, 필드 화면 Pi(+2F) 내의 화소 데이터 Dk(+2F)로부터 프레임 차분 Dif(0)을 구하고, 이 처리를 화소마다 반복한다. 프레임 차분 Dif(0)은 화소마다 연산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생성되어, 화소 데이터 보간부(4)와 이력값 생성부(5) 각각에 입력된다.
화소 데이터 보간부(4)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드내 보간부(41), 필드간 보간부(42), 화소 데이터 혼합부(도 1에서 「MIX.」라고 표기)(43), 및 혼합비 Rmix의 설정부(44)를 갖는다.
필드내 보간부(41)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입력한 필드 화상 데이터를 라인마다 지연시키는 라인 지연부와, 지연 후의 라인 데이터 등을 이용한 보간에 의해, 인터레이스 화상의 라인 사이에 새로운 라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간부를 갖는다. 이에 의해, 필드내 보간부(41)는 동화상에 적합한 보간 방법, 즉 동일 필드 내의 데이터만으로 논인터레이스 화상에 필요한 라인의 화소 데이터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필드내 보간 방법에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예와 같이, 1F 지연 후의 필드 화면 Pi(+F) 내에서, 주목하고 있는 라인의 화소 데이터 Dk(+F)와, 그 1 라인(프레임 내에서 보면 2 주사 라인) 지연 후의 화소 데이터 Dk-2(+F)에 각각 0.5의 계수를 곱하여 혼합함으로써, 화소 데이터가 없었던 중간의 주사 라인에 새로운 화소 데이터 Dk-1(+F)을 생성한다.
이하, 이와 같이 동일한 필드 내의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동화상용의 새로운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필드 화면을 「동화상 보간 화면 Pm」이라고 한다.
필드간 보간부(42)는, 상호 1 필드분만큼 위상이 어긋난 2계통의 화소 데이 터 열(2개의 필드 화면)을 입력한다. 필드간 보간부(42)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입력한 2계통의 화소 데이터 열로부터 보간에 의해 인터레이스 화상의 라인 사이에 새로운 라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간부를 갖는다. 이에 의해, 필드간 보간(42)은 정지 화상에 적합한 보간 방법, 즉 시간적으로 인접한 상이한 필드 내의 데이터로부터 논인터레이스 화상에 필요한 라인의 화소 데이터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필드간 보간 방법에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F 지연 후의 필드 화면 Pi(+F)에 속하여 주목하고 있는 라인의 화소 데이터 Dk(+F)와, 2F 지연 후의 필드 화면 Pi(+2F)의 대응하는 화소 데이터 Dk(+2F)와 각각 0.5의 계수를 곱하여 혼합함으로써, 1F 지연 후의 필드 화면 Pi(+F)에서 화소 데이터가 없었던 주사 라인에 새로운 화소 데이터 Dk-1(+F)을 생성한다.
이하, 이와 같이 상이한 필드에 속하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정지 화상용의 새로운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필드 화면을 「정지 화상 보간 화면 Ps」라고 한다.
화소 데이터 혼합부(43)는, 동화상 보간 화면 Pm을 필드내 보간부(41)로부터 입력받고, 정지 화상 보간 화면 Ps를 필드간 보간부(42)로부터 입력받아, 2개의 보간 화면 Pm과 Ps의 화소 데이터를, 화소마다 정해지는 소정의 혼합비 Rmix에 의해 순차적으로 혼합하여, 새로운 화소 데이터 열(출력 화면) Po를 출력한다. 이러한 화소 데이터 혼합부(43)의 기능은,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각 보간 데이터에 혼합비 Rmix를 실현하기 위해 적합한 계수를 곱하는 2개의 승산기와, 2개 의 승산기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에 의해 실현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화소 데이터 혼합부(43)의 혼합비 Rmix는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성에서는, 2개의 승산기의 계수가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혼합비 Rmix를 설정하고, 변경하는 수단으로서의 혼합비 설정부(44)는, 혼합비 Rmix를, 입력된 이력값에 따라 제어한다. 혼합비 설정부(44)는, 통상적으로, 프레임 차분 연산부(3)로부터 프레임 차분 Dif(0)을 입력받아, 프레임 차분 Dif(0)에 따른 혼합비를 기준으로 하여, 이 기준으로 되는 혼합비를, 입력된 이력값 H에 따라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혼합비 설정부(44)가 이력값 H에 따라 혼합비를 제어하는 것과, 이력값 생성부(5)를 갖는 것이 본 실시예의 큰 특징 중 하나이다.
이력값 생성부(5)는, 입력된 프레임 차분 Dif(0)과 기준 REF와의 대소 관계를 비교하여, 동화상 또는 정지 화상을 판정하는 움직임 비교부(도면에서 「COMP.」라고 표기)(51)와, 이 움직임 비교부(51)에 의해 「정지 화상」이라고 연속하여 판단된 횟수를 이력값 H로 하여 화소마다 유지하고, 갱신하는 이력값 메모리(도면에서 「H 메모리」라고 표기)(52)와, 유지하고 있는 이력값 H를 2 필드(2F)분, 즉 1 프레임분 지연시키는 이력값 지연부(53)를 갖는다. 이력값 메모리(52)는, 화소마다 어드레스가 할당된 메모리 공간을 갖고,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화소마다의 유지 데이터(이력값)를 인크리먼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주목하고 있는 화소의 현 시점의 이력값을 Hk(0)라고 표기하고, 2F 지연 후의 이력값을 Hk(+2F)라고 표기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움직임 비교부(51)는, 입력된 프레임 차분 Dif(0)을, 동화상과 정지 화상의 경계를 정하는 소정의 기준 REF와 비교하여, 입력된 프레임 차분 Dif(0)가 기준 REF 이상이면 「동화상」, 입력된 프레임 차분 Dif(0)이 기준 REF 미만이면 「정지 화상」이라는 판단을 행한다. 움직임 비교부(51)는, 「정지 화상」이라는 판단을 행할 때마다, 예를 들면 하이 레벨의 펄스를 출력하는 신호 S51을 출력하고 있으며, 이력값 메모리(52)는, 이 신호 S51에서 하이 레벨의 펄스가 상승할 때마다, 기억하고 있는 1 프레임 전(위상이 1 프레임분 앞섬)에 해당 화소의 이력값 Hk(0)을 인크리먼트하여, 출력한다. 이력값 Hk(0)은 순차적으로 2F만큼 지연되고, 지연 후의 이력값 Hk(+2F)가 혼합비 설정부(44)에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이력값 메모리(52)의 기억 내용은, 혼합비 설정부(44)에 출력된 이력값 Hk(+2F)에 의해 재기입된다. 이 때문에, 혼합비 설정부(44)에 출력된 이력값 Hk(+2F)를 기초로 하여 정지 화상이라고 판단될 때마다 이력값이 하나씩 가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력값 산출이 프레임 차분 Dif(0)에 기초하여 행해지기 때문에, 이 점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화소 Dk(0) 또는 Dk(+2F)에 의해 이력값을 카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드간 보간에서 화소 Dk(+2F)가 이용되고, 화소 Dk(0)는 이용되지 않는다. 그러한 의미에서, 화소 Dk(+2F)에 의해 이력값을 카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력값 Hk(0)를 2F 지연시킨 후, 혼합비 설정에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움직임 비교부(51)와 전술한 프레임 차분 연산부(3)는, 본 발명의「움직임 검출부」의 일 실시 양태를 구성한다.
도 6에, 이 이력값 생성 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하는 처리가 스타트하는 시점에서는, 이력값 메모리(52)에 기억되어 있는 이력값이 Hk(-2F)인 것으로 한다. 스텝 ST1에서, 전회의 처리에서 1프레임, 즉 2 필드(2F) 지연된 이력값, 즉 Hk(0)가 이력값 메모리(52)에 입력된다.
스텝 ST2에서 프레임 차분 Dif(0)가 입력되면, 다음 스텝 ST3에서, 프레임 차분 Dif(0)을 기준 REF와 비교한다. 프레임 차분 Dif(0)이 기준 REF 이상이면, 해당 화소가 동화상에 속한다고 판단하여, 스텝 ST4A에서 이력값 메모리(52)의 해당하는 어드레스에 기억된 화소의 이력값 Hk(0)을 리세트한다. 이에 따라 처리 대상의 화상 부분이 정지 상태로부터 벗어나 동화상 상태로 들어갔다는 판단이 이루어진다. 한편, 프레임 차분 Dif(0)이 기준 REF 미만이면, 해당 화소가 정지 화상에 속한다고 판단하여, 스텝 ST4B에서 이력값 메모리(52)의 해당하는 어드레스에 기억된 정지 화상의 이력값 Hk(0)을 인크리먼트하고, 처리 대상의 화상 부분에서 정지 화상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그 후, 스텝 ST5에서, 이 이력값 Hk(0)이 이력값 지연부(53)에 의해 2F만큼 지연되고, 지연 후의 이력값 Hk(+2F)가 혼합비 설정부(44)에 전송됨과 함께, 이 지연 후의 이력값 Hk(+2F)의 값에 의해, 이력값 메모리(52)의 해당 화소에 대응한 어드레스의 기억 영역의 내용이 재기입된다.
이 처리는, 화소마다 프레임 차분 Dif가 입력될 때마다 반복하여 실행된다.
도 7에, 혼합비 설정 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혼합비 설정부(44)는, 스텝 ST10에서 프레임 차분 Dif(0)을 입력받고, 스텝 ST11에서 프레임 차분 Dif(0)에 대응하는 이력값 Hk(+2F)를 입력받으면, 다음 스텝 ST12에서 동화상 보간 화면 Pm과 정지 화상 보간 화면 Ps와의 혼합비 Rmix를 구한다. 차례대로 연산을 행해도 되지만, 여기서는, 프레임 차분 및 이력값의 2개의 입력 파라미터에 의해 혼합비가 특정되는 테이블을 내장하고 있어, 그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혼합비 Rmix를 구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에, 이 테이블에서의 2개의 입력 파라미터와 혼합비와의 관계의 일례를 그래프에 의해 도시한다.
종래에는, 정지 화상이라고 판단된 횟수에 관계없이 프레임 차분만으로 혼합비가 정해져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이력값이 임의의 값보다 작을 때에는 프레임 차분에 관계없이 혼합비가 일정하도록 정해져 있다. 이 그래프는 일례로서 혼합비가 정해지는 방법은 여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대국적으로 보면, 동일한 프레임 차분이면 이력값이 클수록 혼합비가 정지 화상에 가깝게 정해지고, 동일한 이력값일 때 프레임 차분이 작을수록 혼합비가 정지 화상에 가깝게 정해진다. 여기서, 동일한 프레임 차분이면 이력값이 크면 반드시 이력값도 정지 화상에 가까워야하는 것은 아니다. 도 8의 예와 같이, 이력값이 변화해도 혼합비가 변화하지 않는 부분을 일부에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대국적으로 보면」은, 큰 스팬으로 보면 이력값에 수반하여 혼합비가 변화하고 있다고 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력값이 클수록 정지 화상용의 보간 방법에 가까운 보간 방법으로 변화시킨다」란, 이와 같이 대국적으로 보는 경우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력값이 클수록 점차 정지 화상에 가까운 보간 방법을 취하는 경우 외에, 도중에 이력값이 변화해도 보간 방법은 변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지만, 대국적으로 보면 이력값이 커짐에 따라 보간 방법이 정지 화상에 가깝게 변화하고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 8에는, 정지 화상의 혼합비의 수치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완전한 동화상인 경우에는 Rmix=0, 완전한 정지 화상인 경우에 Rmix=1.0을 취하고, 그 동안은 정지 화상에 가까울수록 Rmix의 값을 1에 가까운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차분 Dif에 기초하여 동화상 보간 화면 Pm과 정지 화상 보간 화면 Ps의 혼합비를 결정할 때에, 정지 화상이라고 연속하여 판단된 횟수인 이력값을 참조함으로써, 많은 필드 지연 메모리를 이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많은 과거의 필드의 움직임 상태를 참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동화상인지 정지 화상인지의 판단이 확실한 것으로 된다. 또한, 보간 화면의 혼합비를 보다 완만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막 정지된 화상이, 갑자기 정지 화상 처리가 되어, 돌연히, 해상도가 향상된 것처럼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정지 화상의 이력값을 연산할 때에 이용하는 정지 화상 이력의 임계값(기준 REF)은, 프레임 차분의 노이즈 성분에 비하여 충분히 크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력값은 프레임 차분의 노이즈에 영향받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 도입되고 있는 이력값이라는 파라미터는, 그 값이 클수록 정지 화상일 가능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지 화상의 이력값이 큰 경우 에는, 필드 차분만의 판정에 비하여 정지 화상에 가깝다는 판정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다양한 케이스에 대응하여, 움직임 적응형의 인터레이스와 논인터레이스와의 변환의 효과를 높인다.
예를 들면, 소정 주기의 반복 패턴이 해당 주기에 적합한 속도로 움직이는 경우, 그 패턴이 반복하여 표시되는 화소 위치에서는, 임의의 시간 간격으로 보면 항상 정지 화상이라고 판단되는 패턴 부분이 존재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마다 정지 화상이라는 판단이 연속하여 발생하는 횟수(이력값)가 카운트되고 있기 때문에, 그 정지 화상의 이력값이 패턴의 폭에 대응한 주기로 중간 중간 끊기게 된다. 즉, 이력값이 어느 정도 커지면 리세트되기 때문에, 이력값을 이용하여 대국적으로 보면, 이러한 소정 주기의 반복 패턴은 완전한 정지 화상이라고 판단되지 않고, 완전한 동화상이라고도 판단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반복 패턴의 주기나 움직이는 속도에 적합한 혼합비로 되고, 그 혼합비에 의해, 해당 화소 위치에 새로운 화소 데이터가 생성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음에는 정지 화상에 가깝다고 판단되어 있어도, 어느 한 패턴이 움직이는 시간이 길면 동화상에 가깝다고 판단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알파벳 등의 텔롭이 흐르도록 이동하는 경우, 문자 사이에서 이력값이 중간 중간 끊기게 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이 문자의 간격이나 움직이는 속도에 적합한 혼합비에 의해, 텔롭을 표시하는 위치에 화소 데이터가 생성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위가 동화상인 정지 화상 텔롭(알파벳의 문자)의 엣지 부분에서는, 주변의 화소 정보는 반영되지 않고, 해당 화소에서의 이 력값만이 판단 재료로 되기 때문에, 해당 화소에서의 이력값은 텔롭의 표시 시간에 의존하여 충분히 커서 완전한 정지 화상에 가까운 판단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정지 화상 텔롭의 엣지 부분에서는 정지 화상에 가까운 혼합비에 의해 새로운 화소 데이터가 생성된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는, 이력값 생성부의 변경에 관한 것이다.
도 11에,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 화상 처리 장치(1B)가,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1A)(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이력값 생성부(5)의 이력값 지연부가 1 필드씩 지연시키는 제1 이력값 필드 지연부(54)와 제2 이력값 필드 지연부(55)로 분리되어, 그 중간 접속점으로부터 1F 지연 후의 이력값 Hk(+F)이 출력되고 있는 것이다. 이 1F 지연 후의 이력값 Hk(+F)는, 제2 이력값 필드 지연부(55)로부터 출력되는 2F 지연 후의 이력값 Hk(+2F)과 함께 혼합비 설정부(44)에 입력된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서의 혼합비 설정부(44)는, 1F 지연 화면 Pi(+F) 내의 보간에 이용하는 화소,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화소 Dk(+F) 및/또는 Dk-2(+F)의 이력값 Hk(+F)도 참조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보다 복잡하고 섬세한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프레임 차분 Dif이고 이력값 Hk(+2F)이면 혼합비 Rmix는 하나로 정해져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이력값 Hk(+F)의 값에 따라, 혼합비를 미세하게 바꾸는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 하는 화소 Dk(+F)와 Dk-2(+F)의 이력값 Hk(+F)가 모두 「0」일 때, 즉 모두 동화상인 경향이 높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들 화소 사이에 삽입된 보간하는 화소는, 가령 제1 실시예에 나타내는 이력값 Hk(+2F)에 의한 판단에 의해 정지 화상인 것으로 되어도, 동화상인 화소에 상하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동화상에 가까운 혼합비를 출력하는 판정을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보다 많은 이력값을 조합하여 여러가지 판단을 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신뢰성이 높은 움직임 적응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차분을, 도 2의 「B」로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주사 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에서도 취하여, 동화상과 정지 화상의 판단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력값도 이 주사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에서 카운트하도록 하여, 이력값의 정밀도를 높일 수도 있다.

Claims (6)

  1. 인터레이스 화상 데이터를 논인터레이스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인터레이스 화상의 화소 데이터(필드 화면 Pi(0), Pi(+2F)을 구성하는 화소 데이터 Di(0), Di(+2F), 단, 이하 도면과의 대응을 고려하여 화소 데이터를, 그 화소 데이터가 속하는 필드 화면의 부호로 표기함)를 프레임 사이에서 화소마다 비교하여 움직임 검출을 행하는 움직임 검출부(3, 51)와,
    상기 움직임 검출부(3, 51)로부터의 움직임 검출의 결과(Dif(0))에 의해 연속하여 정지 화상이라고 판단된 횟수를 나타내는 이력값(Hk)을 생성하는 이력값 생성부(52, 53)와,
    인터레이스 화상의 화소 데이터에 기초하는 필드 내에서의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m) 및 복수의 필드 사이에서의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s)를 상기 움직임 검출부(3, 51)에 의한 움직임 검출의 결과(Dif(0)) 및 상기 이력값(Hk)에 따른 비율(Rmix)로 혼합하는 화소 데이터 보간부로서, 상기 이력값(Hk)이 클수록 상기 필드간의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s)를 많이 혼합하는 화소 데이터 보간부(4)
    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데이터 보간부(4)는,
    상기 필드 내의 화소 데이터(Pi(+F))로부터의 보간에 의해 화소 데이터(Pm)를 생성하는 필드내 보간부(41)와,
    상기 복수의 필드간의 화소 데이터(Pi(+F), Pi(+2F))로부터의 보간에 의해 화소 데이터(Ps)를 생성하는 필드간 보간부(42)와,
    상기 필드내 보간부(41)로부터의 화소 데이터(Pm)와, 상기 필드간 보간부(42)로부터의 화소 데이터(Ps)를 소정의 비율(Rmix)로 혼합하는 화소 데이터 혼합부(43)와,
    상기 움직임 검출부(3, 51)의 검출 결과(Dif(0))와 상기 이력값(Hk)에 의해 결정되는 혼합비(Rmix)를, 상기 이력값(Hk)이 클수록 필드간 보간부(42)로부터의 화소 데이터(Ps)의 비율이 높아지도록 변화시키는 혼합비 설정부(44)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값 생성부(52, 53)는, 보간에 의해 화소 데이터를 작성하는 필드로부터 1 필드 지연한 필드에서의 인접 화소의 보간 시의 이력값(Hk(+2F))을 생성하여, 보간마다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값 생성부(52, 53)는, 보간에 의해 화소 데이터를 작성하는 필드와 상이한 필드에서의 인접 화소의 보간 시의 이력값(Hk(+F))과, 보간에 의해 화소 데 이터를 작성하는 필드와 동일한 필드 내에서의 인접 화소의 보간 시의 이력값(Hk(+2F))을 생성하여, 각각 보간마다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인터레이스 화상 데이터를 논인터레이스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인터레이스 화상의 화소 데이터(Pi(0), Pi(+2F))를 프레임 사이에서 화소마다 비교하여 움직임 검출을 행하는 움직임 검출 스텝과,
    상기 움직임 검출의 결과에 의해 연속하여 정지 화상이라고 판단된 횟수를 나타내는 이력값(Hk)을 생성하는 이력값 생성 스텝(ST4B, ST5)과,
    인터레이스 화상의 화소 데이터에 기초하는 필드 내에서의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m) 및 복수의 필드 사이에서의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s)를 상기 움직임 검출부(3)에 의한 움직임 검출의 결과(Dif(0)) 및 상기 이력값(Hk)에 따른 비율(Rmix)로 혼합하는 스텝으로서, 상기 이력값(Hk)이 클수록 상기 필드간의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s)를 많이 혼합하는 화소 데이터의 보간 스텝
    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데이터의 보간 스텝은,
    필드 내에서 화소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라인의 화소 데이터(Pm)를 상기 필드 내의 화소 데이터(Pi(+F))로부터의 보간에 의해 생성하는 필드내 보간의 스텝과,
    상기 라인의 화소 데이터(Ps)를 복수의 필드 내의 화소 데이터(Pi(+F), Pi(+2F))로부터의 보간에 의해 생성하는 필드간 보간의 스텝과,
    상기 필드내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m)와, 상기 필드간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s)를 소정의 비율(Rmix)로 혼합하는 화소 데이터 혼합의 스텝과,
    상기 움직임 검출의 결과(Dif(0))와 상기 이력값(Hk)에 의해 결정되는 혼합비(Rmix)를, 상기 이력값(Hk)이 클수록 필드간 보간에 의한 화소 데이터(Ps)의 비율(Rmix)이 높아지도록 변화시키는 혼합비 설정의 스텝
    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KR1020057005828A 2003-08-06 2004-08-02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KR200600368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88223A JP4003713B2 (ja) 2003-08-06 2003-08-06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JP-P-2003-00288223 2003-08-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892A true KR20060036892A (ko) 2006-05-02

Family

ID=3413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828A KR20060036892A (ko) 2003-08-06 2004-08-02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152620A1 (ko)
EP (1) EP1653740A4 (ko)
JP (1) JP4003713B2 (ko)
KR (1) KR20060036892A (ko)
CN (1) CN100356782C (ko)
TW (1) TWI264681B (ko)
WO (1) WO20050159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603B1 (ko) * 2007-01-25 2010-02-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움직임 추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9087B2 (ja) * 2003-11-14 2008-02-20 ソニー株式会社 動き・静止の判定装置および判定方法、並びに画像信号の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US7990471B1 (en) * 2005-10-17 2011-08-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rlaced-to-progressive video
JP4843367B2 (ja) * 2006-04-28 2011-12-21 株式会社東芝 Y/c分離回路
US7973858B2 (en) * 2006-10-23 2011-07-05 Lsi Corporation Reduced memory and bandwidth motion adaptive video deinterlacing
GB2444530A (en) * 2006-12-06 2008-06-11 Sony Uk Ltd Motion adaptive image processing by comparing inter-field pixel difference with intra-field pixel variability
JP2008182476A (ja) * 2007-01-24 2008-08-07 Canon Inc 変化予測値算出装置及びip変換処理装置
KR101390173B1 (ko) * 2007-07-25 201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
JP5219609B2 (ja) * 2008-05-01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レームレート変換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19608B2 (ja) 2008-05-01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レームレート変換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64197B2 (ja) * 2008-07-18 2012-06-27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US20150002624A1 (en) * 2012-01-20 2015-01-01 Panasonic Corporation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JP6117484B2 (ja) * 2012-06-21 2017-04-19 株式会社朋栄 クリップ処理によるip変換の映像処理方法と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映像処理装置
US8681270B2 (en) * 2012-07-25 2014-03-25 Vixs Systems, Inc. Motion adaptive deinterlac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9392213B1 (en) 2015-07-30 2016-07-12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Recursive motion video de-interlacing device
KR20210013492A (ko) * 2019-07-26 2021-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9451A (en) * 1994-04-14 1996-05-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tion adaptive scan-rate conversion using directional edge interpolation
US5886745A (en) * 1994-12-09 1999-03-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gressive scanning conversion apparatus
JP3347234B2 (ja) * 1995-02-21 2002-11-2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5864368A (en) * 1995-02-28 1999-01-26 Sony Corporation Picture signal editing and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signal recording medium and picture signal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5631706A (en) * 1995-06-07 1997-05-20 Mitsubishi Consumer Electronics America, Inc. Converter and method for converting video signals of interlace format to video signals of progressive format
FR2742900B1 (fr) * 1995-12-22 1998-02-13 Thomson Multimedia Sa Procede d'interpolation de trames progressives
KR0183149B1 (ko) * 1995-12-30 1999-05-01 김광호 동화상 검출방법
CN1096185C (zh) * 1996-01-27 2002-12-11 三星电子株式会社 使用运动和空间相关的隔行向逐行转换装置和方法
JPH11266440A (ja) * 1998-03-17 1999-09-28 Hitachi Ltd 画像信号の走査変換回路及び画像復号化装置
JP3365333B2 (ja) * 1999-03-03 2003-01-08 日本電気株式会社 解像度変換装置
US6556193B1 (en) * 1999-04-02 2003-04-29 Teralogic, Inc. De-interlacing video images using patch-based processing
JP3998399B2 (ja) * 1999-12-03 2007-10-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信号変換装置
JP3815166B2 (ja) * 2000-02-07 2006-08-3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動き検出回路
JP4412435B2 (ja) * 2000-04-13 2010-02-10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フィールド補間方法
JP2001339694A (ja) * 2000-05-29 2001-12-07 Sony Corp 画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2185933A (ja) * 2000-12-13 2002-06-28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7095445B2 (en) * 2000-12-20 2006-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etecting motion in an interlaced video sequence based on logical operation on linearly scaled motion information and motion detection apparatus
KR100902315B1 (ko) * 2002-07-25 2009-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인터레이싱장치 및 방법
US7362385B2 (en) * 2002-10-08 2008-04-22 Sony Corporation Image conversion device image conversion method and image projection device
KR20040061244A (ko) * 2002-12-30 200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인터레이싱 방법 및 그 장치
JP4220284B2 (ja) * 2003-03-28 2009-02-04 株式会社東芝 フレーム補間方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603B1 (ko) * 2007-01-25 2010-02-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움직임 추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64681B (en) 2006-10-21
EP1653740A4 (en) 2006-07-26
TW200519769A (en) 2005-06-16
JP4003713B2 (ja) 2007-11-07
CN1701609A (zh) 2005-11-23
EP1653740A1 (en) 2006-05-03
CN100356782C (zh) 2007-12-19
US20060152620A1 (en) 2006-07-13
WO2005015908A1 (ja) 2005-02-17
JP2005057616A (ja) 200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36892A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US8224126B2 (en) Motion compensated temporal interpolation for frame rate conversion of video signals
KR100450808B1 (ko) 정지 판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주사선 보간 장치
US8497937B2 (en) Converting device and converting method of video signals
US761282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EP1646228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026298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US20080259207A1 (en) Motion Compensated De-Interlacing with Film Mode Adaptation
US73194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otion information
US7430014B2 (en) De-interlacing device capable of de-interlacing video fields adaptively according to motion ratio and associated method
JP4936857B2 (ja) プルダウン信号検出装置、プルダウン信号検出方法及び順次走査変換装置
JP4433949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KR100692597B1 (ko) 필드 선택이 가능한 영상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4207705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1094951A (ja) 走査線補間方法
JP4551343B2 (ja)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TWI394457B (zh) 文字保護裝置及動態適應性去交錯裝置
KR100628190B1 (ko) 영상 데이터의 칼라 포맷 변환 방법
US8294818B2 (en) De-interlacing method and controller thereof
KR100272583B1 (ko) 스캔컨버터회로
KR20230083519A (ko) 지능형 컬러 영상 복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인터레이싱 방법
JP2006140572A (ja) 画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画像信号処理方法
JP2005191619A (ja) 走査線変換装置
JPH07284071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回路及びこれを使用した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