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6404A - 데이터 매체를 이송하는 이송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크형데이터 매체의 주사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매체를 이송하는 이송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크형데이터 매체의 주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6404A
KR20060036404A KR1020057025161A KR20057025161A KR20060036404A KR 20060036404 A KR20060036404 A KR 20060036404A KR 1020057025161 A KR1020057025161 A KR 1020057025161A KR 20057025161 A KR20057025161 A KR 20057025161A KR 20060036404 A KR20060036404 A KR 20060036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arrier
scanning
data medium
conveying system
inj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카엘 지루섹
호펭 코
고티프리드 핵
프리드리히 라스텔리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60036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데이터 매체를 이송하는 이송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 주사장치가 제공된다. 데이터 매체(2)를 위한 수납부를 갖는 선회가능한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를 구비한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2)를 주사하는 장치(1)의 경우에는, 적재 위치와, 데이터 매체(2)가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 상에 배치되어 주사되는 주사 위치 사이에서 데이터 매체(2)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정가능하게 유지된 이송시스템(5)과, 레버(9) 또는 활주 블록들(17, 18) 등의 안내장치를 갖는 장치(1)의 설계 높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활주 동작과 스위블 동작의 결함 동작을 사용하여, 적재 위치와 이 적재 위치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하는 주사 위치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매체(2)가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주사장치, 데이터 매체, 이송 시스템,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 활주 동작, 스위블 동작

Description

데이터 매체를 이송하는 이송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의 주사방법{DEVICE FOR SCANNING A DISC-SHAPED DATA CARRIER, COMPRISING A TRANSPORT SYSTEM FOR TRANSPORTING THE DATA CARRIER}
본 발명은, 데이터 매체를 위한 수납부를 갖는 선회가능한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와, 재치 위치(inlay position)와, 데이터 매체가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 상에 놓여 주사되는 주사 위치 사이에서 데이터 매체를 이송하기 위해 적재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 조정가능한 이송 시스템을 구비한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 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장치들은, 디스크가 데이터 CD인지 오디오 CD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또한 데이터 매체가 판독 전용인지 또는 기록가능한 것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콤팩트 디스크(CD)를 위한 일반적인 드라이브를 구비한다. 더구나, 이와 같은 장치는, 다량의 데이터를 저장, 특히 영화를 저장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더 새로운 DVD도 포함한다.
종래의 CD 또는 DVD 드라이브는, 일반적으로, 이송 시스템으로서, 데이터 매체의 이송을 위해 설계되고 데이터 매체가 재치 위치로부터 주사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적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주사 위치에서는 데이터 매체가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디스크 플레이트) 위에 놓여 주사, 즉 재생 및 기록된 다. 이때, 데이터 매체는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를 통해 미끄러지고, 그후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를 가는 데이터 매체를 낮춤으로써, 데이터 매체가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에 연결되거나 안착되므로, 데이터 매체는, 그것의 재치 위치에서, 보통 주사 위치에서보다 높은 높이에 놓인다. 이와 달리,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와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 구동부는 주사 위치에서 데이터 매체의 높이까지 상승된다. 그러나, 후자의 해결책에 대한 장치 관련 비용은 매우 높다.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의 방향으로 수평 활주 운동을 따라, 적재부가 데이터 매체와 함께 하강하는, 더욱 더 빈번하게 사용되는 전술한 방법에서는, 이와 같은 CD 드라이브를 갖는 장치의 설계 높이가 비교적 크거나 높다. 또한, 이것은, 광학적인 이유로 인해, 이와 같은 장치의 수직 중앙부에, 적재부가 이동할 때 통과하는 삽입 개구가 일반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전체 높이가 더 증가된다는 사실에 의해 타협이 이루어진다.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에 대한 이와 같은 재생 및 기록장치는 장치의 측면 베벨들의 영역에 공간효율적으로 설치될 수 없으므로, 현재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과 같이, 이들 장치가 이 측면 베벨들을 갖는 DVD 플레이어 등의 특별히 설계된 장치 내부에 일체화되기에는 부적합하기는 하지만, 적재부가 재생 및 기록장치의 상부에 배치된 이와 같은 재생 및 기록장치는 더 낮은 설계 높이를 갖고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형태를 갖는 드라이브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US 5 067 121 A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드라이브에서는, 활주 동작에 의해 적재부 또는 이송 시스템이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를 재치 위치로부터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 위의 위치로 반송한다. 그후, 데이터 매체가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 상에 주사 위치로 하강하도록 적재부가 스위블(swivel) 작용에 의해 조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의 높이가 재치 위치의 높이 아래에 놓이는데, 이것은 데이터 매체가 수평 활주 동작에 의해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 위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해결책은 비교적 큰 설계 높이 또는 적재부에 대한 삽입 개구의 비대칭적 배치를 제공하여, 광학 설계 이유로 인해 궁극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완벽을 위해, 특히 차량의 CD 플레이어에 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 특히 오디오 CD에 대한 재생장치도 참조하는데, 이 재생장치는 조정가능하게 지지된 이송 시스템을 갖지 않도록 설계되고, 고무를 입힌 로울러들의 도움으로 데이터 매체를 파지하고, 그후 이 데이터 매체를 이들 로울러의 도움으로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에 제공한다. 이와 같은 재생장치에 대한 부품들과 관련한 상당히 더 높은 비용 이외에, 이들 로울러의 구름 동작은 재생되고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매체의 표면에 유익하지 않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 시스템에 대한 삽입 개구가 장치의 수직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가능한한 낮은 설계 높이를 갖는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 주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표준장치에서 데이터 매체를 구동하는데 사용가능해야 한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가능한한 단순하게, 튼튼하게, 그리고 비용 효율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전술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즉,
데이터 매체를 위한 수납부를 갖는 선회가능한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와, 재치 위치와, 데이터 매체가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 상에 놓여 주사되는 주사 위치 사이에서 데이터 매체를 이송하기 위해 적재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 조정가능하게 지지된 이송 시스템과, 상기 재치 위치와, 재치 위치보다 더 높은 높이에 위치한 주사 위치 사이에서 활주 및 스위블 동작의 결합 동작에 의해 데이터 매체가 조정될 수 있도록 설계된 안내수단을 구비한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 주사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디스크 형태의 데이터 매체가 그것의 재치 위치와 주사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동안, 이 데이터 매체가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 위로 상승되도록 하며, 이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는, 최신기술에 따른 기존의 구성과 달리, 재치 위치의 높이보다 위에 놓인다. 이와 같은 배치는 더 낮은 설계 높이를 제공하며, 한편으로 이것은 DVD 플레이어들과 레코더들과 같은 장치의 설계에 있어서 더 큰 자유를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이송 시스템이, 상기 재치 위치와 주사 위치 사이에서의 변위 중에 활주 동작만을 수행하는 주 부품과, 상기 주 부품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데이터 매체를 지지하며, 재치 위치와 주사 위치 사이에서의 데이터 매체의 이동 중에, 상기 주 부품에 대해 활주 동작과 스위블 동작 모두를 수행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경우에,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함께 이동하는 2개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에 대한 이송 시스템의 이와 같은 구조는, 데이터 매체의 스위블 동작과 활주 동작의 결합 동작이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재치 위치와 주사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 중에 간 단한 수단에 의해 데이터 매체가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 위로 상승될 수 있으며, 그후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 상의 주사 위치로 하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주 부품과 트레이는 안내부재들을 따라 활주하는 2개의 활주 블록들을 통해 연결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짧은 구조를 갖게 설계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것은 낮은 설치 깊이 면에서 유리하다. 주 부품이 재치 위치와 주사 위치 사이의 전체 거리를 이동할 필요가 없으며, 이것보다는 재치 위치와 주사 위치 사이에서의 데이터 매체의 변위가 2단계 활주 운동의 형태, 즉 첫째로 주 부품의 활주 운동과, 그후의 트레이의 활주 운동의 형태를 취한다는 사실로 인해, 구조적으로 짧은 설계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서는, 활주 블록들이 트레이의 일부 또는 이 트레이에 연결된 부재의 일부를 지지하기 위해 연결 가이드를 형성하는 슬롯을 가져, 주 부품에 대한 활주 블록들의 이동 중에 삽입재가 강제로 스위블 동작을 일으키게 한다. 활주 블록들 내부의 이와 같은 한 개의 연결 가이드는, 스위블 동작을 활주 동작에 연결하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수단이다. 이송 시스템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구동수단이 존재하는 것은 물론이다.
이송 시스템을 그것의 적재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구동시키거나 변위시킬 목적으로 이송 시스템의 적어도 일면에 설치되는 구동수단이 존재한다. 이들 구동수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케이블 당김수단의 형태로 설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송 시스템을 구동할 목적으로 이송 시스템의 각 측면에 설 치된 구동수단이 존재한다. 구동수단의 이와 같은 대칭 형성으로, 이송 시스템을 그것의 적재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구동하는 동안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형태의 드라이브가 오동작이 일어나기 어렵게 한다.
이송 시스템에 대해 양면에 위치하는 구동수단은 공유하는 모터와 매우 유리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첫째, 단지 1개의 모터가 필요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하며, 둘째, 2개의 전동 모터를 위한 공간이 설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을 절약한다.
구동수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기어 구동 시스템과 벨트 구동 시스템이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부는, 적재 위치에서의 이송 시스템에 미치는 동적 효과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이 검출수단은 이송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에 연결된다.
검출수단은 적절한 센서들의 형태 또는 적절한 기구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적재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의 방향으로 이송 시스템에 약간의 기계적인 힘이 가해질 때, 검출수단은 적재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송 시스템의 변위를 통해 재치 위치로부터 주사 위치로의 데이터 매체의 자동으로 구동된 이송을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확립된 기능은 '접촉 폐쇄(touch to close)'라는 용어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특히 유리하다.
또한, 주사 위치에 위치하는 데이터 매체를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에 가압하는 가압장치가 존재하며, 이 가압장치가 상기한 활주 블록들에 연결되는 경우에 유 리하다. 그 결과, 활주 블록들이 변위될 때, 가압장치가 변위되며, 이 가압장치는 일반적으로 가압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데이터 매체와 함께 회전하는 부재에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위치에서 이송장치를 잠금으로써, 주사중에, 즉 데이터 매체의 재생 또는 기록중에 이송 시스템의 부주의한 변위를 방지하는 잠금부재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잠금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리셋 스프링과 결합된, 기계적으로 구동되는 레버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레버는 활주 블록들의 이동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전송 시스템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주사하기 위해 장치의 수직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국면과 또 다른 국면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더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도면에서,
도 1a 내지 도 1i는 데이터 매체용의 이송 시스템을 갖는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를 주사하는 장치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 이송 시스템은 이송 시스템의 적재 위치와 이송 시스템의 작동 위치 사이의 다양한 위치에서 도 1a 내지 도 1i에 예시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e는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를 주사하는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전송 시스템이 적재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의 다양한 위치에서 예시되 어 있다.
도 3은 도 2a 내지 도 2e에 따른 데이터 매체 주사장치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에는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2)를 주사, 즉 재생 및 기록하는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1)는 하우징(3) 내부에 수납되며, 이송 시스템(5)과 재생부를 구비하고, 이 재생부로부터 단지 한 개의 선회가능한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가 보인다.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송 시스템(5)은 적재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조정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이송 시스템(5)은 이송 시스템(5)의 변위 중에 수평 활주 동작만을 수행하는 주 부품(6)을 구비한다. 더구나, 데이터 매체(2)를 지지하는 삽입재(7)가 존재하는데, 이 삽입재(7)는 주 부품(6) 상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주 부품(6)은 하우징 (3) 내부의 적재 개구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2)는 오디오 CD의 형태를 취한다. 이때, 데이터 매체(2)는 CD-ROM 또는 DVD 등의 다른 형태의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송 시스템(5)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매체(2)가 그것의 적재 위치에서 이송 시스템 내부에 삽입되거나 삽입될 수 있어 이송 시스템(7)의 트레이(7) 상에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는 재치 위치와, 데이터 매체(2)가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 상에 주사되기 위해 배치되고 이송 시스템(5)이 작동 위치에 존재하는 주사 위치(도 1i 참조) 사이에서 데이터 매체(2)가 이동할 수 있다.
이 장치(1)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재치 위치에 놓인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2)가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한다. 그 결과, 데이터 매체(2)가 그것의 재치 위치와 주사 위치에서 움직일 때에는, 도 1b 내지 도 1i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데이터 매체(2)가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 위로 상승되어야 한다. 벨트 구동장치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으며, 이송 시스템을 그것의 적재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또는 역으로 움직이는 구동장치(8)가 존재한다. 이송 시스템 상에서의 삽입재(7)의 활주 및 스위블의 결합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삽입재(7)가 체결부재(9)를 통해 주 부품(6) 또는 구동장치(8)에 연결된다. 도 1a 내지 도 1i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체결부재(9)가 레버형 부재의 형태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들도 가능한데, 이들 실시예들은 도 2a 내지 도 2e에서 이하에서 더욱 더 상세히 조사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와, 이송 시스템(5)을 구동하는 구동장치(8)는 프레임(10)에 고정되며, 이 프레임은 하우징(3) 내부에 배치된다. 도 1a에 도시된 적재 위치에서 시작하여, 삽입재(7)를 갖는 주 부품(6)과 삽입재 내부에 수납된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2)가 먼저 데이터 매체(2)가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의 바로 앞에 안착될 때까지 수평으로 이동한 후, 도 1c 내지 도 1f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2)를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의 높이 위로 상승시키기 위해, 삽입재(7)가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위블 동작을 개시한다. 도 1f에 도시된 상태의 경우에는, 이송 시스템(5)의 주 부품(6)이 말단 위치에 도달하며, 이 말단 위치에서는 적재 개구가 주 부품(6)에 의해 편평하게 덮인다. 그후,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가 내부에 수납되거나 상부에 수납된 삽입재(7)가 체결 부재(9)를 통해 더 이동하며, 이송 시스템(5)의 주 부품(6)에서 분리된 체결부재(9)는 도 1g 내지 도 1i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평 운동을 수행한다.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2)를 갖는 삽입재(7)가 도 1h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 위에 놓이자마자. 삽입재(7)가 체결부재(9)를 통해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를 향해 스위블 운동하여, 삽입재(7)가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를 향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2)가 도 1i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 상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위치는, 데이터 매체(2)가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 상에 안착되어 주사되고,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에 토오크가 발생하기 않게 연결되는 주사 위치에 해당한다. 도 1i에 도시된 것과 같은 주사 위치로부터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재치 위치로 데이터 매체(2)를 다시 이동시키는 것은, 도 1a 내지 도 1i에 근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재치 위치로부터 주사 위치로의 이동에 대한 것과 반대의 순서로 일어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본 도면에는 미도시)를 주사(재생 및 기록)하는 장치(1)의 일 실시예를 사시도로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것으로, 이송 시스템(5)은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적재 위치와 도 2e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작동 위치 사이의 다양한 위치를 채용한다. 이 장치(1)는 프레임(10)과 이송 시스템(5)을 구비하며, 이 이송 시스템(5)은 주 부품(6)과 삽입재(7)를 구비하며, 이 삽입재(7)는 데이터 매체(2)를 지지하기 위해 주 부품(6)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송 시스템(5)은 그것의 안내부재들(11, 12)을 따라 활주하며, 바람직하게는 이송 시스템(5)의 양측에는, 즉 양쪽 안내부재(11, 12)에는 이송 시스템(5)을 구동 또는 변위시키는 구동장치가 존재한다. 이 경우에, 이와 같은 구동장치는,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톱니가 형성된 휠(13)과 이송 시스템(5)의 주 부품(6) 상의 랙 및 피니언(14)을 갖는 기어 구동장치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톱니가 형성된 휠들(13)이 공유 전동모터(15)에 의해 구동된다. 원칙적으로, 벨트 구동장치 등의 기존에 존재하는 다른 구조의 구동장치들도 물론 사용가능하다. 이송 시스템(5) 위에는, 가압 플레이트(16)(클램프)의 형태를 갖는 가압장치가 존재하며, 이 가압 플레이트(16)는 주사 위치에서(도 2e 참조) 데이터 매체(2)를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미도시) 상에 가압한다. 이와 같은 가압 플레이트(16)는 도 2a에 도시된 적재 위치에서는 이송 시스템(5)에서 떨어져 상승되어 배치되고, 디스크 형태의 데이터 매체가 그것의 주사 위치로 하강되기 직전에 데이터 매체(2) 상에 하강한다(도 2e 참조). 적재 위치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크 형태의 데이터 매체(2)가 손으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이송 시스템(5)의 삽입재(7) 내부의 지정된 홈에 배치된다. 그후, 장치 상의 지정된 제어 부재를 누르거나, 이러한 목적으로 설치된 원격제어 장치 상의 지정된 제어부재를 누르거나, 또는 이송 시스템(5)에 대해 장치(1)의 프레임(10)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작동 순서가 개시되는데, 이 작동 순서는 이송 시스템(5)의 수평 이동으로 개시된다. 이것을 도 2b에 나타내었는데, 이때에는 우측 안내부재(11)를 도시하지 않음으로써 활주 블록(17)이 보이게 만들었으며, 이 활주 블록(17)을 통해 이송 시스템(5) 상의 주 부품(6)과 삽입재(7)가 서로 연결된다. 장치(1)의 좌측에 있는 안내부재(12)에 배치된 또 다른 동일하게 구성된 활주 블록(18)이 존재한다. 데이터 매체(2)가 데이터 매체 플 레이트(4)(미도시) 바로 앞에서 정지하자마자, 삽입재(7)가 강제로 활주 블록 17 내부의 슬롯(19)을 통해 또는 활주 블록(18) 내부의 슬롯(20)을 통해 스위블되며, 이 슬롯들(19, 20) 내부에는 볼트(21) 등의 변위부가 돌출한다(도 2c 참조). 도 2c에 도시된 위치에서는, 이송 시스템(5)의 주 부품(6)이 그것의 말단 위치에 도달하고, 장치(1) 내부에서의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2)를 포함하는 삽입재(7)의 연속적인 이동이 활주 블록들(17, 18)에 의해 발생하며, 이때 주 부품(6)으로부터 분리된 활주 블록들(17, 18)은 수평 이동을 행한다. 삽입재(7)와 이에 따른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2)의 스위블 동작이 활주 블록들(17, 18), 또는 안내부재들(11, 12) 상의 삽입재(7) 위의 지정된 연결 가이드의 도움으로 달성된다. 도 2d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삽입재(7)가 그것의 말단 위치에 도달하고,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2)가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에 안착된다. 최종적으로, 가압 플레이트(16)가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데이터 매체(2) 상에 하강하는데, 이것은 활주 블록들(17, 18)과 안내부재들(11, 12) 내부의 대응하는 슬롯들(22, 23)을 사용하여 발생된다. 도 2e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작동 위치로부터,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적재 위치로 다시 이동하는 것은, 적재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에 근거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반대의 순서로 일어난다.
도 3은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장치(1)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중요한 부분들만을 도시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에 따르면, 안내부재들(11, 12)이 프레임(10)에 고정된다. 주 부품(6)과 트레이(7)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5)이 활주부재들(11, 12)을 따라 활주한다. 주 부품(6)과 트레이 (7) 사이의 연결은 안내부재들(11, 12)과 활주 블록들(17, 18)을 통해 일어난다. 이송 시스템(5)의 주 부품(6) 상의 톱니가 형성된 휠들(13)과 랙 및 피니언(14)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구동장치의 도움으로, 이송 시스템(5)이 적재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그리도 역으로 이동하거나,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2)가 재치 위치로부터 주사 위치로 그리고 역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은 이동 또는 이송은 공유 모터(15)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데이터 매체(2)의 이동이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 상에서도 일어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는, 주사 위치에서, 가압 플레이트(16)의 도움으로,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에 대해서도 가압된다.
이때, 도 2a 내지 도 2e와 도 3에 예시된 구성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이송 시스템(5) 또는 이송 시스템(5) 상의 트레이(7)의 활주 및 스위블 동작의 결합 동작은, 다른 기구의 도움으로, 예를 들어, 레버 기구를 사용하거나, 안내 슬롯들을 따라 활주하는 안내 로울러들 또는 안내 핀들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이송 시스템(5)은 1개보다 많은 수의 디스크형 기록매체, 예를 들면 세 개(3개)의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를 지지하여 이송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으며, 이때 한번에 단지 1개의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가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 상의 주사위치에 삽입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하고자 한다.

Claims (14)

  1. 데이터 매체(2)를 위한 수납부를 갖는 선회가능한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와, 재치 위치와, 데이터 매체(2)가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 상에 놓여 주사되는 주사 위치 사이에서 데이터 매체(2)를 이송하기 위해 적재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 조정가능하게 지지된 이송 시스템(5)과, 상기 재치 위치와, 주사 위치가 재치 위치보다 더 높은 높이에 위치한 위치 사이에서 활주 및 스위블 동작의 결합 동작에 의해 데이터 매체(2)가 변위될 수 있도록 설계된 안내수단(9)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데이터 매체(2)의 주사장치(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시스템(5)은, 상기 재치 위치와 주사 위치 사이에서의 변위 중에 활주 동작만을 수행하는 주 부품(6)과, 상기 주 부품(6)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데이터 매체(2)를 지지하며, 재치 위치와 주사 위치 사이에서의 데이터 매체(2)의 이동 중에, 상기 주 부품(6)에 대해 활주 동작과 스위블 동작 모두를 수행하는 트레이(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1).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 부품(6)과 트레이(7)는 안내부재들(11, 12)을 따라 활주하는 2개의 활주 블록들(17, 18)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1).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블록들(17, 18)이 트레이(7)의 일부(21)를 지지하기 위해 연결 가이드를 형성하는 슬롯(19) 등을 가져, 상기 주 부품(6)에 대한 활주 블록들(17, 18)의 이동 중에 트레이(7)가 강제로 스위블 동작을 일으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1).
  5. 제 1항에 있어서,
    기록매체(2)를 적재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구동시킬 목적으로 이송 시스템(5)의 적어도 일면에 설치되는 구동수단(8)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1).
  6. 제 5항에 있어서,
    이송 시스템(5)을 구동시킬 목적으로 이송 시스템(5)의 양면에 설치되는 구동수단(8)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1).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8)은 이송 시스템(5)의 양면에 연결되고, 공유 모터(15)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1).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8)은 기어 구동장치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1).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8)은 벨트 구동장치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1).
  10. 제 5항에 있어서,
    적재 위치에서의 이송 시스템(5)에 미치는 동적 효과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며, 이 검출수단은 이송 시스템(5)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8)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1).
  11. 제 3항에 있어서,
    주사 위치에 위치하는 데이터 매체(2)를 데이터 매체 플레이트(4)에 가압하는 가압장치(16)가 존재하며, 이 가압장치(16)가 상기 활주 블록들(17, 18)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1).
  12. 제 1항에 있어서,
    말단 작동 위치에서 이송장치를 잠그는 잠금부재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1).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시스템(5)은 기본적으로 상기 주사장치(1)의 수직 중앙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1).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시스템(5)은, 상기 재치 위치와 주사 위치 사이에서의 데이터 매체(2)의 변위 중에 활주 동작만을 수행하는 주 부품(6)과, 트레이(7)를 구비하고, 상기 트 레이(7)에 체결부재(9)가 체결되며, 상기 재치 위치와 주사 위치 사이에서의 데이터 매체(2)의 변위 중에 상기 체결부재(9)를 사용하여 스위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장치(1).
KR1020057025161A 2003-06-30 2004-06-28 데이터 매체를 이송하는 이송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크형데이터 매체의 주사방법 KR200600364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101944 2003-06-30
EP03101944.1 2003-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404A true KR20060036404A (ko) 2006-04-28

Family

ID=3354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161A KR20060036404A (ko) 2003-06-30 2004-06-28 데이터 매체를 이송하는 이송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크형데이터 매체의 주사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67033B2 (ko)
EP (1) EP1642281A1 (ko)
JP (1) JP2007519129A (ko)
KR (1) KR20060036404A (ko)
CN (1) CN100423108C (ko)
WO (1) WO200500182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302131A (nl) * 1983-06-15 1985-01-02 Philips Nv Platenspeler met een laadmechanisme voor het laden van een plaat.
DE3474481D1 (en) * 1983-06-15 1988-11-10 Philips Nv Disc-record player comprising a disc-loading mechanism and disc holder for use in such a player
NL8302129A (nl) * 1983-06-15 1985-01-02 Philips Nv Platenspeler met een laadmechanisme voor het laden van een plaat.
BE897325A (nl) * 1983-07-19 1983-11-14 Staar Sa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pour disques dans un appareil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JPS63140450A (ja) * 1986-12-03 1988-06-13 Asahi Optical Co Ltd デイスクプレ−ヤ−のデイスクセツト機構
JPS63298756A (ja) * 1987-05-28 1988-12-06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クプレ−ヤ
NL8702604A (nl) 1987-11-02 1989-06-01 Philips Nv Platenspeler met een laadinrichting voor het laden van een op een plaatdrager aanwezige plaat.
JP2882321B2 (ja) * 1995-09-20 1999-04-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US6021104A (en) * 1996-04-12 2000-02-01 Sony Corporation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6683837B1 (en) * 1996-07-23 2004-01-27 Gateway, Inc. Break-away disc tray
KR100230270B1 (ko) 1996-12-31 1999-11-15 윤종용 디스크플레이어
CA2232078C (en) * 1997-03-14 2004-05-25 Sanyo Electric Co., Ltd. Disk playback device
JPH11213513A (ja) * 1998-01-26 1999-08-06 Teac Corp 記録媒体装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42281A1 (en) 2006-04-05
CN100423108C (zh) 2008-10-01
WO2005001828A1 (en) 2005-01-06
CN1816862A (zh) 2006-08-09
US7367033B2 (en) 2008-04-29
JP2007519129A (ja) 2007-07-12
US20060184952A1 (en) 200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04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n optical disc with a caddy having a cover
US5812510A (en) Disc player with a gear mechanism in which a disc tray and a disc clamping device are linked in gear by a gear group
EP1760711A1 (en) Optical disk drive
KR20060036404A (ko) 데이터 매체를 이송하는 이송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크형데이터 매체의 주사방법
WO2002041314A1 (fr)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ou de lecture de disque
JP3913506B2 (ja) トレイを出没可能に具えた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
KR880003311A (ko) 상이한 직경의 디스크의 겸용 재생장치
KR100243052B1 (ko) 광 디스크 장치
KR970023148A (ko)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KR970023158A (ko)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JPS6319956Y2 (ko)
KR100300620B1 (ko) 기록매체반송기구
JPH0627020Y2 (ja) デイスクプレ−ヤ
JP2658053B2 (ja) デイスクプレーヤ
KR100268260B1 (ko) 광디스크의로딩및언로딩장치
JP2751871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KR970000914B1 (ko) 카형 멀티 씨디 플레이어
JP3604234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
JP2538496Y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2658054B2 (ja) デイスクプレーヤ
JP2627140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3607797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
KR20060013594A (ko) 이송롤러 위치절환 장치 및 그것을 갖는 디스크 플레이어
KR0114573Y1 (ko)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의디스크 이송장치
KR100300606B1 (ko) 박형의 디스크 로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