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6023A -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6023A
KR20060036023A KR1020040085132A KR20040085132A KR20060036023A KR 20060036023 A KR20060036023 A KR 20060036023A KR 1020040085132 A KR1020040085132 A KR 1020040085132A KR 20040085132 A KR20040085132 A KR 20040085132A KR 20060036023 A KR20060036023 A KR 20060036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recording
data
opc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7766B1 (ko
Inventor
황욱연
이경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5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766B1/ko
Priority to US11/244,053 priority patent/US7974175B2/en
Priority to SG2012017000A priority patent/SG179460A1/en
Priority to CN201010128702XA priority patent/CN101800055B/zh
Priority to DE602005020171T priority patent/DE602005020171D1/de
Priority to PCT/KR2005/003371 priority patent/WO2006080746A1/en
Priority to CN2010101287138A priority patent/CN101872623B/zh
Priority to CA2584623A priority patent/CA2584623C/en
Priority to BRPI0517014-1A priority patent/BRPI0517014A/pt
Priority to EP05856516A priority patent/EP1803119B1/en
Priority to CN2005800359691A priority patent/CN101044558B/zh
Priority to JP2007537796A priority patent/JP4864002B2/ja
Priority to AT05856516T priority patent/ATE462181T1/de
Priority to SG200808805-6A priority patent/SG148209A1/en
Priority to RU2007115052/28A priority patent/RU2359344C2/ru
Priority to TW094135486A priority patent/TWI316710B/zh
Priority to MYPI20054953A priority patent/MY142151A/en
Publication of KR20060036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766B1/ko
Priority to HK08102141.6A priority patent/HK1108213A1/xx
Priority to US12/705,848 priority patent/US8199630B2/en
Priority to US12/706,242 priority patent/US8208355B2/en
Priority to JP2010036727A priority patent/JP4739456B2/ja
Priority to JP2010036726A priority patent/JP4864148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16Tes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7Power calib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9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 G11B2007/001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for carriers having multiple discrete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middle zone or outer guard area of a multilayer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75Calibration data, e.g. specific training patterns for adjusting equalizer settings or other recording or playback parame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3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has a specific layer structure
    • G11B2220/235Multilayer discs, i.e. multiple recording layers accessed from the same si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저장 매체는, 외주에 최적 기록 조건을 찾기 위한 OPC 영역이 마련되며, 매체의 최종화시에 미들 영역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층 정보 저장 매체의 기록 방법에서, 특히 외주에 최적 기록 조건(기록 파워등)을 찾기 위한 OPC(Optimum Power Control) 영역이 할당된 디스크에서 디스크 최종화(disc finalization)시 불충분한 미들 영역의 확보 및 그 기록 방법에 의해 L1의 기록 특성에 따라 L2 특성이 다른 점에 의해 사전 L1에 기록된 영역이 여러 가지로 가능한 모든 디스크 레이아웃(disc layout)에 대해 미들 영역(Middle area)의 확보 및 그 기록 방법을 도출하여, 보다 호환성있는 기록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Information storage mediu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재기록이 가능한 광 디스크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재생 전용 광 디스크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기록층 L2에 조사되는 광의 영향을 받는 기록층 L1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 는 도면,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라 디스크의 최종화시 미들영역을 확장하는 구조의 제1예,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라 디스크의 최종화시 미들영역을 확장하는 구조의 제2예,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라 디스크의 최종화시 미들영역을 확장하는 구조의 제3예,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라 디스크의 최종화시 미들영역을 확장하는 구조의 제4예,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본 발명은 정보 저장 매체의 기록 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외주에 최적 기록 조건(기록 파워등)을 찾기 위한 OPC(Optimum Power Control) 영역 및 디스크 최종화를 수행할 미들 영역이 할당된 디스크에서 디스크 최종화시 미들 영역의 확보 및 그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광 디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 디스크의 최종화시 미들 영역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광 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디스크는 비 접촉식으로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광 픽업 장치의 정보 저장 매체로 널리 채용되며, 정보 기록 용량에 따라 컴택트 디스크(CD;compact disk),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digital versitile disk)로 구분된다. 그리고, 정보의 기록, 소거 및 재생이 가능한 광 디스크로서, 650MB CD-R, CD-RW, 4.7GB DVD+R/RW, DVD-RAM(random access memory), DVD-R/RW(rewritable) 등이 있으며, 재생 전용 디스크로 650MB CD, 4.7GB DVD-ROM 등이 있다. 더 나아가, 기록 용량이 15GB 이상인 차세대 DVD도 개발중에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재기록이 가능한 광 디스크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재생 전용 광 디스크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에 도시된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의 lead-out 영역의 구조는 lead-in 영역의 구조와 거의 동일하다.
도 1a에 도시한 재기록이 가능한 광 디스크의 경우 리드-인 영역에 최적 파워 제어(OPC: Optimum Power Control)를 위한 테스트 존이 할당된다. 그러나 재생 전용 디스크인 경우에는 이러한 테스트 존이 필요하지 않다. 최적 파워 제어(OPC: Optimum Power Control)란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재기록 가능 광 디스크에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전에 미리 다양한 기록 파워로 데이터를 테스트 존에 기록해봄으로써 사용자 데이터 기록을 위한 최적 기록 파워를 결정하는 것을 말 한다.
그러나 종래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에는 고정된 위치에 고정된 사이즈의 OPC를 위한 테스트 존이 할당될 뿐이어서 필요에 따라 테스트 존을 추가로 할당하거나 테스트 존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광 디스크의 경우, 어느 기록층에 먼저 기록하느냐에 따라 기록 특성이 달라지므로 OPC를 위한 테스트 영역을 광 디스크에 할당할 때 기록 특성을 고려하여 배치해야 한다. 특히 광 디스크의 외주 영역에 테스트 영역을 할당할 경우에는 외주 영역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광 디스크의 경우에는 외주 영역에서의 기록 특성이 단일 기록층을 구비한 광 디스크의 경우보다 더 나쁘므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 나아가 광 디스크의 외주 영역에 테스트 영역 뿐 아니라 기타 다른 목적의 영역을 할당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외주 영역의 특성을 고려해서 할당해야 한다.
또한, 이중기록층 광 디스크의 경우, 픽업에서 가까운 기록층 L1에 기록이 되어 있느냐, 안 되어 있느냐에 따라 기록층 L2의 기록 특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L1, L2의 순서로 기록을 행할 경우, L2에 데이터 기록 시, L1에는 항상 데이터가 기록이 되어 있다. OPC를 위해 L2에 마련된 테스트 존에 테스트용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도 L1에 미리 기록이 되어 있어야 하므로 사전 기록 영역이 L1에 미리 할당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전 기록 영역을 할당한다는 것은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입장에서는 제작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사전 기록 영역을 할당하고 OPC를 위한 테스트 존을 할당할지 여부는 선택적으 로 결정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런 경우, 광 디스크에는 미리 정해진 위치의 OPC 영역과 드라이브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OPC를 위한 테스트 존이 필요하다.
또한, 이중기록층 디스크의 외주 영역에 기록 할 경우, 시간적으로 보다 효율적인 기록을 위해 연결 영역(middle area)의 위치가 단층 디스크에서 정의한 위치와 다를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특히 외주영역에 OPC를 위한 테스트 영역을 할당하기 위한 다양한 layout이 필요하게 된다.
나아가, 광 디스크의 외주 영역에 OPC를 위한 테스트 존 뿐 아니라 기타 다른 목적을 위한 전용 영역을 할당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문제가 있어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기존 시장에 나와있는 Recordable DVD의 경우, 용량이 4.7GB에 해당하는 단층 디스크밖에 없다. 그러나, DVD-ROM인 경우에는 이미 용량이 8.5GB에 해당하는 2층 디스크가 있어, 이와 같은 용량의 디스크를 백업(back-up)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용량의 recordable DVD도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그 기록 특성은 어느층에 먼저 기록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OPC를 하는 경우에도 그 특성을 고려해서 OPC 영역을 배치해야 한다. 특히 픽업에서 가까운 L1 기록층에 기록이 되어 있느냐, 또는 안 되어 있느냐에 따라 L2 의 기록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특히 OPC를 하는 경우, L1 부터 기록을 행할 경우 항상 L2의 기록 시, L1 영역에 기록이 되어 있어야 하므로 OPC 또한 L1에 미리 기록이 되어 있어야 한다. 이럴 경우, 특별한 영역의 L1에 미리 기록이 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별한 영역은 드라이 브 입장에서는 비용 추가 등에 의한 단점으로 받아 들여 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드라이브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기능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런 경우, 디스크 입장에서는 미리 정해진 위치의 OPC 영역과 드라이브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레이아웃이 규격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또한, 외주부에 이층 디스크로 기록 할 경우, 시간적으로 보다 효율적인 기록을 위해 미들 영역이 단층 디스크에서 정의해 놓은 위치와 다를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특히 외주부에서 OPC 영역에 대한 다양한 레이아웃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미들 영역은 픽업이 두 개 이상의 층을 왔다 갔다할 때 이용되는 영역으로, 점프 퍼포먼스를 위해 이러한 미들 영역은 소정의 길이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런 디스크 구조로 기록을 행함에 있어 안정적인 미들 영역의 판단 및 데이터 판독 등의 이유로 디스크 최종화시 미들 영역이 부족하여 미들 영역을 위한 공간이 더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으로부터 안출된 것으로, 다층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 미리 정해진 위치의 OPC 영역과 드라이브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레이아웃이 규격적으로 결정된 경우에 특히 미들 영역의 기록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외주부의 OPC 영역이 할당되는 디스크 구조에서 디스크 최종화시 충분한 미들 영역의 확보 및 그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광 디스크는,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외주에 최적 기록 조건을 찾기 위한 OPC 영역이 마련되며, 매체의 최종화시에 미들 영역이 확장되는 것이다.
상기 미들 영역은 상기 OPC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외주에 최적 기록 조건을 찾기 위한 OPC 영역이 마련된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독출하는 기록/독출부와, 상기 매체의 최종화시에 미들 영역이 불충분한 경우 상기 미들 영역을 확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록/재생 방법에 있어서, 외주에 최적 기록 조건을 찾기 위한 OPC 영역이 마련된 정보 저장 매체의 최종화시에 미들 영역이 불충분한 경우 상기 미들 영역을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광 디스크는 두 개의 기록층 L1 및 L2를 구비한 듀얼레이어 광 디스크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기록층 L1은 제1 데이터 영역과 제1 바깥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바깥 영역은 내주에서 외주 방향으로 제1 연결 영역(middle area), 제1 미사용 영역, 제1 버퍼 영역, 제1 전용영역, 사전 기록 영역 및 제1 미기록 영역을 포함한다. 기록층 L2는 제2 데이터 영역과 제2 바깥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바깥 영역은 내주에서 외주 방향으로 제2 연결 영역(middle area), 제2 전용영역, 제2 버퍼 영역, 제2 미사용영역(unused area), 제3 버퍼 영역, 제3 전용 영역 및 제2 미기록 영역(unrecorded area)을 포함한다.
제1 데이터 영역 및 제2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다. 제1 연결영역 및 제2 연결영역에는 데이터 영역이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소정 패턴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데이터 기록 및/재생 장치는 상기 소정 패턴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판독함으로써 데이터 영역이 아닌 연결 영역임을 인식한다. 한편 상기 소정 패턴의 데이터는 lead-out 속성을 갖는 데이터를 일반적으로 기록한다.
제1 전용영역 내지 제3 전용 영역은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특수한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영역으로서, 예컨대 최적 파워 제어(OPC: Optimum Power Control)를 위한 테스트 영역이다. 그러나 제1 전용영역 내지 제3 전용 영역은 테스트 영역 외 다른 용도의 영역일 수도 있다. 예컨대, 어떤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의해, 언제 기록이 행해졌는지 등을 알 수 있는 정보 등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일 수도 있다.
제1 미사용 영역과 제2 미사용영역은 전혀 사용되지 않는 영역이다. 재기록이 가능한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광 디스크의 경우, 어느 기록층에 먼저 기록하느냐에 따라 기록 특성이 달라진다, 특히 광 디스크의 외주 영역의 기록 특성은 내주 영역의 기록 특성보다 더 나쁘다. 따라서, 제1 전용영역의 위치와 동일한 위 치의 기록층 L2의 영역을 제2 미사용영역으로 지정하여 아무런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전용 영역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기록층 L1의 영역을 제1 미사용영역으로 지정하여 아무런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도록 한다.
제1 버퍼 영역 내지 제3 버퍼 영역은 광 디스크의 편심과 조사되는 광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마련된 영역이다.
도 3은 기록층 L2에 조사되는 광의 영향을 받는 기록층 L1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대물렌즈(300)를 통해 기록층 L2의 특정 위치에 광(400)이 포커싱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y에 해당하는 기록층 L1의 영역이 광(400)의 영향을 받게된다. 제1 버퍼 영역 내지 제3 버퍼 영역은 다른 기록층에 데이터 기록을 위해 조사되는 광의 영향, 광의 사이즈 및 광 디스크의 편심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크기로 할당된다.
사전 기록 영역은 제3 전용 영역을 사용하기 위해 마련된 영역으로서 제3 전용 영역을 사용하기 이전에 다양한 방식에 따라, 그리고 다양한 시점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예컨대, 디스크 제작자에 의해 디스크 제작 시에 사전 기록 영역으로 결정된 위치에 피트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기록하거나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의해 제3 전용 영역을 사용하기 이전에 소정 방식으로 데이터를 사전 기록 영역에 기록할 수도 있다.
제1 미기록 영역 및 제2 미기록 영역은 디스크의 최외주에 위치한 영역으로서 나쁜 기록특성 등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는 영역으로 지정된다. 그러나 제1 미기록 영역 및 제2 미기록 영역을 할당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b에 도시한 광 디스크의 구조도 도 2a에 도시한 광 디스크의 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도 2a에 도시한 광 디스크의 경우, 제3 전용 영역 및 사전 기록 영역의 외주방향 경계가 가변적이고 나머지 다른 영역들의 위치는 고정적이지만, 도 2b에 도시한 광 디스크의 경우, 모든 영역들의 위치가 고정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2a에 도시한 광 디스크의 제3 전용 영역 및 사전 기록 영역의 외주방향 경계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가 로딩된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의해 결정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두 개의 기록층 L1 및 L2를 구비한 듀얼레이어 광 디스크이다.
본 실시예는, 이중 기록층 광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시, 기록할 사용자 데이터 용량이 광 디스크에 기록 가능한 전체 기록 용량보다 적고, 기록해야 할 사용자 데이터 용량을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미리 알 수 있는 경우, 두 개의 기록층 L1 및 L2에 동일한 양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도록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각 기록층의 데이터 영역의 크기를 결정한다.
각 기록층의 데이터 영역의 시작 위치는 이미 정해져 있으므로 각 기록층의 데이터 영역의 크기가 결정되면, 각 데이터 영역의 끝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새로이 결정된 각 데이터 영역의 크기는 원래보다 적을 것이므로 각 기록층의 데이터 영역 다음의 바깥 영역의 크기는 원래보다 증가할 것이다.
도 4a 내지 도 9b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기록층의 바깥 영역의 크기가 원래보다 증가할 경우, 각 기록층의 바깥 영역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바깥 영역의 다양한 포맷을 제시한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기록층 L1은 제1 데이터 영역과 제1 바깥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바깥 영역은 내주에서 외주 방향으로 제1 연결 영역(middle area), 제1 미사용 영역, 제1 버퍼 영역, 제1 전용영역, 제1 사전 기록 영역, 제1 미기록 영역, 제2 연결 영역, 제2 미사용 영역, 제2 버퍼 영역, 제2 전용영역, 제2 사전 기록 영역 및 제2 미기록 영역을 포함한다. 즉, 도 4a에 도시된 기록층 L1의 제1 바깥 영역의 구조는 도 2a에 도시한 제1 바깥영역의 구조가 반복된 구조이다.
도 4a의 기록층 L2는 제2 데이터 영역과 제2 바깥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바깥 영역은 내주에서 외주 방향으로 제3 연결 영역(middle area), 제 미사용 영역, 제1 버퍼 영역, 제1 전용영역, 제1 사전 기록 영역, 제1 미기록 영역, 제2 연결 영역, 제2 미사용 영역, 제2 버퍼 영역, 제2 전용영역, 제2 사전 기록 영역 및 제2 미기록 영역을 포함한다. 즉, 도 4a에 도시된 기록층 L1의 제1 바깥 영역의 구조는 도 2a에 도시한 제1 바깥영역의 구조가 반복된 구조이다.
상기 제2 바깥 영역은 내주에서 외주 방향으로 제3 연결 영역(middle area), 제3 전용영역, 제3 버퍼 영역, 제3 미사용영역(unused area), 제4 버퍼 영역, 제4 전용 영역 및 제3 미기록 영역(unrecorded area), 제4 연결 영역(middle area), 제5 전용영역, 제5 버퍼 영역, 제4 미사용영역(unused area), 제6 버퍼 영역, 제6 전용 영역 및 제4 미기록 영역(unrecorded area)을 포함한다. 즉, 도 4a에 도시된 기록층 L2의 제2 바깥 영역의 구조는 도 2a에 도시한 제2 바깥영역의 구조가 반복 된 구조이다.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는 제1 사전 기록 영역, 제4 전용 영역, 제2 사전 기록 영역 및 제6 전용 영역의 외주방향 경계가 가변적이다. 이들 영역의 외주 방향 경계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가 로딩된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제1 미기록 영역(unrecorded area) 및 제3 미기록 영역을 기준으로 각각 오른쪽에 할당된 영역들은 고정적으로 항상 할당되지만, 제1 미기록 영역(unrecorded area) 및 제3 미기록 영역을 기준으로 각각 왼쪽에 할당된 영역들의 할당 여부는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광 디스크의 구조 및 사용방법은 도 4a에 도시한 광 디스크의 구조 및 사용 방법과 동일하다. 다만, 도 4b에 도시한 광 디스크의 경우, 제1 사전 기록 영역 및 제4 전용 영역의 외주 방향 경계는 가변적이지만, 제2 사전 기록 영역 및 제6 전용 영역의 외주방향 경계는 고정적이다.
이하에서는, 도 4a 및 4b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조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들의 구조 및 그 사용방법 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한 광 디스크는 도 4a에 도시한 광 디스크에 마련된 제2 사전 기록 영역, 제6 버퍼 영역 및 제6 전용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유사하게, 도 5b에 도시한 광 디스크는 도 4b에 도시한 광 디스크에 마련된 제2 사전 기록 영역, 제6 버퍼 영역 및 제6 전용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한 광 디스크는 도 4a에 도시한 광 디스크에 마련된 제1 사전 기록 영역, 제4 버퍼 영역 및 제4 전용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유사하게, 도 6b에 도시한 광 디스크는 도 4b에 도시한 광 디스크에 마련된 제1 사전 기록 영역, 제4 버퍼 영역 및 제4 전용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한 광 디스크는 도 4a에 도시한 광 디스크에 마련된 제2 연결 영역 및 제4 연결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유사하게, 도 7b에 도시한 광 디스크는 도 4b에 도시한 광 디스크에 마련된 제2 연결 영역 및 제4 연결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한 광 디스크는 도 5a에 도시한 광 디스크에 마련된 제2 연결 영역 및 제4 연결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유사하게, 도 8b에 도시한 광 디스크는 도 5b에 도시한 광 디스크에 마련된 제2 연결 영역 및 제4 연결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한 광 디스크는 도 6a에 도시한 광 디스크에 마련된 제2 연결 영역 및 제4 연결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유사하게, 도 9b에 도시한 광 디스크는 도 6b에 도시한 광 디스크에 마련된 제2 연결 영역 및 제4 연결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상, 이중 기록층 광 디스크의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록층이 둘 이상인 광 디스크인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들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향이 OTP(Opposite track pass)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기록 방향이 PTP(Parallel track pass)인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연결 영역(middle area)은 사전 기록 방법 또는 pre-embossed 방법으로 데이터가 기록될 수도 있고,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의해 데이터 영역이 사용된 후에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의해 데이터가 기록될 수도 있으므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도 10a는 L1 와 L2을 갖는 디스크 구조에서 Middle area가 외주부의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고, 외주 OPC 영역도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b는 L1 와 L2을 갖는 디스크 구조에서 Middle area가 외주부의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고, 외주 OPC 영역도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서 L1, L2의 Data area가 모두 기록 된 후 디스크 최종화(disc finalization) 시 L1의 Middle area 기록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c는 L1 와 L2을 갖는 디스크 구조에서 Middle area가 외주부의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고, 외주 OPC 영역도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서 L1, L2의 Data area가 모두 기록 된 후 disc finalization 시 L1의 Middle area 기록이 끝나고 최종적으로 L2를 기록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의 (a)는 Layer0, Layer1의 2층 기록 형태의 가지고 각각의 층이 Middle area와 외주부에서 OPC등을 할 수 있는 Test Area 영역 및 L1,L2 각층에 구비되어 있는 Test area에서 OPC등의 test시 각 각의 Test area에 기록된 신호가 영향을 주지 않도록 Buffer등이 할당된 기록 매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기록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Data area에 데이터의 기록에 앞서 test area에서 OPC(Optimum power control)등의 test를 행하고, L1의 내주부터 외주로 data area를 기록하게 되며, L1의 영역을 모두 기록하게 되면 외주의 L2에서부터 내주로 기록을 하게 된다. L2까지 모두 기록이 종료되면 disc finalize를 수행하게 되며, Middle area에 Lead-out 속성의 data(한 예로 00h)를 기록하게 된다.
이 때 만약 이미 정해진 Middle area의 영역이 불충분 할 경우, 도 10 의 (b)와 같이 Middle area는 disc finalize시 Buffer 영역과 미 사용 Test area 및 이미 사용된 Test area영역을 침범 할 수 있고, Lead-out 속성의 기록이 이 침범된 영역까지 행하여질 수 있다. 도 10 의 (b)는 위와 같은 동작이 L1에서 행하여지는 일례를 보여주며, 도 10의 (c)는 L1에서 위와 같은 방법의 Middle area 기록 완료 후 L2에서의 Middle area 기록 예를 나타낸다.
도 11a는 L1 와 L2을 갖는 디스크 구조에서 Middle area가 flexible 하고, 외주 OPC 영역은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1b는 L1 와 L2을 갖는 디스크 구조에서 Middle area가 flexible 하고, 외주 OPC 영역은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서 L1, L2의 Data area가 모두 기록 된 후 disc finalization 시 L1의 Middle area 기록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c는 L1 와 L2을 갖는 디스크 구조에서 Middle area가 flexible 하고, 외주 OPC 영역은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서 L1, L2의 Data area가 모두 기록 된 후 disc finalization 시 L1의 Middle area 기록이 끝나고 최종적으로 L2를 기록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a를 참조하면, 데이터 영역의 "A" 부분까지 데이터의 기록이 완료되어, A 부분의 바로 다음 위치에 미들 영역이 마련된다. 도 11b를 참조하면, 마련된 미들 영역에 소정의 데이터가 기록되는데, 이때 미들 영역이 부족한 경우에는 데이터 영역의 미기록 영역에까지 침범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도 11c를 참조하면, L1의 미들 영역의 기록이 완료된 후 L2의 미들 영역의 기록을 하고 이때 L2의 미들 영역이 부족한 경우에도 데이터 영역의 미기록 영역에 까지 침범하여 소정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도 12a는 L1 와 L2을 갖는 디스크 구조에서 Middle area가 외주부의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거나 flexible 하고 외주 OPC 영역은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b는 L1 와 L2을 갖는 디스크 구조에서 Middle area가 외주부의 사전 규 정된 위치에 있거나 flexible 하고 외주 OPC 영역은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서 L1, L2의 Data area가 모두 기록 된 후 disc finalization 시 L1의 Middle area 기록 방법을 나타낸다.
도 12c는 L1 와 L2을 갖는 디스크 구조에서 Middle area가 외주부의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거나 flexible 하고 외주 OPC 영역은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서 L1, L2의 Data area가 모두 기록 된 후 disc finalization 시 L1의 Middle area 기록이 끝나고 최종적으로 L2를 기록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2a를 참조하면, 데이터 영역에서 "B" 부분까지 데이터의 기록이 완료되면, "B"의 다음 위치부터 미들영역이 마련된다. 도 12b를 참조하면, 마련된 미들 영역에 소정의 데이터가 기록되는데, 이때 미들 영역이 부족한 경우에는 데이터 영역의 미기록 영역에까지 침범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도 12c를 참조하면, L1의 미들 영역의 기록이 완료된 후 L2의 미들 영역의 기록을 하고 이때 L2의 미들 영역이 부족한 경우에도 데이터 영역의 미기록 영역에 까지 침범하여 소정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도 11과 도 12의 차이점은 도 11에서는 원래부터 미들 영역이 플렉서블하고 고정된 미들 영역이 정해져 있지 않지만, 도 12의 경우에는 애초에 고정된 미들 영역은 마련되어 있지만,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 기록이 데이터 영역이 중간에서 끝난 경우 플렉서블하게 데이터 기록이 끝난 부분에 미들 영역이 마련된다는 점이다.
도 13a는 L1 와 L2을 갖는 디스크 구조에서 Middle area가 외주부의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거나 flexible 하고 외주 OPC 영역도Middle area와 함께 사전 규정 된 위치에 있거나, flexible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3b는 L1 와 L2을 갖는 디스크 구조에서 Middle area가 외주부의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거나 flexible 하고 외주 OPC 영역도Middle area와 함께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거나, flexible한 경우에서 L1, L2의 Data area가 모두 기록 된 후 disc finalization 시 L1의 Middle area 기록 방법을 나타낸다.
도 13c는 L1 와 L2을 갖는 디스크 구조에서 Middle area가 외주부의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거나 flexible 하고 외주 OPC 영역도Middle area와 함께 사전 규정된 위치에 있거나, flexible한 경우에서 L1, L2의 Data area가 모두 기록 된 후 disc finalization 시 L1의 Middle area 의 기록이 끝나고 최종적으로 L2를 기록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3a를 참조하면, 미들 영역 및 테스트 영역이 모두 플렉서블함을 알 수 있다. 물론 애초에 디스크상에는 디스크의 외주 부분에 미들 영역과 테스트 영역이 고정적으로 마련되어 있긴 하지만 데이터 기록 양에 따라 이러한 미들 영역과 테스트 영역이 플렉서블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드라이브 시스템상에서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전에 데이터를 기록할 양을 미리 알 수 있는 경우에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의 중간에 데이터 기록될 부분 "C"의 다음 부분에 미들 영역 또는 테스트 영역이 마련된다.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 기록에 앞서 마련된 테스트 영역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하고,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부분 까지 데이터가 기록되면, "C" 부분 다음 부분에 미들 영역이 마련된다.
도 13b를 참조하면, 마련된 미들 영역에 디스크 최종화를 위한 소정의 데이터가 기록되는데, 이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미들 영역이 부족한 경우에는 테스트 영역 까지 침범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도 13c를 참조하면, L1에서의 미들 영역의 기록이 모두 끝난 후에 L2에서의 미들 영역의 기록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디스크를 운용하는 기록/재생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록/재생 장치는 기록/독출부(2)와, 제어부(1)를 포함한다.
기록/독출부(2)는 픽업 등을 구비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 기록 정보저장매체인 디스크(10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디스크(100)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한다.
제어부(1)는 소정의 파일 시스템에 따라 디스크(10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독출하도록 기록/독출부(2)를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는 외주에 최적 기록 조건을 찾기 위한 OPC 영역이 마련된 정보 저장 매체의 최종화시에 미들 영역이 불충분한 경우 상기 미들 영역을 확장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는 시스템 제어기(10)와, 호스트 I/F(20)와, DSP(30)와, RF AMP(40)와, 서보(50)를 구비한다.
기록시, 호스트 I/F(20)는 호스트(3)로부터 소정의 기록 명령을 수신하여 이 를 시스템 제어기(10)로 전송한다. 시스템 제어기(10)는 이러한 호스트 I/F(20)로부터 수신된 기록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DSP(30)와 서보(50)를 제어한다. DSP(30)는 호스트 I/F(20)로부터 받은 기록할 데이터를 에러 정정을 위해 패리티 등 부가 데이터를 첨가하고 ECC 인코딩을 수행하여, 에러 정정 블록인 ECC 블록을 생성한 다음 이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변조한다. RF AMP(40)는 DSP(3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RF 신호로 바꾼다. 픽업을 구비한 기록/독출부(2)는 RF AMP(40)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디스크(100)에 기록한다. 서보(50)는 시스템 제어기(10)로부터 서보 제어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받아 기록/독출부(2)의 픽업을 서보 제어한다.
재생시, 호스트 I/F(20)는 호스트(3)로부터 재생 명령을 받는다. 시스템 제어기(10)는 재생에 필요한 초기화를 수행한다. 기록/독출부(2)는 디스크(10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디스크(10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여 얻어진 광 신호를 출력한다. RF AMP(40)는 기록/독출부(2)로부터 출력된 광 신호를 RF 신호로 바꾸고 RF 신호로부터 얻어진 변조된 데이터를 DSP(30)로 제공하는 한편, RF 신호로부터 얻어진 제어를 위한 서보 신호를 서보(50)로 제공한다. DSP(30)는 변조된 데이터를 복조하고 ECC 에러 정정을 거쳐 얻어진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서보(50)는 RF AMP(40)로부터 받은 서보 신호와 시스템 제어기(10)로부터 받은 서보 제어에 필요한 명령을 받아 픽업에 대한 서보 제어를 수행한다. 호스트 I/F(20)는 DSP(30)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호스트로 보낸다.
도 14에 도시된 기록/재생 장치는 개별적인 기록 장치, 재생 장치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기록 및 재생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층 정보 저장 매체의 기록 방법에서, 특히 외주에 최적 기록 조건(기록 파워등)을 찾기 위한 OPC(Optimum Power Control) 영역이 할당된 디스크에서 디스크 최종화(disc finalization)시 불충분한 미들 영역의 확보 및 그 기록 방법에 의해 L1의 기록 특성에 따라 L2 특성이 다른 점에 의해 사전 L1에 기록된 영역이 여러 가지로 가능한 모든 디스크 레이아웃(disc layout)에 대해 미들 영역(Middle area)의 확보 및 그 기록 방법을 도출하여, 보다 호환성있는 기록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외주에 최적 기록 조건을 찾기 위한 OPC 영역이 마련되며,
    매체의 최종화시에 미들 영역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매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영역은 상기 OPC 영역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저장 매체.
  3.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외주에 최적 기록 조건을 찾기 위한 OPC 영역이 마련된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독출하는 기록/독출부와,
    상기 매체의 최종화시에 미들 영역이 불충분한 경우 상기 미들 영역을 확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영역은 상기 OPC 영역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5. 기록/재생 방법에 있어서,
    외주에 최적 기록 조건을 찾기 위한 OPC 영역이 마련된 정보 저장 매체의 최종화시에 미들 영역이 불충분한 경우 상기 미들 영역을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영역은 상기 OPC 영역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방법.
KR1020040085132A 2004-10-23 2004-10-23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KR100667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132A KR100667766B1 (ko) 2004-10-23 2004-10-23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US11/244,053 US7974175B2 (en) 2004-10-23 2005-10-06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SG200808805-6A SG148209A1 (en) 2004-10-23 2005-10-11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DE602005020171T DE602005020171D1 (de) 2004-10-23 2005-10-11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fzeichnung und wiedergabe eines informationsspeichermediums
PCT/KR2005/003371 WO2006080746A1 (en) 2004-10-23 2005-10-11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CN2010101287138A CN101872623B (zh) 2004-10-23 2005-10-11 记录设备
CA2584623A CA2584623C (en) 2004-10-23 2005-10-11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BRPI0517014-1A BRPI0517014A (pt) 2004-10-23 2005-10-11 mìdia de armazenamento de informações, aparelho de gravação/reprodução para gravação ou reprodução de dados em ou de uma mìdia de armazenamento de informações, método de gravação ou reprodução de dados em ou de uma mìdia de armazenamento de informações e aparelho
EP05856516A EP1803119B1 (en) 2004-10-23 2005-10-11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for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CN2005800359691A CN101044558B (zh) 2004-10-23 2005-10-11 信息存储介质以及记录/再现设备和记录/再现方法
SG2012017000A SG179460A1 (en) 2004-10-23 2005-10-11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T05856516T ATE462181T1 (de) 2004-10-23 2005-10-11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fzeichnung und wiedergabe eines informationsspeichermediums
CN201010128702XA CN101800055B (zh) 2004-10-23 2005-10-11 记录/再现方法
RU2007115052/28A RU2359344C2 (ru) 2004-10-23 2005-10-11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 способ записи/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JP2007537796A JP4864002B2 (ja) 2004-10-23 2005-10-11 情報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TW094135486A TWI316710B (en) 2004-10-23 2005-10-12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MYPI20054953A MY142151A (en) 2004-10-23 2005-10-21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for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HK08102141.6A HK1108213A1 (en) 2004-10-23 2008-02-27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US12/705,848 US8199630B2 (en) 2004-10-23 2010-02-15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US12/706,242 US8208355B2 (en) 2004-10-23 2010-02-16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JP2010036727A JP4739456B2 (ja) 2004-10-23 2010-02-22 情報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2010036726A JP4864148B2 (ja) 2004-10-23 2010-02-22 情報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132A KR100667766B1 (ko) 2004-10-23 2004-10-23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023A true KR20060036023A (ko) 2006-04-27
KR100667766B1 KR100667766B1 (ko) 2007-01-11

Family

ID=36206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132A KR100667766B1 (ko) 2004-10-23 2004-10-23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3) US7974175B2 (ko)
EP (1) EP1803119B1 (ko)
JP (3) JP4864002B2 (ko)
KR (1) KR100667766B1 (ko)
CN (3) CN101800055B (ko)
AT (1) ATE462181T1 (ko)
BR (1) BRPI0517014A (ko)
CA (1) CA2584623C (ko)
DE (1) DE602005020171D1 (ko)
HK (1) HK1108213A1 (ko)
MY (1) MY142151A (ko)
RU (1) RU2359344C2 (ko)
SG (2) SG179460A1 (ko)
TW (1) TWI316710B (ko)
WO (1) WO20060807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8620901A (en) * 2000-09-13 2002-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KR101044938B1 (ko) * 2004-07-10 201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정보 저장 매체 및 기록/재생 장치
KR100667766B1 (ko) * 2004-10-23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JP4254688B2 (ja) * 2004-10-29 2009-04-1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データ記録装置
KR101502622B1 (ko) * 2007-12-27 2015-03-13 메이플 비젼 테크놀로지스 인크. 광정보 처리를 위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162B1 (ko) * 1999-01-23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기록 매체 및 광 기록매체의 포맷팅 방법
JP4438172B2 (ja) 2000-03-30 2010-03-2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ータ記録方法
US6804797B2 (en) 2000-04-08 2004-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verifying defect management area information of disc and test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TWI236667B (en) 2000-06-29 2005-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read-only storage area and writeable storage area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4215405B2 (ja) 2001-01-22 2009-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ディスク
JP2002245625A (ja) 2001-02-19 2002-08-30 Pioneer Electronic Corp 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媒体並びに記録プログラム
US6801494B2 (en) 2001-10-31 2004-10-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ple sections for dual-layer optical recording medium
CN101281769B (zh) * 2002-01-22 2013-11-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多层信息记录媒介,信息记录设备,和记录方法
US7123556B2 (en) 2002-01-22 2006-10-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layere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with spare defect management areas
WO2004057585A1 (ja) 2002-12-20 2004-07-0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光記録媒体,光記録媒体の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US7499383B2 (en) 2003-02-21 2009-03-03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for managing spare area thereof
JP3710790B2 (ja) 2003-03-24 2005-10-26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
BRPI0408641A (pt) 2003-03-24 2006-03-2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étodo para gravar informação sobre um portador de gravação de um tipo capaz de ser escrito, portador de gravação do tipo capaz de ser escrito, e, dispositivo para gravar informação sobre um portador de gravação de um tipo capaz de ser escrito
KR100739681B1 (ko) * 2003-03-24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한번 기록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 오버라이트 방법
JP2004310972A (ja) 2003-03-25 2004-11-04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用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4295940A (ja) 2003-03-25 2004-10-21 Ricoh Co Ltd 試し書き処理制御方法、光記録媒体、光情報記録装置、光情報記録用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3584033B1 (ja) 2003-03-25 2004-11-0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3967691B2 (ja) * 2003-03-31 2007-08-29 株式会社東芝 情報記憶媒体と情報再生装置と情報記録再生装置
JP4633346B2 (ja) * 2003-05-12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記録装置、記録方法
CN1551198B (zh) * 2003-05-20 2010-09-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息记录介质、信息记录方法及信息记录装置
MY142139A (en) * 2003-06-28 2010-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2005025821A (ja) * 2003-06-30 2005-01-27 Sony Corp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
JP4394683B2 (ja) * 2003-07-01 2010-01-0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二層記録可能なディスクにおいて情報を記録するための記録方法及び装置
US7529163B2 (en) 2004-01-20 2009-05-05 Pioneer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044938B1 (ko) * 2004-07-10 201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정보 저장 매체 및 기록/재생 장치
US7502285B2 (en) 2004-10-07 2009-03-10 Pioneeer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cording control
KR100667766B1 (ko) 2004-10-23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18145A (ja) 2010-05-27
CA2584623C (en) 2013-01-15
JP4864002B2 (ja) 2012-01-25
US20100142343A1 (en) 2010-06-10
JP4739456B2 (ja) 2011-08-03
DE602005020171D1 (de) 2010-05-06
CN101872623B (zh) 2012-07-04
ATE462181T1 (de) 2010-04-15
US20060087958A1 (en) 2006-04-27
US7974175B2 (en) 2011-07-05
CN101872623A (zh) 2010-10-27
TW200631013A (en) 2006-09-01
US20100142342A1 (en) 2010-06-10
RU2007115052A (ru) 2008-10-27
CN101044558A (zh) 2007-09-26
CA2584623A1 (en) 2006-08-03
US8199630B2 (en) 2012-06-12
EP1803119B1 (en) 2010-03-24
JP2010153028A (ja) 2010-07-08
KR100667766B1 (ko) 2007-01-11
SG148209A1 (en) 2008-12-31
CN101800055A (zh) 2010-08-11
EP1803119A4 (en) 2009-01-21
JP2008518376A (ja) 2008-05-29
US8208355B2 (en) 2012-06-26
CN101800055B (zh) 2013-02-13
BRPI0517014A (pt) 2008-09-30
EP1803119A1 (en) 2007-07-04
CN101044558B (zh) 2011-05-11
TWI316710B (en) 2009-11-01
RU2359344C2 (ru) 2009-06-20
JP4864148B2 (ja) 2012-02-01
MY142151A (en) 2010-09-30
SG179460A1 (en) 2012-04-27
HK1108213A1 (en) 2008-05-02
WO2006080746A1 (en)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25784A (ja) 情報記録媒体、データの記録方法及び装置
JP4864148B2 (ja) 情報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4991536B2 (ja) 情報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5084963B2 (ja) 情報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WO2005122155A1 (en) Method of allocating areas in optical disc,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and optical disc therefor
US7333417B2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nd/or reading data from the same
KR101044951B1 (ko)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정보 저장 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KR101058046B1 (ko)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정보 저장 매체 및 기록/재생 장치
KR100965882B1 (ko) 정보 저장매체, 데이터의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636176B1 (ko) 광 디스크의 영역 할당 방법,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광 디스크
JP2008010106A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KR100727951B1 (ko) 다층 정보 저장 매체, 그 사전 기록 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