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3741A -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 - Google Patents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3741A
KR20060033741A KR1020057025030A KR20057025030A KR20060033741A KR 20060033741 A KR20060033741 A KR 20060033741A KR 1020057025030 A KR1020057025030 A KR 1020057025030A KR 20057025030 A KR20057025030 A KR 20057025030A KR 20060033741 A KR20060033741 A KR 20060033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receiving
receiving bore
bore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875B1 (ko
Inventor
디터 딘켈
알브레히트 오토
가브리엘레 마이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339882A external-priority patent/DE10339882A1/d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filed Critical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ublication of KR20060033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7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 B60T8/368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combined with other mechanical components, e.g. pump units, maste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하우징 표면 (A1) 안으로 수 개의 밸브열 (X,Y,Z) 에 수 개의 밸브 수용 보어 (X1~X4) 가 열려있는 수용 부재 (2), 수 개의 흡입 밸브들이 제 1 밸브열 (X) 에 배치되고, 수 개의 배출 밸브들이 제 2 밸브열 (Y) 에 배치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분리 밸브가 제 3 밸브열 (Z) 에 배치된다.
제 3 밸브열 (Z) 은, 펌프 수용 보어 (5) 로의 가능한 짧은 채널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밸브열 (X, Y)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HYDRAULIC UNIT FOR SLIP-CONTROLLED BRAKING SYSTEMS}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에 관한 것이다.
PCT 국제공개공보 WO 99/25594 는 블럭 형상 수용 부재를 가지는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을 개시하는데, 이 유압 유닛은 제 1 및 제 2 밸브열에 나란히 있는 총 8 개의 밸브 수용 보어들을 포함하고, 이 밸브 수용 보어들에는 전자기적으로 작동되는 흡입 및 배출 밸브들이 삽입된다. 상기 두 밸브열 옆에는 펌프 수용 보어, 두 개의 평행한 축압기 수용 보어, 그리고 트랙션 제어와 주행 안정성 제어에 필요한 분리 밸브와 전기 전환 밸브만을 수개의 밸브 수용 보어 안에 배타적으로 수용하는 제 3 밸브열이 있다.
밸브열의 상기와 같은 배치에서는, 제 1 밸브열에 대해 옆으로 배치되는 펌프 수용 보어로의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를 제 3 밸브열을 통하여 연결하기 위해 상당히 긴 채널을 필요로 한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조밀한 구성을 유지하면서도 펌프에 필요한 흡입 채널에 있어서의 최적 흡입 및 최적 소음을 구현하려는 목적으로 상기 단점을 없앨 수 있는 간단한 수단에 의해 인디케이티드 형(indicated type) 의 유압 유닛을 개선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의 특징적 사양들을 상기 형태의 유압 유닛에 대해 적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장점 및 가능한 적용들을 이하 종속항으로부터 그리고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하우징 표면에서의 밸브열의 평면도를 가지는 본 발명의 대상물 전체의 첫 번째 3차원 도면이다.
도 2 는 수용 부재에 있는 모든 수용 보어 및 압력 채널을 나타내기 위해 펌프 축 둘레로 180°반전시킨 도 1 의 수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축압기 수용 보어와 제 3 밸브열 사이의 펌프의 흡입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 2 의 상세도이다.
도 4 는 펌프 수용 보어와 제 1 밸브열 사이의 유압 연결을 위해, 펌프 가압측을 설명하기 위한 도 2 의 상세도이다.
도 5 는 제 1 및 제 2 밸브열과 압력 센서열과 함께 휠 브레이크 회로의 덕트 접속을 도시하기 위한 도 2 의 다른 상세도이다.
도 6 은 제 2 밸브열 사이에서 축압기 수용 보어를 지나 제 1 밸브열로 형성된 휠 압력 채널을 나타내는 도 2 의 수용 부재의 부분도이다.
도 7 은 수용 부재에 있는 추가의 가이딩 부재, 고정 및 누설 보어의 부분도 이다.
도 1 은 제 1 및 제 2 밸브열 (X,Y) 의 각 네 개의 밸브 수용 보어 (X1~X4, Y1~Y4) 안에 흡입 및 배출 밸브를 수용하는 블럭 형상 수용 부재 (2) 를 가지며, 상기 보어들은 상기 수용 부재 (2) 의 제 1 하우징 표면 (A1) 안으로 제 1 하우징 평면까지 끝단이 막힌 보어로 된, 이중 회로-미끄럼 제어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한, 다른 평면에서 상기 블럭 형상 수용 부재 (2) 는, 두 개의 축방향으로 옵셋된 펌프 피스톤을 수용하기 위해 약간의 축 변위를 나타내는 정반대로 배치된 두 개의 펌프 수용 보어 (5) 에 의해 관통된다. 수용 부재 (2) 가, 축방향 옵셋되지 않은 펌프에 대한 단 하나의 펌프 수용 보어 (5) 을 포함하는가, 또는 일 예로써 사용된 축방향 옵셋된 펌프에 대한 두 개의 펌프 수용 보어 (5) 를 포함하는가와는 무관하게, 각각의 펌프 수용 보어 (5) 는 수용 부재 (2) 안으로 열린 밸브 수용 보어 (X1~X4, Y1~Y4) 의 방향과 직각을 이룬다. 펌프 수용 보어 (5) 는 밸브열 (X,Y,Z) 의 제 1 하우징 평면으로부터 옵셋되어 있지만, 제 1 하우징 표면 (A1) 에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로 제 2 및 제 3 밸브열 (Y,Z) 의 밸브 수용 보어 (Y1~Y4, Z1~Z4) 의 축 사이에 배치된다.
평행 배치된 두 개의 축압기 수용 보어 (6) 는, 바람직하게는 제 1 하우징 표면 (A1) 에 직각이 되는 제 3 하우징 표면 (A3) 에서 수용 부재 (2) 안으로 열려있으며, 밸브 수용 보어 (Y1~Y4) 를 가로지르는 위치에서 제 2 밸브열 (Y) 및 펌프 수용 보어 (5) 직전까지 연장한다. 따라서 축압기 수용 보어 (6) 의 깊이가 제 2 밸브열 (Y) 과 제 3 하우징 표면 (A3) 사이의 수평 거리보다 작기 때문에, 제 3 밸브열 (Y) 과 축압기 수용 보어 (9) 사이의 연결은 특히 짧은 휠 압력 채널 (7) 을 통해 이루어진다. 축압기 수용 보어 (6) 안으로는 커버에 의해 막힌 스프링 부하식 피스톤이 삽입된다.
기본 위치에서 통상 닫혀있는, 전자기적으로 작동되는 배출 밸브가 제 2 밸브열 (Y) 의 밸브 수용 보어 (Y1~Y4) 안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밸브열 (Y) 의 밸브 수용 보어 (Y1~Y4) 는 두 개의 축압기 수용 보어 (6) 와 펌프 수용 보어 (5) 사이에 특히 조밀한 구성으로 배치된다.
제 2 밸브열 (Y) 옆, 축압기 수용 보어 (6) 위에는 압력 센서열 (W) 의 짧은 다섯 개의 압력 센서 수용 보어 (W1~W5) 가 수용 부재 (2) 의 제 1 하우징 표면 (A1) 안으로 열려있고, 모든 네 바퀴의 브레이크에서의 브레이크 압력이 측정되는 네 개의 압력 센서 수용 보어 (W1~W4) 가 네 개의 휠 압력 채널 (12) 을 통해 제 1 밸브열 (X) 의 밸브 수용 보어 (X1~X4) 에 연결된다. 네 개의 압력 센서 수용 보어 (W1~W4) 사이에 배치된 제 5 압력 센서 수용 보어 (W5) 는, 압력 피스톤 회로에서 구동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압력 센서 채널 (10) 을 통해서 그리고 전환 밸브를 수용한 밸브 수용 보어 (Z1) 를 통해서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 (B1) (도 3 참조) 에 연결된다.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은 이중 회로로 구성되기 때문에 두 개의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 (B1, B2) 와 두 개의 휠 브레이크 연결부 (R2, R3) 는 블럭 형상 수용 부재 (2) 의 바깥쪽 가장자리 부근에서 제 2 하우징 표면 (A2) 안으로 열려있다.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은 네 개의 차륜이 모두 제동되는 멀티 트랙 차량에 쓰이기 때문에, 추가의 두 개의 휠 브레이크 연결부 (R1, R4) 는 하우징 표면 (A4) 으로 지칭되는 상기 수용 부재 (2) 의 상면에 장착이 용이하게끔 배치된다.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 (B1) 또는 (B2) 각각 그리고 제 1 브레이크 회로의 휠 브레이크 연결부 (R1, R2) 사이에 또는 휠 브레이크 연결부 (R3, R4) 각각 사이에 유압 연결을 만들기 위해서는, 밸브 수용 보어, 펌프 수용 보어 그리고 축압기 수용 보어를 연결하는 수 개의 채널이 필요하며, 이러한 수 개의 채널은 상기 밸브 수용 보어, 펌프 수용 보어, 그리고 축압기 수용 보어와 마찬가지로 똑같이 수용 부재 (2) 내에서 숙련된 드릴링 작업에 의해 주로 제조된다.
도 2 에 따르면, 또한, 모터 수용 보어 (11) 는 제 1 하우징 표면 (A1) 으로부터 소정 수직거리에서 펌프 수용 보어 (5) 를 향하고, 상기 보어 (11) 는 펌프 수용 보어 (5) 안에 있는 펌프 피스톤을 구동하는 전기 모터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크랭크 또는 편심 구동장치(drive)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휠 브레이크 연결부 (R1, R4) 에 필요한 보어를 제외하고, 상기 모터 수용 보어 (11) 는 상기 제 1 하우징 표면 (A1) 과 대향하는 제 4 하우징 표면 (A4) 에 중앙 배치된다.
도 3 은, 이미 도 1 에서 본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짧고 끝단이 막힌 밸브 수용 보어 (Z1~Z4, Y1~Y4) 를 나타내며, 밸브 수용 보어 (Y1~Y4) 의 각 바닥은 축압기 수용 보어 (6) 에 이어진 복귀 채널 (7) 의 일부에 제각기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극히 조밀한 형태의 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복귀 채널 (7) 을 상기 흡입 채널 (4) 의 짧은 부분에 대해 앵귤러 채널로서 측방에 배치한다.
제 3 밸브열 (Z) 은, 달성하려는 본 발명의 목적의 견지에서, 수용 부재 (2) 가 가능한 최적의 기능을 하도록 하기 위해 제 1 밸브열 (X) 과 제 2 밸브열 (Y)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밸브열 (X) 은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와 휠 브레이크 연결부 (B1, B2, R1~R4) 바로 옆에서 수용 부재 (2) 안으로 열려있고, 제 3 밸브열 (Z) 과 축압기 수용 보어 (6) 사이에 제 2 밸브열 (Y) 을 배치함으로써 복귀 채널 (7) 을 극히 짧게 할 수 있다.
본 유압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해, 도 1 및 도 2 에서 부분적으로만 명확히 나타내는 수용 부재 (2) 의 영역으로 되는 블럭에 있어서의 보어 배치의 본질적 특징들을 강조하였으며, 이하 도 3~도 7을 참조하여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도 3 은, 각각의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 (B1, B2) 가 공급 채널 (1) 의 제 1 부분 (1a) 을 통해 분리 밸브를 수용하는 제 3 밸브열 (Z) 의 밸브 수용 보어 (Z2) 에 연결되고, 경사 채널로서 반경방향으로 또는 선택으로는 접선방향으로 밸브 수용 보어 (Z1) 안으로 열려있는 것을 보여준다.
제 1 하우징 표면 (A1) 과 대향하는 제 4 하우징 표면 (A4) 안으로 열려있는 맥동 감쇠기 보어 (3) 는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 (B1, B2) 와 제 3 밸브열 (Z) 사이에서 각각의 공급 채널 (1) 에 연결된다. 각각의 경우, 제 1 부분 (1a) 은,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전환 밸브가 삽입되는 제 3 밸브열 (Z) 의 다른 밸브 수용 보어 (Z1) 에 이어진 제 2 부분 (1b) 과 공급 채널 (1) 에 의해 연결된다. 제 1 밸브열 (X) 로부터의 제 3 밸브열 (Z) 까지의 거리와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 (B1, B2) 로부터 제 1 밸브열 (X) 까지의 거리가 모두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짧은 공급 채널 (1) 과 이 공급 채널 (1) 에서 분기된 부분 (1a, 1b) 의 구성을 극히 조밀하게 할 수 있어 상기 유압 유닛을 최소한의 칩 제거로 가공할 수 있다.
제 3 밸브열 (Z) 의 전환 밸브를 수용하는 추가의 밸브 수용 보어 (Z1) 에서, 짧은 흡입 채널 (4) 이 밸브 수용 보어 (Z1) 의 바닥에 연결되고 펌프 수용 보어 (5) 까지 이른다. 흡입 채널 (4) 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제 3 밸브열 (Z) 과 펌프 수용 보어 (5) 사이의 매우 작은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흡입 채널 (4) 의 제 3 밸브열 (Z) 위로 연장하는 부분은 펌프 수용 보어 (5) 의 포트의 방향에 평행하게 수용 부재 (2) 의 측면 내로 천공되고 흡수성 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펌프 수용 보어 (5) 를 관통하는 흡입 채널 (4) 의 제 2 부분과 대략 같은 높이에서 가능한 깊이 볼에 의해 폐쇄된다. 흡입 채널 (4) 에 대해 끝단이 막힌 보어가 압력 감쇠 챔버 (9) 의 끝단이 막힌 보어를 통해 바람직하게 연장하고, 수용 부재 (2) 로부터 절삭에 의한 금속의 제거가 용이하기 때문에, 볼 형상의 폐쇄 요소 (18) 는 또한 압력 감쇠 챔버 (9) 와 흡입 채널 (4) 사이의 유압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흡입 채널 (4) 의 제 2 부분이 축압기 수용 보어 (6) 를 통하고 펌프 수용 보어 (5) 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데에는 한 번의 드릴링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흡입 채널 (4) 은 펌프 수용 보어 (5) 의 바깥쪽 끝으로부터 떨어진 펌프의 영역을 가로질러서 모터 수용 보어 (11) 가까이에 배치된다.
펌프 수용 보어 (5) 방향으로 열린 논-리턴 밸브(non-return valve)가 펌프 수용 보어 (5) 와 축압기 수용 보어 (6) 사이에 뻗은 흡입 채널 (4) 의 일부분에 삽입된다. 또한, 흡입 채널 (4) 가까운 각각의 브레이크 회로에 대해 두 개의 짧은 복귀 채널 (7) 이 축압기 수용 보어 (6) 의 바닥 안으로 열려있고, 상기 채널은 아래쪽으로 굽혀져 제 2 밸브열 (Y) 에서 배출 밸브를 수용하는 두 개의 밸브 수용 보어 (Y2) 에 연결된다.
도 3 의 도시에 관해서, 밸브 수용 보어 (Y1, Y2) 또는 (Y3, Y4) 는 수용 부재 (2) 에서 축압기 수용 보어 (6) 아래에 특히 조밀한 방법으로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 2 밸브열 (Y) 은 축압기 수용 보어 (6) 바로 부근에 있어서, 가능한 최단거리의 복귀 채널 (7) 및 짧은 흡입 채널 (4) 이 축압기 수용 보어 (6) 에 이르게 됨으로써 배출, 충진 그리고 유압 유닛의 효율이 영구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도 3 은 압력 센서 채널 (10) 이 경사 채널로서 압력 센서 수용 보어 (W5) 를 가로질러 밸브 수용 보어 (Y2, Y3) 사이를 지나, 공급 채널 (1) 을 거쳐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 (B1) 에 연결되는 밸브 수용 보어 (Z1) 안으로 연장하는 데까지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 (B1) 의 압력 센서 수용 보어 (W5) 로의 극히 간단한 연결을 보여준다.
도 3 에 더하여, 도 4 는 흡입 채널 (4) 로부터 멀리 떨어진 각 회로에 있어서, 압력 채널 (8) 이 반경방향 또는 접선방향으로 펌프 수용 보어 (5) 안으로 열려있고 압력 감쇠 챔버 (9) 를 통해서 흡입 밸브가 수용된 제 1 밸브열 (X) 의 밸브 수용 구멍 (X1, X2) 또는 (X3, X4) 에 각각 연결되고 분리 밸브에 대해 제공된 밸브 수용 보어 (Z2) 에 연결되기까지 펌프 가압측상의 채널 경로를 보여준다. 두 압력 감쇠 챔버 (9) 는, 제조 및 유동상의 관점하에서, 수용 부재 (2) 에서 펌프 수용 보어 (5) 와 제 1 밸브열 (X) 의 밸브 수용 보어 (X1~X4) 사이에 극히 바람직한 방법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압력 감쇠 챔버 (9) 는 펌프 수용 보어 (5) 에 평행하고 끝단이 막힌 보어로 가공되며 제 1 밸브열 (X) 에 연결되기 위해 끝단이 막힌 보어의 바닥에서 제 1 밸브열 (X) 의 방향으로 열려진다. 분리 밸브용으로 제공된 밸브 수용 보어 (Z2) 의 연결을 위해, 압력 채널 (8) 은, 끝단이 막힌 보어로서, 펌프 수용 보어 (5) 및 압력 감쇠 챔버 (9) 와 연통함과 더불어, 밸브 수용 보어 (X1,X2) 또는 (X3, X4) 의 바닥 위에서 각각 제 1 밸브열 (X) 의 축방향으로 수용 부재 (2) 의 외측면까지 이르며, 상기 압력 채널 (8) 을 밸브 수용 보어 (Z2) 의 바닥으로 연결하는 경사 채널 (13) 과 교차한다.
드릴링 작업이 펌프 수용 보어 (5) 의 외측단 내로 압력 감쇠 챔버 (9) 의 방향으로 가로질러 수행되기 때문에, 펌프 수용 보어 (5) 와 압력 감쇠 챔버 (9) 사이에 필요한 압력 채널 (8) 의 짧은 부분은 펌프 수용 보어 (5) 의 벽에 대한 관통 보어에 의해 형성되게 되고, 수용 부재 (2) 의 외측면에서 펌프 수용 보어 (5) 의 폐쇄와 더불어 압력 채널 (8) 은 대기와 절연되게 된다. 따라서 볼에 의한 압력 채널 (8) 의 복잡한 별도 폐쇄의 필요가 없게 된다.
도 5 는 밸브 수용 보어 (Y1~Y4) 와, 제 2 하우징 표면 (A2) 에서 출발하여, 끝단이 막힌 보어로서, 제 1 밸브열 (X) 과 제 2 밸브열 (Y) 을 가로질러 관계된 압력 센서 수용 보어 (W2,W4) 에 이르는, 네 개의 휠 압력 채널 (12) 중 두 개를 보여준다. 그러므로 휠 압력 채널 (12) 은 제 3 밸브열 (Z) (도시하지 않음) 을 지나쳐 밸브 수용 보어 (X2) 또는 (X4) 의 벽에 각각 이르고 또한, 제 2 밸브열 (Y) 에서 밸브 수용 보어 (Y2) 또는 (Y4) 의 벽에 각각 이르고, 흡입 밸브의 전환 위치에 따라서 밸브 수용 보어 (X2) 또는 (X4) 의 바닥에 각각 연결되어 휠 브레이크 연결부 (R2) 또는 (R4) 에 각각 연결된다.
드디어, 도 6 은 모든 네 개의 휠 압력 채널 (12) 의 수용 부재 (2) 안에서의 밸브 수용 보어 (X1~X4), (Y1~Y4) 의 연결에 필요한 공간적 배치를 도시하는데, 이는 제 1 하우징 표면 (A1) 으로부터 밸브열 (X) 에 중앙 배치된 밸브 수용 보어 (X2,X3) 에 관해서는 경사 채널로서 밸브 수용 보어 (X2, X3) 의 벽 안으로 부분적으로 열리고, 밸브열 (X) 에서 외측에 배치된 두 개의 밸브 수용 보어 (X1,X4) 에 관해서는 수평 채널로서 밸브 수용 보어 (X1, X4) 의 벽 안으로 부분적으로 열리는 배치이다. 유사하게 밸브 수용 보어 (Y2) 또는 (Y3) 는 한 쌍의 수평으로 연장하는 휠 압력 채널 (12) 을 통해서 제각기 옆으로 가로질러서 각각 밸브 수용 보어 (X2) 또는 (X3) 에 연결된다. 밸브 수용 보어 (Y1~Y4) 의 바닥에서 상기 네 개의 짧은 복귀 채널 (7) 은 축압기 수용 보어 (6) 에 이르는 앵귤러 채널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7 은 한편으로는 제 1 하우징 표면 (A1) 에서 수용 부재 (2) 를 밸브열 (X, Y, Z) 의 밸브 및 모터를 활성화하는 제어 장치에 연결할 수 있도록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예컨대, 제 3 하우징 표면 (A3) 에서 상기 수용 부재 (2) 를 차량에 연결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3 하우징 표면 (A1, A3) 에서의 고정 나사의 위치를 도시한다. 또한, 케이블 덕트 (15) 는 정반대 쪽에 배치된 제어 장치와 전기 모터 사이에 상기 케이블 덕트 (15) 를 통한 전기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모터 수용 보어 (11) 에 대해 평행하게 수용 부재 (2) 를 가로지른다. 또한, 모터 수용 보어 (11) 는 누설 채널 (16) 을 포함하고 이 누설 채널 (16) 은 제 1 하우징 표면 (A1) 으로부터 돌출하여 발생할지도 모르는 펌프 누설이 배출될 수 있다. 종국적으로, 수용 부재 (2) 에서 제 1 하우징 표면 (A1) 에 유사하게 배치되는 제어 장치에 대한 중심맞춤 및/또는 코딩 요소 (17) 를 형성할 수 있다.
요약으로, 이미 그 필수 구성요소를 설명한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의 작동 모드를 도 3~도 6 의 개요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공급 채널 (1) 에 의해, 제 3 밸브열 (Z) 에 있는, 분리 밸브를 수용하는 밸브 수용 보어 (Z2) 를 거치고나서, 제 3 밸브열 (Z) 바로 가까이 배치된 제 1 밸브열의 밸브 수용 보어 (X1, X2) (도 4, 도 5 참조) 를 거쳐 통상 휠 브레이크 연결부 (R1, R2) 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 (B1) (도 2,도 3 참조) 는 제 1 브레이크 회로와 접속된다. 따라서 미끄러짐이 없는 브레이크 작동시에는 기본 위치에서 열려있는, 밸브 수용 보어 (Z2) 의 분리 밸브를 거쳐서 휠 압력 채널 (12) 의 채널 부분을 통해 제 1 브레이크 회로의 휠 브레이크 연결부 (R1,R2) 에 직접 연결된, 두 개의 밸브 수용 보어 (X1,X2) 의 통상 열려있는 흡입 밸브까지 의 연결은 방해받지 않는다.
브레이크의 미끄럼 제어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휠 브레이크 연결부 (R2) ( 도 5 참조) 에 연결된 휠 브레이크에 있어서, 제 1 브레이크 회로 안이 감압 상태라면, 휠 압력 채널 (12) 의 일부를 거치는 밸브 수용 보어 (X2) 와 밸브 수용 보어 (Y2) 안의 열려있는 배출 밸브 사이에 가압 유체 연결이 존재하기 때문에 과잉의 브레이크 압력 체적이 복귀 채널 (7) 을 통해 빠져나가 (도 6 참조) 밸브 수용 보어 (Y2) 의 보어 (Y2) 의 바닥에서 연결되고, 제 1 브레이크 회로의 제 1 축압기 수용 보어 (7) 로 들어가고, 여기서 휠 브레이크 (R2) 에서의 새로운 브레이크 압력을 생성할 목적으로 (도 4 참조), 축압기 수용 보어 (7) 에 저장된 가압 유체가 관계된 펌프 수용 보어 (5) 의 펌프 피스톤으로부터 브레이크 회로마다 흡입 채널 (4) 의 짧은 부분을 거쳐서(그리고 그 안에 배치된 논-리턴 밸브) 압력 채널 (8) 로, 그리고 압력 감쇠 챔버 (9) 로, 그리고 제 1 밸브열 (X) 로 경사져서 연장하는 압력 채널 (8) 의 일부를 거쳐 흡입 밸브가 새로운 브레이크 압력 생성을 위해 열린 기본 위치로 유지되는 밸브 수용 보어 (X2) 로 공급된다.
그러면 밸브 수용 보어 (Y2) 의 배출 밸브가 닫힘 위치를 유지하므로 밸브 수용 보어 (X2) 로부터 밸브 수용 보어 (Y2) 를 통한 축압기 보어 (6) 로의 가압 유체의 누출이 방지된다. 그러나 휠 브레이크 (R2) 의 휠 브레이크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휠 브레이크 (R2) 와 관계된 흡입 밸브와 배출 밸브 양자 모두가 담힘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이상 예를 들어 설명한 제 1 브레이크 회로에서, 제 3 밸브열 (Z) 의 밸브 수용 보어 (Z2) 내에 삽입된 분리 밸브는 주행 동특성 제어를 위해 전자기적으로 닫혀진다. 반면 밸브 수용 보어 (Z1) 안에 배치된 전환 밸브가 열려 (도 3 참 조) 브레이크 압력 발생원 연결부 (B1) 의 공급 채널 (1) 을 통해 가압 유체가 전달되고 밸브 수용 보어 (Z1) 안으로 맥동 감쇠기의 보어 (3) 를 거쳐 공급 채널 (1) 의 제 2 부분 (1b) 만을 통하여 밸브 수용 보어 (Z1) 의 바닥에 배치된 흡입 채널 (4) 의 제 1 부분까지 연결되어 펌프 수용 보어 (5) 로의 최단거리로 직접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펌프 수용 보어 (5) 안에 삽입된 펌프 피스톤은 이어서 가압 유체를 공급하고, 이 가압 유체는 흡입 채널 (4) 의 제 1 부분으로 유입되고, 또한 펌프 수용 보어 (5) 안에 삽입된 펌프 흡입 및 펌프 압력 밸브를 통해서 압력 채널 (8) 로 들어가고(도 4 참조), 여기에서 압력 감쇠 챔버 (9) 와 압력 채널 (8) 안에 삽입된 지배적인 압력 제어 사이클에 좌우되어, 휠 브레이크 연결부 (R1, R2) 의 방향으로 흡입 밸브에 의해 열리거나 닫히는 오리피스 (19) 를 거쳐 밸브 수용 보어 (X1, X2) 로 유입된다.
주행 동특성을 제어하는 대신 트랙션 미끄럼 제어를 개시하더라도, 밸브 수용 보어 (Z2) 안의 분리 밸브 (도 3 참조) 는 허용가능한 시스템 압력의 한계 내에서는 닫힘 상태로 있기 때문에, 가압 유체는 펌프 가압측에서 상기 분리 밸브를 통해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 (B1) 로 누출될 수 없다. 상기 분리 밸브는 허용 가능한 시스템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유압에 의해 부득이하게 열리게 된다.
브레이크 압력 제어의 좋은 예가 되는 설명은 물론, 휠 브레이크 연결부 (R2) 나 또는 관계 브레이크 회로에 휠 브레이크를 연결하는 것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압 유닛의 3차원적 도해로부터 흐름이 최적화된 가압 유체 채널 시스템이 개별 밸브열 (X, Y, Z) 사이에 곧바르며 횡방향의 보어에 의해 구현됨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은 제조 기술적 측면에서 구현이 용이한다.
제 3 밸브열 (Z) 의 선택된 위치 덕분에, 액의 충진과 배출이 신속하고 용이한, 작은 저항의 특히 짧은 흡입 채널 (4) 이 각각의 브레이크 회로에 대해 바람직하게 구현된다. 또한, 수용 부재 (2) 안에서 세 개의 밸브열 (X, Y, Z) 의 배치는 가압 유체가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 (B1) 또는 (B2) 각각을 통해 제 1 밸브열 (X) 및 제 3 밸브열 (Z) 모두로 최단 경로로 신속하고 신뢰성을 가지고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제 1 브레이크 회로에 관한 상기 설명은 수용 부재 (2) 에서 제 1 브레이크 회로의 요소에 대해 거울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제 2 브레이크 회로에 관해 요구되는 요소의 설계 및 기능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1: 공급 채널
1a: 제 1 부분
1b: 제 2 부분
2: 수용 부재
3: 보어
4: 흡입 채널
5: 펌프 수용 보어
6: 축압기 수용 보어
7: 복귀 채널
8: 압력 채널
9: 압력 감쇠 챔버
10: 축압기 채널
11: 모터 수용 보어
12: 휠 압력 채널
13: 경사 채널
14: 고정 나사
15: 케이블 덕트
16: 배출 채널
17: 중심맞춤/코딩 요소
18: 폐쇄 요소
19: 오리피스
X1: 밸브 수용 보어
X2: 밸브 수용 보어
X3: 밸브 수용 보어
X4: 밸브 수용 보어
Y1: 밸브 수용 보어
Y2: 밸브 수용 보어
Y3: 밸브 수용 보어
Y4: 밸브 수용 보어
Z1: 밸브 수용 보어
Z2: 밸브 수용 보어
Z3: 밸브 수용 보어
Z4: 밸브 수용 보어
W1: 압력 센서 수용 보어
W2: 압력 센서 수용 보어
W3: 압력 센서 수용 보어
W4: 압력 센서 수용 보어
W5: 압력 센서 수용 보어
X: 밸브열
Y: 밸브열
Z: 밸브열
B1: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
B2: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
A1: 하우징 표면
A2: 하우징 표면
A3: 하우징 표면
A4: 하우징 표면
R1: 휠 브레이크 연결부
R2: 휠 브레이크 연결부
R3: 휠 브레이크 연결부
R4: 휠 브레이크 연결부

Claims (13)

  1. 수용 부재를 포함하는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의 제 1 하우징 표면 안으로 수 개의 밸브열로 배열된 수 개의 밸브 수용 보어가 열려있고, 수 개의 흡입 밸브들은 제 1 밸브열에 배치되고, 수 개의 배출 밸브들은 제 2 밸브열에 배치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분리 밸브는 제 3 밸브열에 배치되고, 제 2 하우징 표면 안으로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 및/또는 하나의 휠 브레이크 연결부가 열려있고, 상기 수용 부재 안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부재 안으로 열린 밸브 수용 보어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향하는 펌프 수용 보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부재 안에 배치되고 펌프 수용 보어를 향하는 모터 수용 보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부재 안으로 열려있고, 배출 밸브들을 수용하는 제 2 밸브열 가까이 배치된 축압기 수용 보어를 포함하고, 밸브 수용 보어, 펌프 수용 보어, 그리고 축압기 수용 보어들을 연결하여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와 휠 브레이크 연결부 사이에 유압 연결을 이룰 수 있는 수개의 채널을 포함하는 상기 유압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 3 밸브열 (Z) 은 제 1 및 제 2 밸브열 (X,Y)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열 (X) 은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및 휠 브레이크 연결부 (B1, B2, R1-R4) 바로 옆에서 수용 부재 (2) 안으로 열려있고, 제 2 밸브열 (Y) 은 상기 제 3 밸브열 (Z) 과 상기 축압기 수용 보어 (6) 사이에서 수용 부재 (2) 안으로 열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 (B1, B2) 가 공급 채널 (1) 의 제 1 부분 (1a) 을 통해 분리 밸브를 수용하는 제 3 밸브열 (Z) 의 밸브 수용 보어 (Z2) 에 연결되고, 경사 채널로서 반경방향으로 또는 접선방향으로 밸브 수용 보어 (Z2) 안으로 열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맥동 감쇠기 보어 (3) 가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 (B1, B2) 와 제 3 밸브열 (Z) 사이에서 수용 부재 (2) 안으로 열려있고, 상기 맥동 감쇠기 보어 (3) 는 공급 채널 (1) 에 연결되고 수용 부재 (2) 안에서 제 1 하우징 표면 (A1) 에 마주하여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채널 (1) 은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전환 밸브가 삽입되는 제 3 밸브열 (Z) 의 추가의 밸브 수용 보어 (Z1) 에 이어진 제 2 부분 (1b)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수용 부재 (2) 에 있는 공급 채널 (1) 의 양 부분(1a, 1b) 의 길이는 브레이크 압력 발생기 연결부 (B1, B2) 로부터 제 3 밸브열 (Z) 까지의 거리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
  7. 제 5 항에 있어서, 전환 밸브가 삽입되는 제 3 밸브열 (Z) 의 추가의 밸브 수용 보어 (Z1) 에 흡입 채널 (4) 이 연결되고, 수용 부재 (2) 안의 상기 흡입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앵귤러 채널로서 펌프 수용 보어 (5) 에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채널 (4) 의 길이는 펌프 수용 보어 (5) 로부터 제 3 밸브열 (Z) 까지의 거리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수용 보어 (5) 는 흡입 채널 (4) 에 의해 축압기 수용 보어 (6) 의 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흡입 채널 (4) 은 축압기 수용 보어 (6) 의 바닥 내로 열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펌프 수용 보어 (5) 의 방향으로 열린 논-리턴(non-return) 밸브가 펌프 수용 보어 (5) 와 축압기 수용 보어 (6)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흡입 채널 (4) 의 일부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
  11. 제 9 항에 있어서, 제 2 밸브열 (Y) 의 배출 밸브를 수용하고 축압기와 펌프 수용 보어 (6,5) 사이의 수용 부재 (2) 안으로 열려있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수용 보어 (Y2) 에 연결되는 복귀 채널 (7) 이 축압기 수용 보어 (6) 의 바닥 안으로 열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 채널 (4) 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압력 채널 (8) 이 반경방향 또는 접선방향으로 펌프 수용 보어 (5) 안으로 열려있고, 상기 압력 채널은 압력 감쇠 챔버 (9) 를 통해서 흡입 밸브를 수용하는 제 1 밸브열의 밸브 수용 보어 (X1, X2) 또는 (X3, X4)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 감쇠 챔버 (9) 는 펌프 수용 보어 (5) 와 제 1 밸브열 (X) 의 밸브 수용 보어 (X1, X2) 또는 (X3, X4) 각각의 사이에서 수용 부재 (2) 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밸브열 (Y) 가까이에서, 압력 센서열 (W) 의 압력 센서 수용 보어 (W1~W5) 가 수용 부재 (2) 의 제 1 하우징 표면 (A1) 안으로 열려있고, 휠 압력 채널 (12) 에 연결된 수개의 압력 센서 채널 (10) 을 통하여 제 1 밸브열 (X) 의 밸브 수용 보어 (X1~X4) 및 전환 밸브를 수용하는 제 3 밸브열 (Z) 의 밸브 수용 보어 (Z2) 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
KR1020057025030A 2003-06-26 2004-06-02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 KR101042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28808 2003-06-26
DE10328808.2 2003-06-26
DE10339882A DE10339882A1 (de) 2003-06-26 2003-08-29 Hydraulikaggregat für schlupfgeregelte Bremsanlagen
DE10339882.1 2003-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741A true KR20060033741A (ko) 2006-04-19
KR101042875B1 KR101042875B1 (ko) 2011-06-20

Family

ID=3354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030A KR101042875B1 (ko) 2003-06-26 2004-06-02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96553A1 (ko)
EP (1) EP1641666B1 (ko)
KR (1) KR101042875B1 (ko)
DE (1) DE502004004743D1 (ko)
WO (1) WO20041131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306A (ko) *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1843B2 (en) * 2003-10-10 2008-10-2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Hydraulic unit
DE102007053174A1 (de) * 2007-06-13 2008-12-2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Hydraulikaggregat für schlupfgeregelte Bremsanlagen
DE102007031308A1 (de) * 2007-07-05 2009-01-08 Robert Bosch Gmbh Hydroaggregat zur Regelung des Bremsdrucks in einer Fahrzeugbremsanlage
DE102007047124A1 (de) * 2007-10-02 2009-04-09 Robert Bosch Gmbh Hydroaggregat für eine schlupfregelbar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DE102008029536B4 (de) * 2008-04-28 2023-07-20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Hydraulikaggregat
DE102008037047A1 (de) * 2008-05-15 2009-11-1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Hydraulikaggregat
US8814280B2 (en) * 2011-12-07 2014-08-26 Chung-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rmaments, Bureau,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Proportionally controllable hydraulic brake system
DE102012209218A1 (de) * 2012-05-31 2013-12-05 Robert Bosch Gmbh Hydraulikblock für ein Hydroaggregat einer schlupfgeregelten, hydraulischen Fahrzeugbremsanlage
CN104936838B (zh) * 2013-01-25 2017-05-03 日本奥托立夫日信制动器系统株式会社 车辆用制动液压控制装置
US9428165B1 (en) * 2015-05-14 2016-08-30 Mando Corporation Hydraulic unit of electronic control brake system
KR102546036B1 (ko) 2016-03-28 2023-06-22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밸브블록
DE102017203752A1 (de) * 2017-03-08 2018-09-13 Robert Bosch Gmbh Hydraulikblock für ein Hydraulikaggregat einer Schlupfregelung einer hydrauli-schen Fahrzeugbremsanlage
KR102440009B1 (ko) * 2018-03-16 2022-09-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제동장치
DE102018221082A1 (de) * 2018-12-06 2020-06-10 Robert Bosch Gmbh Quaderförmiger Hydraulikblock für ein Hydraulikaggregat einer Schlupfregelung einer hydraulischen Fahrzeugbremsanlag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0799B1 (de) * 1997-11-14 2002-09-2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Hydraulikaggregat für schlupfgeregelte bremsanlagen
JP2002509838A (ja) * 1998-03-31 2002-04-02 コンティネンタル・テーベ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ウント・コンパニー・オッフェネ・ハンデルスゲゼルシヤフト 圧力センサユニット
JP3932710B2 (ja) * 1998-12-12 2007-06-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液圧制御ユニット
DE10145540A1 (de) * 2001-03-29 2003-02-2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Drucksensorbaugruppe
US7204566B2 (en) * 2001-04-17 2007-04-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Hydraulic braking pressure control un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306A (ko) *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96553A1 (en) 2007-05-03
DE502004004743D1 (de) 2007-10-04
WO2004113142A1 (de) 2004-12-29
EP1641666B1 (de) 2007-08-22
KR101042875B1 (ko) 2011-06-20
EP1641666A1 (de)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875B1 (ko) 미끄럼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유압 유닛
US6688707B1 (en) Hydraulic aggregate
US7500725B2 (en) Hydraulic braking pressure control unit
US8500218B2 (en) Hydraulic system
CN101827736B (zh) 用于带防滑控制的制动系统的液压单元
JP4369617B2 (ja) スリップコントロール式ブレーキ装置用の液圧装置
US20080106145A1 (en) Hydraulic Unit
CN102015391B (zh) 液压系统
KR102006497B1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KR100530964B1 (ko) 슬립 제어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 장치
US9688256B2 (en) Hydraulic block for a hydraulic unit
KR100629659B1 (ko) 유압 기기 집합체
JP4718456B2 (ja) スリップ制御ブレーキシステム用液圧ユニット
US6869152B2 (en) Hydraulic unit
KR20150091062A (ko) 슬립 조절 유압식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 어셈블리용 유압 블록, 그리고 유압식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
US9470247B2 (en) Hydraulic block for a slip-controlled vehicle brake system
US10864896B2 (en) Hydraulic block for a hydraulic assembly of a slip control system of a hydraulic vehicle brake system
US7018003B2 (en) Hydraulic unit for slip-controlled brake systems
US8128180B2 (en) Hydraulic brake system
US7441843B2 (en) Hydraulic unit
CN112566823A (zh) 用于液压制动系统的阀块
US20040056529A1 (en) Hydraulic unit for anti-slip brake systems
JP2001191908A (ja)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JP2006527133A (ja) 液圧ユニット
KR20210128744A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