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3040A - 일회용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3040A
KR20060033040A KR1020067003298A KR20067003298A KR20060033040A KR 20060033040 A KR20060033040 A KR 20060033040A KR 1020067003298 A KR1020067003298 A KR 1020067003298A KR 20067003298 A KR20067003298 A KR 20067003298A KR 20060033040 A KR20060033040 A KR 20060033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rticle
trunk
fixing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7261B1 (ko
Inventor
도시후미 오츠보
도모코 스기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3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2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02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including dispos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Indole Compounds (AREA)

Abstract

착용 중에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연결이 떨어져 버리는 일이 없는 일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한다. 일회용 착용 물품(1A)은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4, 6)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5)을 지니고,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양측부(10)의 내면에 세로 방향으로 뻗는 결합 부재(11)가 부착되고 있다. 물품(1A)에서는, 결합 부재(11)가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측부(10)에 고착된 고정부(18)와 고정부(18)로부터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가로 방향 중앙으로 향하여 뻗는 제1 자유부(19)를 지니며, 메카니컬 파스너 중의 훅(20)이 제1 자유부(19)의 내면에 형성되어, 결합 부재(11)를 통해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양측부(10)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내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착용 물품{DISPOSABLE WEARING ARTICLE}
본 발명은 배설물을 흡수, 유지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전방 몸통 둘레 영역 및 후방 몸통 둘레 영역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지니고,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에 세로 방향으로 뻗는 양면 점착 테이프가 부착되어,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가 합장형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측부끼리가 이들 점착 테이프를 통해 연결된 일회용 기저귀가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물품에는, 몸통 둘레 개구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자나 개호자는 착용자의 양다리를 몸통 둘레 개구로부터 다리 둘레 개구로 통과시켜, 물품을 착용자의 몸통부로 끌어 올려, 물품을 착용자에게 장착한다.
또한, 전방 몸통 둘레 영역 및 후방 몸통 둘레 영역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지니고,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에 세로 방향으로 뻗는 결합 부재가 부착되어, 이들 결합 부재를 통해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를 연결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결합 부재의 한 쪽은 메카니컬 파스너 중의 훅이며, 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의 외면에 부착되고 있다. 결합 부재의 다른 쪽은 메카니컬 파스너 중의 루프이며, 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의 내면에 부착되고 있다. 보호자나 개호자가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물품을 착용자에게 장착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보호자나 개호자는 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 외면에 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 내면을 겹치게 하여, 훅과 루프를 결합시켜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끼리를 연결한다.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이 연결된 물품에는 몸통 둘레 개구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가 형성된다. 보호자나 개호자는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을 연결한 후, 착용자의 양다리를 몸통 둘레 개구에서 다리 둘레 개구로 통과시켜, 물품을 착용자의 몸통부로 끌어 올린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4-8905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6-55623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물품은, 양면 점착 테이프를 통해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을 연결한 장착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몸통부에 의해서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가 몸통 둘레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 이들 점착 테이프를 서로 이격시키는 박리력이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에 작용한다. 이 물품에서는, 점착 테이프끼리의 접착력이 약하면, 물품의 착용 중에,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에 작용하는 박리력에 의해서 점착 테이프끼리 용이하게 박리되어,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연결이 부주의하게 떨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물품은, 이들 결합 부재를 통해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을 연결한 장착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몸통부에 의해서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가 몸통 둘레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 훅과 루프가 강하게 얽혀, 물품의 사용 후에 훅과 루프의 결합을 해제하려고도, 훅과 루프의 결합력이 강해, 이들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 중에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연결이 떨어져 버리는 일이 없고, 사용 후에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의 연결을 용이하게 벗길 수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제는, 전방 몸통 둘레 영역 및 후방 몸통 둘레 영역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지니고, 상기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 중 어느 한 쪽의 양측부의 내면에 세로 방향으로 뻗는 결합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결합 부재를 통해 상기 양측부를 이들 영역의 내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이다.
상기 전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에 고착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가로 방향 중앙으로 향해서 뻗는 제1 자유부를 지니고, 상기 제1 자유부의 내면에, 메카니컬 파스너 중의 훅이 배치되어 있거나 혹은 점착 파스너의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로서는,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 메카니컬 파스너 중의 훅이 배치되어 있거나 혹은 점착 파스너의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자유부의 반대측에 그 고정부에서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가로 방향 바깥쪽으로 향해서 뻗는 제2 자유부를 지니고, 상기 제2 자유부의 내면에, 메카니컬 파스너 중의 훅이 배치되어 있거나 혹은 점착 파스너의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결합 부재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가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의 그것과 거의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가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 중의 적어도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에 의하면, 결합 부재의 자유부를 몸통 둘레 영역의 내면에 결합시킨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에 이들을 서로 떼어놓는 힘이 작용했다고 해도, 그 힘이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와 결합 부재에 전단력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결합 부재의 자유부가 몸통 둘레 영역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려워, 물품의 착용 중에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연결이 부주의하게 떨어져 버리는 일이 없다. 이 착용 물품은 착용자의 몸통부의 조임 상태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몸통 둘레 치수의 여하에 관계없이, 착용자의 몸통부를 충분히 조일 수 있어, 착용 중에 물품이 틀어져 내려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착용 물품은 결합 부재에 의해서 물품이 접어진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물품을 접은 상태 그대로 폐기할 수 있다.
결합 부재의 고정부의 내면에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이 배치되어 있거나 혹은 점착 파스너의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착용 물품에서는, 결합 부재의 고정부 및 자유부를 몸통 둘레 영역의 내면에 결합시킨 장착 상태와 결합 부재의 고정부 및 자유부를 몸통 둘레 영역의 외면에 결합시킨 장착 상태의 양자에 있어서,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에 이들을 서로 떼어놓는 힘이 작용했다고 해도, 그 힘이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와 결합 부재에 전단력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결합 부재의 고정부 및 자유부가 몸통 둘레 영역의 내외면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려워, 물품의 착용 중에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연결이 부주의하게 떨어져 버리는 일이 없다.
결합 부재가 고정부 및 제1 자유부뿐만 아니라 제2 자유부를 지니고, 제2 자유부의 내면에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이 배치되어 있거나 혹은 점착 파스너의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착용 물품에서는, 제2 자유부가 몸통 둘레 영역의 내외면에 결합하기 때문에, 몸통 둘레 영역과 결합 부재의 결합을 한층 더 강고하게 할 수 있다. 이 물품은 결합 부재의 제2 자유부가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 또는 점착 파스너의 점착제를 통해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 외면에 결합하기 때문에, 고정부에 박리력이 작용하려고 해도, 박리력이 제2 자유부에 의해서 억제되어, 고정부에 박리력이 작용하기 어렵다.
결합 부재의 세로 방향 길이 치수가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의 그것과 거의 동일한 착용 물품에서는, 결합 부재를 몸통 둘레 영역에 결합시켰을 때에, 한 쪽의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의 세로 방향 길이 치수의 거의 전체를 다른 쪽의 몸통 둘레 영역에 결합시킬 수 있어,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을 확실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례로서 도시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 화살 표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선 화살 표시 단면도이다.
도 5는 착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1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착용 상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 1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도 9는 폐기하기 위해서 접은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일례로서 도시하는 착용 물품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XII-XII선 화살 표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XIII-XIII선 화살 표시 단면도이다.
도 14는 착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10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착용 상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 10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XVII-XVII선 단면도이다.
도 18은 다른 일례로서 도시하는 물품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0의 XI-XI선 단면도이다.
도 20은 착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18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XXI-XXI선 단면도이다.
도 22는 착용 상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 18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XXIII-XXIII선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A : 일회용 착용 물품 1B : 일회용 착용 물품
1C : 일회용 착용 물품 2 : 불투액성 외측 시트
3 : 적층 패널 4 : 전방 몸통 둘레 영역
5 : 가랑이 영역 6 : 후방 몸통 둘레 영역
7 : 양단부 8 : 양측부
9 : 양측부 10 : 양측부
11 : 결합 부재 12 : 섬유 부직포
13 : 섬유 부직포 14 : 제1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
15 : 제2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 16 :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
18 : 고정부 19 : 제1 자유부
20 : 훅(점착제) 21 : 투액성 표면 시트
22 : 불투액성 이면 시트 23 : 흡액성 코어
26 : 액저항성 샘 방지 시트 36 : 제2 자유부
S1 : 길이 치수 S2 : 길이 치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는 일례로서 도시하는 착용 물품(1A)의 부분 파단 사시도와,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며, 도 3, 도 4는 도 1의 III-III선 화살 표시 단면도와, 도 1의 IV-IV선 화살 표시 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K, 세로 방향을 화살표 L로 나타내고, 두께 방향을 화살표 M으로 나타낸다. 한편, 외측 시트(2)나 결합 부재(11), 표리면 시트(21, 22)의 내면이란 착용자의 피부에 대향하는 면을 말하며, 이들의 외면이란 착용자의 피부에 비대향인 면을 말한다.
물품(1A)은 그 외관 형상을 형성하는 불투액성 외측 시트(2)와, 외측 시트(2)의 내면에 부착된 적층 패널(3)로 구성되어 있다. 물품(1A)은 세로 방향으로 전방 몸통 둘레 영역(4) 및 후방 몸통 둘레 영역(6)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4, 6)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5)을 지니고,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에서 가로 방향으로 뻗는 양단부(7)와,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뻗는 양측부(8, 9, 10)를 갖는다.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양측부(8, 10)는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가 거의 동일하다.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양측부(10)에는 결합 부재(11)가 부착되고 있다.
외측 시트(2)는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과 가랑이 영역(5)을 구획하는 동시에, 양단부(7)와 양측부(8, 9, 10)를 구획한다. 외측 시트(2)는 서로 겹치는 2 장의 비신축성 또 소수성 섬유 부직포(12, 13)를 접합한 복합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부직포(12, 13)는 이들의 대향면이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단속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외측 시트(2)는 가랑이 영역(5)으로 뻗는 양측연부가 물품(1A)의 가로 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호를 그려, 그 평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모래시계형을 띤다. 외측 시트(2)에는 복수 라인의 제1 및 제2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4, 15)와 복수 라인의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16)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고 있다. 외측 시트(2)에는 이들 탄성 부재(14, 15, 16)의 수축에 의해서 다수의 개더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4)는 양단부(7)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뻗고 있다. 제1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1)는 실 모양을 띠며, 그 복수 라인이 세로 방향으로 거의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늘어서 있다. 제2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5)는 제1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4)와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16) 사이에 위치하여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에서 가로 방향으로 뻗고 있다. 제2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5)는 실 모양을 띠며, 그 복수 라인이 세로 방향으로 거의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늘어서 있다.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16)는 실 모양을 띠며, 양측부(8, 9, 10)에 위치하여 가랑이 영역(5)에서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으로 향하여 세로 방향으로 뻗고 있다. 이들 탄성 부재(14, 15, 16)는, 외측 시트(2)를 형성하는 부직포(12, 13)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 부직포(12, 13)의 대향면에 단속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부직포(12, 13)와 이들 탄성 부재(14, 15, 16)를 고착할 때에는, 탄성 부재(14, 15, 16)를 소정의 배율로 신장시킨 상태에 있다.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 (4, 6)의 양측부(8, 10)는 제1 및 제2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4, 15)에 의해서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
결합 부재(11)는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양측부(10)의 내면에 위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뻗고 있다. 결합 부재(11)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보이며,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S2)가 측부(10)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S1)와 거의 동일하다(도 4 참조). 결합 부재(11)는 측부(10)의 측연부(17) 및 그 근방에 고착되어 세로 방향으로 뻗는 고정부(18)와, 고정부(18)와 병행하여 고정부(18)로부터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가로 방향 중앙으로 향해서 뻗는 자유부(19)를 갖는다.
고정부(18)는 그 외면이 외측 시트(2)(부직포(12))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고정부(18)는 상측 부분(18a)이 제1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4)의 가로 방향 양단부(14a)에 겹치고, 중앙 부분(18b)이 제2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5)의 가로 방향 양단부(15a)에 겹치는 동시에, 하측 부분(18c)이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16)의 세로 방향 단부(16a)에 겹치고 있다(도 4 참조). 자유부(19)는 외측 시트(2)에 고착되어 있지 않다. 자유부(19)의 내면 전체에는 메카니컬 파스너 중의 훅(20)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자유부(19)의 내면 전체에는 훅(20)이 배치되는 대신에, 점착 파스너의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더라도 좋다.
결합 부재(11)에서는, 고정부(18)의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S4)가 결합 부재(11)의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S3)의 거의 반이며, 자유부(19)의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S5)가 결합 부재(11)의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S3)의 거의 반이다(도 2 참조). 결합 부재(11)에서는, 고정부(18)의 외측연부(18d)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함으로 인한 불쾌한 자극을 막기 위해서, 외측연부(18d)가 측부(10)의 측연부(17)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패널(3)은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21)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22)와, 표리면 시트(21, 22)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23)로 형성되어 있다. 패널(3)은 물품(1A)의 착용 중에 배설된 배설물을 흡수, 유지한다. 패널(3)은 그 평면 형상이 대략 직시각형을 보이며,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 사이로 뻗고 있다. 패널(3)은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을 가로 방향으로 뻗는 양단부(24)와,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 사이를 세로 방향으로 뻗는 양측부(25)를 갖는다. 패널(3)에서는, 그것을 형성하는 이면 시트(22)의 외면이 외측 시트(2)(부직포(12))의 내면에 단속적 또는 연속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패널(3)의 양측부(25)에는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뻗는 한 쌍의 액저항성 샘 방지 시트(26)가 부착되고 있다.
표면 시트(21)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27)로 형성되고, 이면 시트(22)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28)로 형성되어 있다. 코어(23)는 표리면 시트(21, 22) 중의 적어도 한 쪽에 고착되어 있다. 코어(23)는 입자형이나 섬유형의 고흡수성 폴리머와 플러프 펄프의 혼합물, 또는 입자형이나 섬유형의 고흡수성 폴리머와 플러프 펄프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의 혼합물이며, 소정의 두께로 압축되어 있다. 코어(23)는 그 형태 붕괴나 폴리머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체가 티슈 페이퍼나 친수성 섬유 부직포 등의 투액성 시트에 싸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에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 합성 폴리머계를 사용할 수 있다.
양단부(24)는 코어(23)의 단연부(23a)에서 세로 방향 바깥쪽으로 뻗는 표리면 시트(21, 22)의 단부(21a, 22a)로 형성되어 있다. 양단부(24)에서는, 표리면 시트(21, 22)의 단부(21a, 22a)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이들 시트(21, 22)의 내외면이 고착되어 있다. 양측부(25)는 코어(23)의 측연부(23b)에서 가로 방향 바깥쪽으로 뻗는 표리면 시트(21, 22)의 측부(21b, 22b)로 형성되어 있다. 양측부(25)에서는, 표리면 시트(21, 22)의 측부(21b, 22b)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이들 시트(21, 22)의 내외면이 고착되어 있다.
샘 방지 시트(26)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29)로 형성되어 있다. 샘 방지 시트(26)는 패널(3)의 양측부(25)와 병행하여 세로 방향으로 뻗는 고정측부(26a)와, 고정측부(26a)와 병행하여 세로 방향으로 뻗는 가동부(26b)와, 가동부(26b)의 세로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고정 양단부(26c)를 갖는다. 고정측부(26a)는 외측 시트(2)와 이면 시트(22) 사이에 개재하며, 외측 시트(2)(부직포(12))의 내면과 이면 시트(22)의 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가동부(26b)의 상측에는 세로 방향으로 뻗는 신축성 탄성 부재(30)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고 있다. 탄성 부재(30)는 실 모양을 띠며, 가동부(26b)의 일부에 덮인 상태로, 가동부(26b)에 고착되어 있다. 고정 양단부(26c)는 패널(3)의 양단부(25)에 위치하며, 물품(1A)의 가로 방향 안쪽으로 쓰러진 상태로 표면 시트(21)의 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샘 방지 시트(26)에서는, 물품(1A)이 패널(3)을 내측으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만곡하면, 탄성 부재(30)가 수축하여 가동부(26b)가 표면 시트(21)의 상측으로 기립하여, 가동부(26b)가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한다.
도 5, 도 6은 착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1의 물품(1A)의 사시도와, 도 5의 VI-VI선 단면도이며, 도 7, 도 8은 착용 상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 1의 물품(1A)의 사시도와, 도 7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도 5, 도 7에서는 몸통 둘레 방향을 화살표 N으로 나타낸다.
보호자나 개호자가 착용자에게 물품(1A)을 장착하는 제1 순서는 다음과 같다. 보호자나 개호자는,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측부(10) 내면을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 내면에 겹쳐, 결합 부재(11)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 내면에 압박한다. 결합 부재(11)를 측부(8)의 내면에 압박하면, 훅(20)이 외측 시트(2)를 형성하는 부직포(12)의 섬유에 걸려 멈춰, 결합 부재(11)의 자유부(19)가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 내면에 결합하여,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측부(8, 10)끼리를 연결할 수 있다(도 5 참조).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이 연결된 물품(1A)에는, 몸통 둘레 개구(31)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32)가 형성된다. 보호자나 개호자는,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을 연결한 후, 착용자의 양다리를 몸통 둘레 개구(31)에서 다리 둘레 개구(32)로 통과시켜, 물품(1A)을 착용자의 몸통부로 끌어올린다.
물품(1A)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것을 장착한 착용자의 몸통부에 의해서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측부(8, 10)가 화살표 N1로 나타내는 몸통 둘레 방향으로 잡아당겨져,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측부(8, 10)에 이들을 서로 떼어놓는 힘이 작동했다고 해도, 그 힘이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와 결합 부재(11)에 박리력으로서 작용하는 일이 없고, 화살표 N2로 나타내는 것과 같 이 전단력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훅(20)이 외측 시트(2)의 내면으로부터 떨어지기 어렵다. 고로, 물품(1A)은 그 착용 중에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연결이 부주의하게 떨어져 버리는 일이 없다.
보호자나 개호자가 착용자에게 물품(1A)을 장착하는 제2 순서는 다음과 같다. 보호자나 개호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의 순서로 물품(1A)을 착용자에게 장착한 후,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에 의한 착용자의 몸통부의 조임이 불충분한 경우,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와 결합 부재(11)의 결합을 해제하여,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연결을 벗긴다. 이어서,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측부(10) 내면을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의 소요 부위 외면에 겹치게 하여, 결합 부재(11)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외면에 압박한다. 결합 부재(11)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외면에 압박하면, 훅(20)이 외측 시트(2)를 형성하는 부직포(13)의 섬유에 걸려 멈춰, 결합 부재(11)의 자유부(19)가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외면에 결합하여,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의 소요 부위와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측부(10)를 연결할 수 있다(도 7 참조). 보호자나 개호자는, 결합 부재(11)를 통해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측부(10)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의 소요 부위에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몸통 둘레 치수에 맞춰 물품(1A)의 몸통 둘레 방향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물품(1A)은 도 5의 장착 상태에서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와 결합 부재(11)의 결합을 해제하여, 결합 부재(11)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의 소요 부위 외면에 다시 결합시킴으로써,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에 의한 착용자의 몸통부의 조임 상태를 바꿀 수 있다. 물품(1A)은 착용자의 몸통 둘레 치수의 여하에 관계없이, 착용자의 몸통부를 충분히 조일 수 있어, 착용 중에 물품(1A)이 틀어져 내려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물품(1A)은 결합 부재(11)의 고정부(18)의 상측 부분(18a)과 중앙 부분(18b)이 제1 및 제2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4, 15)의 가로 방향 양단부(14a, 15a) 상에 위치하고, 고정부(18)의 하측 부분(18c)이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16)의 세로 방향 단부(16a) 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결합 부재(11)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의 소요 부위 외면에 결합시켰을 때에, 결합 부재(11)에 연동하여 탄성 부재(14, 15)가 가로 방향으로 잡아당겨져 신장하는 동시에, 탄성 부재(16)가 세로 방향으로 잡아당겨져 신장하여, 이들 탄성 부재(14, 15, 16)의 수축력을 충분히 이용하여 착용자의 몸통부와 다리부를 조일 수 있다. 물품(1A)은 이들 탄성 부재(14, 15, 16)의 수축력을 이용하여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을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물품(1A)은 결합 부재(11)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S2)가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측부(10)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S1)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결합 부재(11)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 내면이나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의 소요 부위 외면에 결합시켰을 때에, 측부(10)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S1)의 거의 전체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에 결합시킬 수 있다. 물품(1A)은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측부(10)의 일부분이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에 연결된 경우와 비교하여,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을 확실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도 9는 폐기하기 위해서 접은 물품(1A)의 사시도이다. 사용한 후의 물품(1A)을 폐기하는 일례는 다음과 같다. 보호자나 개호자는, 결합 부재(11)와 전방 몸통 둘레 영역(4)과의 결합을 해제하여, 착용자로부터 물품(1A)을 벗긴 후, 물품(1A)의 가랑이 영역(5)을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외면으로 향하여 접어 구부리고,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양측부(10)를 가랑이 영역(5)의 가로 방향 중앙으로 향하여 잡아당겨,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양측부(10)를 가랑이 영역(5)의 소요 부위 외면에 압박한다. 측부(10)를 가랑이 영역(5)에 압박하면, 훅(20)이 외측 시트(2)를 형성하는 부직포(13)의 섬유에 걸려 멈춰, 결합 부재(11)의 자유부(19)가 가랑이 영역(5)의 외면에 결합한다. 물품(1A)은 결합 부재(11)에 의해서 물품(1A)이 접어진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물품(1A)을 접은 상태 그대로 폐기할 수 있다. 물품(1A)은 결합 부재(11)에 의해서 몸통 둘레 개구(31)와 다리 둘레 개구(32)의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배설물이 몸통 둘레 개구(31)나 다리 둘레 개구(32)로부터 물품(1A)의 바깥쪽으로 새어 나오거나, 배설물의 악취가 몸통 둘레 개구(31)나 다리 둘레 개구(32)로부터 물품(1A)의 바깥쪽으로 새는 일은 없다.
도 10, 도 11은 다른 일례로서 도시하는 착용 물품(1B)의 부분 파단 사시도와, 도 10의 XI-XI선 단면도이며, 도 12, 도 13은 도 10의 XII-XII선 화살 표시 단면도와, 도 10의 XIII-XIII선 화살 표시 단면도이다. 도 10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K, 세로 방향을 화살표 L로 나타내고, 두께 방향을 화살표 M으로 나타낸다.
물품(1B)은 불투액성 외측 시트(2)와, 외측 시트(2)의 내면에 부착된 적층 패널(3)로 구성되어 있다. 물품(1B)은 세로 방향으로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 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4, 6)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5)을 구비하며, 가로 방향으로 뻗는 양단부(7)와, 세로 방향으로 뻗는 양측부(8, 9, 10)를 갖는다. 양측부(8, 10)는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가 거의 동일하다.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양측부(10)에는 결합 부재(11)가 부착되고 있다.
외측 시트(2)는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과 가랑이 영역(5)을 구획하는 동시에, 양단부(7)와 양측부(8, 9, 10)를 구획한다. 외측 시트(2)는 서로 겹치는 2장의 신축성 또 소수성 섬유 부직포(33, 34)를 접합한 신축성 복합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부직포(33, 34)는 이들의 대향면이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단속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외측 시트(2)는 가랑이 영역(5)으로 뻗는 양측연부가 물품(1B)의 가로 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호를 그려, 그 평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모래시계형을 띤다. 외측 시트(2)에는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35)와 복수 라인의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16)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고 있다.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35)는 띠 형상을 보이며, 양단부(7)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뻗고 있다.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16)는 실 모양을 띠며, 양측부(8, 9, 10)에 위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뻗고 있다. 이들 탄성 부재(16, 35)는 외측 시트(2)를 형성하는 부직포(33, 34)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부직포(33, 34)의 대향면에 단속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부직포(33, 34)와 이들 탄성 부재(16, 35)를 고착할 때에는, 탄성 부재(16, 35)를 소정의 배율로 신장시킨 상태에 있다.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양측부(8, 10)는, 외측 시트(2)의 신축성에 의해서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 중의 적어도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
결합 부재(11)는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양측부(10)의 내면에 위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뻗고 있다. 결합 부재(11)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띠며,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S2)가 측부(10)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S1)와 거의 동일하다(도 13 참조). 결합 부재(11)는 측부(10)의 측연부(17) 및 그 근방에 고착되어 세로 방향으로 뻗는 고정부(18)와, 고정부(18)와 병행하여 고정부(18)로부터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가로 방향 중앙으로 향해서 뻗는 자유부(19)를 갖는다.
고정부(18)는 그 외면이 외측 시트(2)(부직포(33))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자유부(19)는 외측 시트(2)에 고착되어 있지 않고, 시트(2)로부터 유리되어 있다. 고정부(18)의 내면 전체와 자유부(19)의 내면 전체는 메카니컬 파스너 중의 훅(20)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고정부(18)의 내면 전체와 자유부(19)의 내면 전체에는 훅(20)이 배치되는 대신에, 점착 파스너의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더라도 좋다.
결합 부재(11)에서는, 고정부(18)의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S4)가 결합 부재의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S3)의 거의 반이며, 자유부(19)의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S5)가 결합 부재의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S3)의 거의 반이다(도 11 참조). 고정부(18)의 외측연부(18d)가 측부(10)의 측연부(17)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패널(3)은 투액성 표면 시트(21) 및 불투액성 이면 시트(22)와, 표리면 시트(21, 22)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시트(21, 22)에 접합된 흡액성 코어(23)로 형성되어 있다. 패널(3)은 배설물을 흡수, 유지한다. 패널(3)은 그 평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을 보이며,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 사이로 뻗고 있다. 패널(3)은 가로 방향으로 뻗는 양단부(24)와, 세로 방향으로 뻗는 양측부(25)를 갖는다. 패널(3)에 서는, 이면 시트(22)의 외면이 외측 시트(2)(부직포(33))의 내면에 단속적 또는 연속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패널(3)의 양측부(25)에는 세로 방향으로 뻗는 한 쌍의 액저항성 샘 방지 시트(26)가 부착되어 있다. 표리면 시트(21, 22)는 물품(1A)의 그것과 동일한 친수성 섬유 부직포(27) 및 소수성 섬유 부직포(28)로 형성되어 있다. 코어(23)는 물품(1A)의 그것과 동일하다.
양단부(24)는 코어(23)의 단연부(23a)에서 세로 방향 바깥쪽으로 뻗는 표리면 시트(21, 22)의 단부(21a, 22a)로 형성되어 있다. 양단부(24)에서는 표리면 시트(21, 22)의 단부(21a, 22a)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양측부(25)는 코어(23)의 측연부(23b)에서 가로 방향 바깥쪽으로 뻗는 표리면 시트(21, 22)의 측부(21b, 22b)로 형성되어 있다. 양측부(25)에서는 표리면 시트(21, 22)의 측부(21b, 22b)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샘 방지 시트(26)는 물품(1A)의 그것과 동일한 소수성 섬유 부직포(29)로 형성되어 있다. 샘 방지 시트(26)는 세로 방향으로 뻗는 고정측부(26a)와, 세로 방향으로 뻗는 가동부(26b)와, 가동부(26b)의 세로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고정 양단부(26c)를 갖는다. 고정측부(26a)는 외측 시트(2)와 이면 시트(22) 사이에 개재하며, 외측 시트(2)(부직포(33))의 내면과 이면 시트(22)의 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가동부(26b)의 상측에는 세로 방향으로 뻗는 신축성 탄성 부재(30)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고 있다. 가동부(26b)는 탄성 부재(30)의 수축에 의해서 표면 시트(21)의 상측으로 기립하여,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한다. 고정 양단부(26c)는 패널(3)의 양단부(24)에 위치하여, 물품(1B)의 가로 방향 안쪽으로 쓰러진 상태로 표면 시트 (21)의 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도 14, 도 15는 착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10의 물품(1B)의 사시도와, 도 14의 XV-XV선 단면도이며, 도 16, 도 17은 착용 상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 10의 물품(1B)의 사시도와, 도 16의 XVII-XVII선 단면도이다. 도 14, 도 16에서는 몸통 둘레 방향을 화살표 N으로 나타낸다. 한편, 이 물품(1B)의 폐기 순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물품(1A)의 그것과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보호자나 개호자가 착용자에게 물품(1B)을 장착하는 제1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보호자나 개호자는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측부(10) 내면을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 내면에 겹쳐, 결합 부재(11)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 내면에 압박한다. 결합 부재(11)를 측부(8)의 내면에 압박하면, 훅(20)이 외측 시트(2)를 형성하는 부직포(33)의 섬유에 걸려 멈춰, 결합 부재(11)의 고정부(18)와 자유부(19)가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 내면에 결합하여,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측부(8, 10)끼리를 연결할 수 있다(도 14 참조).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이 연결된 물품(1B)에는 몸통 둘레 개구(31)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32)가 형성된다. 보호자나 개호자는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을 연결한 후, 착용자의 양다리를 몸통 둘레 개구(31)에서 다리 둘레 개구(32)로 통과시켜, 물품(1B)을 착용자의 몸통부로 끌어올린다.
물품(1B)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것을 장착한 착용자의 몸통부에 의해서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측부(8, 10)가 화살표 N1로 나타내는 몸통 둘레 방향으로 잡아당겨져,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측부(8, 10)에 이들을 서 로 떼어놓는 힘이 작동했다고 해도, 그 힘이 화살표 N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와 결합 부재(11)에 전단력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훅(20)이 외측 시트(2)(부직포(33))의 내면으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워, 도 14에 도시하는 물품(1B)의 착용 중에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연결이 부주의하게 떨어져 버리는 일이 없다.
물품(1B)은 도 15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측부(8, 10)가 화살표 N1로 나타내는 몸통 둘레 방향으로 잡아당겨졌을 때에, 전단력이 주로 결합 부재(11)의 자유부(19)에 강하게 작용하여, 자유부(19)에 형성된 훅(20)이 부직포(33)의 섬유와 강하게 얽힌다. 그러나, 고정부(18)에는 전단력이 자유부(19)만큼 강하게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고정부(18)에 형성된 훅(20)과 부직포(33)의 섬유와의 얽힘이 자유부(19)의 훅(20)과 부직포(33)의 섬유와의 그것보다도 약해, 결합 부재(11)의 고정부(18)와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어,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측부(8, 10)끼리의 연결을 용이하게 벗길 수 있다.
보호자나 개호자가 착용자에게 물품(1B)을 장착하는 제2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보호자나 개호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의 순서로 물품(1B)을 착용자에게 장착한 후,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에 의한 착용자의 몸통부의 조임이 불충분한 경우,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와 결합 부재(11)의 결합을 해제하여,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연결을 벗긴다. 이어서,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측부(10) 내면을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의 소요 부위 외면에 겹치게 하여, 결합 부재(11)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외면에 압박한다. 결합 부재(11)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외면에 압박하면, 훅(20)이 외측 시트(2)를 형성하는 부직포(34)의 섬유에 걸려 멈춰, 결합 부재(11)의 고정부(18)와 자유부(19)가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외면에 결합하여,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의 소요 부위와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측부(10)를 연결할 수 있다(도 16 참조). 보호자나 개호자는 결합 부재(11)를 통해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측부(10)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의 소요 부위에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몸통 둘레 치수에 맞춰 물품(1B)의 몸통 둘레 방향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물품(1B)은 도 14의 장착 상태에서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와 결합 부재(11)의 결합을 해제하고, 결합 부재(11)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의 소요 부위 외면에 다시 결합시킴으로써,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에 의한 착용자의 몸통부의 조임 상태를 바꿀 수 있다. 물품(1B)은 착용자의 몸통 둘레 치수의 여하에 관계없이, 착용자의 몸통부를 충분히 조일 수 있어, 착용 중에 물품(1B)이 틀어져 내려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물품(1B)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것을 장착한 착용자의 몸통부에 의해서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측부(8, 10)가 화살표 N1로 나타내는 몸통 둘레 방향으로 잡아당겨져,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측부(8, 10)에 이들을 서로 떼어놓는 힘이 작동했다고 해도, 결합 부재(11)의 고정부(18)가 훅(20)을 통해 측부(8)에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그 힘이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와 고 정부(18)에 박리력으로서 작용하는 일은 없으며, 화살표 N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와 고정부(18)에 전단력으로서 작용하여, 훅(20)이 외측 시트(2)의 외면에서 떨어지기 어렵다. 물품(1B)은 도 14의 착용 상태뿐만 아니라, 도 16의 착용 상태라도, 물품(1B)의 착용 중에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연결이 부주의하게 떨어져 버리는 일이 없다.
물품(1B)은 결합 부재(11)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S2)가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측부(10)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S1)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결합 부재(11)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에 결합시켰을 때에, 측부(10)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S1)의 거의 전체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에 결합시킬 수 있어,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을 확실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물품(1B)은 그 폐기시에 가랑이 영역(5)을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외면으로 향하여 접어 구부려, 결합 부재(11)의 고정부(18)와 자유부(19)를 가랑이 영역의 외면에 결합시킴으로써, 물품(1A)과 마찬가지로 접어 갤 수 있다. 물품(1B)은 결합 부재(11)에 의해서 그 접어진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물품(1B)을 접은 상태 그대로 폐기할 수 있다.
도 18, 도 19는 다른 일례로서 도시하는 물품(1C)의 부분 파단 사시도와, 도 18의 XIX-XIX선 단면도이다. 도 18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K, 세로 방향을 화살표 L로 나타내고, 두께 방향을 화살표 M으로 나타낸다. 이 물품(1C)은 결합 부재(11)의 구성이 도 10에 도시하는 물품(1B)의 그것과 다를 뿐이며, 그 밖의 구성은 물품(1B)과 동일하여, 물품(1B)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결합 부재(11) 이외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 부재(11)는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양측부(10)의 내면에 위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뻗고 있다. 결합 부재(11)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띠며,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가 측부(10)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와 거의 동일하다. 결합 부재(11)는 측부(10)의 측연부(17)의 내측에 고착되어 세로 방향으로 뻗는 고정부(18)와, 고정부(18)와 병행하여 고정부(18)로부터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가로 방향 중앙으로 향하여 뻗는 제1 자유부(19)와, 고정부(18)와 병행하여 고정부(18)로부터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가로 방향 바깥쪽으로 향해서 뻗는 제2 자유부(36)를 갖는다.
고정부(18)는 그 외면이 외측 시트(2)(부직포(33))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자유부(19, 36)는 외측 시트(2)에 고착되어 있지 않다. 제2 자유부(36)는 고정부(18)를 사이에 두고서 제1 자유부(19)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측부(10)의 측연부(17)에서 가로 방향 바깥쪽으로 약간 뻗어 나와 있다. 고정부(18)의 내면 전체와 제1 및 제2 자유부(19, 36)의 내면 전체는 메카니컬 파스너 중의 훅(20)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고정부(18)의 내면 전체와 제1 및 제2 자유부(19, 36)의 내면 전체는 훅(20)이 배치되는 대신에, 점착 파스너의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더라도 좋다. 결합 부재(11)에서는, 고정부(18)의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S4)가 결합 부재(11)의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S3)의 거의 3분의 1이며, 이들 자유부(19, 36)의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S5, S6)가 결합 부재(11)의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S3)의 거의 3분의 1이다.
도 20, 도 21은 착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18의 물품(1C)의 사시도와, 도 20의 XXI-XXI선 단면도이며, 도 22, 도 23은 착용 상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 18의 물품(1C)의 사시도와, 도 16의 XXIII-XXIII선 단면도이다. 도 20, 도 22에서는, 몸통 둘레 방향을 화살표 L1로 나타낸다. 한편, 이 물품(1C)의 장착 순서와 폐기 순서는 물품(1A, 1B)의 그것과 동일하여,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물품(1C)에서는, 결합 부재(11)의 고정부(18)와 제1 및 제2 자유부(19, 36)가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 내면에 결합하여,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측부(8, 10)끼리 연결된다(도 20 참조). 물품(1C)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것을 장착한 착용자의 몸통부에 의해서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측부(8, 10)가 화살표 N1로 나타내는 몸통 둘레 방향으로 잡아당겨져,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측부(8, 10)에 이들을 서로 떼어놓는 힘이 작동했다고 해도, 그 힘이 화살표 N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와 결합 부재(11)에 전단력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훅(20)이 외측 시트(2)의 내면으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워, 도 20에 도시하는 물품(1C)의 착용 중에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연결이 부주의하게 떨어져 버리는 일이 없다.
물품(1C)에서는, 결합 부재(11)의 고정부(18)와 제1 및 제2 자유부(19, 36)가 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측부(8) 외면에 결합하여,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의 소요 부위 외면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측부(10)가 연결된다(도 22 참조). 물품(1C)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것을 장착한 착용자의 몸통부에 의해서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측부(8, 10)가 화살표 N1로 나타내는 몸통 둘레 방향으로 잡아당겨져,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측부(8, 10)에 이들을 서로 떼어놓는 힘이 작동했다고 해도, 결합 부재(11)의 고정부(18)와 제2 자유부(36)가 훅(20)을 통해 측부(8) 외면에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그 힘이 이들 부(18, 36)와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에 박리력으로서 작용하는 일이 없고, 화살표 N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와 이들 부(18, 36)에 전단력으로서 작용하여, 훅(10)이 외측 시트(2)의 외면에서 떨어지기 어려워, 도 22에 도시하는 물품(1C)의 착용 중에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의 연결이 부주의하게 떨어져 버리는 경우가 없다. 또한, 물품(1C)은 결합 부재(11)의 제2 자유부(36)가 훅(20)을 통해 측부(8) 외면에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부(18)에 박리력이 작용하려고 해도, 박리력이 제2 자유부(36)에 의해서 억제되어, 고정부(18)에 박리력이 작용하기 어렵다.
물품(1C)은 결합 부재(11)의 제1 및 제2 자유부(19, 36)가 훅(20)을 통해 측부(8) 외면에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전방 몸통 둘레 영역(4)과 결합 부재(11)의 결합을 한층 더 강고하게 할 수 있어, 가령 고정부(18)에 박리력이 작용했다고 해도, 이들 자유부(19, 36)에 있어서 결합 부재(11)의 측부(8)에 대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품(1C)은 결합 부재(11)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측부(8)의 소요 부위 외면에 다시 결합시킴으로써, 물품(1C)에 의한 착용자의 몸통부의 조임 상태를 바꿀 수 있다. 물품(1C)은 결합 부재(11)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에 결합시켰을 때에, 양측부(10)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의 거의 전체를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에 결합시킬 수 있어,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4, 6)을 확실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물품(1C)은 그 폐기시에 가랑이 영역(5)을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외면으로 향하여 접어 구부려, 결합 부재(11)의 고정부(18)와 제1 및 제2 자유부(19, 36)를 가랑이 영역의 외면에 결합시킴으로써, 도 9에 도시하는 물품(1A)과 마찬가지로 접어 갤 수 있다. 물품(1C)은 결합 부재(11)에 의해서 그 접어진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물품(1C)을 접은 상태 그대로 폐기할 수 있다.
표면 시트(21)에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 외에, 다수의 개공을 갖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22)에는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외측 시트(2)나 이면 시트(22), 샘 방지 시트(26)에는 높은 내수성을 갖는 멜트블로운법에 의한 섬유 부직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높은 강도와 양호한 유연성을 갖는 스펀본드법에 의한 섬유 부직포를 라미네이트한 복합 부직포(SM 부직포, SMS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섬유 부직포에는 스펀레이스, 니들펀치, 멜트블로운, 서멀본드, 스펀본드, 케미컬본드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친수성 섬유 부직포는 친수화 처리가 실시된 합성 섬유, 반합성 섬유, 재생 섬유 중 어느 것, 또는 이들 섬유를 혼합한 복합 섬유로 만들 수 있다. 소수성 섬유 부직포는 합성 섬유로 만들 수 있다. 소수성 섬유 부직포에는 발수 처리가 실시된 반합성 섬유나 재생 섬유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좋다. 합성 섬유에는 특히 한정은 없지만,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계를 사용할 수 있다. 합성 섬유에는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 병렬형 복합 섬유, 이형 중공형 섬유, 미세 다공 섬유, 접합형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 도 18의 외측 시트(2)를 형성하는 신축성 섬유 부직포(33, 34)에는 멜트블로운이나 스펀본드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신축성 섬유 부직포(33, 34)의 구성 섬유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 방사한 신축성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외측 시트(2)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섬유로 이루어지는 신축성 또 소수성 섬유 부직포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것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용융, 방사한 권축 섬유로 이루어지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를 겹치게 한 복합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시트(2, 21, 22, 26)끼리의 고착이나 시트(21, 22)에 대한 코어(23)의 접합, 시트(26)에 대한 탄성 부재(30)의 고착에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는 외측 시트(2)나 표리면 시트(21, 22), 샘 방지 시트(26)에 스파이럴형이나 물결형, 지그재그형, 도트형, 줄무늬형 중 어느 형태로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를 이들의 형태로 외측 시트(2)나 표리면 시트(21, 22), 샘 방지 시트(26)에 도포하면, 이들 시트(2, 21, 22, 26)끼리 단속적으로 고착되어, 코어(23)가 시트(21, 22)에 단속적으로 고착되는 동시에, 탄성 부재(30)가 시트(26)에 단속적으로 고착된다. 외측 시트(2)와 결합 부재(11)의 고정부(18)의 고착에는 접착제, 또는 소닉 시일이나 히트 시일의 열에 의한 융착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에는 핫멜트형 접착제나 아크릴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외측 시트(2)와 결합 부재(11)를 접착제에 의해서 고착하는 경우, 외측 시트(2)를 형성하는 부직포(12, 13, 33, 34)는 그것에 포함되는 마무리용 유제의 용제 추출법(JISL 1015 7.22)에 준하여 측정한 함유율이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중량당 0.04 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무리용 유제의 함유율이 섬유중량당 0.04 wt을 초과하면, 시간의 경과와 함께 마무리용 유제가 접착제의 접착력을 점차로 저하시켜, 외측 시트(2)에 대한 고정부(18)의 접착 강도가 저하하여 고정부(18)가 외측 시트(2)로부터 박리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마무리용 유제의 함유율이 섬유중량당 0.04 wt 이하이면, 접착제의 접착력의 저하를 막을 수 있어, 물품(1A, 1B, 1C)을 장기간 방치했다고 해도, 외측 시트(2)에 대한 결합 부재(11)의 고정부(18)의 접착 강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마무리용 유제에는 음이온계나 비이온계, 양이온계, 양성계 중 어느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것이 사용된다. 음이온계나 비이온계의 계면활성제로서는 이들을 섬유에 부착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이들 계면활성제에 유지 왁스, 지방산, 고급 알콜, 광물유, 경화유 중 어느 것을 혼합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도시한 물품(1A, 1B, 1C)에서는, 결합 부재(11)가 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양측부(10)의 내면에 부착되고 있지만, 결합 부재(11)가 전방 몸통 둘레 영역(4)의 양측부(8)의 내면에 부착되고 있더라도 좋다.

Claims (8)

  1. 전방 몸통 둘레 영역 및 후방 몸통 둘레 영역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지니고, 상기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 중 어느 한 쪽의 양측부의 내면에 세로 방향으로 뻗는 결합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결합 부재를 통해 상기 양측부를 이들 영역의 내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에 고착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가로 방향 중앙으로 향해서 뻗는 제1 자유부를 지니고, 상기 제1 자유부의 내면에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착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이 배치되어 있는 착용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자유부의 반대측에 그 고정부에서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가로 방향 바깥쪽으로 향해서 뻗는 제2 자유부를 지니고, 상기 제2 자유부의 내면에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이 배치되어 있는 착용 물품.
  4. 전방 몸통 둘레 영역 및 후방 몸통 둘레 영역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지니고, 상기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 중 어느 한 쪽의 양측부의 내면에 세로 방향으로 뻗는 결합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결합 부재를 통해 상기 양측부를 이들 영역의 내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에 고착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가로 방향 중앙으로 향해서 뻗는 제1 자유부를 지니고, 상기 제1 자유부의 내면에 점착 파스너의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착용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 점착 파스너의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착용 물품.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고정부를 사이에 두고서 상기 제1 자유부의 반대측에 그 고정부에서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가로 방향 바깥쪽으로 향해서 뻗는 제2 자유부를 지니고, 상기 제2 자유부의 내면에 점착 파스너의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착용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가,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측부의 그것과 거의 동일한 착용 물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부가,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 중의 적어도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착용 물품.
KR1020067003298A 2003-08-19 2004-08-19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7372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07945 2003-08-19
JPJP-P-2003-00207945 2003-08-19
JPJP-P-2004-00219916 2004-07-28
JP2004219916A JP4745628B2 (ja) 2003-08-19 2004-07-28 使い捨て着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040A true KR20060033040A (ko) 2006-04-18
KR100737261B1 KR100737261B1 (ko) 2007-07-10

Family

ID=34197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298A KR100737261B1 (ko) 2003-08-19 2004-08-19 일회용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547299B2 (ko)
EP (1) EP1669048B1 (ko)
JP (1) JP4745628B2 (ko)
KR (1) KR100737261B1 (ko)
CN (1) CN1856286B (ko)
BR (1) BRPI0413223A (ko)
HK (1) HK1087320A1 (ko)
MY (1) MY144584A (ko)
RU (1) RU2322960C2 (ko)
TW (1) TWI241908B (ko)
WO (1) WO20050162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95163B1 (en) * 2004-09-22 2012-11-14 Kao Corporation Absorptive article
JP2006150068A (ja) * 2004-10-25 2006-06-15 Hakujuji Co Ltd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78721B2 (ja) * 2005-06-14 2011-04-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JP5014595B2 (ja) * 2005-06-14 2012-08-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CN101277665B (zh) * 2005-09-29 2013-08-21 大王制纸株式会社 一次性尿布
JP5053288B2 (ja) * 2005-12-19 2012-10-17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再固定可能なパンツ状の吸収材物品およびそれを作製する方法
JP5308617B2 (ja) * 2006-02-28 2013-10-09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式使い捨て紙おむつ
US7727215B2 (en) * 2006-07-06 2010-06-01 Unicharm Corporation Wearing article
US9089454B2 (en) * 2007-12-14 2015-07-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unctional and partially encircling waistband
JP5185687B2 (ja) * 2008-05-14 2013-04-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およびその折り畳み方法
JP5346176B2 (ja) * 2008-06-03 2013-1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形状の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690851B2 (en) * 2008-08-29 2014-04-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tailored leg edge
JP5346277B2 (ja) * 2009-12-28 2013-1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5773643B2 (ja) * 2010-12-28 2015-09-02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104411280B (zh) * 2012-06-29 2017-03-08 宝洁公司 一次性可重复扣紧的吸收制品及其制造方法
CN107072840B (zh) * 2014-11-06 2020-10-27 宝洁公司 卷曲纤维纺粘非织造纤维网/层合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9050A (ja) 1990-07-31 1992-03-23 Oji Paper Co Ltd 立体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JPH0655623A (ja) 1991-03-13 1994-03-01 Toyobo Co Ltd 耐熱ポリエステル成形体
US5358500A (en) * 1993-06-03 1994-10-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providing sustained dynamic fit
WO1995005140A1 (en) 1993-08-17 1995-02-23 Kimberly-Clark Corporation Mechanical fastening tapes and method for their construction
CN1130185C (zh) * 1993-08-17 2003-12-10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机械式连接带及其制造方法
US5624428A (en) * 1995-11-29 1997-04-29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 pantlike pull down feature
US6007527A (en) * 1995-12-04 1999-12-28 Kao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with a mechanical fastener and an adhesive tab for disposing of the diaper
CA2198425A1 (en) * 1996-02-27 1997-08-27 Hisanori Kato Disposable nappy, fastener for the nappy and raw material for the fastener
JP3784131B2 (ja) * 1997-04-11 2006-06-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H10328237A (ja) * 1997-05-30 1998-12-15 Uni 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JPH1189881A (ja) * 1997-09-19 1999-04-06 Crecia:Kk 着脱部材付紙おむつ
WO2000035397A1 (en) * 1998-12-18 2000-06-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hinged fasteners
US6648866B2 (en) * 2001-11-26 2003-1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faste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9048A1 (en) 2006-06-14
CN1856286B (zh) 2010-09-22
WO2005016214A1 (ja) 2005-02-24
EP1669048B1 (en) 2013-01-16
US20050043701A1 (en) 2005-02-24
BRPI0413223A (pt) 2006-10-03
RU2006108258A (ru) 2007-09-27
JP4745628B2 (ja) 2011-08-10
JP2005095588A (ja) 2005-04-14
CN1856286A (zh) 2006-11-01
HK1087320A1 (en) 2006-10-13
TWI241908B (en) 2005-10-21
RU2322960C2 (ru) 2008-04-27
US7547299B2 (en) 2009-06-16
TW200518722A (en) 2005-06-16
KR100737261B1 (ko) 2007-07-10
EP1669048A4 (en) 2011-11-09
MY144584A (en) 201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261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1390123B1 (ko) 팬티형 종이 기저귀
KR100765225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977026B1 (ko) 일회용 기저귀
JP5882105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0884838B1 (ko) 일회용 기저귀
MXPA06008638A (es) Prenda desechable tipo calzoncillo.
WO2005011551A1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1204765A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3648237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0729588B1 (ko) 팬츠형 착용 물품
WO2019131066A1 (ja) 支持体
RU2613866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имеющее систему крепления
KR100789792B1 (ko) 일회용 기저귀
JP4460871B2 (ja) パンツ型の着用物品
JP3953748B2 (ja) 開放型の使い捨ておむつ
WO2019131067A1 (ja) 動物用の吸収性物品
JP4451294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5075235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4012864B2 (ja) 使い捨てパンツ型オムツの製造方法
US10610421B2 (en) Absorbent article with pocket and secondary fastening system
JP2005270347A (ja) 吸収性物品
JP2010167080A (ja) 止着テープ、止着テープの製造方法及び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
MXPA00012309A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belt loops and an adjustable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