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2501A -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 Google Patents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2501A
KR20060032501A KR1020040081457A KR20040081457A KR20060032501A KR 20060032501 A KR20060032501 A KR 20060032501A KR 1020040081457 A KR1020040081457 A KR 1020040081457A KR 20040081457 A KR20040081457 A KR 20040081457A KR 20060032501 A KR20060032501 A KR 20060032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ocket
memory card
flow tra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7715B1 (ko
Inventor
김수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1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715B1/ko
Priority to CNB2005101057667A priority patent/CN100379088C/zh
Priority to US11/242,156 priority patent/US7300314B2/en
Priority to EP05022237A priority patent/EP1647923A3/en
Publication of KR20060032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소정의 기기 본체에 설치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기기의 메인 보드상에 설치되어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후크 스위칭 수단을 갖는 트레이 고정용 소켓과, 상기 기기의 외부에서 상기 트레이 고정용 소켓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후크 스위칭 수단에 의해 교번 가압시 탈착이 각각 수행되도록 설치되는 일정 형상의 유동 트레이 및 상기 유동 트레이의 상부면상에 설치 또는 형성되어 상기 유동 트레이를 통해 트레이 고정용 소켓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소켓 수단을 포함하여, 착탈시 메모리 카드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푸쉬 타입 소켓 방식과 힌지 타입 소켓 방식의 단점을 모두 극복할 수 있다.
Figure 112004046310844-PAT00001
메모리 카드, 유동 트레이, 트레이 소켓, 커버, 단말기

Description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SOCKET FOR TRANS-FLASH MEMORY C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 트레이가 단말기에서 착탈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 트레이내에 힌지 방식으로 메모리 카드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 트레이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 트레이의 배선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 트레이가 단말기 메인 보드상에 실장된 트레이 소켓에서 착탈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 트레이가 트레이 소켓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평면적으로 도시한 작동도; 및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 트레이가 단말기상에서 착탈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본 발명은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tran-flash memory card)와 같은 착탈식 소형 메모리 카드를 단말기에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탈착시 소형화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원활한 접지 동작이 수행되어 단말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현재, 전자 통신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국민 1인당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 도래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단말기의 기본적인 통화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부가 기능이 수반되는 단말기를 원하고 있고, 이로 인하여 각종 부가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가 지속적으로 출시되어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상술한 단말기의 부가 기능으로는, 기본적으로 인터넷기능 뿐만 아니라,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VOD), MP3 플레이어 기능, 소형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기능, 캠코더 기능, 각종 컨텐츠의 사용등 일상 생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기능이 무선 단말기에 집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다양한 부가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단말기는 더 많은 메모리를 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단말기 제조자들은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내장 메모리에 더하여 MMC, SMC, XD카드 등 착탈식 메모리 카드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고자 경 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 대별되고 있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이하 '메모리 카드')를 위한 설치 방식을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푸쉬 타입 메모리 카드 소켓(push-type memory card socket) 방식으로써, 공지의 후크 스위칭 수단을 사용하게 된다. 즉, 기기의 메인 보드상에 소정의 메모리 소켓 및 그 측면에 소정의 후크 스위칭 수단을 설치한다. 그후, 단말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메모리 카드 삽입 홀에 메모리 카드를 일정 힘을 가하여 삽입하게 되면, 소켓 내부의 접점과 메모리 카드의 접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후, 사용자가 상기 카드를 다시 한번 장착 방향으로 세게 눌렀다 떼게 되면 상기 메모리 카드는 상기 후크 스위칭 장치에 의해 외부로 밀려나오게 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푸쉬 타입 메모리 소켓 방식은 메모리 카드를 소켓에서 한번 가압하면 장착되고, 다시 한번 가압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이탈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갖는 푸쉬 타입 메모리 카드 소켓은 사용자가 세게 가압하여 장,탈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메모리 카드의 사이즈가 어느 정도 소형화되었을 경우에는 가압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두 번째 방식은 힌지 타입 메모리 카드 소켓 방식이다. 상기 힌지 타입 메모리 카드 소켓 방식은 메모리 카드 소켓의 상부에 일측을 중심으로 힌지 동작하여 개방되는 커버를 구비한다. 메모리 카드를 장착할 경우 소켓의 상부에 위치된 커버를 개방시키고 메모리 카드를 장착한 후에 다시 커버를 닫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 사이즈에 관계 없이 원 활히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소켓은 기기의 메인 보드에 표면 실장되고, 실장되는 소켓면이 그대로 드러나야 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경우에는 배터리 팩이 설치되는 단말기의 후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단말기 전원을 오프한 상태에서 배터리 팩을 분리시키고 메모리 카드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들이 파생된다.
따라서, 상술한 두 가지 타입의 소켓 방식은 근래 들어 등장하고 있는 두께 1mm이하의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와 같은 초소형 메모리 카드에는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초소형 메모리 카드를 사용시 파손의 가능성이 다분한 푸쉬 타입 메모리 카드 소켓 방식의 단점을 개선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 본체의 메인 보드에 직접 실장하기 위하여 배터리 팩을 분리시키도록 구성되는 힌지 카입 메모리 카드 소켓 방식의 단점을 개선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판의 소형 메모리 카드를 적용하더라도 휘어지거나 파손되지 않고 원활히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다른 목적은 원활한 메모리 카드 착탈을 도모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단말기의 신뢰성이 확보되도록 구성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소정의 기기 본체에 설치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메인 보드상에 설치되어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후크 스위칭 수단을 갖는 트레이 고정용 소켓과, 상기 기기의 외부에서 상기 트레이 고정용 소켓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후크 스위칭 수단에 의해 교번 가압시 탈착이 각각 수행되도록 설치되는 일정 형상의 유동 트레이 및 상기 유동 트레이의 상부면상에 설치 또는 형성되어 상기 유동 트레이를 통해 트레이 고정용 소켓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소켓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기기 본체에 설치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메인 보드상에 설치되어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후크 스위칭 수단을 갖는 트레이 고정용 소켓과, 상기 기기의 외부에서 상기 트레이 고정용 소켓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후크 스위칭 수단에 의해 교번 가압시 탈착이 각각 수행되도록 설치되는 일정 형상의 유동 트레이와, 상기 유동 트레이의 상부면상에 설치 또는 형성되어 상기 유동 트레이를 통해 트레이 고정용 소켓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소켓 수단 및 상기 소켓 수단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모리 카드를 보호하기 위한 개폐형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소정의 기기 본체에 설치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메인 보드상에 설치되어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후크 스위칭 수단을 갖는 트레이 고정용 소켓과, 상기 기기의 외부에서 상기 트레이 고정용 소켓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후크 스위칭 수단에 의해 교번 가압시 탈착이 각각 수행되도록 설치되는 일정 형상의 유동 트레이와, 상기 유동 트레이의 상부면상에 설치 또는 형성되어 상기 유동 트레이를 통해 트레이 고정용 소켓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소켓 수단과, 상기 소켓 수단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모리 카드를 보호하기 위한 개폐형 커버 및 상기 유동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 고정용 소켓에서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착탈식 메모리 카드를 갖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메모리 카드가 적용되는 다양한 기기에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로써, 단말기(100)는 메인 바디(120)와 상기 메인 바디(120)에서 단말기(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슬라이드 동작을 하는 슬라이드 바디(110)로 구성된다. 슬라이드 바디(11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11)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컬러 와이드 엘씨디 모듈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의 상부에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는 이어 피스부(11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의 하측에는 소정의 키버튼 장치(113)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버튼 장치(113)는 네비게이션 키버튼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120)의 슬라이드 바디(11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보이는 면상에는 다수의 키버튼들(122)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키버튼들(122)은 3×4 키버튼일 수 있다. 상기 키버튼(122)의 하측에는 마이크로폰 장치(123)가 설치된다.
그후,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를 설치하기 위한 삽입구(125)가 단말기(100)의 측면 적소에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trans-flash memory card)와 같은 소형 메모리 카드가 장착된 유동 트레이(10)가 착탈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동 트레이(10)는 공지의 후크 스위칭 수단을 사용한다. 상기 후크 스위칭 수단은 일회 가압하면 장착되고, 다시 일회 가압하면 소정의 후크에 의해 외부로 밀리는 교번 가압 스위칭 수단이다. 또한, 메모리 카드를 구비한 상기 유동 트레이(10)가 단말기의 삽입구(125)에 장착되면, 그 단부는 상기 단말기의 외면과 일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유동 트레이(10)가 설치되는 삽입구 주변에는 사용자의 손끝으로 가압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요홈(12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 트레이가 단말기에서 착탈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 트레이내에 힌지 방식으로 메모리 카드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동 트레이(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트레이(1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적용 기기에 맞게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유동 트레이(10)의 상면(11)에는 상기 상면보다 낮도록 형성되는 요면(12)이 형성된다. 상기 요면(12)에는 메모리 카드를 설치하기 위한 소켓 수단(1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소켓 수단(13)으로는 공지의 메모리 카드 소켓을 설치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유동 트레이(10)를 형성시, 상기 요면(12)보다 낮으며, 적용 메모리 카드의 형상과 상응한 형상으로 메모리 카드 삽입면(18)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요면(12)의 일측에는 일측을 힌지 결합시켜 개폐가 가능하도록 힌지 동작하는 커버(20)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소켓 수단(13)의 설치면(18)에 메모리 카드 삽입 후, 폐쇄시킴으로써 메모리 카드의 상면에 유입될 수 있는 먼지등 이물질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소켓 수단(13)의 메모리 카드 장착면(18)상에는 상기 메모리 카드에 형성되는 접속부(미도시됨)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접속부(14)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유동 트레이(10)의 요면(12)에 설치되어, 메모리 카드 삽입 후, 완전히 폐쇄시키면 상기 유동 트레이(10)의 상면(11)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말기에서 유동 트레이(10)의 착탈 동작시, 삽입구(25)의 제한을 받지 않도록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커버(20)는 상기 유동 트레이(10)의 동작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설치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적용 기기 및 적용되는 유동 트레이의 형상에 맞게 다양한 개폐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0)는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로킹 수단이 필요 없도록 구성되었으나, 억지 끼움등의 긴밀한 장착 관계는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커버의 단부가 후술될 유동 트레이(10)의 가이드 슬릿(15)의 일부로써 돌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끝으로 원활히 상기 커버를 개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예컨대, 공지의 로킹 수단이나, 커버를 포함하는 공지의 소켓이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 트레이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 트레이의 배선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후면 역시 후술될 단말기의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접속부(16)가 노출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는 상술한 유동 트레이(10)의 상면의 소켓 수단(13)에 설치되는 접속부(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유동 트레이(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접속부(14)와 하면(17)에 노출되는 접속부(16)가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면 소정의 접속 수단에 의해 유동 트레이의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접속핀(19)에 의해 상면의 접속부(14)와 하면의 노출된 접속부(16)를 연결시켰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서트 몰딩에 의해 최초 유동 트레이(10) 형성시 삽입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 트레이가 단말기 메인 보드에 실장된 트레이 소켓에서 착탈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유동 트레이(10)는 단말기(100)의 메인 보드(128)에 SMD방식으로 실장되는 트레이 고정용 소켓(30)의 내부 공간(31)에서 전후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 고정용 소켓(30)의 일측에는 공지의 후크 스위칭 수단을 담지하기 위한 스위칭 담지부(50)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 스위칭 수단은 공지 기술로써 그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을 본원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생략하였다. 그러나 상기 후크 스위칭 수단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고정용 소켓(30)의 유동 트레이(10)의 동작 범위내에 돌출된 소정의 후크(51)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동 트레이(10)를 같은 방향으로 교번하여 가압할 때마다 상기 유동 트레이(10)의 로킹/해체의 동작을 반복하는 구성을 갖는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 트레이가 트레이 소켓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평면적으로 도시한 작동도이다.
상술한 유동 트레이(10)는 단말기(100)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착탈식도 가능하지만, 분실의 위험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동 트레이가 트레이 고정용 소켓(30)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가이드시킬 수 있는 가이드 수단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 수단으로는 상기 유동 트레이(10)의 외면 적소에서 길이 방향으로 양단이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슬릿(15)과, 상기 가이드 슬릿(15)에 삽입되어 상기 유동 트레이(10)의 착탈시 가이드 동작을 유도하도록 상기 트레이 고정용 소켓(3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32)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슬릿(15)은 상기 유동 트레이(10)의 양 측면상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32)는 상기 트레이 고정용 소켓(30)의 좌, 우 내측면상에 각각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 트레이가 단말기상에서 착탈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 트레이의 동작을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단말기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말기 외부의 유동 트레이(10)를 가압하여 외부로(도 10의 화살표 방향) 일정 부분 이탈시킨다. 그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 트레이(10)의 상부면의 일부인 커버(20)를 개방시킨다. 상기 커버(20)가 개방된 유동 트레이(10)의 일부분에는 소정의 메모리 카드 소켓 수단(13)이 제공되며, 상기 소켓 수단에 메모리 카드를 올려놓는다. 그후, 상기 커버(20)를 유동 트레이(10)의 상면과 일치하도록 긴밀히 폐쇄시킨다. 그후, 유동 트레이(10)를 기기 방향으로 밀어 도 9의 상태가 되도록 로킹시키면 메모리 카드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메모리 카드는 유동 트레이(10)의 소켓면 상부에 위치한 접속부(도 3의 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동 트레이(10)의 하면의 접속부(도 4의 16)은 단말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트레이 고정용 소켓(30)의 내부에 위치되는 소정의 접속핀(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반대로, 메모리 카드를 분리시키고 싶을 경우 역시 상술한 순서를 그대로 이용하여 분리시키면 간단하다.
본 발명에서는 유동 트레이를 사용하고, 메모리 카드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사용하였으나, 커버는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소형 메모리 카드를 설치하기 위한 파손 방지용 매개체로 유동 트레이를 사용한 것이 중요 기술적 사상일 것이다.
즉,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소켓은 박판의 소형 메모리 카드를 설치할 때, 단말기의 메인보드에 직접 접속시키지 않고 메모리 카드를 보호하기 위한 매개체로 유동 트레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착탈시 메모리 카드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푸쉬 타입 소켓 방식과 힌지 타입 소켓 방식의 단점을 모두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소정의 기기 본체에 설치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메인 보드상에 설치되어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후크 스위칭 수단을 갖는 트레이 고정용 소켓;
    상기 기기의 외부에서 상기 트레이 고정용 소켓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후크 스위칭 수단에 의해 교번 가압시 탈착이 각각 수행되도록 설치되는 일정 형상의 유동 트레이; 및
    상기 유동 트레이의 상부면상에 설치 또는 형성되어 상기 유동 트레이를 통해 트레이 고정용 소켓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소켓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 고정용 소켓에서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트레이의 외면 적소에는 길이 방향으로 양단이 폐쇄된 적어도 하 나의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고정용 소켓에는 상기 가이드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유동 트레이의 착탈시 가이드 동작을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릿은 상기 유동 트레이의 양 측면상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고정용 트레이의 좌, 우 내측면상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카드용 소켓.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트레이의 후면상에는 상기 트레이 고정용 소켓에 설치되어 기기의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접속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가 노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트레이의 후면에 노출되는 접속부는 유동 트레이의 상면에 설치되 는 소켓 수단의 메모리 카드용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트레이의 후면에 노출되는 접속면과 상면의 소켓 수단용 접속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접지 수단으로는 일정 형상의 접지핀을 사용하여 상기 유동 트레이 형성시 인서트 몰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수단은 상기 유동 트레이의 상면보다 낮도록 형성되는 면에 설치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가 설치되었을 때, 적어도 상기 유동 트레이의 상면보다 낮도록하여 유동 트레이의 원활한 착탈을 도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수단의 상부에는 상기 소켓 수단에 메모리카드 설치 후 이물질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개폐형 커버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메 모리 카드용 소켓.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유동 트레이의 상면에서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힌지동작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유동 트레이의 상면에서 상기 유동 트레이가 기기에 착탈되는 방향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유동 트레이의 상면에서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상기 유동 트레이의 상면과 일치하거나 적어도 낮도록 구성하여 유동 트레이의 원활한 착탈을 도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카드용 소켓.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트레이는 기기에 장착시 상기 기기의 외면과 일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14. 제 13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유동 트레이의 원활한 착탈을 위하여, 상기 기기의 유동 트레이 삽입 부분의 주변에는 일정 깊이의 요홈이 형성되어 손끝으로 가압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15. 소정의 기기 본체에 설치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메인 보드상에 설치되어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후크 스위칭 수단을 갖는 트레이 고정용 소켓;
    상기 기기의 외부에서 상기 트레이 고정용 소켓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후크 스위칭 수단에 의해 교번 가압시 탈착이 각각 수행되도록 설치되는 일정 형상의 유동 트레이;
    상기 유동 트레이의 상부면상에 설치 또는 형성되어 상기 유동 트레이를 통해 트레이 고정용 소켓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소켓 수단; 및
    상기 소켓 수단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모리 카드를 보호하기 위한 개폐형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유동 트레이의 상면에서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힌지동작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유동 트레이의 상면에서 상기 유동 트레이가 기기에 착탈되는 방향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유동 트레이의 상면에서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상기 유동 트레이의 상면과 일치하거나 적어도 낮도록 구성하여 유동 트레이의 원활한 착탈을 도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카드용 소켓.
  19. 소정의 기기 본체에 설치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메인 보드상에 설치되어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후크 스위칭 수단을 갖는 트레이 고정용 소켓;
    상기 기기의 외부에서 상기 트레이 고정용 소켓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후크 스위칭 수단에 의해 교번 가압시 탈착이 각각 수행되도록 설치되는 일정 형상의 유동 트레이;
    상기 유동 트레이의 상부면상에 설치 또는 형성되어 상기 유동 트레이를 통해 트레이 고정용 소켓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소켓 수단;
    상기 소켓 수단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모리 카드를 보호하기 위한 개폐형 커버; 및
    상기 유동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 고정용 소켓에서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유동 트레이의 외면 적소에서 길이 방향으로 양단이 폐쇄되도록 형성되 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슬릿;
    상기 가이드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유동 트레이의 착탈시 가이드 동작을 유도하도록 상기 트레이 고정용 소켓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릿은 상기 유동 트레이의 양 측면상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고정용 트레이의 좌, 우 내측면상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플래시 카드용 소켓.
KR1020040081457A 2004-10-12 2004-10-12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KR100707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457A KR100707715B1 (ko) 2004-10-12 2004-10-12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CNB2005101057667A CN100379088C (zh) 2004-10-12 2005-09-27 用于闪速转存存储卡的插座
US11/242,156 US7300314B2 (en) 2004-10-12 2005-10-03 Socket for trans-flash memory card
EP05022237A EP1647923A3 (en) 2004-10-12 2005-10-12 Socket for memory c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457A KR100707715B1 (ko) 2004-10-12 2004-10-12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501A true KR20060032501A (ko) 2006-04-17
KR100707715B1 KR100707715B1 (ko) 2007-04-16

Family

ID=3561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457A KR100707715B1 (ko) 2004-10-12 2004-10-12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00314B2 (ko)
EP (1) EP1647923A3 (ko)
KR (1) KR100707715B1 (ko)
CN (1) CN100379088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281B1 (ko) * 2007-05-08 2007-09-04 주식회사 씨티씨 카드장착소켓, 캠부재 및 그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7998B1 (en) 1999-10-23 2013-03-19 Ultracard, Inc. Data storage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same
US7487908B1 (en) * 1999-10-23 2009-02-10 Ultracard, Inc. Article having an embedded accessible storage member,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same
US8177129B2 (en) * 2004-02-17 2012-05-15 Timothy D. Larin Interactive multimedia smart affinity card with flash memory
US7520436B2 (en) * 2005-04-18 2009-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e module for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and cover apparatus for external type card mounted thereto
US8150466B2 (en) 2006-10-23 2012-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detachably installing a smart card in a portable terminal
US7798840B2 (en) * 2007-01-05 2010-09-21 Sandisk Corporation Expandable and collapsible peripheral device
US7865210B2 (en) * 2007-01-05 2011-01-04 Apple Inc. Ejectable component assemblies in electronic devices
US7686654B2 (en) * 2007-06-29 2010-03-30 Sandisk Corporation Memory card for an ExpressCard slot
US7780477B2 (en) * 2007-06-29 2010-08-24 Sandisk Corporation Adapter system for use with an expresscard slot
US7699660B2 (en) * 2007-06-29 2010-04-20 Sandisk Corporation Adapter for an expresscard slot
US8561295B2 (en) * 2007-06-29 2013-10-22 Sandisk Technologies Inc. Method of adapting an expresscard slot for smaller form factor memory compatibility
US8051229B2 (en) * 2007-06-29 2011-11-01 Sandisk Technologies Inc. Dual bus ExpressCard peripheral device
US7779184B2 (en) * 2007-06-29 2010-08-17 Sandisk Corporation Method of using the dual bus interface in an expresscard slot
US7713091B2 (en) * 2008-09-12 2010-05-11 Getac Technology Corp. Adaptor device for connecting and accessing data card and computer device incorporating the adaptor device
TWM359132U (en) * 2009-02-12 2009-06-11 nai-qian Zhang Sound socket connector with built-in sound-effect processing function
US8342884B2 (en) * 2009-07-27 2013-01-01 Avx Corporation Dual card edge connector with top-loading male and female components
US8564965B2 (en) * 2010-04-19 2013-10-22 Apple Inc. Compact ejectable component assemblies in electronic devices
US8730660B2 (en) * 2010-12-01 2014-05-20 Sandisk Technologies Inc. Remote attachable flash drive
CN102123205B (zh) * 2011-02-17 2013-12-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卡座的通断电控制方法和终端
CN103248385A (zh) * 2012-02-06 2013-08-14 上海市电力公司 一种变电站备用通道预警装置上安装sim卡的方法
US8654535B2 (en) * 2012-03-08 2014-02-18 Proconn Technology Co., Ltd. Card holder
KR20140049681A (ko) 2012-10-18 201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및 메모리 카드 어댑터
TWM452520U (zh) * 2012-12-07 2013-05-01 Qi Ji Electronics Co Ltd 全埋入式電子插接卡
CN103002087A (zh) * 2012-12-27 2013-03-27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掀盖卡座和移动终端
CN104104774A (zh) * 2013-04-02 2014-10-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Sim卡热插拔的方法、装置及系统
JP3186801U (ja) * 2013-08-14 2013-10-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コネクタ
US20160072209A1 (en) * 2014-09-05 2016-03-10 Hzo, Inc. Waterproof sockets and ports
KR101554128B1 (ko) * 2014-12-20 2015-09-21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sim 카드 트레이
CN106331217B (zh) * 2015-06-16 2020-09-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卡托、卡连接装置和移动终端
CN106207074B (zh) * 2016-07-20 2019-03-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卡托和电子设备
CN106450849A (zh) * 2016-08-31 2017-02-22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卡托及电子设备
JPWO2020170822A1 (ja) * 2019-02-20 2021-11-2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カード保持部材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0552A (en) * 1990-03-17 1994-06-14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Contacting apparatus, in particular a contacting apparatus for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5313596A (en) * 1993-01-05 1994-05-17 Dell Usa Lp Motorized portable computer/expansion chassis docking system
JP3292803B2 (ja) * 1995-12-28 2002-06-17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イン形コネクタ
JPH09293552A (ja) * 1996-04-25 1997-11-11 Olympus Optical Co Ltd メモリカード装着装置
FR2763413B1 (fr) * 1997-05-13 1999-07-02 Itt Mfg Enterprises Inc Connecteur electrique pour le raccordement simultane de plusieurs cartes a circuit(s) integre(s) a contact
JP4237834B2 (ja) * 1997-06-03 2009-03-11 富士通株式会社 携帯電話機
AUPP701798A0 (en) * 1998-11-09 1998-12-0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creation method and apparatus (ART75)
SE516154C2 (sv) * 1999-06-14 2001-11-26 Ericsson Telefon Ab L M En kortmottagningsanordning för en kommunikationsapparat samt kommunikationsapparat
US6213403B1 (en) * 1999-09-10 2001-04-1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IC card with fingerprint sensor
CN2399780Y (zh) * 1999-11-25 2000-10-04 英业达集团(上海)电子技术有限公司 小型电子卡的存放结构
DE10027131C2 (de) * 2000-05-31 2003-03-27 Amphenol Tuchel Elect Aushebeleinrichtung für Deckel einer SIM-Kartenkontaktiereinrichtung
US6261113B1 (en) * 2000-11-10 2001-07-1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arrangement of terminals
JP2002216082A (ja) * 2001-01-16 2002-08-02 Nec Kofu Ltd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JP2003045559A (ja) * 2001-07-27 2003-02-14 Alps Electric Co Ltd メモリカード接続装置
DE10210098B4 (de) * 2002-03-08 2011-09-15 Audioton Kabelwerk Gmbh Mobiltelefoneinrichtung
TW554592B (en) * 2002-08-13 2003-09-21 Carry Computer Eng Co Ltd Connector module for tray-like electric memory card
TW553444U (en) * 2002-09-09 2003-09-11 Carry Computer Eng Co Ltd Tray-type silicon card reader
US6695637B1 (en) * 2002-09-16 2004-02-24 Wen-Tsung Liu Tray-style memory card connector
JP2004220787A (ja) * 2003-01-09 2004-08-05 Molex Inc カード用コネクタ
JP3818266B2 (ja) * 2003-02-19 2006-09-06 松下電工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アダプ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203345B2 (ja) * 2003-03-31 2008-12-24 富士通株式会社 カード型通信端末
US6932652B1 (en) * 2004-05-10 2005-08-23 Kingconn Technology Co., Ltd. Memory card connector
US6971919B1 (en) * 2005-02-07 2005-12-06 Huang-Chou Huang Memory card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281B1 (ko) * 2007-05-08 2007-09-04 주식회사 씨티씨 카드장착소켓, 캠부재 및 그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00314B2 (en) 2007-11-27
EP1647923A2 (en) 2006-04-19
CN1764014A (zh) 2006-04-26
KR100707715B1 (ko) 2007-04-16
US20060079133A1 (en) 2006-04-13
EP1647923A3 (en) 2009-08-26
CN100379088C (zh) 200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715B1 (ko)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US7160131B1 (en) SIM card holder
US7746635B2 (en) Chip card catching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7344401B2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JP2004302783A (ja) カード型通信端末
KR102044470B1 (ko)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JP4306143B2 (ja) 携帯電話機
KR100648471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용자/가입자 식별모듈 카드 배치 구조
US7794250B2 (en) Card mounting apparatus
JP5596430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4126877A (ja) カード保持構造
US20060287013A1 (en) Battery fasten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070128914A1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JP2008288151A (ja) 防水端子構造
JP2008219948A (ja) 携帯端末
JP2004297337A (ja) 携帯端末
JP2008263433A (ja) 電子機器
JP2002190349A (ja) 携帯電話機の端子カバー
JP4804124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13026973A (ja) 携帯電子機器
JPH11146046A (ja) 携帯電話機の外部接続部構造
JP4783754B2 (ja) 携帯端末
JPH10155014A (ja) 携帯電話機
JP4147522B2 (ja) コネクタ用カバーの着脱構造
TWI384837B (zh) Mobile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