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8752A -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8752A
KR20060028752A KR1020040098519A KR20040098519A KR20060028752A KR 20060028752 A KR20060028752 A KR 20060028752A KR 1020040098519 A KR1020040098519 A KR 1020040098519A KR 20040098519 A KR20040098519 A KR 20040098519A KR 20060028752 A KR20060028752 A KR 20060028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xle box
rubber
box body
ax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타나베다카오
히라이시모토미
이와사키가츠유키
나카무라미노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60028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26Mounting or securing axle-boxes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B61F5/30Axle-boxes mounted for movement under spring control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3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 B60G11/4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not including leaf springs
    • B60G11/5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not including lea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and also rubber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5Mounting of rubber type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1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5/00Axle-boxes
    • B61F15/20Detail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스프링, 지지고무의 고정구조가 간단하고, 그 설치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액슬박스(軸箱)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액슬박스체(10)의 정점부에 코일스프링(21, 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액슬박스체(10)의 차량 진행방향 전후부분에 지지고무(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고무(30)의 축 중심위치에 지지봉(31)이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봉(31)의 상단부분이 사이드빔(6)을 관통하고 있다. 사이드빔(6)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 지지봉(31)의 상단부를 너트에 의해 고정한다. 지지봉(31)을 사이드빔(6)에 고정할 때, 상기 너트(40)의 조임작업을 사이드빔(6)의 상면부분에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AXLE BOX SUSPENSION FOR RAILWAY CAR}
도 1은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의 설명도,
도 2는 지지고무의 설명도,
도 3은 지지고무의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대차 프레임 6 : 사이드빔
10 : 액슬박스체 11 : 차축
12 : 고무 지지부 21, 22 : 코일스프링
30 : 지지고무 31 : 지지봉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액슬박스(軸箱)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의 대차는, 통상, 2개의 차축에 의하여 대차 프레임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대차 프레임은 2개의 사이드빔과 그 사이드빔을 결합하는 크로스빔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차축의 양쪽 끝에는 베어링을 내장한 액슬박스체가 설치되고, 각각의 액슬박스체에 의하여 대차 프레임을 차축에 대하여 지 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액슬박스체는 코일스프링, 적층고무 또는 롤고무로 이루어지는 탄성지지부재를 거쳐 상기 대차 프레임을 지지하고 있다.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는 대차 프레임에 대하여, 그 차량 진행방향 및 좌우방향에 대하여 차축을 위치결정한다. 또 상기 액슬박스 지지장치는 차축에 대하여 대차 프레임을 탄성 지지한다.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는,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적층고무에 의해 구성된 지지고무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과 지지고무는 각각의 중심축이 대략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코일스프링과 지지고무는, 상부 축스프링자리와 하부축 스프링자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의 안쪽에 상기 지지고무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 및 지지고무는 액슬박스체의 차량 진행방향 전후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코일스프링 및 복수의 지지고무에 의해 차축에 대하여 대차 프레임을 탄성 지지하고 있다. 상기복수의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대차 프레임의 수직하중을 지지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고무에 의해 대차 프레임에 대하여 차축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상기 각 지지고무는, 차축과 대차 프레임과의 사이의 차량 진행방향 및 좌우방향의 하중을 받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공평06-45342호 공보
상기 코일스프링 및 지지고무를 대차 프레임에 고정하는 상부 축스프링자리는, 대차 프레임의 사이드빔의 하면에 설치된 지지자리에 대하여 볼트 및 너트 등 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자리는 사이드빔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고, 그 좌우방향의 외주부분은, 사이드빔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상부 축스프링자리를 상기 지지자리에 대하여 고정하는 경우, 상기 사이드빔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지지자리의 외주부분에 볼트구멍을 형성하여 그 지지자리의 상면측으로부터 볼트를 조이게 된다. 상기 사이드빔의 대차 폭 방향의 바깥쪽은, 다른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볼트 조임작업은 비교적 간단하다. 한편 상기 사이드빔의 대차 폭 방향의 안쪽에는 차축의 차륜이 배치되어 있고, 사이드빔과 차륜과의 약간의 간극을 이용하여 볼트 조임작업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작업이 번거로웠다.
통상의 철도차량용 대차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2개의 차축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이 2개의 차축의 배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사이드빔의 지지자리와 상부 축스프링자리를 체결하는 볼트를 삽입하는 구멍은, 긴 구멍으로 되어 있다. 상기 상부 축스프링자리를 지지자리에 대하여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긴 구멍의 부분에서 차축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2개의 차축의 배치를 조정하고 있었다. 상기 체결부재의 볼트는 상부 축스프링자리에 대하여 4개 필요하고, 1개의 차축에 대하여 상부 축스프링자리는 4개 설치되어 있어, 1대의 대차에 대하여 모두 32개의 볼트를 사용하게 된다. 이 볼트 중, 반수는 사이드빔과 차륜과의 간극으로부터 조임작업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막대한 노동력과 시간을 요하고 있었다.
상기 지지고무는 코일스프링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 코일스프링은, 그 내경이 지지고무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경이 비교적 큰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을 지지하는 액슬박스체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경에 대응한 큰 지름의 지지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액슬박스체는 코일스프링을 지지하는 부분이 매우 크게 구성되어 있어, 액슬박스체의 소형 경량화의 방해가 되고 있었다. 또 상기한 액슬박스체를 구비한 대차에 있어서는, 액슬박스체의 차량 진행방향 양측에 상기 코일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하여 대형의 지지자리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사이드빔에 대형의 상기 지지자리를 설치하는 부분을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어 상기 크로스빔이 길이가 긴 것이 되어 대차 프레임 자체의 소형 경량화를 저해하는 하나의 원인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고무를 대차 프레임에 고정할 때의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이고 경량인 액슬박스체를 구비한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축에 대하여 베어링을 거쳐 설치되는 액슬박스체와, 상기 액슬박스체에 설치되고, 상기 액슬박스체에 대하여 대차 프레임을 탄성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액슬박스체의 차량 진행방향 양측에 형성된 고무지지부에 설치되는 지지고무와, 한쪽 끝이 상기 지지고무의 축 중심위치에 삽입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대차 프레임의 사이드빔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지지봉으로 구성한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차 프레임을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을 얹어 놓는 지지자리를 그 정점부에 형성하고 있고, 지지고무를 유지하는 위쪽으로 개구한 2개의 구멍을 가지는 액슬박스체와, 상기 액슬박스체의 상기 각 구멍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고무와, 하단부분에 상기 지지고무를 유지하고 있고, 상단부분이 대차 프레임의 사이드빔을 관통한 상태에서 그 사이드빔에 고정된 2개의 지지봉으로 구성한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대차 프레임(5)은, 액슬박스체(10)를 설치하는 사이드빔(6)의 끝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액슬박스체(10)는 차축(11)의 양쪽 끝에 베어링을 거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액슬박스체(10)는 그 차량 진행방향 양측부분에 각각 고무지지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무지지부(12)는 그 외주부분이 반원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은 위쪽으로 개구하고 있고, 그 중심축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각 고무지지부(12)의 구멍에, 뒤에서 설명하는 지지고무(30)가 설치된다. 상기 액슬박스체(10)의 정점부에는 코일스프링(21, 22)의 하단면을 받는 하좌(下座)(24)를 고정하는 코일스프링 지지자리(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 지지자리(23)에는, 상기 하좌(24)의 중앙에 설치된 관통구멍에 끼워 맞추는 돌기(23a)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21, 22)은 각각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코일스프링(21)과 코일스프링(22)을 설치하고 있는 것은, 다른 스프링특성을 가지는 코일스프링을 조합시킴 으로써, 최적의 스프링특성을 가지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좌(24)는 그 상면이 상기 각 코일스프링(21, 22)의 하단형상에 일치한 구조로 되어 있고, 그 하좌(24)의 하면은 거의 평탄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좌(24)와 액슬박스체(10)의 지지자리(23)와의 사이에는, 대차 프레임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21, 22)의 상단측에 설치되는 상좌(27)도 상기 하좌(24)와 마찬가지로 그 하면이 코일스프링(21, 22)의 상단형상에 일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좌(27)의 상면에는 원통형상의 돌기(2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27a)는 사이드빔(6)의 상면판부에 끼워 맞추어져 있고, 상기 코일스프링(21, 22)의 대차 프레임(5)에 대한 위치결정을 행하고 있다. 또 이 돌기(27a)에는 중심위치에 관통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좌(27)와 상기 하좌(24)에 의하여 상기 코일스프링(21, 22)에 예비 압축력을 부가하여 유지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된다. 상기 하좌(24)의 관통구멍에는 원통형의 유지통(2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유지통(25)은 중공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하단측에는 상기 액슬박스체(10)의 돌기(23a)가 끼워 넣어진다. 또 유지통(25)의 상단측 내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코일스프링(21, 22)에 예비 압축력을 부가하였을 때에 설치되는 볼트와 나사 결합한다. 상기 상좌(27)의 관통구멍에는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덮개(28)가 설치된다. 상기 상좌(27)의 돌기(27a)를 사이드빔(6)의 상면판부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상기 코일스프링(21, 22)의 대략 전체가 사이드빔(6)의 안쪽에 수납된다. 사이드빔(6)에는 상기 코일스프링(21, 22)을 수납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수납박스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슬박스체(10)의 각 고무지지부(1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위쪽으로 개구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에 지지고무(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고무(30)를 구성하는 외통(30a)과 내통(30b)은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외통(30a)과 내통(30b)의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판부재(30c)는 원통형상의 일부를 노치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각 판부재(30c)는 그 원호부분의 반경이 안쪽으로 감에 따라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통(30a) 및 내통(30b)과, 복수의 판부재(30c)는 각각의 곡율 중심을 일치시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외통(30a), 내통(30b), 복수의 판부재(30c)는 모두 금속제이다. 상기 외통(30a), 복수의 판부재(30c), 내통(30b)의 각각의 사이에는 고무(30d)가 가황 접착되어 있고, 적층고무를 구성하고 있다. 그 적층고무가 상기 지지고무(30)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외통(30a)과 내통(30b)의 사이에서, 상기 판부재(30c) 및 고무(30d)가 도중에서 끊긴 부분은, 공간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고무(30)는 각 판부재(30c)와 고무(30d)가 겹치는 방향을 차량 진행방향에 일치시켜 액슬박스체(10)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액슬박스체(10)에 대하여 지지고무(30)를 배치함으로써, 액슬박스체(10)의 차량 진행방향의 스프링특성을 단단하게 하고, 차량 진행방향으로 직각인 방향의 스프링특성을 유연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지지고무(3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고무받이자리(33)에 압입되어 있고, 그 지지고무(30)가 빠지지 않도록 고무받이자리(33)의 가장자리부분에 노루발(presser foot)(3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루발(32)의 외주부분에 나사를 형성하고, 고무받이자리(33)의 내면에도 나사를 형성하여 양자를 나사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지지고무(30)를 고무받이자리(33) 에 강고하게 고정하는 구조로 하면, 상기 지지고무(30)를 고무받이자리(33)에 삽입하는 구조로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고무(30)를 고무받이자리(33)에 대하여 반드시 압입할 필요는 없다. 상기 고무받이자리(33)는 상기 지지고무(30)의 외통(30a)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판부재(30c) 및 내통(30b)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고무받이자리(33)는 액슬박스체(10)의 고무지지부(12)에 형성한 구멍에 끼워 맞춰져 있고, 하부를 복수의 볼트(36)에 의해 고무지지부(12)에 고정하고 있다. 지지고무(30)의 외통(30a)은 축방향의 높이가 내통(30b)보다도 낮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볼트(36)가 나사 결합하는 나사구멍을 고무받이자리(33)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고무(30)의 내통(30b)에는 그 축 중심을 일치시켜 배치되는 지지봉(31)의 하단부분이 삽입되어 있다. 지지봉(31)에는 상기 내통(30b)의 상단면을 받는 플랜지가 구성되어 있고, 사이드빔(6)으로부터 그 지지봉(31)에 걸리는 수직하중을 지지고무(30)에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31)의 상단부분은 사이드빔(6)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된 관통 통(8)에 삽입되어 있다. 지지봉(31)의 상부측 선단부는, 상기 관통 통(8)으로부터 사이드빔(6)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지지봉(31)이 돌출한 선단부분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31)의 중간부분에는 상기 사이드빔(6)의 하면으로부터 와셔를 거쳐 수직하중을 받는 플랜지(3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31)의 상부측 선단부에 형성된 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40)에 의하여 상기 지지봉(31)은 사이드빔(6)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봉(31)의 중간부에는 상기 너트(40)를 조일 때에 상기 지지봉(31)이 헛돌지 않도록 스패너를 거는 평행한 평탄면이 그 외주면에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 통(8)의 내경은, 지지봉(31)의 외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통(8)과 지지봉(31) 사이에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대차 프레임(5)에 대한 액슬박스체(10)의 설치위치를 조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31)의 하단면에는 매달음 고정구(37)가 볼트(39)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매달음 고정구(37)는, 지지고무(30)를 고무받이자리(33)에 의해 고무지지부(12)에 고정한 후, 그 고무지지부(12)의 하면에 설치한 관통구멍(12c)으로부터 삽입된다. 매달음 고정구(37)의 하단측에는 상기 관통구멍(12c)의 직경보다도 큰 플랜지(3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37a)는 대차 프레임(5)을 매달아 올림 구멍(9)에 후크를 걸어 크레인에 의해 매달아 올렸을 때에 액슬박스체(10)가 낙하하지 않도록 받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단, 통상의 주행상태에서는 액슬박스체(10)의 고무지지부(12)의 하면에 상기 플랜지(37a)가 접촉하지 않도록 플랜지(37a)와 고무지지체(12)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확보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도 1에 있어서 액슬박스체(10)의 좌측의 고무지지부(12)의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액슬박스체(10)의 우측의 고무지지부(12)에 대해서도 대략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단, 액슬박스체(10)의 우측에 설치되는 지지봉(31)은, 사이드빔(6)의 차량 주행방향의 끝면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 축방향의 치수가 좌측의 지지봉(31)보다도 짧아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액슬박스 지지장치의 조립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고무받이자리(33)에 지지고무(30)를 압입하고, 고무받이자리(33)의 내면에 노루발 (32)을 설치하여 지지고무(30)가 고무받이자리(33)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다음에 이 고무받이자리(33)를 액슬박스체(10)의 고무지지부(12)의 구멍에 위쪽으로부터 삽입하여 볼트(36)에 의해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지지고무(30)의 내통(30b)에 위쪽으로부터 지지봉(31)을 삽입하고, 고무지지부(12)의 바닥면측으로부터 관통구멍(12c)에 매달음 고정구(37)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매달음 고정구(37)를 볼트(39)에 의해 지지봉(31)에 고정한다. 또한 액슬박스체(10)는 이미 차축(11)의 끝부에 베어링을 거쳐 설치되어 있다.
코일스프링(21, 22)은 코일스프링(22)의 안쪽에 코일스프링(21)을 배치하여, 하좌(24)와 상좌(27)에 의해 축방향으로부터 상기 코일스프링(21, 22)을 끼우는 상태로 조립지그에 세트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지그에 의해 하좌(24)와 상좌(27)에, 코일스프링(21, 22)에 예비압축을 주는 데 필요한 하중을 인가한다. 코일스프링(21, 22)이 상기 하중에 의해 줄어 들어 소정의 높이가 된 상태에서 상좌(27)의 관통구멍으로부터 볼트를 삽입하여 하좌(24)에 고정되어 있는 유지통(25)에 나사 결합한다. 이와 같은 작업에 의하여 코일스프링(21, 22)은 예비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코일스프링(21, 22), 하좌(24) 및 상좌(27)를 조립지그로부터 떼어 낸다. 그리고 2개의 지지봉(31)이 설치된 액슬박스체(10)의 코일스프링 지지자리(23)에 예비 압축된 코일스프링(21, 22)을 얹어 놓는다. 이때 하좌(24)의 구멍에 코일스프링지지자리(23)의 돌기(23a)를 삽입한다.
차축(11)의 양쪽 끝에 설치되는 각 액슬박스체(10)가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이 차축(11)을 2개 평행으로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액슬박스체 (10)를 위치 결정 지그에 의해 유지하고 있어, 위쪽으로부터 대차 프레임(5)을 상기 2개의 차축(11)의 위에 얹어 놓는다. 이때 각 액슬박스체(10)에 설치된 각 지지봉(31)은 사이드빔(6)의 관통 통(8)에 삽입된다. 또 코일스프링지지자리(23)의 위에 설치된 코일스프링(21, 22)은 사이드빔(6)에 형성된 수납박스에 수납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31)의 플랜지(31b)의 상면에는 자리가 설치되어 있다. 또지지봉(31)의 상단부는 사이드빔(6)의 위쪽으로 돌출하여 자리를 설치하여, 너트(40)를 나사 결합한다. 이 너트(40)의 조임력에 의해 지지봉(31)을 사이드빔(6)에 강고하게 고정한다. 그런데 상기 너트(40)의 조임에 있어서는 관통 통(8)과 지지봉(31)과의 간극을 이용하여 대차 프레임(5)에 대한 차축(11)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행하고, 위치결정이 완료된 시점에서 너트(40)를 조인다.
상기 코일스프링(21, 22)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좌(27)의 돌기부(27a)는 사이드빔(6)의 상부판재의 관통구멍에 끼워 맞추고, 그 돌기부(27a)는 사이드빔(6)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코일스프링(21, 22)에 예비 압축을 준 상태에서 유지하는 볼트를 떼어 낸다. 이와 같이 하여 2개의 차축(11)에 대하여 대차 프레임(5)을 얹어, 액슬박스 지지장치의 조립이 종료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지지고무(30)를 대차 프레임(5)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지지봉(31)은, 그 상단부분이 대차 프레임(5)의 사이드빔(6)의 상면으로 돌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봉(31)을 사이드빔(6)에 고정하는 너트(40)는, 그 사이드빔(6)의 상면부분에서 그 조임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 에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조임작업의 장해가 되는 것이 없어, 간단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상부 축스프링자리를 받는 지지자리는, 액슬박스체에 걸리는 차량 진행방향 및 그 직각방향의 힘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자리의 받이면을 사이드빔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할 수록 크게 구성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의 지지봉(31)은 사이드빔(6)의 하면부분 및 상면부분의 2부분에서 고정되어 있다. 즉, 지지봉(31)의 플랜지(31b)는 와셔를 거쳐 사이드빔(6)의 하면에 강하게 가압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지지봉(31)의 선단부분도 와셔를 거쳐 사이드빔(6)의 상면부에 대하여 너트(40)를 조임으로써, 가압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봉(31)은 사이드빔(6)의 하면 및 상면의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고, 액슬박스체(10)로부터 지지봉(31)에 수평방향의 하중이 인가되어도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종래구조와 같이, 사이드빔의 하면에 폭이 넓은 지지면을 구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 실시예의 경우, 지지봉(31)의 2개의 지지부분의 간격을 넓히기 위하여 사이드빔(6)의 상면보다도 더욱 위쪽에 위치하는 코일스프링(21, 22)의 받이면과 대략 동일한 위치에서 사이드빔(6)에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이드빔(6)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일 없이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관통 통(8)과 지지봉(31)과의 간극에 의하여 차축(10)의 위치맞춤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외에 차축(1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코일스프링(21, 22)의 설치작업에 대해서도, 액슬박스체(10)의 코일스프 링 지지자리(23)에 예비 압축한 코일스프링(21, 22)을 배치하고, 대차 프레임(5)을 얹은 상태에서 볼트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 볼트를 제거하는 작업도, 사이드빔(6)의 상면측으로부터 행하기 때문에, 작업의 장해가 되는 일 없이 간단하고 또한 단시간에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액슬박스체(10)의 고무지지부(12)는 종래와 같이 코일스프링을 지지할 필요는 없고, 지지고무(30)를 지지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으면 좋다. 따라서 상기액슬박스체(10)의 고무지지부(12)는 종래의 액슬박스체에 비하여 작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액슬박스체(10) 자체를 소형으로 경량화할 수 있다. 또 액슬박스체(10)가 소형이 됨으로써 사이드빔(6)의 액슬박스체 지지부분의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대차 프레임(5)의 소형, 경량화가 도모된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적용한 윙방식의 액슬박스체를 가지는 2개의 차축을 구비한 보우기 대차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윙방식의 액슬박스체를 채용하고 있는 1축 대차에도 적용 가능하고, 동일하게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Claims (8)

  1. 대차 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을 얹는 지지자리를 그 정점부에 형성하고 있고, 지지고무를 유지하는 위쪽으로 개구한 2개 구멍을 가지는 액슬박스체와,
    상기 액슬박스체의 상기 각 구멍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고무와,
    하단부분에 상기 지지고무를 유지하고 있고, 상단부분이 대차 프레임의 사이드빔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빔에 고정된 2개의 지지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무는, 고무받이자리에 압입되어 있고, 상기 고무받이자리는 상기액슬박스체의 차량 진행방향의 전후부분에 형성된 고무지지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고무지지부의 하면으로부터 볼트로 상기 고무받이자리를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지지부의 하면보다도 아래쪽으로 매어달음 고정구가 돌출하여 있고, 상기 매달음 고정구는 상기 지지봉에 볼트로 조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상기 사이드빔의 하면을 받는 플랜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플랜지의 외주부분에는 축방향으로 평행한 2면이 노치되어 있으며, 그 노치된 2면은 대차의 폭방향에서 보아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된 면은 대차의 옆쪽에서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6. 차축에 대하여 베어링을 거쳐 설치되는 액슬박스체와,
    상기 액슬박스체에 설치되고, 그 액슬박스체에 대하여 대차 프레임을 탄성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액슬박스체의 차량 진행방향 양측에 형성된 고무지지부에 설치되는 지지고무와,
    한쪽 끝이 상기 지지고무의 축 중심위치에 삽입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대차 프레임의 사이드빔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지지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액슬박스체는, 차축의 양쪽 끝부에 설치되어 있고,
    1대의 대차 프레임에 대하여 2개의 상기 차축이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2개의 상기 차축의 각 액슬박스체의 위에, 상기 코일스프링 및 지지고무를 거쳐 대차 프레임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액슬박스체의 차량 주행방향 중앙위치의 정점부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지지자리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대차 프레임의 사이드빔에, 상기 코일스프링을 수납하는 수납박스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KR1020040098519A 2004-09-29 2004-11-29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KR200600287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83599A JP2006096137A (ja) 2004-09-29 2004-09-29 鉄道車両用軸箱支持装置
JPJP-P-2004-00283599 2004-09-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752A true KR20060028752A (ko) 2006-04-03

Family

ID=3545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519A KR20060028752A (ko) 2004-09-29 2004-11-29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65153A1 (ko)
EP (1) EP1642799A2 (ko)
JP (1) JP2006096137A (ko)
KR (1) KR20060028752A (ko)
CN (1) CN17547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944B1 (ko) * 2010-06-08 2012-05-11 현대로템 주식회사 현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윤중 조정방법
KR101417982B1 (ko) * 2012-12-21 2014-07-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현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4313B2 (ja) * 2009-03-12 2014-02-1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用軸箱支持装置
KR101262607B1 (ko) * 2011-12-09 2013-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증발가스 배출 구조
US9434395B2 (en) * 2013-06-27 2016-09-06 Electro-Motive Diesel, Inc. Fabricated frame for railway truck
CN106891910A (zh) * 2015-12-18 2017-06-27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用空气弹簧
JP6637310B2 (ja) * 2015-12-25 2020-01-2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用台車
JP6595905B2 (ja) * 2015-12-25 2019-10-2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用台車の輪重調整具、それを備えた鉄道車両用台車、及び鉄道車両用台車の製造方法
CN109204366A (zh) * 2017-06-30 2019-01-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转向架的水平轮组件、转向架、轨道车辆和轨道交通系统
CN109204364A (zh) * 2017-06-30 2019-01-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转向架、轨道车辆和轨道交通系统
CN107387628B (zh) * 2017-09-01 2023-04-18 株洲时代瑞唯减振装备有限公司 一种动车转向架用电机节点及其制造方法
CN110116585B (zh) * 2018-02-06 2022-03-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轨道车辆的非驱动桥、轨道车辆和轨道交通系统
CN112128311A (zh) * 2020-08-11 2020-12-25 国电青山热电有限公司 一种电厂汽轮机的减震安装底座及其使用方法
FR3114292A1 (fr) * 2020-09-23 2022-03-25 Alstom Transport Technologies Bogie de véhicule ferroviaire, véhicule et procédé d’installation d’essieu associé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5789A (en) * 1971-07-28 1974-09-17 Gloucester Railway Carriage Snubbed railway bogies
JP2004148947A (ja) * 2002-10-30 2004-05-27 Kawasaki Heavy Ind Ltd 非線形特性バネ及びそれを用いた軸はり式台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944B1 (ko) * 2010-06-08 2012-05-11 현대로템 주식회사 현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윤중 조정방법
KR101417982B1 (ko) * 2012-12-21 2014-07-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현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65153A1 (en) 2006-03-30
EP1642799A2 (en) 2006-04-05
JP2006096137A (ja) 2006-04-13
CN1754732A (zh)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836B2 (en) Elastomeric spring vehicle suspension
KR20060028752A (ko)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CN112550340B (zh) 转向架及轨道车辆
RU2728890C1 (ru) Рамный узел подвес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магнитной левитацией
US7513517B2 (en) Bar pin attachment for bush assembly
US6338300B1 (en) Bogie with composite side members
US20150165851A1 (en) Motor vehicle axle suspension with longitudinal leaf spring
CN112298249B (zh) 转向架及轨道车辆
CN112519827B (zh) 转向架横梁、转向架及轨道车辆
US6209896B1 (en) Vehicle suspension attachment assemblies
US20040021288A1 (en) Suspension beam and bush attachment assembly
JP3531787B2 (ja) 鉄道車両用台車枠及びその台車枠を備えた鉄道車両用台車
JP2016222237A (ja) 鉄道車両用車体支持装置
WO2017110042A1 (ja) 鉄道車両用台車
EP2429839A1 (en) Trailing arm mounting bracket
US20190232834A1 (en) Vehicle body connecting seat and suspension system with same
KR20180066540A (ko) 조립성 향상을 위한 분리형 횡치 리프 스프링
JPH0435255Y2 (ko)
KR20070062254A (ko) 자동차용 서포트 빔
KR100657621B1 (ko) 철도차량용 견인링크장치
JPH10324125A (ja) アクスルケースと車体フレームとの連結構造
JP2530805Y2 (ja) 鉄道車両用軸箱支持装置
KR101804093B1 (ko) 철도차량용 1차 현가장치
JPH08108719A (ja) 車軸式懸架装置
KR200203106Y1 (ko) 이축식 후륜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