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4744A - 조립식 인공암벽 - Google Patents

조립식 인공암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4744A
KR20060024744A KR1020040073582A KR20040073582A KR20060024744A KR 20060024744 A KR20060024744 A KR 20060024744A KR 1020040073582 A KR1020040073582 A KR 1020040073582A KR 20040073582 A KR20040073582 A KR 20040073582A KR 20060024744 A KR20060024744 A KR 20060024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 wall
coupling
wall
block
r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2327B1 (ko
Inventor
변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정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정실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정실업
Priority to KR1020040073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327B1/ko
Publication of KR20060024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4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mountaineering, e.g. climbing-walls, grip elements for climbing-w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enc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면과 하측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삽입구가 형성되고, 삽입구의 상하측 입구부터 배면까지 오목한 형상의 거치홈이 형성되는 암벽블록과; 삽입구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봉과,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직판과, 거치홈에 안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봉이 삽입구에 삽입되었을 때 수직판이 암벽블록의 배면 외측에 위치되도록 수직봉과 수직판을 결합시키는 수평봉을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체하중을 포함한 기타 외력에 의하여 벽으로부터 분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파손될 우려가 크게 감소되고 벽과의 결합 및 분리 시공이 간편하여 용이하게 위치 변경 및 확장을 할 수 있는 조립식 인공암벽을 제공한다.
조립식 인공암벽, 조립식, 암벽블록, 고정소켓, 삽입구

Description

조립식 인공암벽 { Prefabricated artificial wall of rock }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각 부 결합구조를 도시한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조립식 인공암벽이 벽에 결합되었을 때의 측단면을 도시한다.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이 철근 구조물에 결합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의 배면을 도시한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한 형상을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단면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벽 100 : 암벽블록
110 : 삽입구 112 : 중공형 강관
120 : 거치홈 130 : 안착홈
132 : 결합구멍 200 : 연결부재
210 : 수직봉 220 : 수직판
230 : 수평봉 300 : 고정소켓
310 : 삽입슬릿 400 : 결합부재
410 : 결합판 420 : 결합볼트
본 발명은 별도의 시공 없이 간편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암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큰 하중에도 변형이 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벽면이나 철근 구조물 등 다양한 지점에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조경용 담장이나 실내 암벽타기용 구조물 및 판넬 건축물의 기초용으로 사용되거나 인테리어용 구조물로 사용되는 조립식 인공암벽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인공암벽은 스포츠 클라이밍과 같은 스포츠에 사용되기도 하고 장식을 위한 간이벽으로 사용되는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스포츠 클라이밍이란, 현대의 바쁜 생활 속에서 자연암벽까지 가는 시간과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으며, 자연암벽에서와 같은 위험성이 없이 적은 비용으로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운동으로써, 실내에 설치된 조립식 인공암벽을 오르는 운동을 말한다.
스포츠 클라이밍은, 건물 벽이나 암벽을 연상케 하는 거대한 합판, FRP 등에 인공 홀드(손으로 잡는 돌출물)를 부착시키고 손과 발만을 사용해 벽면을 따라 이동하는 운동으로서, 현재에는 전문산악인들의 교육훈련을 하는 운동으로 많이 알려졌지만 레져 스포츠를 즐기는 일반인들에게도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내에서 스포츠 클라이밍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조립식 인공암벽이 고안되어 왔는데, 통상적인 종래의 조립식 인공암벽은 암벽모양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블록을 벽체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며, 벽체에 블록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체결방법으로는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나사결합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조립식 인공암벽은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장식하여 조경용 담장으로 사용되거나,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판넬 건축물의 기초로 사용되는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조립식 인공암벽이 조경용 담장이나 판넬 건축물의 기초로 사용될 때에도 대부분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종래의 조립식 인공암벽은, 사용이 수 회 반복되는 경우 블록 자체 하중과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체결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체결부위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블록을 벽체에 직접 접착시키는 경우 블록의 탈착이 난해하므로 블록의 위치 변경 및 확장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조립식 인공암벽이 장식을 위한 간이벽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설치 장소에 있어 많은 제약이 있고, 설치 장소의 변경 및 확장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 장소에 관계없이 큰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벽체와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벽체와의 결합 및 분리 시공이 간편하여 위치 변경 및 확장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식 인공암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은, 일부 또는 전체의 외측면에 암벽요철이 형성되며, 둘 이상 상호 결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암벽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암벽블록은,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또 다른 암벽블록의 결합돌기와 결합 가능한 형상의 결합슬릿이 형성된다. 이때, 암벽블록은 육면체 형상을 이루며, 하나 이상의 면에 암벽요철이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암벽블록은, 상측면과 하측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삽입구가 형성되고, 삽입구의 상하측 입구부터 배면까지 오목한 형상의 거치홈이 형성되고;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은, 삽입구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봉과,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직판과, 거치홈에 안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 며 수직봉이 삽입구에 삽입되었을 때 수직판이 암벽블록의 배면 외측에 위치되도록 수직봉과 수직판을 결합시키는 수평봉을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암벽블록과 연결부재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암벽블록은 삽입구 내부에 결합되는 중공형 강관을 추가로 구비하고, 수직봉은 중공형 강관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암벽블록은, 배면 좌우측에 결합구멍이 각각 하나 이상씩 형성되고; 조립식 인공암벽은, 서로 다른 두 암벽블록이 수평으로 연결되었을 때 인접하게 되는 두 암벽블록의 결합구멍을 동시에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각 결합구멍과 대응되는 부위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결합판과,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결합구멍에 체결되는 결합볼트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때, 결합구멍은 결합볼트와의 체결력을 강화시키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너트를 내부에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은, 수직방향으로의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수직판과 결합되는 삽입슬릿이 내부에 형성되고, 수직판과의 결합 시 수평봉이 위치되는 반대편 외측면이 벽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소켓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의 결합구조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벽은,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의 결합돌기(104)와, 이웃하는 암벽블록(100)의 결합돌기(104)와 결합 가능한 형상의 결합슬릿(106)이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둘 이상의 암벽블록(1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암벽블록(100)은 이웃하는 암벽블록(100)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벽체의 기초공사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은 벽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전후측면에만 암벽요철(10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암벽블록(100)이 울타리 등으로 사용되어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측면과 상면에 암벽요철(102)이 형성되고, 벽체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한쪽 면만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일면에만 암벽요철(102)이 형성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각 부 결합구조를 도시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은, 둘 이상의 암벽블록(100)과, 암벽블록(100)을 수직방향으로 결합시키는 연결부재(200)와, 후면이 벽(10)에 고정결합됨과 동시에 연결부재(200)와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고정소켓(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암벽블록(100)에는 상측면과 하측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삽입구(110)가 형성 되고, 삽입구(110)의 상하측 입구부터 배면까지 오목한 형상의 거치홈(120)이 형성된다. 삽입구(110)의 형상 및 개수는 암벽블록(100)에 인가되는 하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삽입구(110)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봉(210)과,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직판(220)과, 거치홈(120)에 안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봉(210)이 삽입구에 삽입되었을 때 수직판(220)이 암벽블록(100)의 배면 외측에 위치되도록 수직봉과 수직판을 결합시키는 수평봉(230)을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두 개의 암벽블록(100)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될 때, 수직봉(210)의 상단부는 상측 암벽블록(100)의 삽입구(110)에 삽입되고 하단부는 하측 암벽블록(100)의 삽입구(110)에 삽입되며, 수평봉(230)은 상·하측 암벽블록(100)의 거치홈(120)에 묻히게 되므로, 연결부재(200)는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암벽블록(100)에 간섭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은 암벽블록(100)을 벽(10)에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소켓(300)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때, 고정소켓(300)은, 수직방향으로의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수직판(220)과 결합되도록 상측면과 하측면을 관통하는 삽입슬릿(310)이 내부에 형성되고, 삽입슬릿(310)에 수직판(2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슬릿(3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을 할 때에 수평봉(230)과 간섭되지 아니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수직으로 결합되는 두 개의 암벽블록(100)을 벽(10)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우선 고정소켓(300)을 벽(10)에 고정 결합시킨 후 하측 암벽블록 (100)을 고정소켓(300)의 하측에 위치시키고, 수직판(220)이 삽입슬릿(310)에 삽입됨과 동시에 수직봉(210)이 삽입구(110)에 삽입되도록 연결부재(200)를 결합시킨다. 각 고정소켓(300) 및 삽입구(110)에 연결부재(200)의 결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수직봉(210)의 상단부가 하단면의 삽입구(110)에 삽입되도록 상측 암벽블록(100)을 하측 암벽블록(100)의 상단부에 안착시킴으로써 벽(10)과 고정이 되도록 한다.
고정소켓(300)을 벽(10)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키는 방법이나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결합시키는 방법, 나사결합과 같은 방법으로 체결시키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특정한 한정을 두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직판(220)을 벽(10)에 직접 고정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고정소켓(300)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연결부재(200)만을 사용하여 암벽블록(100)을 결합시키도록 그 구성이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조립식 인공암벽이 벽에 결합되었을 때의 측단면을 도시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암벽블록(100)이 연결부재(200)와 고정소켓(300)에 의하여 벽(10)에 고정되면, 암벽블록(100)은 수직봉(210)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연결부재(200)나 고정소켓(300)이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암벽블록(100)은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일반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블록보다 훨씬 큰 체결력과 내구성을 갖게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은 암벽블록(100) 전체가 벽(10)에 고정 결합되지 아니하고 연결부재(200)만이 벽에 고정 결합되므로, 암벽블록(100)을 철거시키고자 하는 경우 또는 암벽블록(100)을 확장시키고자 하는 경우, 연결부재(200)만을 탈착시키고 암벽블록(100)은 이동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이 매우 간편해진다.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이 철근 구조물에 결합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은 평면을 갖는 벽체 뿐만 아니라 결합면이 불규칙한 철근 구조물(20)에도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 방법은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은, 고정소켓(300)이 고정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물에도 결합이 가능하므로, 보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공사현장에 임시로 가설되는 안전판이나 보조벽 또는 울타리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공연무대의 무대장치나 실내장식을 위한 장식벽 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의 배면을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암벽블록(100)은 결합부재(400)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결합된다.
암벽블록(100)의 배면 좌우측에 결합구멍(132) 각각 형성되고, 결합부재(400)는 서로 다른 두 암벽블록(100)이 수평으로 연결되었을 때 인접하게 되는 두 암벽블록(100)의 결합구멍(132)을 동시에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각 결합구멍(132)과 대응되는 부위에 관통구멍(412)이 형성되는 결합판(410)과, 관통구멍(412)을 관통하여 결합구멍(132)에 체결되는 결합볼트(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결합판(410) 및 결합볼트(420)가 벽(10)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각 암벽블록(100)은 결합판(410)이 접촉되는 부위에 결합판(410)과 결합볼트(420)를 묻을 수 있는 형상의 안착홈(13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한 형상을 도시한다.
통상적으로 암벽블록(100)은 형상제작이 용이하도록 목재나 합성수지 또는 경도가 낮은 금속재 등으로 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암벽블록(100)이 연결부재(200)에 비하여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되는 경우, 암벽블록(100)과 연결부재(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암벽블록(100)에 수평방향으로의 외력이 인가되면 수직봉(210)에 의하여 삽입구(110)의 내측면이 손상될 우려가 있게된다.
이와 같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암벽블록(10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110) 내측면에 외측면이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중공형 강관(112)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때, 중공형 강관(112)은 수직봉(210)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형성되며, 수직봉(210)은 중공형 강관(112)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암벽블록(100)은 수직봉(210)과의 접촉으로 인한 파손 우려가 방지된다.
또한, 결합볼트(420)와 결합되는 결합구멍(132) 역시 결합볼트(420)와의 결합으로 인하여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결합볼트(420)와의 체결력이 강화되도록 결합볼트(420)와 결합 가능한 규격의 암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너트(134)를 내부에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의 또 다른 실시예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단면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암벽블록은, 하측면에 삽입홈(110')이 형성되어 바닥면(20)에 형성된 지지봉(22)과의 결합을 통하여 고정되는 단층형 암벽블록(100')으로도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층으로 적조되는 단층형 암벽블록(100)은, 건물의 벽체나 조경용 울타리로도 사용 가능하며, 차량의 충돌등과 같은 충격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는 건물의 하단부를 보호하는 블록벽체로도 사용 가능하다.
이때, 단층형 암벽블록(100)의 고정을 위한 지지봉(22)은 철근콘크리트를 이용한 기초 공사 시 지면으로 돌출되는 철근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물로 대용할 수 있으므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단층형 암벽블록(100')은 활용면에 있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단층형 조립식 인공암벽(100')은 도 2a에 도시된 조립식 인공암벽(100)과는 달리 상단면에 구멍이나 홀이 형성되지 아니하여 별도의 마감이 필요치 아니하므로, 작업공정이 매우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삽입홈(110')의 형성위치는 하면으로만 한정되지 아니하고, 단층형 암벽블록(100')의 결합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은 조립이 간단하도록 구성되어, 보다 용이하게 벽체의 기초나 울타리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은 자체하중을 포함한 기타 외력에 의하여 벽으로부터 분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파손될 우려가 크게 감소되므로, 수명이 길어지게될 뿐만 아니라 암벽블록의 크기를 크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인공암벽을 사용하면, 벽과의 결합 및 분리 시공이 간편하여 용이하게 위치 변경 및 확장을 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일부 또는 전체의 외측면에 암벽요철(102)이 형성되며 둘 이상 상호 결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암벽블록(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암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벽블록(100)은,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의 결합돌기(104)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또 다른 암벽블록(100)의 결합돌기(104)와 결합 가능한 형상의 결합슬릿(10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암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측면과 하측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삽입구(110)가 형성되고, 상측면 및 하측면에 상기 삽입구(110)의 입구가 형성되는 지점부터 배면까지 길게 형성되는 거치홈(120)을 구비하는 암벽블록(100);
    상기 삽입구(110)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봉(210)과,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직판(220)과, 상기 거치홈(120)에 안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봉(210)이 상기 삽입구(11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수직판(220)이 상기 암벽블록(100)의 배면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봉(210)과 상기 수직판 (220)을 결합시키는 수평봉(230)을 포함하는 연결부재(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암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암벽블록(100)은,
    배면 좌우측에 결합구멍(132)이 각각 하나 이상씩 형성되고;
    상기 조립식 인공암벽은,
    서로 다른 두 암벽블록(100)이 수평으로 연결되었을 때 인접하게 되는 상기 두 암벽블록(100)의 상기 결합구멍(132)을 동시에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각 결합구멍(132)과 대응되는 부위에 관통구멍(412)이 형성되는 결합판(410)과, 상기 관통구멍(412)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구멍(132)에 체결되는 결합볼트(42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암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암벽블록(100)은,
    상기 결합볼트(420)와 결합 가능한 형상의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너트(134)를 상기 결합구멍(132)내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암벽.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인공암벽은,
    수직방향으로의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상기 수직판(220)과 결합되는 삽입슬릿(310)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220)과의 결합 시 상기 수평봉(230)이 위치되는 반대편 외측면이 벽(10)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소켓(300);
    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암벽.
  7. 제 3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벽블록(100)은,
    상기 삽입구(110) 내부에 결합되는 중공형 강관(112)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수직봉(210)은,
    상기 중공형 강관(112)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암벽.
KR1020040073582A 2004-09-14 2004-09-14 조립식 인공암벽 KR100642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582A KR100642327B1 (ko) 2004-09-14 2004-09-14 조립식 인공암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582A KR100642327B1 (ko) 2004-09-14 2004-09-14 조립식 인공암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744A true KR20060024744A (ko) 2006-03-17
KR100642327B1 KR100642327B1 (ko) 2006-11-03

Family

ID=3713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582A KR100642327B1 (ko) 2004-09-14 2004-09-14 조립식 인공암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3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125B1 (ko) * 2008-03-13 2010-07-23 김창주 암벽등반용 사출패널.
KR101038148B1 (ko) * 2008-11-04 2011-05-31 이송원 인공 바위의 시공방법 및 상기 시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바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486B1 (ko) * 2007-10-12 2009-12-09 조용구 인공암벽 패널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5961A (ja) * 1996-12-04 1998-06-16 Taiyo Kogyo Kk フリークライミング用人工壁
KR100446128B1 (ko) * 2002-07-24 2004-08-30 이원식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125B1 (ko) * 2008-03-13 2010-07-23 김창주 암벽등반용 사출패널.
KR101038148B1 (ko) * 2008-11-04 2011-05-31 이송원 인공 바위의 시공방법 및 상기 시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바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2327B1 (ko) 200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07108B2 (ja) 建築物の構造の形成方法
US8359797B2 (en) Structure constructed using precast membe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0903212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KR100566721B1 (ko) 조립식 흙막이 장치
EP0683282A1 (en) A Light weight wall structure for use in buildings
KR100642327B1 (ko) 조립식 인공암벽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101566801B1 (ko) 하프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JP5528128B2 (ja) 建築構造材の接合構造
WO2006001222A1 (ja) 立体構築物
KR100848081B1 (ko) 조립형 갱폼의 지지부 연장 설치 구조
KR100557334B1 (ko) 무해체 계단 거푸집
KR100685440B1 (ko) 거푸집용 지지구
KR100557276B1 (ko)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JPH0258677A (ja) 組立連結壁
JP3616304B2 (ja) 建築物用通し壁パネル
KR100706306B1 (ko) 계단 시공용 덮개판
KR100708987B1 (ko) 퍼즐형 돌블럭
KR101601627B1 (ko) 하프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KR200147067Y1 (ko) 건축용 내,외벽 조립장치
KR200306769Y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KR200196679Y1 (ko) 거푸집지지용 스틸바
KR200452480Y1 (ko) 펜스용 결합구
JP3110688U (ja) 接続金具
KR200375082Y1 (ko)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