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082Y1 -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082Y1
KR200375082Y1 KR20-2004-0031550U KR20040031550U KR200375082Y1 KR 200375082 Y1 KR200375082 Y1 KR 200375082Y1 KR 20040031550 U KR20040031550 U KR 20040031550U KR 200375082 Y1 KR200375082 Y1 KR 200375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wall formwork
deck
upper runner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남
Original Assignee
(주)태양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양건설 filed Critical (주)태양건설
Priority to KR20-2004-0031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0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0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브 시공을 위한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조는, 수직하게 세워진 벽체거푸집(21)과; 상기 벽체거푸집(21)의 상단면에 적층되며, 각 한 쌍의 수직리브(22B)(22B') 및 수평리브(22C)(22C') 사이에 각목(22D)과 코팅판(22E)이 각각 삽입 결합된 상부런너(22)와; 상기 벽체거푸집을 구성하는 거푸집판넬(21A)과 상부런너(22)를 결합시키는 "ㄷ"자 형상의 클램프(23)와; 클램프(23)의 중첩조임공(H3)에 삽입되는 쐐기형 조임편(24)과; 상기 상부런너(22)의 상단면에 적층되어 상부런너(22)의 각목(22D)에 고정 결합되는 목재 데크(25)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는 목재 데크의 설치가 간편하여 노동 강도가 감소되며, 데크 설치 시간이 현저히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concrete forms for slab}
본 고안은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슬라브 시공을 위한 데크를 구성하는 데크판넬이 합판 등의 목재로 이루어진 경우 데크판넬을 금속제 벽체거푸집에 손쉽게 연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각목이 삽입된 상부런너를 벽체거푸집의 상단부에 결합시키고, 상부런너의 상단부에 데크판넬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데크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철근 구조의 건축물은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로부터 시작되는 바, 내부 공간이 벽체의 형상을 하는 주형과 같은 틀을 먼저 만들고, 그 틀의 상단에 천정 슬라브 시공용 판재를 지면에 수평하도록 설치한 후, 상기 틀의 내부와 판재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되며, '거푸집'이라 불리우는 상기 '틀'은 '판재'의 테두리 부분을 보강제로 보강한, 일반적으로, 거푸집판넬이라고 불리는 사각 판상의 판넬들을 다수 연결하여 만들어진다.
따라서, 벽체와 슬라브의 시공은 상기 다수의 거푸집판넬들을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채울 수 있는 내부 공간과 상면을 갖는 형틀인 거푸집을 설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건축물은 크게 벽체와 기둥 및 슬라브로 이루어지며, 기둥은 벽체와 일체화되는 등 그 시공 방법은 벽체와 비슷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바, 기둥과 관련된 거푸집은 설명에서 제외하기로 한다.
건축물의 벽체는, 벽체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각 전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두 벽체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그리고, 천정을 형성하는 슬라브용 거푸집은, 다수의 거푸집판넬들의 상면이 동일 수평면을 이루고 상기 대향하는 두 벽체거푸집 사이의 공간이 막히지 않도록 각 벽체거푸집의 상단부에 바닥과 평행하도록 결합되고, 두 벽체거푸집 사이와 상기 슬라브용 거푸집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함께 타설되는 바, 상기 벽체거푸집과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브용 거푸집을 '데크'라 하고, 데크를 구성하는 거푸집판넬을 '데크판넬'이라 하며, 벽체거푸집과 데크 모두를 '거푸집'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거푸집의 기본 구성 요소이며, 콘크리트에 밀착되는 판재와 판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상기 거푸집 또는 데크판넬의 재료로서 종래에는 목재만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목재 판넬을 이용할 경우에는 판넬들간의 연결조립이 못질 또는 와이어의 조임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로 되며,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의 철거 작업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철재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프레임의 전면에 목재 코팅판 등의 판재가 결합된 목재-금속 판넬이 개발되어 각종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범위 및 규모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벽체거푸집과 달리 슬라브 시공용 데크의 경우에는 금속제 데크판넬의 중량과 핸들링 상의 어려움 등으로 특히, 소규모 건축물의 경우 여전히 합판과 같은 목재 데크판넬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합판이 데크판넬로 사용된 종래의 거푸집 구조를 도시한 도 1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거푸집은 각 벽체(W)를 시공하기 위하여 바닥(A)에 고정 설치된 목재 기초가름대(12)의 상면에 직립되며 일반적으로 상·하 2단으로 이루어진 두 벽체거푸집(11)과,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하여 배면이 대향하는 두벽체거푸집의 각 상단부에 양 단부가 결합되어 바닥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데크(13)로 구성된다.
상기 종래의 데크(13)로는 보통 목재 합판이 사용되며, 슬라브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탱하기 위하여 상기 합판으로 이루어진 데크(13)의 저면에는 다수의 가로바(14)(장선,長線)들이 평행한 상태로 밀착되고, 이 가로바(14)들의 저면에는 이들과 직교하며 평행한 다수의 세로바(15)(멍에)들이 밀착된 후 각 세로바(15)들의 저면을 따라 다수의 지지대(S3)들이 바닥(A)까지 직립하여 상기 데크(13)를 지지하게 되는 구조이며, 벽체거푸집 배면 상단부를 따라 상기 가로바(14)와 평행한 각목(T)이 결합되어 데크(13)와 벽체거푸집(11)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평탄한 전면이 벽체(W)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대향하는 두 벽체거푸집(11)은 벽체를 두께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되는 다수의 연결편(C)으로 결합되며, 벽체 시공 완료 후 상기 각 연결편(C)의 양단부를 절단하여 벽체거푸집을 해체하게 되고, 각 연결편(C)의 중간부는 벽체 콘크리트속에 매몰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벽체거푸집(11)의 각 배면에는, 벽체(W) 시공용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압력으로 각 벽체거푸집을 이루는 거푸집판넬들이 처음의 조립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수직지지대(S1)들과 수평지지대(S2)들이 결합되며, 합판으로 이루어진 슬라브용 거푸집인 상기 데크(13)는 벽체거푸집 배면 상단부를 따라 고정 결합된 각목(T)에 못질되어 고정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데크판넬로서 합판이 사용된 종래의 거푸집 구조의 경우 합판은 못에 의해 각목에 고정되는데, 각목(T)이 벽체거푸집에 고정되어 있기는 하나, 타격시 조금의 움직임도 없도록 완전 고정될 수는 없기 때문에 합판 상면으로부터 각목측으로 못질시 각목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여 못질이 쉽지 않으며, 그에 따라 데크 설치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데크의 설치가 간단히 이루질 수 있도록 하여 데크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데크 설치용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거푸집 설치 구조를 보인 것으로,
(가)는 사시도이고,
(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조임편을 제외한 본 고안 일실시예 결합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 결합 구조를 구성하는 일실시예 상부런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결합구조를 구성하는 일실시예 클램프를 보인 것으로,
(가)는 결합 사시도이고,
(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 결합구조를 구성하는 일실시예 클램프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 결합 구조를 구성하는 일실시예 조임편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결합구조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 클램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 벽체거푸집 12. 기초가름대 13,25. 데크
14. 가로바(장선) 15. 세로바(멍에) 21A. 거푸집판넬
22. 상부런너 22A. 상부런너 몸체 22B,22B'. 수직리브
22C,22C'. 수평리브 22D. 각목 22E. 코팅판
23. 클램프 23A. 클램프 몸체 23A1. 수직부
23A2. 수평부 23B. 조임체 23B1. 수직부
23B2. 수평부 23C. 지지편 24. 조임편
A. 바닥 C. 연결편 H.결합공
H1. 제1조임공 H2. 제2조임공 H3. 중첩조임공
SS. 일측면 SS'. 타측면 T. 각목
V. 코팅판 W. 벽체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각목이 삽입 결합된 바형 상부런너와 "ㄷ"자형 클램프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용어상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시공 대상 벽체를 기준으로 벽체에 근접한 측을 '일측', 벽체에서 먼 측을 '타측'이라 하기로 하며, 상기에서 "바형"의 '바'란 폭 방향으로 절단시의 단면 치수에 비하여 길이 방향 칫수가 수 배 이상 즉, 폭과 높이(또는 가로와 세로)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고안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는, 벽체의 시공을 위하여 바닥에 세워지며 동일 수직면상에 밀집 배열된 다수의 거푸집판넬들로 이루어진 벽체거푸집과, 벽체거푸집의 상단면에 적층되는 바형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과 상부런너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 결합시키는 클램프와, 클램프를 조여주기 위한 쐐기형 편상 조임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런너와 클램프에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있는 바, 이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벽체거푸집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벽체거푸집과 슬라브용 데크를 연결하기 위한 상부런너는, 그 저면이 벽체거푸집의 상단면과 형합되나 전체적으로는 사각파이프의 형상을 하는 몸체의 상면 폭 방향 양 단부를 따라 수직리브가 상향 직립 형성되어 두 수직리브의 대향하는 내면과 몸체 상면에 의해 상향개방된 "ㄷ"자형 각목홈이 형성되고, 그 내면에 외면이 밀착되도록 사각단면의 각목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두 수직리브 중의 일측 수직리브 상단부와 몸체 일측면 하단부에는 외측을 향하여 수평한 상부 수평리브가 하부 수평리브가 길이 방향으로 따라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하부 수평리브의 두 대향면과 몸체 일측면에 의해 일측 수평 방향이 개방된 "ㄷ"자형 코팅판홈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판홈에 전면이 벽체에 밀착되는 코팅판이 삽입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상부런너는, 그 하단면이 벽체거푸집의 상단면에 밀착 결합되고, 동일 수직면을 이루는 두 수평리브의 일측단부와 코팅판의 전면은 벽체에 밀착되며, 두 수직리브의 상단면과 상부 수평리브의 상면 및 각목홈에 삽입된 각목의 상면이 데크판넬인 합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바, 상기 각목이 외부의 타격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전혀 움직임이 없도록 완전히 고정되기 때문에 그 위에 놓여진 합판으로부터 각목측으로의 못질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벽체거푸집과 상부런너를 분리가능하게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클램프는 "ㄴ"자형 몸체의 수직부에 "ㄱ"자형 조임체의 수직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어 대략 "ㄷ"자의 측면 형상을 하며, 상기 각 수직부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일자형 조임공이 각각 형성된 구조로서, 몸체의 수평부 상면과 조임체의 수평부 저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조임공은 일치되나 둘 사이가 이격된 상태에서는 두 조임공이 일치되지 않고 일치된 중첩부만이 원래의 조임공보다 작은 조임공을 형성하게 된다.
즉, 벽체거푸집과 상부런너의 경계부를 통하여 클램프 조임체의 수평부는 상부런너 내부에, 클램프 몸체의 수평부는 벽체거푸집을 구성하는 거푸집판넬의 상부 프레임 저면에 위치시킨 후 클램프의 두 수평부를 상대측으로 밀게 되면 두 수평부는 상부런너의 바닥과 벽체거푸집의 천정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가 되고, 두 수평부의 일측단부에 각각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된 두 수직부의 각 조임공은 서로 일치되지 않으면서 두 조임공의 일부만이 중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최대 폭이 상기 조임공의 길이 이상되는 쐐기형 조임편을 중첩된 조임공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폭이 좁은 부위에서 폭이 넓은 부위로 점차 밀어넣게 되면 중첩된 조임공이 확장되면서 두 수평부를 더욱 더 조이게 됨으로써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이 단단히 결합하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에 본 고안 일실시예 결합 구조도를, 도 3에 본 고안 결합 구조를 구성하는 일실시예 상부런너의 사시도를, 도 4에 본 고안 결합구조를 구성하는 일실시예 클램프의 사시도를, 도 5에 본 고안 결합 구조를 구성하는 일실시예 클램프의 측면도를, 도 6에 본 고안 결합 구조를 구성하는 일실시예 조임편의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는, 벽체(W)를 시공하기 위하여 바닥에 세워지며, 코팅판(V)이 결합된 다수의 거푸집판넬(21A)들이 동일 수직면상에서 밀집 배열된 벽체거푸집(21)과;
상기 벽체거푸집(21)의 상단면에 저면이 적층 형합되며 타측면(SS')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결합공(H)이 열을 이루어 형성된 사각파이프 형상의 몸체(22A)와, 몸체(22A) 상면의 폭 방향 양 단부에 각각 직립 형성된 한 쌍의 수직리브(22B)(22B')와, 일측 수직리브(22B)의 상단부 및 몸체(22A)의 일측면(SS) 하단부를 따라 외측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하부 수평리브(22C)(22C')와, 상기 두 수직리브(22B)(22B') 사이의 내면에 외면이 밀착되도록 삽입 결합되는 각목(22D)과, 상기 상·하부 수평리브(22C)(22C') 사이의 내면에 외면이 밀착되도록 삽입 결합되는 코팅판(22E)으로 이루어진 상부런너(22)와;
벽체(W)측을 향하여 개방된 "ㄷ"자형 평면 단면을 가지며 상·하 방향의 일자형 제1조임공(H1)이 대향 하는 두 측면 중앙부에 각각 관통 형성되고 사각형의 측면 형상을 한 수직부(23A1)의 개방된 일측 하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벽체(W)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수평부(23A2)가 고정 결합되어 "ㄴ"자형 측면 형상을 이루며 상기 벽체거푸집(21)을 구성하는 거푸집판넬(21A)의 상부 프레임(FU) 저면에 수평부(23A2)의 상면이 밀착되는 몸체(23A)와, 이 몸체(23A)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며 중앙부에 상기 제1조임공(H1)과 일치되는 제2조임공(H2)이 형성된 사각 편상 수직부(23B1)의 일측면 상단부에 벽체(W)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수평부(23B2)가 벽체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ㄱ"자형 측면 형상을 이루며 상기 상부런너(22)의 결합공(H)을 통하여 상부런너(22) 몸체(22A) 내부로 삽입된 수평부(23B2)의 저면이 상부런너(22) 몸체(22A)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조임체(23B)로 이루어진 클램프(23)와;
상기 클램프(23)의 제1 및 제2조임공(H1)(H2)이 중첩된 중첩조임공(H3)에 삽입되어 상기 조임체(23B)의 수평부(23B2)를 몸체(23A)의 수평부(23A2) 측으로 조여주는 역할을 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쐐기형 조임편(24)과;
상기 상부런너(22)의 상단면에 적층되어 못 등의 고정부재(N)에 의해 상부런너(22)의 각목(22D)에 고정 결합되며, 합판 등의 목재로 이루어진 데크(2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결합 구조에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클램프(23)의 각 수평부(23A2)(23B2) 저면과 상면이 각각 상부런너(22) 몸체(22A) 내부 바닥면 및 거푸집판넬(21A) 상부 프레임(FU) 저면과 형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클램프(23)의 중첩조임공(H3)에 조임편(24)을 관통시킨 후 클램프를 조여주기 위하여 조임편의 헤드에 햄머 등으로 타격을 가하게 되면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에 직각이 되도록 결합되었던 클램프가 타격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기울게 되며, 그 결과 클램프의 두 수평부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어 조임력이 떨어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23) 몸체(23A) 수직부(23A1)의 중앙 개방측 단부 양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외면에는 지지편(23C)을 고겅 결합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클램프에 타격이 가해질 때 상기 지지편(23C)의 일측면이 상부런너와 거푸집판넬의 경계면에 밀착 지지됨으로써 클램프가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는 목재 데크의 설치가 간편하여 노동 강도가 감소되는 동시에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한 데크의 설치 시간이 현저히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다수 거푸집판넬(21A)이 동일 수직면상에서 밀집 배열된 벽체거푸집(21)과;
    상기 벽체거푸집(21)의 상단면에 적층되며 타측면(SS')에 다수 결합공(H)이 형성된 사각 파이프형 몸체(22A) 상면 폭 방향 양 단부에 수직리브(22B)(22B')가 각각 형성되고, 일측 수직리브(22B)의 상단부와 몸체(22A) 일측면(SS) 하단부에 각각 수평리브(22C)(22C')가 돌출 형성되며, 각 두 리브 사이에 각목(22D)과 코팅판(22E)이 각각 삽입 결합된 상부런너(22)와;
    상기 거푸집판넬(21A)의 상부 프레임(FU) 저면에 상면이 밀착되는 수평부(23A2)가 제1조임공(H1)이 구비된 수직부(23A1)의 일측 하부에 결합된 몸체(23A)와, 결합공(H)을 통하여 상부런너 몸체(22A) 내부 바닥면에 상면이 밀착되는 수평부(23B2)가 몸체(23A) 내부로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2조임공(H2)이 형성된 수직부(23B1)의 일측면 상단부에 형성된 조임체(23B)로 이루어진 클램프(23)와;
    상기 클램프(23)의 중첩조임공(H3)에 삽입되는 쐐기형 조임편(24)과;
    상기 상부런너(22)의 상단면에 적층되어 상부런너(22)의 각목(22D)에 고정 결합되는 목재 데크(2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3) 조임체(23B)의 수평부(23B2) 저면은 상부런너(22) 몸체(22A)의 내부 바닥면과 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3) 몸체(23A)의 수직부(23A1)는 "ㄷ"자형 평면 단면과 사각 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3) 몸체(23A)의 수평부(23A2)는 수직부(23A1)의 개방측 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25)는 합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3) 몸체(23A)의 수직부(23A1) 중앙 개방측 단부 양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외면에 지지편(23C)이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KR20-2004-0031550U 2004-11-08 2004-11-08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KR200375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550U KR200375082Y1 (ko) 2004-11-08 2004-11-08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550U KR200375082Y1 (ko) 2004-11-08 2004-11-08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082Y1 true KR200375082Y1 (ko) 2005-02-05

Family

ID=4944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550U KR200375082Y1 (ko) 2004-11-08 2004-11-08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0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07108B2 (ja) 建築物の構造の形成方法
US6691471B2 (en) Mortarless wall structure
US20060101784A1 (en) Skirting wall system
US20070163187A1 (en) Wall system
US20070163203A1 (en) Wall system
JP2005171757A (ja) 波形の剪断壁
US20070175150A1 (en) Wall system
KR100484512B1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US20070175114A1 (en) Wall system
KR20040042029A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FR2912768A1 (fr) Systeme de construction de batiment a montage rapide par ossature mixte bois et metal
KR200375082Y1 (ko) 데크판넬 연결을 위한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KR200380884Y1 (ko) 데크판넬 연결용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JP5447116B2 (ja) 鋼構造用床パネル、鋼構造用床パネルの接合構造および鋼構造の床組
JP3111229U (ja) 耐震用補強金具
KR20060041382A (ko) 목재 데크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 설치 구조
KR100757030B1 (ko) 거푸집 상부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03949Y1 (ko)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데크지지대
KR200375079Y1 (ko) 목재 데크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 설치 구조
JP3177809U (ja) 木造建築物
JP3883970B2 (ja) 軸組構造
GB2470721A (en) A stud for use in timber frame walls
JP4315100B2 (ja) 複合受け部材
JPH11193572A (ja) 木造建築用の接合金具
KR200391961Y1 (ko) 옹벽 마감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