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128B1 -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128B1
KR100446128B1 KR10-2002-0043492A KR20020043492A KR100446128B1 KR 100446128 B1 KR100446128 B1 KR 100446128B1 KR 20020043492 A KR20020043492 A KR 20020043492A KR 100446128 B1 KR100446128 B1 KR 100446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abricated
brick
bricks
diamet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4272A (ko
Inventor
이원식
Original Assignee
이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식 filed Critical 이원식
Priority to KR10-2002-004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128B1/ko
Publication of KR20020064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32Undercut connections, e.g. using undercut tongues and grooves
    • E04B2002/0234Angular dovetails
    • E04B2002/0236Angular dovetails tapered, i.e. dovetail narrows in the direction of tongue or groove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립식 벽돌 세트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조립식 벽돌, 조립식 벽돌의 상단 중심에는 조립식 벽돌의 세로 길이와 동일 길이를 갖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며, 하단 중심에는 세로 길이와 동일 길이를 갖는 걸림 홈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조립식 벽돌과 동일한 가로/세로 길이와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모서리 벽돌, 모서리 벽돌은 걸림 돌기와 걸림 홈이 모서리 벽돌의 세로 길이의 1/2 정도로 형성되며; 전제적으로 조립식 벽돌과 동일한 가로/세로 길이와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마무리 벽돌, 마무리 벽돌은 상단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지 않으며 하단 중심부에 걸림 홈이 조립식 벽돌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조립식 벽돌, 모서리 벽돌 및 마무리 벽돌은 각기 중심부를 세로축으로 가로질러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통형의 장공이 형성되며, 걸림 돌기의 윗변 지름은 밑변 지름 보다 길게 형성되며, 걸림 홈의 윗변 지름은 밑변 지름보다 길게 형성되되, 걸림 홈의 윗변 지름은 걸림 돌기의 윗변 지름보다 길게 형성되고, 걸림 홈의 밑변 지름은 걸림 돌기의 밑변 지름보다 길게 형성된다. 조립식 벽돌 세트는 시멘트를 사용 않고 적층 시공이 가능해 미장 공사가 불필요하다. 시공이 잘못 되었을 경우 벽돌들을 손상시키지 않고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어 재료의 절감과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STRUCTURAL FABRICATED BRICK SET}
본 발명은 건축용 벽돌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해체시에도 원형의 손상이 없어 재사용이 가능한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건축용 벽돌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건축용 벽돌은 단순히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거나, 벽돌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건축용 벽돌은 건축 시공시 벽돌을 적층시키기 위해 벽돌 사이에 시멘트를 주입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므로 시공이 잘못된 경우 벽돌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벽돌의 원형을 손상시키게 되어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자원의 손실과 함께 건축 폐기물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어왔다.
만약, 건축용 벽돌을 시멘트를 이용한 접합방식을 사용하지 않고도 시공이 가능한 조립식 벽돌을 제공할 수 있다면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시멘트와 같은 접합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건축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된 벽돌을 해체한 후에도 재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벽돌 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건축용 벽돌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조립식 벽돌의 정면도;
도 4a는 도 3a의 조립식 벽돌과 세트를 이루는 모서리 벽돌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모서리 벽돌의 측면도;
도 5a는 도 3a의 조립식 벽돌과 세트를 이우는 마무리 벽돌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마무리 벽돌의 정면도; 그리고
도 6은 조립식 벽돌 세트를 이용한 시공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조립식 벽돌 12, 22 : 걸림 돌기
14, 24, 32 : 걸림 홈 16, 26, 34 : 장공
20 : 모서리 벽돌 30: 마무리 벽돌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조립식 벽돌, 상기 조립식 벽돌의 상단 중심에는 조립식 벽돌의 세로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며, 하단 중심에는 세로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걸림 홈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상기 조립식 벽돌과 동일한 가로 및 세로와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모서리 벽돌, 상기 모서리 벽돌은 걸림 돌기와 걸림 홈이 모서리 벽돌의 세로 지름의 1/2 정도로 형성되며; 전제적으로 조립식 벽돌과 동일한 가로 및 세로와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마무리 벽돌, 상기 마무리 벽돌은 상단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지 않으며 하단 중심부에 걸림 홈이 조립식 벽돌과 같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벽돌, 모서리 벽돌 및 마무리 벽돌은 각기 중심부를 세로축으로 가로질러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통형의 장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의 윗변 지름은 밑변 지름 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 홈의 윗변 지름은 밑변 지름보다 길게 형성되되, 걸림 홈의 윗변 지름은 걸림 돌기의 윗변 지름보다 길게 형성되고, 걸림 홈의 밑변 지름은 걸림 돌기의 밑변 지름보다 길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조립식 벽돌의 정면도이다. 도 4a는 도 3a의 조립식 벽돌과 세트를 이루는 모서리 벽돌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모서리 벽돌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a는 도 3a의 조립식 벽돌과 세트를 이루는 마무리 벽돌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마무리 벽돌의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립식 벽돌 세트는 크게 조립식 벽돌(10), 모서리 벽돌(20) 및 마무리 벽돌(30)로 구성된다.
조립식 벽돌(1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상단 중심에는 조립식 벽돌(10)의 세로 길이(c)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걸림 돌기(12)가 형성되며, 하단 중심에는 세로 길이(c)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걸림 홈(14)이 형성된다.
걸림 돌기(12)의 윗변 지름(n2)은 벽돌(10)의 가로 길이(b)의 3/5 정도로 하며, 밑변의 지름(n1)은 윗변 지름(n2)의 2/3 정도로 좁게 형성한다. 걸림 돌기(12)의 높이(n3)는 벽돌(10)의 높이(a)의 1/5 정도가 되게 형성한다.
걸림 홈(14)의 윗변 지름(m2)은 걸림 돌기(12)의 윗변 지름(n2)보다 대략 2㎜ 정도 넓게 형성하고, 걸림 홈(14)의 밑변 지름(m1)은 걸림 돌기(12)의 밑변 지름(n1)보다 대략 2㎜ 정도 넓게 형성한다. 걸림 홈(14)의 높이(m3)는 걸림 돌기(12)의 높이(n3)보다 대략 2㎜ 높게 형성한다.
걸림 홈의 지름과 높이가 걸림 돌기의 지름과 높이보다 대략적으로 2㎜ 정도크게 제작되는 이유는 건축 시공시 걸림 돌기가 걸림 홈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걸림 돌기(12)와 걸림 홈(14)은 각기 윗변 지름 보다 밑변 지름을 좁게 형성하는데 그 이유는 건축 시공시 걸림 돌기 부분이 걸림 홈에 결합된 후 벽돌의 이탈을 방지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조립식 벽돌(10)의 중심부를 세로축으로 가로질러 원통형의 장공(16)이 형성된다. 장공(16)은 조립식 벽돌(10)의 가로 길이(b)의 1/3 정도의 지름을 갖는다. 장공(16)은 건축 시공 후 벽면 내부에 벽돌 층층마다 장공이 형성되어 방음, 방한, 방습, 단열들의 다양한 효과를 얻게 된다.
이어, 모서리 벽돌(20)은 전체적으로 조립식 벽돌(10)과 동일한 가로 및 세로 길이와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나, 걸림 돌기(22)와 걸림 홈(24)은 모서리 벽돌(20)의 세로 길이(c)의 1/2 정도만 형성된다. 그리고 모서리 벽돌(20)의 장공(26)은 조립식 벽돌(10)의 장공(16)과 동일하다.
마무리 벽돌(30) 또한 전제적으로 조립식 벽돌(10)과 동일한 가로 및 세로 길이와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나, 상단에 걸림 돌기는 형성되지 않으며 하단 중심부에 걸림 홈(32)은 조립식 벽돌(10)과 같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마무리 벽돌(30)의 장공(34)은 조립식 벽돌(10)의 장공(16)과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벽돌 세트를 이용한 건축 시공예가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벽돌 세트를 이용한 건축 시공시 벽면 상하 좌우에 벽돌 한 장 정도가 삽입 될 수 있는 홈을 각각 개설하고 조립식 벽돌(10)을 기초 벽돌로서 홈에 고정 설치하고 이어 그 위에 계속해서 조립식 벽돌(10)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모서리 부분에서는 모서리 벽돌(20)을 사용하여 적층한다. 그리고 마지막 상부에는 마무리 벽돌(30)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시멘트를 이용하지 않고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다. 특히, 걸림 돌기와 걸림 홈의 각각의 윗변 지름이 각각의 밑변 지름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벽돌이 이탈되거나 붕괴되지 않는다. 그리고 시공 후에는 벽돌의 측면 부분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균일한 벽면을 형성하므로 별도의 미장 공사를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시공이 잘못되었을 경우 벽돌을 쉽게 분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건축 재료의 절감 효과와 건축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시멘트와 같은 접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벽돌의 적층 시공이 가능하며 별도의 미장 공사가 불필요하다. 특히, 시공이 잘못 되었을 경우 적층된 벽돌들을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어 건축 재료의 절감효과와 더불어 건축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조립식 벽돌(10), 상기 조립식 벽돌(10)의 상단 중심에는 조립식 벽돌의 세로 길이(c)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걸림 돌기(12)가 형성되며, 하단 중심에는 세로 길이(c)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걸림 홈(14)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상기 조립식 벽돌(10)과 동일한 가로 및 세로 길이와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모서리 벽돌(20), 상기 모서리 벽돌(20)은 걸림 돌기(22)와 걸림 홈(24)이 모서리 벽돌(20)의 세로 길이(c)의 1/2 정도로 형성되며;
    전제적으로 조립식 벽돌(10)과 동일한 가로 및 세로 길이와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마무리 벽돌(30), 상기 마무리 벽돌(30)은 상단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지 않으며 하단 중심부에 걸림 홈(32)이 조립식 벽돌(10)과 같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벽돌(10), 모서리 벽돌(20) 및 마무리 벽돌(30)은 각기 중심부를 세로축으로 가로질러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통형의 장공(16)이 형성되는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12, 22)의 윗변 지름(n2)은 밑변 지름(n1) 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 홈(14, 24, 32)의 윗변 지름(m2)은 밑변지름(m1)보다 길게 형성되되,
    걸림 홈(14, 24, 32)의 윗변 지름(m2)은 걸림 돌기(12, 22)의 윗변 지름(n2)보다 길게 형성되고, 걸림 홈(14, 24, 32)의 밑변 지름(m1)은 걸림 돌기(12, 22)의 밑변 지름보다 길게 형성되는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KR10-2002-0043492A 2002-07-24 2002-07-24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KR100446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492A KR100446128B1 (ko) 2002-07-24 2002-07-24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492A KR100446128B1 (ko) 2002-07-24 2002-07-24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070U Division KR200292715Y1 (ko) 2002-07-24 2002-07-24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272A KR20020064272A (ko) 2002-08-07
KR100446128B1 true KR100446128B1 (ko) 2004-08-30

Family

ID=2772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492A KR100446128B1 (ko) 2002-07-24 2002-07-24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327B1 (ko) * 2004-09-14 2006-11-03 주식회사 세영 조립식 인공암벽
CN104567408B (zh) * 2014-12-10 2016-07-06 浙江瑞泰耐火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吊挂砖
CN106760141A (zh) * 2016-12-02 2017-05-31 黎明 带有对接功能的墙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272A (ko) 200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5128A (en) Interlocking mortarless building block system
RU2380499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ооружения плоских конструкций
KR101763540B1 (ko)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한 모듈형 단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446128B1 (ko)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KR101493939B1 (ko) 벽돌 조립용 사각형 연결구
KR200292715Y1 (ko)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KR200400095Y1 (ko)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JPH09158392A (ja) 断熱ブロック
KR100538133B1 (ko) 건축물의 창문틀 고정 구조
KR100701497B1 (ko) 건축용 무모르타르 블럭
KR200265927Y1 (ko) 조립식 단열벽돌
KR20210017506A (ko) 조적벽돌 결합구조
KR100835338B1 (ko)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
TWI744711B (zh) 開口部模組化模板
KR102210732B1 (ko) 벽돌 판넬 조립체
KR20110131887A (ko) 건축용 조립식 방음 벽돌의 형성방법
KR200200938Y1 (ko) 콘크리트 시공용 패널
KR200258518Y1 (ko) 건축용 단열재 조립패널
KR102406336B1 (ko) 벽체 고정용 프레임 보강재 구조체
KR102622097B1 (ko) 영구 거푸집용 프레임 및 영구 거푸집
KR200238519Y1 (ko) 조적블럭
KR101763539B1 (ko) 모듈형 단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475651B1 (ko) 건축물의 마감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016111B1 (ko) 벽체 방수패널
KR100321909B1 (ko) 스틸스터드에부착되는타일부착용단열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