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338B1 -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 - Google Patents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338B1
KR100835338B1 KR1020070121042A KR20070121042A KR100835338B1 KR 100835338 B1 KR100835338 B1 KR 100835338B1 KR 1020070121042 A KR1020070121042 A KR 1020070121042A KR 20070121042 A KR20070121042 A KR 20070121042A KR 100835338 B1 KR100835338 B1 KR 100835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ement
thermal insulation
loess
mason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차
Original Assignee
윤승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승차 filed Critical 윤승차
Priority to KR1020070121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08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04C1/41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load-bearing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next to each other on one end surface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opposite en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건물의 벽체를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조적식 시멘트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멘트블럭 내부에 황토나 불연난연재 또는 스티로폼 등과 같은 불연내장재나 단열재 등을 내장시켜 일체형으로 하여 단열 및 보온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적식 단열 보온블럭에 관한 것인바, 시멘트 메인블럭과 상기 시멘트 메인블럭 외부에 단열재 또는 난연재질의 프로풀 판넬 등과 같은 불연내장재를 구비하고, 이어 상기 불연내장재 외부에 다시 시멘트 보조블럭을 구비 한 다음, 상기 보조블럭 외부에 드라이 빅기 등의 마감재를 처리하여 하나의 단일 모듈로 구성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시멘트 단열 보온블럭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 및 단열효과가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블럭, 시멘트블럭, 단열블럭, 황토보온블럭

Description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A Concrete Block}
본 발명은 주택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건물의 벽체를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조적식 시멘트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멘트블럭 내부에 황토를 내장시키거나 불연·난연재 또는 스티로폼 등과 같은 단열재 등을 내장시켜 일체형으로 하여 단열 및 보온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적식 시멘트 블럭은 단순히 시멘트를 사용하여 장방형체(가로가 길고 세로가 짧은 형상)로 성형하고, 이렇게 성형된 시멘트 블럭은 조적시 블럭과 블럭 사이에 시멘트 몰탈을 매개로 응착시켜 조적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시멘트 블럭의 상부면이나 측면부에 요철부(凹凸) 즉, 결합요부(凹형상)와 결합돌부(凸형상)가 구비되어 있어 시멘트 블럭을 조적시킬 경우 상기한 결합요부와 결합돌부를 서로 결합시켜 줌으로써 한층 견고하게 조적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적식 블럭은 그 블럭 하나 하나가 단순히 시멘트 몰탈이라는 응고 매개체를 사용하여 축조하는 데 불과하여 시멘트블럭을 축조하는데 그 결속력이 상당히 미약하고, 또한 일정높이 이상 축조한 후 시멘트 몰탈이 응고하여 결속력이 단단해질 때까지 기다린 후, 다음 축조 공정을 진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사 기간이 전체적으로 상당히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적식 시멘트블럭은 벽체를 완전히 축조하여 완성한 후 그 벽체 외벽에 스티로폼이나 난연재 등을 부착하고 이어 마무리 작업인 마감재를 스프레이 장비를 사용하여 처리하는 등의 여러 공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공사장 주변이 매우 혼잡하고 또 많은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이로 인한 공사지연으로 생산성이 상당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불에 타기 어려운 난연재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단열재 또는 황토를 시멘트 블럭 내부에 구비하고, 외부에는 시멘트와 마감재를 일체로 하여 성형된 하나의 단일 모듈인 시멘트 블럭을 구성함으로써 벽체를 축조하기 용이하고 비용절감은 물론 시멘트 몰탈이 완전하게 응고되지 않아도 전체 벽체 공사를 진행할 수 있어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 될 수 있는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멘트 메인블럭과 상기 시멘트 메인 블럭 외부에 환경친화재인 황토 또는 난연재질의 프로풀 판넬 등과 같은 불연내장재를 구비하고, 이어 상기 불연내장재 외부에 다시 시멘트 보조블럭을 구비 한 다음, 상기 보조블럭 외부에 마감재를 처리하여 하나의 단일 모듈로 구성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시멘트 단열 황토보온블럭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 및 화재예방의 효과가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특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은 하나의 블럭 내부에 환경친화재인 황토 또는 불연재질을 내장하여 구성하고 그 외부에 다시 시멘트 보조블럭과 이어 마감재의 마지막 공정까지 하나의 단일모듈로 구성되어 있는바, 이러한 보온블럭을 단순히 축조시켜 줌으로써 벽체공사가 완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마무리 공사를 한다는 등의 부수적인 작업이 불요하고 블럭내부에 황토 기타 불연재 등의 단열재가 내장됨에 따라 단열성능 및 화재예방이 획기적으로 향상됨과 동시에 시멘트 몰탈이 응고되지 않아도 계속하여 축조작업을 진행 시킬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 단축에 따른 많은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10)은, 도1과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멘트 블럭의 주된 몸체를 이루는 시멘트 메인블럭(11)과, 상기 시멘트 메인블럭(11)의 외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시멘트 메인블럭(11)에 비해 약 1/6 내지 1/8정도 두께로 성형되어 시멘트 마감부를 형성하는 시멘트 보조블럭(12)과, 상기 보조블럭(12)과 상기 시멘트 메인블럭(11)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좌우에 성형된 돌기블럭(13)과, 상기 돌기블럭(13)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황토 또는 난연프로풀 판넬이나 스티로폼 등과 같은 불연내장재나 단열보온재가 구비된 단열보온수단(14) 및 상기 시멘트보조블럭(12)의 외부면에 벽체의 외부면을 미려하게 하면서 벽체 전체를 마감처리 기능을 갖도록 구비된 마감재(1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일정두께로 시멘트로 마감처리 되어 상기 단열보온수단(1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그 상부면과 하부면 또는 양쪽 측면에는 축조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결합요부(16)와 결합돌부(17)가 형성된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상기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10)은 벽체 공사 초보자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어 공사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상기 시멘트 메인블럭(11)의 가로와 세로가 각각 40㎝와 20㎝, 상기 보조블럭(12)의 가로와 세로가 각각 40㎝와 3㎝, 상기 돌기블럭(13)의 가로와 세로가 각각 2.5㎝와 5㎝, 그리고 상기 드라이 빅기(15)의 두께가 0.2㎝로 성형되어, 상기 황토보온블럭(10)의 전체 크기는 가로와 세로 및 높이가 각각 40㎝, 28.2㎝, 25㎝ 로 성형되나 반드시 상기의 크기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그 크기를 적절히 가감하여 조절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열보온수단(14)을 황토층(14A)과 단열층(14B)으로 나누어 2중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시멘트 메인블럭(1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일정 깊이의 끼움구멍(18,18')을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각 끼움구멍(18,18')에는 상기 각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10)을 상하로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끼움쇠(19)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10)을 축조하여 벽체를 공사하고자 할 경우, 상기 각 끼움구멍(18)에 상기 끼움쇠(19)를 사용하여 공사할 경우 일정 높이로 쌓은 후 시멘트 몰탈이 응고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계속하여 축조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벽체 공사의 공정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시멘트 메인블럭(11)의 외면에 상기 돌기 블럭(13)을 양측에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 돌기 블럭(13)의 사이에 황토 또는 난연프로풀 판넬 등과 같은 불연내장재인 단열보온수단(14)을 구비한 다음 그 외부에 상기 마감재(15)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간단한 벽체를 축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시멘트 보조블럭(12)이 구비되지 않아 비용절감의 효과가 더욱 크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10)은 단열 및 보온 효과가 뛰어나고 공기단축으로 인한 경비절감 등의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고 또한 스치로폼 등의 단열재가 내장될 경우 화재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상기 시멘트 보조블럭(12)이 구비되기 때문에 벽체 외부에 간판 기타 조형물 등을 못과 같은 부품을 사용할 경우 상기 메인블럭(11)이 손상되지 않아 건물의 수명연장에 기여할 수 있고, 또 벽체에 습기방지나 방수처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시공상 편리성과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단열 보온블럭의 사시도 및 조적상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단열 보온블럭의 평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평단면도 및 조적상태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조적식 단열 보온블럭 11:시멘트 메인블럭 12:시멘트 보조블럭
13:돌기블럭 14:단열보온수단 15:드라이 빅기 16:결합요부
17:결합돌부 18:끼움구멍 19:끼움쇠

Claims (7)

  1. 삭제
  2. 건축물의 벽체를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조적식 시멘트 블럭에 있어서,
    시멘트 블럭의 주된 몸체를 이루는 시멘트 메인블럭(11)과;
    상기 시멘트 메인블럭(11)의 외측 양단면 및 시멘트 보조블럭(12)과 접촉되며 형성된 돌기블럭(13)과;
    상부면과 하부면이 시멘트로 마감처리 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되면서, 상기 시멘트 메인블럭(11)의 외측 및 상기 각 돌기블럭(13) 사이에 환경친화재인 황토나 불연난연재 또는 단열재 기능을 갖도록 구비된 단열보온수단(14)으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블럭(13)과 상기 단열보온수단(14)의 외측에 상기 시멘트 메인블럭(11)의 두께보다 적은 두께로 형성된 시멘트 보조블럭(12);을 보강 구비하여 하나의 단일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메인 블럭(1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상기 시멘트 메인블럭(11)을 축조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는 끼움쇠(19)가 끼워 고정되는 끼움구멍(18,18')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메인블럭(11)의 상하부면 또는 양쪽 측면에는 각각 결합요부(16)와 결합돌부(17)가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보온수단(14)은 황토층(14A)과 단열층(14B)의 2중 구조로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
KR1020070121042A 2007-11-26 2007-11-26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 KR100835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042A KR100835338B1 (ko) 2007-11-26 2007-11-26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042A KR100835338B1 (ko) 2007-11-26 2007-11-26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338B1 true KR100835338B1 (ko) 2008-06-04

Family

ID=3977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042A KR100835338B1 (ko) 2007-11-26 2007-11-26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3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97Y1 (ko) 2012-07-09 2012-11-30 신호수 조립식 벽돌
WO2017061661A1 (ko) * 2015-10-08 2017-04-13 윤승차 일체형 난연 단열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368694B1 (ko) 2021-08-24 2022-02-25 이정병 팽창 진주석과 팽창 질석을 이용한 친환경 경량블럭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987U (ko) * 1996-09-14 1997-01-24 장종철 건축용 조립식 블록
KR100621694B1 (ko) * 2005-06-21 2006-09-11 강종희 외벽 시공용 자연석 블록 및 시공방법
JP2007504376A (ja) * 2003-08-28 2007-03-01 ジェージービ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建築用煉瓦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987U (ko) * 1996-09-14 1997-01-24 장종철 건축용 조립식 블록
JP2007504376A (ja) * 2003-08-28 2007-03-01 ジェージービ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建築用煉瓦
KR100621694B1 (ko) * 2005-06-21 2006-09-11 강종희 외벽 시공용 자연석 블록 및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97Y1 (ko) 2012-07-09 2012-11-30 신호수 조립식 벽돌
WO2017061661A1 (ko) * 2015-10-08 2017-04-13 윤승차 일체형 난연 단열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368694B1 (ko) 2021-08-24 2022-02-25 이정병 팽창 진주석과 팽창 질석을 이용한 친환경 경량블럭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351B1 (ko) 상변화물질이 표면이 집중화된 경량 벽체 및 그의 제조방법
CN212358731U (zh) 一种一体式可拆卸的装配式的墙板
WO2010108176A2 (en) Solar/stud block
KR100835338B1 (ko)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
KR100583988B1 (ko) 건축용 리모델링 블럭
KR100505836B1 (ko) 건축용 벽돌
EA019257B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изоляционный блок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108661206A (zh) 二次结构砌筑墙体自隔声保温构造及其施工方法
KR20100114258A (ko) 건축물용 단열재의 결합구조
KR100493133B1 (ko) 건축용 벽돌
KR100796999B1 (ko) 거푸집과 내장재 겸용 보드
KR101551873B1 (ko) 공동주택용 단열 및 방음구조
KR20100018923A (ko) 건축용 조립식 보온 벽돌 세트의 형성방법
KR20130051403A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0459623Y1 (ko) 조립식 콘크리트블록
KR100354717B1 (ko)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KR102154717B1 (ko) 건축용 복합 단열 석재
KR200335136Y1 (ko) 조립식 기능성 조적용 건축자재
CN208251511U (zh) 一种超薄石材保温装饰一体板结构
KR101140629B1 (ko) 건축물의 방음과 단열이 가능한 타일 적층식 단열구조물
KR100446128B1 (ko)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KR20120006263A (ko) 벽체 시공방법
CN210067209U (zh) 一种彩石覆面墙板结构
KR100240827B1 (ko) 조립식 블록 및 그 시공방법
JP3962673B2 (ja) 外断熱プレキャスト版、及び外断熱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