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480Y1 - 펜스용 결합구 - Google Patents

펜스용 결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480Y1
KR200452480Y1 KR2020100009807U KR20100009807U KR200452480Y1 KR 200452480 Y1 KR200452480 Y1 KR 200452480Y1 KR 2020100009807 U KR2020100009807 U KR 2020100009807U KR 20100009807 U KR20100009807 U KR 20100009807U KR 200452480 Y1 KR200452480 Y1 KR 2004524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coupler
blocking member
coupling
fron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숙
Original Assignee
박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숙 filed Critical 박정숙
Priority to KR2020100009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4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4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4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펜스용 결합구는 막대 형상의 차단부재의 양단을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에 각각 결합하는 펜스용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차단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차단부재의 단면 크기에 대응하는 전방개구를 가지며, 상기 전방개구로부터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통형상의 결합구 본체와; 상기 결합구 본체의 후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지주의 판면에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펜스를 단시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펜스용 결합구{COUPLING APPARATUS FOR FENCE}
본 고안은 펜스용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시간에 용이하게 펜스를 설치할 수 있는 펜스용 결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스는 건축물, 공원, 학교 등에 경계를 구획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근래에 들어 철재 또는 목재로 제작되는 펜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펜스는 다양한 칼라 및 디자인으로 건축물 전체의 외관을 수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고 있어 각광받고 있다.
종래의 펜스는 설치 라인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기립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와, 양단이 인접하는 한 쌍의 지주 사이를 차단하는 막대형상의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펜스는 지중에 복수의 지주를 기립 설치한 후, 못 또는 볼트/너트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차단부재를 지주에 결합하는 과정을 거쳐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펜스는 설치 현장에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수많은 차단부재를 일일이 지주에 결합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설치 과정이 복잡하며, 오랜 설치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시간에 용이하게 펜스를 설치할 수 있는 펜스용 결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고안에 따라, 막대 형상의 차단부재의 양단을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에 각각 결합하는 펜스용 결합구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차단부재의 단면 크기에 대응하는 전방개구를 가지며, 상기 전방개구로부터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통형상의 결합구 본체와; 상기 결합구 본체의 후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지주의 판면에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개구와 접하는 상기 결합구 본체의 측면 전단부는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삭제
상기 본체 결합부의 판면에는 스크루, 핀, 리벳, 못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단시간에 용이하게 펜스를 설치할 수 있는 펜스용 결합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지주 및 지주에 결합되는 구성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용 결합구의 정면 측을 촬영한 사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용 결합구의 배면 측을 촬영한 사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용 결합구의 배면 측을 촬영한 사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용 결합구를 촬영한 사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용 결합구의 정면 측을 촬영한 사진,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용 결합구의 배면 측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스(100)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스(100)의 지주(110) 및 지주(110)에 결합되는 구성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스(100)는 설치 라인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기립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110)와, 양단이 인접하는 한 쌍의 지주(110)에 각각 결합되는 막대형상의 차단부재(120)와, 차단부재(120)를 지주(110)에 결합하는 펜스용 결합구(130)를 포함한다.
지주(110)는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단부가 지중 또는 콘크리트 바닥 등의 설치면에 매립되어 기립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주(110)는 사각형의 종단면 형상을 갖는 사각 막대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지주(110)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봉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사각 이상의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다각 막대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지주(110)는 목재, 금속,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지주(110)는 복수개가 설치 라인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지주(110) 사이는 차단부재(120)에 의해 차단된다.
차단부재(120)는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어 인접하는 한 쌍의 지주(110) 사이를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부재(120)는 사각형의 종단면 형상을 갖는 사각 막대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차단부재(120)는 원형의 종단면을 갖는 봉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사각 이상의 다각형의 종단면 형상을 갖는 다각 막대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차단부재(120)는 목재, 금속,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차단부재(120)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차단부재(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한 쌍의 지주(110) 사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되며, 한 쌍의 차단부재(120)가 X자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부재(120)는 펜스용 결합구(130)에 의하여 지주(110)에 결합된다.
펜스용 결합구(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 본체(131)와 본체 결합부(135)를 갖는다. 펜스용 결합구(130)는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펜스용 결합구(130)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결합구 본체(131)는 차단부재(120)가 삽입되도록 차단부재(120)의 단면 크기에 대응하는 전방개구(132)를 갖는 통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방개구(132)는 차단부재(12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형상을 갖는다.
결합구 본체(131)는 전방개구(132)로부터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내부공간(S)을 갖는다. 다시 설명하면, 결합구 본체(131)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하 방향으로 테이퍼진 단면형상을 갖는다. 결합구 본체(131)의 내부공간(S)은 차단부재(120)가 전방개구(132)를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결합구 본체(131)의 상부벽(133) 및 하부벽(134)은 차단부재(120)의 상하 방향 회동을 제한하여 경사 각도를 결정한다. 이에, 동일한 펜스용 결합구(130)를 이용하여 경사 배치되는 차단부재(120)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결합구 본체(131)의 내부공간(S)은 상하 방향으로는 테이퍼진 단면 형상을 가지나, 좌우방향으로는 일정한 폭을 갖는다. 결합구 본체(131)의 내부공간(S)은 차단부재(120)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지주(110)의 중간영역에 결합되는 펜스용 결합구(130a)의 결합구 본체(131a)의 내부공간(S)은 차단부재(120) 두개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하나의 펜스용 결합구(130a)로 상하 방향으로 두개의 차단부재(120)를 지주(110)에 결합할 수 있어 펜스(100)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 본체(131)의 전방개구(132)는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라운드진 단면형상을 갖는다. 다시 설명하면, 전방개구(132)의 인접하는 모서리를 연결하는 전면이 후방을 향해 오목한 원호의 곡면 형상을 갖는다. 이에, 전방개구(132)를 통하여 차단부재(120)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합구 본체(131)는 본체 결합부(135)에 의하여 지주(110)에 결합된다.
본체 결합부(135)는 결합구 본체(131)의 후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지주(110)의 판면에 결합된다. 본체 결합부(135)의 판면에는 스크루, 핀, 리벳, 못 등의 체결부재(139)가 삽입되는 결합공(137)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펜스(100)는 복수의 지주(110)의 최상단을 연결하는 밧줄(140)과 밧줄(140)을 지주(110)에 결합하는 밧줄 결합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밧줄 결합부(150)는 지주(110)의 판면에 접촉 결합되는 판상의 제1 밧줄 결합부(151)와, 제1 밧줄 결합부(151)와 밧줄(140)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제2 밧줄 결합부(1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밧줄 결합부(153)는 밧줄(140)의 둘레를 감싸도록 굴곡된 밧줄 수용부(15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밧줄 결합부(150)는 제1 밧줄 결합부(151)를 생략하고, 제2 밧줄 결합부(153)로만 구성되어 지주(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밧줄 결합부(150)는 금속재질 또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펜스용 결합구(130)와 마찬가지로 지주(110)에 스크루, 핀, 리벳, 못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스(100)의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설치 라인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지주(110)를 기립 설치한다. 여기서, 지주(110)에는 설치 라인을 따라 상호 마주보는 측면에 펜스용 결합구(130)가 결합되어 있다.
다음, 펜스용 결합구(130)에 차단부재(120)를 삽입하여 지주(110)에 차단부재(120)를 결합한다. 여기서, X자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차단부재(120)는 겹치는 영역에 볼트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할 수도 있다.
다음, 제1 밧줄 결합부(151) 및 제2 밧줄 결합부(153) 사이에 밧줄(140)을 배치시키고, 밧줄 결합부(150)를 지주(110)에 결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지주(110)에 결합되어 있는 펜스용 결합구(130)에 차단부재(120)를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차단부재(120)를 지주(110)에 결합할 수 있어, 단시간에 용이하게 펜스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펜스 110 : 지주
120 : 차단부재 130 : 펜스용 결합구
131 : 결합구 본체 135 : 본체 결합부
140 : 밧줄 150 : 밧줄 결합부

Claims (5)

  1. 막대 형상의 차단부재의 양단을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에 각각 결합하는 펜스용 결합구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차단부재의 단면 크기에 대응하는 전방개구를 가지며, 상기 전방개구로부터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통형상의 결합구 본체와;
    상기 결합구 본체의 후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지주의 판면에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개구와 접하는 상기 결합구 본체의 측면 전단부는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용 결합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결합부의 판면에는 스크루, 핀, 리벳, 못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용 결합구.
  4. 삭제
  5. 삭제
KR2020100009807U 2010-09-17 2010-09-17 펜스용 결합구 KR2004524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807U KR200452480Y1 (ko) 2010-09-17 2010-09-17 펜스용 결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807U KR200452480Y1 (ko) 2010-09-17 2010-09-17 펜스용 결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480Y1 true KR200452480Y1 (ko) 2011-02-28

Family

ID=4424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807U KR200452480Y1 (ko) 2010-09-17 2010-09-17 펜스용 결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480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478Y1 (ko) * 1999-03-12 2000-02-15 강주태 울타리
KR20010029098A (ko) * 1999-09-29 2001-04-06 박용준 전자상거래상의 제품평가방법
KR20010067478A (ko) * 1999-12-23 2001-07-12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기반형 스펙트럼 확산 다원접속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
KR20040018408A (ko) * 2001-07-02 2004-03-03 이스카 엘티디. 에지-온 장착식 삽입체를 구비한 절삭 공구
KR200418408Y1 (ko) 2006-03-15 2006-06-13 이종현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090085188A (ko) * 2008-02-04 2009-08-07 형진랜드(주)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478Y1 (ko) * 1999-03-12 2000-02-15 강주태 울타리
KR20010029098A (ko) * 1999-09-29 2001-04-06 박용준 전자상거래상의 제품평가방법
KR20010067478A (ko) * 1999-12-23 2001-07-12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기반형 스펙트럼 확산 다원접속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
KR20040018408A (ko) * 2001-07-02 2004-03-03 이스카 엘티디. 에지-온 장착식 삽입체를 구비한 절삭 공구
KR200418408Y1 (ko) 2006-03-15 2006-06-13 이종현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090085188A (ko) * 2008-02-04 2009-08-07 형진랜드(주)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500B1 (ko) 경사 지면에 시공되는 울타리를 위한 가로대 각도 조절장치
US8882083B2 (en) Guardrail
CN110494616A (zh) 藤架建筑系统和支架
KR101792440B1 (ko) 산책로용 목재 데크
KR101345989B1 (ko) 합성목재 난간 결합구조
KR100968216B1 (ko) 조립식 지붕구조물
US86358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US7959125B1 (en) Method of assembling a concrete wall and footing form with cleat for supporting rebar and concrete form
KR200452480Y1 (ko) 펜스용 결합구
KR101422789B1 (ko) 조립식 한옥골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15681B1 (ko) 센터프레임에 대한 다방향 지지프레임의 조립식 연결구조를 갖는 보강형 막 구조물
KR20120124623A (ko) 조립식 거푸집패널
KR101694992B1 (ko) 정자의 지붕 구조물 연결 장치
KR20100001977U (ko) 난간의 고정구조
KR102221830B1 (ko) 울타리지주 및 이를 이용한 울타리 구조
KR200400470Y1 (ko) 휀스 프레임 결합구조
KR100642327B1 (ko) 조립식 인공암벽
JP6893151B2 (ja) 門型架構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50049460A (ko)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200406220Y1 (ko) 메쉬휀스용 지주
GB2401616A (en) Bracket for fence rail or panel
KR101787246B1 (ko) 외장 조립체
JP5629195B2 (ja) 建物
JP699363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構造物接続兼用補強鉄筋ランナ
EP0869233A1 (en) Joist for form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509

Effective date: 20110829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