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3074A -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하는 황화수소의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하는 황화수소의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3074A
KR20060023074A KR1020040071903A KR20040071903A KR20060023074A KR 20060023074 A KR20060023074 A KR 20060023074A KR 1020040071903 A KR1020040071903 A KR 1020040071903A KR 20040071903 A KR20040071903 A KR 20040071903A KR 20060023074 A KR20060023074 A KR 20060023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sulfide
blast furnace
slag
water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71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3074A/ko
Publication of KR20060023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03Removing sulfur compounds
    • B01D53/8612Hydrogen sulfid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21B3/06Treatment of liquid slag
    • C21B3/08Cooling sl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5/00Handling or treating discharged material; Supports or receiving chambers therefor
    • F27D15/02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00Handling of exhaust gases produced during the 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40Gas purification of exhaust gases to be recirculated or used in other metallurgical processes
    • C21B2100/42Sulphur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2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2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slags
    • C21B2400/022Methods of cooling or quenching molten slag
    • C21B2400/024Methods of cooling or quenching molten slag with the direct use of steam or liquid coolants, e.g.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하는 황화수소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로 수재 제조시 슬래그가 냉각수에 의해 급냉될 때 슬래그에 함유된 유황분과 물이 접촉하여 발생되는 황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수에 수산화나트륨 : 황산아연 : 황산암모늄을 2 : 1 : 3의 당량비로 가하여 혼합한 혼합액을 황화수소와 반응시켜 착염을 형성시킴으로써 슬래그샌드 제조설비에서 배출되는 황화수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하는 황화수소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로 수재, 황화수소, 냉각수

Description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하는 황화수소의 제거방법 {METHOD FOR REMOVING OF HYDROGEN SULFIDE ORIGINATED FROM SAND MAKING OF BLAST FURNA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황화수소 농도에 따른 황화수소 제거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황화수소 투입속도에 따른 황화수소 제거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반응온도에 따른 황화수소 제거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하는 황화수소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래그샌드 제조설비에서 배출되는 황화수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하는 황화수소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고로에서 선철을 생산할 때 부수적으로 발생되는 슬래그는 드라이 피트(dry pit)에서 괴재로 만들거나 수재 설비에서 고압의 냉각수로 급냉, 세립화시켜 수재(slag sand)로 만든다.
상기 수재의 일반적인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철소의 고로에서 철을 제조할 때 철광석과 코크스 중에 함유된 SiO2, Al2O3, MgO 등의 산성 또는 염기성 산화물들이 석회와 반응하여 생성된 고로의 용융 슬래그를 수재 설비의 교반조로 공급하고, 상기 공급된 슬래그와 냉각수를 직접 접촉시켜 급냉시킨다. 이결과 생성된 수재와 냉각수는 교반조의 하부에 체류된 다음, 슬러리 펌프에 의해 분리조로 이송되어 물과 수재로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수재는 필요한 곳에 재사용되고, 냉각수는 냉각탑에서 냉각시켜 재순환된다.
이같이 용융 슬래그가 냉각수에 의해 급냉될 때 슬래그에 함유된 유황분이 산화되어 SO2로 방출되거나 물과 접촉하여 H2S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한 증기와 황화수소는 교반조 상부의 스택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되는데, 방출된 증기와 황화수소의 혼합가스는 부식성이 강하여 설비를 조기 부식시키고, 황화수소의 계란 썩는 냄새로 인하여 강한 악취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반드시 제거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이 발생된 황화수소 함유 증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1986-7000843호는 황화수소 함유 증기를 물추진 분사류가 도입된 수용기에서 부분 응축시킨 다음 잔류 증기와 가스에 물을 분무시켜 응축시킨 다음, 최종적으로 잔류하는 가스는 분무 헤드로 재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슬래그로부터 슬래그 샌드(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이때 수용기내에서 부분 응축된 황화수소 가스는 슬래그내 Ca 성분과 반응하여 제거된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57559호는 수재스택에서 발생하는 증기 및 황화수소의 제거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하는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57467호는 냉각수에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황화수소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방법은 S2-의 농도가 급속히 저하되어 황화수소 제거효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9257호는 황화수소 함유 증기를 냉각함으로써 증기를 배출하지 않는 무증기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방법은 황화수소 제거에는 매우 효과적이나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슬래그샌드 제조설비에서 배출되는 황화수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하는 황화수소의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식성이 강하고 악취발생의 원인이 되는 황화수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설비의 조기 부식을 방지하고, 작업자들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하는 황화수소의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로 수재 제조시 슬래그가 냉각수에 의해 급냉될 때 슬래그에 함유된 유황분과 물이 접촉하여 발생되는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에 수산화나트륨 : 황산아연 : 황산암모늄을 2 : 1 : 3의 당량비로 가하여 혼합한 혼합액을 황화수소와 반응시켜 착염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하는 황화수소의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로 수재 제조시 슬래그가 냉각수에 의해 급냉될 때 슬래그에 함유된 유황분과 물이 접촉하여 발생되는 황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수에 수산화나트륨 : 황산아연 : 황산암모늄을 2 : 1 : 3의 당량비로 가하여 혼합한 혼합액을 황화수소와 반응시켜 착염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슬래그는 고로에서 발생되는 통상의 슬래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로에서 발생된 슬래그는 교반조로 유입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교반조 슬래그를 수재화시키기 위한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교반조에서 슬래그와 물이 혼합되면서 슬래그가 냉각, 분쇄, 및 응고되어 수재가 제조되며, 동시에 하기 반응식 1 및 2에 따라 가스가 발생된다.
[반응식 1]
Figure 112004040804015-PAT00001
[반응식 2]
Figure 112004040804015-PAT00002
이때,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보여지는 반응은 슬래그에 물이 분사되어 발생되는 가스 전체에 대한 것은 아니고, 슬래그 성분 중 황 성분이 물과 반응하면서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즉, 슬래그에 물을 분사하여 수재를 제조할 때 슬래그의 황 성분이 물과 반응하여 H2S, CaO, 및 SO2가 발생되며, 이들 중 CaO는 물과 반응하여 소석회인 Ca(OH)2를 생성하며, SO2는 물 및 상기 소석회 성분과 반응하여 석고석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H2S는 발생과 동시에 본 발명의 수산화나트륨, 황산아연, 및 황산암모늄을 포함하는 냉각수와 반응하여 하기 반응식 3과 같이 아염아민착염의 황화합물을 생성한다.
[반응식 3]
Figure 112004040804015-PAT00003
상기 냉각수에 함유되는 수산화나트륨, 황산아연, 및 황산암모늄은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산화나트륨, 황산아연, 및 황산암모늄은 냉각수에 2 : 1 : 3의 당량 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비율이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안정한 착염의 황화합물을 형성시켜 황화수소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더욱 좋다.
상기와 같은 반응으로 생성되는 아염아민착염의 황화합물은 이후 진행되는 통상의 공정에 의해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슬래그샌드 제조설비에서 배출되는 부식성이 강하고 악취발생의 원인이 되는 황화수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설비의 조기 부식을 방지하고, 작업자들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황화수소 표준가스 100 ppm을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0.5 L/min의 흐름속도로 배관을 통해 2L 용량의 반응용기에 주입하였다. 그 다음 냉각수에 0.02 N의 수산화나트륨, 0.01 N의 황산아연, 및 0.03 N의 황산암모늄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액을 반응용기에 투입하여 반응시켰다. 이때, 챔버를 이용하여 반응용기의 온도를 20 ℃로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반응액은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반응기에 투입시키고, 반응에 이용된 반응액은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배출시켰다.
실시예 2∼7
상기 실시예 1에서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 조건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표 1]
구분 실시예
1 2 3 4 5 6 7
H2S 농도 (ppm) 100 10 1,000 100 100 100 100
H2S 투입속도 (L/min) 0.5 0.5 0.5 0.1 1 0.5 0.5
반응온도 (℃) 20 20 20 20 20 50 70

비교예 1∼7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서 그 다음 냉각수에 0.02 N의 수산화나트륨을 단독으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반응시킨 가스를 황화수소 분석기를 이용하여 황화수소 농도에 따른 황화수소 제거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 ppm의 황화수소를 투입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라 0.02 N의 수산화나트륨, 0.01 N의 황산아연, 및 0.03 N의 황산암모늄을 냉각수에 혼합한 실시예 2의 경우와 수산화나트륨만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유사한 정도의 황화수소 제거효율을 나타냈으나, 100 ppm의 황화수소를 투입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98.9 %, 비교예 1은 94.2 %의 황화수소 제거효율을 나타냈으며, 1,000 ppm의 황화수소를 투입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은 97.3 %, 비교예 3은 88.4 %의 황화수소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수산화나트륨 : 황산아연 : 황산암모늄을 2 : 1 : 3의 당량비로 가하여 혼합한 냉각수와 황화수소를 반응시킨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수산화나트륨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3보다 황화수소의 농도증가에 따라 제거효율이 더욱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4 또는 5와 비교예 1, 비교예 4 또는 5에서 반응시킨 가스를 반응시간 30 분 후 황화수소 분석기를 이용하여 황화수소 투입속도에 따른 황화수소 제거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0.02 N의 수산화나트륨, 0.01 N의 황산아연, 및 0.03 N의 황산암모늄을 혼합한 냉각수와 황화수소를 반응시킨 실시예 1, 실시예 4 또는 5와 수산화나트륨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 비교예 4 또는 5는 황화수소의 투입속도에 따라 황화수소 제거율의 변화가 없었으며, 이로부터 황화수소의 투입속도는 황화수소 제거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6 또는 7와 비교예 1, 비교예 6 또는 7에서 반응시킨 가스를 황화수소 분석기를 이용하여 반응온도에 따른 황화수소 제거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0.02 N의 수산화나트륨, 0.01 N의 황산아연, 및 0.03 N의 황산암모늄을 혼합한 냉각수와 황화수소를 반응시킨 실시예 1, 실시예 4 또는 5와 수산화나트륨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 비교예 4 또는 5는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황화수소 제거효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래그샌드 제조설비에서 배출되는 부식성이 강하고 악취발생의 원인이 되는 황화수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설비의 조기 부식을 방지하고, 작업자들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

  1. 고로 수재 제조시 슬래그가 냉각수에 의해 급냉될 때 슬래그에 함유된 유황분과 물이 접촉하여 발생되는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에 수산화나트륨 : 황산아연 : 황산암모늄을 2 : 1 : 3의 당량비로 가하여 혼합한 혼합액을 황화수소와 반응시켜 착염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하는 황화수소의 제거방법.
KR1020040071903A 2004-09-08 2004-09-08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하는 황화수소의 제거방법 KR20060023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903A KR20060023074A (ko) 2004-09-08 2004-09-08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하는 황화수소의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903A KR20060023074A (ko) 2004-09-08 2004-09-08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하는 황화수소의 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074A true KR20060023074A (ko) 2006-03-13

Family

ID=3712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903A KR20060023074A (ko) 2004-09-08 2004-09-08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하는 황화수소의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307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929B1 (ko) * 2009-12-30 2012-06-2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코크스 오븐 가스 중의 황화수소 제거 흡수액 및 그 제거 방법
KR101316173B1 (ko) * 2006-12-19 2013-10-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아민류를 이용한 고로 드라이 피트 슬래그 중의 황화수소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501647B1 (ko) * 2012-12-28 2015-03-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카바마이드퍼옥사이드를 이용한 고로 드라이피트 슬래그로부터 배출되는 황화수소의 저감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173B1 (ko) * 2006-12-19 2013-10-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아민류를 이용한 고로 드라이 피트 슬래그 중의 황화수소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155929B1 (ko) * 2009-12-30 2012-06-2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코크스 오븐 가스 중의 황화수소 제거 흡수액 및 그 제거 방법
KR101501647B1 (ko) * 2012-12-28 2015-03-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카바마이드퍼옥사이드를 이용한 고로 드라이피트 슬래그로부터 배출되는 황화수소의 저감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3403B2 (ja) 製鋼スラグの資源化方法及び燐酸肥料用原料
RU2571969C2 (ru) Способ одновременной дефосфоризации и извлечения ванадия из ванадийсодержащего расплавленного чугуна
JP5560947B2 (ja) 製鋼スラグからの鉄及び燐の回収方法並びに高炉スラグ微粉末または高炉スラグセメント及び燐酸資源原料
JP5935770B2 (ja) 燐酸資源原料の製造方法及び燐酸質肥料
CN114471109A (zh) 钢渣和石灰窑烟气的协同处理方法
JP2013081896A (ja) 鉄鋼スラグの塩酸溶液による成分分離方法
KR20060023074A (ko)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하는 황화수소의 제거방법
CN100532584C (zh) MgO基脱硫剂及其制备方法
US3938975A (en) Treatment of blast furnace slag
KR101169927B1 (ko) 주석오니의 건식 정련에 의한 주석 회수 방법
JP5327184B2 (ja) 製鋼スラ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937579A (zh) 一种回收废弃脱硫剂的方法
KR100529601B1 (ko) 소결광의 환원분화 방지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소결광의 수처리 방법
KR101316173B1 (ko) 아민류를 이용한 고로 드라이 피트 슬래그 중의 황화수소제거 장치 및 방법
KR100419635B1 (ko) 가성 소다 수용액 분사에 의한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한황화수소 제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
KR100931230B1 (ko) 우레아와 아민을 이용한 고로 드라이피트 슬래그 중의 황화수소 제거장치
JP4414902B2 (ja) 高反応性コークスの製造方法
JP5983537B2 (ja) 硫黄を含有するスラグの硫黄除去処理方法
AU2017333111B2 (en) Method of removing carbon in copper-containing molten iron by using vortex to draw in limestone
CN110201525A (zh) 一种利用碱性废渣进行含硫烟气脱硫的方法
KR100419634B1 (ko) 고로 수재 제조시 발생한 황화수소 제거 방법 및 이에사용되는 장치
KR20070066736A (ko) 고로슬래그 중의 황화수소 제거 방법
KR101501647B1 (ko) 카바마이드퍼옥사이드를 이용한 고로 드라이피트 슬래그로부터 배출되는 황화수소의 저감 방법
KR100668158B1 (ko) 오일함유 열연슬러지를 이용한 직접환원철 제조방법
KR100891308B1 (ko) 소결광의 환원분화 방지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