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2643A -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 및 이의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 및 이의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2643A
KR20060022643A KR1020057018869A KR20057018869A KR20060022643A KR 20060022643 A KR20060022643 A KR 20060022643A KR 1020057018869 A KR1020057018869 A KR 1020057018869A KR 20057018869 A KR20057018869 A KR 20057018869A KR 20060022643 A KR20060022643 A KR 20060022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hollow composite
composite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8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솔로텍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로텍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솔로텍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2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7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8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co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04Staple length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잠재 권축성 및 높은 벌키성과 탄성 회복률을 나타내며 부직포, 직편물 및 쿠션재용으로 유용한 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는, 그 중 하나의 고유 점도가 0.50 내지 1.40 ㎗/g 이고, 다른 하나는 고유 점도가 0.40 내지 1.30 ㎗/g 이며 전자의 점도보다 0.1 내지 0.5 ㎗/g 낮은 것인 두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성분으로부터 형성되고 전체 횡단면 면적의 2 내지 15% 의 횡단면 면적을 갖는 중공부를 갖는, 중공의 나란한 형태 또는 심초 형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중공 복합 단섬유를 기초 질량이 30 g/㎡ 인 웹으로 만들고 상기 웹을 120℃에서 10 분동안 가열하여 웹이 자유 수축되게 한 후, 가열되지 아니한 본래의 웹 면적에 기초한 면적 열수축률이 30 내지 70% 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 및 이의 제조 방법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HOLLOW COMPOSITE STAPLE FIBER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잠재 권축성을 갖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 및 고효율로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는 높은 벌키성(bulkiness) 및 탁월한 탄성 회복률을 갖는 부직포, 직편물 및 쿠션재용으로 유용하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에서 일반적인 성질인 탁월한 치수 안정성, 내광성, 및 열경화성, 및 낮은 흡수성과 흡습성을 가지며, 추가로, 이는 낮은 탄성률 및 탁월한 탄성 회복률 및 염색 용이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의류 및 산업 용도의 섬유로서 개발될 것이 기대된다.
고유 점도가 서로 상이한 두 폴리에스테르 성분을 서로 융합되어있고, 잠재 권축성을 갖는 복합 섬유가, 고도한 신장성을 갖는 직물 또는 편성물 또는 부직포 를 제공하는데 이용된다는 것이 잘 공지되어 있다. 잠재 권축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를 실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 예를 들어, 상이한 2종의 폴리에스테르의 고유 점도 차이를 가능한 많이 증가시켜 생성 복합 섬유 중 2종 폴리에스테르 성분 사이의 수축 차이를 증가시키는 시도 및 폴리에스테르 중합체의 용융 방사성을 향상시키는 시도가 행해졌다. 예를 들어, 일본 심사 특허 공보 제 61-60163 호 (1986)는 용융 점도가 서로 상이한 2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한 쌍의 용융 압출 오리피스를 통해 용융 방사하여 나란한 형태의 복합 필라멘트를 형성시키기 위한 방사돌기를 개시한다. 상기 방사돌기에 있어서, 방사돌기의 용융 압출면에 직각하는 방향으로부터의 용융 압출 오리피스쌍 각각의 입사각 및 용융 압출 오리피스쌍 사이의 거리가 특히 조절된다. 또한, 일본 비심사 특허 공보 제 2000-239927 호는 각 복합 섬유의 횡단면 프로파일 (profile)에 있어서 상이한 2종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가 특히 한정된 형태로 서로 연결된, 나란한 형태의 폴리에스테르 복합 섬유를 개시한다.
그러나, 복합 섬유에서 2종의 폴리에스테르 성분 사이의 고유 점도 차이를 증가시켜 생성 복합 섬유의 잠재 권축성을 향상시킬 경우, 용융 방사 과정에서 압출된 복합 필라멘트성 중합체 용융 스트림이 굴곡되고, 두 폴리에스테르 성분 사이의 고유 점도 차이의 증가와 함께 복합 필라멘트성 스트림의 굴곡도가 현저히 증가하여, 그 결과, 굴곡된 복합 스트림이 인접한 스트림 또는 방사돌기에 부착하고 파손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용융 방사 과정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없다. 또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복합 필라멘트가 통상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복합 필라멘트보다 더 낮은 강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복합 섬유의 잠재 권축의 실현시, 다수의 작은 권축이 복합 필라멘트에 발생하고, 이에, 생성된 권축 복합 필라멘트는 만족스러운 벌키성을 나타내기 어렵다.
또한, WO 02/31241-A1 은 고유 점도가 서로 상이한 2종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복합 섬유를 포함하는 방적사를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복합 섬유는 벌키성이 불충분하고, 이에, 벌키한 부직포 및 쿠션재용으로 적합하지 아니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벌키성 및 탄성 회복률이 탁월하고 부직포, 벌키사, 벌키한 직편물 및 쿠션재를 형성하는데 적절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범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각 고유 점도가 특정 범위 내에 있는 서로 상이한 고유 점도의 2종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를 함유하고 중공 횡단면 프로파일 및 단섬유 형태를 제공하는 중공 복합 단섬유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게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본 발명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 각각은, 고유 점도가 서로 상이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성분으로 구성되어있고, 나란한(side-by-side) 배열 또는 심초형(core-in-sheath) 배열로 배열되고, 각 복합 단섬유의 종축을 따라 확장되어있는 두 부분을 포함하고, 각 복합 단섬유 내에 형성되고, 각 복합 단섬유의 종축을 따라 확장되어있는 중공부를 가지며, 하기이다:
(1) 두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성분 중의 하나는 고유 점도가 0.50 내지 1.40 ㎗/g 의 범위 내이고, 두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성분 중의 다른 하나는 고유 점도가 0.40 내지 1.30 ㎗/g 의 범위 내 및 고유 점도가 0.50 내지 1.40 ㎗/g 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 점도보다 0.1 내지 0.5 ㎗/g 낮고, 상기 고유 점도는 35℃의 온도에서 o-클로로페놀 중에 측정되며;
(2) 상기 중공부의 횡단면은 복합 섬유의 전체 횡단면 면적의 2 내지 15% 에 대응하는 횡단면 면적을 가지며;
(3) 상기 복합 단섬유는 30 내지 70% 의 평균 웹(web) 면적 열수축률을 나타내고, 상기 평균 웹 면적 열수축률은, 섬유 길이가 51 ㎜인 복합 단섬유를 롤러 카딩기 (roller carding machine)에 의해 기초 질량 (basis mass)이 30 g/㎡ 인 웹으로 만들고 치수가 20 ㎝ × 20 ㎝ 인 복수개의 시편을 상기 웹으로부터 제조하고 상기 시편을 120℃ 온도에서 10 분동안 열풍 순환 건조기에서 열처리하여 시편이 자유 수축되게함으로써 측정된 것이고, 상기 시편의 웹 면적 열수축률은 하기의 식 1 에 따라 결정하고, 시편의 결과적인 웹 면적 열수축률의 평균을 계산한다:
웹 면적 열수축률 (%) = [(A - B)/A] × 100
(여기서, A 는 열처리 이전의 각 시편 면적을 나타내고, B 는 열처리 이후의 시편 면적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바람직하게는 각 복합 단섬유의 고 고유 점도 및 저 고유 점도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부 중의 하나에 위치한다.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의 제조 방법은 하기의 공정을 포함한다:
고유 점도가 서로 상이한 두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중공의 나란한 형태 또는 심초 형태 복합 필라멘트 형성 방사돌기를 통해 용융방사하여 미연신 중공 복합 필라멘트를 제공하는 공정;
연신 온도를 제 1 단계에서 45 내지 60℃로 한 후, 제 2 단계에서 85 내지 120℃로 하고, 제 2 단계에서의 연신비를 0.90 내지 1.0 으로 제어하여 전체 연신비를 후술하는 바까지 조절하는 방식으로, 상기 미연신 중공 복합 필라멘트를 미연신 중공 복합 필라멘트의 파단율의 60 내지 80% 에 대응하는 전체 연신비로 2단계 연신하는 공정;
상기 연신 중공 복합 필라멘트를 50 내지 80℃의 온도로 기계 권축하는 공정;
상기 권축된 중공 복합 필라멘트를 80℃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면서, 권축된 중공 복합 필라멘트가 이완되게 하는 공정; 및
상기 열처리된 중공 복합 필라멘트를 절단하여 중공 복합 단섬유를 제공하는 공정.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나란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의 한 예의 횡단면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도 2 는 나란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의 다른 예의 횡단면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도 3 은 편심 심초형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의 한 예의 횡단면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도 4 는 편심 심초형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의 다른 예의 횡단면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량의 양태
본 발명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 각각은, 고유 점도가 서로 상이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성분으로 구성되어있고 나란한 배열 또는 심초형 배열로 배열되고 각 복합 단섬유의 종축을 따라 확장되어있는 두 필라멘트부를 포함하고 각 복합 단섬유 내에 형성되고 각 복합 단섬유의 종축을 따라 확장되어있는 중공부를 갖는다.
폴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주 반복단위로서 갖는 폴리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임의로는 공단량체성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공단량체성 성분으로는 공단량체성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 숙신산, 아디프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및 금속-술포이소프탈산 및 공단량체성 디올, 예를 들어 1,4-부탄 디 올, 1,6-헥산 디올, 시클로헥산 디올 및 시클로헥산 디메틸 알콜이 포함된다. 공단량체성 화합물은 용융방사 과정에서 생성 공중합체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임의로는 소광제, 열 안정화제, 소포제, 색 조절제, 난연제, 항산화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형광 증백제, 및 착색 안료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원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한다.
고유 점도가 서로 상이한 두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성분에 대하여, 각 수지 성분의 고유 점도는 35℃ 온도에서 o-클로로페놀 중 수지 성분의 용액에서 결정된다. 고점도 수지 성분은 고유 점도가 0.5 내지 1.4 ㎗/g,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30 ㎗/g 이어야한다.
고유 점도가 1.4 ㎗/g 초과인 경우, 생성된 고점도 수지 성분은 용융방사 과정에서 용융될 때 극도로 높은 점도를 나타내고, 이에 폴리에스테르 섬유용의 일반적인 용융방사 장치에서 용융방사될 수 없으며, 생성된 중합체 용융물이 원활하게 용융방사될 수 있는 감소된 용융 점도를 얻기 위해서는, 수지 성분의 용융 온도가 280℃ 이상까지 증가되어야 하고, 상기 온도에서는 수지 성분이 분해되게 된다. 고유 점도가 0.5 ㎗/g 미만인 경우, 생성된 고점도 수지 성분과 저점도 수지 성분 사이의 고유 점도 차이가 너무 적게되고, 이에, 생성된 복합 단섬유가 충분한 잠재 권축성을 나타낼 수 없다.
저점도 수지 성분은 고유 점도가 0.4 내지 1.30 ㎗/g, 바람직하게는 0.5 내 지 1.0 ㎗/g 이어야한다. 고유 점도가 0.4 ㎗/g 미만인 경우, 생성된 수지 성분은 용융방사 과정에서 너무 낮은 점도를 나타내고, 생성된 저점도 용융물이 압출 필라멘트성 용융 스트림의 빈번한 파손을 야기하고, 목표하는 복합 필라멘트가 충분한 가공 안정성을 가지고 제조될 수 없다. 또한, 고유 점도가 1.30 ㎗/g 초과인 경우, 생성된 저점도 수지 성분과 고점도 수지 성분 사이의 고유 점도 차이가 너무 적게되고, 이에, 생성된 복합 단섬유가 충분한 잠재 권축성을 나타낼 수 없다.
또한, 저점도 수지 성분의 고유 점도는, 고점도 수지 성분의 고유 점도보다 0.10 내지 0.50 ㎗/g,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0 ㎗/g 만큼 낮아야 한다. 고유 점도 차이가 0.1 ㎗/g 미만인 경우, 생성된 복합 단섬유는 불충분한 잠재 권축성을 나타낸다. 또한, 고유 점도 차이가 0.5 ㎗/g 초과인 경우, 용융방사 과정에 있어서, 압출된 복합 필라멘트성 용융 스트림이 극도로 굴곡되고, 인접한 용융 스트림 및 방사돌기에 부착하고, 이에, 파손된다. 따라서, 용융방사 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없다.
고점도 수지 성분 대 저점도 수지 성분의 질량비는, 목표하는 복합 단섬유의 목적 잠재 권축성 및 수지 성분의 용융방사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70 내지 70/30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40/60 내지 60/40의 범위,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50 이다.
본 발명의 중공 복합 단섬유 각각은, 각 섬유의 종 중심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각 섬유의 종축을 따라 필라멘트성으로 확장되어있는 중공부를 갖는다. 중공 복합 섬유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이한 두 수지가 중공의 나란한 형태 또는 심초 형태 복합 필라멘트용 용융방사 오리피스를 통해 용융 압출될 때, 생성 복합 필라멘트성 용융 스트림의 종 중심 부분에 형성된 중공부가 중공 복합 필라멘트성 용융 스트림에서 굴곡에 대한 높은 저항력의 발생을 야기하고 용융방사 과정의 안정성 향상을 야기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생성된 중공 복합 단섬유에 있어서, 중공부는 섬유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복합 섬유에서 적절한 형태를 갖는 나선형 권축을 발생시키며, 생성된 섬유는 증가된 벌키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중공 복합 단섬유로부터 형성된 부직포 및 직편물은 탁월한 벌키성 및 탄성 회복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중공 복합 단섬유의 횡단면에 있어서, 중공부는 중공 복합 섬유의 전체 횡단면 면적 중 2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에 대응하는 횡단면 면적을 가져야 한다. 중공부의 횡단면 면적의 비율 (%)이 2% 미만인 경우, 용융방사 과정에서 압출되는 중공 복합 필라멘트성 용융 스트림이 굴곡되는 것을 야기하고, 용융방사 과정의 안정성이 감소된다. 또한, 생성된 중공 복합 섬유에 작은 권축이 발생하고, 이에, 생성된 섬유가 충분한 벌키성을 가질 수 없다. 또한, 중공부의 횡단면 면적의 비율이 15% 초과인 경우, 생성된 각 중공 복합 섬유에서 두 수지 성분의 접합 면적이 너무 작아지게 되고, 이에, 생성된 중공 복합 섬유의 잠재 권축성이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중공 복합 단섬유 제조에 있어서, 중공 복합 단섬유의 전체 횡단면 면적에 대한 중공부의 횡단면 면적의 비는, 용융방사 과정에서 용융 방사돌기의 오리피스 형태와 크기, 수지 용융물의 온도, 및 냉각풍 유속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2 내지 15% 까지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공 복합 단섬유에 있어서, 중공부는 바람직하게는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분 및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분 중의 하나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중공 복합 단섬유는 나란한 구조를 가지며, 중공 복합 단섬유의 횡단면 프로파일에 있어서, 고점도 및 저점도 수지 성분 중의 하나는 중공 복합 섬유의 횡단면 면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일반적으로는, 중공부는 바람직하게는 고점도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부분 내에 형성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나란한 형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섬유의 한 예의 횡단면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1 에 있어서, 원형의 횡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중공 복합 섬유는, (1) 원형 횡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중공부 4 가 그 내에 형성되어 있고 고점도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더 큰 측면부 2, 및 (2) 더 큰 측면부 2 와 나란한 배열로 융합되어 있고 저점도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더 작은 측면부 3 으로 구성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나란한 형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섬유의 다른 예의 횡단면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2 에 있어서, 4변형 횡단면 프로파일 및 중공부 4 를 갖는 중공 복합 섬유 1 은 우측면부 2 및 좌측면부 3 으로 구성되어있다. 중공부 4 는 좌우 측면부 2와 3 사이에 형성되고, 좌우 측면부 2와 3 은 중공부 4 의 상하 부분에서 서로 연결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중공 복합 섬유는 편심 심초 구조를 가지며, 중공부는 편 심 코어(core)부 및 시스(sheath)부 중 오직 하나에만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코어부 내에 있다.
도 3 은 편심 심초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섬유의 다른 예의 횡단면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3 에 있어서, 편심 심초형 중공 복합 섬유 1 은, 저점도 수지 성분으로 형성되고 원형 횡단면을 갖는 시스부 2, 및 고점도 수지 성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스부 2 내에 편심적으로 배열되고 타원형 횡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코어부 3 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부 3 내에 형성되고 타원형 횡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중공부 4 를 포함한다.
도 4 는 편심 심초 구조를 갖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섬유의 추가 예의 횡단면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4 에 있어서, 중공 복합 섬유 1 은, 저점도 수지 성분을 포함하고 원형 횡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시스부 2, 및 고점도 수지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부 2 내에 배열되고 타원형 횡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편심 코어부 3 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부 3 내에 형성되고 대략 삼각형인 횡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중공부 4 를 포함한다.
전술한 예에 있어서, 생성된 중공 복합 섬유는, 생성된 중공 복합 섬유의 잠재 권축성을 실현화할 때, 생성된 권축이 큰 루프 형태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중공 복합 단섬유에 있어서, 개별 섬유의 횡단면 프로파일 및 개별 중공부의 횡단면 형태에 제한은 없다.
개별 섬유 및 중공부의 횡단면 프로파일로는 원형, 삼각형, 평면형, 다엽형 및 다공형 형태가 포함되며, 섬유의 용도와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프로파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공 복합 단섬유는 바람직하게는 개별 섬유 두께가 1 내지 5 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 dtex 이다. 또한, 본 발명의 중공 복합 단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섬유 길이가 3 내지 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70 ㎜ 이다.
본 발명의 중공 복합 단섬유는 평균 웹 수축률이 3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이어야한다. 평균 웹 수축률은, 섬유 길이가 51 ㎜ 인 중공 복합 단섬유를 롤러 카딩기에 의해 기초 질량이 30 g/㎡ 인 웹으로 만들고 치수가 20 ㎝ × 20 ㎝ 인 복수개의 시편을 상기 웹으로부터 제조하고 상기 시편을 120℃ 온도에서 10 분동안 열풍 순환 건조기에서 열처리하여 시편이 자유 수축되게함으로써 측정된 것이고 상기 시편의 웹 면적 열수축률은 하기의 식 1 에 따라 결정하고, 시편의 결과적인 웹 면적 열수축률의 평균을 계산한다:
[수학식 1]
웹 면적 열수축률 (%) = [(A - B)/A] × 100
(여기서, A 는 열처리 이전의 시편 면적을 나타내고, B 는 열처리 이후의 시편 면적을 나타낸다).
평균 웹 수축률은 중공 복합 단섬유의 잠재 권축성의 지표이다. 평균 웹 수축률이 30 내지 70% 범위 내인 경우, 생성된 중공 복합 단섬유는 그로부터 생성된 직물, 편물, 및 부직포가 충분한 벌키성 및 신장성을 나타내게 할 수 있다. 평균 웹 수축률이 70% 초과인 경우, 생성된 권축 복합 단섬유는 다수의 작은 나선형 권축을 갖고, 이에, 섬유의 신장성은 높지만, 불충분한 벌키성 및 단단한 감촉을 나타낸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기계적으로 권축된 중공 복합 단섬유를 방사 과정에 적용시킬 때에, 잠재 권축이 예를 들어 카딩 공정에서 실현화되고, 이에 가공에 있어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평균 웹 수축률이 30% 미만인 경우, 잠재 권축이 충분히 실현화될 수 없고, 생성된 복합 단섬유는 불충분한 신장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중공 복합 단섬유의 평균 웹 수축률은, 복합 섬유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분의 고유 점도를 고려하여, 섬유에 적용되는 연신 과정 중의 연신비와 온도 및 중공 복합 섬유의 전체 횡단면 면적에 대한 중공부의 횡단면 면적의 비율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30 내지 70% 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공 복합 섬유는 기계 권축 장치, 예를 들어 스터핑 박스(stuffing box)형 권축기 또는 기어(gear)형 권축기를 사용함으로써 기계 권축될 수 있다. 기계 권축의 권축률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이다. 기계 권축 과정에 의한 중공 복합 섬유의 권축률은, 기계 권축 과정에서 권축수 및 권축 온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목적하는 바에 따라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섬유의 권축률은 JIS L 1015, 인조 단섬유용 시험 방법, 8.12.2 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중공 복합 단섬유는 하기의 공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고유 점도가 서로 상이한 두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중공의 나란한 형태 또는 심초 형태 복합 필라멘트 형성 방사돌기를 통해 용융방사하여 미연신 중공 복합 필라멘트를 제공하는 공정;
연신 온도를 제 1 단계에서 45 내지 60℃로 한 후, 제 2 단계에서 85 내지 120℃로 하고 제 2 단계에서의 연신비를 0.90 내지 1.0 으로 제어하여 전체 연신비를 후술한 바까지 조절하는 방식으로, 상기 미연신 중공 복합 필라멘트를 미연신 중공 복합 필라멘트의 파단율의 60 내지 80% 에 대응하는 전체 연신비로 2단계 연신하는 공정;
상기 연신 중공 복합 필라멘트를 50 내지 80℃의 온도로 기계 권축하는 공정;
상기 권축된 중공 복합 필라멘트를 80℃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면서, 권축된 중공 복합 필라멘트가 이완되게 하는 공정; 및
상기 열처리된 중공 복합 필라멘트를 절단하여 중공 복합 단섬유를 제공하는 공정.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제 1 단계에서의 연신 온도는 45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의 범위 내이다. 제 1 연신 단계를 45℃ 미만의 저온에서 수행하는 경우, 저온에서 필라멘트의 가소성이 낮기 때문에, 높은 연신력이 필라멘트에 적용되어야 하고, 이에, 필라멘트가 연신 과정 동안에 빈번하게 파손된다. 또한, 제 1 단계에서의 연신 온도가 60℃ 초과인 경우, 필라멘트의 결정화 정도가 증가하고, 이에, 필라멘트가 부서지기 쉽게되고, 빈번하게 파손된다.
제 2 단계에서의 연신 온도와 연신비는 생성된 연신 필라멘트의 잠재 권축성에 영향을 미치며, 각각, 85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의 범위 내, 및 0.9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92 내지 0.98의 범위 내로 조절되어야 한다. 제 2 단계에서의 연신 온도가 85℃ 미만인 경우, 생성된 연신 단섬유의 잠재 권축성이 기계적 과정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화된다. 예를 들어, 생성된 중공 복합 단섬유를 방사 공정 또는 부직포 제조 공정에서 카딩 과정을 통과하게 할 경우, 잠재 권축이 과도한 정도까지 실현화되어, 생성된 웹 내에 결점, 예를 들어 넵(nep) 또는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단계에서의 연신 온도가 120℃ 초과인 경우, 생성된 단섬유가 감소된 잠재 권축성을 나타낸다. 제 2 단계에서의 연신 과정을 1.0 초과의 연신비로 수행하는 경우, 생성된 단섬유는 기계 권축 과정에 적용될 때 다수의 나선형 권축이 생겨서, 나선형 권축이 있는 생성된 권축 단섬유는 카딩 과정을 원활하게 통과하기 어렵게 된다. 제 2 단계에서의 연신 과정에 있어서, 고정된 섬유 길이에서 또는 수축에 대한 제한 하에서의 섬유의 열처리가 제 1 연신 필라멘트에 적용되어야 한다. 연신비가 0.90 미만인 경우, 필라멘트는 과도하게 열경화되고, 이에, 생성된 단섬유는 취화된 잠재 권축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연신 단계에서의 전체 연신비 (%)는, 미연신 중공 복합 필라멘트의 파단율의 6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 에 대응하는 정도로 제어되어야 한다. 전체 연신비가 60% 미만인 경우, 생성된 단섬유는 불충분한 잠재 권축성을 나타낸다. 또한, 전체 연신비가 80% 초과인 경우, 필라멘트는 연신 단계에서 빈번하게 파손되고, 이에, 연신 필라멘트가 원활 하게 제조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연신 중공 복합 필라멘트는 기계 권축 장치, 예를 들어 스터핑 박스형 권축기 또는 기어 권축기를 사용함으로써 기계 권축된다. 기계 권축 과정은 5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의 권축 온도에서 수행된다.
기계 권축 온도가 50℃ 미만인 경우, 생성된 권축 필라멘트는 불충분한 권축률을 나타낸다. 또한, 기계 권축 온도가 80℃ 초과인 경우, 실현화되지 아니하고 있어야 하는 잠재 권축이 바람직하지 아니하게도 기계 권축 과정 동안에 실현화되고, 상기의 실현화된 나선형 권축은 생성된 중공 복합 단섬유가 악화된 카딩기 통과성을 나타내게 한다. 기계 권축 과정은 바람직하게는 생성된 기계 권축 필라멘트가 권축수 10 내지 15 개/25 ㎜ 를 갖는 정도로 제어되어, 생성된 단섬유에 만족스러운 카딩기 통과성을 부여한다.
기계 권축 공정 이후, 기계 권축된 중공 복합 필라멘트를 80℃ 이하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면서, 상기 권축 중공 복합 필라멘트가 이완되게 한다. 열처리 및 이완 온도가 80℃ 초과인 경우, 잠재 나선형 권축이 바람직하지 아니하게도 실현화된다. 열처리가 수행되면서 권축 중공 필라멘트가 이완되게 하는 온도에 대한 하한은 없다.
일반적으로, 기계 권축 과정 이전의 필라멘트는 마무리 유제의 수성 에멀션으로 유화되며, 이에, 열처리는 필라멘트상의 물을 증발시킴으로써 필라멘트를 건조시키기에 충분히 높은 온도에서 행해져야 한다. 이에, 열처리는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동시적인 열처리 및 이완 과정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분의 시간 동안에 수행된다.
동시적인 열처리 및 이완 과정을 완료한 후, 생성된 중공 복합 필라멘트를 토우(tow) 절단기, 예를 들어, 그루그루(grugru) 절단기 및 회전식 절단기를 사용해서 절단하여, 목적하는 섬유 길이,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 를 갖는 중공 복합 단섬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하기의 측정이 수행되었다.
(1) 고유 점도 [η]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 점도는 35℃ 온도에서 오르토클로로페놀로 이루어진 용매 중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액에서 우베로드(Ubbelohde)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2) 냉각풍 블라스트(blast)의 속도
필라멘트성 스트림의 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용융방사 장치에서 압출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융물의 필라멘트성 스트림에 적용되어 필라멘트성 스트림을 냉각 및 고화시키는, 온도 25℃ 및 습도 65%의 냉각풍 블라스트의 속도는, 풍속계에 의해 측정되었다.
(3) 중공 복합 섬유내 중공부의 횡단면 비율
중공 복합 섬유의 횡단면 프로파일에 있어서, 중공 복합 섬유의 전체 면적에 대한 섬유의 중공부 면적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4) 미연신 필라멘트의 파단율
미연신 중공 복합 필라멘트 토우의 파단율은 JIS L 1013 - 1999 에 따라, 100 ㎝/㎜ 의 인장 속도로 10 ㎝의 그리퍼(gripper) 사이 거리에서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에 의해 측정되었다.
(5) 권축률
섬유의 권축률은 JIS L 1015 - 1999 에 따라 결정되었다.
(6) 용융방사 과정의 안정성
인위적 요인 및 기계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필라멘트 파손에 대한 것을 제외하고, 8 시간마다, 용융 방사돌기마다, 용융방사 과정에서 발생한 미연신 필라멘트의 파손수를 계산하여, 상기 파손수에 기초하여 용융방사 과정의 안정성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안정성 필라멘트 토우 파손수
탁월함 0
양호함 1 내지 2개/ 8시간ㆍ방사돌기
불량함 3개 이상/ 8시간ㆍ방사돌기
(7) 웹 면적 열수축률 (%)
섬유 길이가 51 ㎜인 중공 복합 단섬유를 롤러 카딩기를 사용하여 기초 질량이 30 g/㎡ 인 웹으로 만들고; 치수가 20 ㎝ × 20 ㎝ 인 복수개의 시편을 상기 웹으로부터 제조하고; 각각의 시편을 120℃ 온도에서 10 분동안 열풍 순환 건조기에서 열처리하여 시편이 자유 수축되게 하고; 상기 시편의 웹 면적 열수축률은 하기의 식 1 에 따라 결정하고; 시편의 결과적인 웹 면적 열수축률의 평균을 계산하였 다:
[수학식 1]
웹 면적 열수축률 (%) = [(A - B)/A] × 100
(여기서, A 는 열처리 이전의 시편 면적을 나타내고, B 는 열처리 이후의 시편 면적을 나타낸다).
(8) 중공 복합 단섬유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탄성 회복률 및 벌키성
섬유 길이가 51 ㎜인 중공 복합 단섬유를 롤러 카딩기를 사용하여 부직 웹으로 만들고; 복수개의 상기 생성된 웹을 서로 적층하고; 적층된 웹을 니들 펀칭(needle-punching)하여 기초 질량이 약 50 g/㎡ 인 부직포를 제공하고; 상기 부직포를 120℃ 온도에서 10 분동안 오븐에서 열처리하고; 상기 부직포의 벌키성을 JIS L-1908 에 따라 측정하고; 그 후 폭이 25 ㎜인 테이프 형태의 시편 복수개를 상기 부직포로부터 제조하고, 상기 각각을, 100 ㎜/분의 인장 속도 및 100 ㎜의 그리퍼 쌍 사이 거리에서, JIS L-1908-1999 에 따라 파단율을 측정하고; 결과적인 데이터로부터, 시편의 탄성 회복률을 하기 식 (2)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112005056022475-PCT00001
(여기서, EB 는 시편 파단율의 80% 에 대응하는 신장률 (%)를 나타내고, EC 는 시편의 신장률이 신장률 EB 에 도달할 때까지 시편을 신장시킨후 시편에 적용된 인장을 완화하여 1 분동안 방치한 이후, 시편의 본래 길이에 기초한 시편의 신장률 (%) 를 나타낸다).
(9) 종합 평가
중공 복합 단섬유의 종합 평가는 용융 방사 과정의 안정성, 부직포의 벌키성 및 부직포의 탄성 회복률에 기초하여 수행되었다. 평가 결과를 하기의 두 부류로 나타내었다.
종합 평가 수행도
양호함 필라멘트 토우의 파손이 용융 방사돌기당 8 시간 용융 방사 과정에서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고, 부직포의 벌키성이 15 ㎤/g 이상이며, 부직포의 탄성 회복률이 80% 이상임.
불량함 전술한 항목 중 하나 이상이 전술한 수준에 도달하지 아니함.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 ∼ 6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 ∼ 6 각각에 있어서, 표 1 또는 2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유 점도를 갖는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성분 (A) 및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성분 (B) 를 1000개의 압출 오리피스를 갖는 중공 편심 심초형 복합 필라멘트용 용융 방사돌기를 사용하여 용융방사 과정에 적용하였다. 중공 복합 섬유용 오리피스 각각에 있어서, 중공 복합 섬유에 중공부를 형성하기 위한 원형 슬릿의 직경 (PCD)은 표 1 또는 2 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용융방사 과정에 있어서, 고점도 및 저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분 (A) 및 (B)는 50/50의 질량비 A/B 로 사용되었고, 245 ∼ 290℃ 범위에서 표 1 또는 2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온도에서 용융되었으며, 690 g/㎜의 전체 압출율로 용융 압출되었다. 표 2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블라스트 속도에서 냉각풍 블라스트를 스트림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압출된 용융 필라멘트성 스트림을 냉각 및 고화하였고, 생성된 미연신 중공 복합 필라멘트 다발을 1,300 m/분의 인취 속도로 권취 롤에 인취 및 권취하였다. 용융방사 과정을 8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필라멘트의 파손수를 계산함으로써 용융방사 과정의 안정성을 검사하였다.
연신 조건, 즉 표 1 또는 2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 연신 단계의 연신 온도와 연신비 및 전체 연신비 하에서, 상기 생성된 미연신 중공 복합 필라멘트 다발을 2단계 연신하였다. 그 후, 연신 중공 복합 필라멘트 다발을 75℃의 온도에서 기계 권축 과정에 적용하여, 개별 필라멘트에 대해 표 1 또는 2 에 나타낸 권축률로 기계 권축을 부여하였다. 기계 권축된 중공 복합 필라멘트 다발을 30 분동안 55℃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면서 필라멘트를 이완시켰다. 이완 및 열처리된 필라멘트를 51 ㎜의 섬유 길이로 절단하여 중공 복합 단섬유를 제조하였다.
생성된 단섬유를, 카딩기를 사용하여 웹으로 만들고, 웹 면적 열수축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또는 2 에 나타낸다.
상기 웹을 전술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부직포의 탄성 회복률 및 벌키성 측정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또는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에 있어서, 용융방사 과정은 압출된 필라멘트의 빈번한 파손으로 인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없었고, 이에, 목적하는 미연신 필라멘트가 수득될 수 없었다.
비교예 7
비교예 7 에 있어서, 용융 압출 오리피스에서 PCD 를 표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 ㎜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과정 및 측정을 수행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8
비교예 8 에 있어서, 용융 압출 오리피스가 중공 형성 슬릿이 없고 냉각풍 블라스트의 속도를 0.6 m/초에서 0.7 m/초로 변경하고 생성된 복합 섬유가 중공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2 에 나타낸다.
항목 \ 실시예 번호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고점도 수지 성분 고유 점도 (㎗/g) 1.30 0.50 1.45 0.45 1.30
용융 온도 (℃) 280 255 290 250 280
저점도 수지 성분 고유 점도 (㎗/g) 0.90 0.40 1.10 0.35 0.75
용융 온도 (℃) 250 245 255 245 250
고점도 및 저점도 수지 성분 사이의 고유 점도 차이 (㎗/g) 0.40 0.10 0.35 0.10 0.55
용융 압출 오리피스의 형태 중공 중공 중공 중공 중공
냉각풍 블라스트 속도 (m/s) 0.6 0.6 0.6 0.6 0.6
미연신 필라멘트의 극대 연신비 2.8 3.2 2.5 3.2 -
중공 복합 섬유내 중공부용 오리피스에서 원형 슬릿의 직경 (mmφ) 0.7 0.7 0.7 0.7 0.7
제 1 연신 단계 온도 (℃) 53 53 53 53
연신비 2.0 2.2 1.8 2.2
제 2 연신 단계 온도 (℃) 110 95 110 95
연신비 0.95 0.95 0.95 0.95
전체 연신비 1.9 2.1 1.7 2.1 -
권축 온도 (℃) 75 75 75 75
이완, 열처리 온도 (℃) 55 55 55 55
전체 횡단면 면적에 대한 중공부의 비율 (%) 7 2 12 3 5
권축률 (%) 15 18 15 17
용융방사 과정의 안정성 탁월함 탁월함 불량함 양호함 불량함
웹 면적 열수축률 (%) 48 36 42 23 -
부직포의 부피 밀도 (㎤/g) 23 24 22 29
부직포의 파단율 (%) 205 189 199 148
부직포의 탄성 회복률 (%) 93 89 92 74
종합 평가 양호함 양호함 불량함 불량함 불량함
항목 \ 실시예 번호 비교예
4 5 6 7 8
고점도 수지 성분 고유 점도 (㎗/g) 1.30 1.30 1.30 1.30 1.30
용융 온도 (℃) 280 280 280 280 280
저점도 수지 성분 고유 점도 (㎗/g) 1.25 0.90 0.90 0.90 0.90
용융 온도 (℃) 275 250 250 250 250
고점도 및 저점도 수지 성분 사이의 고유 점도 차이 (㎗/g) 0.05 0.40 0.40 0.40 0.40
용융 압출 오리피스의 형태 중공 중공 중공 중공 꽉참
냉각풍 블라스트 속도 (m/s) 0.6 0.6 0.6 1.0 0.7
미연신 필라멘트의 극대 연신비 2.5 2.8 2.8 2.8 2.9
중공 복합 섬유내 중공부용 오리피스에서 원형 슬릿의 직경 (mmφ) 0.7 0.7 0.7 2.0 -
제 1 연신 단계 온도 (℃) 53 53 53 53 53
연신비 1.8 2.0 1.9 2.0 2.0
제 2 연신 단계 온도 (℃) 95 110 95 110 110
연신비 0.95 0.95 1.05 0.95 0.95
전체 연신비 1.7 1.9 2.0 1.9 1.9
권축 온도 (℃) 75 75 75 75 75
이완, 열처리 온도 (℃) 55 55 55 55 55
전체 횡단면 면적에 대한 중공부의 비율 (%) 10 1.5 8 17 -
권축률 (%) 13 20 23 14 22
용융방사 과정의 안정성 탁월함 양호함 양호함 양호함 불량함
웹 면적 열수축률 (%) 23 66 74 27 68
부직포의 부피 밀도 (㎤/g) 32 17 14 30 15
부직포의 파단율 (%) 138 208 205 168 199
부직포의 탄성 회복률 (%) 69 92 89 74 88
종합 평가 불량함 불량함 불량함 불량함 불량함
본 발명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는 잠재 권축성이 높고, 이에, 탁월한 벌키성 및 탄성 회복률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는 부직포, 직물 또는 편물 및 쿠션재용으로 유용하다.

Claims (3)

  1. 고유 점도가 서로 상이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성분으로 구성되어있고, 나란한(side-by-side) 배열 또는 심초형(core-in-sheath) 배열로 배열되고, 각 복합 단섬유의 종축을 따라 확장되어있는 두 부분을 포함하고, 각 복합 단섬유 내에 형성되고, 각 복합 단섬유의 종축을 따라 확장되어있는 중공부를 가지며, 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
    (1) 두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성분 중의 하나는 고유 점도가 0.50 내지 1.4 ㎗/g 의 범위 내이고, 두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성분 중의 다른 하나는 고유 점도가 0.40 내지 1.30 ㎗/g 의 범위 내 및 고유 점도가 0.50 내지 1.40 ㎗/g 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 점도보다 0.1 내지 0.5 ㎗/g 낮고, 상기 고유 점도는 35℃의 온도에서 o-클로로페놀 중에 측정되며;
    (2) 상기 중공부의 횡단면은 복합 섬유의 전체 횡단면 면적의 2 내지 15% 에 대응하는 횡단면 면적을 가지며;
    (3) 상기 복합 단섬유는 30 내지 70% 의 평균 웹 면적 열수축률을 나타내고, 상기 평균 웹 면적 열수축률은, 섬유 길이가 51 ㎜인 복합 단섬유를 롤러 카딩기에 의해 기초 질량이 30 g/㎡ 인 웹으로 만들고 치수가 20 ㎝ × 20 ㎝ 인 복수개의 시편을 상기 웹으로부터 제조하고 상기 시편을 120℃ 온도에서 10 분동안 열풍 순환 건조기에서 열처리하여 시편이 자유 수축되게함으로써 측정된 것이고, 상기 시 편의 웹 면적 열수축률은 하기의 식 1 에 따라 결정하고, 시편의 결과적인 웹 면적 열수축률의 평균을 계산한다:
    [수학식 1]
    웹 면적 열수축률 (%) = [(A - B)/A] × 100
    (여기서, A 는 열처리 이전의 각 시편의 면적을 나타내고, B 는 열처리 이후의 시편의 면적을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각 복합 단섬유의 고 고유 점도 및 저 고유 점도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부 중의 하나에 위치하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
  3. 하기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의 제조 방법:
    고유 점도가 서로 상이한 두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중공의 나란한 형태 또는 심초 형태 복합 필라멘트 형성 방사돌기를 통해 용융방사하여 미연신 중공 복합 필라멘트를 제공하는 공정;
    연신 온도를 제 1 단계에서 45 내지 60℃로 한 후, 제 2 단계에서 85 내지 120℃로 하고, 제 2 단계에서의 연신비를 0.90 내지 1.0 으로 제어하여 전체 연신비를 후술하는 바까지 조절하는 방식으로, 상기 미연신 중공 복합 필라멘트를 미연신 중공 복합 필라멘트의 파단율의 60 내지 80% 에 대응하는 전체 연신비로 2단계 연신하는 공정;
    상기 연신 중공 복합 필라멘트를 50 내지 80℃의 온도로 기계 권축하는 공정;
    상기 권축된 중공 복합 필라멘트를 80℃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면서, 권축된 중공 복합 필라멘트가 이완되게 하는 공정; 및
    상기 열처리된 중공 복합 필라멘트를 절단하여 중공 복합 단섬유를 제공하는 공정.
KR1020057018869A 2003-06-26 2004-06-22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 및 이의제조 방법 KR200600226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82736 2003-06-26
JP2003182736A JP4205500B2 (ja) 2003-06-26 2003-06-26 中空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複合短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643A true KR20060022643A (ko) 2006-03-10

Family

ID=33549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8869A KR20060022643A (ko) 2003-06-26 2004-06-22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공 복합 단섬유 및 이의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060210793A1 (ko)
EP (1) EP1636405A4 (ko)
JP (1) JP4205500B2 (ko)
KR (1) KR20060022643A (ko)
CN (1) CN100374633C (ko)
CA (1) CA2519586A1 (ko)
HK (1) HK1090395A1 (ko)
MY (1) MY140927A (ko)
TW (1) TW200504256A (ko)
WO (1) WO200500117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796B1 (ko) * 2009-04-15 2011-08-05 동진섬유(주) 신축성이 우수한 중공형 폴리에스테르 태세사의 제조방법
KR101136694B1 (ko) * 2009-04-14 2012-04-19 한국섬유개발연구원 권축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1143519B1 (ko) * 2009-05-28 2012-05-0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열융착 고탄성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240339B1 (ko) * 2010-04-22 2013-03-07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잠재권축성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447366B1 (ko) * 2013-05-21 2014-10-0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공기 투과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37877A2 (de) * 2005-10-14 2008-07-02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tapelfasern aus schmelzgesponnenen hohlfasern
CN101230498B (zh) * 2007-01-22 2011-04-13 中国纺织科学研究院 一种三维卷曲纤维
JP5150975B2 (ja) 2007-08-31 2013-02-27 Esファイバービジョンズ株式会社 多孔質成形体用収縮性繊維
WO2009063889A1 (ja) 2007-11-12 2009-05-22 Mitsui Chemicals, Inc. 偏芯中空複合長繊維、それからなる長繊維不織布及びその用途
JP5233053B2 (ja) * 2008-05-19 2013-07-10 Esファイバービジョンズ株式会社 エアレイド不織布製造用複合繊維及び高密度エアレイド不織布の製造方法
JP6066628B2 (ja) * 2012-08-27 2017-01-25 日本エステ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中空複合バインダー繊維
CN108716027B (zh) * 2018-08-31 2024-03-01 江苏江南高纤股份有限公司 Hdpe-pet复合超短纤维的制备方法、应用及后纺系统
CN110983466B (zh) * 2019-12-24 2021-11-16 江苏恒力化纤股份有限公司 一种ptt/pet双组份弹性丝及其制备方法
CN111763997A (zh) * 2020-07-16 2020-10-13 常州纺兴精密机械有限公司 三组份复合中空纤维及其纺丝组件
TWI766368B (zh) * 2020-09-17 2022-06-01 財團法人紡織產業綜合研究所 用於保暖織物的布料
CN115679477A (zh) * 2022-11-24 2023-02-03 江苏江南高纤股份有限公司 一种皮芯型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CN115787131A (zh) * 2022-12-23 2023-03-14 福建长源纺织有限公司 一种皮芯型聚酰胺-聚酯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2936B2 (ja) * 1995-02-21 2003-08-04 株式会社クラレ 中空複合繊維の製造方法
WO1998044178A1 (fr) * 1997-03-31 1998-10-08 Toray Industries, Inc. Fil frise, tiss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JP3446875B2 (ja) * 1997-11-26 2003-09-16 東洋紡績株式会社 複合ポリエステル繊維
KR100629813B1 (ko) * 1999-06-08 2006-09-29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소프트 스트레치사 및 제조 방법
ID29973A (id) * 2000-01-07 2001-10-25 Teijin Ltd Serat-serat poliester yang dikerutkan dan struktur serat yang terdiri daripadanya
WO2001054265A1 (en) * 2000-01-20 2001-07-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peed control for induction motor with variable voltage-frequency ratio
DE60135596D1 (de) * 2000-03-16 2008-10-16 Kuraray Co Hohlfaser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hlfasern
DE60126317T2 (de) * 2000-10-06 2007-08-30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Gesponnenes garn
KR100552026B1 (ko) * 2001-07-04 2006-02-17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경편물
WO2003046266A1 (fr) * 2001-11-30 2003-06-05 Teijin Limited Fibre synthetique frisee machine presentant une aptitude a la frisure latente en trois dimensions, et procede de production associe
JP2003227037A (ja) * 2002-02-01 2003-08-15 Teijin Ltd ストレッチ性織編物用ポリエステル複合中空繊維
US6846560B2 (en) * 2002-05-27 2005-01-25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Conjugate fiber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20040077246A1 (en) * 2002-10-17 2004-04-22 Wellman, Inc. Highly absorbent polyester fibers
CN1662683B (zh) * 2002-12-23 2012-11-07 纳幕尔杜邦公司 聚对苯二甲酸丙二醇酯双组分纤维工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694B1 (ko) * 2009-04-14 2012-04-19 한국섬유개발연구원 권축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1054796B1 (ko) * 2009-04-15 2011-08-05 동진섬유(주) 신축성이 우수한 중공형 폴리에스테르 태세사의 제조방법
KR101143519B1 (ko) * 2009-05-28 2012-05-0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열융착 고탄성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240339B1 (ko) * 2010-04-22 2013-03-07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잠재권축성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447366B1 (ko) * 2013-05-21 2014-10-0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공기 투과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36405A4 (en) 2007-09-05
MY140927A (en) 2010-02-12
US20060210793A1 (en) 2006-09-21
CA2519586A1 (en) 2005-01-06
WO2005001175A1 (en) 2005-01-06
CN1768171A (zh) 2006-05-03
EP1636405A1 (en) 2006-03-22
HK1090395A1 (en) 2006-12-22
US20090035568A1 (en) 2009-02-05
JP2005015957A (ja) 2005-01-20
TW200504256A (en) 2005-02-01
CN100374633C (zh) 2008-03-12
JP4205500B2 (ja)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35568A1 (en)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hollow composite staple fiber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EP1230450B2 (en) Process for making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staple fibers, and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staple fibers, yarns and fabrics
RU2440447C2 (ru) Термоадгезионное двухкомпонентное волокно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CN110268109B (zh) 热粘接性芯鞘型复合纤维以及经编针织物
JP2009228204A (ja) 複合繊維の製造方法
US20100167612A1 (en) Multilobal filament, fabric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8153253B2 (en) Conjugate fiber-containing yarn
EP1230449B1 (en)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tetrachannel cross-section staple fiber
KR101240339B1 (ko) 잠재권축성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2011195967A (ja) 嵩高不織布用繊維
EP0758027A1 (en) Polyester filament yarn,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woven and knitted fabrics thereof,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168218B1 (ko) 잠재권축성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18609B1 (ko) 잠재권축성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EP4190953A1 (en) Polyethylene yarn having improved post-processability, and fabric comprising same
KR101850628B1 (ko)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고신축성의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557271B1 (ko)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분리된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이를 포함하는 직물 또는 편직물, 인조 가죽 및 부직포
KR950000722B1 (ko) 추출형 복합섬유
JP3188054B2 (ja) 混繊長繊維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26314B2 (ko)
JP2005113308A (ja) 捲縮を有する異形中空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