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214A - 표시 장치, 센터 장치, 영상 표시 시스템, 표시 장치의제어 방법, 센터 장치의 제어 방법, 표시 장치 제어프로그램, 센터 장치 제어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센터 장치, 영상 표시 시스템, 표시 장치의제어 방법, 센터 장치의 제어 방법, 표시 장치 제어프로그램, 센터 장치 제어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214A
KR20060018214A KR1020057019719A KR20057019719A KR20060018214A KR 20060018214 A KR20060018214 A KR 20060018214A KR 1020057019719 A KR1020057019719 A KR 1020057019719A KR 20057019719 A KR20057019719 A KR 20057019719A KR 20060018214 A KR20060018214 A KR 20060018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data
video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9260B1 (ko
Inventor
도요시 도끼모또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8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8Transmitter circuitry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TV 마이크로컴퓨터(65)가 SS 송수신 유닛(61)과 SS 송수신 유닛(45)을 통하여,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에 채널 절환 처리 요구 커맨드를 보내어,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는 SS 송수신 유닛(45)과 SS 송수신 유닛(61)을 통하여, TV 마이크로컴퓨터(65)에 채널 절환 처리 요구 커맨드를 수취한 취지의 응답을 되돌려 보낸다.
다음으로,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는, 수취한 채널 절환 처리 요구에 관한 요구 처리(118)를 행하여, 이 요구 처리가 실행 완료인 취지의 처리 완료 정보를 TV 마이크로컴퓨터(65)에 보낸다. TV 본체(5)는 처리 완료 정보를 수취하면, 이 시점을 기점으로 한 일정 기간만 화면 뮤트 처리를 행하여, 채널 절환 시의 지연에 기인하는 표시의 흐트러짐을 은폐함으로써, 화면 뮤트 시간을 단축한다.
마이크로컴퓨터, 채널 절환, 화면 뮤트 처리, 제어 프로그램, 와이어리스 센터

Description

표시 장치, 센터 장치, 영상 표시 시스템,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센터 장치의 제어 방법, 표시 장치 제어 프로그램, 센터 장치 제어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DISPLAY DEVICE, CENTER DEVICE, VIDEO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CENTER DEVICE CONTROL METHOD, DISPLAY DEVICE CONTROL PROGRAM, CENTER DEVICE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PROGRAM}
본 발명은 센터 장치가 표시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센터 장치, 영상 표시 시스템,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센터 장치의 제어 방법, 표시 장치 제어 프로그램, 센터 장치 제어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 및 음성의 수신·재생 시스템(AV(Audio Visual) 시스템)에서, 영상을 재생(표시)하기 위한 모니터부(AV 출력 장치)로서 박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 것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하면, 대화면의 표시도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표시 장치 자체를 경량 또한 박형으로 할 수 있다는 큰 이점이 있다.
이 이점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의 튜너부와 모니터부를 분리하여, 튜너부에서 모니터부에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분리한 튜너부에 안테나선을 접속하여 선국하고, 그 선국한 영상 및 음성 신호(AV 신호)를 모니터부에 와이어리스 전송하여 AV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참조).
여기서, 특허 문헌 1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160927호(공개일: 2001년 6월 12일)이다.
또한, 특허 문헌 2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358966호(공개일: 2001년 12월 26일)이다.
상기 시스템에서는, 모니터측에서 채널 선국 조작이나 입력 절환 조작을 행한 경우, 이들 조작에 기초하는 커맨드를 모니터측에서 생성하여 튜너측에 송신한다. 이 커맨드는 튜너측에서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한 커맨드로, 모니터측과 튜너측을 관련짓는 무선 전송 시스템에서 송수신 가능한 커맨드이다. 이 때, 모니터측은 무선 전송 시스템에 규정되어 있는 인터벌로 상기 커맨드를 송신하게 된다.
한편, 튜너측에서는, 상기 커맨드에 기초하여 채널 선국이나 입력 절환 등의 조작을 행한다. 그 후, 튜너측에서 채널 선국 또는 입력 절환된 비디오 신호를 스트림 정보로 변환하여, 모니터측에 무선에 의해 전송한다. 이 스트림 정보로의 변환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MPEG2 변환 처리를 들 수 있다. 이 MPEG2 변환 처리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튜너측에서 채널 선국 또는 입력 절환에 관련하는 처리를 행하고 있는 기간 동안은 모니터측에서 화면 상의 영상 흐트러짐이 수초간 발생하게 되어 보기 흉하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화면을 수초 이상의 기간, 영상의 표시를 정지하는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영상의 표시를 정지하는 것을 「뮤트한다」라고 칭한다.
이와 같이, MPEG2 변환 처리가 행하여지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인코드 처리에 관련하는 지연 시간 등, 절환에 관련하는 지연 시간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모니터측에서 영상의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기간도 비교적 길어지게 된다.
또한, 모니터측에서는, 채널 선국이나 입력 절환을 튜너측에 커맨드로 요구한 후, 수신하는 영상 신호가 절환되는 시점을 인식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요구를 행한 시점에 기초하여 뮤트 기간을 관리하게 된다. 또한, 뮤트 처리에 의해 영상의 흐트러짐을 은폐하기 위해서는, 영상의 흐트러짐이 없어지는 시점을 예측하여, 예측한 시점보다 느린 시점을 뮤트 처리의 종료 시점으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뮤트 기간을, 실제로 영상의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기간보다도 길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그 목적은 종래보다도 실제로 영상의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기간에 뮤트 기간을 가깝게 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시스템 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뮤트 타이밍을 표시 장치측에서 파악하여, 적절한 시간 설정을 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센터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센터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자(自)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센터 장치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영상 절환 동작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절환 관련 데이터를 상기 수신 수단을 통하여 취득한 경우에, 상기 영상 절환 동작에 의해 상기 영상의 표시가 흐트러지는 것을 은폐하는 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영상 절환 동작에 관한 정보로서는, 절환 동작을 개시한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 절환 동작 중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 절환 동작을 종료한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영상의 표시가 흐트러지는 것을 은폐하는 방법으로서는, 영상의 표시를 정지(영상 뮤트)하거나, 은폐하기 직전의 영상을 정지 화상으로서 표시하거나, 단일의 청색 화상이나 「잠시동안 기다려주십시오」라고 묘화된 화상 등의 소정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중, 영상의 표시를 정지하는 영상 뮤트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영상 절환 동작에 의해 영상의 표시가 흐트러지는 것을 은폐하는 것을, 센터 장치에 영상 절환을 지시한 경우가 아니고, 센터 장치로부터 절환 관련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에 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은폐를 개시하는 시점을, 영상의 표시의 흐트러짐이 시작되는 시점에 종래보다도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은폐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환 관련 데이터는 상기 영상 절환 동작을 완료한 취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영상 절환 동작을 완료한 시점은, 예를 들면, 영상 입력을 외부 입력 1로부터 외부 입력 2로 절환하는 경우, 외부 입력 2로 절환하여 인코드를 개시하는 시점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은폐를 개시하는 시점을, 영상의 표시의 흐트러짐이 시작되는 시점에 더욱 가깝게 할 수 있다.
그런데, 표시 장치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나서 영상의 표시를 행할 때까지 지연 기간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상기 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이 은폐하는 기간은 상기 지연 기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터 장치가 영상 데이터를 인코드하여 송신하고, 표시 장치가 인코드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인코드 처리에 화상 압축 처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인코드 및 디코드에 요하는 기간은, 다른 동작에 요하는 기간에 비하여 비교적 길다.
이 때문에, 표시 장치는 인코드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이 은폐하는 기간은 상기 디코드 수단이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데 요하는 기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환 관련 데이터를 취득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지연 기간이 경과한 시점에서는, 영상의 표시 흐트러짐이 아직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이 은폐를 개시하는 시점은 상기 절환 관련 데이터를 취득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지연 기간이 경과한 시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은폐를 개시하는 시점을 영상의 표시 흐트러짐이 시작되는 시점에 더욱 가깝게 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의 디코드를 행하는 경우에는, 디코드 중에 영상의 표시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이 은폐를 개시하는 시점은 상기 절환 관련 데이터를 취득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디코드 수단이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데 요하는 기간을 상기 지연 기간으로부터 제외한 기간이 경과한 시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센터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센터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인코드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과, 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센터 장치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영상 절환 동작에 의해 상기 영상의 표시가 흐트러지는 것을 은폐하는 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이 은폐를 종료하는 시점은, 상기 센터 장치가 절환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인코드할 때에 생성하는 제1 타임 스탬프를, 상기 수신 수단을 통하여 취득한 시점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이 은폐를 종료하는 시점은, 상기 센터 장치가 절환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인코드할 때에 생성하는 제1 타임 스탬프를 취득한 시점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제1 타임 스탬프를 취득함으로써, 영상 절환 동작에 의해 절환된 영상 데이터가 인코드되고 있는 것이 이해할 수 있다.
영상의 전환이 행하여지고, 또한 인코드된 영상 데이터는, 표시 장치에서 디코드되고, 디코드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된다. 이 때, 영상의 절환에 의한 표시 흐트러짐은 없어진다. 따라서, 인코드되고 있는 시점에 기초하여, 영상의 표시 흐트러짐이 없어지는 시점을 추정할 수 있고, 이 추정한 시점을 은폐를 종료하는 시점으로 함으로써, 은폐를 종료하는 시점을 영상의 표시 흐트러짐이 종료하는 시점에 종래보다도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은폐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디코드 수단은 영상 데이터의 디코드를 개시하는 시각이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이 은폐를 종료하는 시점은 제1 타임 스탬프를 취득한 시점과, 상기 디코드 수단이 영상 데이터의 디코드를 개시하는 시각을 나타내는 제2 타임 스탬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영상 데이터의 디코드의 개시 시각으로부터 영상의 표시 흐트러짐이 없어지는 시점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은폐 기간을 더욱 짧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영상 데이터의 전환은 표시 장치측에 위치하는 유저가 리모트 컨트롤 장치 등을 이용하여 지시하는 것이 많다. 이 때문에, 표시 장치는 상기 센터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절환을 요구하는 절환 요구 데이터를 상기 센터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수단을 제어하는 절환 커맨드 송신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표시 장치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표시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센터 장치로서, 상기 표시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송신할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영상 절환 수단과, 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영상 절환 수단이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동작에 관련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절환 관련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절환 관련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수단을 제어하는 절환 관련 데이터 송신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영상 절환 수단으로서는, 방송 중의 영상 데이터를 선국하는 튜너, 외부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에서 선택하는 셀렉터 및 이들을 조합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동작에 관련하는 정보를 표시 장치에 보내고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가 상기 은폐를 개시하는 시점을, 영상의 표시 흐트러짐이 시작되는 시점에 종래보다도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은폐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절환 관련 데이터는 상기 영상 절환 수단이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동작을 완료한 취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은폐를 개시하는 시점을, 영상의 표시 흐트러짐이 시작되는 시점에 더욱 가깝게 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적게 하거나, 확실하게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센터 장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인코드를 행하는 인코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인코드 수단이 인코드를 행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표시 장치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표시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센터 장치로서, 상기 표시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송신할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영상 절환 수단과,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인코드하는 인코드 수단과, 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영상 절환 수단이 절환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인코드 수단이 인코드할 때에 생성하는 제1 타임 스탬프를 취득하고, 취득한 제1 타임 스탬프를 상기 표시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수단을 제어하는 타임 스탬프 송신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타임 스탬프 송신 제어 수단은, 송신 수단을 제어하여, 영상 절환 수단이 절환한 영상 데이터를 인코드할 때에 생성하는 제1 타임 스탬프를 표시 장치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는 인코드되어 있는 시점을 파악할 수 있고, 이 시점에 기초하여 영상의 표시 흐트러짐이 없어지는 시점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추정한 시점을 은폐를 종료하는 시점으로 함으로써, 은폐를 종료하는 시점을 영상의 표시 흐트러짐이 종료하는 시점에 종래보다도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은폐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영상 데이터의 전환은 표시 장치측에 위치하는 유저가 리모트 컨트롤 장치 등을 이용하여 지시하는 것이 많다. 이 때문에, 센터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영상 데이터의 전환을 요구하는 절환 요구 데이터를, 상기 수신 수단을 통하여 취득하는 절환 요구 취득 수단과, 상기 절환 요구 취득 수단이 취득한 절환 요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절환 수단이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도록 제어하는 영상 절환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센터 장치가, 상기 구성의 표시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이더라도, 상술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장치에 상기 표시 장치를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의 송신은 무선으로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센터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센터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센터 장치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영상 절환 동작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절환 관련 데이터를, 상기 수신 수단을 통하여 취득한 경우에, 상기 영상 절환 동작에 의해 상기 영상의 표시가 흐트러지는 것을 은폐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영상 절환 동작에 의해 영상의 표시가 흐트러지는 것을 은폐하는 것을, 센터 장치에 영상 절환를 지시한 경우가 아니고, 센터 장치로부터 절환 관련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에 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은폐를 개시하는 시점을, 영상의 표시 흐트러짐이 시작되는 시점에 종래보다도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은폐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센터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센터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인코드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센터 장치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영상 절환 동작에 의해 상기 영상의 표시가 흐트러지는 것을 은폐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은폐를 종료하는 시점은 상기 센터 장치가 절환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인코드할 때에 생성하는 제1 타임 스탬프를, 상기 수신 수단을 통하여 취득한 시점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은폐를 종료하는 시점은, 상기 센터 장치가 절환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인코드할 때에 생성하는 제1 타임 스탬프를 취득한 시점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제1 타임 스탬프를 취득함으로써, 영상 절환 동작에 의해 절환된 영상 데이터가 인코드되고 있는 것이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코드되고 있는 시점에 기초하여, 영상의 표시 흐트러짐이 없어지는 시점을 추정할 수 있고, 이 추정한 시점을 은폐를 종료하는 시점으로 함으로써, 은폐를 종료하는 시점을 영상의 표시 흐트러짐이 종료하는 시점에 종래보다도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은폐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표시 장치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표시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센터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센터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송신할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영상 절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영상 절환 수단이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동작에 관련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절환 관련 데이터를 취득하여, 취득한 절환 관련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동작에 관련하는 정보를 표시 장치에 보내고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가 상기 은폐를 개시하는 시점을, 영상의 표시 흐트러짐이 시작되는 시점에 종래보다도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은폐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표시 장치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표시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센터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센터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송신할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영상 절환 수단과,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인코드하는 인코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영상 절환 수단이 절환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인코드 수단이 인코드할 때에 생성하는 제1 타임 스탬프를 취득하고, 취득한 제1 타임 스탬프를 상기 표시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송신 수단을 제어하여, 영상 절환 수단이 절환한 영상 데이터를 인코드할 때에 생성하는 제1 타임 스탬프를 표시 장치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는 인코드되어 있는 시점을 파악할 수 있고, 이 시점에 기초하여, 영상의 표시 흐트러짐이 없어지는 시점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추정한 시점을 은폐를 종료하는 시점으로 함으로써, 은폐를 종료하는 시점을 영상의 표시 흐트러짐이 종료하는 시점에 종래보다도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은폐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에서의 제어 수단을, 표시 장치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 상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장치에서의 제어 수단을, 센터 장치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 상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 제어 프로그램 및/또는 상기 센터 장치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억시킴으로써, 임의의 컴퓨터 상에서 상기 표시 장치 제어 프로그램 및/또는 상기 센터 장치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 절환 동작에 의해 영상의 표시가 흐트러지는 것을 은폐하는 것을, 센터 장치에 영상 절환을 지시한 경우가 아니고, 센터 장치로부터 절환 관련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에 행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은폐를 개시하는 시점을 영상의 표시 흐트러짐이 시작되는 시점에 종래보다도 가깝게 할 수 있어, 상기 은폐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나타내는 기재에 의해서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익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의 와이어리스 센터의 구 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의 TV 본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텔레비전 수신·재생시스템에서 와이어리스 센터 유닛과 TV 본체 유닛 사이에서 교환되는 송수신 데이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한 TV 본체 유닛에 대하여 이용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텔레비전 수신·재생시스템에서의 와이어리스 센터 유닛과 TV 본체 유닛 사이의 쌍방향 통신의 시퀀스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에서의 뮤트 기간을, 종래의 뮤트 기간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의 간략화된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으로, 특히 영상 뮤트 처리에 관련하는 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한 텔레비전 수신·재생시스템에서의 뮤트 기간을, 종래의 뮤트 기간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 10은 디스플레이 분리형의 와이어리스 TV 수신기인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낸 설명도.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은, AV 출력 장치(모니터측)와 와이어 리스 센터(튜너측)가 분리된 형태를 갖고, 주로 와이어리스로 모니터측과 튜너측이 통신을 행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모니터측이 튜너측으로부터 채널의 선국 절환이나 입력 절환을 행하는 타이밍 정보를 입수함으로써, 영상 입력을 절환할 때에 모니터에 표시시키는 화상의 뮤트 처리 기간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이밍 정보는, 예를 들면, 채널 절환 처리 요구를 모니터측으로부터 튜너측에 대하여 행한 경우에, 실제로 튜너측에서 채널 절환 처리를 행한 취지의 리스폰스를 수취한 시간 정보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모니터측에서 상기 리스폰스를 수취한 시간을 기점으로 해서 일정 기간만 영상 뮤트를 행함으로써, 원리적으로는 와이어리스 센터에서의 지연 시간, 주로 MPEG2로의 인코드에 기인하는 지연 시간만큼 종래의 뮤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일 형태인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으로서,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을 예로 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을 행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인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에서의 와이어리스 센터 유닛(튜너측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에서의 TV 본체 유닛(모니터측 장치, TV측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에서 와이어리스 센터 유닛과 TV 본체 유닛 사이에서 교환되는 송수신 데이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TV 본체 유닛에 대하여 이용되는 리모 트 컨트롤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에서의 와이어리스 센터 유닛과 TV 본체 유닛 사이의 쌍방향 통신의 시퀀스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에서의 뮤트 기간을 종래의 뮤트 기간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분리형의 와이어리스 TV 수신기인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1)(와이어리스 AV 시스템, 영상 표시 시스템)은, 베이스 기기로서의 와이어리스 센터 유닛(이하, 와이어리스 센터라 함)(3)과, 포터블 단말기(무선 단말기)로서의 TV(텔레비전) 본체 유닛(이하, TV 본체라 함)(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리스 센터(3)(통신 장치, 센터 장치)와 TV 본체(5)(통신 장치, 표시 장치)는 쌍을 이루어 무선 전송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TV 본체(5)는 배터리 내장으로 와이어리스이다. 또한, 리모컨을 구비하여, 비디오 데크 등의 리모컨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리스 센터(3)는 BS나 U/VHF 등의 안테나나 DVD 플레이어나 비디오 데크 등의 AV 기기 등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리스 센터(3)로부터 TV 본체(5)로,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와이어리스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와이어리스 센터(3)와 TV 본체(5) 사이에서 커맨드가 쌍방향으로 와이어리스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리스 센터(3)는 디지털 VTR, DVD 플레이어 등의 기기로부터의 외부 입력을 위한 단자인, 비디오1 입력 단자(S 단자 부착)(7a)와, 비디오2 입력 단자(디코더 입력)(7b)와, 비디오3 입력 단자(모니터/BS 출력 겸용)(7c)와, AC 전원(11a) 또는 Car-DC 전원(11b)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공급 단자와 BS 단자(15a), UHF/VHF 단자(15b), 다이버시티 단자(15c)의 각 안테나 단자를 갖고 있다.
한편, TV 본체(5)는 디지털 VTR,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등의 기기로부터의 외부 입력을 위한 단자인 비디오4 입력 단자(TV 출력 겸용)(21)와, AC 전원(23a) 또는 Car-DC 전원(23b)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 입력 단자를 갖고 있다.
TV 본체(5)는 와이어리스 센터(3)와 분리 가능하고 배터리 내장에 의해 휴대 또는 운반 가능한 박형 표시 장치이고, 예를 들면 액정 텔레비전(이하, 액정 텔레비전이라 함), 무기 EL/유기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여러가지의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고, 표시 기구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TV 본체(5)는 주로 표시 출력 기능이나 음향 출력 기능 등을 갖고, 한편 와이어리스 센터(3)는 주로 튜너부나 TV 본체(5)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 등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TV 본체(5)는 박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텔레비전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와이어리스 센터(3)와 TV 본체(5) 사이는, IEEE802.11b 규격에 준거하는 SS(Spread Spectrum: 스펙트럼 확산) 무선 방식에 의해 데이터(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리스 센터(3)와 TV 본체(5)는 무선에 의 해 관련되게 된다. 최근, 주파수대로서, 5 GHz대가 개방되어, 2.4 GHz대 대신에 5 GHz대를 이용하는 양태라도 좋다.
와이어리스 센터(3)로부터 TV 본체(5)를 향하여, 무선에 의해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2 스트림 정보가 보내진다. 또한, 와이어리스 센터(3)와 TV 본체(5) 사이에서, 그 외의 커맨드 데이터 등이 쌍방향 통신에 의해 전송된다.
다음으로, 와이어리스 센터(튜너측 장치)(3)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리스 센터(3)는,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제어 수단)와, 제1 AV 셀렉터(43)(영상 절환 수단)와, 스펙트럼 확산(SS) 송신 유닛(45)(통신 수단, 송신 수단, 수신 수단)을 갖고 있다. 비디오1 입력 단자(외부 입력1)(7a), 비디오2 입력 단자(외부 입력2)(7b), 및 비디오3 입력 단자(외부 입력3)(7c)는 AV 셀렉터(43)와 관련되게 되어 있다.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는 절환 요구 취득부(140)(절환 요구 취득 수단), 및 절환 요구 응답부(141)(절환 관련 데이터 송신 제어 수단)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또한, 와이어리스 센터(3)는, BS 단자(15a)에 접속되는 BS(Broadcasting Satellite) 튜너(33)(영상 절환 수단)와, UHF/VHF 단자(15b)에 접속되는 U/VHF 튜너(31)(영상 절환 수단)를 갖고 있다. BS 튜너(33) 및 U/VHF 튜너(31)는 제1 기억부(EEPROM)(47)(기억 수단)와 관련되게 된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 로부터의 선국 커맨드(31a)에 기초하여 선국 처리를 행한다. 선국 처리가 행하여진 후의 영상· 음성(AV) 신호는 영상·음성 복조기(35)에 입력되어 복조된다. 음성 절환부(37)는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로부터의 음성 절환 커맨드(37a)에 기초하여, 영상·음성 복조기(35)로부터의 음성과, EPG(Electrical Program Guide: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절환하는 음성 절환 처리를 행한다.
영상 신호와 음성 절환 처리가 행하여진 후의 음성 신호는 제1 AV 셀렉터(43)에 입력된다. 제1 AV 셀렉터(43)는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로부터의 소스 선택 커맨드(43a)에 기초하여 소스 선택 처리를 행하여, SS 송수신 유닛(45)에 입력한다. 이 소스 선택 처리는 튜너(31·33)로부터의 영상·음성 정보,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비디오1 입력 단자(외부 입력1)(7a), 비디오2 입력 단자(외부 입력2)(7b), 비디오3 입력 단자(외부 입력3)(7c)로부터의 외부 입력 정보 중에서 소스 선택 커맨드(43a)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것이다.
SS 송수신 유닛(45)은 A/D 변환기(51)와, MPEG2 인코더(53)(인코드 수단)와, 제1 SS 무선 송수신 엔진(55)과, 이들을 제어하는 제1 SS-CPU(57)를 갖고 있다. 제1 AV 셀렉터(43)에서 소스 선택 처리가 행하여진 영상·음성 신호 등은 A/D 변환기(51)에 의해 A/D 변환되고, 예를 들면 MPEG2 인코더(53)에 의해 MPEG2 형식으로 인코드된다. 제1 SS 무선 송수신 엔진(55)은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로부터의 TV 커맨드(57a)에 기초하여, MPEG2 형식으로 인코드된 데이터를 TV 본체(5)에 SS 무선 방식에 의해 송신함과 함께, 여러가지의 커맨드(데이터)를 TV 본체 (5)와의 사이에서 SS 무선 방식에 의해 쌍방향으로 통신한다.
제1 SS-CPU(57)는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로부터의 TV 커맨드(57a)를 수신함과 함께, TV 본체(5)로부터 수신한 TV 커맨드(57a)를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에 송신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0M)(제1 기억부)(47)은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의 제어 프로그램, 통신 제어 데이터 등의 여러가지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전기적으로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EEPROM(47)에 기입하는 프로그램을 바꿈으로써 와이어리스 센터(3) 및 TV 본체(5)에서의 각종의 사양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최근에는 시스템 개발의 디버그마다 마스크 ROM을 변경하는 시간 손실을 회피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ROM을 불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면 EPROM, EEPROM으로 하여, 프로그램 개발·수정 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EEPROM의 프로그램 내용을 재기입하도록 하면 기능의 업그레이드나 기능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TV 본체(5)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TV 본체(5)는 제2 기억부(EEPROM)(73)(기억 수단)가 관련되게 되어 있는 TV 마이크로컴퓨터(65)(제어 수단)와, SS 송수신 유닛(61)(통신 수단, 수신 수단, 송신 수단)과, 제2 AV 셀렉터(67)와, OSD(온·스크린·디스플레이) 합성부(93)와, TV부(71)(표시 수단)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이하, 「리모 컨 장치」라 함)(도 5)의 입력을 수신하는 리모컨 수광부(75)를 갖고 있다. SS 송수신 유닛(61)은 제2 SS 무선 송수신 엔진(77)과, MPEG2 디코더(81)(디코드 수단)와, D/A 변환기(83)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2 SS-CPU(85)를 갖고 있다. 또한, TV 본체(5)는 배터리 구동에 대응하고 있어, 그것에 따라서 배터리(87b)와, 배터리(87b)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차저 마이크로컴퓨터(87a)를 갖고 있다.
TV 마이크로컴퓨터(65)는 영상 뮤트부(150)(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 및 절환 커맨드 작성부(151)(절환 커맨드 송신 제어 수단)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와이어리스 센터(3)로부터 보내어 MPEG2 형식으로 인코드되어 있는 스트리밍 정보는 TV 마이크로컴퓨터(65)로부터의 TV 커맨드(85a)를 수신한 SS-CPU(85)의 지시에 의해, SS 송수신 유닛(61) 내의 제2 SS 무선 송수신 엔진(77)에서 수신되고, MPEG2 디코더(81)에서 디코드되며, D/A 변환기(83)에서 D/A 변환된다. D/A 변환된 영상·음성 신호는 제2 AV 셀렉터(67)에서, 비디오4 입력 단자(외부 입력4)(21)로부터의 외부 입력 신호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는지가 TV 마이크로컴퓨터(65)로부터의 소스 선택 커맨드(67a)에 기초하여 행하여지고, OSD 합성부(93)에서, 예를 들면, TV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의 OSD 출력 커맨드(93a)에 기초하여 임의의 OSD 처리가 행하여진 후에, TV부(71)에 보내져, TV부(71)의 화면 상에 영상·음성 신호에 기초하는 표시 출력·음성 출력이 행하여진다.
또한, SS 송수신 유닛(61)에서, SS 무선 송수신 엔진(77)은 여러가지의 커맨드(데이터)를 TV 본체(5)와의 사이에서 SS 무선 방식에 의해 쌍방향으로 통신한다. 또한, SS-CPU(S5)는 TV 마이크로컴퓨터(65)로부터의 TV 커맨드(85a)를 수신함과 함 께, 와이어리스 센터(3)로부터 수신한 TV 커맨드(85a)를 TV 마이크로컴퓨터(65)에 송신한다.
EEPROM(제2 기억부)(73)은 TV 마이크로컴퓨터(65)의 제어 프로그램, 통신 제어 데이터 등의 여러가지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전기적으로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EEPROM(73)에 기입하는 프로그램을 바꿈으로써 TV 본체(5)에서의 각종의 사양을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인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1)에서, 와이어리스 센터(3)(튜너측)과 TV 본체(5)(모니터측) 사이에서 교환되는 송수신 데이터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수신 데이터(131)는 제1 SS 무선 송수신 엔진(55)과 제2 SS 무선 송수신 엔진(77) 사이에서, 아이소사이클(isocycle)(132)에 의해 규정된 일정 주기마다 송수신 처리를 행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트(R)인 와이어리스 센터(3)가 리프(L)인 TV 본체(5)에 R 패킷(133)을 송신하고, 갭(134) 후에, 리프(L)인 TV 본체(5)가 루트(R)인 와이어리스 센터(3)에 L 패킷(135)을 송신하고, 갭(136) 후에, 1개의 아이소사이클(132)이 종료한다.
R 패킷(133)은 롱 프리앰블(1Mbps)을 사용하는 부분과, 그 외의 데이터 부분(11MHz)을 포함하고 있다. 롱 프리앰블(1Mbps)을 사용하는 부분은 싱크로너스 데이터(Sync)(141)와 PHY 헤더 데이터(PHY Header)(143)를 포함하고 있고, 192㎲의 기간이다.
한편, 그 외의 데이터 부분은, MAC 헤더 데이터(MAC Header)(145)와, 컨트롤 데이터(CB)(147)와, 비동기 데이터(Async)(151)와, 동기 데이터(아이소크로너스 데 이터)(ISO Data)(153)를 갖고 있고, 2828㎲의 기간이다. 비동기 데이터(151)는 와이어리스 센터(3)로부터 TV 본체(5)에 보내지는 스테이터스·커맨드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동기 데이터(153)는 MPEG2의 AV 스트림 데이터이다.
L 패킷(135)은 R 패킷(133)과 같이, 롱 프리앰블(1Mbps)을 사용하는 부분과, 그 외의 데이터 부분(11MHz)을 포함하고 있다. 롱 프리앰블(1Mbps)을 사용하는 부분은 R 패킷(133)과 같이, 싱크로너스 데이터(Sync)(161)와 PHY 헤더 데이터(PHY Header)(163)를 포함하고 있고, 192㎲의 기간이다.
한편, 그 외의 데이터 부분은 MAC 헤더 데이터(MAC Header)(165)와, 리트라이 태그(Retry Tag)(167)와, 비동기 데이터(Async)(171)를 갖고 있고, 157.1㎲의 기간이다. 비동기 데이터(171)는 TV 본체(5)로부터 와이어리스 센터(3)에 보내지는 스테이터스·커맨드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R 패킷(133)과 L 패킷(135) 사이에는, 갭(GAP)(134)이 설치되고, 갭(134)의 기간은 120㎲이다. 마찬가지로, L 패킷(135)과 R 패킷(133) 사이에는 갭(GAP)(136)이 설치되고, 갭(136)의 기간은 120㎲이다.
이상 설명한 송수신 데이터(131)가, 전체로서 3.6ms 사이클로 보내지고 있다. 또한, 이 3.6ms 사이클이라는 시간은 상기 지연에 관한 수초간이라는 기간에 비하면 매우 짧다.
본 실시예의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1)에서는, 채널 선국이나 입력 절환의 지시는 TV 본체(5)에 대하여 각종의 지시를 행하는 리모컨 장치(200)로 행하여진다. 도 5는 리모컨 장치(200)의 구성예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 컨 장치(200)는 채널 번호를 입력하는 채널 번호 입력부(201)와, 선택 결정 버튼(203)과, 업다운 선국 버튼(205)과, 전원 스위치(207)와, (외부) 입력 절환 버튼(208)을 갖고 있다. 채널 번호 입력부(201)는 다이렉트 선국 버튼을 갖고 있고, 이에 따라 채널 번호에 의해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업다운 선국 버튼(205)은 채널 선국을 ±로 선국한다. 선택 결정 버튼(203)은 선택 버튼(203a)과 결정 버튼(203b)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하는 시퀀스도를 참조하여, 와이어리스 센터(3)의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 및 SS 송수신 유닛(45)과, TV 본체(5)의 SS 송수신 유닛(61) 및 TV 마이크로컴퓨터(65)에서 행하여지는 절환 처리를, 채널 절환 처리를 예로 하여 시계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리모컨 장치(200)로부터의 채널 절환 처리의 요구는 TV 마이크로컴퓨터(65)의 절환 커맨드 작성부(151)가 TV 본체(5)의 SS 송수신 유닛(61)과 와이어리스 센터(3)의 SS 송수신 유닛(45)을 통하여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가 절환 요구 취득부(140)에 요구 커맨드를 송신함으로써 행하여진다(101·103·105).
이에 대하여,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는 와이어리스 센터(3)의 SS 송수신 유닛(45)과 TV 본체(5)의 SS 송수신 유닛(61)을 통하여 TV 마이크로컴퓨터(65)에, 채널 절환 처리의 요구 커맨드를 수취한 취지의 응답(Ack)을 되돌려 보낸다(107·111·115). 또한, SS 송수신 유닛(61)으로부터 TV 마이크로컴퓨터(65)에 대하여 송신 처리 응답(104)도 회신된다. 그 동안, TV 본체(5)의 TV 마이크로 컴퓨터(65)는 타임아웃 감시(117a)를 행하고 있다.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는 채널 절환 처리의 요구 커맨드를 수취하면, 수취한 요구 커맨드에 대응하는 요구 처리(118)를 실행한다. 요구 처리(118)의 실행이 완료하면,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의 절환 완료 응답부(141)는 요구 처리가 실행완료된 취지의 처리 완료 정보를, TV 마이크로컴퓨터(65)에 대하여 처리 응답이라는 형식으로 전달한다(121·123·125).
본 실시예에서는, 이 처리 완료 정보의 처리 응답을, TV 본체(5)에서 수취하면, TV 마이크로컴퓨터(65)의 영상 뮤트부(150)는 이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미리 EEPROM(73) 등에 기억되어 있는 기간만큼, TV부(71)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고, 채널 절환 시의 지연에 기인하는 표시의 흐트러짐을 은폐하는 뮤트 처리를 행한다.
이 기간은, 예를 들면, 와이어리스 센터(3)로부터 보내지고, 또한 MPEG2 형식으로 인코드된 영상 신호의 TV 본체(5)에서의 디코드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면, 디코드 시간보다도 약간 긴 시간으로 설정하면 된다. 또한, 이 기간은 디코드 시간 외에 TV 본체(5)에서의 그 외의 지연 시간을 더하여 설정되지만, 너무 길게 하면 뮤트 시간의 단축 효과가 저감되기 때문에, 그 외의 지연 시간을 적정한 값, 예를 들면 예측되는 지연 시간에 어느 정도의 마진을 가미하여 설정하면 된다. 또한, 실제로는 영상이 TV 본체(5)의 TV부(71)에 표시될 때까지는, 처리 응답 전달(125)을 수취하고 있기 때문에, 영상 신호가 디코드 처리될 때까지의 지연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만큼 뮤트 처리의 기점을 늦추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1)에서의 영상 뮤트의 타이밍을 도 7을 참조하여 종래의 영상 뮤트의 타이밍과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종래의 영상 뮤트 신호는 리모컨 장치(200) 등으로 TV 본체(5)측에서 선국 조작이 행하여지면, 그 선국 조작의 타이밍에서 생성함으로써, 이 타이밍에서 영상 뮤트를 개시한다(도 7의 (b), (d)).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1)에서는, TV 본체(5)로부터 와이어리스 센터(3)에 보내진 선국 조작 신호에 대하여, 와이어리스 센터(3)가 실제로 선국 동작을 행하여, 그 결과를 응답 신호로서 TV 본체(5)에 송신하여, TV 본체(5)가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타이밍에서 영상 뮤트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이 타이밍에서 영상 뮤트를 개시한다(도 7의 (a), (c), (e)). 따라서, 도 7을 참조함으로써, TV 본체(5)가 선국 조작을 행하고나서, 와이어리스 센터(3)가 실제로 선국 동작을 행하기까지의 기간은, 영상 뮤트가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영상 뮤트의 개시를 느리게 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1)에서는, TV 본체(5)측에서 채널의 선국 절환이나 외부 입력 절환을 위한 지시를 행한 후에, 실제로 인코드 처리가 행하여진 취지의 와이어리스 센터(3)로부터의 응답을 수취한 시점을, 영상 뮤트 처리를 개시하는 기점으로서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TV 본체(5)측에서 영상 뮤트 처리를 행하는 시점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뮤트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영상 뮤트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여분의 마진를 가미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영상 뮤트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을 행한다. 또한, 도 1∼도 6도 적절하게 참조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1)에서는, 와이어리스 센터(3)가, 방송 정보의 인코드 처리 시에 제1 타임 스탬프 정보를 취득하는 타임 스탬프 정보 취득부를 갖고 있고, 이에 따라 취득된 제1 타임 스탬프 정보 또는 예측치를 TV 본체(5)측에 보내는 기능을 갖고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코더측에서의 제2 타임 스탬프 정보를 TV 마이크로컴퓨터(65)에 출력하는 점과, 제1 타임 스탬프 정보와 제2 타임 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뮤트 타이밍을 제어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MPEG2 인코더는 MPEG2TS(Transport Stream)의 컨트롤 데이터에 기준 시각을 설정하여 디코더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송부한다. 또한, MPEG2 인코더는 인코드 시에 MPEG2TS 패킷에 기준 시간부터 작성한 타임 스탬프를 설정한다. 한편, MPEG2 디코더는 수신한 MPEG2TS의 타임 스탬프와 상술한 기준 시각을 비교하여 일치한 때에 디코드를 개시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1)의 간략화된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1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영상 뮤트 처리에 관련하는 정보 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패킷 구성예에서, 와이어리스 센터(3)(R)로부터 텔레비전 본체(5)(L)에 보내지는 R 패킷(133)에는, MPEG2 형식으로 인코드된 동기 데이터(정보 스트림)(153)가 포함된다. 이 MPEG2 형식으로 인코드된 동기 데이터(정보 스트림)(153) 중에는, 정보를 시간 관리하기 위한 제1 타임 스탬프 정보가 내장되어 있다.
제1 타임 스탬프 정보란, 구체적으로는 PCR(Program Clock Reference)의 것이다. PCR이란, MPEG2 디코더(81)에서 시각 기준으로 되는 STC(System Time Clock)의 값을 세트·교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MPEG2 디코더(81)는 STC의 값을 기준으로 동작을 행하지만, 이 STC를 동기 데이터(153)에 내장되어 있는 PCR로 세트·교정함으로써, MPEG2 인코더(52)와의 동기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MPEG2 인코더(53)에서 인코드된 MPEG2 형식의 동기 데이터인 텔레비전 정보 데이터 중에서 내장되어 있는 제1 타임 스탬프 정보를, 제1 SS-CPU(57)를 통하여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의 타임 스탬프 취득부(142)(타임 스탬프 송신 제어 수단)가 취득한다(i, ii).
다음으로,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41)는 취득한 제1 타임 스탬프 정보를, 제1 SS-CPU(57)를 통하여 제1 SS 무선 송수신 엔진(55)으로부터 TV 본체(5)에 보낸다(iii, iv, v). TV 본체(5)에 보내진 제1 타임 스탬프 정보는 제2 SS 무선 송수신 엔진(77)으로부터 제2 SS-CPU(85)를 통하여 TV 마이크로컴퓨터(65)에 보내져서(vi, vii), TV 마이크로컴퓨터(65)의 기억부(65a) 내에 기억된다.
한편, MPEG2 형식으로 인코드된 영상 스트림은 제1 SS 무선 송수신 엔진(55)으로부터 텔레비전 본체(5)의 제2 SS 무선 송수신 엔진(77)을 지나서 MPEG2 디코더(81)에 보내진다(I, II, III). MPEG2 디코더(81)는 디코드된 동기 데이터 스트림을 MPEG2 디코더(81)의 외부 출력 단자(88)에 보낸다. 한편, MPEG2 디코더(81)는 입력된 MPEG2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타임 스탬프 정보를 제2 SS-CPU(85)를 지나서 TV 마이크로컴퓨터(65)에 보낸다(a, b).
제2 타임 스탬프 정보란, 구체적으로는 DTS(Decoding Time Stamp)의 것이다. DTS란, MPEG2 디코더(81)에서 영상 신호의 디코드의 시각을 관리하는 정보이다. MPEG2 디코더(81), 상기 DTS와 상기 STC가 일치하였을 때에 영상 신호의 디코드를 개시한다. 즉, DTS에는 소정의 시각이 설정되어 있고, STC에서 새겨지는 시각이 그 DTS에 설정된 시각에 도달하였을 때에, 영상 신호의 디코드를 개시한다.
TV 마이크로컴퓨터(65)는 기억부(65a)에 기억되어 있는 제1 타임 스탬프 정보와, 제2 타임 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뮤트의 타이밍을 결정한다. TV 마이크로컴퓨터(65)는 이 결정된 타이밍 정보를 상기 외부 출력 단자(88)에 보냄으로써(viii), 영상 뮤트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에서의 뮤트 기간을, 종래의 뮤트 기간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또한, 도 9의 (a), (b), (c)에 도시되는 신호는 각각 도 7의 (a), (b), (c)에 도시되는 신호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종래의 영상 뮤트 신호는 MPEG2의 디코드에 요하는 시간을 미리 추정하고, 그 추정한 시간에 기초하여 적당한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한 시 간의 경과 후에 영상 뮤트를 종료한다(도 9의 (e)).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1)에서는, 상기 제1 및 제 2타임 스탬프 정보로부터, MPEG2 디코더(81)가 영상 데이터의 디코드를 개시하는 타이밍을 취득하고, 그 타이밍에서 영상 뮤트를 종료한다(도 9의 (d), (f)). 따라서, 도 9를 참조하면, 영상 뮤트는 와이어리스 센터(3)가 실제로 선국 동작을 행하고나서 개시하여, 영상 데이터의 디코드의 개시에 타이밍을 맞춰서 종료하기 때문에, 영상 뮤트의 기간으로부터 쓸모없는 기간을 생략하여 최적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1)은 MPEG2의 실제의 인코드 처리 또는 디코드 처리에 이용되는 타임 스탬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타임 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뮤트 타이밍을 제어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뮤트 타이밍을 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의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각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구성 및 기능에 여러가지 변경·개량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다른 AV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와이어리스에 의해 관련되게 된 AV 기기에 대하여 적용한 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유선 등에 의해 네트 워크화된 AV 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절환 처리에 관하여 영상의 뮤트 처리를 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른 영상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선국 또는 입력 절환을 리모컨 장치(200)로부터 행하고 있지만, 와이어리스 센터(3)가 자동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절환 요구 커맨드와 그 응답의 교환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와이어리스 AV 기기로서 휴대 TV를 이용하고 있지만, TV 수신기에 한하지 않고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또는 그 융합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AV 기기로서, VTR(Video Tape Recorder) 외에, HDD나 DVD에 기록하는 기록 재생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퍼스널 컴퓨터에 대표되는 정보 기기 기능에 융합된 장치이어도 되고, 모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송수신 데이터의 내용은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TV 수신기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술한 바와 같이, 튜너와 퍼스널 컴퓨터나, 튜너를 사용하는 다른 AV 기기에도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 및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처리부 등의 종류, 설정 정보의 종류·형식 등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HAVi(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에 준거하는 기기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튜너로서, BS 튜너와 UHF/VHF 튜너의 2개의 방송을 예로 들고 있지만, CS(Communications Satellite) 튜너, CATV(Cable Television) 튜너 등 방송의 종류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텔레비전 수신·재생 시스템이라는 명칭을 이용하였지만, 이것은 설명의 편의상이고, 무선 통신 기기, AV 기기, 기기 컨트롤 시스템 등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은, 이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을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도 실현된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기록 매체로서, 메인 메모리 그 자체가 프로그램 미디어이어도 되고, 또한 외부 기억 장치로서 프로그램 판독 장치가 설치되고, 거기에 기록 매체를 삽입함으로써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미디어이어도 된다.
어떠한 경우에도,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CPU가 액세스하여 실행시키는 구성이어도 되고, 또는 어떠한 경우에도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판독된 프로그램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프로그램 기억 에리어에 다운로드되어, 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방식이어도 된다. 이 다운로드용 프로그램은 미리 본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 미디어는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기록 매체이고, 자기 테이프나 카세트 테이프 등의 테이프계, 플로피(등록상표) 디스크나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나 CD-ROM/MO/MD/DVD 등의 광 디스크의 디스크계, IC 카드/광 카드 등의 카드계, 또는 마스크 ROM, EPROM, EEPROM, 플래시 ROM 등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시킨 고정적으로 프로그램을 담지하는 매체이어도 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외부의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가능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통신 접속 수단을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도록 유동적으로 프로그램을 담지하는 매체이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경우에는, 그 다운로드용 프로그램은 미리 본체 장치에 저장해 두거나, 또는 별도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으로는 프로그램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은, 채널 선택을 행하는 튜너부와, 그 튜너부에 의해 선국된 방송 정보와, 상기 튜너부에 대한 선국 처리를 포함하는 절환 관련 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커맨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송수신부를 갖는 와이어리스 센터와, 표시부와, 상기 절환 관련 처리를 촉진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방송 정보를 수신함과 함께 상기 제1 송수신부와의 사이에서 커맨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2 송수신부와, 상기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송신부와 상기 제2 송신부 사이에서 전송 가능한 커맨드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커맨드 데이터에 기초하는 상기 절환 관련 처리를 행하는 타이밍에 관한 타이밍 정보를 상기 와이어리스 센터에서 취득하여, 취득한 해당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절환 관련 처리에 수반하는 지연에 기인하는 표시의 흐트러짐을 은폐하기 위한 영상 처리의 절환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AV 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은,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영상 처리는 영상을 뮤트 상태로 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은,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V 출력 장치로부터 보내지는 상기 커맨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절환 관련 처리를 완료한 취지의 응답을 상기 AV 출력 장치가 상기 와이어리스 센터에서 수취한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제1 기간만 상기 표시부의 영상 뮤트 절환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은,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제1 기간은 상기 와이어리스 센터에서 보내져서 인코드된 상기 방송 정보를 상기 AV 출력 장치에서 디코드하는 디코드 기간과, 디코드 처리 이외의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정해진 시간인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은,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점으로부터 제1 시간 후에 상기 표시부의 영상 뮤트 절환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은,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디코드 처리 이외의 상기 AV 출력 장치측에서의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AV 출력 장치는, 채널 선택을 행하는 튜너부와, 그 튜너부에 의해 선국된 방송 정보와, 상기 튜너부에 대한 선국 처리를 포함하는 절환 관련 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커맨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송수신부를 갖는 와이어리스 센터와 관련되게 되고, 표시부와, 상기 절환 관련 처리를 촉진하기 위한 입력 조작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방송 정보를 수신함과 함께 상기 제1 송수신부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2 송수신부와, 상기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송신부와 상기 제2 송신부 사이에서 전송 가능한 커맨드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절환 관련 처리의 타이밍에 관한 타이밍 정보를 상기 와이어리스 센터에서 취득하여, 취득한 해당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뮤트 절환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리스 센터는, 표시부와, 선국 처리를 포함하는 절환 관련 처리의 실행을 요구하기 위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입력부를 갖는 AV 출력 장치와 관련되게 되고, 상기 입력 조작에 따라서 채널 선택을 행하는 튜너부와, 그 튜너부에 의해 선국된 방송 정보와, 상기 절환 관련 처리를 행하는 타이밍에 관한 타이밍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송수신부를 갖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은, 채널 선택을 행하는 튜너부와, 그 튜너부에 의해 선국된 방송 정보와, 그 방송 정보와 관련하여 상기 튜너부에 대한 선국 처리를 포함하는 절환 관련 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커맨드 데이터를 수취함과 함께, 상기 방송 정보의 인코드 처리 시에 취득되는 제1 타임 스탬프 정보를 보내는 제1 송수신부를 갖는 와이어리스 센터와, 표시부와, 상기 절환 관련 처리를 촉진하기 위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입력부와, 상기 방송 정보를 수신함과 함께 상기 제1 송수신부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2 송수신부와, 상기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송신부와 상기 제2 송신부 사이에서 전송 가능한 커맨드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방송 정보의 인코드 처리 시에 제1 타임 스탬프 정보를 상기 와이어리스 센터로부터 취득하는 타임 스탬프 정보 취득부와, 취득한 상기 제1 타임 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뮤트 절환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AV 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은, 상기의 구성에서, 또한 상기 와이어리스 센터에서 상기 방송 정보를 인코드할 때에 상기 제1 타임 스탬프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AV 출력 장치측에 보내는 기능을 갖고 있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은,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타임 스탬프 정보와 상기 AV 출력 장치에서의 상기 방송 정보의 디코드 시에 취득되는 제2 타임 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뮤트 절환 타이밍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리스 센터는, 표시부와, 선국 처리를 포함하는 절환 관련 처리를 촉진하기 위한 입력 조작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갖는 AV 출력 장치와 관련되게 되고, 상기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채널 선택을 행하는 튜너부와, 그 튜너부에 의해 선국된 방송 정보와, 상기 튜너부에 대한 선국 처리를 포함하는 절환 관련 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커맨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송수신부와, 상기 방송 정보를 인코드할 때의 상기 제1 타임 스탬프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AV 출력 장치에 보내는 기능을 갖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AV 출력 장치는, 채널 선택을 행하는 튜너부와, 그 튜너부 에 의해 선국된 방송 정보와, 상기 튜너부에 대한 선국 처리를 포함하는 절환 관련 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커맨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송수신부를 갖는 와이어리스 센터와 관련되게 되고, 표시부와, 상기 튜너부에 대하여 선국 처리를 촉진하기 위한 입력 조작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방송 정보를 수신함과 함께 상기 제1 송수신부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2 송수신부와, 상기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송신부와 상기 제2 송신부 사이에서 전송 가능한 커맨드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방송 정보의 인코드 처리 시에 제1 타임 스탬프 정보를 와이어리스 센터로부터 취득하여, 취득한 해당 제1 타임 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뮤트 절환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은,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절환 관련 처리는 입력 절환 처리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뮤트 기간 결정 방법은, 방송 정보에 관한 채널 선택을 행하는 튜너부를 갖는 와이어리스 센터와 무선에 의해 관련되게 되고, 표시부와, 상기 튜너부에 대한 선국 처리를 포함하는 절환 관련 처리를 촉진하기 위한 입력 조작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갖는 AV 출력 장치에서의 뮤트 기간 결정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부에서의 입력 조작을 행함으로써, 절환 관련 처리를 촉진하는 절환 관련 처리 커맨드를 상기 와이어리스 센터측에 보내는 제1 단계와, 상기 절환 관련 처리의 타이밍에 관한 타이밍 정보를 상기 와이어리스 센터측으로부터 취득하여, 취득한 해당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뮤트 절환 타이밍을 정하는 제2 단계를 갖는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뮤트 기간 결정 방법은, 상기의 방법에서, 상기 영상 뮤트 절환 타이밍은, 상기 와이어리스 센터에서 상기 절환 관련 처리를 실행한 취지의 응답을 상기 AV 출력 장치가 수취한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결정되는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뮤트 기간 결정 방법은, 상기의 방법에서, 상기 영상 뮤트 절환 타이밍은, 상기 기점에서 상기 방송 정보를 인코드하는 시간 내의 일부 시간만 지연시킨 시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뮤트 기간 결정 방법은, 방송 정보에 관한 채널 선택을 행하는 튜너부를 갖는 와이어리스 센터와 무선에 의해 관련되게 되고, 표시부와, 상기 튜너부에 대한 선국 처리를 포함하는 절환 관련 처리를 촉진하기 위한 입력 조작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갖는 AV 출력 장치에서의 뮤트 기간 결정 방법으로서, 상기 방송 정보의 인코드 처리 시에 얻어지는 제1 타임 스탬프 정보를 상기 와이어리스 센터로부터 수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방송 정보의 인코드 처리 시에 얻어지는 제2 타임 스탬프 정보와, 상기 제1 타임 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뮤트 절환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2 단계를 갖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은, 채널 선택을 행하는 튜너부와, 그 튜너부에 의해 선국된 방송 정보와, 상기 튜너부에 대한 선국 처리를 포함하는 절환 관련 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커맨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송수신부를 갖는 튜너측 장치와, 그 튜너측 장치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표시부와, 상기 절환 관련 처리를 재촉하기위한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와, 상기 방송 정보를 수신 함과 함께 상기 제1 송수신부와의 사이에서 커맨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2 송수신부와, 상기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송신부와 상기 제2 송신부 사이에서 전송 가능한 커맨드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커맨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절환 관련 처리를 행하는 타이밍에 관한 타이밍 정보를 상기 튜너측 장치로부터 취득하여, 취득한 해당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절환 관련 처리에 따른 지연에 기인하는 화상의 흐트러짐을 은폐하기 위한 영상 뮤트 절환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AV 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시스템에 따르면, 튜너측에서의 지연 특히 인코드 처리에 기인하는 지연을 가미하여 영상 처리를 행할 수 있고, 상기 지연만큼 영상 처리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점으로부터 제1 시간 후에 상기 표시부의 영상 뮤트 절환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뮤트 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는, AV 출력 장치(텔레비전 본체)측에서 입력이나 채널 선국 등의 절환 처리를 행한 때에, MPEG2 인코더에 의한 처리 등에 기인하는 지연에 기초하는 화상의 흐트러짐을 은폐하기 위한 뮤트 처리를 행하는 타이밍을, 보다 정밀하게 텔레비전 본체측에서 알 수 있기 때문에, 화상 뮤트 시간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확하게 하는 것으로, 그러한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리스 시스템은,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분리형의 와이어리스 TV 수신기와 같은 가정 내 AV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합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전화기/PHS(Personal Handy-Phone System)(등록상표)나 휴대 정보 단말기(PDA) 등의 무선 통신 기기에 넓게 적용 가능하다.

Claims (26)

  1. 센터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센터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자(自)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센터 장치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영상 절환 동작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절환 관련 데이터를 상기 수신 수단을 통하여 취득한 경우에, 상기 영상 절환 동작에 의해 상기 영상의 표시가 흐트러지는 것을 은폐하는 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관련 데이터는 상기 영상 절환 동작을 완료한 취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이 은폐하는 기간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나서 영상의 표시를 행하기까지의 지연 기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인코드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이 은폐하는 기간은, 상기 디코드 수단이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데 요하는 기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이 은폐를 개시하는 시점은, 상기 절환 관련 데이터를 취득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나서 영상의 표시를 행하기까지의 지연 기간이 경과한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인코드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이 은폐를 개시하는 시점은, 상기 절환 관련 데이터를 취득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디코드 수단이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데 요하는 기간을 상기 지연 기간으로부터 제외한 기간이 경과한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센터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센터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인코드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과,
    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센터 장치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영상 절환 동작에 의해 상기 영상의 표시가 흐트러지는 것을 은폐하는 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이 은폐를 종료하는 시점은, 상기 센터 장치가 절환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인코드할 때에 생성하는 제1 타임 스탬프를, 상기 수신 수단을 통하여 취득한 시점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이 은폐를 종료하는 시점은, 제1 타임 스탬프를 취득한 시점과, 상기 디코드 수단이 영상 데이터의 디코드를 개시하는 시각을 나타내는 제2 타임 스탬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흐트러짐 은폐 수단은, 상기 영상의 표시를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영상의 표시가 흐트러지는 것을 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절환을 요구하는 절환 요구 데이터를 상기 센터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수단을 제어하는 절환 커맨드 송신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표시 장치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표시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센터 장치로서,
    상기 표시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송신할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영상 절환 수단과,
    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영상 절환 수단이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동작에 관련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절환 관련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절환 관련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수단을 제어하는 절환 관련 데이터 송신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관련 데이터는 상기 영상 절환 수단이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동작을 완료한 취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인코드를 행하는 인코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인코드 수단이 인코드를 행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 장치.
  14. 표시 장치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표시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센터 장치로서,
    상기 표시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송신할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영상 절환 수단과,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인코드하는 인코드 수단과,
    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영상 절환 수단이 절환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인코드 수단이 인코드할 때에 생성하는 제1 타임 스탬프를 취득하고, 취득한 제1 타임 스탬프를 상기 표시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수단을 제어하는 타임 스탬프 송신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 장치.
  15. 제1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영상 데이터의 절환을 요구하는 절환 요구 데이터를 상기 수신 수단을 통하여 취득하는 절환 요구 취득 수단과,
    상기 절환 요구 취득 수단이 취득한 절환 요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절환 수단이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도록 제어하는 영상 절환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 장치.
  16. 제1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절환 수단은 방송 중의 영상 데이터를 선국하는 튜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 장치.
  17. 제1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절환 수단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에서 선택하는 셀렉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 장치.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센터 장치가,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표시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장치에 상기 표시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 상 표시 시스템.
  20. 센터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센터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센터 장치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영상 절환 동작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절환 관련 데이터를 상기 수신 수단을 통하여 취득한 경우에, 상기 영상 절환 동작에 의해 상기 영상의 표시가 흐트러지는 것을 은폐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21. 센터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센터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인코드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센터 장치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영상 절환 동작에 의해 상기 영상의 표시가 흐트러지는 것을 은폐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은폐를 종료하는 시점은, 상기 센터 장치가 절환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인코드할 때에 생성하는 제1 타임 스탬프를 상기 수신 수단을 통하여 취득한 시점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22. 표시 장치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표시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센터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센터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송신할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영상 절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영상 절환 수단이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동작에 관련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절환 관련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절환 관련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 장치의 제어 방법.
  23. 표시 장치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표시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센터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센터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송신할 영상 데이터를 절환하는 영상 절환 수단과,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인코드하는 인코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영상 절환 수단이 절환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인코드 수단이 인코드할 때에 생성하는 제1 타임 스탬프를 취득하고, 취득한 제1 타임 스탬프를 상기 표시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 장치의 제어 방법.
  2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표시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표시 장치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상기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표시 장치 제어 프로그램.
  25.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센터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센터 장치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상기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센터 장치 제어 프로그램.
  26. 제24항의 표시 장치 제어 프로그램 및/또는 제25항의 센터 장치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57019719A 2003-04-17 2004-04-15 표시 장치, 센터 장치, 영상 표시 시스템,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센터 장치의 제어 방법, 표시 장치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센터 장치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739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13363 2003-04-17
JP2003113363 2003-04-17
JP2004118357A JP3720347B2 (ja) 2003-04-17 2004-04-13 表示装置、センタ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の制御方法、センタ装置の制御方法、表示装置制御プログラム、センタ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JP-P-2004-00118357 2004-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214A true KR20060018214A (ko) 2006-02-28
KR100739260B1 KR100739260B1 (ko) 2007-07-12

Family

ID=3347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719A KR100739260B1 (ko) 2003-04-17 2004-04-15 표시 장치, 센터 장치, 영상 표시 시스템,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센터 장치의 제어 방법, 표시 장치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센터 장치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03098B2 (ko)
EP (1) EP1622369B1 (ko)
JP (1) JP3720347B2 (ko)
KR (1) KR100739260B1 (ko)
ES (1) ES2400711T3 (ko)
WO (1) WO2004105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8253B2 (ja) * 2008-02-08 2010-06-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画像供給装置、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制御方法
JP5230401B2 (ja) * 2008-12-19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
JP5089796B1 (ja) * 2011-07-15 2012-12-05 シャープ株式会社 テレビ受像装置
KR102546026B1 (ko) 2018-05-21 2023-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컨텐츠 인식 정보 획득
KR102599951B1 (ko) * 2018-06-25 2023-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00080387A (ko) 2018-12-18 2020-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539B2 (ja) * 1994-12-27 2001-02-05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番組切換装置および方法
KR100409187B1 (ko) * 1994-08-16 2004-03-1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텔레비젼신호수신및프로그램절환장치와방법과원격조정기
US5781227A (en) * 1996-10-25 1998-07-14 Diva 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sking the effects of latency in an interactiv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6384868B1 (en) * 1997-07-09 2002-05-07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screen display apparatus and video switching processing apparatus
US6396549B1 (en) * 1997-11-19 2002-05-28 Harold J. Weber Remote controller for a multi-device television receiving system providing channel number auto-completion, presettable audio hush level and base channel auto-reaffirm
CA2258823A1 (en) * 1998-01-13 1999-07-13 Mitsubishi Consumer Electronics America, Inc. Fast tuner system
JP3785010B2 (ja) 1999-12-01 2006-06-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受信装置、表示装置及び映像音声受信システム
JP2001285736A (ja) * 2000-03-31 2001-10-12 Canon Inc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システム、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1292381A (ja) * 2000-04-04 2001-10-19 Canon Inc 受信装置、受信システム、受信方法、及び記憶媒体
US7031306B2 (en) * 2000-04-07 2006-04-18 Artel Video Systems, Inc. Transmitting MPEG data packets received from a non-constant delay network
JP4552280B2 (ja) 2000-06-14 2010-09-29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受信システム、選局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2111615A (ja) * 2000-10-03 2002-04-12 Sharp Corp 放送信号受信システム
JP3631123B2 (ja) 2000-10-03 2005-03-23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2165148A (ja) * 2000-11-29 2002-06-07 Sony Corp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491626B2 (ja) * 2001-05-29 2004-01-26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送受信装置
KR100454958B1 (ko) * 2002-04-18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의 채널 변경 방법
JP2004343725A (ja) * 2003-04-16 2004-12-02 Sharp Corp 無線通信装置、ワイヤレスavシステム並びに動作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22369B1 (en) 2012-12-12
JP3720347B2 (ja) 2005-11-24
US20060267894A1 (en) 2006-11-30
EP1622369A1 (en) 2006-02-01
WO2004105386A1 (ja) 2004-12-02
US7903098B2 (en) 2011-03-08
KR100739260B1 (ko) 2007-07-12
ES2400711T3 (es) 2013-04-11
JP2004336733A (ja) 2004-11-25
EP1622369A4 (en)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099B1 (ko) 단말 장치, 센터 장치, 통신 시스템,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센터 장치의 제어 방법, 단말 장치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센터 장치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760773B1 (ko) 와이어리스 av 시스템, av 출력 장치, 와이어리스 센터, gui 제공 방법
KR20050119695A (ko) 와이어리스 제어 시스템, 제어 기기, 피제어 기기, 기기의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739260B1 (ko) 표시 장치, 센터 장치, 영상 표시 시스템,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센터 장치의 제어 방법, 표시 장치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센터 장치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725892B1 (ko) 무선 단말, 베이스 기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무선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베이스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2007008178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57164B1 (ko) 표시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표시 장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무선 통신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20090007183A1 (en)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200803039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Channels in a System Operating in a Recording Mode
WO2004093440A1 (ja) ワイヤレスavシステム、avシステム、ワイヤレスセンタ、av出力装置、選局方法、選局データ生成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03003734A1 (fr) Appareil de reception/enregistrement de radiodiffusion numerique
JP2004336737A (ja) 表示装置、センタ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の制御方法、センタ装置の制御方法、表示装置制御プログラム、センタ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320770A (ja) 送信機、受信機、ワイヤレスシステム、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4320769A (ja) 無線端末、ベース機器、ワイヤレスシステム、無線端末の制御方法、無線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4336731A (ja) 端末装置、センタ装置、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の制御方法、センタ装置の制御方法、端末装置制御プログラム、センタ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256694A (ja) 外部機器制御機能付き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642374B2 (ja) ワイヤレスav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データ通信装置
JP2004320762A (ja) 無線通信装置、ワイヤレスavシステム並びに動作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343727A (ja) ワイヤレスavシステム、av出力装置、ワイヤレスセンタ、およびgui提供方法
JP2004343535A (ja) 放送受信装置
JP2004320763A (ja) 無線通信装置、ワイヤレスavシステム、無線伝送方法並びに動作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064635A (ja) 録画装置制御機能付き放送受信装置
JP2002281411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16171471A (ja) 番組配信システム
JP2004343723A (ja) ワイヤレスav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