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892B1 - 무선 단말, 베이스 기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무선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베이스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 베이스 기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무선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베이스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892B1
KR100725892B1 KR1020057019756A KR20057019756A KR100725892B1 KR 100725892 B1 KR100725892 B1 KR 100725892B1 KR 1020057019756 A KR1020057019756 A KR 1020057019756A KR 20057019756 A KR20057019756 A KR 20057019756A KR 100725892 B1 KR100725892 B1 KR 100725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wireless
data
identification data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1738A (ko
Inventor
겐지 사까모또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21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04N7/1675Providing digital key or authoris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on or regeneration of the scramb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08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n identification number or address, e.g. local network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 통신 페어를 확립 및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AV 기기 사이에서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통신 페어가 잘못 확립된 경우에는, 유저에게 통지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1 이상의 송신측 기기와, 1 이상의 수신측 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으로서, 상기 송신측 기기는, 상기 수신측 기기에 대하여 자체 기기의 식별 ID를 발행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신측 기기는, 상기 송신측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식별 ID를 기억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을 제공한다.
와이어리스 AV 시스템, 무선 단말, 베이스 기기, 접속 확립, 통신 페어

Description

무선 단말, 베이스 기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무선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베이스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RADIO TERMINAL, BASE DEVICE, WIRELESS SYSTE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ADIO TERMINAL CONTROL PROGRAM RECORDED THERE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BASE DEVICE CONTROL PROGRAM RECORDED THEREON}
본 발명은 무선 단말, 베이스 기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무선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 베이스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폭발적인 보급에 따라, 사무실, 가정 등에서, LAN(Local Area Network)을 구축하는 케이스가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무선 통신 기술의 진보도 영향을 미쳐서, 케이블 배선의 번거로움 때문에, 무선으로 LAN을 구축하는 소위 와이어리스 LAN의 요구도 대단히 높아지고 있고, 또한 노트북 PC로 대표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이동 환경하에서의 사용이 가능한 것도 영향을 미쳐서, 장래적으로는, 상당한 수의 보급 대수가 기대되고 있다. 이 와이어리스 LAN의 대표적인 기술로서는, 이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서 표준화되어 있는 IEEE 802.11이 있다. 이 표준화된 기술은, OSI 모델에서의, 물리층부터, 데이터 링크의 하위층인 MAC(Media Access Control: 매체 액세스 제어)층 까지를 규정하고 있어, 유선의 LAN 전송로인, 이더넷(Ethernet)(등록 상표)과 대체할 수 있고, 또한, 와이어리스이기 때문의 부가 기능으로서, 로밍(roaming) 기능도 제공할 수 있는 사양으로 되어 있다.
또한, 현재, 전국에서 시청되고 있는 아날로그 지상 방송을 대신하는 새로운 지상 디지털 방송의 준비가 진행되고 있다. 이 지상 디지털 방송은, 2003년에 간토, 긴키, 도카이의 3대 도시권에서 개시되어, 2006년에는 전국으로 확대시킬 계획이다. 이와 함께, 현행의 아날로그 방송도 2011년에는 폐지될 예정이다.
ISDB(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는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의 모든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서 취급하는 차세대의 통합 디지털 방송의 컨셉트이다. ISDB의 구체적인 서비스로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디지털 음성 방송, 팩시밀리 방송, 멀티미디어 방송 등이 연구되고 있다. ISDB의 전송로로서는, 위성 방송파, 지상 방송파, 동축 케이블이나 광 파이버의 유선 전송로의 이용이 고려되고 있다.
이 지상 디지털 방송의 기술 규격 ISDB-T(Terrestrial)에서는, 변조 방식에 다수의 반송파(캐리어)를 사용하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이 채택되어, 빌딩에 의한 반사 등 복수의 전파 경로(멀티 패스)에 의한 고스트 방해도 억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ISDB-T에서는 캐리어 간격을 규정하는 전송 모드나 캐리어 마다의 변조 방식, 유효 심벌 길이마다 설정하는 시간 축 방향의 가드 인터벌이 각각 복수 규정되어 있고, 매우 다수의 신호 형식이 규격상에서는 허용되어 있다. 실제로는 이들 중에서, 고정 수신이나 이동 수신 등의 서비스에 맞게 최적의 형식이 선택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ISDB-T에서는 1개의 전송 채널(통신 채널)(대역 약 5.6 ㎒)을, 13세그먼트(1세그먼트=약 430 ㎑)로 분할하고, 이것을 단위로 변조 방식을 바꾸는 것으로 된다. 이에 따라, 1개의 전송 채널로 음성 방송과 하이비전 방송, 표준 고정 방송과 이동체 방송이라는 것처럼, 방송국은 임의로 신호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ISDB-T는 시간축 방향의 인터리브를 도입하고 있고, 이용하는 전파도 이동체에의 전송에 적합한 점에서, 차량 탑재 텔레비전 등의 이동체 수신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나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기에서도 안정된 수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큰 특징의 하나로서 들 수 있다. 금후, 이러한 이동 수신을 상정한 서비스도 크게 기대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을 응용하여 구축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는,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기끼리가 서로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로 되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너 등을 탑재한 와이어리스 센터(송신기)(122a∼122c)와, 와이어리스 센터(송신기)(122a∼122c) 중 어느 하나로부터 콘텐츠 스트림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재생을 행하는 수신기로 구성되는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는, 수신기측에서는, 현재, 와이어리스 센터(송신기)(122a∼122c) 중 어느 것과의 통신 페어가 확립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 기기 간에서의 통신 페어의 확립 방법 및 식별 방법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디지털 코드리스 전화 장치에서는, 모기(母機)와 자기(子機)에 공통으로 설정된 시스템 호출 부호를, 모기 또는 자기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다른 모기 또는 자기에 송신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당해 다른 모기 또는 자기는 수신한 이 시스템 호출 부호를 메모리에 기억함으로써, 복수의 모기 및 자기가 동일한 무선 시스템으로 작동하도록 간단하게 설정을 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특허 문헌 2는, 제어 대상인 디바이스와, 전송로를 통하여 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컨트롤을 구비하고, 디바이스는, 그 디바이스 본체의 상태를 관리하는 기기 상태 관리 수단과, 디바이스 본체의 상태가 변화한 경우에 디바이스 본체의 상태 정보를 컨트롤러에 통지하는 후퇴 통지 수단을 갖고, 컨트롤러는, 디바이스로부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 정보 수신 수단을 갖는 기기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대상인 디바이스와 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기기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가 변화한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가 바로 상태 변화 후의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7-46662호 공보(공개일: 1995년 2월 14일)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2-215483호 공보(공개일: 2002년 8월 2일)
그러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은, 일반 가정에서 복수의 AV 기기간을 무선 접속하여 이용하려고 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AV 기기가 비교적 근거리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제어 데이터의 교환이 혼신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서, 유저는 와이어리스 센터(122a)로부터의 스트림을 수신기(133)에 의해 수신하여 재생하려고 하여 조작을 행하는 경우, 와이어리스 센터(122a)는 자체 기기의 식별 ID를 수신기(133)에 송신하고, 수신기(133)가 이 식별 ID를 인식한다고 하는 접속 처리가 행해져서, 이들 기기간에서의 무선 통신 페어가 확립된다.
그런데, 이때, 부근에 있는 와이어리스 센터(122b)에서도 마찬가지의 접속 처리가 행해지고 있어서, 와이어리스 센터(122b)가 다른 수신기에 대하여 발생한 자체 기기의 식별 ID를 수신기(133)가 잘못 수신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신기(133)는, 와이어리스 센터(122a)로부터의 식별 ID보다, 와이어리스 센터(122b)로부터의 식별 ID를 먼저 수신하여 인식한 경우, 와이어리스 센터(122b)와 접속을 확립하고, 와이어리스 센터(122a)와 접속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수신기(133)는 잘못 통신 페어로 된 와이어리스 센터(122b)로부터의 스트림을 재생하게 되는데, 수신기(133) 자체의 동작으로서는 정상이기 때문에, 유저에게는 잘못된 통신 페어가 확립되어 있는 것은 통지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용자에게 있어서 잘못된 무선 접속이 확립된 경우, 이것을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는 무선 단말, 베이스 기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무선 단말의 제어 방법, 베이스 기기의 제어 방법, 무선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 베이스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무선 단말은, 베이스 기기와 접속을 확립하는 무선 단말로서, 베이스 기기로부터, 그 베이스 기기를 특정하는 식별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이 베이스 기기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 수단과, 상기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베이스 기기를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접속처 통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무선 단말은, 베이스 기기로부터 상기 식별 데이터를 취득할 뿐만 아니라, 이 베이스 기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있다. 또한, 무선 단말은, 이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를 이용자에게 통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는,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를 특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베이스 기기와 무선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베이스 기기는,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하여, 상기 식별 데이터를 송신하는 식별 데이터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로부터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가 이용자에게 통지되기 때문에, 원하는 베이스 기기와 무선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와이어리스 시스템은, 상기 무선 단말과,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하여, 상기 식별 데이터를 송신하는 식별 데이터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기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로부터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가 이용자에게 통지되기 때문에, 원하는 베이스 기기와 무선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와이어리스 시스템은, 베이스 기기와 무선 단말로 구성되는 와이어리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베이스 기기로부터, 그 베이스 기기를 특정하는 식별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이 베이스 기기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 수단과, 이용자로부터의 지시의 입력에 의해,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하는 제1 접속 확인 모드 이행 수단과, 접속 확인 모드의 이행 후, 접속 확인을 위한 접속 확인 커맨드를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로부터 취득하는 접속 확인 수단과, 접속 확인 모드의 이행 후, 상기 접속 확인 수단이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소정 시간 내에 취득하지 못한 경우, 이용자에게 경고를 행하는 경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기는, 그 베이스 기기를 특정하는 식별 데이터를 송신하는 식별 데이터 송신 수단과, 이용자로부터의 지시의 입력에 의해,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하는 제2 접속 확인 모드 이행 수단과,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하면,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송신하는 접속 확인 커맨드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무선 단말은, 베이스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식별 데이터를 취득하면, 이 베이스 기기와 접속을 확립할 수 있는데, 무선 단말이 어떠한 요인으로 이 식별 데이터를 취득하지 못한 경우, 무선 단말과 베이스 기기의 접속은 확립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이용자의 지시에 의해 무선 단말 및 베이스 기기를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시키면,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한 베이스 기기는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무선 단말은, 이 접속 확인 커맨드로 이행한 베이스 기기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취득할 수 있지만, 이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한 베이스 기기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취득할 수 없다.
따라서, 접속 확인 모드의 이행 후의 무선 단말이,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한 베이스 기기로부터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소정 시간 내에 취득하지 못한 경우, 이용자에게 경고를 행하게 하면, 경고를 받은 이용자는,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한 베이스 기기와 무선 단말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용자는, 원하는 베이스 기기 및 무선 단말을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시키면, 원하는 베이스 기기와 무선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단말은, 상기 와이어리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와이어리스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 기기는, 상기 와이어리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와이어리스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무선 단말 또는 베이스 기기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하여도 되고, 이 경우에는, 컴퓨터를 상기 각 수단으로서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 또는 베이스 기기를 컴퓨터에서 실현시키는 무선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도, 본 발명의 범주에 들어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나타내는 기재에 의해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익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의 와이어리스 센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의 TV 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의 와이어리스 센터와 TV 본체가 정상적으로 통신 페어를 확립시키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TV 본체 부근에, 와이어리스 센터가 복수대 있기 때문에, TV 본체(수신기)측에서 통신 페어의 상대를 오인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제1 양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TV 본체 부근에, 와이어리스 센터가 복수대 있기 때문에, TV 본체(수신기)측에서 통신 페어의 상대를 오인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제2 양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TV 본체 부근에, 와이어리스 센터가 복수대 있기 때문에, TV 본체(수신기)측에서 통신 페어의 상대를 오인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제3 양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복수대의 와이어리스 센터(송신기)와, 1대의 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와이어리스 센터와 TV 본체의 접속 처리의 제4 양태로서, 이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와이어리스 센터와 TV 본체의 접속이 확립되는 경우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와이어리스 센터와 TV 본체의 접속 처리의 제5 양태로서, 이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와이어리스 센터와 TV 본체의 접속이 확립되는 경우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의 개략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와이어리스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으로서, 디스플레이 분리형의 와이어리스 TV 수신기에 적용한 예이다. 또한, 도 11은 디스플레이 분리형의 와이어리스 TV 수신기인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의 개략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은, 베이스 기기로서의 와이어리스 센터 유닛(이하, 와이어리스 센터라 함)(2)과, 포터블 단말기(무선 단말)로서의 텔레비전(TV) 본체 유닛(이하, TV 본체라 함)(3)으로 구성되고, 와이어리스 센터(2)(무선 통신 장치, 센터 장치)와 TV 본체(3)(무선 통신 장치, 표시 장치)는 짝을 이루어 무선 전송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TV 본체(3)는 배터리 내장이면서 와이어리스이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비디오 데크 등의 리모컨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리스 센터(2)는, BS나 U/V 등의 안테나나 DVD 플레이어나 비디오 데크 등의 AV 기기 등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리스 센터(2)로부터 TV 본체(3)에,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와이어리스 전송되게 이루어져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리스 센터(2)는, BS 단자(11), U/VHF 안테나 단자(12), 다이버시티 단자(13)의 각 안테나 단자와, 디지털 VTR, DVD 플레이어 등의 기기를 접속하는 비디오1 입력 단자(S 단자 부착)(14), 비디오2 입력 단자(디코더 입력)(15), 비디오3 입력 단자(모니터/BS 출력 겸용)(16), AC 전원부(17) 및 Car-DC 전원부(18)를 구비한다.
TV 본체(3)는 디지털 VTR,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등의 기기를 접속하는 비디오4 입력 단자(TV 출력 겸용)(21), AC 전원(22) 및 Car-DC 전원부(23)를 구비한다.
TV 본체(3)는 와이어리스 센터(2)와 분리 가능하고 배터리 내장에 의해 휴대 또는 가반할 수 있는 박형 표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액정 텔레비전, 무기 EL(Electro Luminescence)/유기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여러 가지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고, 표시 기구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TV 본체(3)는, 주로 표시 기능이나 음향 기능 등을 갖고, 한편 와이어리스 센터(2)는, 주로 튜너부나 TV 본체(3)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 등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TV 본체(3)는, 박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텔레비전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와이어리스 센터(2)와 TV 본체(3) 사이는, IEEE 802.11 규격에 준거하는 SS(Spread Spectrum: 스펙트럼 확산) 무선 방식에 의해 데이터(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최근, 주파수대로서 5㎓대가 개방되어, 2.4 ㎓대 대신에 5 ㎓대를 이용하는 양태이어도 된다. 와이어리스 센터(2)로부터 TV 본체(3)에의 데이터 전송은,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2의 영상 압축 포맷을 이용하여, 동화상 전송이나 DVD-Video, 디지털 방송을, 10Mbps를 초과하는 통신 회선으로 전송한다. 또한, 와이어리스 센터(2)와 TV 본체(3) 사이의 커맨드 전송(제어 커맨드의 전송)은, SS 무선 방식에 의해 행한다.
MPEG 비디오나 MPEG 오디오의 부호화된 스트림(비트열), 또한 다른 부호화 스트림도 포함시켜 실제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동기를 포함해서 부호화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통합하여 일원화할 뿐 아니라, 그 스트림을 축적 미디어나 네트워크 등이 갖는, 고유의 물리 포맷이나 프로토콜에 적합한 데이터 형식으로 할 필요가 있다.
MPEG2 시스템에는, MPEG1과 마찬가지로 1개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스트림(MPEG2-PS, PS: Program Stream)과, 복수의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는 트랜스포트 스트림(MPEG2-TS, TS: Transport Stream)이 있다.
MPEG 스트림은 1비트의 플래그도 다수 있지만 헤더 등의 각 단위마다 바이트 정렬된 바이트 스트림이다. MPEG 시스템 전체에 공통된 구조로서 고정 길이가 아닌 데이터 부분에는,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선행하여 놓이고, 불필요한 경우에는 그 부분을 스킵하거나, 다음의 데이터군의 선두를 확인하여 신뢰성이 높은 분리 처리를 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로 되어 있다.
MPEG2 부호화 방식에 준거하여, 압축된 영상,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는, 복호화 측에서 영상, 음성 데이터의 오버 플로우, 언더 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해, 부호화 측에서의 영상, 음성 샘플링 주파수와, 복호화 측에서의 영상, 음성 샘플링 주파수 또는 STC(System Time Clock)를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복호화 장치에서는 MPEG2 시스템 규격(ISO/IEC 규격 13818-1)으로 규정된 PCR(Program Clock Reference: 프로그램 시각 기준 참조 값) 또는 SCR(System Clock Reference: 시스템 시각 기준 참조 값)을 이용함으로써, 부호화 측의 영상, 음성 샘플링 주파수와 복호화 측의 영상, 음성 샘플링 주파수를 일치시키고 있다.
도 2는 상기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의 와이어리스 센터(2)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와이어리스 센터(2)는, BS 단자(11)에 접속되어 선국 신호에 의해 BS 방송을 수신·선국하는 BS 튜너(31)와, U/VHF 안테나 단자(12)에 접속되어 선국 신호에 의해 U/VHF 방송을 수신·선국하는 U/VHF 튜너(32)와, BS 튜너(31) 또는 U/VHF 튜너(32)로 수신·선국된 영상·음성(AV) 신호를 복조하는 영상·음성 복조부(33)와, 음성 전환 신호에 의해 수신한 음성과 EPG(Electrical Program Guide: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전환하는 음성 전환부(34)와, 소스 선택 신호에 의해 수신한 영상·음성 정보,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비디오1 입력 단자(외부 입력1)(14), 비디오2 입력 단자(디코더 입력)(외부 입력2)(15), 비디오3 입력 단자(모니터/BS 출력 겸용)(외부 입력3)(16)로부터의 외부 입력 정보를 선택하는 제1 셀렉터(35)와, TV 커맨드 신호(44)를 송수신하여 제1 셀렉터(35)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MPEG2의 영상 압축 포맷으로 변환하고, SS 무선 방식에 의해 TV 본체(3)에 송신하는 SS 송수신 유닛(36)(통신 수단)과, 선국 신호(41), 음성 전환 신호(42), 소스 선택 신호(43) 등을 송신할 뿐 아니라, TV 커맨드 신호(44)를 송수신하여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이하,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가라 함)(37)와,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37)의 제어 프로그램, 통신 제어 데이터, 또한 전송 채널 변경 프로그램 등의 여러 가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전기적으로 재기입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인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38)(기억 수단)과, 와이어리스 센터(2)의 표면에서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소자 등으로 구성되어 소정의 발광 동작을 행하는 LED 발광부(10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와이어리스 센터(2)는, 방송 수신용 튜너를 복수(여기서는 2대) 구비하고, 복수의 BS 튜너(31), U/VHF 튜너 중 적어도 1개는 지상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튜너이어도 된다.
SS 송수신 유닛(36)은, 제1 셀렉터(35)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51), 데이터를 MPEG2의 영상 압축 포맷으로 변환하는 MPPE2 인코더(52), 송신 데이터를 SS 무선 방식에 의해 송신하는 SS 무선기 및 무선 제어부로 이루어진 SS 무선 송수신 엔진(53), 및 SS 송수신 유닛(36)의 각 부를 제어할 뿐 아니라, 전파 상태를 검출하는 제1 SS-CPU(5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SS 무선 송수신 엔진(53)은, TV 본체(3)의 SS 송수신 유닛(61)(도 3에서 후술함)에, MPEG2 스트림이나 커맨드 등을 송신하는 송신 기능과, SS 송수신 유닛(61)과의 사이에서 커맨드 등을 송수신하는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다.
EEPROM(38)에 기입하는 프로그램을 바꿈으로써 와이어리스 센터(2) 및 TV 본체(3)에서의 각종 사양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최근에는 시스템 개발의 디버그마다 마스크 ROM을 변경하는 시간 손실을 회피하기 위해, 프로그램 ROM을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면 EPROM, EEPROM으로 하여, 프로그램 개발·수정 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EEPROM의 프로그램 내용을 재기입하도록 하면 기능의 업 그레이드나 기능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상기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의 TV 본체(3)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서, TV 본체(3)는, TV 커맨드 신호(71)를 송수신하여 와이어리스 센터 (2)의 SS 송수신 유닛(36)으로부터 송신된 MPEG2 스트림이나 커맨드 전송 데이터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수신한 MPEG2 스트림 등을 원(元) 데이터로 디코드(복원)하는 SS 송수신 유닛(61)(통신 수단)과, SS 송수신 유닛(61)에 의해 복원한 데이터와 비디오4 입력 단자(TV 출력)(21)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AV 신호를 선택하는 제2 셀렉터(62)와, 영상 신호를 표시하고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LCD 등으로 이루어진 표시부(63)(통지 수단의 일부)와, TV 커맨드 신호(71)를 송수신할 뿐 아니라, 소스 선택 신호(72), OSD(온 스크린 디스플레이)(73) 등을 송신하여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TV 마이크로컴퓨터(64)(통지 수단의 일부)와, TV 마이크로컴퓨터(64)의 제어 프로그램, 통신 제어 데이터, 또한 전송 채널 변경 프로그램 등의 여러 가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전기적으로 재기입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인 EEPROM(65)과, 도시하지 않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이하, 리모컨 장치라 함)로부터의 제어 커맨드를 수광하는 리모컨 수광부(66)와, 배터리(67)와, 배터리(67)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챠저 마이크로컴퓨터(68)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SS 송수신 유닛(61)은, SS 무선 방식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SS 무선기 및 무선 제어부로 이루어진 SS 무선 송수신 엔진(81), 수신한 MPEG2 스트림을 디코드하는 MPEG2 디코더(82), 디코드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83), 및 SS 송수신 유닛(61)의 각 부를 제어할 뿐 아니라, 전파 상태를 검출하는 제2 SS-CPU(84)(통신 상태 검출 수단)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SS 무선 송수신 엔진(81)은, 와이어리스 센터(2)의 SS 송수신 유닛(36)으로부터의 MPEG2 스트림이나 커맨드 등을 수신하는 수신 기능과, SS 송수신 유닛(61) 으로부터 커맨드 등을 송신하는 송신 기능을 구비한다.
특히, 제2 SS-CPU(84)는, 수신 전파의 전계 강도, 에러율에 기초한 재송 요구에 의해 와이어리스 센터(2)와 TV 본체(3) 사이의 통신 상태(전파의 강약, 통신로의 방해)를 검출하는 전파 상태 검출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한다. 검출된 전파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TV 커맨드 신호(71)로서 TV 마이크로컴퓨터(64)에 보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TV 본체(3)의 제2 SS-CPU(84)가 상기 전파 상태 검출 기능을 구비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와이어리스 센터(2)의 제1 SS-CPU(54)가 마찬가지의 기능을 구비하고, 검출한 전파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와이어리스 센터(2)로부터 TV 본체(3)에 커맨드 전송하는 양태이어도 된다. 혹은, 제1 SS-CPU(54) 및 제2 SS-CPU(84) 쌍방이 전파 상태 검출 기능을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전파 상태 검출 기능을 TV 마이크로컴퓨터(64) 또는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37)가 행하는 양태이어도 된다.
TV 마이크로컴퓨터(64)는,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할 뿐 아니라, 검출된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영상 및 음성 데이터가 끊어져 있는 것, 전송 채널 변경중인 것, 접속중인 것, 통신권외를 포함하는 수신 감도 정보의 각 메시지를 알리는 통지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TV 마이크로컴퓨터(64)는, 통신이 끊어진 시간을 계측하여, 그 통신이 끊어지고 나서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전송 채널을 유지하는 전송 채널 변경 제어를 행한다. 전송 채널 변경 제어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9에 의해 후술한다. 또한, TV 마이크로컴퓨터(64)는, 내부에 OSD 발생 기능부를 갖고, 프로그램의 채널, 시각, 음량 등의 정보를 텔레비전 등의 화면 상에 표시한다. TV 등의 영상 장치, 텔레비전 회의 시스템 등의 전자 기기에서는, 프로그램의 채널, 시각, 음량 등의 정보를 텔레비전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OSD의 데이터는 화상이 아니라, 비트맵이라고 불리는 형식으로 보유되어 있고, 이 비트맵으로부터 Y, Cb, Cr로 표시되는 YUV 형식의 화소 값으로 변환되고, 그 변환된 화소가 텔레비전 방송 등의 원화상(原畵像) 위에 중첩된다. 또한, 비디오4 입력 단자(TV 출력 겸용)(21)에 도시하지 않은 DVD 등의 화상 재생 장치를 접속하면, 표시 화면 상에 재생 화상이 중첩하여 OSD 표시가 가능하다. 또, 텔레비전 방송 등의 원화상과 OSD 표시의 화상 중첩 처리는, OSD 합성부(69)(도 4)가 행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TV 본체(3)는, 스피커, 키 입력부, 카드형 외부 확장 기억 매체를 끼웠다 뺐다 하기 위한 슬롯 등을 구비하고, 카드형 외부 확장 기억 매체를 그 슬롯에 장착하여 데이터를 직접 판독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카드형 외부 확장 기억 매체는, 예를 들면 전원 백업에 의해 기입된 정보를 보유하는 SRAM(Static RAM) 카드나 전원 백업이 불필요한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 콤팩트 플래시(등록 상표)(CF),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나아가 콤팩트 플래시와 같은 정도의 크기 또는 PC 카드 TypeⅡ에 장착 가능한 초소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등이다.
리모컨 수광부(66)는, IR(Infrared Rays: 적외선)을 사용하는 광통신 포트부로서, TV 본체(3) 또는 와이어리스 센터(2)에 대하여 각종 조작을 행하는 리모컨 장치로부터의 광신호를 수광한다. 구체적으로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규격,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ASK 등에 준거하여 광통신을 행하기 위한 I/O 포트, 또는 전파에 의한 무선 통신 포트이다.
배터리(67)는, TV 본체(3) 각 부에 소정의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 챠저 마이크로컴퓨터(68)는, 배터리(67)가 충전 가능 상태로 되었을 때, 예를 들면 TV 본체(3)가 와이어리스 센터(2)나 그 밖의 크레이들 등에 장착된 것을 검지하고, 배터리(67)의 충전 매체에 대하여 전력 공급 단자(모두 도시 생략)를 통하여 충방전의 제어를 행한다. 배터리 챠저 마이크로컴퓨터(68)는,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팩의 방전 전류를 적산하고, 배터리 팩의 잔존 용량이 소정 값 이하로 되었다고 판단했을 때에 충전을 개시할 뿐 아니라, 충전시에는 배터리 팩에의 충전 전류를 적산하여 배터리 팩이 만충전 상태로 되었다고 판단했을 때에 충전을 정지시킨다. 충전된 배터리(67)는, TV 본체(3)가 상용 전원으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휴대 TV의 주전원으로 되어, 본체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에서, 와이어리스 센터(2)와 TV 본체(3)가 통신 페어를 확립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에서, 와이어리스 센터(2)와 TV 본체(3)가 정상적으로 통신 페어를 확립시키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서, 우선, 유저로부터의 리모컨 조작 등에 의해, TV 본체(3)가 와이어리스 센터(2)로부터의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하여,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S1). 접 속 요구의 송신은, TV 본체(3)의 TV 마이크로컴퓨터(64)에 의해 생성한 커맨드를, SS 송수신 유닛(61)으로부터 무선 송신함으로써 행해진다. 또, 송신되는 커맨드는, 송신처인 와이어리스 센터(2)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이 식별 정보는 미리 TV 본체의 EEPROM(65) 등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TV 본체(3)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SS 송수신 유닛(36)에 의해 수신한 와이어리스 센터(2)의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37)는, EEPROM(38) 등에 기억되어 있는 자체 기기를 나타내는 식별 ID를 포함한 식별 ID 발행 커맨드를 생성하고, 이것을 SS 송수신 유닛(36)에 의해 TV 본체(3)에 송신한다(S2).
식별 ID 발생 커맨드를 수신한 TV 본체(3)는, 취득한 와이어리스 센터(2)의 식별 ID를 통신 페어의 상대처 기기의 식별 ID로서 EEPROM(65) 등에 기억할 뿐 아니라(S3), 접속 확인 커맨드를 와이어리스 센터(2)에 송신한다(S4).
TV 본체(3)로부터의 접속 확인 커맨드를 수신한 와이어리스 센터(2)는, 소정의 전송 채널에서 소정의 스트림을 송신하고(S5), TV 본체(3)에서는 이것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리스 센터(122)가 복수대 있기 때문에, TV 본체(수신기)(133)측에서 통신 페어의 상대를 오인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도 5∼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도 5∼도 7에 나타낸 와이어리스 센터(2a 및 2b)는, 각각 상기한 와이어리스 센터(2)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5에서 그 제1 양태를 나타낸다. TV 본체(3)는, 와이어리스 센터(2a)와의 통신 페어를 확립하려고 하기 위해, 와이어리스 센터(2a)에 대하여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S11). 이것을 수신한 와이어리스 센터(2a)는, 자체 기기의 식별 ID를 포함한 식별 ID 발행 커맨드를 TV 본체(3)에 송신한다(S12). 여기까지의 동작은, 도 4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이다.
여기에서, 별도의 와이어리스 센터(2b)가 송신한 식별 ID 발행 커맨드를 TV 본체(3)가 수신한 경우에는(S13, S14), TV 본체(3)는 통신 페어의 상대처 기기로서 와이어리스 센터(2b)의 식별 ID를 인식하여 기억하게 된다.
그 후, TV 본체(3)는, 현재의 통신 상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표시부(63)에 OSD 표시한다(S15). 그러면 유저는, 접속했을 리가 없는 와이어리스 센터(2b)의 식별 정보가 표시되기 때문에, 잘못된 통신 페어가 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 OSD 표시되는 현재의 통신 상대 기기의 식별 정보는, 통신 상대 기기가 발생한 식별 ID(식별 데이터)를 그대로 표시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더 바람직하게는, 통신 상대 기기의 기종명이나 유저가 그 기기에 대하여 미리 설정하고 있는 이름을 식별 ID와 함께 수신해 두고, 이들을 표시시키도록 한다.
도 6에서 제2 양태를 나타낸다. TV 본체(3)는, 와이어리스 센터(2a)와의 통신 페어를 확립하려고 하기 위해, 와이어리스 센터(2a)에 대하여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S21). 이것을 수신한 와이어리스 센터(2a)는, 자체 기기의 식별 ID를 포함한 식별 ID 발행 커맨드를 TV 본체에 송신한다(S22). 식별 ID 발행 커맨드를 수신한 TV 본체(3)는, 취득한 와이어리스 센터(2a)의 식별 ID를 통신 페어의 상대처 기기의 식별 ID로서 기억할 뿐 아니라(S23), 접속 확인 커맨드를 와이어리스 센터에 송신한다(S24). 여기까지의 동작은, 도 4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이다.
여기에서, 별도의 와이어리스 센터(2b)가 송신한 식별 ID 발행 커맨드를 TV 본체(3)가 수신한 경우에는(S25), TV 본체(3)는 통신 페어의 상대처 기기로서 와이어리스 센터(2b)의 식별 ID를 인식하여 기억하게 된다(S26).
그러나, 본 예에서는, TV 본체(3)로부터의 접속 확인 커맨드를 수신하고 있는 와이어리스 센터(2a)는, 확립된 통신 페어가 유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페어 확인용 신호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S27). 와이어리스 센터(2a)가 송신하는 페어 확인용 신호에는, 자체 기기의 식별 ID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와이어리스 센터(2a)로부터의 페어 확인용 신호를 수신한 TV 본체(3)는, 거기에 포함되는 상대 기기의 식별 ID를 취득하고, 이것을 현재의 통신 페어 상대로서 기억하고 있는 식별 ID와 비교한다(S28). 본 예에서는, 별도의 와이어리스 센터(2a)로부터 수신한 식별 ID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페어 확인용 신호의 식별 ID와 일치하지 않아, 잘못된 통신 페어가 확립되어 있는 것이 인식되게 된다.
TV 본체(3)는, 표시부(63)에서, 잘못된 통신 페어가 확립되어 있는 취지의 경고를 OSD 표시하여 유저에게 통지한다(S29). 이때, 원래의 접속처인 와이어리스 센터(2a)의 식별 ID(혹은 그 기종명 또는 유저가 설정한 이름)와, 잘못으로 통신 페어로 된 와이어리스 센터(2b)의 식별 ID(혹은 그 기종명 또는 유저가 설정한 이 름)를, 동시에 OSD 표시하여, 유저에게 재접속의 동작을 행하도록 재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 제3 양태를 나타낸다. TV 본체(3)는, 와이어리스 센터(2a)와의 통신 페어를 확립하려고 하기 위해, 와이어리스 센터(2a)에 대하여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S31). 이것을 수신한 와이어리스 센터(2a)는, 자체 기기의 식별 ID를 포함한 식별 ID 발생 커맨드를 TV 본체(3)에 송신한다(S32). 여기까지의 동작은 도 4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이다.
그 후, TV 본체(3)가 다른 와이어리스 센터와 잘못 통신 페어를 확립하였거나, 혹은 동작 불량 등의 원인으로, 와이어리스 센터(2a)에 접속 확인 커맨드를 송신하지 않은 경우를 생각한다.
와이어리스 센터(2a)는, TV 본체(3)에 식별 ID 발행 커맨드를 송신한 후, 일정 시간을 경과하여도, TV 본체(3)로부터의 접속 확인 커맨드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와이어리스 센터(2a)의 표면에 설치된 LED 발광부(100)를 소정의 방법으로 발광시킴으로써, 유저에게 통신 페어가 정상적으로 확립되어 있지 않은 취지의 경고를 행할 수 있다(S33).
또, 와이어리스 센터 A측에서 경고를 발하는 방법으로서는 LED 발광부(100)에 의한 것 이외에도 여러 가지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방법으로 음성을 발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도 9에서, 제4 양태를 설명한다. 또, 도 9에서의 각 처리는, 와이어리스 센터(2a 및 2b)에서는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식별 데이터 송신 수 단)(37)가 실행하고, TV 본체(3)에서는 TV 마이크로컴퓨터(64)(접속 확립 수단, 접속처 통지 수단, 접속 요구 수단, 접속 완료 통지 수단, 화상 출력 수단)가 실행하는 것으로 하지만, 와이어리스 센터(2a 및 2b)에서는 제1 SS-CPU(54)가 실행하고, TV 본체(3)에서는 제2 SS-CPU(84)가 실행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이용자는, 와이어리스 센터(2a)로부터 TV 본체(3)에 스트림 데이터를 송신시키기 위하여, 와이어리스 센터(2a)와 TV 본체(3)의 무선 접속을 시도하고 있지만, 와이어리스 센터(2b)와 TV 본체(3)가 무선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우선, TV 본체(3)와 와이어리스 센터(2a)의 무선 접속을 확립시키기 위하여, TV 본체(3) 및 와이어리스 센터(2a)를 접속 처리 모드로 이행시킨다(S501, S511). 구체적으로는, 이용자가, TV 본체(3) 및 와이어리스 센터(2a)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 처리 모드 이행 스위치(도시 생략)를 누르면, TV 본체(3) 및 와이어리스 센터(2a)는 접속 처리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이때, 별도의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TV 본체(3)의 부근에 위치하는 와이어리스 센터(2b)도 우연히 접속 모드로 이행한 것으로 한다(S521).
여기에서, TV 본체(3), 와이어리스 센터(2a 및 2b)는, 접속 처리 모드(도 9에서의 S516 이외의 각 스텝)에서 커맨드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공통 키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공통 키는, TV 본체(3), 와이어리스 센터(2a, 2b) 사이에서 공통의 알고리즘으로서, 접속 모드 중에 송수신되는 커맨드 및 데이터의 암호화/해독을 행하는 키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TV 본체(3)는, 접속 처리 모드로 이행하면, EEPROM(65)에 저장되어 있는 공통 키를 판독하고, 이 공통 키에 의해 송수신하는 커맨드 및 데이터의 암호화/해독을 행한다. 또한, 와이어리스 센터(2a 및 2b)는, 접속 처리 모드로 이행하면, EEPROM(38)에 저장되어 있는 공통 키를 판독하고, 이 공통 키에 의해, 송수신하는 커맨드 및 데이터의 암호화/해독을 행한다. 이에 따라, TV 본체(3), 와이어리스 센터(2a 및 2b)는, 각각이 접속 처리 모드로 이행하고 있으면, 각각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커맨드 및 데이터의 해독을 행할 수 있다.
TV 본체(3)가 접속 처리 모드로 이행하면, TV 본체(3)는, 와이어리스 센터(2)에 무선 접속을 요구하기 위한 접속 요구 커맨드를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한다(S512).
여기에서, 상기 접속 요구 커맨드는 브로드캐스트로 송신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리스 센터(2a)뿐만 아니라, 접속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와이어리스 센터(2b)도, 이 접속 요구 커맨드를 수신하여 해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리스 센터(2a)는, 상기 접속 요구 커맨드를 수신하면, 와이어리스 센터(2a)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EEPROM(38)으로부터 판독하고, 이 식별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한다(S502).
또한, 와이어리스 센터(2b)는, 상기 접속 요구 커맨드를 수신하면, 와이어리스 센터(2b)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EEPROM(38)으로부터 판독하고, 이 식별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한다(S522).
또, 와이어리스 센터(2a 및 2b)가 소지, 송신하는 식별 데이터에는, 각각의 와이어리스 센터를 특정하기 위한 ID(identification data)뿐만 아니라, 데이터, 커맨드를 암호화할 뿐 아니라, 암호화한 데이터, 커맨드 등을 해독하기 위한 식별 키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 종별 키는, 각각의 와이어리스 센터(2a, 2b)에 고유한 알고리즘이다.
여기에서, TV 본체(3)는 와이어리스 센터(2a, 2b)가 송신한 식별 데이터 중, 가장 먼저 수신한 식별 데이터만을 선택하여 취득하고, 취득한 식별 데이터를 EEPROM(65)에 저장한다(S513). 여기서는, TV 본체(3)는, 와이어리스 센터(2b)로부터의 식별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와이어리스 센터(2a)로부터의 식별 데이터를 취득하지 않는다.
또한, TV 본체(3)는, 무선 접속의 확립을 나타내는 접속 처리 완료 커맨드를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한다(S514). TV 본체(3)가, 이 접속 처리 완료 커맨드를 송신하면, 접속 처리 모드를 해제한다(S515).
그리고, 와이어리스 센터(2a, 2b)가, 상기 접속 처리 완료 커맨드를 수신하면(S510, S511), 접속 확립을 인식하여 접속 처리 모드를 해제한다(S504, S524).
여기에서, 접속 처리 모드 해제 후의 TV 본체(3)는, 상기한 공통 키를 사용하지 않고, S513에서 취득한 식별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키를 이용하여 데이터, 커맨드의 암호화, 해독을 행하게 된다. 또한, 접속 처리 모드 완료 후, 와이어리스 센터(2b)는, 상기한 공통 키를 이용하지 않고, 자체 장치의 식별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한다. 즉, TV 본체(3)는, S513에서 취득한 식별 데이터에 나타나는 와이어리스 센터(2b)로부터의 데이터만을 해독할 수 있다.
즉, TV 본체(3)는, S513에서, 접속 요구 커맨드의 송신 후에 가장 먼저 수신한 식별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식별 데이터에 나타나는 와이어리스 센터(2b)와 무선 접속을 확립하게 된다.
또한, 와이어리스 센터(2b)로부터 보내져 온 식별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키는, 와이어리스 센터(2b)에 고유한 알고리즘이기 때문에, 와이어리스 센터(2b)와 TV 본체(3) 사이에서 유니크한 무선 접속이 확립되게 된다. 그리고, 무선 접속의 확립 후, 와이어리스 센터(2b)는 스트림 데이터를 송신하고, TV 본체(3)는 이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한다.
한편, 와이어리스 센터(2a)는, S502에서 상기 접속 요구 커맨드에 응답하여 식별 데이터를 송신할 뿐 아니라, S503에서 상기 접속 처리 완료 커맨드를 수신하고 있기 때문에, TV 본체(3)와의 사이에서 무선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동작하고 있다. 따라서, 접속 처리 모드 완료 후, 와이어리스 센터(2a)는, 자체 장치의 식별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스트림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러나, TV 본체(3)는, 와이어리스 센터(2a)의 식별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스트림 데이터를 해독할 수 없다. 즉, TV 본체(3)와 와이어리스 센터(2a)는 무선 접속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용자는 TV 본체(3)와 와이어리스 센터(2a)의 무선 접속의 확립을 시도하려고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TV 본체(3)와 와이어리스 센터(2b) 사이에서 무선 접속이 확립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접속 확립 후, TV 본체(3)는, 현재 무선 접속처의 와이어리스 센터(2b)의 식별 데이터를 표시부(63)에 OSD 표시시키고 있다(S516). 즉, TV 본체(3)는, S513에서 취득한 식별 데이터를 표시부(63)에 OSD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TV 본체(3)의 무선 접속처가 와이어리스 센터(2b)인 것을 인식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와이어리스 센터(2a)가 TV 본체(3)에 무선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이용자는, 상기 OSD 표시를 시인함으로써, TV 본체(3)의 무선 접속처의 와이어리스 센터를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무선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이를 바로 인식할 수 있어, 바로 접속 처리를 다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9에 나타낸 양태에 따르면, TV 본체(3)는, 와이어리스 센터(2)로부터 상기 식별 데이터를 취득할 뿐 아니라, 취득한 식별 데이터에 나타나는 와이어리스 센터(2)와 접속을 확립하고 있다. 또한, TV 본체(3)는, 이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접속처의 와이어리스 센터(2)를 이용자에게 통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는, 접속처의 와이어리스 센터(2)를 특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원하는 와이어리스 센터(2)와 TV 본체(3)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에서 제5 양태를 나타낸다. 또, 도 10에서의 각 처리는, 와이어리스 센터(2a 및 2b)에서는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식별 데이터 송신 수단, 제2 접속 확인 모드 이행 수단, 접속 확인 커맨드 송신 수단)(37)가 실행하고, TV 본체(3)에서는 TV 마이크로컴퓨터(접속 확립 수단, 제1 접속 확인 모드 이행 수단, 접속 확인 수단, 경고 수단, 접속 요구 수단, 접속 완료 통지 수단, 화상 출력 수단)가 실행하는 것으로 하지만, 와이어리스 센터(2a 및 2b)에서는 제1 SS- CPU(54)가 실행하고, TV 본체(3)에서는 제2 SS-CPU(84)가 실행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 도 10에서도, 이용자는, 와이어리스 센터(2a)와 TV 본체(3)의 무선 접속의 확립을 시도하려고 하고 있지만, 와이어리스 센터(2b)와 TV 본체(3)가 무선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또, 도 10에서, 도 9에 나타낸 스텝과 동일한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붙임과 아울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서, TV 본체(3) 및 와이어리스 센터(2a, 2b)가, 접속 처리 모드를 완료하면(S504, S515, S524), 와이어리스 센터(2b)와 TV 본체(3)가 무선 접속되고, TV 본체(3)는, 와이어리스 센터(2b)로부터 송신되는 스트림 데이터를 해독하고, 이 스트림 데이터에 기초한 영상 및 음성을 재생한다. 한편, 와이어리스 센터(2a)와 TV 본체(3)는 무선 접속되어 있지 않지만, 와이어리스 센터(2a)는, 스트림 데이터의 송신 동작을 행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용자는, TV 본체(3) 및 와이어리스 센터(2a)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이용자가 TV 본체(3) 및 와이어리스 센터(2a)에 구성되어 있는 접속 확인 버튼(도시 생략)을 누르면, TV 본체(3) 및 와이어리스 센터(2a)는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한다(S605, S616).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한 와이어리스 센터(2a)는, 자체 장치의 식별 데이터를 포함한 접속 확인용 커맨드를 일정 기간마다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한다(S606). 이에 대하여, TV 본체(3)는, 와이어리스 센터(2b)와 무선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리스 센터(2a)로부터의 접속 확인용 커맨드를 취득할 수 없다(S617에서 '아 니오'). 이는, 무선 접속의 확립을 인식하고 있는 와이어리스 센터(2a)로부터 송신되는 커맨드 및 데이터는, 와이어리스 센터(2a)의 식별 키로 암호화되어 있으나, 와이어리스 센터(2b)와의 무선 접속이 확립된 후의 TV 본체(3)는, 수신하는 커맨드 및 데이터를 와이어리스 센터(2b)의 식별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키만으로 해독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TV 본체(3)는, 접속 확인용 커맨드를 취득하지 못한 채로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S618에서 '예'), 표시부(63)에 ODS로 경고 표시를 행한다(S620). 이에 따라, 이용자는, 와이어리스 센터(2a)와 TV 본체(3)가 무선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할 수 있어, 바로 접속 처리를 다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만약, 이용자가, TV 본체(3) 및 와이어리스 센터(2b)에 대해 무선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이용자가 TV 본체(3) 및 와이어리스 센터(2b)에 구성되어 있는 접속 확인 버튼(도시 생략)을 누르면, TV 본체(3) 및 와이어리스 센터(2b)는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한다(S616, S625).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한 와이어리스 센터(2b)는, 자체 장치의 식별 데이터를 포함한 접속 확인용 커맨드를 일정 기간마다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한다(S626). 이에 대하여, TV 본체(3)는, 와이어리스 센터(2b)와 무선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리스 센터(2b)로부터의 접속 확인용 커맨드를 취득할 수 있다(S617에서 '예'). 이는, 무선 접속의 확립을 인식하고 있는 와이어리스 센터(2b)로부터 송신되는 커맨드 및 데이터는, 와이어리스 센터(2b)의 식별 키로 암호화되어 있어서, 와 이어리스 센터(2b)와의 무선 접속이 확립된 후의 TV 본체(3)는, 수신하는 커맨드 및 데이터를 와이어리스 센터(2b)의 식별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키로 해독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TV 본체(3)는, 접속 확인용 커맨드를 취득하면, 접속처의 식별 데이터를 표시부(63)에 OSD 표시한다(S619). 이에 따라, 이용자는, 접속처가 와이어리스 센터(2b)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10에 나타낸 양태에 따르면, 이용자의 지시에 의해 TV 본체(3) 및 와이어리스 센터(2)를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시키면,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한 와이어리스 센터(2)는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TV 본체(3)는,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한 와이어리스 센터(2)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취득할 수 있지만, 접속 모드로 이행한 와이어리스 센터(2)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취득할 수 없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확인 커맨드의 이행 후의 TV 본체(3)가,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한 와이어리스 센터(2a)로부터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소정 시간 내에 취득하지 못한 경우, 이용자에게 경고를 행하도록 하면, 경고를 받은 이용자는,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한 와이어리스 센터(2a)와 TV 본체(3)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용자는, 원하는 와이어리스 센터(2) 및 TV 본체(3)를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시키면, 원하는 와이어리스 센터(2)와 TV 본체(3)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이상, 도 9에서 나타낸 양태에 따르면, S516에서, 상기 식별 데이터를 표시부(63)에 OSD로 표시함으로써, 이용자에 대하여 현재 접속처의 와이어리스 센터(2)를 통지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OSD에 의한 표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식별 데이터만을 표시부(63)에 표시하여도 되고, 또한 음성에 의해 이용자에게 현재 접속처의 와이어리스 센터를 통지하여도 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양태에 따르면, S620에서, 표시부(63)에 OSD로 경고 표시함으로써, 이용자에 대하여 경고를 행하고 있지만, OSD에 의한 경고 표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경고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부호를 화상으로서 표시하거나, 음성에 의해 경고를 나타내거나, 경고 램프를 점등시키는 수단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식별 데이터에는, 데이터, 커맨드를 암호화할 뿐 아니라, 암호화한 데이터, 커맨드 등을 해독하기 위한 식별 키가 포함되어 있지만, 특별히 포함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식별 데이터와 식별 키를 분리하여 송수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식별 키는, 단일의 식별 키로 데이터의 암포화 및 해독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되고, 암호화 키와 해독 키를 각각 구성할 뿐 아니라, 이 암호화 키와 해독 키를 포함시킨 것을 식별 키로 하여도 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 TV 본체(3)가, 와이어리스 센터(2)의 식별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식별 데이터에 나타나는 와이어리스 센터(2)와 접속하는 구성 이라면, TV 본체(3)와 와이어리스 센터(2)의 접속 처리 모드(S501∼S504, S511∼S515, S521∼S524)의 양태는 변경 가능하고, 동 도면에 나타낸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실시예의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의 통신 페어의 확립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며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각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구성 및 기능에 여러 가지 변경·개량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와이어리스 AV 기기로서 휴대 TV로 하고 있지만, TV 수신기에 한하지 않고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또는 융합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AV 기기로서, VTR(Video Tape Recorder) 외에, HDD나 DVD에 기록하는 기록 재생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PC로 대표되는 정보 기기 기능에 융합된 장치이어도 되고, 모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송수신 데이터의 내용은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TV 본체(3)로서 TV 수신기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튜너와 PC나, 튜너를 사용하는 다른 AV 기기에도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 및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처리부 등의 종류, 설정 정보의 종류·형식 등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HAVi에 준거하는 기기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튜너로서, BS 튜너와 U/V 튜너의 2개의 방송을 예로 들고 있지만, CS 튜너 등 방송의 종류나 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이라는 명칭을 이용했지만, 이것은 설명의 편의상이고, 무선 통신 기기, AV 기기, 방송국 선국 장치 등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무선 통신 장치, 와이어리스 AV 시스템, TV 본체(3), 와이어리스 센터(2)는, 이 무선 통신 장치, 와이어리스 AV 시스템, TV 본체(3), 와이어리스 센터(2)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서도 실현된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기록 매체로서, 메인 메모리 그 자체가 프로그램 미디어이어도 되고, 또한 외부 기억 장치로서 프로그램 판독 장치가 설치되고, 거기에 기록 매체를 삽입함으로써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미디어이어도 된다.
어떠한 경우에든,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CPU가 액세스하여 실행시키는 구성이어도 되고, 혹은 어떤 경우에든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판독된 프로그램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프로그램 기억 에리어에 다운로드되어, 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방식이어도 된다. 이 다운로드용 프로그램은 미리 본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그램 미디어는,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기록 매체로서, 자기 테이프나 카세트 테이프 등의 테이프계,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나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나 CD-ROM/MO/MD/DVD 등의 광 디스크의 디스크계, IC 카드/광 카드 등의 카드계, 혹은 마스크 ROM, EPROM, EEPROM, 플래시 ROM 등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시킨 고정적으로 프로그램을 담지하는 매체이어도 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외부의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가능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통신 접속 수단을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도록, 유동적으로 프로그램을 담지하는 매체이어도 된다.
또, 이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경우에는, 그 다운로드용 프로그램은 미리 본체 장치에 저장해 두거나, 혹은 별도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으로서는 프로그램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은, 1 이상의 송신측 기기와, 1 이상의 수신측 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으로서, 상기 송신측 기기는, 상기 수신측 기기에 대하여 자체 기기의 식별 ID를 발행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신측 기기는, 상기 송신측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식별 ID를 기억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측 기기는, 상기 송신측 기기로부터 식별 ID를 수신하면, 상기 송신측 기기에 접속 확인 커맨드를 송신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측 기기는, 상기 송신측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식별 ID를 표시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측 기기는, 상기 수신측 기 기에 대하여 자체 기기의 식별 ID를 발행할 뿐 아니라, 자체 기기의 기종명을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신측 기기는, 상기 송신측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기종명을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측 기기는, 상기 수신측 기기에 대하여, 자체 기기의 식별 ID를 발행할 뿐 아니라, 유저가 설정한 자체 기기의 이름을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신측 기기는, 상기 송신측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름을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측 기기는, 상기 수신측 기기에 대하여 자체 기기의 식별 ID를 발행한 후, 일정 시간 간격마다 자체 기기의 식별 ID를 포함한 페어 확인용 신호를 상기 수신측 기기에 송신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수신측 기기는, 상기 송신측 기기로부터 수신한 페어 확인용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 ID와, 상기 기억하고 있는 식별 ID를 비교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측 기기는, 상기 송신측 기기로부터 수신한 페어 확인용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 ID와, 상기 기억하고 있는 식별 ID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취지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측 기기는, 상기 수신측 기기에 대하여 자체 기기의 식별 ID를 발행한 후, 일정 기간 내에 상기 수신측 기기로부터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측 기기의 상기 통지 수단은, 소정의 발광 동작을 행하는 LED 발광 장치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 통신 페어를 확립 및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AV 기기 사이에서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통신 페어가 잘못 확립된 경우에는, 유저에게 통지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무선 단말은, 베이스 기기와 접속을 확립하는 무선 단말로서, 베이스 기기로부터, 그 베이스 기기를 특정하는 식별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이 베이스 기기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 수단과, 상기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베이스 기기를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접속처 통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무선 단말은, 베이스 기기로부터 상기 식별 데이터를 취득할 뿐 아니라, 이 베이스 기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있다. 또한, 무선 단말은, 이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를 이용자에게 통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는,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를 특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원하는 베이스 기기와 무선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단말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베이스 기기와의 접속을 요구하는 접속 요구 커맨드를 송신하는 접속 요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확립 수단은, 상기 접속 요구 커맨드에 응답한 베이스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식별 데이터 중, 가장 먼저 수신한 식별 데이터만을 취득하고, 취득한 식별 데이터에 나타나는 베이스 기기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무선 단말이, 베이스 기기에 대하여 상기 접속 요구 커맨드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접속 요구 커맨드에 복수의 베이스 기기가 응답하고, 복수의 베이스 기기가 자체 장치의 식별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무선 단말은, 상기 접속 요구 커맨드에 응답한 베이스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식별 데이터 중, 가장 먼저 수신한 식별 데이터만을 취득하고, 취득한 식별 데이터에 나타나는 베이스 기기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원하는 베이스 기기가 무선 단말에 접속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를 이용자에게 통지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베이스 기기가 무선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응답한 경우이더라도, 이용자는 원하는 베이스 기기와 무선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단말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식별 데이터의 취득 후, 베이스 기기와의 접속의 확립을 나타내는 접속 처리 완료 커맨드를 송신하는 접속 완료 통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베이스 기기가, 무선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구 커맨드에 응답할 뿐 아니라 접속 처리 완료 커맨드를 취득함으로써, 무선 단말과의 접속을 인식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가장 먼저 식별 데이터를 무선 단말에 송신한 베이스 기기만이 무산 단말기와 접속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그 외의 베이스 기기는, 접속되어 있지 않지만,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접속 후의 동작을 행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여기에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베이스 기기가 접속을 인식하여 접속 후의 동작을 행하고 있어도, 이용자는, 상기 접속처 통지 수단에 의해 진정으로 접속되어 있는 베이스 기기를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베이스 기기와 무선 단말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단말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식별 데이터에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키 및 그 암호화한 데이터를 해독하는 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식별 데이터에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키 및 그 암호화한 데이터를 해독하는 키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 기기로부터 식별 데이터를 취득한 무선 단말은, 이 베이스 기기가 상기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암호화한 데이터를 송신하여도, 이 데이터를 해독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기기로부터 이 식별 데이터를 취득한 무선 단말은, 이 식별 데이터에 나타나는 베이스 기기와의 사이에서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또,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키 및 그 암호화한 데이터를 해독하는 키는, 동일한 키이어도 된다. 즉, 동일한 키로 암호화와 해독을 실행하여도 된다. 또한, 암호화하는 키와 해독하는 키를 각각 구성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무선 단말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키 및 암호화한 데이터를 해독하는 키는, 상기 식별 데이터에 나타나는 베이스 기기에 고유한 알고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키 및 암호화한 데이터를 해독하는 키는, 상기 식별 데이터에 나타나는 베이스 기기에 고유한 알고리즘이기 때문에, 이 식별 데이터를 취득한 무선 단말은, 이 식별 데이터로 나타나는 베이스 기기와의 사이에서, 유니크한 접속 상태를 확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단말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처 통지 수단은, 상기 식별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OSD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무선 단말은,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할 뿐 아니라, 이 표시부에 OSD로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의 식별 데이터를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감상하면서,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베이스 기기는,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하여, 상기 식별 데이터를 송신하는 식별 데이터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로부터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가 이용자에게 통지되기 때문에, 원하는 베이스 기기와 무선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와이어리스 시스템은, 상기 무선 단 말과,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하여, 상기 식별 데이터를 송신하는 식별 데이터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기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로부터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가 이용자에게 통지되기 때문에, 원하는 베이스 기기와 무선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와이어리스 시스템은, 베이스 기기와 무선 단말로 구성되는 와이어리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베이스 기기로부터, 그 베이스 기기를 특정하는 식별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이 베이스 기기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 수단과, 이용자로부터의 지시의 입력에 의해,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하는 제1 접속 확인 모드 이행 수단과, 접속 확인 모드의 이행 후, 접속 확인을 위한 접속 확인 커맨드를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로부터 취득하는 접속 확인 수단과, 접속 확인 모드의 이행 후, 상기 접속 확인 수단이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소정 시간 내에 취득하지 못한 경우, 이용자에게 경고를 행하는 경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기는, 그 베이스 기기를 특정하는 식별 데이터를 송신하는 식별 데이터 송신 수단과, 이용자로부터의 지시의 입력에 의해,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하는 제2 접속 확인 모드 이행 수단과,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하면,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송신하는 접속 확인 커맨드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무선 단말은, 베이스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식별 데이터를 취득하면, 이 베이스 기기와 접속을 확립할 수 있는데, 무선 단말이 어떠 한 요인으로 이 식별 데이터를 취득하지 못한 경우, 무선 단말과 베이스 기기의 접속은 확립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이용자의 지시에 의해 무선 단말 및 베이스 기기를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시키면,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한 베이스 기기는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무선 단말은, 이 접속 확인 커맨드로 이행한 베이스 기기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취득할 수 있지만, 이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한 베이스 기기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취득할 수 없다.
따라서, 접속 확인 모드의 이행 후의 무선 단말이,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한 베이스 기기로부터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소정 시간 내에 취득하지 못한 경우, 이용자에게 경고를 행하게 하면, 경고를 받은 이용자는,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한 베이스 기기와 무선 단말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용자는, 원하는 베이스 기기 및 무선 단말을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시키면, 원하는 베이스 기기와 무선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와이어리스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무선 단말은, 베이스 기기와의 접속을 요구하는 접속 요구 커맨드를 송신하는 접속 요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기는, 상기 접속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식별 데이터를 송신하는 식별 데이터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확립 수단은, 상기 접속 요구 커맨드에 응답한 베이스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식별 데이터 중, 가장 먼저 수신한 식별 데이터만을 취득하고, 취득한 식별 데이터에 나타나는 베이스 기기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무선 단말이, 베이스 기기에 대하여 상기 접속 요구 커맨드를 송신하고, 베이스 기기가, 이 접속 요구 커맨드를 수신하면, 상기 식별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여기에서, 무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접속 요구 커맨드에 복수의 베이스 기기가 응답하고, 복수의 베이스 기기가 자체 장치의 식별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무선 단말은, 상기 접속 요구 커맨드에 응답한 베이스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식별 데이터 중, 가장 먼저 수신한 식별 데이터만을 취득하고, 취득한 식별 데이터에 나타나는 베이스 기기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원하는 베이스 기기가 무선 단말에 접속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여기에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베이스 기기가 무선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응답한 경우이더라도, 원하는 베이스 기기 및 무선 단말을 접속 확립 모드로 이행시키면, 원하는 베이스 기기와 무선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리스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식별 데이터의 취득 후, 베이스 기기와의 접속의 확립을 나타내는 접속 처리 완료 커맨드를 송신하는 접속 완료 통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기는, 상기 접속 완료 커맨드를 수신하면, 무선 단말과의 접속을 인식하는 접속 인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베이스 기기가, 무선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구 커맨드에 응답할 뿐 아니라 접속 처리 완료 커맨드를 취득함으로써, 무선 단말과의 접속을 인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가장 먼저 식별 데이터를 무선 단말에 송신한 베이스 기기만이 무산 단말기와 접속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그 외의 베이스 기기는, 접속되어 있지 않지만,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접속 후의 동작을 행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여기에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베이스 기기가 접속을 인식하여 접속 후의 동작을 행하고 있어도, 이용자는, 원하는 베이스 기기 및 무선 단말을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시키면, 원하는 베이스 기기와 무선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리스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식별 데이터에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키 및 그 암호화한 데이터를 해독하는 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식별 데이터에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키 및 그 암호화한 데이터를 해독하는 키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 기기로부터 식별 데이터를 취득한 무선 단말은, 이 베이스 기기가 상기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암호화한 데이터를 송신하여도, 이 데이터를 해독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기기로부터 이 식별 데이터를 취득한 무선 단말은, 이 식별 데이터에 나타나는 베이스 기기와의 사이에서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리스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 키 및 암호화한 데이터를 해독하는 키는, 상기 식별 데이터에 나타나는 베이스 기기에 고유한 알고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키 및 암호화한 데이터를 해독하는 키는, 상기 식별 데이터에 나타나는 베이스 기기에 고유한 알고리즘이기 때문에, 이 식별 데이터를 취득한 무선 단말은, 이 식별 데이터로 나타나는 베이스 기기와의 사이에서, 유니크한 접속 상태를 확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리스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경고 수단은, 상기 표시부에 OSD로 경고를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무선 단말은,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할 뿐 아니라, 이 표시부에 OSD로 경고를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감상하면서, 원하는 베이스 기기와 무선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단말은, 상기 와이어리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와이어리스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 기기는, 상기 와이어리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와이어리스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무선 단말 또는 베이스 기기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하여도 되고, 이 경우에는, 컴퓨터를 상기 각 수단으로서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 또는 베이스 기기를 컴퓨터에서 실현시키는 무선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도, 본 발명의 범주에 들어간다.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개시된 각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의 항에서 이룬 구체적인 실시 양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분명히 하는 것으로서, 그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 청구 사항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리스 시스템은,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분리형의 와이어리스 TV 수신기와 같은 가정내 AV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합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전화기/PHS(등록 상표)(Personal Handy-Phone System)나 휴대 정보 단말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무선 통신 기기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Claims (23)

  1. 베이스 기기에 접속되면, 상기 베이스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단말로서,
    베이스 기기와의 접속을 요구하는 접속 요구 커맨드를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하는 접속 요구 수단과,
    상기 접속 요구 커맨드에 응답한 베이스 기기로부터 송신됨과 함께 상기 베이스 기기를 특정하는 식별 데이터 중, 가장 먼저 수신한 식별 데이터만을 취득하고, 취득한 식별 데이터에 나타나는 베이스 기기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 수단과,
    상기 식별 데이터를 취득하면, 베이스 기기에 접속 완료를 인식시키는 접속 처리 완료 커맨드를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하는 접속 완료 통지 수단과,
    상기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베이스 기기를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접속처 통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데이터에는, 데이터의 암호화 및 상기 암호화한 데이터의 해독을 행하는 식별키가 포함되고, 상기 식별키는 베이스 기기 마다에 고유한 알고리즘이고,
    취득한 식별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키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해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처리 완료 커맨드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접속 완료를 인식한 베이스 기기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에 송신되는 영상 데이터 및/또는 음성 데이터는, 해당 베이스 기기의 식별키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데이터에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키 및 그 암호화한 데이터를 해독하는 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키 및 암호화한 데이터를 해독하는 키는, 상기 식별 데이터에 나타나는 베이스 기기에 고유한 알고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처 통지 수단은, 상기 식별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OSD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7. 제1항의 무선 단말로부터 상기 접속 요구 커맨드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하여 상기 식별 데이터를 송신하는 식별 데이터 송신 수단과,
    상기 접속 처리 완료 커맨드를 수신하면, 접속 완료를 인식하고, 상기 무선 단말에 영상 데이터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기.
  8. 제1항의 무선 단말과, 제7항의 베이스 기기를 포함하는 와이어리스 시스템.
  9. 제1항의 무선 단말을 동작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를 상기 무선 단말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무선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0. 삭제
  11. 베이스 기기와 무선 단말을 포함하는 와이어리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베이스 기기로부터, 해당 베이스 기기를 특정하는 식별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이 베이스 기기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 수단과,
    이용자로부터의 지시의 입력에 의해,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하는 제1 접속 확인 모드 이행 수단과,
    접속 확인 모드의 이행 후, 접속 확인을 위한 접속 확인 커맨드를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로부터 취득하는 접속 확인 수단과,
    접속 확인 모드의 이행 후, 상기 접속 확인 수단이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소정 시간 내에 취득하지 못한 경우, 이용자에게 경고를 행하는 경고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기는,
    해당 베이스 기기를 특정하는 식별 데이터를 송신하는 식별 데이터 송신 수단과,
    이용자로부터의 지시의 입력에 의해,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하는 제2 접속 확인 모드 이행 수단과,
    접속 확인 모드로 이행하면, 상기 접속 확인 커맨드를 송신하는 접속 확인 커맨드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베이스 기기와의 접속을 요구하는 접속 요구 커맨드를 송신하는 접속 요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기는, 상기 접속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식별 데이터를 송신하는 식별 데이터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확립 수단은, 상기 접속 요구 커맨드에 응답한 베이스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식별 데이터 중, 가장 먼저 수신한 식별 데이터만을 취득하고, 취득한 식별 데이터에 나타나는 베이스 기기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식별 데이터의 취득 후, 베이스 기기와의 접속의 확립을 나타내는 접속 처리 완료 커맨드를 송신하는 접속 완료 통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기는, 상기 접속 완료 커맨드를 수신하면, 무선 단말과의 접속을 인식하는 접속 인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시스템.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데이터에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키 및 그 암호화한 데이터를 해독하는 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키 및 암호화한 데이터를 해독하는 키는, 상기 식별 데이터에 나타나는 베이스 기기에 고유한 알고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시스템.
  16.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접속처의 베이스 기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경고 수단은, 상기 표시부에 OSD로 경고를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시스템.
  17.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와이어리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단말.
  18.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와이어리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베이스 기기.
  19.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와이어리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단말을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상기 무선 단말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무선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0. 삭제
  21.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와이어리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베이스 기기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상기 베이스 기기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베이스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2. 삭제
  2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데이터에는, 데이터의 암호화 및 그 암화화한 데이터의 해독을 행하는 식별키가 포함되고, 상기 식별키는 베이스 기기 마다에 고유한 알고리즘이고,
    상기 송신하는 수단은, 상기 식별키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기기.
KR1020057019756A 2003-04-17 2004-04-13 무선 단말, 베이스 기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무선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베이스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725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12770 2003-04-17
JP2003112770 2003-04-17
JPJP-P-2004-00114698 2004-04-08
JP2004114698A JP3667744B2 (ja) 2003-04-17 2004-04-08 無線端末、ベース機器、ワイヤレスシステム、無線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ベース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738A KR20050121738A (ko) 2005-12-27
KR100725892B1 true KR100725892B1 (ko) 2007-06-08

Family

ID=3330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756A KR100725892B1 (ko) 2003-04-17 2004-04-13 무선 단말, 베이스 기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무선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베이스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45966B2 (ko)
EP (1) EP1617596A4 (ko)
JP (1) JP3667744B2 (ko)
KR (1) KR100725892B1 (ko)
WO (1) WO20040933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0235B2 (en) 2012-11-15 2015-09-08 Lg Chem, Lt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wireless char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1184B2 (ja) 2004-10-29 2010-02-10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放送局同期方法、及び携帯端末機
JP4207900B2 (ja) 2004-12-22 2009-01-14 ソニー株式会社 リモコン・システム、リモート・コマンダ、並びにリモコン・サーバ
US8154601B2 (en) 2005-03-10 2012-04-10 Panasonic Corporation Television receiving system
JP4682052B2 (ja) 2006-02-10 2011-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通信システム
JP4886463B2 (ja) 2006-10-20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パラメータ設定方法、通信装置及び通信パラメータを管理する管理装置
JP4626701B2 (ja) * 2008-10-21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5902079B2 (ja) * 2012-12-07 2016-04-1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および端末装置
US10757632B2 (en) * 2013-09-30 2020-08-25 Qualcomm Incorpora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 identifier for non-mobile network operator networks
CN105898250A (zh) * 2014-12-23 2016-08-24 中国人民解放军装甲兵工程学院 一种用于室内无线光通信的光信息场模块
CN105898249A (zh) * 2014-12-23 2016-08-24 中国人民解放军装甲兵工程学院 基于光信息场的室内视频信号无线光通信系统
JP7001497B2 (ja) * 2018-03-01 2022-01-19 セイコ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決済端末、決済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0301A (ko) * 1997-12-17 2001-05-15 이시가끼 요시오 통신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7817A (ja) 1990-07-16 1992-03-11 Hitachi Ltd 情報処理システム
JPH05235845A (ja) 1992-02-20 1993-09-10 Oki Electric Ind Co Ltd 端末収容方式
JPH0746662A (ja) 1993-07-29 1995-02-14 Sony Corp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US5819173A (en) * 1996-04-30 1998-10-06 At&T Wireless Services, Inc. Dynamically reconfigurable wireless communicator
US6636489B1 (en) * 1997-11-03 2003-10-21 Bell South Wireless Data. L.P. Wireless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for an automated over-the-air managing proces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E69942712D1 (de) 1998-05-29 2010-10-14 Texas Instruments Inc Sichere Rechnervorrichtung
FI108267B (fi) * 1999-03-16 2001-12-14 Nokia Corp Tietojenvälitysmenetelmä
KR100350607B1 (ko) * 1999-03-31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과 통신시스템
US6920479B2 (en) * 1999-06-16 2005-07-19 Im Networks, Inc. Internet radio receiver with linear tuning interface
JP2001134618A (ja) * 1999-08-26 2001-05-18 Naoyuki Kageyama 携帯情報システム
US7403510B1 (en) * 1999-11-10 2008-07-22 Fujifilm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nd connected destination selection method in wireless LAN
JP4022683B2 (ja) * 1999-11-10 2007-12-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無線lanの接続先選択方法
US20020016776A1 (en) * 2000-03-24 2002-02-07 Chorng-Yeong Chu Distributing digital content
JP3456189B2 (ja) * 2000-03-31 2003-10-14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
AU5250301A (en) 2000-04-18 2001-10-30 Mobilian Israel Ltd. Wireless video distribution
JP4161159B2 (ja) 2000-08-03 2008-10-0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端末および受信品質レベル表示方法
US6954615B2 (en) * 2000-07-25 2005-10-11 Sony Corporation Display terminal
JP3756741B2 (ja) * 2000-08-21 2006-03-15 株式会社東芝 情報交換装置およびキャッシュレジスタ装置
JP2002150339A (ja) 2000-08-31 2002-05-24 Hitachi Ltd 自動取引き装置
US20020062467A1 (en) * 2000-11-22 2002-05-23 Hunzinger Jason F. System and method for reliable billing of content delivered over networks
SE0004326D0 (sv) * 2000-11-24 2000-11-24 Ericsson Telefon Ab L M Base station identification
JP2002215483A (ja) 2001-01-15 2002-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制御システム並びに、機器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コントローラ及びデバイス
GB2377574A (en) 2001-07-12 2003-01-15 Graeme Roy Smith Modular software/firmware definable video server
JP3449366B2 (ja) * 2001-07-26 2003-09-22 株式会社デンソー 無線通信端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基地局識別番号の送信方法
GB2392801B (en) * 2001-11-05 2005-08-17 Nokia Corp A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base stations and for checking measurement values of an observed time difference between transmissions from base stations
US7313375B2 (en) * 2002-05-02 2007-12-25 Lucent Technologies Inc. Follow-me broadcast reception method and system
US20030232593A1 (en) * 2002-06-13 2003-12-18 Nokia Corporation Digital data transfer through different communication paths
KR100968457B1 (ko) * 2003-05-14 2010-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0301A (ko) * 1997-12-17 2001-05-15 이시가끼 요시오 통신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0235B2 (en) 2012-11-15 2015-09-08 Lg Chem, Lt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wireless char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17596A1 (en) 2006-01-18
WO2004093389A1 (ja) 2004-10-28
KR20050121738A (ko) 2005-12-27
EP1617596A4 (en) 2008-03-19
US20070127408A1 (en) 2007-06-07
JP2004336722A (ja) 2004-11-25
JP3667744B2 (ja) 2005-07-06
US8045966B2 (en) 201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099B1 (ko) 단말 장치, 센터 장치, 통신 시스템,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센터 장치의 제어 방법, 단말 장치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센터 장치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734993B1 (ko) 무선 단말기, 베이스 기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무선 단말기의 제어 방법, 무선 단말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792987B1 (ko) 송신기, 수신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제어 방법, 제어프로그램 및 그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725892B1 (ko) 무선 단말, 베이스 기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무선 단말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베이스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705523B1 (ko) 와이어리스 제어 시스템, 제어 기기, 피제어 기기, 기기의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3621407B2 (ja) 送信機、受信機、ワイヤレスシステム、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4343725A (ja) 無線通信装置、ワイヤレスavシステム並びに動作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024776B2 (ja) 無線端末、ワイヤレスシステム、無線端末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0444567C (zh) 无线终端、基站设备、无线系统
JP3699105B2 (ja) 送信機、受信機、ワイヤレスシステム、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327001B2 (ja) 無線端末、ワイヤレスシステム、無線端末の制御方法、無線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642374B2 (ja) ワイヤレスav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データ通信装置
JP2004343723A (ja) ワイヤレスavシステム
JP2004320762A (ja) 無線通信装置、ワイヤレスavシステム並びに動作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336731A (ja) 端末装置、センタ装置、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の制御方法、センタ装置の制御方法、端末装置制御プログラム、センタ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037384B2 (ja) 無線通信装置、ワイヤレスavシステム、無線伝送方法並びに動作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