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6727A -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6727A
KR20060016727A KR1020050007102A KR20050007102A KR20060016727A KR 20060016727 A KR20060016727 A KR 20060016727A KR 1020050007102 A KR1020050007102 A KR 1020050007102A KR 20050007102 A KR20050007102 A KR 20050007102A KR 20060016727 A KR20060016727 A KR 20060016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camera
circuit board
camera modul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1776B1 (ko
Inventor
가지와라요시후미
가토요시아키
하야카와나리야스
이시오카도시카즈
사카시타히로아키
혼고마나브
히즈카히데히코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6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등, 전화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의 부착을 강구함으로써 다기능화와 소형화를 높은 차원에서 양립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샤시와, 렌즈 및 촬상 소자를 갖춘 카메라 모듈(126)과, 샤시에 중첩되어 그 샤시에 고정되는 회로 기판과, 카메라 모듈을 지지하여 회로 기판에 그 회로 기판과 함께 샤시에 고정되는 카메라 홀더(150)로서, 카메라 모듈이 들여다보이는 개구와, 그 개구를 둘러싸 직립 설치되고 카메라 모듈 측면을 둘러싸 지지하는 벽부를 갖는 카메라 홀더를 구비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PORTABLE TERMINAL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일실시예인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일실시예인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일실시예인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일실시예인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1∼도 4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의 상측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도 4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의 상측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아웃카메라와 아웃카메라 홀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아웃카메라 및 아웃카메라 홀더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조립체와 회로 기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된 카메라 조립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화살표 B-B를 따른 단면도.
도 11은 카메라 조립체가 탑재된 상태의 회로 기판과 그 회로 기판이 고정되 는 샤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샤시에 회로 기판을 탑재한 조립체의 사시도.
도 13은 도 5, 도 6에 도시하는 조립체의 내측 커버 측을 향한 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는 도 3에 도시하는 원 A 내부의 확대 평면도.
도 15는 도 1∼도 4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의 하측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도 4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의 하측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하측 본체를 구성하는 외측 커버의 내측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은 하측 본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하는 화살표 A-A를 따른 단면도.
도 20은 도 18에 도시하는 화살표 B-B를 따른 단면도.
도 21은 하측 본체를 구성하는 내측 커버를 더욱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2는 푸쉬 버튼 시트를 프레임에 중첩한 상태의 내측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하측 본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하는 화살표 A-A를 따른 단면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하는 원 R1의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도 26은 도 23에 도시하는 화살표 B-B를 따른 단면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하는 원 R2의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 전화기
100 : 상측 본체
101 : 표시창
102 : 푸쉬 버튼
103 : 수화구
104 : 촬영창
105 : 표시창
106 : 촬영창
107 : 점등부
110 : 내측 커버
120 : 조립체
121 : 액정 표시 화면
122 : 접점
123 : 리시버
124 : 인카메라
125 : 액정 표시 화면
126 : 아웃카메라
127 : LED
130 : 외측 커버
140 : 카메라 조립체
150 : 아웃카메라 홀더
160 : 회로 기판
161 : 개구
170 : 샤시
178 : 차양부
188 : 커넥터
189 : 리드선
200 : 하측 본체
201 : 푸쉬 버튼
201a, 201b : 통화 버튼
202 : 송화구
203 : 발음구
204 : 발음구
205 : 배터리 수용부
210 : 내측 커버
210A : 통화 버튼
201B : 통화 버튼
211 : 메쉬
212 : 가스켓
214 : 마이크로폰
218, 219 : 차광벽
220, 221 : 조립체
222, 222a, 222b : LED
223 : 차광벽
224 : 스피커
227 : 스피커 수용부
228 : 공간
230 : 외측 커버
231 : 메쉬
232 : 가스켓
233 : 개구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등, 전화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 장치가 눈부시게 발전해 오고 있으며, 점점 더 다기능화, 소형화, 경량화가 추구되고 있다.
다기능화의 면에서는, 최근에는 휴대 전화기에 고화소의 디지털 카메라가 탑 재되어 있는 것이 당연시되어 오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휴대 단말 장치에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2대의 카메라를 탑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4-64575호 공보
여기서,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 장치에는 한층 더 소형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부품의 소형화, 고밀도 실장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 경우에, 그와 같은 소형화 고밀도 실장화가 진행된 휴대 전화기 등에 카메라를 어떻게 탑재할지가 문제가 된다.
휴대 전화기 등에 탑재된 카메라는 렌즈와 촬상 소자가 내장된 카메라 모듈(혹은 카메라 유닛)이라 불리는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이 카메라 모듈은 렌즈와 촬상 소자의 상대 위치가 고정밀도로 유지될 필요가 있는 등의 정밀 부품이기 때문에, 그 카메라 모듈을 휴대 전화기 내에 탑재함에 있어서는 샤시(혹은 프레임)라 불리는, 전형적으로는 금속 다이캐스트제의, 용이하게 변형 등을 일으키지 않는 강한 강도를 지닌 판형의 부재이며, 더구나 그 부재에 카메라 모듈을 확실히 고정하기 위한 전용 프레임을 형성하여, 그 프레임에 카메라 모듈이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전술한 특허 문헌에도 카메라 모듈을 샤시에 고정하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
그런데 다기능화가 진행되어, 그 샤시에도, 예컨대 액정 표시 화면이 2개 탑재되고, 플렉시블 기판(flexible substrate)도 고정되는 등, 여러 가지 부품이 내장되게 되고 있고, 이 때문에 샤시에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기 위한 프레임을 설치 하면, 그 프레임이, 예컨대 플렉시블 기판 등의 배선의 방해가 되는 등, 샤시에 카메라 모듈을 고정하는 것이 어렵워지고 있다.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데 샤시를 대형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샤시 자체에 있어서도 소형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카메라 모듈의 부착을 강구한,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전화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샤시와,
렌즈 및 촬상 소자를 갖춘 카메라 모듈과,
샤시에 중첩되어 그 샤시에 고정되는 회로 기판과,
카메라 모듈을 지지하여 회로 기판과 함께 샤시에 고정되는 카메라 홀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카메라 모듈을 지지하여 회로 기판과 함께 샤시에 고정되는 카메라 홀더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은 이 카메라 모듈을 샤시에 직접 고정하는 경우에 필요한 샤시에 설치되는 프레임 등이 불필요 하게 되어, 샤시 위에 플렉시블 기판(flexible substrate) 등이 넓게 펼쳐져 있더라도 고정밀도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카메라 모듈 배치용의 창부(窓部)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카메라 홀더는 카메라 모듈을 지지하 고 카메라 모듈을 그 회로 기판의 개구로부터 들여다보이는 위치에 배치하여 그 회로 기판과 함께 샤시에 고정되는 것이라도 좋다.
여기서, 상기 창부는 상기 회로 기판에 설치된 개구라도 좋고, 혹은 절결부 등이라도 좋다.
상기 회로 기판에 상기 창부를 설치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렌즈 전면의 시계(視界)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시는 회로 기판이 그 샤시에 중첩된 상태에서, 카메라 홀더에 지지된 카메라 모듈의 배면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시가 카메라 모듈의 배면을 지지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홀더에 지지되는 동시에 그 배면이 샤시에 의해서도 지지되어 한층 더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홀더는 카메라 모듈이 들여다보이는 개구와, 그 개구를 둘러싸며 직립 설치되고, 카메라 모듈 측면을 둘러싸서 지지하는 벽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벽부를 설치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카메라 홀더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카메라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견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시는 회로 기판이 샤시에 중첩된 상태에 있어서의 카메라 모듈의 배면 부분으로 넓게 펼쳐지는 플렉시블 기판을 지지하는 것이라도 좋고, 상기 샤시는 회로 기판이 중첩되는 측의 면에 대한 안쪽의 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과, 조작 버튼에 의해 온(on)/오프(off)되는 접점이 탑재된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카메라 모듈을 샤시에 직접 고정하는 대신에 카메라 홀더를 개재시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샤시에는 플렉시블 기판이나 접점 등을 배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4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일실시예인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여기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는 폴더식의 것으로, 도 1은 개방 상태의 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개방 상태의 외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닫은 상태의 상측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닫은 상태의 하측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휴대 전화기(10)는 서로 회동이 자유롭게 피봇 지지된 상측 본체(100)와 하측 본체(200)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본체(100)의 내측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배치된 액정 표시 화면을 알아보기 위한 큰 표시창(101)이 중앙에 전개되어 있고, 그 표시창(101)의 아래쪽에는 3개의 푸쉬 버튼(102)이 배열되어 있다. 또한, 그 표시창(101)의 위쪽에는 거기에 귀를 대고서 음성을 알아듣기 위한 수화구(103)와, 그 가로로 내측을 향한 디지털 카메라(여기서는, 이 디지털 카메라를, 내측으로 향하고 있으므로「인카메라」라 부름)가 들여다보이는 촬영창(10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상측 본체(100)의 외측면에는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앙부에, 내부에 배치된 또 하나의 액정 표시 화면을 알아보기 위한 표시창(105)이 구비되어 있고, 그 표시창(105)보다도 하측 본체(200)와 연결된 힌지 측에, 또 하나의 디지털 카메라(여기서는, 이 디지털 카메라를, 외측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아웃 카메라」라 부름)가 들여다보이는 촬영창(106)과, 내부의 LED가 발광함으로써 점등하여 전화 착신 등을 알리는 점등부(10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 본체(200)의 내측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열된 다수의 푸쉬 버튼(201)과, 이들 푸쉬 버튼(201)의 아래쪽에 사용자의 소리를 받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이 내부에 배치된 송화구(20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본체(100)와 연결하는 하측 본체(200)의 힌지부 근방에는 내부에 배치된 스피커로부터의 음성을 내는 발음구(20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발음구(203)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커는 하측 본체(200)의 외측을 향하고 있고, 따라서 이 발음구(203)는 그 스피커의 배면측에 설치된 발음구이다.
또한, 하측 본체(200)의 외측면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피커 전면으로부터의 음성을 내는 또 하나의 발음구(204)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배터리가 수용된 배터리 수용부(205)가 설치되어 있다.
도 5, 도 6은 도 1∼도 4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의 상측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상측 본체(100)는 내측 커버(110)와, 조립체(120)와, 외측 커버(130)로 구성되어 있고, 다수의 부품이 내장된 조립체(120)를 내측 커버(110)와 외측 커버 (130)에 사이에 끼우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체(120)에는 내측 커버(110)의 표시창(101)의 내측의 위치에 액정 표시 화면(121)이 구비되어 있고, 내측 커버(110)의 수화구(103)의 내측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음성 신호의 입력을 받아 발음하는 리시버(123)가 배치되고, 내측 커버(110)의 촬영창(104)의 내측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인카메라(12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립체(120)의 내측 커버(110)에 구비된 3개의 푸쉬 버튼(102)의 내측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푸쉬 버튼(102)을 누름으로써 온/오프되는 접점(12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체(120)의 외측 커버(130)의 표시창(105), 촬영창(106) 및 점등부(107)의 내측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각각 액정 표시 화면(125), 아웃카메라(126) 및 LED(127)가 배치되어 있다.
조립체(120)에는 상기한 각 부품 외에도 다수의 전자 회로 부품 등이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그 상측 본체(100)를 구성하는 조립체(120)의 구조에 관해서, 아웃카메라(126)의 장착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아웃카메라와 아웃카메라 홀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7a는 아웃카메라와 아웃카메라 홀더를 따로따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b는 아웃카메라를 아웃카메라 홀더에 수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아웃카메라(126)에는 도시되지 않은 렌즈와 촬상 소자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 아웃카메라(126)에는 그 촬상 소자에 의해 얻어진 화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배선을 갖는 플렉시블 기판(141)이 접속되어 있고, 또한 그 플렉시블 기판(141)에는 커넥터(142)가 탑재되어 있다. 이 아웃카메라(126)는 도 7에서는 하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아웃카메라 홀더(150)에는 그 중앙에, 아웃카메라(126)가 들여다보이는 개구(15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151)를 둘러싸는 벽부(152)가 직립 설치되어 있다. 아웃카메라(126)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벽부(152)에 둘러싸인 부분에 수용되며, 상기 벽부(152)가 아웃카메라(126) 측면을 둘러싸서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카메라 홀더(150)는 양측에 2개의 아암부(153)가 연장되어 있으며 이들 2개의 아암부(153)의 선단에 장착 구멍(154)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아웃카메라 및 아웃카메라 홀더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조립체와 회로 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아웃카메라와 아웃카메라 홀더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조립체와 회로 기판을 따로따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카메라 조립체를 회로 기판 상에 내장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회로 기판(160)에는 아웃카메라 배치용의 개구(161)와 장착 구멍(162, 163, 164)과, 위치 결정용 구멍(16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회로 기판(160)에는 개구(161) 대신에, 예컨대 이 개구(161)가 회로 기판(160)의 한 변까지 펼쳐진 절결부 등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다만, 여기서는 회로 기판(160)에는 개구(1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여기서, 장착 구멍(162)은 카메라 조립체(140)를 아웃카메라(126)가 개구 (161)로부터 들여다보이도록 배치했을 때, 아웃카메라 홀더(150)의 장착 구멍(154)과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126)은 카메라 조립체(140)를 회로 기판(160) 상에 배치함에 있어서, 도 8a에 화살표 x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161)를 빠져나가게 하여 회로 기판(160)의 이면을 지나 배치된다.
도 9는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된 카메라 조립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화살표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에는 아웃카메라(126)로부터 연장되는 플렉시블 기판(141)이 회로 기판(160)의 개구(161)를 빠져나가 회로 기판(160)의 이면을 통과하고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카메라 조립체가 탑재된 상태의 회로 기판과 이 회로 기판이 고정되는 샤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1a는 상기 회로 기판과 샤시를 따로따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는 샤시에 회로 기판을 탑재한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샤시에 회로 기판을 탑재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샤시(170)는 마그네슘 합금의 다이캐스트로 만들어져 있다. 이 샤시(170)에는 벽(171)이 직립 설치되어 있고, 또한 나사 구멍(172), 장착 구멍(173), 나사 구멍(181) 및 위치 결정용 돌기(18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샤시(170)에는 표면과 이면을 관통하는 가늘고 긴 슬릿(17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샤시(170)의, 도 11a에 도시하는 면에 대한 안쪽의 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접점(122)이 구비되어 있고, 이 3개의 접점(122)에 접속된 플렉시 블 기판(175)이 상기 슬릿(174)을 지나 샤시(170)의 도 11에 도시하는 측의 면까지 전개되고 있다. 또한, 이 플렉시블 기판(175)은 슬릿(174)을 지나지 않고서, 회로 기판(160) 측으로도 연장되고 있다.
또한, 이 샤시(170)에는 리시버(123)(도 5 참조)를 고정하기 위한 리시버 고정부(176), 인카메라(도 5 참조)를 배치하는 인카메라 배치부(177) 및 후술하는 그 샤시(170)의 본체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차양부(178)가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160)은 도 11a에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이, 도 11a에 도시하는 측의 면이 샤시(170)의, 역시 도 11a에 도시하는 측의 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샤시(170)에 중첩된다. 샤시(170)에 형성된 2개의 나사 구멍(172)은 회로 기판(160)에 형성되는 2개의 장착 구멍(162) 및 아웃카메라 홀더(150)에 형성된 2개의 장착 구멍(154)과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샤시(170)에 형성된 장착 구멍(173), 나사 구멍(181) 및 위치 결정용 돌기(182)는 회로 기판(160)에 형성된 장착 구멍(163), 장착 구멍(164) 및 위치 결정용 구멍(165) 각각에 대응하고 있으며, 이 샤시(170)에 회로 기판이 중첩되면, 회로 기판(160)의 위치 결정용 구멍(165)에 샤시(170)의 위치 결정용 돌기(182)가 들어가, 도 11b에 도시된 나사(183, 184)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160)이 샤시(170)에 나사식으로 고정된다. 이 때, 아웃카메라 홀더(150)도 회로 기판(160)과 함께 샤시(170)에 나사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아웃카메라 홀더(150)에 끼워져 들어간 아웃카메라(126)는 그 배면이 샤시(170)에 플렉시블 기판(175)을 사이에 둔 상태로 지지된다. 이와 같이, 아웃카메라(126)는 아웃카메라 홀더(150)에 지지되는 동시에 샤시(170)에도 직접 지지되어, 아웃카메라 (126)를 샤시(170)에 직접 고정한 경우와 같은 정도로 확실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아웃카메라 홀더(150)의 장착 구멍(154)의 치수를 약간 크게 해 두어, 아웃카메라(126)의 장착 위치나 자세(각도)를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해 놓더라도 좋다.
샤시(170)에 나사식으로 고정된 회로 기판(160)의 장착 구멍(162, 164) 이외의 장착 구멍(163) 및 샤시(170)의 장착 구멍(173, 179) 중의 장착 구멍(173)은 회로 기판(160)과 샤시(170)가 중첩된 후, 내측 커버(110)의 나사 구멍(109)(도 6 참조)에 나사식으로 고정되고, 샤시(170)의 장착 구멍(179)은 내측 커버(110)의 장착 구멍(108)(도 5 참조)으로부터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외측 커버(130)의 나사 구멍(139)에 나사식으로 고정된다.
도 11 및 도 12에는 리시버(123)나 인카메라(124)(도 5 참조)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리시버(123)는 샤시(170)의 리시버 고정부(176)에 고정되고, 인카메라(124)는 샤시(170)의 인카메라 배치부(177)에 배치된다. 이 인카메라 배치부(177)는 중앙에 인카메라가 들여다보이는 개구(177a)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주변에 직립 설치한 벽(177b)이 형성되어 있고, 인카메라(124)는 이 샤시(170)의 인카메라 배치부(177)에 배치됨으로써, 샤시(170)에 직접 강고히 유지된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샤시(170)의 벽(171)으로 둘러싸인 영역에는 이 샤시(170)에 중첩된 회로 기판(160)의 위에서부터 외측 커버(130) 쪽으로 향한 액정 표시 화면(도 6 참조)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샤시(170)에 회로 기판(160)이 중첩되고, 또한 필요한 부품이 탑재되어,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조립체(120)가 구성된다.
이 조립체(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커버(110)와 외측 커버(130)에 의해 끼워진 상태로 조립할 수 있어, 이 휴대 전화기의 상측 본체(100)가 구성된다.
도 13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조립체(120)의 내측 커버(110) 쪽을 향한 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3에 도시하는 원 A 내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3에는 샤시(170)에 고정된 액정 표시 화면(121), 3개의 접점(122), 리시버(123) 및 인카메라(124) 등이 도시되어 있다.
리시버(123)로부터는 이 리시버(123)에 음성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리드선(189)이 뻗어 있고, 이 리드선(189)의 선단에 커넥터(188)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188)는 회로 기판(160) 상의 커넥터(169)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리드선(180)은 그 선단의 커넥터(188)를 회로 기판(160) 상의 커넥터(169)에 끼워 맞추는 조립 작업의 편의를 위해, 어느 정도 여유가 있는 길이로 되어 있으며, 이 리드선(180)이 만일 액정 표시 화면(121) 위에 올려진 채로 그 후의 조립 작업이 이루어지면 조립 불량이 된다. 그래서 여기서는, 리시버(123)를 고정하는 샤시(170)에 리드선(189)의 배선 위치를 규제하는, 돌출된 차양부(178)를 설치하여 리드선(189)을 이 차양부(178)로 누르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러한 차양부(178)를 설치함으로써, 리드선(189)을 조립의 방해가 되지 않는 올바른 위치에 배선할 수 있다.
다음에, 여기서 설명하고 있는 휴대 전화기(10)의 하측 본체(200)(도 1 및 도 2 참조)의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도 4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의 하측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하측 본체(200)도 지금까지 설명하여 온 상측 본체(100)(도 5 및 도 6 참조)와 마찬가지로 내측 커버(210)와, 조립체(220)와, 하측 커버(230)로 구성되어 있고, 다수의 부품이 내장된 조립체(220)를 내측 커버(210)와 외측 커버(230) 사이에 끼우는 구조로 되어 있다.
조립체(220)는 전체적으로 판형을 이루고 있으며, 내측 커버(210)에 구비된 다수의 푸쉬 버튼(201) 각각에 대응한 위치에 푸쉬 버튼 누름에 의해 온으로 되는 접점(221)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이들 푸쉬 버튼(201)을 점등시키기 위한 다수의 LED(222)가 분산 배치되어 있다. 이들 다수의 LED(222) 중의 하나의 LED(222a)는 다수의 푸쉬 버튼(201) 중의 종전의 전화 수화기를 들어 올리는 것에 해당되는 통화 버튼(201a)을 점등시키는 것, 다른 하나의 LED(222b)는 다수의 푸쉬 버튼(201) 중의 통화 버튼(201b)을 점등시키는 것이다. 또, 분산 배치된 다수의 LED(222)는 이들이 일제히 발광함으로써 다수의 푸쉬 버튼(201)을 일제히 점등시키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푸쉬 버튼(201)을 일제히 점등시킴에 있어서, 통화 버튼(201a, 201b)만을 점등시키는 LED(222a, 222b)를 발광시키지 않더라도 이들 통화 버튼(201a, 201b)을 포함하는 다수의 푸쉬 버튼(201)이 일제히 점등하도록 LED(222)의 배치가 정해져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푸쉬 버튼(201)을 일제히 점등시키는 데에 있어서는 LED(222a, 222b)를 제외한 LED(222)가 발광한다. 단, 다수의 푸쉬 버튼(201)을 일제히 점등시킬 때도 통화 버튼(201a, 201b)의 점등은 LED(222a, 222b)가 담당하게 하는 것으로 하여, 다수의 푸쉬 버튼(201)의 일제 점등에 있어서, LED(222a, 222b)를 포함하는 LED(222)를 발광시키도록 LED를 배치하더라도 좋다.
여기서, 2개의 통화 버튼(201a, 201b) 중의 한 쪽의 통화 버튼(201a)은 통상의 음성만의 통화를 할 때에 누르는 푸쉬 버튼이며, 또 한 쪽의 통화 버튼(201b)은 화상 통신을 수반하는 화상 전화를 할 때에 누르는 푸쉬 버튼이다. 도 15에는 조립체(220)의 차광 부재(223)가 화상 전화용 통화 버튼(201b)에 대응하는 부분을 둘러싸는 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LED(222b)가 발광했을 때에 통화 버튼(201b)을 점등시키는 동시에, 그 LED(222b)로부터의 빛이 새어 다른 푸쉬 버튼이 점등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한, 이 조립체(220)에는 스피커(도 16 참조)의 배면으로부터의 음성을 이 조립체(220)로부터 내기 위한 개구(2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225)로부터 나온 음성은 내측 커버(210)에 설치된 발음구(203)로부터 이 휴대 전화기 외부로 출력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외측 커버(230)에는 배터리 수용을 위한 개구(233)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스피커(도 16 참조)의 전면으로부터의 음성을 본체 외부로 내기 위한 발음구(204)(도 2, 도 4, 도 16 참조)의 내측에 메쉬(231)가 첨부되어 있다. 이 메쉬(231)는 스피커로부터의 음성을 발음구(204)로부터 외부로 내는 동시에 외부의 먼지가 본체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그 메쉬(231)가 부착된 발음구(204)(도 2, 도 4, 도 16 참조)를 둘러싸도록 가스켓(232)이 첨부되어 있다. 이 가스켓(232)은 스피커 주위로부터 소리 가 새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 가스켓(232)의 상세한 점에 관해서도 후술한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커버(210)의 내측면에는 발음구(203)(도 1, 도 15 참조)의 내측에 첨부된 메쉬(211)와 그 메쉬(211)를 둘러싸도록 첨부된 가스켓(212)이 배치되어 있다. 이 가스켓(212)은 도 15에 도시하는 조립체(220)의 개구(225) 주위를 막아, 그 개구(225)로부터 나온 음성이 발음구(203) 이외의 부분으로 새는 것을 막고 있다.
또한, 이 내측 커버(210)에는 나사 고정용의 나사 구멍(2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립체(220)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피커(224)가 전면이 노출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배터리(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부(22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조립체(220)에는 장착 구멍(226)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조립체(220)에 장착되어 있는 스피커(224)는 거의 원형의 발음부(224a)와, 이 발음부(224a)에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리드선(224c)이 접속된 접속부(224b)를 구비한다. 또한, 스피커(224)를 수용하는 조립체(220)의 스피커 수용부(227)의 형상도 이 스피커(224)의 형상에 맞춰, 스피커(224)의 원형의 발음부(224a)를 수용하는 원형 부분(227a)과, 스피커(224)의 접속부(224b)를 접속하는 직사각형 부분(227b)이 연결된 형상을 갖는다.
나아가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커버(230)에는 지금까지 설명 한 발음구(204) 및 배터리 수용을 위한 개구(233)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장착 구멍(234) 및 배터리 충전용의 전극(235)이 설치되어 있다. 내측 커버(210), 조립체(220) 및 외측 커버(230)를 조립하려면, 조립체(220)를 내측 커버(210)와 외측 커버(230) 사이에 끼워, 외측 커버(230)의 장착 구멍(234) 쪽에서부터 그 장착 구멍(234) 및 조립체(220)의 장착 구멍(226)에 나사가 삽입되어, 내측 커버(210)의 나사 구멍(213)에 나사식으로 고정된다.
도 17은 하측 본체(200)(도 1, 도 2 참조)를 구성하는 외측 커버(230)(도 5, 도 6 참조)의 내측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여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224)(도 16 참조)의 발음부(224a)의 전면이 할당되는 부분에 메쉬(231)가 첨부되어 있고, 그 메쉬(231)의 주위에는 가스켓(232)이 첨부되어 있다. 이 가스켓(232)은 원환형 부분(232a)과, 이 원환형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직사각형 부분(232b)을 갖는다. 가스켓(232)의 원환형 부분(232a)은 스피커(224)의 발음부(224a)(도 16 참조)의 주위를 덮어, 이 발음부(224a)에서 발생한 음성이 메쉬(231)가 첨부된 발음구(204)(도 16 참조) 이외의 부분으로 새는 것에 의한 음압의 저하나 공진 등에 의한 불쾌한 소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가스켓(232)의 직사각형 부분(232b)은 도 16에 도시하는 스피커(224)의 접속부(224b)가 배치된 스피커 수용부(227)의 직사각형 부분(227b)을 막아, 원환형의 부분(232a)과 공동으로 스피커(224)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후술함)과 발음부(224a)의 전면을 음향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상세한 것 은 후술한다.
또한, 이 도 17에는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233)나 나사식 고정용의 장착 구멍(234)이 도시되어 있다.
도 18은 하측 본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하는 화살표 A-A를 따른 단면도이며, 도 20은 도 18에 도시하는 화살표 B-B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9 및 도 20의 단면 라인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며, 하측 본체의 내측면에 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발음구(203)에 관련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피커(224)의 발음부(224a)는 발음구(204) 측을 향하고 있고, 그 발음구(204)와 스피커(224) 사이에는 도 17에 도시하는, 원환형 부분(232a)과 직사각형 부분(232b)으로 이루어지는 가스켓(232)이 끼워지고 있다. 또한 스피커(224)의 배면 측에는 다소의 공간(228)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228)은 조립체(220)의 개구(225)(도 15 참조)에 연결되고 있으며, 이 개구(225)는 또 하나의 발음구(203)에 연결되고 있다. 여기서, 가스켓(232)은 전술한 대로, 스피커(224)의 발음부(224a)에서 발생한 소리가 주위로 새어 발음구(204)로부터 나오는 음성의 음압이 내려가거나 귀에 거슬리는 잡음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인데, 이 가스켓(232)은 또 하나의 역할, 즉 상기 스피커(224)의 발음부(224a)에서 발생한 소리가 스피커(224)의 배면 측의 공간(228)에 감도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스피커(224)로부터의 소리를 발음부(224a)의 전면에만 내는 구성인 경우는 그 소리가 배면측의 공간(228)에 감돌더라도 문제는 없고, 이 경우에 가스켓(232)은 스피커(224)의 발음부(224a)를 둘러싸는 원환형 부분(232a)만 존재하고 있으면 된다. 이에 대하여, 여기에 도시하는 구성은 스피커(224)의 발음부(224a)에서 전방으로 발생하는 소리를 발음구(204)로부터 내고, 한편 이 스피커(224)의 배면 측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공간(228)을 경유하여 또 하나의 발음구(203)로부터 내는 구성이다. 여기서 스피커(224)의 발음부(224a)에서 전방으로 발생하는 음성과 스피커(224)의 배면에서 공간(228)에 발생하는 음성은 서로 역위상이며, 발음부(224a)에서 발생한 음성이 공간(228)에 감돌면 서로 캔슬되게 된다. 스피커(224)의 배면으로부터 공간(228) 내에 발생하는 음성은 원래 음압이 그다지 높지 않고, 이 음성이 더욱 캔슬되면 발음구(203)로부터는 불충분한 음압의 음성밖에 얻어지지 않는 결과가 된다. 여기서는, 가스켓(232)에 원환형 부분(232a)뿐만 아니라 직사각형 부분(232b)을 설치함으로써, 스피커(224)의 발음부(224a)에서 발생한 음성이 스피커(224)의 배면 측의 공간(228)에 감도는 것을 방지했기 때문에, 스피커(224)의 배면 측에 있는 발음구(203)로부터도 충분한 음압의 음성이 나온다.
도 21은 하측 본체(200)(도 1, 도 2 참조)를 구성하는 내측 커버(210)(도 5, 도 6 참조)를 더욱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 내측 커버(210)는 각 푸쉬 버튼에 상당하는 부분에 구멍(219)이 형성된 프레임(210A)과, 각 구멍(219)에 대응하는 곳이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푸쉬 버튼을 가지는 동시에, 이들 푸쉬 버튼이 연질의 시트로 이어 진 형상의 푸쉬 버튼 시트(210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질 시트는 반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며, 푸쉬 버튼에는 빛을 산란 투과하는 재료가 이용되고 있다. 이 푸쉬 버튼 시트(210B)는 도 21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도 21에 도시하는 면이 프레임(210A)의 도 21에 도시하는 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프레임(210A)에 중첩되고, 프레임(210A)의 각 구멍(210)에 푸쉬 버튼 시트(210B)의 각 푸쉬 버튼(201)이 끼워져 들어간다.
또한, 프레임(210A)에는 도 1에 도시하는 송화구(202)의 안쪽의 위치에 소형의 마이크로폰(214)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210A)의 내면에는 차광벽(217, 218)이 첨부되어 있다.
또한, 푸쉬 버튼 시트(210B)에는 차광벽(218)에 대응하는 곳에 장공(215) 및 슬릿(216)이 형성되어 있다.
도 22는 푸쉬 버튼 시트(210B)을 프레임(210A)에 겹친 상태의, 내측 커버(210)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차광벽(218)은 다수의 푸쉬 버튼(102) 중에 통화 버튼(210a)을 둘러싸는 위치에 설치되고 있고, 또한 차광벽(219)은 조립체(220)(도 15 참조)에 설치된 차광벽(223)과 공동으로 또 하나의 통화 버튼(201b)을 둘러싸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차광벽(218)은 도 15에 도시하는 조립체(220) 상의 다수의 LED(222) 중에 하나의 LED(222a)가 발광하여 통화 버튼(201a)만을 점등시켰을 때에 그 LED(222a)로부터의 빛이 새어 통화 버튼(201a) 이외의 푸쉬 버튼을 점등시키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또한, 차광벽(219)은 조립체(220)(도 5 참조)에 설치된 차광벽(223)과 공동으로 통화 버튼(201b)을 둘러싸며 도 5에 도시하는 조립체(220) 상의 다수의 LED(222) 중의 2개의 LED(222b)만이 발광하여 통화 버튼(201b)만을 점등시켰을 때에 그 통화 버튼(201b) 이외의 푸쉬 버튼으로 빛이 새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체(220) 상의 LED(220a, 220b)를 제외한 다수의 LED(220)를 일제히 발광시키면, 푸쉬 버튼 시트(210A)에 나란히 늘어선, 2개의 통화 버튼(201a, 201b)을 포함하는 다수의 푸쉬 버튼이 일제히 점등한다.
도 23은 하측 본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도시하는 화살표 A-A를 따른 단면도이며, 도 25는 도 24에 도시하는 원 R1의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26은 도 23에 도시하는 화살표 B-B를 따른 단면도이며, 도 27은 도 26에 도시하는 원 R2의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25에 도시하는 LED(222a)만이 발광하면, 통화 버튼(201a)이 점등하고, 그 LED(222a)의 빛은 차광벽(218)에 의해 차단되어 다른 푸쉬 버튼으로는 전해지지 않고, 통화 버튼(201a) 이외의 푸쉬 버튼은 소등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는, 통화 버튼(201a)을 들어 설명했지만, 또 하나의 통화 버튼(201b)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통화 버튼(201a)은 음성만의 통상의 전화가 걸려왔을 때에 점등하여 그 통화 버튼(201a)을 누름으로써 통화가 시작되는 푸쉬 버튼이며, 또 하나의 통화 버튼(201b)은 화상 전화가 걸려왔을 때에 점등하여 그 통화 버튼(201b)을 누름으로 써 화상 전화에 의한 통화나 화상 통신이 시작되는 푸쉬 버튼이다. 이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는 전화가 걸려 왔을 때, 2개의 통화 버튼(201a, 201b) 중에 점등하고 있는 통화 버튼을 확인함으로써 음성만의 통상의 전화가 걸려온 것인지 혹은 화상 전화가 걸려온 것인지를 알 수 있으며, 또한 어느 쪽의 통화 버튼을 누르면 되는 것인지를 알 수 있다. 또한, 포갠 상태의 휴대 전화기를 전화가 걸려 왔을 때 이외의 타이밍에 열면 모든 푸쉬 버튼이 점등되어, 어두운 장소 등에서의 조작 편의가 도모되고 있다.
한편, 여기서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기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의 전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 사양은 어떠한 것이라도 좋으며, 예컨대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등이라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폴더식 휴대 전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폴더식 휴대 전화기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그 형태는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더욱이 본 발명은 외형상 휴대 전화기의 형태를 하고 있는 것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전화 기능을 갖춘 휴대 단말 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예컨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나 손목시계와 유사한 형상의 휴대 단말 장치 등이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을 샤시에 직접 고정할 필요가 없어져, 다기능화와 소형화를 높은 차원에서 양립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전화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샤시와;
    렌즈 및 촬상 소자를 갖춘 카메라 모듈과;
    상기 샤시에 중첩되어 이 샤시에 고정되는 회로 기판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지지하여 상기 회로 기판과 함께 상기 샤시에 고정되는 카메라 홀더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카메라 모듈 배치용의 창부(窓部)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카메라 홀더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지지하고 이 카메라 모듈을 상기 창부에서 들여다보이는 위치에 배치하여 상기 회로 기판과 함께 상기 샤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는 상기 회로 기판이 이 샤시에 중첩된 상태에 서, 상기 카메라 홀더에 지지된 카메라 모듈의 배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홀더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들여다보이는 개구 와, 이 개구를 둘러싸도록 직립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 측면을 둘러싸 지지하는 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는 상기 회로 기판이 이 샤시에 중첩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카메라 모듈의 배면 부분으로 펼쳐지는 플렉시블 기판(flexible substrate)을 지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는 상기 회로 기판이 중첩되는 측의 면에 대한 안쪽의 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과, 조작 버튼에 의해 온(on)/오프(off)되는 접점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KR1020050007102A 2004-08-18 2005-01-26 휴대 단말 장치 KR100631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38538A JP2006060396A (ja) 2004-08-18 2004-08-18 携帯端末装置
JPJP-P-2004-00238538 2004-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727A true KR20060016727A (ko) 2006-02-22
KR100631776B1 KR100631776B1 (ko) 2006-10-12

Family

ID=3590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102A KR100631776B1 (ko) 2004-08-18 2005-01-26 휴대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87255B2 (ko)
JP (1) JP2006060396A (ko)
KR (1) KR100631776B1 (ko)
CN (1) CN17383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831B1 (ko) * 2006-06-13 2007-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탑재 오류가 없는 장식부재를 갖는 휴대전화용 카메라 모듈
KR20210156822A (ko) * 2015-03-13 2021-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0304B2 (ja) 2008-03-31 2012-03-21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4597213B2 (ja) 2008-04-28 2010-12-15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5651974B2 (ja) * 2010-03-26 2015-01-14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1149021B1 (ko) * 2010-10-08 2012-05-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3차원 촬상장치와 그 제조방법
JP5877351B2 (ja) 2010-12-15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2749964A (zh) * 2011-04-22 2012-10-24 易模塑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嵌入式电脑摄像头模组
JP5749075B2 (ja) * 2011-05-19 2015-07-15 京セラ株式会社 スライド式電子機器
KR101951416B1 (ko) * 2012-01-12 2019-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4902723B (zh) * 2014-03-03 2018-03-06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USD751524S1 (en) * 2014-05-15 2016-03-15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terminal
USD803202S1 (en) * 2015-06-30 2017-11-21 Kyocera Corporation Mobile phone
KR102465929B1 (ko) * 2016-02-19 2022-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CN108494918A (zh) * 2018-05-28 2018-09-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14500697B (zh) * 2021-07-16 2023-01-03 荣耀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8031B2 (en) * 2001-02-28 2004-09-28 Fujitsu Limite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02281134A (ja) * 2001-03-16 2002-09-27 Nec Corp マイクユニット実装構造
JP3483144B2 (ja) * 2001-05-31 2004-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JP4131805B2 (ja) * 2002-07-24 2008-08-13 富士通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JP3952897B2 (ja) * 2002-07-31 2007-08-01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通信端末
JP2004120670A (ja) * 2002-09-30 2004-04-15 Hitachi Ltd 折畳み式携帯端末装置
JP2004159173A (ja) * 2002-11-07 2004-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式携帯電子機器
JP4303610B2 (ja) * 2003-05-19 2009-07-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多層配線基板、部品実装方法、及び、撮像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831B1 (ko) * 2006-06-13 2007-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탑재 오류가 없는 장식부재를 갖는 휴대전화용 카메라 모듈
KR20210156822A (ko) * 2015-03-13 2021-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60396A (ja) 2006-03-02
CN1738324A (zh) 2006-02-22
US20060038019A1 (en) 2006-02-23
KR100631776B1 (ko) 2006-10-12
US7387255B2 (en) 2008-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1776B1 (ko) 휴대 단말 장치
US7561684B2 (en) Mounting structure for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0743005B1 (ko) 휴대 단말 장치
US7400910B2 (en) Speaker sound enhancement for a mobile terminal
US7117011B2 (en) Camera-equipped cellular phone
US8340708B2 (en) Portable terminal
US7195362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30036365A1 (en)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with camera capable of taking pictures
KR20100048245A (ko) 카메라 렌즈 모듈 일체형 스피커 어셈블리
JP2003289356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JP5327119B2 (ja) 携帯端末装置
JP3738195B2 (ja) 携帯電話端末
JP2006060399A (ja) 携帯端末装置
KR101891972B1 (ko) 마이크로 폰 홀더용 장착 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10187312A (ja) 通話装置における受話口の構造および携帯電話機
JP2007208858A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06014196A (ja) 携帯端末装置
KR200174762Y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101612790B1 (ko) 휴대 단말기
JP2006060397A (ja) 携帯端末装置
JP2007013699A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0710677B1 (ko)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7013498A (ja) 携帯端末
JP2005286559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