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790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790B1
KR101612790B1 KR1020090118707A KR20090118707A KR101612790B1 KR 101612790 B1 KR101612790 B1 KR 101612790B1 KR 1020090118707 A KR1020090118707 A KR 1020090118707A KR 20090118707 A KR20090118707 A KR 20090118707A KR 101612790 B1 KR101612790 B1 KR 101612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lar cell
terminal body
portable termina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2117A (ko
Inventor
최병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8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7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2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빛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태양전지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부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로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투광부, 및 상기 투광부와 태양전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투광부를 투과한 빛을 상기 태양전지의 입사면에 균일하게 도달시키는 도광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친환경적 기술이 적용된 전자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도 태양전지를 적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태양전지는 주변의 빛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태양전지를 휴대 단말기에 적용하는 경우, 태양전지에 빛을 입사시키기 위해서는 태양전지를 휴대 단말기의 외면에 장착하여야 한다. 그러나, 배터리의 충전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태양전지의 크기 또한 증가시켜야 하며, 이는 휴대 단말기의 외관의 미관을 저해하며, 태양전지의 크기만큼 다른 부품의 장착 공간을 협소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전지를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하여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빛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태양전지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부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로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투광부, 및 상기 투광부와 태양전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투광부를 투과한 빛을 상기 태양전지의 입사면에 균일하게 도달시키는 도광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 유닛은, 상기 투광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투광부를 통과한 빛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와, 상기 제1반사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태양전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반사부에서 반사된 빛을 상기 태양전지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반사부 중 적어도 하나는, 평판 형태의 반사미러로 구현되거나, 경사진 반사면을 갖는 도광 부재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제2반사부는 평판 형태의 반사미러로 구현되고, 상기 태양전지의 입사면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제2반사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반사부의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상기 단말기 바디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 상에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서 외부로 빛을 투과시켜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발광소자 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바디에는 투광성 재질의 윈도우가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재와 윈도우의 사이에는 상기 윈도우를 통해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면은 동일 평면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투광부는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태양전지는 상기 제2영역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를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하고 휴대 단말기 주변의 빛을 태양전지로 안내하는 도광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태양전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구조적 이점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의 장착으로 인해 휴대 단말기 외관의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다른 부품의 장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 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서로에 대해 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도 1에 개시된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하지 않으며, 슬라이드 타입, 스위블 타입, 스윙 타입, 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힌지 연결부(119)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힌지 연결부(119)의 내부에는 제1바디(11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캠장치 및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바디(110,120)는 이들을 함께 포함하는 개념 또는 각각 독립적인 개념으로서 '단말기 바디'로 지칭될 수 있다.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폴딩 상태(folding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언폴딩 상태(unfolding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음향출력부(114), 제1영상입력부(11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제1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영상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 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1 및 제2조작부(123,124)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조작부(125), 음향 입력부(126), 인터페이스(127)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조작부(123,124,125)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키패드 형태의 제1 및 제2조작부(123,124)와, 사이드 키 형태의 제3조작부(125)를 예시하고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23)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24)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조작부(125)는 제1영상입력부(114)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음향입력부(126)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27)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7)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27)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상입력부(128)는 제1영상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상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는 경우, 제1영상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영상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 성될 수도 있다.
제2영상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9)는 제2영상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음향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31)는 제1음향출력부(154,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9)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29)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전원 공급부(129)가 제2바디(120)에 내장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라인을 따라 취한 제1바디의 단면도이며, 도 4는 폴딩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바디(110)의 내부 공간, 즉,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의 사이에는 빛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태양전지(141)가 배치된다. 태양전지(141)는 광전 효과(Photo Voltanic Effect)를 이용하여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를 말한다. 태양전지(141)는 실리콘 태양전지와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 에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태양전지(141)는 복수의 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조합된 평판형의 모듈로서 구현 가능하다. 태양전지(141)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태양전지(141)는 빛이 입사되기 위한 입사면이 리어 케이스(112)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바디(110)의 외부 영역에는 제1바디(110)의 내부로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투광부(142)가 형성된다. 투광부(142)는 리어 케이스(112)의 일 영역에 형성 가능하다. 투광부(142)는 유리, 렌즈, 투광성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갖는 윈도우로서 구현 가능하며, 표면 반사를 억제하고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 코팅 처리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제1바디(110), 구체적으로 리어 케이스(112)의 외면은 동일 평면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제1영역(101)과 제2영역(102)을 구비한다. 제1영역(101)과 제2영역(102)는 제1바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 가능하다. 제1영역(101)에는 투광부(142)가 배치되고, 제2영역(102)의 내부에는 태양전지(141)가 배치될 수 있다.
투광부(142)와 태양전지(141)의 사이에는 투광부(142)를 투광한 빛을 태양전지(141)의 입사면에 균일하게 도달시키기 위한 도광 유닛(150)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전지(141)를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하여 태양전지(14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태양전지(141)가 노출됨으로 인해 단말기 외관의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부품의 장착 공간도 확보가 가능하다. 도광 유닛(150)는 투광부(142)로 입사된 빛이 광손실없이 태양전지(141)의 입 사면에 균일하게 도달되게 함으로써, 태양전지(14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도 태양전지(141)를 통한 배터리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도광 유닛(150)은 제1반사부(151)와 제2반사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반사부(151)는 투광부(142)의 일측에 배치되며, 투광부(142)를 통과한 빛을 반사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반사부(152)는 제1반사부(152)와 마주 보도록 태양전지(141)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2반사부(152)는 제1반사부(151)에서 반사된 빛을 태양전지(141)로 반사시켜 빛이 태양전지(141)이 입사면에 균일하게 도달되도록 한다.
제1반사부(151)의 반사면은 투광부(142)를 수직으로 통과한 빛을 제1바디(110)의 길이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게 형성되며, 제2반사부(152)의 반사면은 제1바디(110)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을 제1바디(110)의 두께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제2반사부(152)의 반사면은 태양전지(141)의 입사면을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및 제2반사부(151,152)의 반사면들은 빛의 진행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반사부(151,152) 중 적어도 하나는 평판 형태의 반사미러로서 구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반사부(151,152)가 평판 형태의 제1 및 제2반사미러(151,152)로서 구현되었다.
제1반사미러(151)와 투광부(142)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며, 제2반사미러(152)는 태양전지(141)의 입사면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 로 배치된다.
제1바디(110)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반사미러(151,152)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지지부재(161,162)가 고정된다. 제1 및 제2지지부재(161,162)는 제1 및 제2반사미러(151,152)의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구비한다.
태양전지(141)의 타측에는 디스플레이부(113)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3a), 디스플레이 모듈(113)의 보호를 위한 윈도우(113b), 음향 출력부(114)의 구현을 위한 스피커 모듈(114a) 등이 장착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13a)의 시각 정보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의 윈도우(113b)가 설치된다.
태양전지(141)와 디스플레이 모듈(113a)은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이들은 동일한 회로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광 유닛(250)의 구성을 제외하고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도광 유닛(250)도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반사부(251,25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반사부(251,252) 중 적어도 하나는 경사진 반사면을 갖는 도광 부재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에에 따르면, 제1 및 제2반사부(251,252)는 각각 경사진 반사면을 갖는 제1 및 제2도광부재(251,252)로서 구현된다. 제1 및 제2도광부재(251,252)는 제1바디(110)의 내부에 고정되며, 이에 따르면, 앞선 실시예의 제 1 및 제2지지부재(161,162)가 필요 없게 된다.
제1 및 제2도광부재(251,252)는 빛의 반사가 가능한 재질을 갖거나, 경사면에 빛의 반사가 가능한 물질을 코팅시킴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제1 및 제2반사부(251,252) 모두 도광부재들로서 구현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반사부(251,252) 중 어느 하나는 도광부재로서 구현되고 다른 하나는 앞선 실시예와 같은 반사미러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발광소자 어셈블리(310)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휴대 단말기에 발광소자 어셈블리(310)가 추가된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제2실시예의 휴대 단말기에도 발광소자 어셈블리(310)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 바디, 구체적으로 리어 케이스(112)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된다. 발광소자 어셈블리(310)는 제2지지부재(152) 상에 장착되며, 제1바디(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빛을 투과시켜 시각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반투광성 재질이라 함은 평소에는 제1바디(110)의 내부가 들어다 보이지 않지만, 내부이 발광소자 어셈블리(310)가 빛을 발하면 그 빛이 투과되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는 재질을 말한다.
발광소자 어셈블리(310), 제2지지부재(162), 및 제2반사미러(152)는 서로 결 합되어 하나의 모듈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발광소자 어셈블리(310)는 제2지지부재(162)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311)과, 기판(311)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소자들(312)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311)은 리지드 기판 또는 플렉서블 기판 등의 형태를 가지며, 제2지지부재(162)의 반사면 반대 쪽에 위치한다.
발광소자들(312)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서로 조합되어 발광 패턴(313)을 표시한다. 발광소자들(312)로서 발광 다이오드(LED)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로서 단색 발광 다이오드, RGB 발광 다이오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발광소자들(312) 중 일부가 선택적으로 점등되면서, 기호, 문자, 숫자 등 다양한 발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에 전화가 걸려 오거나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발광 패턴(313)을 통해 이를 알리는 정보, 발신자에 대한 정보(이름, 전화번호 등)가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113a, 이하 '제1디스플레이 모듈')에 추가적으로 제2디스플레이 모듈(320a)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디스플레이 모듈(113a)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13)를 구현하고, 제2디스플레이 모듈(320a)은 도 9의 도시와 같이 보조 디스플레이부(320)를 구현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부(320)는 휴대 단말기의 폴딩 상태에서 시간 정보, 전화 수신, 메시지 수신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휴대 단말기에 제2디스플레이 모듈(320a)가 추가된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제2실시예의 휴대 단말기에도 제2디스플레이 모듈(320a)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제1바디(110), 즉, 리어 케이스(112)에는 투광성 재질의 윈도우(321)가 장착되며, 제2디스플레이 모듈(320a)는 제2지지부재(162)와 윈도우(321)이 사이에 장착된다. 제2디스플레이 모듈(320a)는 제2지지부재(162)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는 제2영상입력부(128')가 제1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2영상입력부(128')를 구현하는 카메라 모듈(128a)는 제2지지부재(162) 상에 장착 가능하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2디스플레이 모듈(320a)을 제2지지부재(162) 상에 위치시키는 개념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13)와 보조 디스플레이부(320)를 모두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뿐만 아니라, 단일의 디스플레이부만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듈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개념은 바 타입 또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태양전지(141)가 제1바디(110)에 장착되고, 배터리(129)가 제2바디(120)에 장착된 폴더 타입 휴대 단말기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태양전지와 배터리가 단일의 바디에 장착되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밖에 슬라이드 타입, 스위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 모듈(171), 조작부(123,124,125), 영상 입력부(115,128), 음향 입력부(126),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131), 센싱유닛(176), 인터페이스(127), 방송 수신 모듈(175), 메모리(174), 전원 공급부(129), 태양전지(141), 제어부(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 통신 모듈(17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7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72)를 포함한다.
조작부(123,124,12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60)에 제공한다. 조작부(123,124,125)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 입력부(115,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 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15,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74)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 모듈(17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26)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71)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7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26)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4,1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71)로부 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7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28)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유닛(17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의 폴딩 상태 또는 언폴딩 상태인지의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7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9)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27)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7)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74)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 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7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7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17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1),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7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7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7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9)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태양전지(141)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 휴대 단말기의 주변 밝기 등에 따라 제어부(17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며, 태양전지(141)는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여 전원 공급부(129)를 충전시킨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 라인을 따라 취한 제1바디의 단면도.
도 4는 폴딩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5는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10)

  1. 배터리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빛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태양전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부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로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투광부; 및
    상기 투광부와 태양전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투광부를 투과한 빛을 상기 태양전지의 입사면에 균일하게 도달시키는 도광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면은 동일 평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투광부는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태양전지는 상기 제2영역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영역의 내부에서,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면과 상기 태양전지 사이에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서 외부로 빛을 투과시켜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발광소자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유닛은,
    상기 투광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투광부를 통과한 빛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 및
    상기 제1반사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태양전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반사부에서 반사된 빛을 상기 태양전지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반사부 중 적어도 하나는,
    평판 형태의 반사미러로 구현되거나, 경사진 반사면을 갖는 도광 부재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사부는 평판 형태의 반사미러로 구현되고, 상기 태양전지의 입사면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제2반사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반사부의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발광소자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부재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서로 조합되어 특정 패턴을 표시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에는 투광성 재질의 윈도우가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재와 윈도우의 사이에는 상기 윈도우를 통해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상기 태양전지가 장착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를 구비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90118707A 2009-12-02 2009-12-02 휴대 단말기 KR101612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707A KR101612790B1 (ko) 2009-12-02 2009-12-02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707A KR101612790B1 (ko) 2009-12-02 2009-12-02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117A KR20110062117A (ko) 2011-06-10
KR101612790B1 true KR101612790B1 (ko) 2016-04-15

Family

ID=4439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707A KR101612790B1 (ko) 2009-12-02 2009-12-02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7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929A2 (ko) * 2013-06-24 2014-12-31 Choe Byoung Choul 태양광 충전부를 사용하여 자가충전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3220A (ja) * 2004-07-14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3220A (ja) * 2004-07-14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117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392B1 (ko) 휴대 단말기
KR101534505B1 (ko) 이동 단말기
KR101613953B1 (ko) 휴대 단말기
KR101587085B1 (ko) 휴대 단말기
KR101728387B1 (ko) 휴대 단말기
KR101631907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050243A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59B1 (ko) 휴대 단말기
KR20080033802A (ko) 전자 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KR20190109847A (ko) 키 모듈과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키 모듈 조립 방법
JP2001217908A (ja) 携帯無線機器
KR101566281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40062225A (ko) 이동단말기
KR100762671B1 (ko) 수광 패널을 이용한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 통신 단말기
KR101561906B1 (ko) 이동 단말기
KR101612790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77605A (ko) 휴대 단말기
KR101441922B1 (ko)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0474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392916B1 (ko) 휴대 단말기
KR2021004632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KR101529926B1 (ko) 휴대 단말기
KR10150200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37982B1 (ko) 휴대 단말기
KR101622684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