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802A - 전자 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802A
KR20080033802A KR1020060099990A KR20060099990A KR20080033802A KR 20080033802 A KR20080033802 A KR 20080033802A KR 1020060099990 A KR1020060099990 A KR 1020060099990A KR 20060099990 A KR20060099990 A KR 20060099990A KR 20080033802 A KR20080033802 A KR 20080033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isplay module
electronic device
input uni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6530B1 (ko
Inventor
임승재
김민수
유현우
류형곤
임성근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9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530B1/ko
Priority to US11/765,960 priority patent/US8059096B2/en
Priority to EP07112130A priority patent/EP1912417B1/en
Priority to AT07112130T priority patent/ATE528907T1/de
Priority to CNA2007101427767A priority patent/CN101163300A/zh
Priority to MX2007012771A priority patent/MX2007012771A/es
Publication of KR20080033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체; 상기 본체의 주면 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1 입력 유닛; 상기 본체의 주면 들 중 다른 하나에 장착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본체의 주면 들 사이에 형성되어, 배터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전자 기기의 슬림화 및 디스플레이 사이즈의 극대화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 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라인(Ⅳ-Ⅳ)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라인(Ⅴ-Ⅴ)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라인(Ⅵ-Ⅵ)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의 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 프레임 20: 제2 프레임
30: 인쇄회로기판조립체 35: 배터리
40: 제1 커버 50: 제2 커버
60: 결합부 80: 상태 감지부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및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는 전기적으로 각 부품을 제어할 수 있는 기기로서, 그의 일 예로는 트랜시버(transceiver)를 장착하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들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위의 무선 통신 기능을 기본적인 기능으로 한다.
최근에는 위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에 더하여, 음악을 감상하거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부가적인 기능들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추가되고 있다.
특히, 이미지나 동영상을 재생함에 있어서는 그들을 출력하는 화면의 크기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보다 큰 화면을 구비할 필요가 생긴다.
그러나,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와 키패드 등이 장착되고 배면에는 배터리가 장착되기에, 전면의 디스플레이를 크게 하는데 제약이 있다. 또한, 배면에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크게 설치하고자 하여도 배터리를 어떻게 본체에 장착할 것인가의 문제가 남는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슬림 화에 반하지 않으면서도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배치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출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주면 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1 입력 유닛; 상기 본체의 주면 들 중 다른 하나에 장착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본체의 주면 들 사이에 형성되어, 배터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제1 입력 유닛이 장착되는 제1 프레임;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1 입력 유닛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의 출력 제어 방법은 전자 기기의 배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배치 상태에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두 개 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기기라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 Player(MP3플레이어), 전자사전,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 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는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transceiver, 미도시)를 내장한다. 또한, 외관상으로는 전면을 이루는 제1 커버(10)와, 배면을 이루는 제2 커버(20)가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
제1 커버(10)의 주면(main face)의 상부에는 시각 정보를 외부에서 시청하도록 하기 위한 창이 되는 제1 윈도우(11)가 형성된다. 제1 커버(10)의 주면의 하부에는 제1 입력 유닛(32)이 장착된다. 이러한 제1 입력 유닛(32)은 제1 커버(10)의 하부에 개구된 장착부(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제1 입력 유닛(32)은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문자나 숫자 등의 정보를 단말기에 입력하기 위한 유닛이다. 제1 입력 유닛(32)은, 예를 들어 키 버튼 및 돔 스위치를 이용한 푸시 방식이나 터치패드를 이용한 터치 방식 등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제1 커버(10)의 상단 단부 측에는 제1 방음공(13) 및 카메라홀(14) 이 개구되어, 각각 소리의 방출 및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 커버(10)의 하단 단부 측에는 마이크로폰홀(15)이 개구 되어, 소리가 본체 내로 입력될 수 있게 한다.
제1 커버(10)의 측면들{상기 주면에 이어지는 면들} 중 하나에는 수용개구부(16)가 개구 된다. 나아가, 제1 커버(10)의 수용개구부(16)가 형성된 측면에는 수용도어(17)가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수용도어(17)는 위의 측면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그 회전 또는 슬라이딩 운동에 따라 수용개구부(16)를 개폐한다. 또한, 수용개구부(16)는 제2 커버(20)에 형성되거나, 제1 및 제2 커버(10 및 20)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의 배면을 이루는 제2 커버(20)의 주면에는 제2 윈도우(21)가 형성된다. 제2 윈도우(21)는 제2 커버(20)의 주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넓이를 가진다.
제2 윈도우(21)의 인근에는 장착홀(22)이 개구된다. 이러한 장착홀(22)을 통해서는 제2 입력 유닛(42)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명령을 입력을 받는다. 나아가, 장착홀(22)의 인근에는 제2 방음공(23)이 형성되어, 본체 내부로부터의 소리가 외부로 방출되게 한다.
도 3은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커버(10)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윈도우(11)가 형성되고 장착부(12)가 개구되어 있다. 또한, 제1 커버(10)에는 제1 방음공(13) 과 카메라홀(14) 및 마이크로폰홀(15)이 개구된다. 나아가, 제1 커버(10)에는 수용개구부(16)가 개구되고, 수용도어(17)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프레임(30)은 플레이트(plate) 형태를 가지며, 사출물 또는 금속 등의 재질을 가진다. 제1 프레임(30)의 제1 커버(10)를 마주하는 면의 상부 단부 측에는 제1 커버(10)의 제1 방음공(13) 및 카메라홀(14)에 대응하여 제1 스피커모듈(33) 및 카메라 모듈(34)이 각각 장착된다.
제1 프레임(30)의 상부의 대부분의 면적에는 시각 정보를 재생시키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이 장착된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은,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 정보는 사용자의 시각을 통해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의 모든 정보를 말하며, 예를 들어 문자, 이미지, 동영상 등이다.
제1 프레임(30)의 하부에는 앞서 설명한 제1 입력 유닛(32)이 장착된다. 또한, 제1 입력 유닛(32)의 하측에는 제1 커버(10)의 마이크로폰홀(16)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이크로폰 모듈(35)이 장착된다.
제1 프레임(30)의 중앙 부분{제1 디스플레이 모듈(31)과 제1 입력 유닛(32)이 장착되는 부분들 사이의 경계 부분}은 절곡된 형태를 이룬다. 그에 따라, 제1 커버(10) 측으로 절곡된 제1 프레임(30)의 하부 측에는 수용공간부(36)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부(36)에는 수용도어(17)를 통해 수용개구부(16)로 인입되는 배터리(55)가 안착 된다.
인쇄회로기판 조립체(50)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단 말기의 통신 및 전기적 제어를 위한 각종 전자 부품이 실장된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 조립체(50)는 단말기를 제어한다는 점에서 이하 제어부라고도 칭해진다. 배터리(55)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 조립체(5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은 인쇄회로기판 조립체(50)의 제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 등과 같은 각종 전자 부품에 공급된다. 나아가, 이들 인쇄회로기판 조립체(50)와 배터리(55)는 제1 프레임(30)과 제2 프레임(40) 사이에 배치된다.
제2 프레임(40) 역시 제1 프레임(30)과 같이 플레이트 형태를 이룬다. 제2 프레임(40)의 제2 커버(20)를 마주하는 면에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41)이 장착된다. 이러한 제2 디스플레이 모듈(41)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과 같이 LCD 모듈 등의 형태를 가지나, 그 크기가 제2 커버(20)와 거의 비슷한 크기를 가진다. 그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모듈(41)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 보다는 큰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제2 프레임(40)의 하부에는 제2 입력유닛(42)과 제2 스피커모듈(43)이 장착된다.
제2 커버(20)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41)을 감싼 채로 제1 커버(10)에 결합되게 형성된다. 제2 커버(20)의 주면에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41)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외부에서 시청 가능하게 하는 제2 윈도우(21)가 장착된다. 이러한 제2 윈도우(21)에는 제2 입력유닛(4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장착홀(22)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윈도우(21)에는 제2 스피커 모듈(43)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제2 방음공(23)이 개구 된다.
도 4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라인(Ⅳ-Ⅳ)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30)은 입력 유닛(32)에 비하여 두께가 두꺼운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을 장착하기 위하여, 상부가 제2 커버(20) 측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제1 프레임(30)의 절곡에 의해 상대적으로 제2 프레임(40)과의 사이가 넓어지는 수용공간부(36)에는 배터리(55)가 삽입된다. 이러한 배터리(55)를 본체 내부에 인입시키거나 그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는 본체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수용도어(17)를 조작하여 수용개구부(16)를 개폐시켜야 한다.
나아가,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또는 제어부(50)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31 및 41)과,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33 및 43, 43은 도 3 참조)과, 카메라 모듈(34) 및 마이크로폰 모듈(3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은, 전기 케이블 또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인쇄회로기판 조립체(50)의 제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는 제1 윈도우(11)를 통해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모듈(4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는 제2 윈도우(21)를 통해서 사용자가 인지하게 된다.
도 5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라인(Ⅴ-Ⅴ)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디스플레이 모듈(41)의 측면에는 결합부재(61)의 일단부가 접착제나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 결합 된다. 이러한 결합부재(61)의 타단부는 스크류(62)에 의해 인쇄회로기판 조립체(50) 및 제1 프레임(30)과 결합 된다. 이상 의 결합부재(61) 및 스크류(62)는 결합부(60)로 통칭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프레임(30){및 그에 장착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 및 입력 유닛(32) 등} - 인쇄회로기판 조립체(50) - 제2 프레임(40){및 그에 장착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41) 및 제2 입력 유닛(42) 등}이 일체를 이루는 조립체(assembly)의 형성이 가능하다.
도 6은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라인(Ⅵ-Ⅵ)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30)과 제2 프레임(40) 사이의 수용공간부(36)에는 배터리(55)가 장착된다. 이러한 배터리(55)와 인쇄회로기판 조립체(50)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제2 커버(20)에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70)가 배치된다.
또한, 커넥터(70)에서는 배터리(55)의 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71)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단자(71)는 배터리(55)의 단자와의 효과적인 접촉을 위하여 끝이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도전성의 탄성체로 형성된다.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립 방식 및 이용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립을 위해서는 제1 프레임(30)에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과, 입력 유닛(32)과, 제1 스피커모듈(33)과, 카메라 모듈(34) 및 마이크로폰 모듈(35)을 장착한다.
또한, 제2 프레임(40)에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41)과, 제2 입력 유닛(42) 및 제2 스피커 모듈(43)을 장착한다.
나아가, 위와 같은 제1 및 제2 프레임(30 및 40)을 결합부(60)를 통하여 결합시켜 하나의 조립체를 완성한다.
이러한 조립체에 대하여, 양면에서 제1 및 제2 커버(10 및 20)를 덮어서 이들을 결합시키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완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커버(10 및 20)의 결합은 제1 및 제2 커버(10 및 20){및 인쇄회로기판 조립체(50) 등}을 관통하는 스크류공(미도시) 및 상기 스크류공에 삽입되는 스크류(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커버(10 및 20)의 결합은 후크(미도시)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나아가, 제1 커버(10)에 장착된 수용도어(17)를 조작하여 수용개구부(16)를 개방시켜 수용공간부(36)에 배터리(55)를 인입시킨다. 그리고 나서 수용도어(17)로 수용개구부(16)를 폐쇄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조립 과정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프레임(30 및 40){그리고, 그들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31 및 41) 등}과 인쇄회로기판 조립체(50)가 하나의 조립체를 이룸에 따라 이들의 관리가 용이 해진다.
나아가, 각 프레임(30 및 40) 별로 그에 장착되는 부품들이 조립될 수 있기에, 두 곳에서 각 프레임(30 및 40)에 대한 조립이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조립 단계에 들어가는 조립 시간을 절반 가량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터리(55)가 제1 및 제2 프레임(30 및 40) 사이에 수용됨에 따라, 단말기의 전체적인 슬림화를 제약하기 않으면서도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31 및 41)의 채용에 따른 배터리(55)의 배치의 문제가 해결된다.
사용자는 제1 입력 유닛(32)을 통하여 전화 번호 등을 단말기 입력하고, 그러한 번호 등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에 출력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스피커 모듈(33)로 상대방의 소리를 듣고, 마이크로폰 모듈(35)로 자신의 소리를 단말기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을 통해서 출력되는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시각 정보를 시청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34)에 의해 촬영되는 화상을 미리 볼 수도 있다.
시각 정보를 크게 보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동영상의 시청 등의 경우에,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41)을 통해서 보다 큰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디스플레이 모듈(41)을 통한 시각 정보의 시청 중에는 제2 입력 유닛(42)을 통하여 제2 디스플레이 모듈(41)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시각 정보와 함께 재생되는 청각 정보는 제2 스피커 모듈(43)로도 출력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의 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배치 상태들, 즉 제2 커버(20)가 지면을 향하는 상태(제1 상태, 도 1의 상태)와 제1 커버(10)가 지면을 향하는 상태(제2 상태, 도 2의 상태) 사이의 구별을 위하여, 본체에는 상태감지부(8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태감지부(80)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한다.
상태감지부(80)를 통하여 단말기 본체의 배치 상태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그에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31 및 41)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한 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제1 상태이면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만을 온시키고, 단말기가 제2 상태이면 제2 디스플레이 모듈(41)만을 온시키는 방식 등이 채택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 모듈(34)이 촬영을 위해 활성화되면, 제어부(50)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31 및 41)을 모두 온(0n) 시킨다. 그에 따라, 제1 커버(10)를 통해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34)로 사용자 자신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31)을 통해 촬영될 이미지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이외의 사람이나 물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카메라 모듈(34)를 그를 향하여 지향시킨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41)을 통해 촬영될 이미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채용함에 따라 상황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배터리와 두 개의 디스플레이의 배치를 최적화함에 따라, 두 개의 디스플레이의 채용에 의해 단말기의 슬림화가 크게 제약을 받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제1 및 제2 프레임에 대부분의 부품들이 1차로 조립될 때, 각 프레임에 대한 조립에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서 조립 시간이 단축된다. 나아가, 각 프레임과 인쇄회로기판 조립체가 결합부에 의해 조립되어 하나의 통합된 조립체를 이루고, 그러한 통합된 조립체 단위로 부품들을 관리할 수 있어 그 관리가 용이해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은 단말기의 배치 상태에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맞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해진다.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의 주면 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1 입력 유닛;
    상기 본체의 주면 들 중 다른 하나에 장착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본체의 주면 들 사이에 형성되어, 배터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주면 들 중 다른 하나에 배열되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기적 제어를 위한 입력을 받는 제2 입력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본체의 주면 들 중 다른 하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주면 들을 잇는 어느 하나의 측면에 개구되어, 상기 수용공간부 와 연통 되는 수용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수용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수용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1 입력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로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배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상태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감지부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트랜스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 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제1 입력 유닛이 장착되는 제1 프레임;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1 입력 유닛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로 상기 제2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어를 위한 입력을 받는 제2 입력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조립체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제10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을 감싸면서 서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커버에 개구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수용되게 하는 수용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커버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수용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수용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기의 배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상태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감지부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트랜스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9. 전자 기기의 배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배치 상태에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출력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절은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 중 사용자를 지향하는 어느 하나만을 출력시킴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출력 제어 방법.
KR1020060099990A 2006-10-13 2006-10-13 전자 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KR101186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990A KR101186530B1 (ko) 2006-10-13 2006-10-13 전자 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US11/765,960 US8059096B2 (en) 2006-10-13 2007-06-20 Mobile terminal and output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07112130A EP1912417B1 (en) 2006-10-13 2007-07-10 Mobile terminal and output controlling method thereof
AT07112130T ATE528907T1 (de) 2006-10-13 2007-07-10 Mobiles endgerät und ausgabe-steuerungsverfahren dafür
CNA2007101427767A CN101163300A (zh) 2006-10-13 2007-08-23 移动终端和其输出控制方法
MX2007012771A MX2007012771A (es) 2006-10-13 2007-10-12 Terminal movil y metodo para controlar la salida de la mism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990A KR101186530B1 (ko) 2006-10-13 2006-10-13 전자 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802A true KR20080033802A (ko) 2008-04-17
KR101186530B1 KR101186530B1 (ko) 2012-10-08

Family

ID=3905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990A KR101186530B1 (ko) 2006-10-13 2006-10-13 전자 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59096B2 (ko)
EP (1) EP1912417B1 (ko)
KR (1) KR101186530B1 (ko)
CN (1) CN101163300A (ko)
AT (1) ATE528907T1 (ko)
MX (1) MX20070127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4961B2 (en) 2007-11-30 2013-10-22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oles through portions of a housing of an electronic device
KR101437994B1 (ko) * 2008-06-25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RU2473952C2 (ru) * 2008-09-05 2013-01-27 Эппл Инк. Портативное вычис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8831687B1 (en) * 2009-02-02 2014-09-09 Dominic M. Kotab Two-sided dual screen mobile phone device
US20100241999A1 (en) * 2009-03-19 2010-09-23 Microsoft Corporation Canvas Manipulation Using 3D Spatial Gestures
US8849570B2 (en) * 2009-03-19 2014-09-30 Microsoft Corporation Projected way-finding
US8121640B2 (en) * 2009-03-19 2012-02-21 Microsoft Corporation Dual module portable devices
US20100241987A1 (en) * 2009-03-19 2010-09-23 Microsoft Corporation Tear-Drop Way-Finding User Interfaces
KR101483030B1 (ko) * 2009-04-30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260363B2 (en) 2009-06-25 2012-09-04 Embarq Holdings Company, Llc Visual ringer
CN101867631A (zh) * 2010-06-17 2010-10-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KR101844830B1 (ko) * 2011-02-07 2018-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GB201205431D0 (en) * 2012-03-28 2012-05-09 Yota Devices Ipr Ltd Display device antenna
KR101397084B1 (ko) 2012-07-02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40036624A (ko) * 2012-09-17 201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332329B2 (en) * 2012-09-28 2016-05-03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US9030606B2 (en) * 2013-03-14 2015-05-12 Gopro, Inc. Wireless camera housing illuminators
KR102031092B1 (ko) * 2013-03-18 2019-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CN104407676A (zh) * 2014-12-22 2015-03-11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平板电脑
KR102232672B1 (ko) * 2016-10-24 2021-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적외선 윈도우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9674B1 (ko) * 2016-12-23 2021-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8882B2 (en) * 1995-09-28 2004-09-28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obile station
FI104658B (fi) * 1997-05-26 2000-03-15 Nokia Mobile Phones Ltd Kahden näytön näyttöjärjestely ja päätelaite
SE516510C2 (sv) * 1999-09-21 2002-01-22 Ericsson Telefon Ab L M Portabel kommunikationsapparat med första och andra användargränssnitt, samt en tillbehörsanordning innefattande en knappsats och en display för en portabel radiotelefon
US7142195B2 (en) * 2001-06-04 2006-11-28 Palm, Inc. Interface for interaction with display visible from both sides
GB0116083D0 (en) * 2001-06-30 2001-08-2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ext entry method and device therefor
DE10156916A1 (de) 2001-11-21 2003-06-05 Kathrin Kunze Handy-Display
AU2002219211A1 (en) * 2001-12-20 2003-07-09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device having foldable functional cover
EP1477015A1 (de) * 2002-02-20 2004-11-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biltelefon mit rundumdisplay
US7221330B2 (en) * 2002-12-09 2007-05-22 Nokia Corporation Folding terminal with slider to fix terminal in a flat unfolded configuration
JP2004296957A (ja) * 2003-03-28 2004-10-21 Fujitsu Ltd 携帯端末装置
KR100538948B1 (ko) * 2003-08-11 2005-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 이미지의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디스플레이 장치
JP2005092702A (ja) * 2003-09-19 2005-04-07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KR100827104B1 (ko) * 2003-10-23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
WO2005053281A1 (ja) * 2003-11-26 2005-06-09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通信機器及び携帯通信機器の画面切換方法
JP2005189512A (ja) 2003-12-25 2005-07-14 Nec Corp 電子機器における背面lcdの衝撃吸収構造および該構造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594971B1 (ko) * 2004-01-09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자기 센서를 이용한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생성방법
KR100703418B1 (ko) * 2004-05-06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US20060066770A1 (en) 2004-09-24 2006-03-30 Satoshi Hayano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70029527A (ko) * 2005-09-10 2007-03-1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다양한 유형들을 편리하게 입력하기 위한 휴대용 디지털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059100B2 (en) * 2005-11-17 2011-11-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cating/arranging keys on touch-screen, and mobile terminal for use of the same
US7636071B2 (en) * 2005-11-30 2009-12-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viding information in a multi-screen device
KR100753397B1 (ko) * 2006-04-04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57232B1 (ko) * 2006-06-28 2007-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패드가 형성된 배터리 팩, 이종 키패드 배터리 팩을장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배터리 팩 교체를 통한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변경 방법
KR100782509B1 (ko) * 2006-11-23 2007-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모드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그표시부의 화면전환 방법
US20080246731A1 (en) * 2007-04-08 2008-10-09 Michael Chechelniker Backside Control Utility, BCU.
US8046023B2 (en) * 2008-03-07 2011-10-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direction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2417A3 (en) 2008-07-02
EP1912417A2 (en) 2008-04-16
US8059096B2 (en) 2011-11-15
CN101163300A (zh) 2008-04-16
EP1912417B1 (en) 2011-10-12
KR101186530B1 (ko) 2012-10-08
US20080090618A1 (en) 2008-04-17
MX2007012771A (es) 2009-02-17
ATE528907T1 (de) 201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530B1 (ko) 전자 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KR101378880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8260382B2 (en) Portable slid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1529913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85392B1 (ko) 휴대 단말기
KR101437991B1 (ko) 휴대 단말기
KR101454238B1 (ko) 확장 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578799B1 (ko) 케이싱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41922B1 (ko)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74440B1 (ko) 휴대 단말기
KR100865147B1 (ko) 휴대 단말기
KR101463816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437982B1 (ko) 휴대 단말기
KR101622684B1 (ko) 휴대 단말기
KR101502008B1 (ko) 휴대 단말기
KR101502000B1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4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442543B1 (ko) 휴대 단말기
KR101484537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17908A (ko) 휴대 단말기
KR101789536B1 (ko) 이동 단말기
KR101474443B1 (ko) 휴대 단말기
KR101495180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74444B1 (ko) 휴대 단말기
KR101545572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