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831B1 - 탑재 오류가 없는 장식부재를 갖는 휴대전화용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탑재 오류가 없는 장식부재를 갖는 휴대전화용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831B1
KR100716831B1 KR1020060053065A KR20060053065A KR100716831B1 KR 100716831 B1 KR100716831 B1 KR 100716831B1 KR 1020060053065 A KR1020060053065 A KR 1020060053065A KR 20060053065 A KR20060053065 A KR 20060053065A KR 100716831 B1 KR100716831 B1 KR 100716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member
camera module
mounting groove
pairs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3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주변을 장식하기 위한 장식부재(120)와, 외면에 장식부재(120)가 탑재되는 장식부재탑재홈(111)이 형성되며 렌즈가 노출되도록 렌즈조립체(140)를 보관하기 위한 상하부케이스(110,130)와, 장식부재(120) 및 장식부재탑재홈(111)에 형성되며 장식부재(120)를 정위치에 탑재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117,123)을 포함한다. 장식부재탑재홈(111)은 상부케이스(110)에 형성되고 렌즈조립체(140)는 하부케이스(130)에 설치되며,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장식부재(120)를 정위치에 탑재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으로 장식부재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돌기(125) 및 이 단차돌기(125)와 대응하여 장식부재탑재홈(111)에 형성되는 단차홈(118)을 갖는다.
장식, 렌즈, 카메라, 케이스, 위치, 결정, 돌기, 단차

Description

탑재 오류가 없는 장식부재를 갖는 휴대전화용 카메라 모듈{Carmera module for a mobile phone having a decoration member without mounting erro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부케이스와 장식부재의 배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 기술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및
도 6은 도 5의 상부케이스와 장식체의 배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카메라 모듈 110 : 상부케이스
111 : 장식부재탑재홈 117 : 단차홈
120 : 장식부재 125 : 단차돌기
130 : 하부케이스 140 : 렌즈조립체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전화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는 기본적으로 이동하면서 원거리에 있는 상대방과 음성이나 문자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장치로 개발되었으나, 근래에는 거의 모든 휴대전화들이 정지영상이나 동영상 등의 영상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기능을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다. 또한, 영상 정보를 얻기 위해서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고 있다.
휴대전화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의 일례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 모듈(500)은 상부케이스(510), 장식체(520), 하부케이스(530) 및 렌즈조립체(540)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케이스(510)는 거의 반원통형으로 형성되나, 도면에서의 윗쪽의 곡률이 아랫쪽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도면에서 A-A에 대해서는 좌우 대칭을 이루는 반면 B-B에 대해서는 상하 대칭을 이루지 않고 있다.
상부케이스(510)의 상면에는 거의 사각모양의 장식체탑재홈(511)이 형성되고, 양단에는 하부케이스(530)와 결합되는 돌기형홈(513)이 형성되어 있다. 장식체 탑재홈(511)은 중앙에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공(515)이 형성되고, 네 모서리부근에 4개의 삽입공(5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510)의 안쪽에는 개방공(515)의 주위에 렌즈조립체(540)의 원통형 렌즈부(541)가 안착되는 한 쌍의 원호형 렌즈안착돌기(519)가 형성되어 있다.
장식체(520)는 카메라 모듈(500), 특히 외부로 노출되는 렌즈의 주위를 장식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면이 장식체탑재홈(511)과 대응하는 넓이를 갖는 거의 정사각모양을 하고 있으며, 상면은 도면에서의 위쪽이 아래쪽 보다 곡률을 작다. 도면에서 A-A에 대해서는 좌우 대칭을 이루지는 반면 B-B에 대해서는 상하 대칭을 이루지 않고 있다.
장식체(520)의 중앙에는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공(52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삽입공(517)과 대응하게 위치하는 4개의 삽입돌기(523)가 형성되며, 이 삽입돌기(523)는 장식체탑재홈(511)에 형성된 4개의 삽입공(517)에 삽입되게 된다.
하부케이스(530)는 반원통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렌즈조립체(540)가 탑재되는 렌즈부탑재홈(531)이 형성되고 양단에 상부케이스(510)의 돌기형홈(513)과 대응하는 결합돌기(533)이 형성되어 있다.
렌즈조립체(240)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부(541) 및 렌즈부(541)와 휴대전화의 메인기판(미도시)를 연결하는 회로부(543)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500)은 수작업에 의해 삽입돌기(523)가 삽입공(517)에 삽입되게 장식체(520)가 상부케이스(510)에 결합되고, 삽입돌기(523)의 끝부분은 상부케이스(510)의 안쪽에서 접착제에 의해 본딩처리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카메라 모듈(500)은 그러나 장식체(520)의 바닥면과 장식체탑재홈(511)은 거의 사각형 모양의 테두리를 갖고 있기 때문에 수작업시 실수로 인해 장식체(520)가 거꾸로 탑재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런 경우, 장식체(520)의 상면과 상부케이스(510)의 상면이 매끄럽게 일치하지 못하여 미관이 매우 좋지 않아 장식체(520)를 빼내서 다시 탑재하여야 했고 이로 인해 수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식부재를 정위치에 탑재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원천적으로 장식부재가 거꾸로 탑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렌즈의 주변을 장식하기 위한 장식부재와, 외면에 장식부재가 탑재되는 장식부재탑재홈이 형성되며 렌즈가 노출되도록 렌즈조립체를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와, 장식부재 및 장식부재탑재홈에 형성되며 장식부재를 정위치에 탑재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 오류가 없는 장식부재를 갖는 휴대전화용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 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케이스가 장식부재탑재홈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와 렌즈조립체가 설치되는 하부케이스를 구비하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위치결정수단은 장식부재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돌기 및 장식부재탑재홈에 단차돌기와 대응하여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장식부재는 네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돌기를 가지며, 장식부재탑재홈은 다수의 삽입돌기와 대응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삽입돌기는 직경이 같은 원기둥이며, 다수의 삽입공은 직경이 같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결정수단은 장식부재에 형성되는 크기가 다른 두 쌍의 삽입돌기 및 두 쌍의 삽입돌기와 대응하는 장식부재탑재홈에 형성되는 두 쌍의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두 쌍의 삽입돌기는 높이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결정수단은 장식부재에 형성되는 간격이 서로 다른 두 쌍의 삽입돌기 및 장식부재탑재홈에 형성되는 두 쌍의 삽입돌기와 대응하는 두 쌍의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두 쌍의 삽입돌기는 직경이 같은 원기둥이며, 두 쌍의 삽입공은 직 경이 같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부케이스와 장식부재의 배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은 상부케이스(110), 장식부재(120), 하부케이스(130) 및 렌즈조립체(140)를 포함한다.
상부케이스(110)는 거의 반원통형으로 형성되나, 도면에서 윗쪽의 곡률이 아래쪽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도면에서 A-A에 대해서는 좌우 대칭을 이루는 반면 B-B에 대해서는 상하 대칭을 이루지 않는다.
상부케이스(110)의 상면에는 거의 사각형 모양의 장식부재탑재홈(111)이 형성되고, 양단에는 하부케이스(130)와 결합되는 돌기형홈(113)이 형성된다.
장식부재탑재홈(111)의 중앙에는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공(115)이 형성되고, 네 모서리부근에 직경이 모두 같은 원형의 4개의 삽입공(117)이 형성된다. 장식부재탑재홈(111)에는 또한 장식부재(120)가 정위치에 탑재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의 하나로 단차홈(118)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케이스(110)의 안쪽에는 개방공(115)의 주위에 렌즈조립체(140)의 원통형 렌즈부(141)가 안착되는 한 쌍의 원호형 렌즈부안착돌기(119)가 형성된다.
장식부재(120)는 카메라 모듈(110), 특히 외부로 노출되는 렌즈의 주위를 장식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면이 장식부재탑재홈(111)과 대응하는 넓이를 갖는 사각모양을 하고 있으나, 상면은 도면에서 윗쪽이 아래쪽 보다 작은 곡률을 갖는다. 즉, 도면에서 A-A에 대해서는 좌우 대칭을 이루는 반면 B-B에 대해서는 상하 대칭을 이루지 않는다.
장식부재(120)의 중앙에는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공(121)이 형성되고,하단에는 삽입공(117)과 대응하는 4개의 직경이 모두 같은 원기둥 형태의 삽입돌기(123)가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서 앞쪽에는 장식부재(120)가 정위치에 탑재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의 다른 하나로 단차홈(118)과 대응하는 단차돌기(125)가 형성된다.
하부케이스(130)는 반원통형으로 상부케이스(110)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중앙에 렌즈조립체(140)가 탑재되는 렌즈탑재홈(131)이 형성되고 양단에 상부케이스(110)의 돌기형홈(113)과 대응하는 결합돌기(133)이 형성된다.
렌즈조립체(140)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부(141) 및 렌즈부(141)와 휴대전화의 메인기판(미도시)를 연결하는 회로부(143)로 구성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100)은 수작업에 의해 삽입돌기(123)가 삽입공(117)에 삽입되게 장식부재(120)가 상부케이스(110)에 결합되고, 삽입돌기(123)의 끝부분은 상부케이스(110)의 안쪽에서 접착제에 의해 본딩처리된다.
상술한 구성의 카메라 모듈(100)은 상부케이스(110), 구체적으로 장식부재탑재홈(111)에 대한 장식부재(120)의 옳바른 위치를 찾기 위한 수단으로 단차홈(118) 과 단차돌기(125)를 구비하고 있어 장식부재(120)가 거꾸로 탑재되는 일이 전혀 없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은 상부케이스(210)와 장식부재(220)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도 1의 카메라 모듈과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케이스(210)는 외형이 도 1의 상부케이스(110)와 거의 같으나, 상면에 형성되는 장식부재탑재홈(211)이 단차홈 없이 평탄하게 형성된다.
장식부재탑재홈(211)에는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공(215)이 형성되고, 네 모서리부근에 직경이 같은 원형의 한 쌍의 삽입공(217a)과 이 보다 직경이 다소 큰 원형의 다른 한 쌍의 삽입공(217b)이 형성된다. 크기가 다른 쌍의 삽입공(217a, 217b)이 본 실시예에서 장식부재(220)가 정위치에 탑재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하나의 위치결정수단의 역할을 한다.
장식부재(220)도 외형이 도 1의 장식부재(120)와 거의 같으나, 바닥면이 장식부재탑재홈(211)과 대응하게 평탄하게 형성된다. 장식부재(220)의 중앙에는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공(22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한 쌍의 삽입공(217a) 및 다른 한 쌍의 삽입공(217b)과 각각 대응하는 직경이 같은 한 쌍의 원기둥 형태의 삽입돌기(223a)와 이보다 다소 직경이 큰 원기둥형의 다른 한 쌍의 삽입돌기(223b)가 형성된다. 크기가 다른 쌍의 삽입돌기(223a, 223b)는 본 실시예에서 장식부 재(220)가 정위치에 탑재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위치결정수단의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 또한 상부케이스(310)와 장식부재(320)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도 1의 카메라 모듈과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케이스(310)는 외형이 도 1의 상부케이스(110)와 거의 같으나, 상면에 형성되는 장식부재탑재홈(311)이 단차홈 없이 평탄하게 형성된다.
장식부재탑재홈(311)에는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공(315)이 형성되고, 네 모서리부근에 직경이 모두 같은 원형의 두 쌍의 삽입공(317a,317b)이 형성된다. 한 쌍의 삽입공(317a) 사이의 거리 d1은 다른 한 쌍의 삽입공(317b) 사이의 거리 d2 보다 작게 형성된다. 거리가 다른 쌍의 삽입공(317a, 317b)이 본 실시예에서 장식부재(320)가 정위치에 탑재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하나의 위치결정수단의 역할을 한다.
장식부재(320)도 외형이 도 1의 장식부재(120)와 거의 같으나, 바닥면이 장식부재탑재홈(311)과 대응하게 평탄하게 형성된다. 장식부재(320)의 중앙에는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공(32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한 쌍의 삽입공(317a) 및 다른 한 쌍의 삽입공(317b)과 각각 대응하는 d1의 거리로 이격된 한 쌍의 원기둥 형태의 삽입돌기(323a)와 d2의 거리로 이격된 다른 한 쌍의 원기둥 형태의 삽입돌 기(323b)가 형성된다. 거리가 다른 쌍의 삽입돌기(323a, 323b)가 본 실시예에서 장식부재(320)가 정위치에 탑재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위치결정수단의 역할을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 따르면, 장식부재 및 장식부재가 탑재되는 상부케이스에 장식부재의 정위치를 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어떠한 경우에도 장식부재가 거꾸로 탑재되는 등의 탑재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탑재 오류가 미연에 방지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높아져 수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Claims (9)

  1. 렌즈의 주변을 장식하기 위한 장식부재;
    외면에 상기 장식부재가 탑재되는 장식부재탑재홈이 형성되며 상기 렌즈가 노출되도록 렌즈조립체를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 및
    상기 장식부재 및 상기 장식부재탑재홈에 형성되며 상기 장식부재를 정위치에 탑재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 오류가 없는 장식부재를 갖는 휴대전화용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장식부재탑재홈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및 상기 렌즈조립체가 설치되는 하부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장식부재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돌기 및 상기 장식부재탑재홈에 상기 단차돌기와 대응하여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네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돌기를 가지며, 상기 장식부재탑재홈은 상기 다수의 삽입돌기와 대응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삽입돌기는 직경이 같은 원기둥이며, 상기 다수의 삽입공은 직경이 같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장식부재에 형성되는 크기가 다른 두 쌍의 삽입돌기, 및 상기 장식부재탑재홈에 형성되는 상기 두 쌍의 삽입돌기와 대응하는 두 쌍의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쌍의 삽입돌기는 높이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장식부재에 형성되는 간격이 서로 다른 두 쌍의 삽입돌기 및 상기 장식부재탑재홈에 형성되는 상기 두 쌍의 삽입돌기와 대응하는 두 쌍의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두 쌍의 삽입돌기는 직경이 같은 원기둥이며, 상기 두 쌍의 삽입공은 직경이 같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060053065A 2006-06-13 2006-06-13 탑재 오류가 없는 장식부재를 갖는 휴대전화용 카메라 모듈 KR100716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065A KR100716831B1 (ko) 2006-06-13 2006-06-13 탑재 오류가 없는 장식부재를 갖는 휴대전화용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065A KR100716831B1 (ko) 2006-06-13 2006-06-13 탑재 오류가 없는 장식부재를 갖는 휴대전화용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6831B1 true KR100716831B1 (ko) 2007-05-09

Family

ID=3827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065A KR100716831B1 (ko) 2006-06-13 2006-06-13 탑재 오류가 없는 장식부재를 갖는 휴대전화용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8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727A (ko) * 2004-08-18 2006-02-2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휴대 단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727A (ko) * 2004-08-18 2006-02-2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휴대 단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49466B2 (ja) 表示パネルを備えた電子機器
US20210239935A1 (en) Optical mechanism
TWI468769B (zh) 3d立體電路導腳結合簧片之結構
KR102187468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동 단말기
KR101853827B1 (ko) 카메라 모듈
CN104333687A (zh) 双摄像头装置及其终端设备
TWI499820B (zh) Lens focusing device
CN113518136B (zh) 装饰组件、壳体组件及其装配方法和移动终端
CN106603898A (zh) 多拍摄角度的一体式摄像头模组
CN205792919U (zh) 摄像装置
JP2007304153A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0716831B1 (ko) 탑재 오류가 없는 장식부재를 갖는 휴대전화용 카메라 모듈
CN110518927A (zh) 电子设备
CN203848198U (zh) 发光二极管灯具及其透镜组件
CN210137368U (zh) 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CN110365869A (zh) 相机模组及其组装方法
KR102645837B1 (ko)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0572540A (zh) 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WO2019042065A1 (zh) 装饰组件、壳体组件及其装配方法和移动终端
CN110557543B (zh) 兼容性机芯外壳和具有其的摄像机
CN110971794B (zh) 摄像模组以及电子设备
KR100716832B1 (ko) 결합이 안정된 장식부재를 갖는 휴대전화용 카메라 모듈
CN214010300U (zh) 一种超大幅面航摄仪
CN110800280B (zh) 一种图像传输装置及其装配方法和可移动平台
CN113114876A (zh) 一种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