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3821A - 교량 점검용 사다리 진입 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점검용 사다리 진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3821A
KR20060013821A KR1020040062422A KR20040062422A KR20060013821A KR 20060013821 A KR20060013821 A KR 20060013821A KR 1020040062422 A KR1020040062422 A KR 1020040062422A KR 20040062422 A KR20040062422 A KR 20040062422A KR 20060013821 A KR20060013821 A KR 20060013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safety net
fixed
bridge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원
Original Assignee
김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원 filed Critical 김문원
Priority to KR1020040062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3821A/ko
Publication of KR20060013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5Devices providing a back support to a person on the ladder, e.g. c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6Rail or rope for guiding a safety attachment, e.g. a fall arrest system
    • E06C7/187Guiding rai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8Accessories for temporary stabilising a ladder, e.g. temporary attach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점검을 위해 교각 아래로 진입하기 위해 설치하는 교량 점검용 사다리에 있어서, 사다리로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치하는 교량 점검용 사다리 진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통 교량의 하방에는 교량 정비를 위한 점검 통로를 가지며, 교량의 난간대에는 점검 통로로 진입을 위한 사다리와 사다리 외측에는 안전을 위한 안전망을 갖게 되나, 본 발명은 안전망 외측에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 안전망을 설치하며, 사다리로 진입을 돕는 보조 사다리를 갖도록 한 것으로, 평소에는 보조사다리가 사다리진입 통로를 폐쇄하여 막아주나, 점검 통로를 진입하고자 할 경우 보조사다리를 잡아당겨 진입구를 개방하며, 동시에 난간대 하방에 위치하던 이동안전망을 난간대위로 상승시켜, 사다리 진입통로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 점검용 사다리 진입 장치{entrance device for ladder system of bridge}
도1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있어, 이동안전망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로
(가)는 이동안전망이 난간대 하방에 위치한 것
(나)는 이동안전망이 난간대 위로 상승 위치한 것
(다)는 이동안전망이 난간대 위로 상승되며, 보조사다리가 난간대에 당 접된 것
(라)는 이동안전망이 난간대 위로 상승되며, 이동손잡이가 전진된 것을 보인 측면도
도3은 도2 (가)의 확대도
도4는 도2 (나)의 확대도
도5는 도2 (다)의 확대도
도6은 도2 (라)의 확대도
도7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에 있어 보조사다리가 당겨진 상태의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에 있어 이동손잡이가 잡아 당겨진 상태의 평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있어 보조사다리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있어 보조사다리의 작동상태 정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있어 이동안전망이 하강 위치시 중량체가 상승된 것을 보인 작동상태 개략도
도13은 본 발명에 있어 이동안전망이 상승 위치시 중량체가 하강된 것을 보인 작동상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이동안전망 12 : 일정간격
13 : 가이드 파이프 14 : 몸체지지파이프
15 : 하방지지대 21 : 상방지지브라켓
21A : 가이드로울러
21B : 제1로우프 가이드로울러
21C : 제2로우프 가이드로울러
22 : 하방지지브라켓 22A : 가이드로울러
23 : 제1로우프 24 : 제2로우프
29 : 중량체 31 : 보조사다리
32 : 고정안내레일 33 : 이동안내레일
51 : 교량 52 : 점검통로
53 : 난간대 54 : 사다리
55 : 고정안전망
본 발명은 교량 점검을 위해 교각 아래로 진입하기 위해 설치하는 교량 점검용 사다리에 있어서, 사다리로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치하는 교량 점검용 사다리 진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통 교량의 하방에는 교량의 정비 점검을 위해 점검 통로를 설치하게 되며, 교량 난간이나 방호벽에는 교량 아래의 점검 통로로 진입을 위한 사다리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교량의 사다리를 통해 점검 통로로 내려가서 주기적으로 교량의 교좌 장치나 베어링등의 기계장치를 점검하며, 녹제거, 방청작업등 일련의 교량 보수 및 점검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인구증가 및 산업발달과 함께 도로의 증가는 필연적이며, 도로를 건설함에 있어서, 산과산, 계곡과 계곡을 연결하여 도로를 건설하거나 강이나 하천, 해안을 낀 강변도로나 해안도로등을 건설함에 있어서, 교량수는 자연히 증가하게 되며, 또한 고가차도, 고가철도등 교량의 건설은 증대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로의 발달과 동시 증가하는 교량의 안전 점검 및 교량의 유지 보수를 위해 교량의 하방에는 교량 점검을 위한 점검 통로를 교각 하방에 설치하게 되며, 이와같은 점검 통로를 진입하기 위해서는 교량의 난간대(방호벽)외측에 설치한 사다리를 통해 진입을 하게 된다.
사다리로 진입을 하기 위해서는 1.2∼1.5M의 난간대(방호벽)위를 밟고 올라서야 되며, 보통 10∼100M의 높이를 갖는 교량의 점검장치의 승강 사다리로 진입하기 위해 나간대 위해 올라서면 고소에 의한 어지럼증을 갖게되며, 또한 추락 염려등에 의한 공포를 받게 된다.
특히 바람등의 심하게 불게 되면 작업자가 받는 고소 공포증과 추락의 염려는 더욱 증가하게 되며, 이러한 심리적 요인을 말미암아 교량의 점검을 제대로 수행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같은 것을 감안하여 본 발명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교량 하방의 교량 점검 장치 즉 교량 점검 통로로 진입을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교량 점검장치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며, 관계자 이외의 타인은 용이하게 사다리로 진입을 할 수 없는 보안 장치를 구비한 교량 점검용 사다리 진입 장치를 제공토록 하는 것이다.
교량의 하방에는 교량의 점검등을 위해 교량 점검 통로를 갖게 되며, 난간대 외측에 설치되는 사다리를 통해 점검 통로로 진입하게 되나, 난간대 외측에 설치되는 사다리로 진입을 위해서는 1.2∼1.5M의 난간대위로 올라선 후에만 사다리 진입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사다리로 진입을 위해 난간대를 밟고 올라서야만 함에 있어서, 난간대를 용이하게 오를 수 있도록 보조사다리를 제공하며, 사다리 외측에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 안전망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사다리를 통해 교량 아래로 내려가고자 할 경우 이동안전망을 들어 올려 사다리 진입 입구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난간대를 오를 수 있는 진입 보조사다리를 형성하며, 평시에는 난간대를 오를 수 있는 진입 사다리가 형성되지 않음과 동시에 이동안전망을 난간대 아래로 하방 위치토록 함과 동시에 사다리 진입 입구를 폐쇄토록 하여 관계자 이외의 타인은 사다리를 통해 점검 통로로 진입을 못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평시에는 관계자 이외의 타인이 쉽게 사다리를 통해 교량의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강화된 보안의 목적을 가지며, 작업자가 사다리로 진입을 할 경우, 보조사다리 형성 및 이동안전망의 상승으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사다리로 진입 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토록 함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교량(51)의 하방에 설치되는 점검통로(52)로 진입을 위해 교량의 난간대(53) 외측에 사다리(54)를 설치하며, 상기 사다리(54) 외측에는 고정안전망(53)을 갖는 교량 점검용 사다리 진입 장치에 있어서, 고정안전망(55) 외측에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안전망(11)을 가지며, 상기 이동안전망(11) 양측에는 이동안전망(11) 몸체와 일정간격(12)을 띠고 이동안전망(11)을 상하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파이프(13)를 좌우에 가지며, 상기 가이드파이프(13) 하방에는 몸체 지지파이프(14)와 일체로 연결되는 하방지지대(15)를 가지며, 난간대(53) 외측에는 상하방 지지브라켓(21)(22)을 고정하되, 상기 상하방 지지브라켓(21)(22)에는 상기 이동안전망(11)과 일체로 연결되는 좌우 가이드파이프(13)를 사이에 끼워 이동을 안내하는 한쌍의 상하 가이드로울러(21A)(21B)를 각각 가지며, 상기 상방 지지브라켓(21) 좌우 양측에 중량체에 연결된 제1로우프(23) 가이드로울러(21B)와 이동안전망에 연결된 제2로우프(24) 가이드로울러(21C)를 가지며, 이동안전망(11) 하단 지지대(15)에는 상기 제1로우프(23) 및 제2로우프(24)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로우프(24)는 제2로우프 가이드로울러(21C)를 거쳐 보조사다리(31의 측변에 타측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이동안전망(11) 하방지지대(15)에 일측단부를 고정한 제1로우프(23)는 제2로우프 가이드 로울러(21C)를 거쳐 중량체(29)에 타측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2로우프(24)의 타측단부를 고정한 보조사다리(31)는 고정안전망(55) 상방에 고정되는 고정 안내레일(32)과 이를 따라 슬라이딩으로 전후진하는 이동안내레일(33)에 슬라이딩 으로 이동 자재하게 연결되어지며, 상기 중량체(29)의 양측에는 이를 상하로 이동 안내하는 중량체 안내레일을 갖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 보조사다리(31)는 좌우양측에 이동안전망을 승강하는 제2로우프(24)를 고정하며, 이동돌기(31A)가 고정되어, 이동안내레일(33)에 형성한 이동홈(33B)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진 이동하며, 상기 이동안내레일(33)은 상기 이동홈(33B)을 가짐과 동시에 이동돌기(33A)를 가져 고정안내레일(32)에 형성한 이동홈(32B)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고정안내레일(32)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고정안내레일(32)은 이동안내레일(33)이 이탈되지 않도록 그 단면이 " ㄷ " 형상으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안전망(11)의 좌우 양외측에는 상하에 이동안내파이프(11A)를 부착하며, 이에 후레임이 "ㄷ" 형상의 안전손잡이대(11B)가 슬라이딩으로 전후진되게 부착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함과 동시에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난간대(53) 외측에 설치하는 고정안전망(55)은 그 높이가 난간대(53) 보다 높게 설치되어지며, 난간대(53) 위로 올라간 후, 고정안전망(55) 내측에 마련된 사다리(54)를 통해 교량 아래의 점검 통로(52)로 진입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난간대(55) 외측에 설치되는 고정안전망(55)은 난간대(53) 높이 정도로 낮게 설치되며, 고정안전망(55) 외측에 이동안전망(11)을 설치하여 필요시, 즉 점검통로(52)로 작업자가 출입하고자 할 경우, 고정안전망(55) 외측에 위치하는 이동안전망(11)을 난간대(53) 위로 들어 올려 난간대(53) 위에 안전 수단을 구비한 후 난간대(53) 외측의 사다리(54)를 통해 점검통로(52)로 진입하게 된다.
또한 본발명은 평소에는 이동안전망(11)이 난간대(53) 아래에 위치 되어지며, 고정안전망(55)의 입구가 보조사다리(31)에 의해 덮혀져서 사다리(54) 입구 즉 고정안전망(55) 입구를 차단하게 되나, 점검 통로(52)로 진입코자 할 경우, 고정안전망(55) 입구를 차단하는 보조사다리(31)를 잡아당겨 고정안전망(55) 입구를 개방한 후 사다리(54)로 진입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 작업자가 점검통로(52)로 출입코자 할 경우 고정안전망(55) 위를 덮고 있던 보조사다리(31)를 잡아 당기게 되면, 보조사다리(31)는 그 양측에 형성된 이동돌기(31A)가 이동안내레일(33)의 이동홈(33B)을 따라 전진 이동하며, 이동안내레일(33)의 이동돌기(33A)는 고정안내레일(32)의 이동홈(32B)을 따라 전진이동하여 고정안전망(55)의 입구를 개방하게 되며, 전진이 완료된 보조사다리(31)는 약90로 회전시켜 난간대(53) 내주면과 당접시키게되면 1.2∼1.5M의 높이에 해당하는 난간대(53)를 용이하게 오를 수 있는 보조사다리(31)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같이 고정안내레일(32)과 이동안내레일(33)을 따라 구동하는 보조사다리(31)는 이동안전망(11) 하방지지대(15)에 고정된 제2로우프(24)가 연결 고정되어 보조사다리(31)가 전진 이동하게 되며, 이동하는 제2로우프(24)는 이동안전망(11)을 상승시키게 된다.
한편 이동안전망 하방지지대(15)에는 이동안전망을 승강시키는 제2로우프(24)와 함께 중량체(29)에 연결된 제1로우프(23)의 단부가 동시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이동하는 이동안전망(11)은 제1로우프(23) 단부에 고정된 중량체(29)를 하강시켜 적은 힘으로 이동안전망(11)을 상승시키게된다.
다시말해 이동안전망(11) 무게에 비례하는 중량체(29)를 제1,2로우프(23)(24)로 연결하여 중량체(29)는 항시 그 자중에 의해 낙하하려는 힘을 갖게 됨으로, 이동안전망(11)은 적은 힘을 가하더라도 쉽게 상승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반대 작동으로 보조사다리(31)를 뒤로 후퇴시켜, 고정가이드레일(32)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고정안전망(55) 입구를 차단함과 동시에 이동안전망(11)은 난간대(53) 하방으로 하강 이동하게 되며, 하강하는 이동안전망(11) 하중으로 중량체(29)를 상승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동안전망(11)이 난간대(53) 위로 상승 이동된 후, 그 좌우 외측에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고정되는 안전손잡이대(11B)를 앞으로 잡아 당길 때, 안전 손잡이대(11B)가 난간대(53) 위로 위치하여 이동안전망(11)으로 진입함을 도와주게되며, 난간대(53) 전면에 회전되어 부착되는 보조사다리(31)를 밟고 난간대(53) 위의 안전손잡이대(11B)를 잡고 안전하게 이동안전망(11) 및 고정안전망(55) 내측의 사다리(54)를 통해 교량(51) 아래의 점검 통로(52)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고정안전망(55) 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보조사다리(31)를 잡아 당김으로 인해, 이동안전망(11)이 상승 이동하여 안전망을 구성하게 되며, 사용이 끝난후나 평시에는 이동안전망(11)을 난간대 하방에 위치토록 하며, 안전망 입구를 보조사다리(31)로 폐쇄하고 잠금으로 말미암아 관계자 이외의 타인이 쉽게 점검통로로 출입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교량의 점검 통로로 진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난간대 외측에 설치되는 사다리를 통해 교량 하방의 점검 통로로 진입하게 되는 바, 난간대를 넘어 수십미터 높이의 교량의 점검 장치로 진입하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는 고소의 공포를 받게 되며, 심리적 부담감을 갖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교량의 점검 통로로 진입하는 사다리 외측에는 고정안전망을 설치하여 작업자를 보호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1.2∼1.5M 높이의 난간대를 오르 내리는 사다리를 갖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거의 항시 점검 통로로 진입하는 입구가 개방되어 있거나, 간단한 잠금 수단으로 사다리 입구가 폐쇄되어 외부인이 마음만 먹으면 쉽게 점검 통로로 출입이 가능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점검 통로로 진입코자 할 경우, 평소에는 난간애 하방 에 위치하는 이동안전망을 상승시켜 출입통로를 개설하게 되며, 사다리 입구는 절첩되는 보조사다리로 막아 외부인이 쉽게 사다리를 통해 점검 통로로의 출입을 막아주게 되는 효과를 가지며, 작업자가 점검 통로로 진입코자 할 경우, 사다리 입구를 폐쇄하고 있던 보조사다리를 당겨 보조사다리를 난간대 전면에 부착하는 순간 난간대 하방에 위치하던 이동안전망이 상승되어 점검통로로 진입가능한 통로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보조사다리를 밟고 난간대 위로 올라서서 사다리를 통해 점검 통로로 진입하게 되는 아주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교량(51)의 하방에 설치되는 점검통로(52)로 진입을 위해 교량의 난간대(53) 외측에 사다리(54)를 설치하며, 상기 사다리(54) 외측에는 고정안전망(53)을 갖는 교량 점검용 사다리 진입 장치에 있어서, 고정안전망(55) 외측에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안전망(11)을 가지며, 상기 이동안전망(11) 양측에는 이동안전망(11) 몸체와 일정간격(12)을 띠고 이동안전망(11)을 상하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파이프(13)를 좌우에 가지며, 상기 가이드파이프(13) 하방에는 몸체 지지파이프(14)와 일체로 연결되는 하방지지대(15)를 가지며, 난간대(53) 외측에는 상하방 지지브라켓(21)(22)을 고정하되, 상기 상하방 지지브라켓(21)(22)에는 상기 이동안전망(11)과 일체로 연결되는 좌우 가이드파이프(13)를 사이에 끼워 이동을 안내하는 한쌍의 상하 가이드로울러(21A)(21B)를 각각 가지며, 상기 상방 지지브라켓(21) 좌우 양측에 중량체에 연결된 제1로우프(23) 가이드로울러(21B)와 이동안전망에 연결된 제2로우프(24) 가이드로울러(21C)를 가지며, 이동안전망(11) 하단 지지대(15)에는 상기 제1로우프(23) 및 제2로우프(24)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로우프(24)는 제2로우프 가이드로울러(21C)를 거쳐 보조사다리(31의 측변에 타측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이동안전망(11) 하방지지대(15)에 일측단부를 고정한 제1로우프(23)는 제2로우프 가이드 로울러(21C)를 거쳐 중량체(29)에 타측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2로우프(24)의 타측단부를 고정한 보조사다리(31)는 고정안전망(55) 상방에 고정되는 고정 안내레일(32)과 이를 따라 슬라이딩으로 전후진하는 이동안내레일(33)에 슬라이딩 으로 이동 자재하게 연결되어지며, 상기 중량체(29)의 양측에는 이를 상하로 이동 안내하는 중량체 안내레일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용 사다리 진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보조사다리(31)는 좌우 양측에 이동안전망을 승강하는 제2로우프(24)를 고정하며, 이동돌기(31A)가 고정되어 이동안내레일(33)에 형성한 이동홈(33B)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진 이동하며, 상기 이동안내레일(33)은 상기 이동홈(33B)을 가짐과 동시에 이동돌기(33A)를 가져 고정안내레일(32)에 형성한 이동홈(32B)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고정안내레일(32)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고정안내레일(32)은 이동안내레일(33)이 이탈되지 않도록 그 단면이 " ㄷ " 형상으로 구성되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용 사다리 진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전망(11)의 좌우 양외측에는 상하에 고정된 이동안내파이프(11A)을 가지며, 이에 후레임이 "ㄷ" 형상의 안전손잡이대(11B)가 슬라이딩으로 전후진되게 부착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용 사다리 진입 장치.
KR1020040062422A 2004-08-09 2004-08-09 교량 점검용 사다리 진입 장치 KR200600138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422A KR20060013821A (ko) 2004-08-09 2004-08-09 교량 점검용 사다리 진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422A KR20060013821A (ko) 2004-08-09 2004-08-09 교량 점검용 사다리 진입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634U Division KR200365981Y1 (ko) 2004-08-09 2004-08-09 교량 점검용 사다리 진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821A true KR20060013821A (ko) 2006-02-14

Family

ID=37122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422A KR20060013821A (ko) 2004-08-09 2004-08-09 교량 점검용 사다리 진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38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8825A (zh) * 2018-09-12 2019-01-04 鲍雪花 一种安全爬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8825A (zh) * 2018-09-12 2019-01-04 鲍雪花 一种安全爬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2099B2 (en) Motorized height access device for tower cranes
KR101344995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2004322823A (ja) プラットホームの簡易可動柵
KR101111164B1 (ko) 낙하방지부를 구비하는 갱폼
KR20090076879A (ko)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EP2522616A1 (en) Elevator apparatus
EP1780162A1 (en) Lift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ame
KR100789706B1 (ko)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용 승하강수단
KR20090094411A (ko) 교량 점검로 진입 사다리 안전장치
KR200365981Y1 (ko) 교량 점검용 사다리 진입 장치
KR20060013821A (ko) 교량 점검용 사다리 진입 장치
CN210316460U (zh) 附着式升降支撑装置
JPH11229416A (ja) マンホール用墜落防止装置
KR102432152B1 (ko) 가변 슬라이딩 맨홀 안전 가드
JP7346996B2 (ja) 昇降設備
JP2019112218A (ja) 人荷昇降装置付き移動昇降式足場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施工方法及びこれらの設置方法
KR100361604B1 (ko)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교량 점검용 사다리
KR102178504B1 (ko) 건설 현장의 승강기 도어 안전장치
JP6068606B1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内への出入り構造
KR20120062061A (ko)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JP5640886B2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出入り装置
KR200360006Y1 (ko) 교량점검용 사다리
RU77600U1 (ru) Платформа подъемная для инвалидов с вертикальным перемещением
KR200342295Y1 (ko) 교량점검장치 진입용 난간사다리
KR200356960Y1 (ko) 교량점검시설 출입용 보조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